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안양천 유역의 물순환 건전화 기술개발 / 과학기술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과천] : 과학기술부, 2007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자료실
해당자료 없음
형태사항
lxii, 1114, xvi p. : 삽화, 도표, 사진, 지도 ; 30 cm
제어번호
MONO1200715988
주기사항
주관연구기관: 서울대학교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개발사업"의 세부과제임
주관연구책임자: 이길성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보고서 초록

요약문

SUMMARY

목차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64

제1절 연구의 필요성 64

1. 물순환 건전화를 위한 기술적용 및 사업추진 65

2. 물순환 건전화 대안 기술의 효과분석 67

3. 안양천 실시간 수문 모니터링 시스템 및 수문 DB의 안정화 구축 67

4. 유역협의체 구성 및 지원 68

제2절 연구개발의 목표 및 내용 70

1. 2단계 연구개발의 목표 및 내용 70

가. 안양천 물순환 건전화 기술적용 및 사업추진 70

나. 물순환 건전화 대안기술의 효과분석 72

다. 안양천 실시간 수문 모니터링 시스템 및 수문 DB의 안정화 구축 73

라. 유역협의체 구성 및 지원 73

2. 연차별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75

가. 안양천 물순환 건전화 기술적용 및 사업추진 75

나. 물순환 건전화를 위한 대안기술의 효과분석 76

다. 안양천 실시간 수문 모니터링 시스템 및 수문 DB의 안정화 구축 77

라. 유역협의체 구성 및 지원 78

3. 기관별 연구체계 79

가. 안양천 물순환 건전화 기술적용 및 사업추진 79

나. 물순환 건전화를 위한 대안기술의 효과분석 80

다. 안양천 실시간 수문 모니터링 시스템 및 수문 DB의 안정화 구축 81

라. 유역협의체 구성 및 지원 82

제3절 연구의 추진체계 83

제2장 국내ㆍ외 기술개발 현황 86

제1절 유역통합관리 86

1. 개요 86

가. 정의 86

나. 연구동향 87

다. 유역통합관리를 위한 기본원칙 88

라. 유역통합관리를 위한 접근법의 시대적 경향 89

마. 유역통합관리의 구성요소 91

바. 성공적인 유역통합관리를 위한 계획절차 93

2. 유역현황 파악 102

가. 문헌조사 102

나. 현장조사 102

다. 치수 111

라. 수문모형 이용 112

3. 문제점 도출 131

가. 지속가능성 평가 지수 131

나. 복합계획법 132

4. 목표 설정 134

가. 목표유지유량 134

나. 목표수질 140

다. 목표홍수분담량 146

5. 대안 검토 151

가. 지표수 151

나. 지하수 154

다. 대체수자원 158

6. 예비타당성 계획 수립방안 171

7. 대안기술 효과분석을 위한 모형 176

가. HSPF 176

나. SWMM 177

다. SWAT 178

라. WEP 179

8. 타당성 계획 수립을 위한 기술현황 179

제2절 물순환 건전화 대안기술의 효과분석 181

1. 도시유출 연속모의 모형 181

가. 연속유출모의 모형들의 적용성 검토 181

나. SWMM의 개발현황 184

2. 물 순환 건전화 대안기술의 효과분석 184

제3절 안양천 실시간 수문모니터링 시스템 및 수문 DB 안정화 구축 189

1. 국내 수문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및 운영현황 189

가. 홍수통제소 홍수종합 운영시스템 189

나. 실시간 물관리 자료 구축 시스템 189

다. 실시간 물관리 시스템 191

라. 수자원관리 종합정보시스템 192

2. 국외 수문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및 운영현황 194

가. NWIS(National Water Information System) 194

나. Virginia Coastal Plain GIS Project:Ground-Water Withdrawals by County for the Virginia Coastal Plain 195

