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국방규격 체계정립 및 국제규격 수준화 / 국방기술품질원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국방기술품질원, 2006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형태사항
xvii, 414 p. : 삽화, 도표 ; 30 cm
제어번호
MONO1200712337
주기사항
"민ㆍ군규격통일화사업"의 과제임
주관연구기관: 국방대학교
연구책임자: 최석철, 김철환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요약문

SUMMARY

목차

제1부 : 국내ㆍ외 규격/표준 동향 조사 20

목차 21

제1장 서론 23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23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24

제2장 규격/표준 및 표준화에 관한 일반적 고찰 26

제1절 규격/표준 26

제2절 표준화 38

제3장 국제 및 국외 규격/표준 동향 53

제1절 국제 표준화 53

제2절 미국 국가 표준화 56

제3절 캐나다 국가 표준화 66

제4절 독일 국가 표준화 69

제5절 프랑스 국가 표준화 72

제6절 일본 국가 표준화 73

제4장 국내 규격/표준 동향 75

제1절 국가 및 민간 규격/표준 현황 75

제2절 한국 산업규격 현황 78

제3절 국제 표준화 참여 현황 83

제5장 국외 국방 규격/표준 동향 86

제1절 미국 국방 규격/표준 86

제2절 영국 국방 규격/표준 109

제3절 호주 국방 규격/표준 112

제4절 캐나다 국방 규격/표준 113

제5절 나토(NATO) 국방 규격/표준 114

제6장 국내 국방 규격/표준 현황 및 분석 129

제1절 국방 표준화 업무체계 분석 129

제2절 국방 규격/표준 현황 및 분석 135

제7장 국내ㆍ외 규격/표준 조사분석 결과 및 국방 표준화 발전방안 138

제1절 국내ㆍ외 규격/표준 조사분석 결과 138

제2절 국방 표준화 발전방안 139

제8장 국방 표준화 정책 로드맵 수립 141

제1절 국방 표준화 정책 로드맵에 대한 일반적 고찰 141

제2절 국내 국방 표준화 정책 현실태 및 발전방안 144

제3절 국방 표준화 정책 로드맵 수립 155

제9장 결론 168

참고문헌 170

제2부 : 성능형 규격 실태분석 및 전환사례 172

목차 173

제1장 서론 175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75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176

제2장 성능형 규격에 대한 일반적 고찰 177

제1절 성능형 규격의 필요성 177

제2절 성능형 규격 178

제3장 주요국 성능형 규격 활용 동향 분석 182

제1절 미국 성능형 규격 활용 동향 182

제2절 기타 국가의 성능형 규격 활용 동향 191

제3절 시사점 197

제4장 성능형 규격 발전 방안 199

제1절 성능형 규격 현황 및 분석 199

제2절 성능형 규격 작성/활용의 현실태 203

제3절 성능형 규격 발전방안 207

제5장 성능형 규격 전환 방안 216

제1절 성능형 규격 전환 형태 216

제2절 성능형 규격 전환 절차 218

제6장 성능형 규격 전환 사례 222

제1절 전환대상 분류 단계 222

제2절 시장조사 단계 223

제3절 전환결정 단계 225

제4절 전환실시 단계 226

제5절 기대효과 232

제7장 결론 233

참고문헌 235

제3부: 통신전자 부품단종 실태조사 및 사례분석 237

목차 238

제1장 서론 239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239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241

