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양식대상종 이식기반 연구 / 국립수산과학원 [편] 인기도
발행사항
부산 : 국립수산과학원, 2006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자료실
해당자료 없음
형태사항
498 p. : 삽도, 도표, 사진 ; 29 cm
제어번호
MONO1200628848
주기사항
총괄연구책임자: 박민우
2005년도 국립수산과학원 사업보고서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보고서 요약

요약문

SUMMARY

목차

Contents 11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38

제2장 외래종 도입현황 및 관리방안 41

제3장 양식대상 외래종의 질병진단기술 개발 87

제4장 이식종과 국내유사종과의 유전학적 분석 113

제5장 이식대상종의 생태와 양식기술 142

제6장 외래종 이식기반 조사 타당성 검토 422

표 1-1. 양식대상종 이식기반 연구 세부과제별 수행부서 및 연구원 구성 40

표 2-1. 일본의 어류 이입종(외래종) 43

표 2-2. 일본의 관상용 어류 어류 이입종(외래종) 45

표 2-3. 일본의 무척추동물 어류 이입종(외래종) 49

표 2-4. 중국의 외래어류 도입종 현황 50

표 2-5. 중국에 도입된 외래종의 생산량 54

표 2-6. 대만의 외래종 어류 이식현황 57

표 2-7. 외래생물에 관련된 용어의 정의 63

표 2-8. 우리나라에 도입된 담수어류 67

표 2-9. 우리나라에 양식목적으로 도입된 해산어류 69

표 2-10. 외래어종의 관리방안 85

표 3-1. 이식대상종에 대한 해외 전염성 질병 검색 91

표 3-2. 수집한 Herpesvirus 유전자 92

표 3-3. 바이러스진단용 PCR조건 및 Primer 구성 93

표 3-4. YHV 및 TSV 진단용 primer 및 PCR 조건 102

표 3-5. Taura syndrome virus(TSV) 진단을 위한 primers 104

표 3-6. Taura syndrome virus(TSV) 진단을 위한 RT-PCR 조건 104

표 4-1. 유전적 유연성 분석에 사용된 외래 이식종 및 국내유사종 114

표 4-2. 유전자다양성 분석에 사용된 터봇의 이식지, 시료수 및 이식시기 115

표 4-3. Turbot에서 조사된 primer 염기서열 및 특성 132

표 4-4. 8개의 microsatellite DNA 분석에 의한 4개집단의 대립유전자 빈도 134

표 4-5. 샘플수(N), 대립유전자 수(A), 관찰된 평균이형접합체(Ho), 기대되는 평균이형접합체(He) 및 FIS(이미지참조) values1(Weir and Cockerham, 1984)(이미지참조) 135

표 4-6. 각집단간에서 조사된 FST(이미지참조)(대각선 아래)와 유전적 거리(대각선 위) 136

표 4-7. 흰다리새우 및 유사종에서 조사된 MS Primer 염기서열 및 특성 137

표 4-8. 4종 5집단에서 조사된 microsatellite DNA 대립유전자 빈도 138

표 4-9. 샘플수(N), 대립유전자 수(A), 관찰된 평균이형접합체(Ho), 기대되는 평균이형접합체(He) 및 FIS(이미지참조) values1(Weir and Cockerham, 1984)(이미지참조) 139

