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국제 에너지·자원 환경과 자원외교 / 김원웅 엮음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김원웅 의원실], 2005
청구기호
337.51 ㄱ792ㄱ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659 p. ; 26 cm
총서사항
정책자료 ; 05
제어번호
MONO1200527680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표제지 등]=0,1,2

발간사=5,3,3

[목차]=8,6,14

표목차 및 그림목차=22,20,9

제1부 왜 자원 외교인가=31,29,2

I. 자원의 이해=33,31,1

1. 자원문제의 특성=33,31,1

1) 자원의 개념=33,31,2

2) 자원문제의 본질=34,32,1

(1) 개황=34,32,2

(2) 자원문제와 기술=35,33,2

(3) 자원과 국제협력=36,34,1

2. 자원의 수요ㆍ공급구조적 특징=36,34,1

1) 자원의 수요구조적 특징=36,34,3

2) 자원의 공급구조적 특징=38,36,1

(1) 자원의 편재성=38,36,2

(2) 자원의 유한성=39,37,2

(3) 자원생산의 비탄력성과 개발의 장기회임성=40,38,1

3)/4) 탐광의 불확실성과 위험부담=41,39,1

4)/5) 국제대자본에 의한 독점적 지배=41,39,2

II. 자원문제의 국제화=43,41,1

1. 자원민족주의의 대두=43,41,1

1) 자원민족주의 대두=43,41,3

2) 자원민족주의의 발전과 신국제경제질서=45,43,5

2. 자원보유국의 자원정책=49,47,1

1) 자원카르텔의 형성과 발전=49,47,4

2) 자원보유국의 국유화정책=52,50,1

3) 자원보유국의 자원개발 협력정책=52,50,2

3. 자원을 둘러싼 국가간 분쟁의 역사=53,51,1

1) 환경자원전쟁=53,51,2

2) 환경자원전쟁의 정치적 의미=54,52,2

3) 환경자원전쟁의 역사적 사례=55,53,1

(1) 토지=55,53,2

(2) 비연료 광물자원=56,54,2

(3) 석유자원=57,55,8

(4) 물=65,63,3

III. 자원 위기의 극복과 자원외교의 필요성=68,66,1

1. 안보개념의 확대와 자원위기=68,66,3

1) 안보개념의 확대=70,68,1

(1) 전통적 국가안보의 개념=70,68,2

(2) 냉전의 종식과 안보개념의 확대=71,69,3

(3) 안보환경 평가를 위한 기준=73,71,2

2) 자원위기=74,72,1

(1) 자원위기의 출현 배경=74,72,2

(2) 자원위기론의 개념구조=76,74,3

3) 전략자원의 개념과 특징=78,76,1

(1) 전략자원의 개념=78,76,2

(2) 전략자원의 특징=79,77,4

4) 에너지위기요인의 복합화와 에너지 안보개념의 재정의=82,80,1

(1) 에너지위기요인의 복합화=82,80,3

(2) 에너지 안보 위협요인=84,82,6

(3) 에너지 안보개념의 재정의=89,87,1

2. 에너지를 둘러싼 국제질서의 변화와 대응=89,87,1

1) 에너지를 둘러싼 국제질서의 변화=89,87,4

2) 세계 에너지 질서 변화에 대응을 위한 자원외교의 필요성=92,90,1

(1) 고유가 시대의 도래와 에너지 확보경쟁의 심화=92,90,2

(2) 국가차원의 에너지 안보전략의 필요성=94,92,3

제2부 한국의 전략자원 획득 구조와 자원외교=97,95,2

I. 한국의 산업 현황과 자원 정책=99,97,1

1. 한국 산업과 소비 자원=99,97,1

1) 한국의 소비 자원 현황=99,97,1

(1) 한국 주요 경제 동향=99,97,2

(2) 산업별 경제동향=100,98,2

2) 한국의 소비 자원 현황=101,99,1

(1) 한국 에너지 자원 소비 현황=101,99,5

(2) 한국의 비에너지 자원 내수현황=105,103,2

3) 한국의 자원 현황=106,104,2

2. 한국의 주요 전략자원의 선정과 평가=108,106,1

1) 에너지 자원=108,106,1

(1) 석유=108,106,1

(2) 천연가스=108,106,2

(3) 유연탄=109,107,1

(4) 우라늄=109,107,1

2)/1) 비에너지 자원=109,107,2

(1) 철=110,108,2

(2) 구리=111,109,1

(3) 아연=111,109,2

(4) 희토류=112,110,1

3. 한국의 에너지정책 목표별 기본계획=112,110,2

1) 지속가능형=113,111,1

(1) 기후변화협약 대비 환경친화적 에너지시스템 구축=113,111,3

(2) 에너지이용합리화=115,113,3

(3)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기반 지속 구축=117,115,7

(4) 지방자치단체 에너지정책 기능 강화=124,122,1

2)/1) 시장주도형=124,122,1

(1) 에너지산업 구조개편 및 민영화 추진=124,122,7

(2) 독립적 규제기구 설치 및 경쟁질서 정착=130,128,2

(3) 에너지 가격 기능의 활성화=131,129,5

(4) 종합에너지산업 기반조성 및 전자상거래 활성화=135,133,2

3)/1) 기술주도형=136,134,1

(1) 에너지분야의 기술혁신 지원체제 강화=136,134,4

(2) 대체에너지 기술개발 강화=139,137,4

(3) 에너지산업의 수철산업화=142,140,3

4)/1) 대외개방형=144,142,1

(1) 국제 에너지ㆍ자원협력 강화=144,142,2

(2) 동북아 에너지협력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145,143,3

(3) 통일한국에 대비한 남북에너지협력의 추진=147,145,2

(4) 해외자원개발 확대=148,146,4

II. 에너지 자원 분야 개관=152,150,1

1. 한국의 주요 에너지원의 수급 구조와 전망=152,150,3

1) 한국의 에너지 전력 개황=154,152,1

(1) 한국 에너지 부문의 국제 위상=154,152,2

(2) 전력 수급 현황=155,153,4

2) 석유=158,156,1

(1) 수급 구조 현황=158,156,5

(2) 향후 도입 대책=162,160,3

3) 천연가스=164,162,1

(1) 수급 구조 현황=165,163,5

(2) 향후 도입 대책=169,167,3

4) 석탄(유연탄)=171,169,2

(1) 수급 구조 현황=173,171,5

(2) 향후 대책=177,175,5

5) 우라늄=181,179,1

(1) 수급 구조 현황=182,180,7

(2) 향후 도입 계획=188,186,3

2. 한국의 주요 비에너지 전략자원의 수급 구조와 전망=190,188,1

1) 철=190,188,2

(1) 수급 구조 현황=191,189,2

(2) 향후 도입 대책=193,191,2

2) 구리=194,192,1

(1) 수급 구조 현황=194,192,3

(2) 향후 도입 대책=196,194,3

3) 아연=198,196,1

(1) 수급 구조 현황=198,196,3