제2장 부품단종에 대한 일반적 고찰 242

제1절 부품단종 개요 242

제2절 부품단종시 관리절차 247

제3절 부품단종시 관리방법 248

제4절 부품단종 사전 관리방법 264

제3장 미국 부품단종 관리 동향 분석 269

제1절 부품단종에 대한 인식 변화 269

제2절 부품단종 관련 규정 및 지침 271

제3절 부품단종 관련 전담 조직 편성 및 운영 273

제4절 부품단종 관리 사례 275

제5절 시사점 280

제4장 국내 통신전자 부품단종 및 관리실태 분석 282

제1절 통신전자 부품단종 실태 분석 282

제2절 통신전자 부품단종 관리실태 분석 291

제3절 시사점 298

제5장 결론 300

참고문헌 303

부록 304

부록목차 305

부록 1. 국방 표준화 정책 로드맵 306

부록 2. 국방규격 제정 현황(정식규격 : 2003~2005 ) 308

부록 3. 성능형 규격 전환(안) 319

부록 4. 무기체계 통신전자장비 단종부품 목록 334

부록 5. 미국 국방 표준화 정보체계(ASSIST) 365

부록 6. 미국의 성과기반군수(Performance-Based Logistics) 372

부록 7. 영국 국방 표준화 393

부록 8. 약어 정리 426

〈표 1-1〉 사실상표준과 공적표준의 차이점 30

〈표 1-2〉 주요 국가 및 기구의 민간표준 활성화 주요 전략 54

〈표 1-3〉 미국의 주요 SDO 현황 60

〈표 1-4〉 정부규격 보유현황 77

〈표 1-5〉 한국산업규격의 분류 및 현황 79

〈표 1-6〉 한국산업규격의 국제규격 부합화 현황 81

〈표 1-7〉 부처별 정부규격 통일화 추진현황 82

〈표 1-8〉 국제표준화기구 기술위원회 참여 현황 및 목표 85

〈표 1-9〉 미 군사규격/표준 현황 103

〈표 1-10〉 활성(Active)규격 분류 103

〈표 1-11〉 미국의 성능형 규격 현황(active) 104

〈표 1-12〉 영국 획득단계별 표준화 업무 111

〈표 1-13〉 국방 규격/표준 관리체계 변화 129

〈표 1-14〉 표준화 업무 분장 130

〈표 1-15〉 국방 규격/표준 작성기관 변화 134

〈표 1-16〉 국방규격(정식) 제정현황 136

〈표 1-17〉 국방규격 연도별/기관별 현황 136

〈표 1-18〉 표준화 관련 법/규정/지침 147

〈표 1-19〉 국방분야 표준화 관련 기구 150

〈표 1-20〉 국방분야 표준화 관련 정보체계 153

〈표 2-1〉 상세형 규격과 성능형 규격의 비교 179

〈표 2-2〉 상세형 규격과 성능형 규격 각 항목별 비교 180

〈표 2-3〉 성능형 규격제정 현황 200

〈표 2-4〉 규격 제정 현황 분류 202

〈표 2-5〉 성능형 규격 작성 방법 221

〈표 2-6〉 전환대상 분류 222

〈표 2-7〉 K1용 배기조절 밸브(전환사례 제시용) 223

〈표 2-8〉 시장조사 목적 및 방법 223

〈표 2-9〉 시장조사 내용 224

〈표 2-10〉 전환 결정을 위한 분석자료 225

〈표 2-11〉 국방규격서 수정내용 227

〈표 2-12〉 도면 수정내용 231

〈표 3-1〉 미국의 각 분야별 시장점유율 245

〈표 3-2〉 F³I 방법으로 설계시 고려사항 250

〈표 3-3〉 부품단종 관련 각종 규정 및 지침 272

〈표 3-4〉 F-4 전투기의 부품단종 현황 280

〈표 3-5〉 구성품 A의 부품단종 현황 283

〈표 3-6〉 구성품 B의 부품단종 현황 283

〈표 3-7〉 구성품 C의 부품단종 현황 284

〈표 3-8〉 구성품 D의 부품단종 현황 284

〈표 3-9〉 구성품 E의 부품단종 현황 285

〈표 3-10〉 구성품 F의 부품단종 현황 285