표 5-1. 치어의 수온, 사육경과 일수에 따른 일간성장율과 평균체중 159

표 5-2. 어체의 크기와 수온에 따른 사료공급율 161

표 5-3. 산란용 부세어미의 사육환경(2005. 06~2005. 10) 175

표 5-4. 자연산란 유도를 위한 호르몬 주사방법 176

표 5-5. 부세의 산란량 및 수정란의 생존율 178

표 5-6. 부세 수정란의 부화율 178

표 5-7. 부세 수정란의 사육환경 178

표 5-8. 부세 수정란과 유구의 크기 179

표 5-9. 부세의 난발생 과정과 발생형태 변화 182

표 5-10. 부세 자치어(20일령)의 성장과 기관형성 188

표 5-11. 부세의 생체지수 191

표 5-12. 입식 종묘와 가두리 크기 및 양식 밀도 192

표 5-13. 잉어의 생물학적 최소형 201

표 5-14. 잉어의 자연성장(중국, kg) 202

표 5-15. 잉어 품종별 계수ㆍ계측형질 비교 결과 213

표 5-16. 이스라엘잉어 품종별 계수ㆍ계측형질 비교 결과 214

표 5-17. 중국산 및 국산 잉어 주요 계수 계측 형질 비교 결과 216

표 5-18. 잉어 교배품종의 성장도 비교 시험 결과 218

표 5-19. VSNCV의 잉어품종별 병원성 시험 결과 219

표 5-20. 우리나라 잉어 생산현황(최근 5년, 단위; M/T) 219

표 5-21. 잉어 수입 현황(최근 5년, 단위, M/T) 220

표 5-22. 점농어의 크기에 따른 포란수 227

표 5-23. 점농어의 채란 및 부화 결과 228

표 5-24. 점농어 자치어의 성장 및 생존율 230

표 5-25. 자치어의 형태발달 230

표 5-26. LHRH-a 펠렛을 농도에 따라 점농어 친어 복강에 투여하였을 때 난경 변화 236

표 5-27. LHRH-펠렛을 농도에 따른 채란량, 수정률 및 부화량 237

표 5-28. 점농어 종묘생산 현황(국내수정란) 248

표 5-29. 국내에 반입된 점농어 수정란 및 치어량 248

표 5-30. 중국산 점농어치어의 국내이식 현황(2000~2001년) 248

표 5-31. 중국산 점농어 수정란에 의한 종묘생산(2000년) 249

표 5-32. 중국산 점농어 치어수입에 의한 종묘생산(2001) 249

표 5-33. 사료 종류별 및 염분별에 따른 줄농어의 증중량 및 생존율 255

표 5-34. 사료 종류별 및 염분별에 따른 줄농어의 사료 이용율 255

표 5-35. 사육 단계별 사육 마리수, 예상 생존율 및 수확 시의 평균 크기 261

표 5-36. Hybrid striped bass의 사육 적정 범위 및 단백질 요구량 261

표 5-37. 미국과 이스라엘에서의 hybrid striped bass(Morone chrysop×M. saxatilis)의 양식 생산량 263

표 5-38. 터봇의 성장단계별 적정 사육조건 269

표 5-39. 터봇 자어 사육에 적합한 환경 조건과 먹이생물의 공급 시기 272

표 5-40. 터봇의 크기별 수용밀도 273

표 5-41. 터봇 미성어 밀도별 사육시험 최종결과 275

표 5-42. 터봇 미성어 수온별 사육시험 최종결과 276

표 5-43. 터봇의 연도별 양식 생산량 278

표 5-44. 해마의 성장률과 성숙연령 284

표 5-45. 외국산 해마 이식 내역 285

표 5-46. 호주산 인공산 해마 Hippocampus abdominalis의 형태측정 결과 286

표 5-47. 인도네시아 자연산 해마 H. kuda의 형태측정 결과 287

표 5-48. 인도네시아 자연산 해마 H. kuda 자어의 사육 결과 287

표 5-49. 인도네시아 자연산 해마 H. kuda의 출산자어 크기 288

표 5-50. 복해마와 점해마의 먹이와 성장의 관계 289

표 5-51. 해마 양식을 위한 수질기준 289

표 5-52. 수온 25℃에서의 발생 단계별 소요시간 298

