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지표수 수문성분 해석시스템 개발 / 과학기술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과천] : 과학기술부, 2007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형태사항
xxxvii, 384 p. : 삽화, 도표, 사진 ; 30 cm
제어번호
MONO1200715934
주기사항
"21세기 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개발 사업"의 세부과제임
주관연구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관연구책임자: 김남원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보고서 초록

요약문

SUMMARY

CONTENTS

목차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41

제1절 연구목적 41

제2절 연구의 필요성 42

제3절 연구범위 43

제4절 연구추진체계 44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46

제1절 유역규모별 SWAT-MODFLOW 모형의 적용 46

제2절 SWAT 모형을 이용한 융설 영향 평가 48

제3절 공간 모의유량을 이용한 갈수유량 거동특성 분석 49

제4절 대유역에 대한 SWAT-K 모형의 적용 50

제5절 유역 비점오염 모델링 51

제6절 SWAT-AGRIMAN 모형 53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55

제1절 유역규모별 SWAT-MODFLOW 모형의 적용 57

1. 서론 57

2. 지표수-지하수 상호작용 및 지하수 함양량 산정기법의 개선방안 57

3. 완전연동형 지표수-지하수 결합모형의 개선 68

4. 유역규모별 SWAT-MODFLOW 모형의 적용 98

5. 요약 및 결론 158

제2절 SWAT 모형을 이용한 융설영향 평가 160

1. 서론 160

2. 기본이론 160

3. 모형의 적용 164

4. 요약 및 결론 174

제3절 공간 모의유량을 이용한 갈수유량의 거동특성 175

1. 서론 175

2. 갈수량 해석의 개념 및 분석절차 177

3. 대상유역 178

4. 관측유량자료 기초분석 179

5. 모의유량 생성 180

6. 갈수특성 분석 193

7. 결론 198

제4절 대유역에 대한 SWAT-K 모형의 적용 200

1. 서론 200

2. SWAT 모형내 저수지 이론 및 매개변수 보정 200

3. 대상유역의 입력자료 구축현황 210

4. 한강유역에 대한 장기유출해석 215

5. 다목적댐 운영에 따른 유황변동 특성 및 평가 228

6. 요약 및 결론 250

제5절 SWAT 모형을 이용한 유역 유사 및 수질 모델링 251

1. 서론 251

2. 침식, 유사량 모델링 기법 조사 252

3. SWAT 모형에서의 유사량/오염부하량 계산 257

4. SWAT 모형을 이용한 경안천 유역의 유사량 모의 263

5. SWAT 모형을 이용한 충주댐 유역의 수질 모델링 270

6. SWAT 모형의 활용 281

7. 요약 및 결론 292

제6절 SWAT-AGRIMAN 모형 294

1. 서론 294

2. 모형구조 294

3. SWAT-AGRIMAN 모형의 적용 303

4. 적용결과 313

5. 요약 및 결론 317

제7절 SWAT-K 시스템 적용을 위한 전/후처리 모듈 개발 319

1. 개발 배경 및 목적 319

2. 시스템 요구분석 / Architecture 설계 319

3. 파일 분석 및 변환 321

4. 지표수 결과 출력 323