(2) 향후 도입 대책=200,198,3

4) 희토류=202,200,2

(1) 수급 구조 현황=203,201,3

(2) 향후 도입 대책=206,204,2

III.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현황=208,206,1

1.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의 특성=208,206,1

1)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의 특징과 한국의 정책=208,206,1

(1)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의 정의 및 특징=208,206,2

(2) 한국의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정책=209,207,2

2) 신ㆍ재생에너지의 기술분야별 특성=210,208,1

(1) 태양열=210,208,2

(2) 태양광=211,209,1

(3) 폐기물=212,210,1

(4) 바이오=213,211,2

(5) 풍력=214,212,1

(6) 연료전지=215,213,1

(7) 석탄가스화 복합발전=216,214,1

(8) 소수력 발전=216,214,2

(9) 수소에너지=217,215,1

(10) 지열 및 해양에너지=217,215,1

2. 신ㆍ재생에너지 선진국 현황과 한국의 정책방향=217,215,1

1) 세계의 신ㆍ재생에너지 현황과 정책=217,215,1

(1) 선진국의 기술동향 및 전망=217,215,2

(2) 선진국의 신ㆍ재생에너지 정책 및 지원제도=219,217,1

2) 신ㆍ재생에너지의 기술개발 및 보급현황=219,217,1

(1) 추진 체계=219,217,2

(2) 기술개발 현황=220,218,2

(3) 보급 현황=221,219,4

3) 한국의 신ㆍ재생에너지 정책방향=224,222,1

(1) 전략적 기술개발=224,222,2

(2) 실용화 평가사업의 확대 추진=225,223,1

(3) 신ㆍ재생에너지 기반조성 강화=225,223,2

(4) 지원제도의 획기적 개선=226,224,1

IV. 에너지 및 자원사업특별회계 운용 현황=227,225,1

1. 에너지 및 자원사업특별회계=227,225,1

1) 설치배경=227,225,1

2) 추진경위=228,226,1

(1) 법령제정 및 개정=228,226,1

(2) 에너지 및 자원사업특별회계 법령의 주요내용=228,226,2

(3) 제 기금의 인수ㆍ인계=229,227,2

2. 에너지 및 자원사업특별회계의 설치ㆍ운용=231,229,1

1) 에너지 및 자원사업특별회계 제도 개황=231,229,1

(1) 회계계정의 설치=231,229,1

(2) 회계관계직원의 임명=231,229,2

(3) 회계사무의 위탁=232,230,1

2) 2005년도 에너지 및 자원사업특별회계 예산 내역=232,230,1

(1) 세입예산 내역=232,230,1

(2) 세출예산 내역=233,231,4

3. 에너지 및 자원사업특별회계 향후 운용방향=236,234,1

1) 에너지 및 자원사업의 과제=236,234,2

2) 향후 에너지 및 자원사업특별회계 운용방향=237,235,1

3) 에너지 수요구조 변화에 맞는 예산 지원=237,235,2

V. 해외자원 개발사업과 자원외교 현황=239,237,1

1. 해외자원 개발사업 개황과 정책=239,237,1

1) 해외자원 개발사업의 역사와 특성=239,237,1

(1) 해외자원 개발사업의 역사=239,237,3

(2) 해외자원 개발사업의 특성=241,239,1

2) 해외자원 개발사업 현황=241,239,1

(1) 진출 현황=241,239,2

(2) 투자 현황=242,240,2

(3) 개발 성과=243,241,1

(4) 정부 지원 현황=244,242,1

3) 한국의 해외자원 개발사업 정책=245,243,1

(1) 정책 방향=245,243,1

(2) 중점추진과제=245,243,9

(3) 광종별 자주개발 목표=253,251,3

4) 자원외교를 통한 주요 성공사례 분석 및 시사점=255,253,1

(1) 카자흐스탄 잠빌광구 개발사례=255,253,1

(2) 러시아 서캄차카 유전 확보 사례=255,253,2

(3) 인도 철광석 확보 사례=256,254,1

2. 해외자원개발사업법 및 지원제도 운영현황=257,255,1

1) "해외자원개발사업법"의 내용과 해외자원개발 촉진규정=257,255,1

(1) 법률 목적=257,255,1

(2) 해외자원의 범위=257,255,2

(3) 해외자원개발사업법에 정의된 개발방법=258,256,1

(4) 개발된 해외자원의 수입방법=259,257,1

(5) 해외자원개발사업의 조성방법=259,257,2

(6) 지원대상=260,258,1

2) 해외자원개발 지원제도 운영현황=260,258,1

(1) 융자금 지원제도=260,258,7

(2) 보조제도=266,264,3

3) 자원협력위원회=268,266,1

(1) 운영현황=268,266,2

(2) 유용성=269,267,2

제3부 세계의 자원정책과 전략, 자원외교=271,269,2

I. 세계 주요 자원 보유 현황과 수급전망=273,271,1

1. 세계주요자원 부존현황=273,271,5

2. 세계주요자원의 수급 전망=277,275,1

1) 에너지자원=277,275,1

(1) 에너지자원 수요 공급전망=277,275,4

(2) 석유=280,278,8

(3) 천연가스=287,285,6

(4) 석탄=292,290,2

(5) 우라늄=293,291,4

2) 비에너지광물자원의 수급동향=296,294,1

(1) 철광석=296,294,3

(2) 구리=298,296,2

(3) 아연=299,297,3

II. 세계 각국의 에너지정책과 자원현황=302,300,1

1. 에너지자원 수입국=302,300,1

1) 미국=302,300,1

(1) 에너지정책=302,300,5

(2) 에너지ㆍ자원 보유현황=306,304,3

(3) 에너지ㆍ자원 산업현황=308,306,3

2) 중국=310,308,1

(1) 에너지정책=310,308,3

(2) 에너지ㆍ자원 보유현황=312,310,2

(3) 에너지ㆍ자원 산업현황=313,311,6

3) 일본=318,316,1

(1) 에너지정책=318,316,2

(2) 에너지ㆍ자원 보유현황=320,318,4

(3) 에너지ㆍ자원 산업현황=323,321,6

4) 영국=328,326,1

(1) 에너지정책=328,326,1

(2) 에너지ㆍ자원 보유현황=328,326,3

(3) 에너지ㆍ자원 산업현황=330,328,6

2. 에너지자원 수출국=335,333,1

1) 러시아=335,333,1

(1) 에너지정책=335,333,3

(2) 에너지ㆍ자원 보유현황=337,335,3

(3) 에너지ㆍ자원 산업현황=340,338,5

2) 호주=344,342,1

(1) 에너지정책=344,342,2

(2) 에너지ㆍ자원 보유현황=345,343,3

(3) 에너지ㆍ자원 산업현황=347,345,3

3) 사우디아라비아=349,347,1

(1) 에너지 정책=349,347,2

