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통합수자원평가계획시스템 개발 / 과학기술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과천] : 과학기술부, 2007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형태사항
61, 725 p. : 삽화, 도표, 사진, 지도 ; 30 cm
제어번호
MONO1200715939
주기사항
"21세기 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개발 사업"의 세부과제임
주관연구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관연구책임자: 이동률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보고서 초록

요약문

Summary

Contents

목차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63

1.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63

2.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63

2.1. K-WEAP 활용기술 개발 63

2.2. K-WEAP 적용기술 개발 64

2.2. K-WEAP 기능 개선 64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67

1. K-WEAP 활용기술 개발 67

2. K-WEAP 적용기술 개발 69

제3장 연구개발 수행내용 및 결과 71

제1절 K-WEAP 활용기술 개발 71

1. K-WEAP 활용기술 개발 71

1.1. 수자원시설물 설계 71

1.1.1. 수자원시설물 설계를 위한 K-WEAP 기능 71

1.1.2. 수자원시설물 설계의 K-WEAP 적용 74

1.2. 지역수자원계획 79

1.2.1. 적용지역 선정 79

1.2.2. 수자원계획을 위한 네트워크 구성 79

1.2.3. 기준시나리오 분석 84

1.2.4. 장래시나리오 분석 90

1.2.5. 지역수자원계획의 방향 93

1.2.6. 가뭄관련 대책 및 평가 93

1.3. 유역관리 97

1.3.1. 유역관리를 위한 모형 개발 97

1.3.2. K-WEAPq를 통한 낙동강 유역의 물수지 및 수질 분석 98

1.4. K-WEAP 사용자 교육 시행 127

1.4.1. K-WEAP 사용자 교육 과정 개요 127

1.4.2. K-WEAP 사용자교육의 주요 내용 127

1.4.3. K-WEAP 사용자교육의 세부 사항 128

1.5. K-WEAP 국제공동웍샵 133

1.5.1. K-WEAP 국제공동웍샵 개요 133

1.5.2. K-WEAP 국제공동웍샵 세부 사항 133

1.6. 분야별 K-WEAP 활용을 위한 정보공유 체제구축 136

2. K-WEAP 수질모형 적용을 위한 오염부하 평가기술 개발 139

2.1. 평상시 부하량 산출-소하천수질 자료 수집 139

2.1.1. 연구대상하천 139

2.1.2. 시료채취 및 분석 141

2.1.3. 연구결과물 141

2.1.4. 시간에 따른 수질변화 142

2.1.5. 조사대상 소하천의 통계학적 수질특성 142

2.1.6. 하천별 평상시 수질특성 149

2.1.7. 유출량 부하량 관계식 150

2.2. 강우시 비점원 오염물질 부하평가모델 개발 I 152

2.2.1. 연구배경 152

2.2.2. 연구방법 및 실험 155

2.2.3. 결과 및 고찰 158

2.3. 비점원 오염물질 유출원단위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167

2.4. 강우시 농촌 소유역의 비점오염 유출특성 분석 185

2.4.1. 유역선정 조건 185

2.4.2. 연구대상 유역 특성 185

2.4.3. 유량측정 194

2.4.4. 시료채취 194

2.4.5. 수질분석 항목 및 방법 194

2.4.6. 유량측정 및 강우 유출수 조사정보 195

2.4.7. 시료채취 지점에서 수위-유량 관계곡선 196

2.4.8. 연구대상 유역에서 관측된 오염물질 유출곡선 197

2.4.9. 강우 유출수내 오염물질 유출특성 분석결과 243

2.4.10. 강우시 비점원 오염물질 유출부하 평가모델 개발 II 253

2.5. 연구대상지역 모델링 256

2.5.1. 적용 시나리오 256

2.5.2. 적용 모형 256

2.5.3. 모형의 적용 273

2.5.4. 모형 결과 290

2.5.5. 자료 비교를 통한 오염부하량 평가 303

2.5.6. 결과분석 및 고찰 322

2.6. K-WEAP 시범 적용유역 수질조사 324

2.6.1. 도당천 324

2.6.2. 청지천 340

2.7. 점원 오염물질 유출농도 DB 352

2.7.1. K-WEAP 시범 적용지역 하수처리장 방류수 352

2.7.2. 우리나라 하수처리장 방류수 수질 DB 354

2.8. 오염부하량 산정 프로그램 개발(안) 356

2.8.1. 화면의 구성 356

제2절 K-WEAP 적용기술 개발 365

1. 용수재배분을 통한 가용수량 평가 및 확보방안 365

1.1. 우리나라 용수배분 현황과 진단 365

1.1.1. 국내 용수배분 현황과 기준 365

1.1.2. 용수배분 기준의 평가와 진단 370

1.2. 용수배분과 기준에 관한 외국사례 380

1.2.1. 미국의 용수배분과 기준 380

1.2.2. 호주의 용수배분과 기준 384

1.2.3. 일본의 용수배분과 기준 387

1.2.4. 용수배분에 관한 외국사례의 시사점 391

1.3. 용수사용 평가체계의 구축 394

1.3.1. 용수사용 평가체계의 개념적 틀 394

1.3.2. 용수사용 평가체계 구축의 기본원칙과 방향 396

1.3.3. 용수사용 평가체계의 구체화 방안 405

1.3.4. 용수사용 평가절차의 개선안 411

1.4. 댐 용수 재배분 가능량 평가ㆍ추정과 활용방안 420

1.4.1. 댐 용수 공급량의 평가 420

1.4.2. 대청댐 용수공급 가능량과 재배분 가능량의 추정 433

1.4.3. 대청댐 계통 지자체의 용수수요 동향 및 하천유지용수 확보 방안 443

1.4.4. 댐 용수 배분의 재조정 방안 검토 453

1.5. 하천유지용수에 대한 조사 결과의 분석 455

1.5.1. 조사의 개요 455

1.5.2. 하천유지유량 관련 인식의 현황과 문제점 456

1.5.3. 환경용수 관련 인식의 현황과 문제점 461

1.5.4. 분석결과의 종합과 정책적 시사점 467

1.6. 하천유지용수 확보에 관한 편익분석 472

1.6.1. 개념정의 472

1.6.2. 다양한 하천유지용수 확보 방안 474

1.6.3. 하천유지용수의 편익측정 479

1.6.4. 하천유지용수 편익분석의 정책적 시사점 496

1.7. 하천유지용수 확보에 관한 외국 사례 498

1.7.1. 미국 498

1.7.2. 영국 514

1.7.3. 호주 516

1.7.4. 일본 524

1.7.5. 외국 사례에서의 시사점 529

1.8. 용수 재배분을 위한 관련 법ㆍ제도의 정비방안 531

1.8.1. 가용 댐 용수의 용도전환에 따른 비용처리 방안 531

1.8.2. 가용 댐 용수의 용도전환을 위한 관련 법ㆍ제도 개선방향 536

2. 유역수자원평가를 위한 수요ㆍ공급ㆍ수량ㆍ수질 연계 DB 구축 539

2.1. 문헌연구 및 관련자료 현황조사 539

2.1.1. 수자원 관리종합시스템 539

2.1.2. 5대강 홍수통제소 539

2.1.3. 물환경정보시스템 540

2.1.4. 4대강 유역환경청 541

2.1.5. 수질총량관리 센터 541

2.1.6. 한국수문조사연보 541

2.1.7. 상수도통계 541

2.1.8. 하수도통계 541

2.1.9. 오수ㆍ분뇨 및 축산폐수 처리통계 541

2.1.10. 공장폐수의 발생과 처리 541

2.1.11. 환경통계연감 542

2.1.12. 환경백서 542

2.2. 수질관련 자료 조사ㆍ분석 및 정리 543

2.2.1. 조사항목 및 조사내용 543

2.2.2. 수질 자료조사ㆍ분석 및 정리 543

2.2.3. 자료검증 및 DB구축 완료 554

2.3. 오염원 발생량 및 부하량 산정 556

2.3.1. 오염배출량 및 부하량 산정방법 556

2.3.2. 오염발생량 및 배출 부하량 조사결과 572

2.3.3. 장래 오염부하량 산정을 위한 생공용수 사용량 예측 606

2.4. 오염총량관리를 위한 유역의 수질개선 기여도 산정(팔당호상류를 대상으로) 615

2.4.1. 오염총량관리를 기여도 산정방법 615

2.4.2. 현황조사 615

2.4.3. 팔당호 수질에 미치는 각 지자체별 수자원의 영향성 평가 629

2.5. K-WEAP을 이용한 수량 수질 연계방법 633

2.5.1. K-WEAP 수질모의 방법 633

2.5.2. 수요처 오염물질 발생 633

2.5.3. 수요처로 부터의 오염물 유달 636

2.5.4. 하수처리 637

2.5.5. 처리장으로부터의 오염물질 유달 638

2.5.6. 지하수로부터의 오염물질 유입 638

2.5.7. 수두로부터의 오염물질 유입 638

2.5.8. 타 지표수로부터의 오염물질 유입 639

2.5.9. 오염물질 부하량 639

2.5.10. 지표수 수질 모델링 639

2.5.11. 예제풀이 647

2.5.12. 실 적용 사례 652

2.6. K-WEAP과 Qual2k 연계 및 검증을 위한 수질모의 658

2.6.1. Qual2k 모델의 특성 658

2.6.2. Qual2k 모델을 이용한 대하천 모의(낙동강 전구간) 659

제3절 K-WEAP 기능 개선 664

1. 1차년도 기능개선 665

1.1. 수요처와 하수처리장 회귀수 재이용 665

1.2. 하천 수온 모의 기능 개발 667

1.2.1. 수온모의모형 667

1.2.2. 하천수온모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환경설정 및 기초 작업 668

1.2.3. 요구되는 기후자료 669

1.3. 네트워크상 모형결과 예시기능 개발 670

1.3.1. 네트워크/지도상에서 결과보기 670

1.4. 사용자 정의보고서 작성기능 개발 672

1.4.1. 사용자 정의보고서 672

1.4.2. 결과보기에서 입력 데이터 변수 보기 673

1.5. 신뢰성 평가 분석기능 개선 674

1.5.1. 초과비율그래프 674

1.6. 개선기능 한글화 및 매뉴얼 작성 675

2. 2차년도 기능개선 676

2.1. 편익산정 기능 개발ㆍ평가 676

2.1.1. 시스템 비용 및 수익 입력 676

2.1.2. 항목별 비용 및 수익 입력 676

2.1.3. 계산 방법 677

2.1.4. 경제성 분석 결과 678

2.2. 수질모의결과 검정기능 개선 681

2.3. 수요처 최소수질기준 설정기능 개발 682

2.4. 분할 오염부하량 산정기능 개선 683

2.5. 지역관리 기능 개선 684

2.6. 개선기능 한글화 및 매뉴얼 작성 685

3. 3차년도 기능개선 686

3.1. K-WEAP과 Qual2k 연계시스템 개발 686

3.1.1. 수질모의 686

3.1.2. 오염원 687

3.1.3. Qual2k 689

3.2. 시나리오 간 비교 분석 기능 696

3.3. 지하수유입손실량 697

3.3.1. 취입수로 손실 697

3.3.2. 회귀수로 손실 697

3.3.3. 지하수 697

3.4. 개선기능 한글화 및 매뉴얼 작성 699

부록 1:대상하천 수질자료 및 오염물질 유출조사자료 701

부록 2:하천유지용수 관련 설문지 733

부록 3:수질모의를 위한 Qual2k 구축(낙동강 유역을 대상으로) 739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767