5. 지하수 결과 출력 328

6. 입력자료 수정 334

7. 단위 및 통합 테스트 339

제8절 물공급전망의 작성 및 발간 341

1. 물공급전망 341

2. 물공급전망 해외 동향 파악 341

3. 물공급전망 작성, 발간 및 배포 341

4. 물공급전망 개선 방안 제시 342

제9절 지표수의 토양침투특성 해석 344

1. 서론 344

2. 토양특성에 따른 여러 가지 토앙의 구분 345

3. 토양조사 자료를 이용한 토양 수분 특성 해석 353

4. 토양의 한계 침투속도 및 투수속도 측정 365

5. 토양 특성을 이용한 침투 및 투수속도 추정식의 개발 376

6. 용적밀도 및 공극률 추정식의 개발 380

7. 우리나라 조건에서 토양관련 SWAT 인자 산정 382

8. 요약 및 결론 395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396

제1절 SWAT-K 모듈 개선 396

제2절 개선된 모듈에 따른 SWAT-K 적용성 검토 396

제3절 유사 및 영양염류 모듈 적용 397

제4절 SWAT-K 전후처리 시스템 개발 398

제5절 토양 자료의 개선 398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400

제1절 지표수 수문성분 해석시스템 400

제2절 지표수의 토양침투 특성 해석 403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407

제7장 참고문헌 413

특정연구개발사업 연구결과 활용계획서 425

【첨부1】연구결과활용계획서(최종보고서 첨부) 427

【첨부2】기술요약서(최종보고서 첨부) 434

표 3.1.1. SWAT 모형에서의 물이동 방법 비교 79

표 3.1.2. SWAT의 물이동 개선 82

표 3.1.3. 모형별 물 이동 특성 비교 87

표 3.1.4. 소유역 특성(김남원 등, 2005) 98

표 3.1.5. 민감도 분석 매개변수 103

표 3.1.6. 투수계수 변화에 따른 연 평균 지하수유출량 104

표 3.1.7. 저류계수 변화에 따른 연 평균 지하수유출량 106

표 3.1.8. 하천바닥층의 수리전도도 (KRiv/M)(이미지참조) 변화에 따른 연 평균 지하수유출량 109

표 3.1.9. 미호천 유역의 소유역 특성인자 145

표 3.1.10. 미호천 유역의 토지이용항목별 면적 147

표 3.1.11. 미호천 상류유역의 정밀토양도의 토양통 현황 148

표 3.1.12. 미호천내 청원군의 연평균 지하수 함양량 152

표 3.1.13. 미호천 유역의 소유역별 함양량의 공간적 변동 통계치 158

표 3.2.1. 형상계수 COV₁, COV₂ 163

표 3.2.2. 표고밴드별 소유역 면적 비 166

표 3.2.3. 관측소별 연평균 기온 및 강수 167

표 3.2.4. 최종 모의에 사용된 입력 매개변수 168

표 3.2.5. 융설 영향에 따른 결정계수 170

표 3.3.1. 수위관측소 유량자료 보유현황 180

표 3.3.2. 기간별 강우관측소 현황 181

표 3.3.3. 기간별 기상관측소 현황 183

표 3.3.4. 충주댐 유역 토지피복 면적 185

표 3.3.5. 연도별 수문성분 발생량 191

표 3.3.6. 월평균 수문성분 발생량 192

표 3.4.1. 주요 매개변수 206

표 3.4.2. 대상유역의 기상청 관할 관측소 현황 및 제원 211

표 3.4.3. 토지피복도와 토지이용도의 비교 (김성수, 2001) 213

표 3.4.4. 토지피복도 분류항목 (대분류, 중분류) 213

표 3.4.5. 대상유역의 댐제원 232

표 3.4.6. 댐의 모형입력자료 232

표 3.4.7. 연도별 수문성분 해석 240

표 3.4.8. 시나리오별 유출모의 조건 243

표 3.4.9. 연도별 유황변화에 따른 저수기간과 저수용량 분석 248