(2) 에너지ㆍ자원 보유현황=350,348,4

(3) 에너지ㆍ자원 산업현황=353,351,5

III. 세계 각국의 자원외교 전략 및 해외자원개발현황=358,356,1

1. 에너지자원 수입국=358,356,1

1) 미국=358,356,1

(1) 에너지ㆍ자원 외교 전략 및 목표=358,356,2

(2) 에너지ㆍ자원외교 현황=359,357,2

2) 중국=360,358,1

(1) 에너지ㆍ자원 외교 전략 및 목표=360,358,2

(2) 에너지ㆍ자원외교 현황=361,359,2

(3) 에너지ㆍ자원개발 현황=362,360,2

3) 일본=364,362,1

(1) 에너지ㆍ자원 외교 전략 및 목표=364,362,2

(2) 에너지ㆍ자원외교 현황=365,363,3

(3) 에너지ㆍ자원개발 현황=367,365,2

4) 영국=368,366,1

(1) 에너지ㆍ자원 외교 전략 및 목표=368,366,3

(2) 에너지ㆍ자원 외교 현황=370,368,2

2. 에너지자원 수출국=371,369,1

1) 러시아=371,369,1

(1) 에너지ㆍ자원 외교 전략 및 목표=371,369,2

(2) 에너지ㆍ자원 외교 현황=372,370,1

(3) 에너지ㆍ자원개발 현황=373,371,1

2) 호주=373,371,1

(1) 에너지ㆍ자원 외교 전략 및 목표=373,371,2

(2) 에너지ㆍ자원외교 현황=374,372,2

(3) 에너지ㆍ자원개발 현황=375,373,1

3) 사우디아라비아=376,374,1

(1) 에너지ㆍ자원 외교 전략 및 목표=376,374,1

(2) 에너지ㆍ자원 외교현황=376,374,1

(3) 에너지ㆍ자원개발 현황=377,375,1

IV. 자원 관련 국제 협력 현황=378,376,1

1. 유럽석탄철강공동체(ECSC)=378,376,1

1) 설립배경=378,376,4

2) ECSC의 기구=381,379,3

3) 특징=383,381,3

2. 국제 에너지기구(IEA)=385,383,1

1) 설립배경=385,383,2

2) IEA의 기구=386,384,2

3) 특징=387,385,2

4) IEA의 최근 활동현황=388,386,3

3. 에너지헌장(ECT)=391,389,1

1) 배경=391,389,3

2) 에너지헌장의 기구=393,391,2

3) 특징=394,392,3

4. 동남아국가연합(ASEAN)=396,394,1

1) ASEAN의 에너지 부문 개요=396,394,4

2) ASEAN의 에너지 협력체=399,397,2

5. 동남아국가연합+3(ASEAN+3)=401,399,1

1) 설립 배경=401,399,2

2) ASEAN+3의 에너지 협력 현황=402,400,1

(1) 에너지장관회의=402,400,2

(2) 에너지관련 정부고위관료회의=404,402,1

(3) 에너지정책 운영그룹=405,403,1

6.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405,403,1

1) 설립 배경=405,403,4

2) 기구=408,406,1

3) APEC의 특징=408,406,2

4) APEC의 에너지협력=409,407,2

7. 동북아 에너지협력체=410,408,1

1) 배경=410,408,2

2) 추진현황=411,409,2

3) "동북아에너지협력체" 중점 추진내용=412,410,3

제4부 한국의 자원안보 보장을 위한 자원외교 정책 제언=415,413,2

I. 한국 자원위기의 원인을 짚어본다=417,415,2

1. 한국은 에너지ㆍ자원 고소비 사회=418,416,1

1) 수출지향적 산업의 필연적 측면이 존재한다=418,416,4

2) 한국의 자원씀씀이가 헤퍼지고 있다=421,419,2

3) 에너지산업 구조가 비효율적이다=422,420,2

2. 자원 수급이 불안정하다=423,421,1

1) 자원 수입구조의 불안정성=423,421,1

2) 자원 수입처가 편중이 심하다=423,421,3

3) 1차에너지원의 석유의존도가 심하다=425,423,2

3. 기후변화협약에 대한 대비가 부족하다=426,424,1

1) 부처간의 조정능력 결여 및 업무 간 협조 미흡=426,424,2

2) 이해 당사자의 참여 부족 및 교육홍보가 부족=427,425,2

3) 다각적인 대응노력의 부재=428,426,2

4. 해외자원 개발사업에 있어서 한국의 약점은=429,427,1

1) 경쟁국에 비교해 투자규모가 작다=429,427,2

2) 정부 및 공기업의 지원역량이 부족하다=430,428,2

3) 민간기업의 참여여건이 열악하다=432,430,1

II. 위기 극복을 위한 자원외교 정책을 모색하자=433,431,1

1. 자원외교 정책의 목표와 원칙을 세우자=433,431,1

1) 자원외교의 목표를 분명히 하자 : 한국의 자원수급에 있어서 자주적 안보 보장=433,431,2

2) 자원외교의 원칙은 지속가능한 발전(Sustainable Development)=434,432,3

(1) 경제적 지속가능성의 원칙=436,434,1

(2) 환경적 지속가능성의 원칙=436,434,2

(3)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원칙=437,435,2

2. 자원외교 정책의 기조, 추진해야할 사안별 정책을 말한다=438,436,1

1) 자원외교 정책의 기조는=438,436,1

(1) 지역 자원협력체 추진=438,436,2

(2) 한미 자원협력 원활화=440,438,1

(3) 주요 자원보유국과의 자원협력 관계 강화=440,438,2

(4) 각종 국제기구에의 협력과 영향력 증대 노력=441,439,2

2)/3) 자원외교 사안별 정책을 추진하자=442,440,1

(1) 기후변화협약에의 적절한 대응=442,440,2

(2) 자원 수입 다변화의 지원=443,441,2

(3) 해외자원 개발사업 적극 지원=444,442,2

(4) 남북 자원협력 사업 진행=445,443,1

3. 자원외교 정책의 원활한 수행을 위한 기반을 튼튼히=446,444,1

1) 자원외교 전술적 측면의 제고방안=446,444,1

(1) 정상ㆍ민간외교 등 다양한 외교 채널 구사=446,444,2

(2) 다양한 외교자원 활용 모색=447,445,2

(3) 외교협상능력 고양=448,446,2

2) 자원외교 운용력 측면의 제고방안=449,447,1

(1) 관련정보ㆍ자료의 집적화와 신속화=449,447,2

(2) 전문인력의 확충=450,448,1

(3) 유기적 대응시스템 구축=450,448,3

제5부 보론 및 부록=453,451,2

보론1 : 기후변화협약과 한국=455,453,1

1. 기후변화협약과 전개과정=455,453,1

1) 주요배경=455,453,3

2) 기후변화협약의 내용 및 의무사항=457,455,7

3) 기후변화 관련 국제 연구 체제=463,461,1

(1) WCRP(World Climate Research Programme)=464,462,1

(2) IGBP(International Geoshere Biosphere Programme)=464,462,2

(3) IHDP(International Human Dimensions Programme On Global Eviromental Change)=465,463,1