1.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767

2. 관련분야 기술발전의 기여도 768

2.1. 기술적 측면 768

2.2. 경제ㆍ산업적 측면 769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771

1. 연구 결과의 활용계획 771

2. 추가 연구의 필요성 772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773

1. 국외 전문도서 773

2. 소프트웨어 774

3. 국제학회 Proceeding과 관련정보 774

제7장 참고문헌 775

특정연구개발사업 연구결과 활용계획서 788

연구결과 활용계획서 789

기술 요약서(1) 795

기술 요약서(2) 800

〈표 3.1.1〉 서산시 목표연도별 용수 수요량 산정 80

〈표 3.1.2〉 경험적인 EMC 값 산출공식 82

〈표 3.1.3〉 목표연도별 물부족량 86

〈표 3.1.4〉 목표연도별 간월호 유입 오염부하량 90

〈표 3.1.5〉 시나리오별 용수별 물부족량 산정 92

〈표 3.1.6〉 시나리오별 간월호 유입 오염부하량 92

〈표 3.1.7〉 연도별 과부족량(목표연도:2011년) 98

〈표 3.1.8〉 연도별 과부족량(목표연도:2011년) 99

〈표 3.1.9〉 2011년 중권역별 용수수급 전망(최대갈수년:1994년) 100

〈표 3.1.10〉 2016년 중권역별 용수수급 전망(최대갈수년:1994년) 101

〈표 3.1.11〉 2011년 중권역별 용수수급 전망(평균년:1984년) 102

〈표 3.1.12〉 2016년 중권역별 용수수급 전망(평균년:1984년) 103

〈표 3.1.13〉 정화시설 기준처리율 105

〈표 3.1.14〉 축종별 폐수처리시설 유입농도 106

〈표 3.1.15〉 축산폐수배출시설 방류수 수질기준 106

〈표 3.1.16〉 축산분뇨자원화시설의 축분처리방법별 처리율과 농지배출계수 107

〈표 3.1.17〉 축산폐수처리시설로부터의 슬러지 배출계수 107

〈표 3.1.18〉 폐수배출허용기준농도 108

〈표 3.1.19〉 한강권역 지류 하천에 대한 하천유지유량 고시계획(안) 124

〈표 3.1.20〉 한강권역 지류 하천의 유지유량 설정으로 인한 물 부족량 변화(대안 1) 125

〈표 3.1.21〉 한강권역 지류 하천의 유지유량 설정으로 인한 물 부족량 변화(대안 2) 126

〈표 3.1.22〉 조사대상 하천 유역 토지이용 139

〈표 3.1.23〉 2단계 1차년도 연구대상 하천특성 139

〈표 3.1.24〉 월별 시료채취 횟수 141

〈표 3.1.25〉 농촌 소하천 주요 연구내용 142

〈표 3.1.26〉 조사대상 소하천 수질특성 요약 148

〈표 3.1.27〉 하천별 평상시 수질특성 요약 149

〈표 3.1.28〉 서산지역 농촌 소하천의 유출량 - 부하량 관계식 151

〈표 3.1.29〉 자료의 수집, 위치, 유역 156

〈표 3.1.30〉 조사대상 유역의 특성 및 유출특성 157

〈표 3.1.31〉 EMC 농도 값 158

〈표 3.1.32〉 EMC 값 산출 회귀식 159

〈표 3.1.33〉 각 원단위의 비교 164

〈표 3.1.34〉 비점원 오염 물질 자료현황 167

〈표 3.1.35〉 조사된 유역 및 조사횟수 167

〈표 3.1.36〉 우리나라 비점원 오염물질 배출 DB의 구성요소 168

〈표 3.1.37〉 비점원 오염 물질 DB의 기능 169

〈표 3.1.38〉 NPS DB 일반정보 172

〈표 3.1.39〉 NPS DB 강우특성 정보 183

〈표 3.1.40〉 NPS DB 부하량/원단위/EMC 정보 184

〈표 3.1.41〉 신상천 유역 토지이용 187

〈표 3.1.42〉 장요천 유역 토지이용 189

〈표 3.1.43〉 청지천 유역 토지이용 191

〈표 3.1.44〉 도당천 유역 토지이용 193

〈표 3.1.45〉 유량측정 및 강우 유출수 조사정보 195

〈표 3.1.46〉 강우시 신상천 유역으로부터의 오염물질 유출특성 요약 245

〈표 3.1.47〉 강우시 장요천 유역으로부터의 오염물질 유출특성 요약 247

〈표 3.1.48〉 강우시 청지천 유역으로부터의 오염물질 유출특성 요약 249

〈표 3.1.49〉 강우시 도당천 유역으로부터의 오염물질 유출특성 요약 250

〈표 3.1.50〉 강우시 청지천 유역으로부터의 오염물질 유출특성 요약 251

〈표 3.1.51〉 강우시 도당천 유역으로부터의 오염물질 유출특성 요약 252

〈표 3.1.52〉 2단계 1차년도에 개발된 EMC 값 산출공식 254

〈표 3.1.53〉 2단계 2차년도 연구를 통하여 얻은 서산지역 강우유출수 자료 254

〈표 3.1.54〉 2단계 과업 수행 시나리오 256

〈표 3.1.55〉 AGNPS v5.0 Input data list 259

〈표 3.1.56〉 Output files from TOPAGNPS that are necessary input to AGFLOW 262

〈표 3.1.57〉 Output files from AGFLOW 263

〈표 3.1.58〉 Composition of Datas for Pollutant loading module 267

〈표 3.1.59〉 SWAT 모형의 사용과 개발에 대한 국내ㆍ외 연구동향 272

〈표 3.1.60〉 토지이용분류표와 SWAT Code 275

〈표 3.1.61〉 대상유역의 토양형 분류표 276

〈표 3.1.62〉 도당천 유량측정성과(2005년) 281

〈표 3.1.63〉 도당천 유량측정성과(2006년) 282

〈표 3.1.64〉 청지천 유량측정성과(2005년) 283

〈표 3.1.65〉 SWAT 모형의 매개변수 286

〈표 3.1.66〉 유출에 관련된 수문학적 매개변수들의 민감도분석을 위한 상ㆍ하한값, 기준값 288

〈표 3.1.67〉 각 매개변수들의 변화율에 따른 첨두 유출량의 변화율 288

〈표 3.1.68〉 각 매개변수들의 변화율에 따른 총 유출량의 변화율 289

〈표 3.1.69〉 유량-오염부하량 상관관계식 도출을 위한 모의결과(T-N) 301

〈표 3.1.70〉 유량-오염부하량 상관관계식 도출을 위한 모의결과(T-P) 302

〈표 3.1.71〉 자료비교를 통한 오염부하량 평가(도당천 - 2005. 5. 19) 303

〈표 3.1.72〉 자료비교를 통한 오염부하량 평가(도당천 - 2005. 6. 2) 305

〈표 3.1.73〉 자료비교를 통한 오염부하량 평가(도당천 - 2005. 6. 27) 307

〈표 3.1.74〉 자료비교를 통한 오염부하량 평가(도당천 - 2006.7. 16 ~ 2006. 7. 17) 309

〈표 3.1.75〉 자료비교를 통한 오염부하량 평가(도당천 - 2006.7. 26 ~ 2006. 7. 30) 311

〈표 3.1.76〉 자료비교를 통한 오염부하량 평가(청지천 - 2005. 5. 19) 313

〈표 3.1.77〉 자료비교를 통한 오염부하량 평가(청지천 - 2005. 6. 2) 315

〈표 3.1.78〉 자료비교를 통한 오염부하량 평가(청지천 - 2005. 6. 27) 317