표 5-53. 수온 25℃에서의 부화자어의 크기 300

표 5-54. 홍민어 양식시 체장, 체중 대조 302

표 5-55. 홍민어의 산란 및 수정란의 특성 307

표 5-56. 홍민어의 성숙과 산란유도 방법 308

표 5-57. 부화후 먹이 공급표 310

표 5-58. 홍민어의 전 세계 양식생산량 311

표 5-59. 국내 양식현황 조사 자료(2001~2002년) 312

표 5-60. 자연산 채포어에 대한 어체 크기 및 생식소 숙도지수(암컷) 318

표 5-61. 자연산 채포어에 대한 어체 크기 및 생식소 숙도지수(수컷) 319

표 5-62. 자연 채란에 사용된 어미 크기 조성 및 산란 320

표 5-63. 난발생 및 부화에 이르는 시간(수온조건 19.8~21.6℃) 321

표 5-64. 이식 잠재 친어의 크기 327

표 5-65. 순간전 고수온 노출에 대한 내성실험 결과(적응수온 24℃) 328

표 5-66. 순간적 저수온 노출에 대한 내성실험 결과(적응수온 : 17℃) 328

표 5-67. 저염분 노출에 대한 내성실험 결과(적응염분 : 자연해수) 329

표 5-68. 흑점줄전갱이 가식부 비율조사 329

표 5-69. 체성분 조성 330

표 5-70. 구성 아미노산 조성 330

표 5-71. 지방산 조성 331

표 5-72. 3년어의 가온사육 개체 측정 결과 333

표 5-73. 4년어의 실내사육 개체 측정 결과 333

표 5-74. 4년어의 생식소숙도지수(GSI) 조사 결과 334

표 5-75. 일본에서의 흑점줄전갱이 양식 생산량 335

표 5-76. 흰다리새우 암컷의 성숙유도 결과 341

표 5-77. 대하와 흰다리새우의 성숙도 구분기준 343

표 5-78. 성숙어미의 시간대별 먹이공급 기준 343

표 5-79. 안병처리 유무에 따른 흰다리새우 어미의 성숙유도 344

표 5-80. 안병절제 처리방법에 따른 생존률 및 성숙효과 344

표 5-81. 산란유도 및 수정, 부화율 조사결과 348

표 5-82. 유생발달 단계별 생존율 349

표 5-83. 유생단계별 소요시간 350

표 5-84. 1차 중간육성 사육 결과(24일간 사육: 수조 10㎡) 351

표 5-85. 2차 중간육성 사육 결과(39일간 사육: 수조 10㎡) 351

표 5-86. 3차 중간육성 사육 결과(30일간 사육: 수조 18㎡) 352

표 5-87. 흰다리새우 야외수조에서의 중간육성 시험결과 352

표 5-88. 종묘생산 주요과정 및 생물학적 중요처리 353

표 5-89. 대하와 흰다리새우의 양식특성 비교 354

표 5-90. 단백질함량 30~45%를 공급한 새우양식 결과(입식밀도 343마리/평) 358

표 5-91. 단백질함량 30~45%를 공급한 새우양식장의 수질 비교 358

표 5-92. 실내수조내에서의 밀도별 양성 시험결과 359

표 5-93. 밀도별 양성시험의 사육수질 조사결과 359

표 5-94. 흰다리새우와 대하의 노지 양성시험결과 360

표 5-95. 흰다리새우의 염분농도별 성장 및 생존율 361

표 5-96. 국내 무병(SPF) 흰다리새우 이식 및 종묘생산 현황 364

표 5-97. 2005년도 지역별 축제식 양식장의 흰다리새우 생산량 364

표 5-98. 아시아지역의 흰다리새우 이식현황 365

표 5-99. 2003년 아시아국가의 흰다리새우 양식생산량(FAO 통계) 365

표 5-100. 야외 사육지에서의 입식밀도 및 수확횟수에 따른 단위 생산량 367

표 5-101. 사육수비교환방식에 의한 고밀도 실내양성 결과 368

표 5-102. 구이덕조개의 수온별 생존율 381

표 5-103. 수온에 따른 발생단계 및 성장 389

표 5-104. 무지개가리비 인공산란 결과 393

표 5-105. 산란유도자극 방법별에 따른 산란반응 결과 394

