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발간사
일러두기
목차
서론 14
제1장 : 고조선의 요동확보 25
1. 고조선의 국가발전 27
고조선의 성장과 대중국 교류 27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정세 31
2. 고조선과 연의 관계 33
가. 국내외 정세 33
1) 연 세력의 동진 33
2) 선진문물 유입과 전력 강화 35
나. 고조선과 연의 전쟁 38
1) 강온 양면 대응 38
2) 태릉하 전투 39
다. 전략적 평가 43
3. 고조선과 한의 관계 46
가. 국내외 정세 46
1) 한의 세력 확산 46
2) 위씨조선의 성립과 발전 47
나. 고조선과 한의 전쟁 51
1) '입조봉쇄'와 한의 강경대응 51
2) 동부도위 기습 사건 55
3) 패수ㆍ왕검성 전투 58
다. 전략적 평가 73
제2장 : 고구려 영토 확장기 76
1. 고구려의 국가발전 78
개국초기 외세와의 충돌 78
위 세력의 동진 82
군사위기와 군사력 확충 85
낙랑ㆍ대방군 정령 88
2. 광개토왕의 서진정책 91
가. 국내외 정세 91
1) 모용부 세력의 확산 91
2) 전연의 침입과 국가 재건 95
나. 영토확장 전략 104
1) 남방 진출 104
2) 북방으로의 세력확충 107
3) 요동 진출 111
다. 전략적 평가 116
3. 장수왕의 남진정책 119
가. 국내외 정세 119
1) 남북조 시대와 북위의 등장 119
2) 수도이전과 대외정책 변화 121
나. 대중국 정책 강화 125
다. 백제ㆍ신라지역 영토확장 130
라. 전략적 평가 134
제3장 : 고구려 대외전쟁기 137
1. 고구려와 수의 관계 139
가. 국내외 정세 139
1) 중국대륙 정세의 변화 139
2) 대수 정책의 강경화 141
나. 고구려와 수의 전쟁 146
1) 1차 수군 침공시도의 실패 146
2) 2차 고ㆍ수 전쟁 149
3) 3차 고ㆍ수 전쟁 158
4) 4차 고ㆍ수 전쟁 165
다. 전략적 평가 167
2. 고구려와 당의 관계 171
가. 국내외 정세 171
1) 중국대력의 세력 교체 171
2) 고구려의 강경세력 집권 175
나. 고구려와 당의 전쟁 178
1) 당군 침공과 고구려의 대응 178
2) 요동성 전투 180
3) 안시성 전투 183
다. 전략적 평가 188
제4장 : 백제의 국가팽창 193
1. 백제의 국가발전 195
2. 근초고왕의 팽창정책 202
가. 국내외 정세 202
1) 위기에 봉착한 고구려 202
2) 백제의 국력신장과 후방지역 안정 203
나. 고구려와의 전쟁 207
1) 고구려 선제공격 격퇴와 공격기반 조성 207
2) 백제군의 평양성 공격 210
다. 전략적 평가 216
3. 나ㆍ제 동맹군의 고구려 대응 221
가. 국내외 정세 221
1) 고구려의 남진과 평양 천도 221
2) 백제 주변국 환경 악화와 수도이전 223
나. 국가체제의 정비 233
다. 나ㆍ제 동맹군의 한강유역 회복 239
라. 전략적 평가 242
제5장 : 신라의 삼국통일 246
1. 신라의 국가발전 248
성읍국가 신라의 성장 248
중앙집권적 국가체제 구축 251
2. 진흥왕의 팽창정책 255
가. 국내외 정세 255
1) 한강유역의 지배권 변화 255
2) 팽창기반 확충과 대중국 외교 강화 258
나. 영토확장 전략 260
1) 한강유역 기습 점령 260
2) 가야 및 동북지역 진출 264
다. 전략적 평가 266
3. 나ㆍ당군에 의한 백제-고구려 멸망 270
가. 국내외 정세 270
1) 통일중국과 주변국의 정세 270
2) 신라의 대중국 군사외교 강화 273
나. 나ㆍ당군의 백제-고구려 멸망 276
1) 나ㆍ당군의 백제 멸망 276
2) 나ㆍ당군의 고구려 침공 282
3) 나ㆍ당군의 고구려 멸망 285
다. 전략적 평가 287
4. 한반도에서의 당군 축출 292
가. 국내외 정세 292
1) 당의 한반도 지배 야욕 292
2) 신라의 부흥군 지원과 당군 압박 299
나. 당군 축출 전쟁 302
1) 백제 고토 지역 전투 302
2) 고구려 고토 지역 전투 306
다. 전략적 평가 316
제6장 : 통일신라의 안정화 정책 322
1. 국민통합 324
가. 동족의식 확산 324
나. 민족자주의식 성장 326
2. 왕권 강화 329
가. 왕권 강화의 배경 329
나. 통수권의 강화 331
3. 군제 개편 335
가. 중앙군 개편 335
나. 지방군 개편 340
4. 정책 평가 343
결론 349
부록 356
원전자료 358
단행본자료 360
논문자료 368
찾아보기 392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1113826 | 355.00951 ㅅ222ㅎ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1113827 | 355.00951 ㅅ222ㅎ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