〈표 3.1.79〉 평균 유출량 및 발생 오염부하량 - 도당천 319

〈표 3.1.80〉 평균 유출량 및 발생 오염부하량 - 청지천 319

〈표 3.1.81〉 타 연구에 의한 EMC 산정결과 323

〈표 3.1.82〉 도당천 본류 지점 별 수질조사 결과 325

〈표 3.1.83〉 도당천 주요지류 수질 조사 결과 327

〈표 3.1.84〉 도당천 본류 구간 별 유량 입력자료 338

〈표 3.1.85〉 도당천 본류 구간 별 SS, 유기물질 부하량 입력자료 338

〈표 3.1.86〉 도당천 본류 구간 별 TN, TP 부하량 입력자료 339

〈표 3.1.87〉 청지천 본류 지점 별 수질조사 결과 341

〈표 3.1.88〉 청지천 본류 구간 별 유량 입력자료 350

〈표 3.1.89〉 청지천 본류 구간별 SS, 유기물질 부하량 입력자료 350

〈표 3.1.90〉 청지천 본류 구간별 TN, TP 부하량 입력자료 351

〈표 3.1.91〉 서산 하수처리장 방류수 수질 K-WEAP 입력자료 353

〈표 3.1.92〉 하수처리장 시설요약 354

〈표 3.1.93〉 전체 하수처리장의 방류수 수질 DB 355

〈표 3.1.94〉 가정인구 발생부하 원단위 및 분뇨발생부하비 358

〈표 3.1.95〉 생활계 영업장 오수발생 표준농도 359

〈표 3.1.96〉 축산분뇨 발생부하원단위 362

〈표 3.1.97〉 토지계 지목별 연평균발생부하원단위 363

〈표 3.2.1〉 수리권 허가현황('04년 12월 31일 기준) 365

〈표 3.2.2〉 댐 용수 배분현황 (2003년) 366

〈표 3.2.3〉 하천유지용수 산정현황 367

〈표 3.2.4〉 하천유지용수 고시현황 367

〈표 3.2.5〉 하천점용 허가기준 ('하천에관한사무처리규정') 368

〈표 3.2.6〉 하천유지유량 산정 기준 369

〈표 3.2.7〉 가용수량 평가기준 371

〈표 3.2.8〉 국내 용수배분 기준의 문제점의 원인과 영향 379

〈표 3.2.9〉 캘리포니아의 수리권 허가기준 380

〈표 3.2.10〉 수질기준목표 설정에 있어서의 고려사항 381

〈표 3.2.11〉 수리권 허가 단계 382

〈표 3.2.12〉 서부 주들의 하천유지유량 프로그램(제도적 측면의 비교) 383

〈표 3.2.13〉 서부주의 하천유지유량 확보 절차 383

〈표 3.2.14〉 '물법 2000'상의 수리권 허가기준 385

〈표 3.2.15〉 '수자원관리계획'상의 수리권 허가기준 386

〈표 3.2.16〉 '고유량기준치'기준 적용의 예 387

〈표 3.2.17〉 농업 용수 전용 유형 388

〈표 3.2.18〉 농업용수의 도시용수 전용 절차 388

〈표 3.2.19〉 하천유지용수 확보 사례(최상천수계) 389

〈표 3.2.20〉 '청유르네상스 21'의 주요 사업내용 390

〈표 3.2.21〉 발전용수 방류 확대를 통한 하천유지용수 확보 사례(하소조발전소) 391

〈표 3.2.22〉 용수사용 평가 체계 구축시 고려 사항 395

〈표 3.2.23〉 용수사용 평가체계의 구성 395

〈표 3.2.24〉 신규 용수사용 허가시 주요 검토항목 (하천관리자) 406

〈표 3.2.25〉 신규 용수사용 신청시 명시사항 (신규 수리권 신청자) 406

〈표 3.2.26〉 용수사용 신청시 첨부도서 407

〈표 3.2.27〉 기존 용수사용에 대한 신고항목 (수리권자) 407

〈표 3.2.28〉 재평가시 용수사용 및 배분 조정 방안 408

〈표 3.2.29〉 하천유지용수 확보를 위한 법ㆍ제도적 근거 확보 방안 409

〈표 3.2.30〉 하천유지용수 확보 방안 409

〈표 3.2.31〉 하천유지용수의 환경적 기능 확보 방안 410

〈표 3.2.32〉 하천 유황 및 환경 조사ㆍ분석체계 구축 방안 410

〈표 3.2.33〉 유수사용 허가신청서상의 취수목적 기재사항 413

〈표 3.2.34〉 주요 수요처별 대청댐 생ㆍ공용수 공급현황 424

〈표 3.2.35〉 대청댐 몽리면적 현황 427

〈표 3.2.36〉 사례 취수장 농업용수 공급현황 429

〈표 3.2.37〉 가뭄시 농업용수 취수량 분석 430

〈표 3.2.38〉 월별 대청댐 농업용수 최적공급량 추정 431

〈표 3.2.39〉 대청댐 댐사용권 설정현황 434

〈표 3.2.40〉 대청댐 농업용수 계획량 설정현황 434

〈표 3.2.41〉 대청댐 일일 방류량 분석 437

〈표 3.2.42〉 대청댐 생ㆍ공용수 예상 수요량 (2011년 기준) 442

〈표 3.2.43〉 무심천 하천유지요수 수량 산출 방식 444

〈표 3.2.44〉 비용 산정 방식 445

〈표 3.2.45〉 대전천 하천유지용수량 검토 446

〈표 3.2.46〉 대전천 유지용수 공급량 446

〈표 3.2.47〉 연도별 행정중심복합도시 생ㆍ공용수 수요량 448

〈표 3.2.48〉 추가용수 수요량 현황 448

〈표 3.2.49〉 생태계를 고려한 필요유량 산정결과 448

〈표 3.2.50〉 경관을 고려한 필요유량 산정결과 449

〈표 3.2.51〉 목표수질현황 449

〈표 3.2.52〉 수질개선을 위한 필요유량 449

〈표 3.2.53〉 대청댐 용수현황 450

〈표 3.2.54〉 추가용수 확보방안 450

〈표 3.2.55〉 지방자치단체별 하천유지용수(환경용수) 수요량 및 확보방안 452

〈표 3.2.56〉 생ㆍ공용수의 하천유지용수로의 전환에 따른 비용처리 방안 454

〈표 3.2.57〉 설문조사 개요 455

〈표 3.2.58〉 하천유지유량 관련 문제점 456

〈표 3.2.59〉 하천유지용수의 법적 지위 457

〈표 3.2.60〉 하천유지유량 확보방안 458

〈표 3.2.61〉 하천유지유량 확보를 위한 댐용수 재배분 방안의 타당성 459

〈표 3.2.62〉 하천유지유량 확보를 위한 댐용수 재배분 시의 비용부담 460

〈표 3.2.63〉 하천유지유량 확보의 법적 의무화 시 포함하천 461

〈표 3.2,64〉 하천유지유량과 환경용수량 간의 개념적 관계 461

〈표 3.2.65〉 환경 용수의 법적 지위 463

〈표 3.2.66〉 환경용수에 대한 수리권 설정의 필요성 463

〈표 3.2.67〉 환경용수의 수리권 설정과 물값 부과 방안 464

〈표 3.2.68〉 환경용수에 대한 물값 부과 시 부담주체 465

〈표 3.2.69〉 환경용수에 대한 물값 부과 시 부담수준 466

〈표 3.2.70〉 환경용수 확보를 위한 단기적 방안 467

〈표 3.2.71〉 환경용수의 주요 특성 473

〈표 3.2.72〉 연령대별 응답자 수 489

〈표 3.2.73〉 연령대별 가족수 489

〈표 3.2.74〉 직업별 응답자 수 490

〈표 3.2.75〉 무심천으로부터 거주지까지의 거리 490

〈표 3.2.76〉 무심천에 대한 만족도 491

〈표 3.2.77〉 무심천 수위변화 인식여부 491

〈표 3.2.78〉 제시금액별 찬성비율 492

〈표 3.2.79〉 효용함수 추정결과 493

〈표 3.2.80〉 설문장소별 효용함수 추정결과 495

〈표 3.2.81〉 Tennant 방법에 제시된 하천유지유량 추천값 502

〈표 3.2.82〉 적절한 하천유지유량을 위한 알칸사스 방법 504