다. 미국 NWS 하천예보센터(National Weather Service River Forecast Center) 197

라. 미국의 국가 기후자료 관리센터(National Climate Data Center, NCDC) 200

마. 미국 내무성 개척국 정보시스템 202

바. 유럽연합(EU) WFD(Water Framework Directive)의 모니터링 시스템 203

제4절 유역협의체 구성 및 지원 205

1. 유역통합관리 205

가. 해외 현황 205

나. 국내 현황 214

2. 사회적 편익 추정 219

가. 국내 현황 219

나. 해외 현황 223

제5절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226

1. 개요 226

2. 적용사례 228

가. 유역/하천시스템 관리 프로그램 (WARSMP) 228

나. Waterware:유역통합계획을 위한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228

다. IQQM 229

라. MIKE BASIN 229

마. BASINS 230

바. 실시간 물관리 운영시스템 구축 기술개발 231

사. K-WEAP 232

아. California Water Plan Update 2005 233

제3장 연구개발 수행내용 및 결과 234

제1절 유역통합관리 234

1. 개요 234

2. 유역현황파악 238

가. 문헌조사 238

나. 현장조사 244

다. 수문모형 이용 297

3. 문제점 파악 432

가. 홍수피해잠재능 433

나. 건천잠재능 433

다. 수질오염잠재능 436

라. 유역평가지수 436

마. 관리우선 순위 결정 440

4. 목표설정 442

가. 목표유지유량 442

나. 목표수질 484

다. 목표 홍수분담량 488

5. 대안 제시 496

가. 지표수 496

나. 지하수 502

다. 대체수자원 509

6. 예비타당성 계획 513

가. 대안의 선정 513

나. 사업비 선정 513

다. 하천별 제시 522

라. 지자체별 사업제시 및 기대효과 523

7. 대안기술 효과 분석을 위한 모형 528

가. HSPF 528

나. SWMM 556

다. SWAT 566

라. WEP 584

마. QUAL2E 597

8. 대안의 우선순위 설정 614

가. 적용 방안 614

나. 적용예 615

제2절 물 순환 건전화 대안기술의 효과분석 626

1. 시범유역에 대한 물 순환 상세모의 626

가. 유역 현황 626

나. 연속유출모의를 위한 입력자료 구축 626

다. 모형의 보정 및 검증 640

라. 연속유출모의 및 물 순환 분석 640

2. 물 순환 모형의 수정 및 대안기술의 효과분석 644

가. 연구 내용 및 물 순환 모형 구조분석 644

나. 투수성 포장을 고려한 물 순환 모형 수정 650

다. 침투 트렌치를 고려한 물 순환 모형 수정 667

라. 지하수 양수를 고려한 물 순환 모형 수정 692

3. 모형실험의 수행 및 결과 분석 717

가. 투수성 포장 모형실험의 수행 및 결과분석 717

나. 침투 트렌치 모형실험의 수행 및 결과분석 758

제3절 안양천 실시간 수문모니터링 시스템 및 수문 DB 안정화 구축 779

1. 안양천 수문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779

가. 기 구축된 안양천 수문모니터링 시스템 개요 780

나. 안양천 실시간 수문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현황 782

2. 안양천 유역내 수문관측 및 생태 데이터베이스 통합 789

가. 안양천 수문관측 DB 통합 안 789

나. 안양천 생태 DB 통합 801

다. 안양천 유역내 수문관측 및 생태 통합 DB 명세서 812

3. 안양천 통합 수문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826

가. 안양천 수문모니터링 시스템 현황 826

나. 하수관거 모니터링 시스템 통합 구축 833

다. 안양천 통합 수문모니터링 웹 시스템 834

4. 안양천 수문모니터링 자료 분석 844

가. 안양시청 운영 수문모니터링 자료 분석 844

나. 프론티어 사업구축 안양천 실시간 수문모니터링 자료 분석 853

다. 수문특성 분류에 따른 수문자료 분석 857

라. 강우관측소의 상호상관 분석 기법 863

마. 수문자료 검ㆍ보정을 위한 이론 868

5. 안양천 수문자료관리시스템 구축 873

가. 수문자료 품질관리모듈 설계안 제시 873

나. C/S 기반의 수문자료관리시스템 구축 873

다. 웹 기반 수문자료관리시스템 구축 885

6. 물순환 해석 및 유역내의 물흐름 체계 분석을 위한 현장조사 892

가. 안양천 수계 특성 892

나. 수문모니터링 시스템 설치 지점 조사 892

다. 유량측정 가능 지점 선정을 위한 현장조사 901

7. 유역 물순환 모의모형과 연동 방안 제시 및 구축 907

가. 유역 물순환 모의 모형의 선택 907

나. SWAT 모형 907

다. SWMM 모형 911

라. 물순환 모의모형과의 연계 방안 제시 915

8. 유역 통합관리를 위한 의사결정지원 모듈 구축 920

가. 의사결정지원 모듈 구축 920

나. 의사결정지원 웹 시스템 921

제4절 유역협의체 구성 및 지원 926

1. 유역협의체 구성 및 지원 926

가. 유역통합관리 926

나. 우리나라의 유역관리 938

다. 안양천유역 관리 현황 959

라. 안양천 유역의 문제점 961

마. 안양천 유역통합관리의 기회요인 967

바. 외국의 유역통합관리 968

사. 안양천 유역협의체 구성방안 986

아. 안양천 Blueprint 998

2. 안양천 유역 관련 담당자 및 지역민의 의식조사 1036

가. 안양천에 대한 거주민의 인식 1036

나. 안양천 유역 지자체 담당자 설문조사 I 1051

다. 안양천 유역 지자체 담당자 설문조사 II 1057

3. 안양천의 가치 추정 1062

가. 조건부가치추정법(CVM:Contingent Valuation Methods) 1062

나. 실험선택법(CE:Choice Experiments) 1076

4. 홍보 및 교육자료 구축 1108

가. 홍보 및 교육자료 구축의 목적 1108

나. 홍보 및 교육자료 구축과정 1108

다. 홍보 및 교육자료의 내용 1108

라. 향후 활용계획 1109

제5절 유역통합관리를 위한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개발 1110

1. 개요 1110

2. 구성 1111

3. 내용 1112

가. 메인화면 작성 1112

나. 모식도 작성 (Step 2) 1112

다. 유역현황 입력 1113

라. 문제점 파악 1119

마. 목표설정 1119

바. 대안종류 1121

사. 대안의 선택 1121

아. 대안의 평가 1121

자. 계획수립 1121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1122

제1절 물순환 건전화를 위한 기술적용 및 사업추진 1122

1. 목표달성도 1122

가. 1차년도 1122

나. 2차년도 1123

다. 3차년도 1124

2. 관련분야 기여도 1125

제2절 물순환 건전화 대안기술의 효과분석 1126

1. 목표달성도 1126

가. 1차년도 1126

나. 2차년도 1127

다. 3차년도 1128

2. 관련분야 기여도 1129

제3절 안양천 실시간 수문모니터링 시스템 및 수문 DB 안정화 구축 1130

1. 목표달성도 1130

가. 1차년도 1130

나. 2차년도 1131

다. 3차년도 1132

2. 관련분야 기여도 1133

제4절 유역협의체 구성 및 지원 1134

1. 목표달성도 1134

가. 1차년도 1134

나. 2차년도 1135

다. 3차년도 1136

2. 관련분야 기여도 1137

가. 1차년도 1137

나. 2차년도 1137

다. 3차년도 1137

제5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계획 1138

제1절 물순환 건전화를 위한 기술적용 및 사업추진 1138

제2절 물순환 건전화 대안기술 효과분석 1139

제3절 안양천 실시간 수문모니터링 시스템 및 수문 DB 안정화 구축 1140

제4절 유역협의체 구성 및 지원 1141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1142

제1절 물순환 건전화를 위한 기술적용 및 사업추진 1142

1. 하천유지유량 개선 1142

2. BMP 관련 설명서 1142

3. 수문모형 관련자료 1142

4. 다기준 의사결정 기법 관련자료 1142

제2절 물 순환 건전화 대안기술 효과분석 1143

1. 도시하천관리, 침투증진시설, 지하수에 관한 기술서적 조사 1143

2. 인터넷을 통한 기술보고서 및 적용사례 등의 자료 수집 1143

3. 침투증진시설 관련 논문의 수집 1143

제3절 안앙천 실시간 수문모니터링 시스템 및 수문 DB 안정화 구축 1144

제4절 유역협의체 구성 및 지원 1145

1. 기본이론 1145

2. 사회적 편익분석 1145

3. 유역협의체 구성을 위한 Blueprint 1145

제7장 참고문헌 1146

연구결과 활용계획서 1178

특정연구개발사업 연구결과 활용계획서 1179

【첨부1】연구결과활용계획서(최종보고서 첨부) 1180

【첨부2】기술요약서(최종보고서 첨부) 1190

〈표 2.1.1〉 유량측정방법과 적용대상 103

〈표 2.1.2〉 수량에 대한 연구 동향 (국내) 107

〈표 2.1.3〉 실측을 통한 비점오염 부하량 산정에 관한 연구동향 110

〈표 2.1.4〉 연구과제의 구성과 주요내용 (이종태, 2004) 112

〈표 2.1.5〉 HSPF 모형의 국ㆍ내외 연구 동향 114

〈표 2.1.6〉 SWMM 모형의 수량에 대한 연구 동향 (국내) 116

〈표 2.1.7〉 SWAT 모형의 국내ㆍ외 연구동향 118

〈표 2.1.8〉 수문모의 모형을 이용한 유역오염 부하량 산정에 관한 연구동향 121

〈표 2.1.9〉 CSOs에 대한 연구 동향 123

〈표 2.1.10〉 수질모델링의 연구동향 126

〈표 2.1.11〉 수질모델링의 특성 127

〈표 2.1.12〉 외수범람 및 내수침수 모의에 대한 연구동향 129

〈표 2.1.13〉 Numbers of environmental flow methodologies (EFMs) of different types and proportions of global totals, for the ten countries for which the highest total numbers of methodologies were recorded (Tharme, 2003) 139