(4) IPCC(International Panel On Climate Change)=465,463,2

4) 전개 과정 : 기후변화협약 총회 중심으로(1차~7차)=466,464,6

2. 제 8차 당사국 총회=471,469,1

1) 제 8차 당사국 총회 개요=471,469,2

2) 주요 의제=472,470,1

(1) 개발도상국 관련 문제=472,470,3

(2) 청정개발체제(Clean Development Mechanism : CDM) 관련 문제=474,472,3

(3) 레지스트리(Registry), 배출통계(Inventory)=477,475,2

3) 기타 주요한 의제=478,476,1

(1) COP/MOP(Meeting Of the Parties)=478,476,1

(2) 캐나다 및 브라질 제안=478,476,2

(3) 기후변화협약 제 4조 및 9항=479,477,1

(4) 델리 선언=480,478,2

3. 제 9차 당사국 총회=482,480,1

1) 제 9차 당사국 총회 개요=482,480,2

2) 주요 협상 의제=483,481,1

(1) 청정개발체제의 흡수원(Sinks In The CDM)=483,481,2

(2) IPCC의 제 3차 평가보고서(IPCC Third Assessment Report)=484,482,1

(3) 기후변화특별기금(Special Climate Change Fund, SCCF)=484,482,2

(4) 최빈국기금(Least Developed Countries Fund, LDCF)=485,483,1

(5) 협약 2004년~2005년 예산안(Program Budget For 2004~2005)=485,483,1

(6) 비부속서 I국가의 국가보고서(Non-Annex I Communication)=485,483,2

(7) 제 10차 당사국총회 개최지 및 시기(Date And Venue Of COP-10)=486,484,1

4. 제 10차 당사국 총회=486,484,1

1) 제 10차 당사국 총회 개요=486,484,2

2) 주요 협상 의제=487,485,1

(1) 기후변화 완화의 과학적, 기술적 및 사회경제적 측면=487,485,2

(2) LULUCF 활동과 관련된 사안을 위한 관행지침=488,486,2

(3) 청정개발체제하의 소규모 조림 및 재조림 사업활동=489,487,2

(4) 레지스토리 구축 추진 및 국제거래일지(ITL) 구축관련=490,488,2

(5) 기술 개발 및 이전=491,489,2

5. 교토의정서(Kyoto Protocol)=492,490,1

1) 교토의정서의 채택 배경 및 의의=492,490,2

2) 교토의정서의 주요 내용=494,492,3

3) 교토의정서 이행방안 합의 및 주요내용=496,494,2

(1) 교토메카니즘=497,495,3

(2) 온실가스 흡수원(Sinks)=499,497,2

(3) 의무준수체계=500,498,2

(4) 개도국 지원=501,499,2

(5) 정보의 보고 및 평가=502,500,1

4) 교토의정서 이행방안 합의 내용 평가=502,500,3

6. 기후변화협약에 대한 주요국 정부의 대응체제 현황 및 시사점=504,502,1

1) 미국=504,502,1

(1) 미국의 입장 변화=504,502,3

(2) 미국의 기후변화대응체계=506,504,8

(3) 미국 대응체제의 시사점=513,511,1

2) 일본=513,511,1

(1) 일본의 기후변화협약의 대응방향=513,511,2

(2) 일본의 기후변화대응체계=514,512,6

(3) 일본의 대응체제의 시사점=519,517,2

3) EU=521,519,1

(1) EU의 기후변화협의 대응 전략=521,519,2

(2) EU의 기후변화협약 대응 체제=522,520,3

(3) 영국의 대응체제=524,522,3

(4) EU의 기후변화협약의 대응의 시사점=526,524,2

7. 한국 정부의 기후변화협약 대응체제 현황 및 문제점=527,525,1

1) 기후변화협약과 한국의 대응=527,525,1

(1) 기후변화협약의 의무분담에 대한 한국의 기본입장=527,525,2

(2) 한국의 온실가스 배출현황=528,526,3

2) 한국정부의 기후변화협약의 대응체제, 성과 및 문제점=530,528,1

(1) 정부종합대책 추진기구 구성 및 역할=530,528,3

(2)/(3) 대응체제의 문제점=533,531,4

3) 한국의 대응체계의 특성과 문제점=536,534,1

(1) 한국 대응체제의 특성=536,534,2

(2) 한국의 기후협약 대응 과정의 문제점=537,535,4

8. 한국의 기후변화협약의 대응체제 및 방향=540,538,1

1) 대응 방안=540,538,1

(1) 대응 논리 개발=540,538,2

(2)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 변화와 전략적 철학의 확립=541,539,2