〈표 3.2.83〉 사우스캐롤라이나 주 자연자원국 방법 505

〈표 3.2.84〉 미국 서부 11개 주의 하천유지용수 입법화 현황 510

〈표 3.2.85〉 하천유지유량 설정 시 고려항목:영국 요크셔 515

〈표 3.2.86〉 환경점수에 따른 최대허용 취수량 516

〈표 3.2.87〉 일본의 환경용수 확보방식의 구체적 사례 529

〈표 3.2.88〉 생ㆍ공용수의 하천유지용수로의 전환방안 532

〈표 3.2.89〉 수계별 목표수질 달성률(2003년) 545

〈표 3.2.90〉 등급별 목표수질 달성현황(2003년) 546

〈표 3.2.91〉 전국 하천의 수질등급 현황 546

〈표 3.2.92〉 4대 강유역별 설치현황 547

〈표 3.2.93〉 수질자동측정망 운영체계도 547

〈표 3.2.94〉 한강유역의 중권역별 대표지점과 수질측정망 현황 548

〈표 3.2.95〉 낙동강 유역의 중권역별 대표지점과 수질측정망 현황 550

〈표 3.2.96〉 영산강 수계의 하천수 수질측정 지점 현황 552

〈표 3.2.97〉 섬진강 수계의 수질측정 지점 현황 553

〈표 3.2.98〉 영상강ㆍ섬진강 수계 주요지점의 연도별 BOD 변화 554

〈표 3.2.99〉 오염원그룹별 점오염원 및 비점오염원 구분표 556

〈표 3.2.100〉 인구산정 개요도 557

〈표 3.2.101〉 생활계 가정인구 발생부하 원단위 및 분뇨발생부하비 558

〈표 3.2.102〉 생활계 영업장 오수발생 표준농도 559

〈표 3.2.103〉 정화시설 기준처리율 561

〈표 3.2.104〉 축산 분뇨 발생부하원단위 562

〈표 3.2.105〉 축종별 폐수처리시설 유입농도 563

〈표 3.2.106〉 축산폐수배출시설 방류수 수질기준 563

〈표 3.2.107〉 축산분뇨자원화시설의 축분처리방법별 처리율과 농지배출계수 564

〈표 3.2.108〉 축산폐수처리시설로부터의 슬러지 배출계수 564

〈표 3.2.109〉 산업폐수 발생량 산정 개요도 565

〈표 3.2.110〉 업종별 산업폐수 표준발생농도 566

〈표 3.2.111〉 폐수배출허용기준농도 569

〈표 3.2.112〉 산정 개요도 569

〈표 3.2.113〉 양식장 사료투여량 대비 발생부하비 570

〈표 3.2.114〉 양식장 발생부하원단위 570

〈표 3.2.115〉 비점오염원 산정 개요도 571

〈표 3.2.116〉 토지계 지목별 발생부하원단위 572

〈표 3.2.117〉 행정구역별 인구 현황 573

〈표 3.2.118〉 행정구역별 축산 사육 현황 577

〈표 3.2.119〉 행정구역별 산업 현황 579

〈표 3.2.120〉 행정구역별 토지 이용 현황 581

〈표 3.2.121〉 행정구역별 양식장 현황 583

〈표 3.2.122〉 행정구역별 인구현황 586

〈표 3.2.123〉 행정구역별 축산사육 현황 589

〈표 3.2.124〉 행정구역별 산업현황 590

〈표 3.2.125〉 행정구역별 토지 이용 현황 592

〈표 3.2.126〉 행정구역별 양식장현황 593

〈표 3.2.127〉 영산강 유역의 하수처리분류별 인구 596

〈표 3.2.128〉 섬진강 유역의 하수처리분류별 인구 597

〈표 3.2.129〉 영산강 유역의 축산사육두수 현황 598

〈표 3.2.130〉 섬진강 유역의 축산사육두수 현황 599

〈표 3.2.131〉 영산강 유역의 산업폐수 배출업소 현황 600

〈표 3.2.132〉 섬진강 유역의 산업폐수 배출업소 현황 601

〈표 3.2.133〉 영산강 유역의 양식장 현황 602

〈표 3.2.134〉 섬진강 유역의 양식장 현황 602

〈표 3.2.135〉 영산강 유역 토지이용 현황 (지목별 면적) 603

〈표 3.2.136〉 섬진강 유역 토지이용 현황 (지목별 면적) 604

〈표 3.2.137〉 영산강 유역의 환경기초시설 현황 605

〈표 3.2.138〉 섬진강 유역의 환경기초시설 현황 605

〈표 3.2.139〉 장래 1인1일급수량(저수요) 606

〈표 3.2.140〉 장래 1인1일급수량(기준수요) 607

〈표 3.2.141〉 장래 1인1일급수량(고수요) 607

〈표 3.2.142〉 장래 상수도수요량 (저수요) 608

〈표 3.2.143〉 장래 상수도수요량 (기준수요) 609

〈표 3.2.144〉 장래 상수도수요량 (고수요) 609

〈표 3.2.145〉 장래 미급수수요량 610

〈표 3.2.146〉 지하수이용량 610

〈표 3.2.147〉 장래 생활용수 수요량 (저수요) 611

〈표 3.2.148〉 장래 생활용수 수요량 (기준수요) 611

〈표 3.2.149〉 장래 생활용수 수요량 (고수요) 612

〈표 3.2.150〉 권역별 생활용수 수요량 산정결과 612

〈표 3.2.151〉 시나리오별 시도별 공업용수 수요량 산정결과 613

〈표 3.2.152〉 권역별 공업용수 수요량 산정결과 614

〈표 3.2.153〉 팔당호상류 유역 인구현황 616

〈표 3.2.154〉 팔당호상류 유역 토지현황 616

〈표 3.2.155〉 팔당호상류 유역 산업현황 617

〈표 3.2.156〉 팔당호상류 유역 축산사육현황 618

〈표 3.2.157〉 하천수 수질 측정항목, 조사횟수 및 조사시기 619

〈표 3.2.158〉 중권역별 행정구역에 따른 하천수 측정지점 현황 619

〈표 3.2.159〉 2004년 팔당호 상류유역 하천수 주요지점 수질현황(연평균 BOD와 DO) 620

〈표 3.2.160〉 호소수 수질 측정항목, 조사횟수 및 조사시기 621

〈표 3.2.161〉 중권역별 행정구역에 따른 호소수 측정지점 현황 622

〈표 3.2.162〉 2004년 팔당호 상류유역 호소수 주요지점 수질현황(연평균 BOD와 DO) 623

〈표 3.2.163〉 한강 유역 환경기초시설 현황 624

〈표 3.2.164〉 팔당호상류 유역 BOD 발생부하량 625

〈표 3.2.165〉 팔당호상류 유역 오염원별 BOD 발생부하량 626

〈표 3.2.166〉 팔당호상류 유역 BOD 배출부하량 627

〈표 3.2.167〉 팔당호상류 유역 오염원별 BOD 배출부하량 628

〈표 3.2.168〉 강원도 수자원의 팔당호 기여도 분석(2000년~2004년) 630

〈표 3.2.169〉 충청북도 수자원의 팔당호 기여도 분석(2000년~2004년) 631

〈표 3.2.170〉 경기도 수자원의 팔당호 기여도 분석(2000년~2004년) 631

〈표 3.2.171〉 지자체별 수자원의 팔당호 기여도 종합(2000년~2004년) 632

〈표 3.2.172〉 생활배수 발생원단위 634

〈표 3.2.173〉 산업폐수 발생원단위 635

〈표 3.2.174〉 축산폐수 발생원단위 635

〈표 3.2.175〉 NBOD Decay Rates 644

〈표 3.2.176〉 K-WEAP 예제풀이 요약 652

〈표 3.2.177〉 하천 수질환경기준 적용등급 지정현황 659

〈표 3.3.1〉 K-WEAP의 1단계 개발 내용 664

〈표 3.3.2〉 K-WEAP의 2단계 기능개선 664

부록 표 1-1. 신상천 유역 1차 수질자료 703

부록 표 1-2. 신상천 유역 2차 수질자료 704

부록 표 1-3. 신상천 유역 3차 수질자료 705