〈표 2.1.14〉 농도규제와 총량관리의 비교 141

〈표 2.1.15〉 일본의 내수처리계획 (건교부, 2001) 151

〈표 2.1.16〉 용도별 처리수 재이용 현황 159

〈표 2.1.17〉 국내 수도법에 의한 중수도 수질기준 160

〈표 2.1.18〉 하천유지용수 재이용수질 기준(안) 160

〈표 2.1.19〉 2003년도 석수하수처리장의 재이용수 현황 162

〈표 2.1.20〉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상류 방류 163

〈표 2.1.21〉 하수처리수의 하천유지 및 친수용수이용 사례 (일본) 163

〈표 2.1.22〉 불로천의 유량 165

〈표 2.1.23〉 하천환경보전에 필요한 하수처리장 송수량 검토 165

〈표 2.1.24〉 하수처리수 송수 효과 165

〈표 2.1.25〉 소규모 하수처리장의 장단점 166

〈표 2.1.26〉 원격제어시스템이 설치된 소규모 하수처리서설 현황 167

〈표 2.1.27〉 분류식과 합류식 관거시스템의 장점 및 단점 비교 168

〈표 2.1.28〉 서울과 경기도의 하수관거 보급현황 168

〈표 2.1.29〉 유지용수 확보를 위해 한강원수를 사용하거나 예정인 사례 170

〈표 2.1.30〉 Stormwater treatment suitability (Barr Engineering Co., 2001) 173

〈표 2.1.31〉 Physical feasibility factors (Barr Engineering Co., 2001) 174

〈표 2.1.32〉 Commu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Barr Engineering Co., 2001) 175

〈표 2.1.33〉 HSPF 모형의 국ㆍ내외 연구 동향 176

〈표 2.1.34〉 대안기술에 대한 연구 동향 (국내) 177

〈표 2.1.35〉 SWAT의 국내ㆍ외 연구동향 (대안기술 효과분석) 178

〈표 2.2.1〉 연속유출모의 모형들의 적용성 검토(I) 182

〈표 2.2.2〉 연속유출모의 모형들의 적용성 검토(II) 183

〈표 2.2.3〉 SWMM의 개발 역사 185

〈표 2.3.1〉 NWIS 제공정보 194

〈표 2.3.2〉 Dataweb의 제공정보 (http://www.usbr.gov/dataweb) 203

〈표 2.4.1〉 미국 연방정부의 물관리기능 206

〈표 2.4.2〉 미국 지방정부의 물관리기능 208

〈표 2.4.3〉 영국 수자원 관리 조직 변화 209

〈표 2.4.4〉 프랑스 중앙정부의 물관리기능 210

〈표 2.4.5/2.4.6〉 프랑스 지방정부의 물관리기능 211

〈표 2.4.6〉 물관리지침의 내용 211

〈표 2.4.7〉 일본 중앙정부의 물관리기능 212

〈표 2.4.8〉 일본 지방정부의 물관리기능 213

〈표 2.4.9/2.4.10〉 국내 유역기구의 유형 216

〈표 2.5.1〉 K-WEAP의 핵심 232

〈표 3.1.1〉 사용된 수문모형과 내용 236

〈표 3.1.2〉 Componen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Anyangcheon watershed 239

〈표 3.1.3〉 Characteristics of the Anyangcheon subwatersheds (2000) 241

〈표 3.1.4〉 수위-유량곡선식의 분할결과 245

〈표 3.1.5〉 물순환 분석지점의 개선 250

〈표 3.1.6〉 각 모형별 모의기간 250

〈표 3.1.7〉 모의기간 및 간격의 개선 250

〈표 3.1.8〉 물순환 분석 모형의 개선사항 253

〈표 3.1.9〉 각 지점별 유황분석 결과 257

〈표 3.1.10〉 기존의 하천유지유량 257

〈표 3.1.11〉 기존 하천유지유량과 STELLA에 의한 평균갈수량 비교 258

〈표 3.1.12〉 안양천 유역의 건기시 수질 측정 자료 259

〈표 3.1.13〉 도림천 유역의 강우시 수질 측정 자료 259

〈표 3.1.14〉 비점오염원의 특성 (최지용, 1997) 261

〈표 3.1.15〉 토지 이용에 따른 비점오염원 (최지용, 1997) 261

〈표 3.1.16〉 비점오염 원단위 환산법 (최지용, 1997) 264

〈표 3.1.17〉 Water quality data during the event 272

〈표 3.1.18〉 Results of EMC calculation 275

〈표 3.1.19〉 Data of discharges and pollutant concentrations (Giadaegyo) 277

〈표 3.1.20〉 EMC calculation procedure at the Giadaegyo 279

〈표 3.1.21〉 Data of discharges and pollutant concentrations 281

〈표 3.1.22〉 EMC calculation of Dorimgyo 283

〈표 3.1.23〉 EMC calculation procedure at the Bisangyo 284

〈표 3.1.24〉 Comparison of various EMCs 286

〈표 3.1.25〉 Unit loads calculation for the Anyancheon 289

〈표 3.1.26〉 Unit loads calculation for Dorimcheon 291

〈표 3.1.27〉 Unit loads calculation for Hakuicheon 292

〈표 3.1.28〉 Comparison with other researches 293

〈표 3.1.29〉 안양천유역의 홍수피해현황 294

〈표 3.1.30〉 안양천 유역 내 홍수취약 지역 및 주요 피해원인 (현대 Eng., 2005) 296

〈표 3.1.31〉 Hydrology Parameter for HSPF 298

〈표 3.1.32〉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results for region I ~ region IV 302

〈표 3.1.33〉 10년(1996 ~ 2005년) 평균 각 요소별 평균값 303

〈표 3.1.34〉 목감천의 소유역별 하수량 산정 310

〈표 3.1.35〉 Classification of SWMM hydrograph parameter 312

〈표 3.1.36〉 목감천 유역의 10년 동안의 각 요소별 모의결과 평균값 316

〈표 3.1.37〉 각 소유역 및 안양천 중상류 유역의 비 홍수기 물수지 분석을 위한 입력자료 구성 및 유출자료 318

〈표 3.1.38〉 안양천 최상류 유역의 비 홍수기 강우, 유출 및 유출률 320

〈표 3.1.39〉 안양천 최상류 유역의 비 홍수기 5년 단위 각 요소별 모의결과의 평균값 321

〈표 3.1.40〉 안양천 최상류 유역의 비 홍수기 10년 단위 각 요소별 모의결과의 평균값 및 30년 동안의 각 요소별 평균값 322

〈표 3.1.41〉 학의천 유역의 비 홍수기 강우, 유출 및 유출률 325

〈표 3.1.42〉 학의천 유역의 비 홍수기 5년 단위 각 요소별 모의결과의 평균값 326

〈표 3.1.43〉 학의천 유역의 비 홍수기 10년 단위 각 요소별 모의결과의 평균값 및 30년 동안의 각 요소별 평균값 327

〈표 3.1.44〉 삼성, 삼막천 유역의 비 홍수기 강우, 유출 및 유출률 330

〈표 3.1.45〉 삼성, 삼막천 유역의 비 홍수기 5년 단위 각 요소별 모의결과의 평균값 331

〈표 3.1.46〉 삼성, 삼막천 유역의 비 홍수기 10년 단위 각 요소별 모의결과의 평균값 및 30년 동안의 각 요소별 평균값 332

〈표 3.1.47〉 삼봉천 유역의 비 홍수기 강우, 유출 및 유출률 334

〈표 3.1.48〉 삼봉천 유역의 비 홍수기 5년 단위 각 요소별 모의결과의 평균값 335

〈표 3.1.49〉 삼봉천 유역의 비 홍수기 10년 단위 각 요소별 모의결과의 평균값 및 30년 동안의 각 요소별 평균값 336

〈표 3.1.50〉 안양천 중상류 유역의 비 홍수기 강우, 유출 및 유출률 (석수 및 박달하수처리장 방류수를 고려한 경우, 제외한 경우) 339

〈표 3.1.51〉 안양천 중상류 유역의 비 홍수기 5년 단위 각 요소별 모의결과의 평균값 (석수 및 박달하수처리장 방류수를 고려한 경우, 제외한 경우) 341