2) 통합적인 체제 구상의 필요성=542,540,2

3) 기후변화협약 대응 법률안의 필요성=543,541,2

보론2. 북한 에너지ㆍ자원 협력=545,543,1

1. 북한의 산업 현황과 자원=545,543,1

1) 북한 산업 현황과 소비 자원량=545,543,1

(1) 북한의 산업 현황=545,543,7

(2) 소비자원량=551,549,4

2) 북한경제의 변화=554,552,1

(1) 북한경제의 변화=554,552,4

(2) 최근 북한의 산업별 동향과 무역 현황=557,555,5

2. 북한 광물자원=561,559,1

1) 북한 광업의 개요=561,559,1

(1) 북한 광업의 의미와 역사=561,559,2

(2) 북한 석탄 산업의 동향=562,560,2

(3) 금속 및 비철금속공업 동향=563,561,2

(4) 광물자원 매장량과 경제성=564,562,2

(5) 광종별 주요 부존지역=565,563,4

(6) 광물자원 생산현황=568,566,3

2) 광물자원 교역 현황=570,568,1

(1) 북한 광물자원 대외무역 현황=570,568,3

(2) 주요 광물자원 무역국=572,570,7

3) 남북 광물자원 교류 현황=578,576,1

(1) 남북 교역의 역사=578,576,3

(2) 남북 광산물 반입 추이=580,578,2

(3) 최근 남북 광물자원 교역 실적=581,579,2

4) 남북 광물자원 협력방안=582,580,1

(1) 남북 광물자원 협력의 필요성과 추진여건=582,580,5

(2) 남북 광물자원교역 체계와 실태=586,584,5

(3) 남북 광물자원 협력 추진방안=590,588,11

(4) 남북 광물자원 협력의 문제점과 추진방안=601,599,7

3. 북한의 에너지 자원=607,605,1

1) 북한의 에너지 수급실적 분석=607,605,1

(1) 북한의 일차에너지 수급=607,605,4

(2) 북한의 최종에너지 수급=610,608,8

2) 북한의 에너지정책 분석=617,615,1

(1) 북한 에너지정책의 기조=617,615,4

(2) 북한의 경제개발 단계별 에너지정책의 변천=620,618,9

(3) 북한 에너지 정책의 평가=628,626,3

3) 장단기 남북에너지협력 전략=630,628,2

(1) 남북에너지협력 단기 추진 전략=631,629,7

(2) 중장기 남북에너지협력 추진 전략=637,635,5

4. 대북 에너지 및 자원 협력 현황=641,639,1

1) 남북에너지 협력 핵심 추진 사업=642,640,1

(1) 개성공단 에너지 송전사업=642,640,2

(2) 경수로 사업=643,641,2

2) 대북 송전 계획에 따른 중대 제안=644,642,2

(1) 중대제안 개요=645,643,1

(2) 추진배경=645,643,1

3) 6자회담 결과 및 예상[내용누락;p.645]=645,643,1

부록1. (일본) 에너지정책기본법=646,644,4

부록2. 에너지기본법안=650,648,10

[판권지]=660,658,1

(표1-1-1) 세계 주요 금속 생산과 소비현황=37,35,1

(표1-1-2) BRIC's의 금속 수급동향=37,35,1

(표1-1-3) 주요자원의 부존집중도=39,37,1

(표1-1-4) 세계 주요 자원의 부존량과 가채년수=40,38,1

(표1-1-5) 주요 국영ㆍ민간 석유회사의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율=41,39,1