부록 표 1-4. 신상천 유역 4차 수질자료 706

부록 표 1-5. 장요천 유역 1차 수질자료 707

부록 표 1-6. 장요천 유역 2차 수질자료 708

부록 표 1-7. 장요천 유역 3차 수질자료 709

부록 표 1-8. 장요천 유역 4차 수질자료 710

부록 표 1-9. 청지천 유역 1차 수질자료 711

부록 표 1-10. 청지천 유역 2차 수질자료 712

부록 표 1-11. 청지천 유역 3차 수질자료 713

부록 표 1-12. 도당천 유역 1차 수질자료 714

부록 표 1-13. 도당천 유역 2차 수질자료 715

부록 표 1-14. 도당천 유역 3차 수질자료 716

부록 표 1-15. 도당천 본류 1차 오염물질 유출조사 717

부록 표 1-16. 도당천 본류 2차 오염물질 유출조사 718

부록 표 1-17. 도당천 본류 3차 오염물질 유출조사 719

부록 표 1-18. 도당천 본류 4차 오염물질 유출조사 720

부록 표 1-19. 도당천 본류 5차 오염물질 유출조사 721

부록 표 1-20. 도당천 본류 6차 오염물질 유출조사 722

부록 표 1-21. 도당천 본류 7차 오염물질 유출조사 723

부록 표 1-22. 도당천 본류 8차 오염물질 유출조사 724

부록 표 1-23. 도당천 지류 1차 오염물질 유출조사 725

부록 표 1-24. 도당천 지류 2차 오염물질 유출조사 726

부록 표 1-25. 도당천 지류 3차 오염물질 유출조사 727

부록 표 1-26. 도당천 지류 4차 오염물질 유출조사 728

부록 표 1-27. 도당천 지류 5차 오염물질 유출조사 729

부록 표 1-28. 도당천 지류 6차 오염물질 유출조사 730

부록 표 1-29. 도당천 지류 7차 오염물질 유출조사 731

부록 표 1-30. 도당천 지류 8차 오염물질 유출조사 732

〈그림 2.1.1〉 K-WEAP의 세계적 활용 현황 67

〈그림 3.1.1〉 K-WEAP을 통한 수자원계획 수립, 분석 절차 72

〈그림 3.1.2〉 물이용 순환체계 74

〈그림 3.1.3〉 댐 건설 전 물부족량 산정 76

〈그림 3.1.4〉 댐 건설 후 물부족량 산정 76

〈그림 3.1.5〉 하수처리장 건설 전의 지표수 수질 78

〈그림 3.1.6〉 하수처리장 건설 후의 지표수 수질 78

〈그림 3.1.7〉 서산시 유역 분할 82

〈그림 3.1.8〉 서산시 네트워크 구축 83

〈그림 3.1.9〉 담수호 수질 현황 84

〈그림 3.1.10〉 목표연도별 용수별 수요량대비부족량(담수호사용안함) 87

〈그림 3.1.11〉 목표연도별 용수별 수요량대비부족량(담수호사용) 88

〈그림 3.1.12〉 실측치와 K-WEAP 계산치의 수질비교 89

〈그림 3.1.13〉 목표연도별 간월호 월별 오염물 유입량 90

〈그림 3.1.14〉 보령다목적댐의 WSCI와 SWSCI 산정결과 95

〈그림 3.1.15〉 2001년 9월 전국 가뭄현황 96

〈그림 3.1.16〉 K-WEAPq의 수질모의 방법 97

〈그림 3.1.17〉 Qual2k 초기화면 110

〈그림 3.1.18〉 낙동강 하도구간 매개변수 산정 111

〈그림 3.1.19〉 물수지 및 수질 분석을 위한 낙동강 유역의 네트워크 구성 112

〈그림 3.1.20〉 K-WEAPq를 통한 낙동강 본류의 수질분석 결과 113

〈그림 3.1.21〉 낙동강 본류 2003년 월별 수질 변화(목표연도 2011년) 114

〈그림 3.1.22〉 낙동강 본류 연도별 9월 수질 변화(목표연도 2016년) 115

〈그림 3.1.23〉 금호강수질(BOD) 116

〈그림 3.1.24〉 남강수질(Ammonia-N) 116

〈그림 3.1.25〉 위천수질(T-P) 116

〈그림 3.1.26〉 밀양강수질(Nitrate-N) 116

〈그림 3.1.27〉 내성천수질(BOD) 117

〈그림 3.1.28〉 황강수질(Ammonia-N) 117

〈그림 3.1.29〉 회천수질(T-P) 117

〈그림 3.1.30〉 영강수질(Nitrate-N) 117

〈그림 3.1.31〉 금호강 본류 연도별 8월 수질 변화(목표연도 2011년) 118

〈그림 3.1.32〉 낙동강 본류 시나리오별 수질변화(2003년 4월, 목표연도 2011년) 120

〈그림 3.1.33〉 하천유지유량 평가를 위한 네트워크의 구성 122

〈그림 3.1.34〉 하천유지유량 부족량 결과 그래프 123

〈그림 3.1.35〉 모의시간 단위별 평균 하천유지유량 부족량 123

〈그림 3.1.36〉 제1차 K-WEAP 교육 자료집과 한글판 사용자 안내서 130

〈그림 3.1.37〉 업데이트된 K-WEAP 평가판 CD와 K-WEAP 팜플렛 130

〈그림 3.1.38〉 K-WEAP 국제공동웍샵 초대장 및 일정표 133

〈그림 3.1.39〉 K-WEAP 국제공동웍샵 배포자료 134

〈그림 3.1.40〉 K-WEAP 국제공동웍샵 발표현장 135

〈그림 3.1.41〉 K-WEAP 활용을 위한 정보공유 개념도 136

〈그림 3.1.42〉 홈페이지 수정, 보완 137

〈그림 3.1.43〉 비점원오염원에 대한 DB 구축 및 자료 제공 137

〈그림 3.1.44〉 점원오염원에 대한 DB 구축 및 자료 제공 138

〈그림 3.1.45〉 조사대상 하천 유역도 140

〈그림 3.1.46〉 반양천의 년 중 수질변화 143

〈그림 3.1.47〉 삼송천의 년 중 수질변화 144

〈그림 3.1.48〉 중곡천의 년 중 수질변화 145

〈그림 3.1.49〉 도당천의 년 중 수질변화 146

〈그림 3.1.50〉 쌍효천의 년 중 수질변화 147

〈그림 3.1.51〉 농경지 비율에 따른 Median 농도의 변화 149

〈그림 3.1.52〉 농경지 비율에 따른 년 간 오염물질 변동율 150

〈그림 3.1.53〉 강우시 오염물질 유출 특성 154

〈그림 3.1.54〉 부유물질의 EMC 값의 확률분포 155

〈그림 3.1.55〉 측정값과 계산값의 관계 160

〈그림 3.1.56〉 EMC 값의 누적 확률분포 161

〈그림 3.1.57〉 부하량의 월 별 분포 162

〈그림 3.1.58〉 EMC 측정값과 계산값의 비교 163

〈그림 3.1.59〉 강우깊이와 포착율과의 관계 165

〈그림 3.1.60〉 연속적인 강우사상에 따른 오염물질 부하량의 산출 166

〈그림 3.1.61〉 신상천 유역 형상 186

〈그림 3.1.62〉 신상천 유역 토지이용 186

〈그림 3.1.63〉 신상천 유량측정 지점 종단면 187

〈그림 3.1.64〉 장요천 유역 형상 188

〈그림 3.1.65〉 장요천 유역 토지이용 188

〈그림 3.1.66〉 장요천 유량측정 지점 종단면 189

〈그림 3.1.67〉 청지천 유역 형상 190

〈그림 3.1.68〉 청지천 유역 토지이용 190

〈그림 3.1.69〉 횡단측량에 의해 작성된 청지천 횡단면도 191

〈그림 3.1.70〉 도당천 유역 형상 192

〈그림 3.1.71〉 도당천 유역 토지이용 192

〈그림 3.1.72〉 횡단측량에 의해 작성된 도당천 횡단면도 193

〈그림 3.1.73〉 신상천 수위-유량 곡선 196

〈그림 3.1.74〉 장요천 수위-유량 곡선 196