표 5-106. 사육밀도별 유생사육 결과 396

표 5-107. 먹이생물 종류별 유생사육 결과 396

표 5-108. 무지개가리비 치패 크기별 해중 사육시험(중간육성) 결과 397

표 5-109. 사육 수층별 치패사육 결과 400

표 5-110. 사육 밀도별 치패사육 결과 401

표 5-111. 먹이조류별 치패사육 결과 404

표 5-112. 진주조개 월동 해역별 생존율(%) 414

표 5-113. 진주조개 월동 기간 중 성장 414

표 5-114. 진주조개 양성 기간 중 성장 416

표 5-115. 진주조개 종묘의 월동, 양성기간의 생존율 416

그림 1-1. 양식대상종 개발을 위한 외래종의 이식기반 연구 추진체계 39

그림 2-1. 나일틸라피아 70

그림 2-2. 초어 71

그림 2-3. 백련어 72

그림 2-4. 대두어 73

그림 2-5. 이스라엘잉어 74

그림 2-6. 떡붕어 75

그림 2-7. 큰입우럭 76

그림 2-8. 작은입우럭 77

그림 2-9. 파랑볼우럭 78

그림 2-10. 붕메기 80

그림 2-11. 무지개송어 81

그림 2-12. 은연어 82

그림 2-13. 큰민어 83

그림 3-1. 버나바이러스를 검출하기 위해 Primer를 이용하여 PCR 산물을 아가로즈겔에 전기영동(lane M: 100bp size maker, lane 1: negative control, lane 2: 세포 배양 한 버나바이러스, lane 3: 시료) 94

그림 3-2. 이리도바이러스를 검출하기 위해 Primer를 이용하여 PCR 산물을 아가로즈겔에 전기영동(lane M: 100 bp size marker, lane 1: 세포배양 한 이리도바이러스, lane 2: 시료 1, lane 3: 시료 2) 95

그림 3-3. 림포시스티스바이러스를 검출하기 위해 Primer를 이용하여 PCR 산물을 아가로즈겔에 전기영동(lane M: 100 bp size marker, lane 1: 넙치 종양에서 순수 분리되어진 림포시스티스바이러스 입자, lane 2: 넙치에서 분리한 림포시스티스 조직, lane 3: 점농어에서 분리한 림포시스티스 조직) 95

그림 3-4. 잉어 봄바이러스를 검출하기 위해 Primer를 이용하여 PCR 산물을 아가로즈겔에 전기영동( lane 1: 세포배양 한 잉어봄바이러스, lane 2: 잉어봄바이러스에 인위 감염된 조직, lane M: 100 bp size marker) 96

그림 3-5. 노다바이러스를 검출하기 위해 Primer를 이용하여 1차 PCR 산물을 아가로즈겔에 전기영동(lane M: 100 bp size marker, lane 1: 정상 능성어 뇌 조직, lane 2: 노다바이러스에 감염된 능성어 뇌조직, lane 3: 정상 점농어 뇌 조직, lane 4: 노다바이러스 감염된 능성어 조직을 점농어에 인위 감염시킨 후 점농어 뇌 조직) 96

그림 3-6. 노다바이러스를 검출하기 위해 Primer를 이용하여 2차 PCR 산물을 아가로즈겔에 전기영동(lane M: 100 bp size marker, lane 1: 노다바이러스에 감염된 능성어 뇌조직, lane 2: 노다바이러스 감염된 능성어 조직을 점농어에 인위 감염시킨 후 점농어 뇌 조직) 97

그림 3-7. Viral haemorrhagic septicemia virus 진단을 위한 PCR 결과(lane 1. 445 bp, VHS hedadam; lane 2. 444 bp, VHS DK-359213; lane 3. 441 bp, VHS pSHVG1; lane M. 100 bp ladder molecular size marker) 97

그림 3-8. Hirame Rhabdovirus 진단을 위한 PCR 결과(lane M. 100 bp ladder molecular size marker, lane 1. HRV, 533 bp) 98

