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재번역에 대한 변명

일러두기

해설

卷一 內篇(내편)

제1장 逍遙遊(소요유)

제2장 齊物論(제물론)

제3장 養生主(양생주)

제4장 人間世(인간세)

卷二 內篇(내편)

제5장 德充符(덕충부)

제6장 大宗師(대종사)

제7장 應帝王(응제왕)

卷三 外篇(외편)

제8장 騈拇(변무)

제9장 馬蹄(마제)

제10장 ??(거협)

제11장 在宥(재유)

제12장 天地(천지)

卷四 外篇(외편)

제13장 天道(천도)

제14장 天運(천운)

제15장 刻意(각의)

제16장 繕性(선성)

제17장 秋水(추수)

卷五 外篇(외편)

제18장 至樂(지락)

제19장 達生(달생)

제20장 山木(산목)

제21장 田子方(전자방)

卷六 外篇·雜篇(외편·잡편)

제22장 知北遊(지북유)

제23장 庚桑楚(경상초)

제24장 徐无鬼(서무귀)

卷七 雜篇(잡편)

제25장 則陽(칙양)

제26장 外物(외물)

제27장 寓言(우언)

卷八 雜篇(잡편)

제28장 讓王(양왕)

재29장 盜?(도척)

제30장 說劍(설검)

제31장 漁父(어부)

제32장 列禦寇(열어구)

제33장 天下(천하)

발문1_ 운율이 담긴 문체로 읽는 반어와 풍자, 풍자와 역설의 재미

발문2_ 묵점 선생의 고전강좌

찾아보기

이용현황보기

장자 : 왜곡과 오역을 걷어낸 동양고전 재번역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182376 181.245 ㄱ488ㅈ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190586 181.245 ㄱ488ㅈ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190587 181.245 ㄱ488ㅈ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그러나 <장자>에 담긴 내용은 가벼운 골계전이 아니다. 오히려 무겁고 깊고 통절하다. 그것을 아이러니한 패러디로 극화한 것뿐이다. 그러므로 <장자>는 철학서가 아니라 문학서라 해도 무방하다. 그런 까닭에 <장자>를 읽고 재미가 없다면 장자의 의도는 실패한 것이다. 그리고 번역된 <장자>를 읽고 재미를 느끼지 못한다면 그건 장자의 책임이 아니라 옮긴이의 책임이다.

그러나 나는 맛깔스런 글재주가 없어 자신이 없다. 특히 원문에 구애되어 우리말을 살리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 그렇지만 영문식의 글쓰기에서 탈출해 보려는 문학도에게 한문식의 간결한 글쓰기는 약이 될 것이다. 다만 한문 문체에 낯선 독자들은 부득이 잡곡밥을 오래 씹듯이 천착하는 수고가 요구된다. 수고 없는 공부는 없다. - '재번역에 대한 변명'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