〈그림 3.1.75〉 청지천 수위-유량 곡선 197

〈그림 3.1.76〉 도당천 수위-유량 곡선 197

〈그림 3.1.77〉 신상천 1차 강우 유출조사시 시강우량과 유량 198

〈그림 3.1.78〉 신상천 유역에서 1차 강우시 관측된 Pollutographs 199

〈그림 3.1.79〉 신상천 2차 강우 유출조사시 시강우량과 유량 201

〈그림 3.1.80〉 신상천 유역에서 2차 강우시 관측된 Pollutographs 201

〈그림 3.1.81〉 신상천 3차 강우 유출조사시 시강우량과 유량 203

〈그림 3.1.82〉 신상천 유역에서 3차 강우시 관측된 Pollutographs 204

〈그림 3.1.83〉 신상천 4차 강우 유출조사시 시강우량과 유량 206

〈그림 3.1.84〉 신상천 유역에서 4차 강우시 관측된 Pollutographs 206

〈그림 3.1.85〉 장요천 1차 강우 유출조사시 시강우량과 유량 208

〈그림 3.1.86〉 장요천 유역에서 1차 강우시 관측된 Pollutographs 209

〈그림 3.1.87〉 장요천 2차 강우 유출조사시 시강우량과 유량 211

〈그림 3.1.88〉 장요천 유역에서 2차 강우시 관측된 Pollutographs 211

〈그림 3.1.89〉 장요천 3차 강우 유출조사시 시강우량과 유량 213

〈그림 3.1.90〉 장요천 유역에서 3차 강우시 관측된 Pollutographs 214

〈그림 3.1.91〉 장요천 4차 강우 유출조사시 시강우량과 유량 216

〈그림 3.1.92〉 장요천 유역에서 4차 강우시 관측된 Pollutographs 216

〈그림 3.1.93〉 청지천 1차 강우 유출조사시 시강우량과 유량 218

〈그림 3.1.94〉 청지천 유역에서 1차 강우시 관측된 Pollutographs 219

〈그림 3.1.95〉 청지천 2차 강우 유출조사시 시강우량과 유량 221

〈그림 3.1.96〉 청지천 유역에서 2차 강우시 관측된 Pollutographs 221

〈그림 3.1.97〉 청지천 3차 강우 유출조사시 시강우량과 유량 223

〈그림 3.1.98〉 청지천 유역에서 2차 강우시 관측된 Pollutographs 224

〈그림 3.1.99〉 도당천 1차 강우 유출 조사시 시강우량과 유량 226

〈그림 3.1.100〉 도당천 유역에서 1차 강우시 관측된 Pollutographs 226

〈그림 3.1.101〉 도당천 2차 강우 유출 조사시 시강우량과 유량 228

〈그림 3.1.102〉 도당천 유역에서 2차 강우시 관측된 Pollutographs 229

〈그림 3.1.103〉 도당천 3차 강우 유출 조사시 시강우량과 유량 231

〈그림 3.1.104〉 도당천 유역에서 3차 강우시 관측된 Pollutographs 231

〈그림 3.1.105〉 청치천 1차 강우 유출 조사시 시강우량과 유량 233

〈그림 3.1.106〉 청지천 유역에서 1차 강우시 관측된 Pollutographs 234

〈그림 3.1.107〉 청치천 2차 강우 유출 조사시 시강우량과 유량 235

〈그림 3.1.108〉 청지천 유역에서 2차 강우시 관측된 Pollutographs 236

〈그림 3.1.109〉 도당천 1차 강우 유출 조사시 시강우량과 유량 237

〈그림 3.1.110〉 도당천 유역에서 1차 강우시 관측된 Pollutographs 238

〈그림 3.1.111〉 도당천 2차 강우 유출 조사시 시강우량과 유량 239

〈그림 3.1.112〉 도당천 유역에서 2차 강우시 관측된 Pollutographs 240

〈그림 3.1.113〉 도당천 3차 강우 유출 조사시 시강우량과 유량 241

〈그림 3.1.114〉 도당천 유역에서 3차 강우시 관측된 Pollutographs 242

〈그림 3.1.115〉 강우시 특정유역으로부터 오염물질 유출 특성 244

〈그림 3.1.116〉 연속적인 강우사상에 따른 오염물질 부하량의 산출 253

〈그림 3.1.117〉 EMC 값 산출공식의 검증 255

〈그림 3.1.118〉 Runoff event processes within AnnAGNPS(1) 257

〈그림 3.1.119〉 Runoff event processes within AnnAGNPS(2) 257

〈그림 3.1.120〉 The layout of AnnAGNPS Model 259

〈그림 3.1.121〉 Input data of AGNPS v5.0 260

〈그림 3.1.122〉 AnnAGNPS Input data processed convert(1) 261

〈그림 3.1.123〉 AnnAGNPS Input data processed convert(2) 261

〈그림 3.1.124〉 VBFlonet module 263

〈그림 3.1.125〉 Layout of Flownet Generator using DEM 264

〈그림 3.1.126〉 Initial window of Input Editor Module 264

〈그림 3.1.127〉 Import Input data by using AnnAGNPS Input Editor 265

〈그림 3.1.128〉 Climatic Data of AnnAGNPS 266

〈그림 3.1.129〉 Output Process Module 267

〈그림 3.1.130〉 Schematic representation of the hydrologic cycle 271

〈그림 3.1.131〉 HRU/Subbasin command loop (Arnold et al., 2002a) 271

〈그림 3.1.132〉 대상유역 273

〈그림 3.1.133〉 수치고도도 274

〈그림 3.1.134〉 토지이용도 275

〈그림 3.1.135〉 토양도 276

〈그림 3.1.136〉 배수면적도 277

〈그림 3.1.137〉 하천길이도 277

〈그림 3.1.138〉 도당천 횡단면도 작성 279

〈그림 3.1.139〉 청지천 횡단면도 작성 280

〈그림 3.1.140〉 수위-유량 관계곡선식 280

〈그림 3.1.141〉 각 매개변수들의 변화율에 따른 첨두유출량의 변화율 289

〈그림 3.1.142〉 각 매개변수들의 변화율에 따른 총 유출량의 변화율 290

〈그림 3.1.143〉 강우사상별 유효유량 291

〈그림 3.1.144〉 강우사상별 발생유출량 292

〈그림 3.1.145〉 유출량 비교 - 2005. 7. 9 ~ 2005. 7 11 293

〈그림 3.1.146〉 유출량 비교 - 2005. 7. 28 294

〈그림 3.1.147〉 유출량 비교 - 2005. 8. 1 294

〈그림 3.1.148〉 유출량 비교 - 2006. 7. 16 ~ 2006. 7. 17 295

〈그림 3.1.149〉 유출량 비교 - 2006. 7. 26 ~ 2006. 7. 30 295

〈그림 3.1.150〉 강우사상별 총 질소 발생량 296

〈그림 3.1.151〉 강우사상별 총 인 발생량 297

〈그림 3.1.152〉 강우사상별 질소(N)에 대한 유량가중 평균농도 298

〈그림 3.1.153〉 강우사상별 인(P)에 대한 유량가중 평균농도 299

〈그림 3.1.154〉 유량-오염부하량 관계식 [T-N] 300