표 3.5.1. 모형의 분류 252

표 3.5.2. 토양 침식 모형의 특징 비교 254

표 3.5.3. USLE 변형식들의 특징 비교 256

표 3.5.4. 유출 및 유사 매개변수 보정 265

표 3.5.5. 유출 보정 결과 268

표 3.5.6. 유사 보정 결과 268

표 3.5.7. 유출 검증 결과 268

표 3.5.8. 충주댐 유역 소유역 특성 271

표 3.5.9. 충주댐 유역 소유역별 토지이용 현황 271

표 3.5.10. 오염원 총괄 현황 272

표 3.5.11. 처리시설별 방류수 수질 기준 273

표 3.5.12. 소유역별 환경기초시설 배출부하량 273

표 3.5.13. 배출 부하량 내 질소 및 인 항목별 배출 비율 273

표 3.5.14. 충주댐 유역에 대한 매개변수 보정치 274

표 3.5.15. 유출 보정 및 검증 결과 (충주댐 지점) 277

표 3.5.16. 유사 보정 및 검증 결과 280

표 3.5.17. 총질소 보정 및 검증 결과 281

표 3.5.18. 총인 보정 및 검증 결과 281

표 3.5.19. 토지계 지목별 연평균 발생부하량 285

표 3.5.20. 하도별 오염원에 따른 유사 및 영양물질 부하량 비율 288

표 3.5.21. BMP 적용에 따른 유사 및 오염부하량 저감 효과 292

표 3.6.1. 관개용수 공급을 위한 HRU 제어 명령 및 입력자료 296

표 3.6.2. 관리기능의 개요 297

표 3.6.3. 농업용 저수지 현황 305

표 3.6.4. 관개용수 공급을 위한 HRU 입력자료 308

표 3.6.5. 토지 관리 입력자료 309

표 3.6.6. 수문성분별 유역 물수지 315

표 3.6.7. 모형의 통계적 특성 (관개기간:5월 1일 ~ 9월 30일) 317

표 3.9.1. 토양 연속성 및 연쇄토양계열별 면적비교 352

표 3.9.2. 토지이용에 따른 토양연속성별 대표토양 353

표 3.9.3. 토양종류별 유효토심별 토양수분 보유능(예시) 361

표 3.9.4. 10kPa, 33kPa에서의 불포화 수리전도도 364

표 3.9.5. 10kPa에서의 Gardner와 VGM 모형의 불포화 수리전도도 비교 364

표 3.9.6. 대표토양의 개략적 특성 368

표 3.9.7. USDA NRCS의 수문학적 토양유형 구분 385

표 3.9.8. USDA NRCS의 포화수리전도도 등급과 투수성 등급 388

표 3.9.9. 미국의 뿌리 신장 제한 깊이와 우리나라 유효토심의 등급 비교 390

표 3.9.10. 크기에 따른 NRCS의 자갈 분류 392

표 3.9.11. 우리나라의 자갈 크기와 양에 따른 토양 특성 구분 393

그림 1.4.1. 조직별 추진체계 44

그림 1.4.2. 연차별 추진체계 45

그림 3.1.1. 유출 발생의 메커니즘(after Beven, 1986) 59

그림 3.1.2. 하천과 대수층간의 흐름을 표현하는 메커니즘 (Rushton과 Tomlinson, 1979) 61

그림 3.1.3. 지표수-지하수의 연결영역 Hyporheic zone (Winter 등, 1998) 62

그림 3.1.4. 지하수 감수곡선 이동법을 이용한 지하수 함양량 산정예 66

그림 3.1.5. SWAT-MODFLOW의 수문성분 이동 모식도 70

그림 3.1.6. SWAT-MODFLOW의 코드 연결 71

그림 3.1.7. SWAT-MODFLOW의 함양량 계산 73

그림 3.1.8. 1개 하천을 여러개의 지류로 이산화시킨 모식도 74

그림 3.1.9. 자유면 대수층 내에 강이 포함돼 있는 단면도(좌)와 하천-대수층 상호작용 개념도(우) 75

그림 3.1.10. 1개 셀에서 강바닥의 전도계수를 표현한 그림 76

그림 3.1.11. SWAT-MODFLOW의 하천-대수층 물교환 방식 77