(표1-1-6) 5대 동기업의 생산추이=41,39,1

(표1-2-1) 자원민족주의의 행동양식=49,47,1

(표1-2-2) 주요 자원 카르텔 현황=51,49,1

(표1-3-1) 교역가능 천연자원의 분야별 주요 품목현황=80,78,1

(표1-3-2) 지역별 석유 및 천연가스 확인 매장량=91,89,1

(표2-1-1) 주요 경제지표 추이=100,98,1

(표2-1-2) 산업별 성장률=101,99,1

(표2-1-3) 최종에너지 연간 소비량 변화 추이=101,99,1

(표2-1-4) 산업별 성장률부문별 최종에너지 소비 추이=102,100,1

(표2-1-5) 에너지원별 소비 추이=103,101,1

(표2-1-6) 에너지수입액 추이=104,102,2

(표2-1-7) 주요 내수 광물 현황=106,104,1

(표2-1-8) 한국의 주요 자원 현황=107,105,1

(표2-1-9) 주요 비에너지 자원 수입 추이=110,108,1

(표2-1-10) CO2 배출량 및 주요지표 추이 전망=114,112,1

(표2-1-11) 한국의 주요 국가별 에너지 수입구조(2000년)=118,116,1

(표2-1-12) 에너지 공급설비 추이=118,116,1

(표2-1-13) 정부의 석유 비축시설 규모 및 비축현황(2002년 4월)=119,117,1

(표2-1-14) 천연가스 인수기지 건설 소요전망=121,119,1

(표2-1-15) 발전소 건설 소요 전망=121,119,1

(표2-1-16) 전력산업 구조개편 단계별 추진계획=126,124,1

(표2-1-17) 단계별 전력시장구조=127,125,1

(표2-1-18) 가스산업 구조개편 단계별 추진계획=128,126,1

(표2-1-19) 단계별 상대가격 조정안(1차 가격구조 개편)=134,132,1

(표2-1-20) 목표 대비 기술개발 투자 실적=137,135,1

(표2-1-21) 중점 개발프로그램 추진계획('01~'04년)=140,138,1

(표2-1-22) 해양에너지 개발 추진계획('01~'10년)=141,139,1

(표2-1-23) 광종별 사업 추진 현황=149,147,1

(표2-1-24) 광종별 투자회수 현황=149,147,1

(표2-1-25) 주요 광종 확보매장량 및 자주개발 현황=149,147,1

(표2-1-26) 8대 광종별 중점 추진과제=150,148,1

(표2-2-1) 주요에너지 총량 지표=154,152,1

(표2-2-2) 에너지소비증가율과 경제성장율 변동추이(단위 : %)=154,152,1

(표2-2-3) 한국 에너지부문 국제 위상=155,153,1

(표2-2-4) 전력수급 실적 및 전망=156,154,1

(표2-2-5) 전력소비 실적 및 계획=156,154,1

(표2-2-6) 최근 10년간 전력수요 증가율=157,155,1

(표2-2-7) 발전용 연료(1차에너지) 투입 구조=157,155,1

(표2-2-8) 석유수급 연간현황=159,157,1

(표2-2-9) 부문별 소비현황=159,157,1

(표2-2-10) 석유제품별 소비현황(에너지유)=160,158,1

(표2-2-11) 석유제품별 생산현황(에너지유)=160,158,1

(표2-2-12) 석유제품별 수출현황=161,159,1

(표2-2-13) 석유제품별 수입현황=161,159,1

(표2-2-14) 석유 수요 전망=162,160,1

(표2-2-15) 월별 등유소비추이(2004년)=162,160,1

(표2-2-16) 천연가스 소비 현황=167,165,1

(표2-2-17) 천연가스 수입현황=168,166,1

(표2-2-18) 천연가스 수요전망=170,168,1

(표2-2-19) LNG 중ㆍ장기 도입계약 현황=170,168,1

(표2-2-20) LNG 국적선 현황=171,169,1

(표2-2-21) 유연탄 수요수입 현황=173,171,1

(표2-2-22) 유연탄의 개발수입 추이=174,172,1

(표2-2-23) 중점추진 석탄청정기술 개요=175,173,1

(표2-2-24) 무연탄 수급 현황=175,173,1

(표2-2-25) 석탄산업에 대한 정부지원 현황=176,174,1

(표2-2-26) 국내 무연탄 가격 및 생산톤당 가격지원 수준 변화추이=177,175,1

(표2-2-27) 유연탄 수요 전망=177,175,1

(표2-2-28) 국내 무연탄 수요 전망=179,177,1

(표2-2-29) 폐광지역진흥지구 개발계획=180,178,1

(표2-2-30) 우라늄 부존 현황=183,181,1

(표2-2-31) 세계 정광 수급 전망=184,182,1

(표2-2-32) 농축 수급 전망=188,186,1

(표2-2-33) 철광석 부존 현황=191,189,1

(표2-2-34) 철광 조업 광산=191,189,1

(표2-2-35) 철광 연도별 수입현황=192,190,1

(표2-2-36) 철광 연도별 수급 현황=192,190,1

(표2-2-37) 철광 연도별 수요 예상=193,191,1

(표2-2-38/2-3-38) 철광석 해외자원 개발사업 중점투자국가=193,191,1

(표2-2-39) 동광 지역별 매장량=195,193,1

(표2-2-40) 동광 정광 수입현황=195,193,1

(표2-2-41) 전기동 수입현황=196,194,1

(표2-2-42) 구리 수급 현황=196,194,1

(표2-2-43) 동광 연도별 수요예상=197,195,1

(표2-2-44) 한국의 동광 개발 전략대상국=197,195,1

(표2-2-45) 남한 아연광 부존현황=198,196,1

(표2-2-46) 남한 아연광 광산 현황=199,197,1

(표2-2-47) 국내 아연 제련 현황=199,197,1

(표2-2-48) 아연광 수입실적=200,198,1

(표2-2-49) 아연광 수급현황=200,198,1

(표2-2-50) 아연광 공급형태별 수급전망=201,199,1

(표2-2-51) 아연광 개발사업 전략대상국=201,199,1

(표2-2-52) 희토류 수입실적=204,202,1

(표2-2-53) 희토류 제품별 국별 수입현황=205,203,1

(표2-2-54) 희토류 광물 전략 대상국=207,205,1

(표2-3-1) 기술의 종류=211,209,1

(표2-3-2) 바이오에너지 기술의 분류=214,212,1

(표2-3-3) 화력발전과 연료전지 방식의 비교=215,213,1

(표2-3-4) OECD국가의 에너지 구성비 변화예측(1993~2010)=218,216,1

(표2-3-5) 주요 선진국(미국, 유럽, 일본) 대체에너지원별 성장률(㎿, %)=218,216,1

(표2-3-6) 선진국의 신ㆍ재생에너지 정책 및 지원제도=219,217,1

(표2-3-7) 분야별 자금지원실적(1988~2004)=221,219,1

(표2-3-8) 연도별 신ㆍ재생에너지 이용현황=222,220,1

(표2-3-9) 신ㆍ재생에너지원별 보급현황(2004)=222,220,1

(표2-3-10) 보급사업 세부내역=223,221,1

(표2-3-11) 지역에너지사업 지원현황('96~2004)=223,221,1

(표2-3-12) 융자지원 실적('83~2004)=224,222,1

(표2-4-1) 기금별 인수ㆍ인계내용(총 5조 3,234억원)=230,228,1

(표2-4-2) 정리자산 세부내역(총 1조 3,405억원)=230,228,1

(표2-4-3) 2005년도 에특회계 세입예산 총괄표=233,231,1

(표2-4-4) 2005년도 에특회계 세출예산 총괄표=234,232,2

(표2-4-5) 2005년도 에특자금 융자조건=236,234,1

(표2-5-1) 해외자원개발 진출현황(2004. 12월말)=242,240,1

(표2-5-2) 해외자원 개발수입실적=243,241,1

(표2-5-3) 해외자원개발 보조금 지원실적=244,242,1

(표2-5-4) 연도별 해외자원개발 융자 지원실적=244,242,1

(표2-5-5) 석유공사 투자소유 재원 충당 계획=248,246,1

(표2-5-6) 광진공 투자소요 재원 조달계획=248,246,1

(표2-5-7) 단기별 추진 목표=250,248,1

(표2-5-8) 단계별 추진목표=251,249,1

(표2-5-9) 단계별 추진계획=252,250,1

(표2-5-10) 광종별 목표 자주개발율=254,252,1