그림 3-9. 이리도바이러스 DNA polymerase 유전자와 참돔 이리도바이러스 DNA polymerase 유전자의 비교 99

그림 3-10. Viral haemorrhagic septicemia virus의 유전적 상동성 비교 100

그림 3-11. Hirame Rhabdovirus의 유전적 상동성 비교 101

그림 3-12. TSV PCR 산물의 염기서열 비교 분석 103

그림 3-13. YHV PCR 산물의 염기서열 비교 분석 103

그림 3-14. 흰다리새우, Penaeus vannamei에서 검출된 TSV VPI의 염기서열 104

그림 3-15. 국내 흰다리새우에서 검출된 TSV VPI의 유전적 상동성 비교 105

그림 3-16. Herpesvirus (KHV) PCR 결과 및 염기서열 106

그림 3-17. 잉어에서 분리한 허피스바이러스의 유전자 상동성 107

그림 4-1. 터봇과 국내 유사종간의 RAPD-PCR 패턴 119

그림 4-2. UPGMA 방법에 의한 터봇과 국내 유사종간의 유전적 유연성 dendrogram 119

그림 4-3. 줄농어와 국내 유사종간의 RAPD-PCR 패턴 120

그림 4-4. UPGMA 방법에 의한 줄농어와 국내 유사종간의 유전적 유연성 dendrogram. 120

그림 4-5. 홍민어와 국내 유사종간의 RAPD-PCR 패턴. 121

그림 4-6. UPGMA 방법에 의한 홍민어와 국내 유사종간의 유전적 유연성 dendrogram 121

그림 4-7. 무지개가리비와 국내 유사종간의 RAPD-PCR 패턴 122

그림 4-8. UPGMA 방법에 의한 무지개가리비와 국내 유사종간의 유전적 유연성 dendrogram 122

그림 4-9. 흑점줄전갱이와 국내 유사종간의 RAPD-PCR 패턴 123

그림 4-10. UPGMA 방법에 의한 흑점줄전갱이(E)와 국내 윤사종간의 유전적 유연성 dendrogram Pd, 흑점줄전갱이; Cp, 새가라지; Tj, 전갱이 123

그림 4-11. 흰다리새우와 국내 유사종간의 RAPD-PCR 패턴 124

그림 4-12. Similarity matrix를 근거로 하여 UPGMA 방법에 의한 흰다리새우와 국내 유사 종간의 유전적 유연성 dendrogram 124