그림 3.1.12. SWAT-MODFLOW의 양수에 의한 물이동 개념도 89

그림 3.1.13. 대수층과 배수로 수두에 따른 유입 지하수량 91

그림 3.1.14. 토양층의 구성 93

그림 3.1.15. 지하수위에 따른 증발산률 95

그림 3.1.16. 대상유역의 소유역 구분 및 수치표고모형(DEM) 98

그림 3.1.17. 경안천 유역의 토양도, 토지이용도, HRU 분포도 100

그림 3.1.18. 투수계수 K 민감도 104

그림 3.1.19. 투수계수에 따른 지하수유출 시계열의 변화 105

그림 3.1.20. 투수계수에 따른 하천유출 시계열의 변화 105

그림 3.1.21. 저류계수 S 민감도 107

그림 3.1.22. 저류계수에 따른 지하수유출 시계열의 변화 107

그림 3.1.23. 저류계수에 따른 하천유출 시계열 변화 108

그림 3.1.24. 하천바닥층 수리 전도도 KRiv/M(이미지참조) 민감도 109

그림 3.1.25. 하천바닥층 수리전도도에 따른 지하수유출 변화 109

그림 3.1.26. 하천바닥층 수리전도도에 따른 하천유출 변화 110

그림 3.1.27. SWAT-MODFLOW모형의 검정결과(1990년) 111

그림 3.1.28. SWAT-MODFLOW모형의 검증(1991년) 112

그림 3.1.29. SWAT-MODFLOW모형을 이용한 지하수위 시계열 113

그림 3.1.30. 경안천의 지하수 함양량 공간분포 114

그림 3.1.31. SWAT-MODFLOW모형을 이용한 지하수위의 공간분포 115

그림 3.1.32. 개선된 SWAT-MODFLOW모형을 이용한 양수시 지하수위 변화 117

그림 3.1.33. 개선된 SWAT-MODFLOW모형을 이용한 양수시 수위강하 현상 117

그림 3.1.34. 개선된 SWAT-MODFLOW모형을 이용한 양수시 지하수위 변화 118

그림 3.1.35. 개선된 SWAT-MODFLOW모형을 이용한 양수시 지하수위 변화 118

그림 3.1.36. 개선된 SWAT-MODFLOW모형을 이용한 양수시 지하수위 변화(Q=100㎥/day) 119

그림 3.1.37. 개선된 SWAT-MODFLOW모형을 이용한 양수시 지하수위 변화(Q=1000㎥/day) 119

그림 3.1.38. 개선된 양수모듈 구동시의 물수지 변화 120

그림 3.1.39. 충주댐 상류유역의 소유역 및 HRU 분포도 121

그림 3.1.40. 충주댐 상류유역의 관측소 분포도 121

그림 3.1.41. 투수계수에 따른 하천 유출량의 변화 122

그림 3.1.42. 저류계수에 따른 하천 유출량의 변화 123

그림 3.1.43. 하상수리전도도에 따른 하천 유출량의 변화 123

그림 3.1.44. SWAT의 지하수 유출량 124

그림 3.1.45. SWAT-MODFLOW의 지하수 유출량(Kriv/M=0.0024) 125

그림 3.1.46. SWAT-MODFLOW의 지하수 유출증감(Kriv/M=0.024) 125

그림 3.1.47. SWAT-MODFLOW의 지하수 유출증감(Kriv/M=0.24) 126

그림 3.1.48. 충주댐 상류유역의 지하수 함양량 공간분포도 127

그림 3.1.49. 충주댐 상류유역의 지하수위 시계열 127

그림 3.1.50. 충주댐 상류유역의 지하수위 분포도 128

그림 3.1.51. 지표수와 지하수의 총괄 물수지 129

그림 3.1.52. 무심천 유역의 DEM 129

그림 3.1.53. 무심천 유역의 토지이용도 130

그림 3.1.54. 무심천 유역의 정밀토양도 131

그림 3.1.55. 무심천 유역의 HRU 분포도 132

그림 3.1.56. 청주수위관측소 지점에 대한 모형의 보정(2002년) 133

그림 3.1.57. 청주수위관측소 지점에 대한 모형의 검증(2003-2004년) 133

그림 3.1.58. 강수의 시간분포에 따른 하천유출량 134

그림 3.1.59. 강수의 시간분포에 따른 침투량 135