(표2-5-11) 해외자원개발사업법 규정에 따른 해외자원의 범위=258,256,1

(표2-5-12) 석유개발사업 융자기준=263,261,1

(표2-5-13) 해외광물자원개발 융자대상 자금의 종류 및 운영 방법=264,262,1

(표2-5-14) 광진공의 투자여건 조사사업 실적=267,265,1

(표2-5-15) 자원개발협력조사 실적=268,266,1

(표2-5-16) 자원협력위원회 현황=268,266,1

(표3-1-1) 석유자원의 국가별 매장량 현황=274,272,1

(표3-1-2) 천연가스 국가별 매장량=274,272,1

(표3-1-3) 석탄 국가별 매장량=275,273,1

(표3-1-4) 철광석 국가별 매장량=276,274,1

(표3-1-5) 아연 국가별 매장량=276,274,1

(표3-1-6) 구리 국가별 매장량=277,275,1

(표3-1-7) 지역별 에너지 수요=278,276,1

(표3-1-8) 세계 에너지원별 수요=279,277,1

(표3-1-9) 세계 지역 국가별 GDP 평균성장율=280,278,1

(표3-1-10) 지역별 석유생산 비중 추이=282,280,1

(표3-1-11) 세계 석유 매장량 추정=283,281,1

(표3-1-12) 세계 석유의 생산정점 시나리오=284,282,1

(표3-1-13) Campbell의 장기 석유공급량 전망=285,283,1

(표3-1-14) 세계 석유의 궁극가채매장량=286,284,1

(표3-1-15) 주요국의 천연가스 소비 예측=288,286,1

(표3-1-16) 세계 천연가스 확인매장량 현황(2003.1 현재)=289,287,1

(표3-1-17) 천연가스 궁극가채매장량에 대한 추정치 추이=290,288,1

(표3-1-18) 지역별 석탄 생산량=293,291,1

(표3-1-19) 지역별 석탄 매장량=293,291,1

(표3-1-20) UF6 제조 설비사 현황(이미지참조)=294,292,1

(표3-1-21) 국별 우라늄 광 생산량=295,293,1

(표3-1-22) 지역별 우라늄 매장량=296,294,1

(표3-1-23) 세계 철광석 생산 및 소비량=297,295,1

(표3-1-24) 세계 동광석 생산=298,296,1

(표3-1-25) 세계 동(정련) 소비량=299,297,1

(표3-1-26) 세계 아연 광 생산량=300,298,1

(표3-1-27) 세계 아연 슬랩 소비량=301,299,1

(표3-2-1) 미국 국가에너지정책의 주요 특징=306,304,1

(표3-2-2) SPR 기지 및 시설능력=307,305,1

(표3-2-3) 미국 천연가스 생산 및 소비 추이=308,306,1

(표3-2-4) 미국의 석유 하류부문 시설 현황=309,307,1

(표3-2-5) 중국에너지 정책 목표와 발전 방향=311,309,1

(표3-2-6) 중국의 주요 광종 매장 현황=313,311,1

(표3-2-7) 중국 석유수급 현황 및 전망=314,312,1

(표3-2-8) LPG 수급 현황=315,313,1

(표3-2-9) 중국의 발전설비 현황 및 전망('04.12)=316,314,1

(표3-2-10) 중국의 석탄생산량=317,315,1

(표3-2-11) 수입원유의 중동의존도 추이=321,319,1

(표3-2-12) 주요선진국의 석유의존도, 석유수입의존도, 중동의존도('99)=321,319,1

(표3-2-13) 일본의 LNG 수입원(2000년도)=321,319,1

(표3-2-14) 천연가스공급에 있어서의 국산, 수입별(2000년도)=322,320,1

(표3-2-15) 일본의 주요비철금속의 국별, 형태별 수입상황=323,321,1

(표3-2-16) 일본의 전기사업자 종류=324,322,1

(표3-2-17) 석유의존도 추이=325,323,1

(표3-2-18) 1차 에너지 공급 추이 및 전망=325,323,1

(표3-2-19) 1차 에너지 총생산=330,328,1

(표3-2-20) 발전원별 전력공급 실적=334,332,1

(표3-2-21) 주요 에너지 매장량 현황=338,336,1

(표3-2-22) 주요 에너지자원 생산추이=338,336,1

(표3-2-23) 러시아의 석유 수출 추이=340,338,1

(표3-2-24) 러시아의 천연가스 수출추이=340,338,1

(표3-2-25) 송유관 건설 계획(04.12 현재)=341,339,1

(표3-2-26) 러시아 정유시설 지표=342,340,1

(표3-2-27) 러시아 가스산업 지표=343,341,1

(표3-2-28) 연료별 발전량(TWh)=344,342,1

(표3-2-29) 사우디 주요 유전의 매장량=351,349,1

(표3-2-30) 천연가스 매장량=352,350,1

(표3-2-31) 사우디의 주요광종별 매장량=353,351,1

(표3-2-32) 석유 수급 및 정제능력(2004년)=354,352,1

(표3-2-33) 사우디 정제시설 현황=354,352,1

(표3-2-34) 천연가스 수급전망=355,353,1

(표3-2-35) SGI 사업개요=356,354,1

(표3-3-1) 분야별 국가별 양자협력 현황=359,357,1

(표3-3-2) 분야별 다자간 협력 현황=360,358,1

(표3-3-3) 중국의 주요 해외유전개발 진출 현황=363,361,1

(표3-3-4) 러시아 기업 해외 에너지ㆍ자원 개발참여 현황(2005.5월 현재)=373,371,1

(표3-3-5) Saudi Aramco의 해외 투자현황=377,375,1

(표3-4-1) 유럽석탄철강공동체의 주요 내용과 특성=384,382,1

(표3-4-2) IEA 회원국[내용누락;p.390]=390,388,1

(표3-4-3) IEA의 주요 내용과 특성=390,388,1

(표3-4-4) ECT 가입국 미비준 국가 그리고 옵저버(2005. 9기준)=392,390,1

(표3-4-5) 에너지현장의 주요 내용과 특성=395,393,1

(표3-4-6) ASEAN의 에너지 자원=397,395,1

(표3-4-7) ASEAN의 에너지원별 수급 현황(생산ㆍ수요)=398,396,1

(표3-4-8) ASEAN+3 참여국 현황=401,399,1

(표3-4-9) ASEAN+3 에너지장관회의 공동성명서=402,400,2

(표3-4-10) ASEAN+3 산하 주요 협력위원회 및 프로젝트=404,402,1

(표3-4-11) 동북아 에너지협력 추진현황=412,410,1

(표4-1-1) 주요국의 원단위 비교('03)=419,417,1

(표4-1-2) 1인당 에너지 소비량 비교('03)=419,417,1

(표4-1-3) 주요국의 산업별 부가가치 비중('01년)=419,417,1

(표4-1-4) 한국과 일본의 제품별 에너지원단위 비교=420,418,1

(표4-1-5) 철강회사별 제품가격 한ㆍ일 비교=420,418,1

(표4-1-6) 부문별 에너지원단위 분석=421,419,1

(표4-1-7) GDP 1억 달러 증가 당 에너지소비량(석유 만톤으로 환산)=421,419,1

(표4-1-8) 한국의 지역별 원유도입 추이=424,422,1

(표4-1-9) 한국의 국가별 원유 도입순위=424,422,1

(표4-1-10) 1차에너지소비(구성비)=425,423,1

(표4-1-11) 한국의 CO2배출량 추이=428,426,1

(표4-1-12) 한국의 부문별 CO2 배출구조=429,427,1

(표4-1-13) 한ㆍ일 해외유전개발 투자규모 비교=430,428,1

(표4-1-14) 석유공사 대 해외석유회사 비교(유전개발 부문)=431,429,1

(표4-1-15) 대한광업진흥공사와 세계 주요 광업회사의 비교=431,429,1

(표4-2-1) 산업자원부 해외주재관 현황=444,442,1

(표5-1-1) 기후변화협약의 주요내용=459,457,1

(표5-1-2) 기후변화협약의 대상국가 및 의무사항=461,459,1

(표5-1-3) 기후변화협약의 일반의무사항과 특별의무사항 비교=462,460,1

(표5-1-4) 교토의정서의 내용=467,465,1

(표5-1-5) 아르헨티나 의무부담 참여방식=468,466,1

(표5-1-6) 마라카시 합의 의제별 주요 그룹 입장=469,467,1

(표5-1-7)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 진행 경과(1~7차)=470,468,1