그림 4-13. control 영역을 증폭하기 위한 적정 Primer 선정 126

그림 4-14. PCR 반응 조건(온도)에 따른 control 영역 유전자의 증폭여부 확인 126

그림 4-15. 부세와 유사종간에서 조사된 미토콘드리아 DNA control 영역의 염기서열 128

그림 4-16. D-looP 영역의 염기서열에 의해 작성된 유전적 유연관계 129

그림 4-17. PCR 반응 조건에 따른 유전자 증폭 129

그림 4-18. 미토콘드리아 DNA control 영역의 염기서열 비교 131

그림 4-19. 유전적 유사도를 근거로 하여 작성된 dendrogram 132

그림 4-20. 터봇 4 집단간의 유전적 유연성(Nei's) bootstrap(1000) 137

그림 5-1. 대서양연어 142

그림 5-2. New England에 있어 연어가 소상한 강 143

그림 5-3. 대서양연어의 담수와 해양에서의 생활사 145

그림 5-4. 미국 기원 대서양연어의 해양에 있어 회유경로 148

그림 5-5. 대서양연어의 발안난 150

그림 5-6. 대서양연어의 Alevin 150

그림 5-7. 대서양연어의 Fry 151

그림 5-8. 대서양연어의 Parr 151

그림 5-9. 대서양연어의 Smolt 152

그림 5-10. 해양 생활 기간의 회유경로 152

그림 5-11. 대서양연어의 자연산란 광경 153

그림 5-12. Smolt의 해수사육 후 성장 결과 160

그림 5-13. Feeding intensity와 사료계수, 체중간의 관계 161

그림 5-14. 연도별 전 세계 연어 양식 생산량 163

그림 5-15. Maine의 가두리 양식장과 담수부화장의 위치 165

그림 5-16. 부세 172

그림 5-17. 부세의 외부 형태 173

그림 5-18. 산란용 어미의 전장 변화 176

그림 5-19. 산란용 어미의 체중 변화 176

그림 5-20. 성숙단계의 부세(♀) 176

그림 5-21. 성숙단계의 부세(♂) 176

그림 5-22. 산란유도를 위한 호르몬 주사 177

그림 5-23. 수정란 수집 시설 177

그림 5-24. 수정란 177

그림 5-25. 수면 부상중인 수정란 177

그림 5-26. 부세 사란(死卵) 177

그림 5-27. 부세 수정란과 유구의 크기 179

그림 5-28. 부세 수정란의 발생과정 181

그림 5-29. 부세 수정란의 염분도별 부화율 184

그림 5-30. 부세 수정란의 수온별 부화율 184

그림 5-31. 부세의 자치어 발달과정(A. 1일 B. 2일 C. 3일 E. 7일 F. 12일 G. 18일 H. 22일 I. 30일) 188

그림 5-32. 부세의 길이성장 189

그림 5-33. 부세의 체중 변화 189

그림 5-34. 비만도 변화 190

그림 5-35. 간중량 지수 변화 190

그림 5-36. 성성숙 지수 변화 190

그림 5-37. 내장 중량지수 변화 190

그림 5-38. 잉어 197

그림 5-39. 향어 197

그림 5-40. 잉어의 산란행위 202

그림 5-41. 잉어의 인공수정과 점액질 제거 과정 개략도 205

그림 5-42. 종묘 운반용 비닐백 206

그림 5-43. Xinguo red carp 209

그림 5-44. 중국의 건리(Jian carp) 210

그림 5-45. 잉어 계측형질 조사 부위 211

그림 5-46. 잉어 품종 비교 결과 212

그림 5-47. 품종별 수염길이 비교 213

그림 5-48. 품종별 등지느러미기점거리 비교 213

그림 5-49. 품종별 뒷지느러미기점거리 비교 213

그림 5-50. 품종별 체고/체장의 비교 213

그림 5-51. 잉어 계통간 교배군의 URP 3, 4, 10을 이용한 PCR product의 전기영동상 217

그림 5-52. 잉어 계통간 교배군의 UPGMA cluster에 의한 유사도. HH는 중국산 황하 교배군, KK는 국산 잉어 교배군, HK는 황하♀×국산♂ 교배군, KH 국산♀×황하♂ 교배군 217