그림 3.1.60. 강수의 시간분포에 따른 함양량 135

그림 3.1.61. 강수의 시간분포에 따른 지하수유출량 136

그림 3.1.62. 강수의 시간분포에 따른 함양량의 공간적 분포 137

그림 3.1.63. 토지이용 및 토양조건에 따른 함양량의 공간적 분포 137

그림 3.1.64. 월간 강수량 대비 하천유출량 138

그림 3.1.65. 월간 강수량 대비 지표면유출량 138

그림 3.1.66. 월간 강수량 대비 증발산량 138

그림 3.1.67. 월간 강수량 대비 토양수량 139

그림 3.1.68. 월간 강수량 대비 측방유출량 139

그림 3.1.69. 월간 강수량 대비 침투량 139

그림 3.1.70. 월간 강수량 대비 함양량 140

그림 3.1.71. 월간 함양량 대비 지하수유출량 140

그림 3.1.72. 소유역별 모의 함양량의 시계열 (소유역 2, 10, 22번) 141

그림 3.1.73. 모의 함양량의 시공간적 분포 (2003년) 142

그림 3.1.74. 지하수위의 모의치와 관측치 및 결정계수 143

그림 3.1.75. 미호천 유역의 소유역 구분도 144

그림 3.1.76. 미호천 상류유역 DEM 146

그림 3.1.77. 미호천 상류유역의 토지이용도 146

그림 3.1.78. 미호천 상류유역의 정밀토양도 147

그림 3.1.79. 미호천 유역에 대한 SWAT-MODFLOW의 보정결과(2000-2001년) 149

그림 3.1.80. 미호천 유역에 대한 SWAT-MODFLOW의 검증결과(2002-2004년) 149

그림 3.1.81. 미호천 유역의 5월평균 함양량의 공간분포(단위:mm) 150

그림 3.1.82. 미호천 유역의 8월평균 함양량의 공간분포(단위:mm) 151

그림 3.1.83. 미호천 유역의 11월평균 함양량의 공간분포(단위:mm) 151

그림 3.1.84. 미호천 유역내 청원군 소유역의 연평균 함양량 분포 153

그림 3.1.85. 미호천 소유역(201)에서의 월별 지하수 함양량 154

그림 3.1.86. 미호천 소유역(202)에서의 월별 지하수 함양량 154

그림 3.1.87. 미호천 소유역(203)에서의 월별 지하수 함양량 155

그림 3.1.88. 미호천 소유역(204)에서의 월별 지하수 함양량 155

그림 3.1.89. 미호천 소유역(205)에서의 월별 지하수 함양량 156

그림 3.1.90. 미호천 소유역(206)에서의 월별 지하수 함양량 156

그림 3.1.91. 미호천 소유역(207)에서의 월별 지하수 함양량 157

그림 3.1.92. 미호천 소유역(208)에서의 월별 지하수 함양량 157

그림 3.2.1. SWAT 융설모형 모식도 161

그림 3.2.2. 면적감소곡선 164

그림 3.2.3. 적용대상유역 165

그림 3.2.4. 연평균 기온 vs. 표고 167

그림 3.2.5. 연평균 강수량 vs. 표고 167

그림 3.2.6. 융설 미 고려 시 유출모의 결과 169

그림 3.2.7. 융설 고려시 유출모의 결과 170

그림 3.2.8. 융설 고려 전후 유출량 비교 171

그림 3.2.9. 소유역 유출량 비교 172

그림 3.2.10. 융설 고려에 따른 수문성분 분석 173

그림 3.3.1. 대상유역도 178

그림 3.3.2. 상하류 지점의 유량 비교(1988년) 179

그림 3.3.3. 충주댐유역 강우관측소 티센망도 (1986년~1989년) 182

그림 3.3.4. 충주댐유역 강우관측소 티센망도 (1990년~1999년) 182

그림 3.3.5. 충주댐유역 기상관측소 티센망도 (1986년~1995년) 183

그림 3.3.6. 충주댐유역 기상관측소 티센망도 (1996년~1999년) 184

그림 3.3.7. 수치표고모델 (300m×300m) 184

그림 3.3.8. 중분류 토지피복도 (30m×30m) 185