(표5-5-1 : 배출권의 종류와 특징)=498,496,1

(표5-5-2 교토메커니즘 핵심 내용)=499,497,1

(표5-5-3 삼림관리(의정서3,4조)에 의한 흡수원 인정한도)=500,498,1

(표5-5-4) 교토의정서와 마라케시 합의에 따른 Annex I 국가의 온실가스 감축필요량 및 배출권가격=504,502,1

(표5-6-1 미국 정부의 기후변화대책 추진 체제)=507,505,1

(표5-6-2) 미국의 기후변화 저감 주요 정책 및 관련 부처=509,507,1

(표5-6-3 국가에너지정책개발그룹의 주요 권고 사항)=512,510,1

(표5-6-4 일본의 기후변화협약 대응체제)=514,512,1

(표5-6-5) 합동심의회 구성=516,514,1

(표5-6-6 환경청 심의회 구성표)=518,516,1

(표5-6-7) EU 15 회원국별 온실가스 배출추이 및 배출 목표=521,519,1

(표5-6-8) ECCP 작업반별 주요 추진 조치=523,521,1

(표5-6-9 영국정부의 기후변화 대응체제)=525,523,1

(표5-7-1 우리나라 온실가스 배출 주요 지표)=529,527,1

(표5-7-2 에너지 부문 온실가스별 전망)=529,527,1

(표5-7-3 기후변화협약 범정부대책기구)=531,529,1

(표6-1-1) 남한과 비교된 북한의 국민소득 추이=546,544,1

(표6-1-2) 북한의 주요 산업 및 GNI 성장률 추이=546,544,1

(표6-1-3) 북한의 산업구조 추이=547,545,1

(표6-1-4) 북한의 공업구조 추이=548,546,1

(표6-1-5) 북한의 재정규모 추이=549,547,1

(표6-1-6) 북한의 구소련ㆍ중국과의 교역 현황=550,548,1

(표6-1-7) 연도별 북한 식량 부족량 및 외부 도입량=551,549,1

(표6-1-8) 북한의 에너지 공급 추이=552,550,1

(표6-1-9) 북한의 주요 원자재 공급 추이=554,552,1

(표6-2-1) 북한의 광물자원 부존현황=564,562,1

(표6-2-2) 금속광물의 주요 광산=566,564,1

(표6-2-3) 비금속광물의 주요 광산[내용누락;p.567]=567,565,1

(표6-2-4) 석탄 유형별 주요 광산=568,566,1

(표6-2-5) 금속광물 생산량=570,568,1

(표6-2-6) 비금속광물 생산량=570,568,1

(표6-2-7) 석탄 생산량=570,568,1

(표6-2-8) 대중 광물 수출 현황=574,572,1

(표6-2-9) 대중 광물 수입 현황=575,573,1

(표6-2-10) 대일 광물 수출 현황=576,574,1

(표6-2-11) 대일 광물 수입현황=576,574,1

(표6-2-12) 대태국 광물 수입현황=577,575,1

(표6-2-13) 대러시아 광물 수입현황=577,575,1

(표6-2-14) 광산물 연도별 반입비중=580,578,1

(표6-2-15) 남한 광물자원 총 반입 교역량=581,579,1

(표6-2-16) 북한의 광산물 수출 비중=588,586,1

(표6-2-17) 남북 광물자원 공동개발 추진현황=590,588,1

(표6-2-18) 남북의 광물자원산업 비교=592,590,1

(표6-2-19) 남북 광물자원 협력 유망 프로젝트=593,591,1

(표6-2-20) 경제적 개발이 유력한 북한의 광물자원=594,592,1

(표6-2-21) 남북 협력 광물자원 선정시 고려사항=595,593,1

(표6-2-22) 광산물 연도별 반입비중=596,594,1

(표6-2-23) 대북 광물사업 투자방식=598,596,1

(표6-2-24) 광물자원부문의 남북간 경제적 상호보완 요소=600,598,1

(표6-2-25) 남북 광물자원 공동개발 7단계 협력추진방안=604,602,1

(표6-3-1) 남북 일차에너지 공급규모 비교=607,605,1

(표6-3-2) 남북 일차에너지 원별 공급구조 비교=608,606,1

(표6-3-3) 북한의 에너지원별 최종에너지 소비구조=611,609,1

(표6-3-4) 북한 산업부문의 에너지 소비구조=612,610,1

(표6-3-5) 북한 수송부문 에너지 소비구조=614,612,1

(표6-3-6) 북한 가정부문 에너지 소비구조=615,613,1

(표6-3-7) 북한 공공기타부문 에너지 소비구조=616,614,1

(표6-3-8) 북한 경제개발계획의 개관=621,619,1

(표6-3-9) 제1차 7개년계획 기간의 에너지부문 성과=622,620,1

(표6-3-10) 북한의 경제개발 단계별 에너지정책 개요=627,625,1

(표6-3-11) KEDO 중유의 북한 에너지수급에서의 비중=632,630,1

(표6-3-12) 우리나라 B-C유 생산 및 수출실적=633,631,1

(그림2-2-1) GDP와 에너지소비(증가율, %)=153,151,1

(그림2-3-1) 태양열 이용기술 구성도=210,208,1

(그림2-3-2) 태양광 발전의 구성도=211,209,1

(그림2-3-3) 폐기물에너지화 기술 구성도=212,210,1

(그림2-3-4) 바이오에너지의 변환시스템=213,211,1

(그림2-3-5) 풍력 발전기의 시스템 구성=214,212,1

(그림2-3-6) 연료전지 방식의 시스템 구성도=215,213,1

(그림2-3-7) 석탄가스화 복합발전기술의 시스템 구성도=216,214,1

(그림2-3-8) 시스템 구성도=217,215,1

(그림2-3-9) 신ㆍ재생에너지 추진체계도(3대 중점분야)=220,218,1

(그림2-4-1) 회계계정 세입ㆍ세출흐름도=231,229,1

(그림4-1-1) 주요국의 부가가치 에너지원단위 및 다소비산업 비중=420,418,1

(그림6-1-1) 북한의 산업구조=557,555,1

(그림6-1-2) 북한의 산업별 성장률=558,556,1

(그림6-2-1) 연도별 남북 교역추이=579,577,1

(그림6-3-1) 북한의 일차에너지 원별 공급구조=609,607,1

(그림6-3-2) 북한 원별 일차에너지 공급량 변화=609,607,1

(그림6-3-3) 북한의 원별 최종에너지 소비구조=611,609,1

(그림6-3-4/6-2-4) 북한 산업부문 원별 에너지소비구조 변화추이=613,611,1

(그림6-3-5) 북한 수송부문 원별 에너지소비구조 변화추이=614,612,1

(그림6-3-6) 북한 가정부문의 원별 에너지 소비구조 변화추이=615,613,1

(그림6-3-7/6-2-7) 북한 공공기타부문 원별 에너지소비구조 변화추이=617,615,1

(그림6-3-1) 북한의 일차에너지 원별 공급구조=609,607,1

(그림6-3-3) 북한의 원별 최종에너지 소비구조=611,609,1

(그림6-3-4/6-2-4) 북한 산업부문 원별 에너지소비구조 변화추이=613,611,1

(그림6-3-5) 북한 수송부문 원별 에너지소비구조 변화추이=614,612,1

(그림6-3-6) 북한 가정부문의 원별 에너지 소비구조 변화추이=615,613,1

(그림6-3-7/6-2-7) 북한 공공기타부문 원별 에너지소비구조 변화추이=617,615,1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108953 337.51 ㄱ792ㄱ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불가
0001108954 337.51 ㄱ792ㄱ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불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