〈그림 3.1.155〉 유량-오염부하량 관계식 [T-P] 300

〈그림 3.1.156〉 자료비교를 통한 오염부하량 평가(도당천 - 2005. 5. 19) 304

〈그림 3.1.157〉 자료비교를 통한 오염부하량 평가(도당천 - 2005. 6. 2) 306

〈그림 3.1.158〉 자료비교를 통한 오염부하량 평가(도당천 - 2005. 6. 27) 308

〈그림 3.1.159〉 자료비교를 통한 오염부하량 평가(도당천 - 2006. 7. 16 ~ 2006. 7. 17) 310

〈그림 3.1.160〉 자료비교를 통한 오염부하량 평가(도당천 - 2006. 7. 26 ~ 2006. 7. 30) 312

〈그림 3.1.161〉 자료비교를 통한 오염부하량 평가(청지천 - 2005. 5. 19) 314

〈그림 3.1.162〉 자료비교를 통한 오염부하량 평가(청지천 - 2005. 6. 2) 316

〈그림 3.1.163〉 자료비교를 통한 오염부하량 평가(청지천 - 2005. 6. 27) 318

〈그림 3.1.164〉 월 평균 강우-유출량 산정 - 도당천 320

〈그림 3.1.165〉 월 평균 강우-유출량 산정 - 청지천 320

〈그림 3.1.166〉 월 평균 발생오염부하량 - 도당천 321

〈그림 3.1.167〉 월 평균 발생오염부하량 - 청지천 321

〈그림 3.1.168〉 도당천 본류 및 지류 수질조사 지점도 324

〈그림 3.1.169〉 도당천 본류에서 계절별/구간별 수질변화 330

〈그림 3.1.170〉 도당천 유입 주요지류의 수질변화 331

〈그림 3.1.171〉 도당천 유입 주요지류의 유량, 농도 및 부하량 332

〈그림 3.1.172〉 도당천 본류의 유량, 농도, 부하량의 변화 333

〈그림 3.1.173〉 청지천 본류 및 지류 수질조사 지점도 340

〈그림 3.1.174〉 청지천 본류에서 구간별 수질변화 343

〈그림 3.1.175〉 청지천 유입 주요지류의 수질변화 344

〈그림 3.1.176〉 청지천 유입 주요지류의 유량, 농도 및 부하량 345

〈그림 3.1.177〉 청지천 본류의 유량, 농도, 부하량의 변화 346

〈그림 3.1.178〉 서산 하수처리장 방류수질의 누적확률분포 352

〈그림 3.1.179〉 오염부하량 산정 프로그램 메인 화면 356

〈그림 3.1.180〉 오염부하량 산정 프로그램 원단위법 생활계 모의 화면 357

〈그림 3.1.181〉 오염부하량 산정 프로그램 원단위법 생활계 모의 결과 화면 358

〈그림 3.1.182〉 오염부하량 산정 프로그램 원단위법 축산계 모의 화면 361

〈그림 3.1.183〉 오염부하량 산정 프로그램 원단위법 토지계 모의 화면 362

〈그림 3.1.184〉 웹사이트에 제시된 EMC 경험식 363

〈그림 3.1.185〉 오염부하량 산정 프로그램 EMC법 모의 화면 364

〈그림 3.2.1〉 대전광역시 생활용수 사용현황 373

〈그림 3.2.2〉 용수사용 평가체계의 개념적 틀 394

〈그림 3.2.3〉 신규 용수사용 허가 396

〈그림 3.2.4〉 기존 용수사용 재평가 399

〈그림 3.2.5〉 하천유지용수의 확보 402

〈그림 3.2.6〉 용수사용 허가ㆍ평가를 위한 기반구축 405

〈그림 3.2.7〉 신규 수리권 허가절차 412

〈그림 3.2.8〉 기존 수리권 재평가절차 417

〈그림 3.2.9〉 댐용수 재배분 가능량 평가방법 421

〈그림 3.2.10〉 연도별 대청댐 생ㆍ공용수 공급현황 423

〈그림 3.2.11〉 월별 대청댐 생ㆍ공 용수 공급현황 425

〈그림 3.2.12〉 대청댐 농업용수 공급량 추정방법 426

〈그림 3.2.13〉 대청댐 계획량 및 수리권 허가량 비교 428

〈그림 3.2.14〉 연간 대청댐 용수공급량 432

〈그림 3.2.15〉 월별 대청댐 용수공급량 433

〈그림 3.2.16〉 월별 대청댐 '댐 계획량' 현황 435

〈그림 3.2.17〉 대청댐 연간 총 방류량 현황 436

〈그림 3.2.18〉 대청댐 월별 총 방류량 현황 436

〈그림 3.2.19〉 연간 대청댐 방류량 비교 438

〈그림 3.2.20〉 월별 대청댐 방류량 비교 439

〈그림 3.2.21〉 연간 대청댐 재배분 가능량 추정 439

〈그림 3.2.22〉 사용용도별 대청댐 재 배분 가능량 440

〈그림 3.2.23〉 월별 대청댐 재배분 가능량 441

〈그림 3.2.24〉 장래 대청댐 재배분 가능량 (2011년 기준) 442

〈그림 3.2.25〉 이중투표모형에서의 응답결과에 따른 지불의사의 확률분포 485

〈그림 3.2.26〉 환경용수의 추가적 확보가 필요한 유발요인과 시기의 관계 523

〈그림 3.2.27〉 수자원관리종합 정보시스템 홈페이지 메인 화면 539

〈그림 3.2.28〉 홍수통제소(한강) 홈페이지 메인화면 540

〈그림 3.2.29〉 물환경 정보시스텝 메인화면 540

〈그림 3.2.30〉 연도별 수질변화 추이 (BOD,mg/ℓ) 544

〈그림 3.2.31〉 수계별 상하류간 수질변화 패턴(BOD,mg/ℓ) 544

〈그림 3.2.32〉 수질환경기준 달성률 추이 545

〈그림 3.2.33〉 한강유역의 하천별 연평균 BOD 도시 549

〈그림 3.2.34〉 낙동강 유역의 하천별 2001년 평균 BOD 도시 551

〈그림 3.2.35〉 영산강 수계의 하천수 수질측정망 위치도 552

〈그림 3.2.36〉 섬진강 수계의 수질측정망 위치도 553

〈그림 3.2.37〉 수자원 평가 지원시스템 개념도 555

〈그림 3.2.38〉 오염총량 관리를 위한 기여도 평가방법 615

〈그림 3.2.39〉 팔당호상류 유역 하천수 수질측정망 현황도 620

〈그림 3.2.40〉 팔당호상류 유역 호소수 수질측정망 현황도 622

〈그림 3.2.41〉 기초시설 전체 현황도 623

〈그림 3.2.42〉 팔당호상류 유역 BOD 발생부하량 현황도 625

〈그림 3.2.43〉 팔당호상류 유역 BOD 배출부하량 현황도 627

〈그림 3.2.44〉 대상지점 유량산정 결과(2004년) 629

〈그림 3.2.45〉 팔당호 상류 수자원의 영향성 평가 630

〈그림 3.2.46〉 유역에서의 물흐름과 오염물질 유입경로 모식도(Representation of flows and pollution loads(Wheeler, 1999)) 640

〈그림 3.2.47〉 하천의 수심에 따른 총 제거율 643

〈그림 3.2.48〉 Streeter-Phelps DO Model 645

〈그림 3.2.49〉 Streeter-Phelps Anoxic Zones 647

〈그림 3.2.50〉 유입 지천이 없는 구간에서의 Qual2k 하천모의 개요도(Qual2k Documentation and Manual(US-EPA, 2006.7) 658

〈그림 3.2.51〉 낙동강 유역 목표수질 661

〈그림 3.2.52〉 낙동강 유역 오염물질(인구, 축산, 산업, 토지, 양식장) 발생, 배출 부하량 DB 662

〈그림 3.2.53〉 낙동강 수질모의를 위한 모식도 663

〈그림 3.2.54〉 낙동강 수질모의 결과(fast-BOD) 663

〈그림 3.3.1〉 수요처간 또는 하수처리장과 수요처간 취입수로 연결 665