〈표 3-11〉 구성품 G의 부품단종 현황 286

〈표 3-12〉 구성품 H의 부품단종 현황 286

〈표 3-13〉 구성품 I의 부품단종 현황 287

〈표 3-14〉 구성품 J의 부품단종 현황 287

〈표 3-15〉 구성품 K의 부품단종 현황 288

〈표 3-16〉 국내/외 수입원별 단종 발생 현황 289

〈표 3-17〉 부품단종별 현황 290

〈그림 1-1〉 표준의 분류 29

〈그림 1-2〉 제정주체에 따른 표준의 분류 34

〈그림 1-3〉 산업 환경의 변화에 따른 표준의 역할 변화 36

〈그림 1-4〉 표준화 구조(공간) 39

〈그림 1-5〉 미국 표준화 기관 체계도 57

〈그림 1-6〉 ANSI 조직 구성 58

〈그림 1-7〉 미국 표준 개발 시스템 흐름도 62

〈그림 1-8〉 ANS 제정 절차 흐름도 63

〈그림 1-9〉 국가표준의 구조 및 운영체계 75

〈그림 1-10〉 10대 신성장 동력산업 분야 국제표준 현황 84

〈그림 1-11〉 미국 국방 표준화 88

〈그림 1-12〉 미국 국방환경의 변화 89

〈그림 1-13〉 미국 국방 표준화 프로그램 92

〈그림 1-14〉 미국 국방 표준화 프로그램 관리 구조 97

〈그림 1-15〉 규격 및 표준 하부조직 105

〈그림 1-16〉 DSP 관리구조 및 합동 표준화 위원회 106

〈그림 1-17〉 나토 표준화 조직 118

〈그림 1-18〉 나토 표준화국 119

〈그림 1-19〉 NSA 부서와 MCSBs 간의 관계 121

〈그림 1-20〉 국가 무기이사회 협의회 하부구조 122

〈그림 1-21〉 연도별 국방규격 보유현황 137

〈그림 1-22〉 국방 표준화 정책 로드맵 대상 항목 156

〈그림 1-23〉 국방 표준화 관련 정책 158

〈그림 1-24〉 국방 표준화 관련 법/규정 160

〈그림 1-25〉 국방 표준화 관련 조직/인력 161

〈그림 1-26〉 국방 표준화 관련 교육훈련 163

〈그림 1-27〉 국방 표준화 관련 정보체계 165

〈그림 1-28〉 기타 분야 166

〈그림 2-1〉 사용자 요구조건에서 시스템 규격으로의 발전 195

〈그림 2-2〉 FPS 요구조건 개발(OCD와 TCD/TEMP로 부터의 전환) 196

〈그림 2-3〉 군수지원에 영향이 적은 품목의 전환 형태 216

〈그림 2-4〉 하위 구성품에 대한 계약자의 군수지원이 가능한 품목의 전환 형태 217

〈그림 2-5〉 하위 구성품에 대한 군수지원 유지가 필요한 품목의 전환 형태 218

〈그림 2-6〉 성능형 규격 전환 절차 218

〈그림 3-1〉 CPU 속도의 발전추세 243

〈그림 3-2〉 디지털 소자의 인가전압 변화 추이 243

〈그림 3-3〉 무기체계의 수명주기 연장 245

〈그림 3-4〉 상용전자체계와 군용전자체계의 수명주기 상이 246

〈그림 3-5〉 부품단종시 관리절차 247

〈그림 3-6〉 부품단종 사후 관리방법 249

〈그림 3-7〉 부품단종 사전 관리방법 264

〈그림 3-8〉 개방형 시스템 설계 266

〈그림 3-9〉 미국의 부품단종 관리 전담조직 273

〈그림 3-10〉 구성품별 단종률 현황 282

〈그림 3-11〉 부품별 단종 현황 288

〈그림 3-12〉 A업체의 단종 관리 체계 296

〈그림 3-13〉 B업체의 EIA-724모델에 근거한 사전 관리체계 구축 및 적용 297

〈그림 3-14〉 업체의 부품단종 관리 방법 299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T000017761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이용불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