〈표 3.1.52〉 안양천 중상류 유역의 비 홍수기 10년 단위 각 요소별 모의결과의 평균값 및 30년 동안의 각 요소별 평균값 (석수 및 박달하수처리장 방류수를 고려한 경우, 제외한 경우) 342

〈표 3.1.53〉 각 성분 별 민감한 매개변수 분류 346

〈표 3.1.54〉 효율성 기준에 의한 결과 349

〈표 3.1.55〉 추정된 매개변수 결과 349

〈표 3.1.56〉 비점오염원 모형에 필요한 입력자료의 종류 (Donigan and Huber, 1991) 352

〈표 3.1.57〉 오염모의 모형 비교 357

〈표 3.1.58〉 OXRX parameter for HSPF 359

〈표 3.1.59〉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results for region I ~ region IV (BOD concentration) 360

〈표 3.1.60〉 생활계 가정인구 발생부하 원단위 및 분뇨발생부하비 362

〈표 3.1.61〉 영업용 업종별 표준발생농도 362

〈표 3.1.62〉 각 유역별 점오염 발생량 산정 363

〈표 3.1.63〉 Classification of SWMM water quality parameter (Huber and Dickinson, 2003) 364

〈표 3.1.64〉 목감천 유역의 부하량 367

〈표 3.1.65〉 Unit loads of this study 369

〈표 3.1.66〉 안양천 유역의 연도별 토지이용 변화 369

〈표 3.1.67〉 Unit loads and ratios to total loads of all sub-watersheds (2000) 370

〈표 3.1.68〉 연도별 단위면적당 오염물질 부하량 371

〈표 3.1.69〉 중유역별 단위면적당 오염물질 부하량 372

〈표 3.1.70〉 모형의 구성 373

〈표 3.1.71〉 관측소별 지배면적 및 Thiessen 면적비 374

〈표 3.1.72〉 입력자료에 사용된 강우관측소 및 유량비교점 375

〈표 3.1.73〉 소유역별 유역특성값 376

〈표 3.1.74〉 매개변수 보정결과 379

〈표 3.1.75〉 신정지점의 보정오차 380

〈표 3.1.76〉 안양지점의 보정오차 381

〈표 3.1.77〉 신정지점의 검증오차 (03년 8월 20일) 382

〈표 3.1.78〉 안양지점의 검증오차 (03년 7월 24일) 383

〈표 3.1.79〉 신정지점의 검증오차 (05년 9월 30) 384

〈표 3.1.80〉 안양지점의 보정오차 (05년 9월 30일) 385

〈표 3.1.81〉 우량 관측소 및 관측기록 보유현황 (현대Eng., 2005) 387

〈표 3.1.82〉 각 분위별 호우 발생수 387

〈표 3.1.83〉 Huff의 누가우량 배분율 388

〈표 3.1.84〉 각 분위별 누가우량 회귀계수 388

〈표 3.1.85〉 기왕최대 강우사상 389

〈표 3.1.86〉 빈도별 지속시간별 확률강우량 390

〈표 3.1.87〉 기왕최대 강우사상에 대한 모의값 391

〈표 3.1.88〉 2001년 기왕최대 강우사상 모의오차 392

〈표 3.1.89〉 1972년 기왕최대 강우사상 모의값 393

〈표 3.1.90〉 100년 빈도지속시간 6시간에 대한 Huff 분위별 강우량 (2001년 7월 강우) 395

〈표 3.1.91〉 100년 빈도지속시간 24시간에 대한 Huff 분위멸 강우량 (1972년 8월 강우) 396

〈표 3.1.92〉 모의결과 비교 - 2001년 7월 14일 ~ 15일 397

〈표 3.1.93〉 모의결과 비교 - 1972년 8월 18일 ~ 19일 399

〈표 3.1.94〉 안양천 유역종합치수계획과 삼본엔지니어링의 확률강우강도식 비교 400

〈표 3.1.95〉 서울관측소와 수원관측소의 확률강우강도식 403

〈표 3.1.96〉 주요지점별 빈도별 임계지속시간 및 홍수량 산정결과 406

〈표 3.1.97〉 홍수량 산정 결과 비교 407

〈표 3.1.98〉 임계지속시간 산정결과 비교 408

〈표 3.1.99〉 기수립 보고서의 안양천 홍수량 산정방법 비교 409

〈표 3.1.100〉 안양천과 한강합류점에서의 빈도별 홍수위 410

〈표 3.1.101〉 배수영향을 고려하지 않은 홍수위 411

〈표 3.1.102〉 배수영향을 고려한 홍수위 413

〈표 3.1.103〉 제방 안전도 평가 기준 415

〈표 3.1.104〉 계획홍수량별 여유고 415

〈표 3.1.105〉 제방고 여유고 검토결과 416

〈표 3.1.106〉 기설 교량의 여유고 평가결과 418

〈표 3.1.107〉 안양천 홍수방어계획 (현대Eng., 2005) 421

〈표 3.1.108〉 민감도 분석에 사용된 반응계수값 422

〈표 3.1.109〉 반응계수에 대한 수질항목의 민감도 423

〈표 3.1.110〉 수리학적 입력계수 424

〈표 3.1.111〉 HEADWATER 입력자료 (2005년 7월 16일) 424

〈표 3.1.112〉 POINT LOAD 입력자료 (2005년 7월 16일) 425

〈표 3.1.113〉 보정에 사용된 반응계수 426

〈표 3.1.114〉 모의값 (2005년 7월 16일) 426

〈표 3.1.115〉 실측값 (2005년 7월 16일) 426

〈표 3.1.116〉 HEADWATER 입력자료 (2005년 11월 18일) 429

〈표 3.1.117〉 POINT LOAD 입력자료 (2005년 11월 18일) 429

〈표 3.1.118〉 모의값 (2005년 11월 18일) 430

〈표 3.1.119〉 실측값 (2005년 11월 18일) 430

〈표 3.1.120〉 Data for PFD calculation 434

〈표 3.1.121〉 Data for PSD calculation 435

〈표 3.1.122〉 Data for PWQD calculation 437

〈표 3.1.123〉 Indices of PFD, PSD, PQWD and WEI 438

〈표 3.1.124〉 대상하천의 유역면적 (이길성, 2004) 445

〈표 3.1.125〉 국가별 갈수량 지표 (한국수자원공사, 1995;Smakhtin, 2001) 446

〈표 3.1.126〉 미계측유역의 갈수량 산정방법 446

〈표 3.1.127〉 Indiana주의 7Q10과(이미지참조) 안양천의 비교 451

〈표 3.1.128〉 Pennsylvania주의 7Q10과(이미지참조) 안양천의 비교 451

〈표 3.1.129〉 Virginia주의 7Q10과(이미지참조) 안양천의 비교 452

〈표 3.1.130〉 Tennessee주의 7Q10과(이미지참조) 안양천의 비교 452

〈표 3.1.131〉 New Hampshire주의 7Q10과(이미지참조) 안양천의 비교 453

〈표 3.1.132〉 미국의 유역면적별 7Q10에 따라 결정된 안양천의 7Q10과의 범위(이미지참조) 453

〈표 3.1.133〉 RRM 검증에 사용된 댐유역 및 유역특성인자 455