그림 3.3.9. 정밀토양도 (1:25000) 186

그림 3.3.10. 충주댐 지점의 관측-모의 일유량 비교 (1987년~1999년) 187

그림 3.3.11. 관측-모의 유량 (1987년 ~ 1999년) 187

그림 3.3.12. 누적 관측-모의 유량 (1987년 ~ 1999년) 187

그림 3.3.13. 충주댐지점 유황곡선 189

그림 3.3.14. 상류지점 관측-모의 유량 및 유황 190

그림 3.3.15. 평균갈수량의 비유량-면적 관계 194

그림 3.3.16. 모의 면적-비유량 결과 195

그림 3.3.17. 기존 연구결과와 본 연구결과 비교 196

그림 3.3.18. 지속기간-비유량 곡선 197

그림 3.3.19. 상하류 모의 비유량 - 1996년 198

그림 3.3.20. 고수위와 저수위의 유출거동 특성 198

그림 3.4.1. 홍수 저류특성을 지닌 저수지 구성요소 (Neitsch 등, 2001) 201

그림 3.4.2. 기상관측소 티센망 구축 211

그림 3.4.3. 강우관측소 티센망 구축 211

그림 3.4.4. 한강유역의 DEM 212

그림 3.4.5. 한강유역의 토지피복도 구축현황 (중분류, 환경부) 214

그림 3.4.6. 한강유역의 정밀토양도 구축현황 (통분류, 농과원) 215

그림 3.4.7. 저수지 모듈 계산흐름도 216

그림 3.4.8. 한강유역(청평댐 상류유역 제외) 현황 217

그림 3.4.9. 관측 일방류량 방법을 이용한 모의결과(팔당댐 지점, 2002~2004년) 218

그림 3.4.10. 관측유량과 모의유량의 비교(관측 일방류량 방법) 219

그림 3.4.11. 관측 월방류량 방법을 이용한 모의결과(팔당댐 지점, 2002~2004년) 219

그림 3.4.12. 관측유량과 모의유량의 비교(관측 월방류량 방법) 220

그림 3.4.13. 목표방류 방법을 이용한 모의결과(팔당댐 지점, 2002~2004년) 221

그림 3.4.14. 관측유량과 모의유량의 비교(목표방류 방법) 222

그림 3.4.15. SWAT-K 모형에서의 한강유역(춘천댐 상류유역 제외) 현황 223

그림 3.4.16. 댐지점별 일별 모의 결과 (2002~2004년) 224

그림 3.4.17. 댐지점별 관측유량과 모의유량의 비교 (2002~2004년) 225

그림 3.4.18. 댐지점별 관측유입량과 모의유입량의 비교(1987~2000년) 227

그림 3.4.19. 한강유역의 자연유량(1998~2000년) 227

그림 3.4.20. 유황변동에 따른 저수효과 평가개념도 230

그림 3.4.21. 대상유역 현황 233

그림 3.4.22. 한강유역의 토지피복도 및 정밀토양도 구축현황 233

그림 3.4.23. 팔당댐 지점에서의 일별 모의결과 (1987~2000년) 235

그림 3.4.24. 팔당댐 지점의 관측유량과 모의유량의 비교 (1987~2000년) 235

그림 3.4.25. 팔당댐 지점에서의 누가유입량의 비교 (1987~2000년) 235

그림 3.4.26. 댐지점별 관측 유입량과 방류량의 비교 236

그림 3.4.27. 댐지점별 일별모의결과 (1996~2000년) 237

그림 3.4.28. 댐지점별 월별 모의결과 (1987~2000년) 238

그림 3.4.29. 유황곡선의 실측값과 모의값의 비교 239

그림 3.4.30. 잠재증발산량의 월별 모의결과 (1987~1990년) 241

그림 3.4.31. 잠재증발산량과 대형증발량의 비교 (mm) 241

그림 3.4.32. 증발산량의 일별 모의결과 241

그림 3.4.33. 팔당댐의 관측유량과 다목적댐의 운영이 없을 때의 유량 242

그림 3.4.34. 시나리오별 유황변동 분석 244

그림 3.4.35. 댐의 실측 유황변동 246

그림 3.4.36. 소양강, 충주댐 운영으로 인한 유황변화 (1996년) 248