〈그림 3.3.2〉 수온모의 개념도 667

〈그림 3.3.3〉 K-WEAP 수온모의 환경 설정 668

〈그림 3.3.4〉 K-WEAP 수온모의를 위한 기후자료 입력 669

〈그림 3.3.5〉 K-WEAP 모의결과의 공간적 변화(1) 670

〈그림 3.3.6〉 K-WEAP 모의결과의 공간적 변화(2) 671

〈그림 3.3.7〉 사용자 정의보고서 672

〈그림 3.3.8〉 입력데이타 변수보기 673

〈그림 3.3.9〉 초과비율 그래프 674

〈그림 3.3.10〉 K-WEAP 한글 도움말(1차년도) 675

〈그림 3.3.11〉 비용과 수익 입력 678

〈그림 3.3.12〉 경제성 분석 결과 680

〈그림 3.3.13〉 유량관측지점 기능개선 681

〈그림 3.3.14〉 수요처의 최대 허용농도 682

〈그림 3.3.15〉 수요처 수질 입력 683

〈그림 3.3.16〉 지역 관리 기능 개선 684

〈그림 3.3.17〉 K-WEAP 한글 도움말 685

〈그림 3.3.18〉 수질모의 결정화면 687

〈그림 3.3.19〉 K-WEAP과 Oual2k 연계시스템 분석가능한 오염원 688

〈그림 3.3.20〉 K-WEAP과 Qual2k 연계시스템 오염원 자료 입력 689

〈그림 3.3.21〉 K-WEAP과 Qual2k 연계시스템을 이용한 수질모의 691

〈그림 3.3.22〉 K-WEAP과 Oual2k 연결방법 692

〈그림 3.3.23〉 저수지의 수질모의 개념도 695

〈그림 3.3.24〉 시나리오 간 비교 분석 기능 696

〈그림 3.3.25〉 지하수유입손실량 입력 697

〈그림 3.3.26〉 K-WEAP 한글 도움말 699

부록 그림 2-1. The upper pan of the Headwater Worksheet used to enter the headwater's constant characteristics and to specify its hydraulics. 741

부록 그림 2-2. The first part of the Reach Worksheet used to specify reach labls, distances and elevations. 742

부록 그림 2-3. The reaches of a Nakdong river system. 742

부록 그림 2-4. The part of the Reach Worksheet used to specify the system's hydraulics. 743

부록 그림 2-5. The last part of the Reach Worksheet. 744

부록 그림 2-6. The Air Temperature Worksheet. 746

부록 그림 2-7. The part of the Rates Worksheet used to input stoichiometry and rate parameters for inorganic suspended solids and oxygen. 748

부록 그림 2-8. The pull-down menu for global reaeration rates. 749

부록 그림 2-9. The part of the Rates Worksheet used to input rate parameters for slow CBOD, fast CBOD, organic N, ammonium, nitrate, and organic P. 750

부록 그림 2-10. The part of the Rates Worksheet used to input rate parameters for phytoplankton, bottom algae, detritus, pathogens and pH. 751

부록 그림 2-11. The pull-down menu to select the light model for phytoplankton growth. 752

부록 그림 2-12. The Light Worksheet used to input light-related parameters. 753

부록 그림 2-13. The Point Sources Worksheet. 755

부록 그림 2-14. Temperature for the Boulder, CO wastewater treatment plant effluent on Sept. 21-22, 1987 along with a sinusoidal fit to the data. 756

부록 그림 2-15. The Diffuse Sources Worksheet. 756

부록 그림 2-16. The Hydraulics Data Worksheet. 757

부록 그림 2-17. The Temperature Data Worksheet. 758

부록 그림 2-18. The first part of the Water Quality Data Worksheet. 759

부록 그림 2-19. The last part of the Water Quality Data Worksheet. 760

부록 그림 2-20. The Diel Data Worksheet. 760

부록 그림 2-21. The Source Summary Worksheet. 761

부록 그림 2-22. The Hydraulics Summary Worksheet. 761

부록 그림 2-23. The Temperature Output Worksheet. 762

부록 그림 2-24. The first part of the Water Quality Output Worksheet. 762

부록 그림 2-25. The last part of the Water Quality Output Worksheet. 763

부록 그림 2-26. The Sediment Flux Worksheet. 763

부록 그림 2-27. The Diel Output Worksheet. 764

부록 그림 2-28. The plot of dissolved oxygen versus distance downstream in km. 764

부록 그림 2-29. The plot of fBOD versus distance downstream in km. 766

부록 그림 2-30. The diel plot of the Dissolved Oxygen versus time of day. 766

〈사진 3.1.1〉 신상천유역 수위관측 지점 187

〈사진 3.1.2〉 장요천유역 수위관측 지점 189

〈사진 3.1.3〉 청지천유역 수위관측 지점 191

〈사진 3.1.4〉 도당천유역 수위관측 지점 193

〈사진 3.1.5〉 조사대상 하천에서 수위 및 유량측정 194

〈사진 3.1.6〉 도당천 하천횡단측량 278

〈사진 3.1.7〉 청지천 하천횡단측량 279

〈사진 3.1.8〉 유량측정 - 도당천 284

〈사진 3.1.9〉 유량측정 - 청지천 285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T000019040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이용불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