〈표 3.1.134〉 Split sampling 결과 455

〈표 3.1.135〉 안양천 유역의 갈수량 산정에 사용된 계측유역의 유역특성인자 456

〈표 3.1.136〉 안양천 유역의 유역특성인자 456

〈표 3.1.137〉 지역회귀기법에 의해 추정된 안양천 유역의 평균갈수량 457

〈표 3.1.138〉 지역회귀기법과 비유량법의 예측정확도 비교 457

〈표 3.1.139〉 SWAT 모형에 의해 산정된 안양천의 평균갈수량 458

〈표 3.1.140〉 표준편차와 lag-1 자기상관계수에 따른 100년 중 355일 유지유량이 최저 7일 평균유량보다 큰 해의 수 461

〈표 3.1.141〉 관측자료와 모의 생성자료를 이용한 355일 유지유량과 최저 7일 평균유량의 비교 결과 465

〈표 3.1.142〉 0 자료의 수와 G(x) 466

〈표 3.1.143〉 355일 유지유량의 적정 확률분포형 검토 467

〈표 3.1.144〉 최저 7일 평균유량의 적정 확률분포형 검토 468

〈표 3.1.145〉 관측자료를 이용한 평균갈수량과 기준갈수량, 7Q10의(이미지참조) 비교 473

〈표 3.1.146〉 대상 하천별 대표어종 479

〈표 3.1.147〉 대표어종의 서식처 수리 조건 479

〈표 3.1.148〉 PHABSIM 모의시 사용된 하천 횡단면 자료 483

〈표 3.1.149〉 안양천 유역의 하천별 생태유지유량 485

〈표 3.1.150〉 안양천 유역의 하천유지유량 486

〈표 3.1.151〉 91년 환경부고시 안양천 수질등급 487

〈표 3.1.152〉 지자체별 목표수질 및 현 수질등급 487

〈표 3.1.153〉 안양천유역의 장래개발계획 (현대Eng., 2005) 490

〈표 3.1.154〉 주요하천별 CN값의 변화 (현대Eng., 2005) 491

〈표 3.1.155〉 2016년도 예상홍수량 - 200년 빈도 (현대Eng., 2005) 492

〈표 3.1.156〉 하도 및 유역홍수분담량 결정절차 (현대Eng., 2005) 493

〈표 3.1.157〉 하도 및 유역 홍수분담량 검토결과 (현대Eng., 2005) 494

〈표 3.1.158〉 복개구간 개선에 대한 대안 497

〈표 3.1.159〉 선정된 저수지 관련 대안 498

〈표 3.1.160〉 선정된 도수 관련 대안 499

〈표 3.1.161〉 선정된 저협수로 형성 관련 대안 500

〈표 3.1.162〉 선정된 하천수 손실 방지 관련 대안 500

〈표 3.1.163〉 백운저수지 2000년 급수계획 501

〈표 3.1.164〉 지하철역별 용출수량 (300 ㎥/일 이상) 503

〈표 3.1.165〉 안양천 유역 내 지하철역 용출수 수질측정시험성적서 505

〈표 3.1.166〉 안양천 유역내의 침투증진시설 설치가능지역 현황 507

〈표 3.1.167〉 안양천 유역내의 행정구역별 침투증진시설 설치가능지역 현황 507

〈표 3.1.168〉 선정된 중ㆍ소규모 하수처리장 설치 대안 509

〈표 3.1.169〉 대안기술 선정 514

〈표 3.1.170〉 복개하천의 개선을 위한 대안의 사업비 산정 516

〈표 3.1.171〉 저수지 관련 대안의 사업비 산정 517

〈표 3.1.172〉 타 유역으로부터 도수관련 사업비 산정 518

〈표 3.1.173〉 저협수로 형성관련 대안의 사업비 518

〈표 3.1.174〉 하천수 손실 방지 관련 사업비 518

〈표 3.1.175〉 지하철 용출수 이용 사업비 520

〈표 3.1.176〉 시설별 공사비 520

〈표 3.1.177〉 10,000 ㎡ 공간에 침투증진시설 설치시 공사비 (빗물저류조 제외) 520

〈표 3.1.178〉 안양천 유역 내 침투증진시설 공사비 520

〈표 3.1.179〉 중ㆍ소규모 하수처리장 설치 사업비 521

〈표 3.1.180〉 하수처리수 재이용 사업비 521

〈표 3.1.181〉 대규모 사업장 폐수 활용 사업비 521

〈표 3.1.182〉 하상 퇴적물 준설 비용 521

〈표 3.1.183〉 중유역별 예비타당성 계획 522

〈표 3.1.184〉 지자체별 제안된 사업 및 기대효과 524

〈표 3.1.185〉 Restoration alternatives by streams 533

〈표 3.1.186〉 Comparison of instream flow as a result of reservoir outflow change for Ojencheon 536

〈표 3.1.187〉 The number of days satisfying instream flow requirement for Ojencheon 536

〈표 3.1.188〉 Comparison of drought flow between SWAT and HSPF for Ojeoncheon 537

〈표 3.1.189〉 Comparison of instream flow between without and with wastewater reuse for Sammakcheon 539

〈표 3.1.190〉 The number of days satisfying instream flow requirement for Sammakcheon 539

〈표 3.1.191〉 Comparison of instream flow as a result of measures for Samsungcheon 541

〈표 3.1.192〉 The number of days satisfying instream flow requirement for Samsungcheon 541

〈표 3.1.193〉 Comparison of drought flow between SWAT and HSPF for Samsungcheon 541

〈표 3.1.194〉 Comparison of instream flow between without and with wastewater reuse 544

〈표 3.1.195〉 The number of days satisfying instream flow for Suamcheon, Sambongcheon 544

〈표 3.1.196〉 Comparison of instream flow as a result of reservoir redevelopment for Gesucheon 547

〈표 3.1.197〉 The number of days satisfying instream flow requirement for Gesucheon 547

〈표 3.1.198〉 The subway station located in Dorimcheon watershed 548

〈표 3.1.199〉 Comparison of instream flow between without and with subway water for Daebangcheon 550

〈표 3.1.200〉 The number of days satisfying instream flow requirement for Daebangcheon 550