그림 3.5.1. 질소 순환 과정 258

그림 3.5.2. 인 순환 과정 262

그림 3.5.3. 경안천 유역 수문 관측망 264

그림 3.5.4. 유출 보정 결과 (1988년) 266

그림 3.5.5. 유출 보정 결과 (1989년) 266

그림 3.5.6. 유사 보정 결과 267

그림 3.5.7. 관측유량과 모의유량의 상관관계 (보정 결과) 267

그림 3.5.8. 관측 및 모의 유출량 비교 (1990년) 269

그림 3.5.9. 관측 및 모의 유출량 비교 (1991년) 269

그림 3.5.10. 관측 및 모의 유출량 비교 (2001년) 269

그림 3.5.11. 관측유량과 모의유량의 상관관계 (검증 결과) 269

그림 3.5.12. 충주댐 유역 소유역 구분 270

그림 3.5.13. 유출 보정 전후의 관측 및 모의 수문곡선 276

그림 3.5.14. 유출에 대한 모형 검증 결과 276

그림 3.5.15. 일 관측유량과 모의유량 비교 277

그림 3.5.16. 월 관측유량과 모의유량 비교 277

그림 3.5.17. 유사량 보정 및 검증 결과 (충주댐) 278

그림 3.5.18. 유사량 보정 및 검증 결과 (가곡) 278

그림 3.5.19. 유사량 보정 및 검증 결과 (영월1) 278

그림 3.5.20. 유사량 보정 및 검증 결과 (정선1) 278

그림 3.5.21. 총질소 부하량 보정 및 검증 결과 (충주댐) 278

그림 3.5.22. 총질소 부하량 보정 및 검증 결과 (가곡) 278

그림 3.5.23. 총질소 부하량 보정 및 검증 결과 (영월1) 279

그림 3.5.24. 총질소 부하량 보정 및 검증 결과 (정선1) 279

그림 3.5.25. 총인 부하량 보정 및 검증 결과 (충주댐) 279

그림 3.5.26. 총인 부하량 보정 및 검증 결과 (가곡) 279

그림 3.5.27. 총인 부하량 보정 및 검증 결과 (영월1) 279

그림 3.5.28. 총인 부하량 보정 및 검증 결과 (정선1) 279

그림 3.5.29. 경안천 유역의 배수면적에 따른 비유사량 282

그림 3.5.30. 충주댐 유역의 배수면적에 따른 비유사량 283

그림 3.5.31. 경안천 유역의 식생에 따른 유사 발생량 284

그림 3.5.32. 충주댐 유역의 식생에 따른 유사 발생량 284

그림 3.5.33. 충주댐 유역의 식생에 따른 오염부하 발생량 285

그림 3.5.34. 충주댐 유역의 하도별 오염원에 따른 유사량 286

그림 3.5.35. 하도별 오염원에 따른 총질소 부하량 287

그림 3.5.36. 하도별 오염원에 따른 총인 부하량 287

그림 3.5.37. 오염원에 따른 월별 유사량 변화 289

그림 3.5.38. 오염원에 따른 월별 총질소 부하량 변화 289

그림 3.5.39. 오염원에 따른 월별 총인 부하량 변화 289

그림 3.5.40. BMP 적용 여부에 따른 유사량 비교 290

그림 3.5.41. BMP 적용 여부에 따른 총질소 부하량 비교 291

그림 3.5.42. BMP 적용 여부에 따른 총인 부하량 비교 291

그림 3.6.1. 모형의 관개모듈 개념 모식도 295

그림 3.6.2. 담수HRU의 수문성분 해석 개념도 298

그림 3.6.3. 관개량 제어를 통한 담수심 결정 모식도 301

그림 3.6.4. 담수면적 결정 모식도 302

그림 3.6.5. DEM 분석 및 소유역 분할 304

그림 3.6.6. 토지이용도 305

그림 3.6.7. 토양도 305

그림 3.6.8. HRU 생성 306

그림 3.6.9. 논 대표 토양통 모식도 306

그림 3.6.10. 저수지용량 비교 (보청저수지) 310

그림 3.6.11. 논의 침투량 (16번 소유역) 311

그림 3.6.12. 논의 담수심 (16번 소유역) 312

그림 3.6.13. 논의 증발산량 (16번 소유역) 313