그림 5-53. 점농어 224

그림 5-54. 사육기간 동안의 먹이계열 229

그림 5-55. 점농어 성성숙에 관련된 수온과 일장 232

그림 5-56. 점농어의 월별 생식소 중량지수의 변화 233

그림 5-57. 점농어의 월별 간 중량지수의 변화 233

그림 5-58. 점농어 암컷의 연중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변화 235

그림 5-59. 점농어 숫컷의 연중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변화 235

그림 5-60. 남방산 및 북방산 점농어 전장의 월별 성장 238

그림 5-61. 남방산 및 북방산 점농어 체고의 월별 성장 238

그림 5-62. 남방산 및 북방산 점농어 체중의 월별 성장 239

그림 5-63. 수온에 따른 점농어 치어의 전장 성장 241

그림 5-64. 수온에 따른 점농어 치어의 체고 성장 241

그림 5-65. 수온에 따른 점농어 치어의 체중 성장 241

그림 5-66. 수온에 따른 점농어 치어의 생존율 변화 242

그림 5-67. 염분에 따른 점농어 치어의 전장 성장 242

그림 5-68. 염분에 따른 점농어 치어의 체고 성장 242

그림 5-69. 염분에 따른 점농어 치어의 체중 성장 243

그림 5-70. 염분에 따른 점농어 치어의 생존율 변화 243

그림 5-71. 밀도에 따른 점농어 치어의 전장 성장 244

그림 5-72. 밀도에 따른 점농어 치어의 체고 성장 244

그림 5-73. 밀도에 따른 점농어 치어의 체중 성장 245

그림 5-74. 밀도에 따른 점농어 치어의 생존율 변화 245

그림 5-75. 줄농어 252

그림 5-76. 터봇 267

그림 5-77. 터봇의 초기 발생과정 270

그림 5-78. 육상수조식 양식장에서 사육한 터봇의 성장 274

그림 5-79. 터봇 미성어 밀도별 사육시험기간 생존율의 변화 275

그림 5-80. 터봇 미성어 수온별 사육시험기간 생존율의 변화 276

그림 5-81. 해마 280

그림 5-82. 해마의 수컷(A)과 암컷(B) 280

그림 5-83. 홍민어 293

그림 5-84. 홍민어의 난발생과정 299

그림 5-85. 홍민어의 부화 후 8주간의 성장 결과(수온 25℃) 302

그림 5-86. 홍민어 치어의 수온별 성장 302

그림 5-87. 흑점줄전갱이 315

그림 5-88. 흑점줄전갱이의 난발생 322

그림 5-89. 흑점줄전갱이의 자치어 형태 발달 323

그림 5-90. 흑점줄전갱이의 먹이계열 324

그림 5-91. 흑점줄전갱이 체장 및 체중 변화 325

그림 5-92. 흑점줄전갱이 가랑이 체장과 체고의 상관관계 327

그림 5-93. 흑점줄전갱이 가랑이 체장과 체중의 상관관계 327

그림 5-94. 흑점줄전갱이 인공산 치어의 월별 성장 332

그림 5-95. 흰다리새우 338

그림 5-96. 성숙한 흰다리새우 암컷 343

그림 5-97. 흰다리새우의 교미행동(Yano et al 1998) 345

그림 5-98. 암컷의 생식기에 수컷의 정포가 부착되어 교미가 유도된 상태 346

그림 5-99. 흰다리새우의 산란수조 및 수정난 수거장치 347

그림 5-100. 서해안 새우양식장의 수온변화 355

그림 5-101. 흰다리새우의 PCR 검사결과 359

그림 5-102. 흰다리새우와 대하의 혼합사육에 대한 생존율 변화 361

그림 5-103. 구이덕조개 373

그림 5-104. 구이덕조개 어미 374

그림 5-105. 구이덕조개 전중(1,772g) 374

그림 5-106. 구이덕조개 생식소 374

그림 5-107. 수관부 및 외투막 374

그림 5-108. 구이덕조개 모패 관리 376

그림 5-109. 구이덕조개 유생사육 378

그림 5-110. 구이덕조개 치패 사육 378

그림 5-111. 먹이생물 배양 379

그림 5-112. 구이덕조개 치패 중간육성 보호망 380

그림 5-113. 구이덕조개 치패 380

그림 5-114. 각장에 따른 전중과 육중의 상대성장 381

그림 5-115. 실내사육 구이덕조개 치패의 각장 성장 382

그림 5-116. 무지개가리비 384

그림 5-117. 연체부 중량지수 및 생식소 중량지수 월별 변화 387

그림 5-118. 난소 및 정소의 조직학적 관찰 387

그림 5-119. 수온에 따른 무지개가리비 알의 부화시간 389

그림 5-120. 무지개가리비 발생 및 성장 390

그림 5-121. 무지개가리비의 성장도 391

그림 5-122. 무지개가리비 어미 실내 성숙 수조 392

그림 5-123. 무지개가리비 산란유발 자극 모형도 392

그림 5-124. 유생 사육수조(2톤 수조) 394

그림 5-125. 유생 사육수조(500 L수조) 394

그림 5-126. 무지개가리비 유생성장에 따른 먹이공급 395

그림 5-127. 유생사육 시 환수율과 생존율의 관계 395

그림 5-128. 중간육성을 위한 치패망 397

그림 5-129. 중간육성 후 양성을 위한 치패 397

그림 5-130. 치패 중간 육성시 선별시기 398

그림 5-131. 양성준비를 위한 치패 선별 399

그림 5-132. 양성장 및 양성시설 399

그림 5-133. 남제주 및 북제주 연안에서의 수심별 치패사육 각장 성장 400

그림 5-134. 이식종묘의 각장 성장(남제주, 북제주 연안) 400

그림 5-135. 저수온 내성 실험결과 402

그림 5-136. 고수온 내성 실험결과 402

그림 5-137. 무지개가리비의 수온별 염분 내성 403

그림 5-138. 무지개가리비 패각을 이용한 시공예품 405

그림 5-139. 진주조개 407

그림 5-140. 흑엽조개(Pinctada maxima) 408

그림 5-141. 백엽조개(Pinctada margaritifera) 408

그림 5-142. 진주조개 유생의 성장 411

그림 5-143. 진주조개 채묘 광경 412

그림 5-144. 진주조개 부착치패 412

그림 5-145. 진주조개 월동 해역별 수온 414

그림 5-146. 진주양식어장 전경 415

그림 5-147. 진주 삽핵 광경 418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