〈표 3.1.201〉 Comparison of instream flow between without and with subway water for Bongcheoncheon 552

〈표 3.1.202〉 The number of days satisfying instream flow requirement for Bongcheoncheon 552

〈표 3.1.203〉 Comparison of instream flow as a result of measures for Dorimcheon 554

〈표 3.1.204〉 The number of days satisfying instream flow requirement for Dorimcheon 554

〈표 3.1.205〉 목감천 하구의 10년 평균 일 유량 556

〈표 3.1.206〉 우천시 월류부하량 저감대책 (환경부, 2005) 557

〈표 3.1.207〉 목감천에 선정된 대안 560

〈표 3.1.208〉 대안 ①의 적용 결과 비교 562

〈표 3.1.209〉 대안 ②의 적용 결과 비교 563

〈표 3.1.210〉 대안 ① + ②의 적용 결과 비교 565

〈표 3.1.211〉 각 소유역별 연도별 지하수 취수량 (건설교통부, 1995 ~ 2004) 567

〈표 3.1.212〉 지하수 취수 제한에 의한 2004년 비 홍수기 동안의 유역별 하천유지유량 확보량 567

〈표 3.1.213〉 저수지의 위치, 용량 및 방류량 569

〈표 3.1.214〉 갈수량, 저수량, 평수량, 풍수량의 정의 571

〈표 3.1.215〉 안양천 유역 내 하천들의 하천유지유량 572

〈표 3.1.216〉 기존 저수지의 수질측정 결과 (2005. 7. 21) 573

〈표 3.1.217〉 오메기저수지 방류량 변화에 따른 오전천 유역 출구지점의 변화된 하천의 유량 및 BOD 573

〈표 3.1.218〉 왕곡천 신규저수지 방류량 변화에 따른 왕곡천 유역 출구지점의 변화된 하천의 유량 및 BOD 575

〈표 3.1.219〉 백운저수지 방류량 변화에 따른 비산교지점 (학의천)의 변화된 하천의 유량 및 BOD 577

〈표 3.1.220〉 삼성저수지 방류량 변화에 따른 삼성천 유역 출구지점에서의 변화된 하천의 유량 및 BOD 579

〈표 3.1.221〉 삼막천 신규저수지 방류량 변화에 따른 삼막천 유역 출구지점에서의 변화된 하천의 유량 및 BOD 580

〈표 3.1.222〉 하천의 생활환경 수질등급 기준 (환경정책기본법시행령 별표 1) 581

〈표 3.1.223〉 각 소유역의 목표유량과 저류시설에 의한 목표유량 달성효과 582

〈표 3.1.224〉 모든 기존저수지 및 신규저수지 방류량 변화에 따른 기아대교지점에서의 변화된 하천의 유량 및 BOD 583

〈표 3.1.225〉 대안의 효과비교 583

〈표 3.1.226〉 토지이용변화에 의한 성분별 비교 587

〈표 3.1.227〉 침투트랜치 설치에 의한 성분별 비교 590

〈표 3.1.228〉 투수성 포장재 설치에 의한 성분별 비교 593

〈표 3.1.229〉 침투트랜치와 투수성 포장재 동시적용에 의한 성분별 비교 595

〈표 3.1.230〉 전체 물순환 모의의 성분별 비교 596

〈표 3.1.231〉 하수종말처리수의 방류수질 기준 598

〈표 3.1.232〉 한강수계지역 599

〈표 3.1.233〉 국내 하수처리공법 신기술 현황 (2003년) 602

〈표 3.1.234〉 CNR 공법의 개요도 603

〈표 3.1.235〉 안양시 하수종말처리시설 고도처리 수질검사 결과 604

〈표 3.1.236〉 자갈접촉산화공법의 정화원리 608

〈표 3.1.237〉 안양천에 운영 중 인 하천정화시설 611

〈표 3.1.238〉 Results of evaluation index calculation for water quantity 618

〈표 3.1.239〉 Results of evaluation index calculation for water quality 621

〈표 3.1.240〉 두 개의 가중치에 대한 대안의 평가지수 625

〈표 3.2.1〉 학의천 유역의 수계구성 및 평면적 특성 628

〈표 3.2.2〉 학의천 유역의 수문관측소 현황 629

〈표 3.2.3〉 배수유역별 특성인자 633

〈표 3.2.4〉 하도 특성인자 634

〈표 3.2.5〉 하수관망 특성인자 635

〈표 3.2.6〉 배수유역별 불투수면적 변화 639

〈표 3.2.7〉 불투수면적 변화에 따른 물 순환 변화 642

〈표 3.2.8〉 SWMM 블록의 기능 646

〈표 3.2.9〉 RUNOFF 블록의 입력자료 (Huber and Dickinson, 1988) 649

〈표 3.2.10〉 지표면 유형과 J 변수 654

〈표 3.2.11〉 RUNOFF 블록 입력자료 - H1 라인 (Huber and Dickinson, 1988) 655

〈표 3.2.12〉 RUNOFF 블록 투수성 포장 입력자료 - H6 라인 656

〈표 3.2.13〉 시험수행 1의 투수성 포장 매개변수 입력값 660

〈표 3.2.14〉 시험수행 2의 투수성 포장 매개변수 입력값 661

〈표 3.2.15〉 시험수행 3의 투수성 포장 매개변수 입력값 662

〈표 3.2.16〉 학의천 유역의 투수성 포장 설치 효과와 기존 지표유량의 비교 666

〈표 3.2.17〉 하천유지유량의 비교 (비산교) 676

〈표 3.2.18〉 TRANSPORT 블록의 입력자료 (Huber and Dickinson, 1988) 679

〈표 3.2.19〉 Storage unit의 입력 변수 685

〈표 3.2.20〉 GS 열병합발전소 연도별/월별 공업용수 사용 실적 688

〈표 3.2.21〉 하천유지유량의 비교 (비산교) 691

〈표 3.2.22〉 하천-지하수 관계의 변수 696

〈표 3.2.23〉 시범수행 관련 하천-지하수 관계의 변수 699

〈표 3.2.24〉 학의천 유역 내 행정구역(동)들의 지하수 이용량 701

〈표 3.2.25〉 안양천 유역의 지하철 용출수 발생 현황 706

〈표 3.2.26〉 인덕원역 유출관로 매설사업 개요 706

〈표 3.2.27〉 지하철 용출수 관리 현황 (2005년 8월 현재) 709

〈표 3.2.28〉 모의유출량과 실측유량의 비교 (갈현천 하류) 712

〈표 3.2.29〉 지표유량의 비교 (갈현천) 713

〈표 3.2.30〉 실험에 사용된 아스콘의 특성 718

〈표 3.2.31〉 SWMM의 유역 및 하도/관망 매개변수 (H1) 739

〈표 3.2.32〉 SWMM의 지하수 매개변수 (H2 ~ H4) 740

〈표 3.2.33〉 민감도 분석 대상 매개변수 741

〈표 3.2.34〉 SWMM의 투수성 포장층 관련 매개변수 (H6) 742

〈표 3.2.35〉 유출량 비교 753

〈표 3.2.36〉 사례별 유입량과 유출량 비교 770