그림 3.6.14. 연도별 수문성분별 유출량 315

그림 3.6.15. 연도별 수문성분별 기여율 (%) 315

그림 3.6.16. 최종출구점의 하천운출량 비교 (1993년 5월 1일 ~ 9월 30일) 317

그림 3.6.17. 최종출구점의 하천유출량 (1993년) 317

그림 3.7.1. Architecture Diagram 320

그림 3.7.2. 프로젝트 설정화면 321

그림 3.7.3. 프로젝트 열었을 때 화면 322

그림 3.7.4. 차트 자료 선택 화면 323

그림 3.7.5. 변경된 차트 화면 324

그림 3.7.6. 차트 자료 보기 325

그림 3.7.7. 차트 통계값 보기 325

그림 3.7.8. Annual Average 화면 326

그림 3.7.9. output.std 선택화면 326

그림 3.7.10. 비교할 필드 선택 327

그림 3.7.11. Compare chart 화면 327

그림 3.7.12. 1/2차년도 3D 화면 328

그림 3.7.13. 3D와 등고선 모두 표시한 화면 329

그림 3.7.14. 변경된 3D 화면 329

그림 3.7.15. 3D에서 횡단면도 보기 330

그림 3.7.16. 2차년도 Time series 화면 331

그림 3.7.17. 개선된 Time Series 화면 331

그림 3.7.18. Flow-term 화면 332

그림 3.7.19. 지하수의 Raster 표현 333

그림 3.7.20. 2차년도 범례 편집화면 333

그림 3.7.21. 개선된 범례 편집화면 334

그림 3.7.22. 2차년도 선택 화면 335

그림 3.7.23. 개선된 입력 파일 선택 화면 335

그림 3.7.24. WGN 입력 화면 336

그림 3.7.25. HRU 입력 화면 336

그림 3.7.26. 저장할 파일 선택 337

그림 3.7.27. HRU 선택 화면 337

그림 3.7.28. 2차년도 입력자료 생성화면 337

그림 3.7.29. 개선된 입력자료 생성화면1 338

그림 3.7.30. 개선된 입력자료 생성화면2 338

그림 3.7.31. 컴포넌트 라이브러리 개념 339

그림 3.8.1. 물공급전망의 연도별 배포처 및 배포부수 현황 342

그림 3.8.2. 물공급전망의 새로운 표지 343

그림 3.9.1. USDA법으로 토성을 구분하기 위한 삼각도 347

그림 3.9.2. 토양 보수력 특성 분석장치 355

그림 3.9.3. 보수력(soil water tension)과 토양수분 함량과의 관계 356

그림 3.9.4. 33kPa(FC)에서 PTF에 의한 예측값과 실측값과의 비교 357

그림 3.9.5. 영구 위조점에서 PTF에 의한 예측값과 실측값의 모형별 비교 358

그림 3.9.6. 포화토양수분 함량을 위한 PTF 모형별 비교 359

그림 3.9.7. VGM 모형의 불포화 수리전도도를 위한 parameter 추정 프로그램(Rosetta) 363

그림 3.9.8. 침투속도 측정계 366

그림 3.9.9. 투수속도 측정계 367

그림 3.9.10. 포화수리전도도와 입자별 함량과의 관계(모든 시료) 377

그림 3.9.11. Saxton 모형과 개발모형의 비교 379

그림 3.9.12. 유기물 함량과 용적밀도의 관계 381

그림 3.9.13. 용적밀도 측정값과 추정식의 관계 381

그림 3.9.14. 우리나라 토양의 토지이용 형태에 따른 토양층위별 투수등급 면적 분포 389

그림 3.9.15. 유효토심의 등급 분포 391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T000019039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이용불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