〈표 3.2.37〉 SWMM에 추가된 H7 라인의 매개변수 770

〈표 3.2.38〉 SWMM RUNOFF 블록 매개변수 입력값 771

〈표 3.2.39〉 모형실험과 SWMM 모의 결과 비교 773

〈표 3.3.1〉 최종 하수관거 측정 지점 위치 및 특징 782

〈표 3.3.2〉 계측기 시스템 제원 및 소요면적 783

〈표 3.3.3〉 안양천 수계내 강우관측소 운영현황 791

〈표 3.3.4〉 프론티어 1단계 성과에 의한 안양천 하천수위 관측소 운영현황 792

〈표 3.3.5〉 안양시에서 운영중인 안양천 하천수위 관측소 운영현황 793

〈표 3.3.6〉 프론티어 1단계 성과로 인해 운영 중인 안양천 지하수위 관측소 794

〈표 3.3.7〉 안양시에서 관리중인 지하수위 관측소 운영현황 795

〈표 3.3.8〉 안양천 유역내 조류 서식 변화(2004년 기준) 804

〈표 3.3.9〉 안양천 유역내 어류 서식 현황 804

〈표 3.3.10〉 2003년과 2004년 안양천 유역내 어류 서식 변화 805

〈표 3.3.11〉 안양천 유역내 서식하는 식물 중 쉽게 관찰이 가능한 종 806

〈표 3.3.12〉 "안양천 유역의 생태환경" DB 항목 807

〈표 3.3.13〉 DB 테이블 ECOLOGYAR01의 테이블 설명 808

〈표 3.3.14〉 DB 테이블 ECOLOGYAR01의 생태군 별 부여코드 808

〈표 3.3.15〉 DB 테이블 ECOLOGYAR02의 테이블 설명 809

〈표 3.3.16〉 DB 테이블 ECOLOGYAR02의 생태환경 자료별 부여코드 809

〈표 3.3.17〉 DB 테이블 ECOLOGYAR03의 테이블 설명 809

〈표 3.3.18〉 DB 테이블 ECOLOGYAR03의 생태도감 작성 자료별 부여코드 810

〈표 3.3.19〉 DB 테이블 ECOLOGYAR01의 DB 구축현황 810

〈표 3.3.20〉 DB 테이블 ECOLOGYAR03의 DB 구축현황 811

〈표 3.3.21〉 DB 테이블 ECOLOGYAR03의 DB 구축현황 811

〈표 3.3.22〉 강우관측시설 현황 827

〈표 3.3.23〉 하천수위관측시설 현황 828

〈표 3.3.24〉 안양천 실시간 통합 수문모니터링 웹시스템 DB 테이블 832

〈표 3.3.25〉 안양천 수계내 하수유량 관측소 운영현황 833

〈표 3.3.26〉 안양천 실시간 하수관거 모니터링 시스템 운영현황 834

〈표 3.3.27〉 안양천 유역의 수집자료 항목 및 관측지점 846

〈표 3.3.28〉 수문관측 자료수집기간 846

〈표 3.3.29〉 수문관측 자료결측기간 847

〈표 3.3.30〉 연도별 주요 호우기간 848

〈표 3.3.31〉 하천 및 지하수위관측 자료분석 기간 및 결측일수 855

〈표 3.3.32〉 세계기상기구에서 추천한 강수 관측밀도(WMO-No.168, 1994) 868

〈표 3.3.33〉 미국 농무성 추천(관개시설 설계용) 869

〈표 3.3.34〉 영국 기상청 제안(저수지 설계용) 870

〈표 3.3.35〉 C/S 기반 HDAMS 소프트웨어 개발환경 878

〈표 3.3.36〉 웹 기반 HDAMS 소프트웨어 개발환경 886

〈표 3.3.37〉 유량측정 가능 지역 선정 903

〈표 3.3.38〉 Functions of SWMM blocks (Huber and Dickinson, 1988) 913

〈표 3.4.1〉 유역관리의 특징 928

〈표 3.4.2〉 중앙부처 물관리 업무 현황 939

〈표 3.4.3〉 물 관리 관련법과 행정 분담 체계 940

〈표 3.4.4〉 토지이용관리 관련법과 행정분담 체계 941

〈표 3.4.5〉 물관리기본법 입법예고(안) 943

〈표 3.4.6〉 영역별 물관련 법제 955

〈표 3.4.7〉 제정목적별 물관련 주요법령의 현황 957

〈표 3.4.8〉 안양천 유역 내 자치단체 현황 960

〈표 3.4.9〉 안양천 유역 내 환경 관련단체 961

〈표 3.4.10〉 미네소타 유역관리 위원회의 주요재원 971

〈표 3.4.11〉 무레이-다링 유역과 관련된 조직과 역할 981

〈표 3.4.12〉 안양천 Blueprint T/F 팀 1001

〈표 3.4.13〉 안양천 Blueprint 작성경과 1002

〈표 3.4.14〉 안양천 Blueprint의 시간적 범위 1003

〈표 3.4.15〉 안양천의 분야별 문제점 및 원인 1004

〈표 3.4.16〉 유량자료 1012

〈표 3.4.17〉 수질자료(BOD) 1014

〈표 3.4.18〉 안양천 유역 내 하천복개 현황 1015

〈표 3.4.19〉 안양천 유역의 연도별 토지이용 변화 1017

〈표 3.4.20〉 안양천 유역의 용도지역별 토지이용 현황 1019

〈표 3.4.21〉 안양천 유역의 중유역별 토지이용 현황 1020

〈표 3.4.22〉 안양천의 어류서식 현황 1022

〈표 3.4.23〉 안양천 중상류 유역의 하천유지유랑 1023

〈표 3.4.24〉 하도 및 유역 홍수분담량 1024

〈표 3.4.25〉 생태지표종 1025

〈표 3.4.26〉 유지유량의 Action Plan 1028

〈표 3.4.27〉 치수의 Action Plan 1029

〈표 3.4.28〉 수질의 Action Plan 1030

〈표 3.4.29〉 하천형태의 Action Plan 1031

〈표 3.4.30〉 생태의 Action Plan 1031

〈표 3.4.31〉 유역협의체의 Action Plan 1032

〈표 3.4.32〉 안양천에 대한 주민의식 1047

〈표 3.4.33〉 안양천의 이용형태 1048

〈표 3.4.34〉 안양천에 대한 인식 1049

〈표 3.4.35〉 안양천의 공익적 기능에 대한 인식 1050

〈표 3.4.36〉 안양천 업무 수행의 어려움 1052

〈표 3.4.37〉 지자체 담당자들의 안양천수질개선대책협의회 요구사항 1053

〈표 3.4.38〉 각 지자체의 현안사업 1054

〈표 3.4.39〉 지역주민의 요구사항 1055

〈표 3.4.40〉 관악구의 제안사업 우선순위 1057

〈표 3.4.41〉 구로구의 제안사업 우선순위 1057

〈표 3.4.42〉 금천구의 제안사업 우선순위 1058

〈표 3.4.43〉 동작구의 제안사업 우선순위 1058

〈표 3.4.44〉 영등포구의 제안사업 우선순위 1059

〈표 3.4.45〉 광명시의 제안사업 우선순위 1059

〈표 3.4.46〉 군포시의 제안사업 우선순위 1060

〈표 3.4.47〉 부천시의 제안사업 우선순위 1060

〈표 3.4.48〉 시흥시의 제안사업 우선순위 1061

〈표 3.4.49〉 안양시의 제안사업 우선순위 1061

〈표 3.4.50〉 의왕시의 제안사업 우선순위 1062

〈표 3.4.51〉 비시장재화의 가치측정방법 분류 1062

〈표 3.4.52〉 비시장재화의 가치추정방법론의 대상별 적용가능성 1064

〈표 3.4.53〉 이중 이선선택형 비모수적 확률과 평균추정치 1072

〈표 3.4.54〉 제시가격(BID)과 지불의사 응답 1073

〈표 3.4.55〉 변수 설명 1074

〈표 3.4.56〉 이중 양분선택형 모형 추정결과 1074

〈표 3.4.57〉 수질개선 지불의사액의 평균과 중앙값의 비교 1075

〈표 3.4.58〉 안양천 홍수방어 계획 1084

〈표 3.4.59〉 안양천의 지역특성 및 주요 피해원인 1085

〈표 3.4.60〉 안양천 관측지점별 유량 1086

〈표 3.4.61〉 안양천 구간별 BODㆍDO 농도 변화 1088

〈표 3.4.62〉 안양천 유역 내 하천복개 현황 1090

〈표 3.4.63〉 안양천의 속성 및 수준 1092

〈표 3.4.64〉 설문지 1093

〈표 3.4.65〉 지역별 수질개선대책협의회 구성에 대한 인지도 비교 1099

〈표 3.4.66〉 지역별 주민참여프로그램 참여의사 비교 1100

〈표 3.4.67〉 지역별 안양천살리기 사업 우선순위 비교 1101

〈표 3.4.68〉 추정결과 1104

〈표 3.4.69〉 안양천유역 속성별 개선에 따른 가구당 한계편익 1105

〈표 3.4.70〉 안양천유역 속성별 개선에 따른 총한계편익 1105

〈표 3.4.71〉 안양천 물순환건전화 사업의 편익 1107

〈표 3.5.1〉 시스템의 개발환경 및 사양 1110

〈그림 1.1.1〉 유역협의체 구조도 71

〈그림 1.1.2〉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구조도 71

〈그림 2.1.1〉 공급위주의 접근법의 주요소 흐름도 (Radif, 1999) 90

〈그림 2.1.2〉 수요위주의 접근법의 주요소 흐름도 (Radif, 1999) 90

〈그림 2.1.3〉 생태계에 근원한 접근법의 주요소 흐름도 (Radif, 1999) 91

〈그림 2.1.4〉 유역통합관리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 (Koudstaal 등, 1992) 92

〈그림 2.1.5〉 통합계획의 절차 (Walesh, 1989) 95

〈그림 2.1.6〉 통합계획 절차의 단계 (Plate, 1993) 97

〈그림 2.1.7〉 대안 선별과정에 대한 절차 (Southeastern Wisconsin Regional Planning Commission, 1976) 99

〈그림 2.1.8〉 중ㆍ소유역 계획수립 단계 (최지용, 2004) 100

〈그림 2.1.9〉 연구목표 및 연구방향 개념도 (이종태, 2004) 111

〈그림 2.1.10〉 Concept of pressure-state-response Model (OECD, 1998) 132

〈그림 2.1.11〉 Number of environmental flow methodologies of each type in use worldwide and their relative proportions, compared with the global total (Tharme, 2003) 137

〈그림 2.1.12〉 Relative percentage use of each of the six types of environmental flow methodologies for different world regions (Tharme, 2003) 137

〈그림 2.1.13〉 Relative percentage use of different types of environmental flow methodologies for the ten countries for which the highest total numbers of methodologies were recorded (Tharme, 2003) 139

〈그림 2.1.14〉 지역별 오염총량관리 목표수질 설정 개념도 142

〈그림 2.1.15〉 오염총량관리제기본방침의 구조 143

〈그림 2.1.16〉 홍수방어대안의 결정과정 (건교부, 2001) 149

〈그림 2.1.17〉 일본의 홍수량분담과 치수안전도 사례 (건교부, 2001) 150

〈그림 2.1.18〉 지하침투공법 개요도 (조원철, 2000) 157

〈그림 2.1.19〉 침투통 및 침투트렌치 설치도 (조원철, 2000) 157

〈그림 2.1.20〉 대안수립 흐름도 (심명필, 2004) 172

〈그림 2.2.1〉 BMP 시설계획 설계순서도 187

〈그림 2.2.2〉 BMP 시설 중 침투 트렌치 개략도 187

〈그림 2.2.3〉 BMP 시설 중 투수성 포장 개략도 188

〈그림 2.2.4〉 BMP 시설 중 수질관리 측구 개략도 188

〈그림 2.3.1〉 한강홍수통제소의 전산시스템 구성 및 장비현황 190

〈그림 2.3.2〉 시스템 H/W 및 S/W 구성도 193

〈그림 2.3.3〉 수문자료 수집 및 유관기관 공유체계도 193

〈그림 2.3.4〉 NWIS 시스템 개념도 194

〈그림 2.3.5〉 NWIS-Web의 실시간정보 메인페이지 195

〈그림 2.3.6〉 버지니아 주의 지역별 지하수 사용량 196

〈그림 2.3.7〉 NWS RFC가 운영되고 있는 유역 현황 198

〈그림 2.3.8〉 Missouri 유역의 RFC AHPS 메인 웹페이지 199

〈그림 2.3.9〉 ALERT 시스템을 활용한 LFWS 구성도 200

〈그림 2.3.10〉 NCDC의 자료수집 체계 201

〈그림 2.3.11〉 이용목적별 NCDC 접속 현황 201

〈그림 2.3.12〉 NOMADS 네트워크 202

〈그림 2.3.13〉 지표수 모니터링 시스템 설계 개략도 204

〈그림 2.5.1〉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 상호관계 227

〈그림 2.5.2〉 System overview of BASINS (v.3.0) 230

〈그림 2.5.3〉 댐과 하천을 연계한 유역 통합물관리 운영시스템 개념도 (고익환, 2004) 231

〈그림 2.5.4〉 Resource management strategies of California water plan update 2005 233

〈그림 3.1.1〉 Procedure of integrated watershed management 235

〈그림 3.1.2〉 안양천 유역의 토지이용 변화 243

〈그림 3.1.3〉 각 지점별 수위-유량 관계곡선 246

〈그림 3.1.4〉 안양천 유역의 수계 모식도 248

〈그림 3.1.5〉 2단계 1차년도의 물순환 모의 수행지점 249

〈그림 3.1.6〉 개선된 모형의 물순환 현황 분석지점 252

〈그림 3.1.7〉 각 지점별 물순환 모의 결과 (2002년) 254

〈그림 3.1.8〉 각 지점별 물순환 모의 결과 (2003년) 254

〈그림 3.1.9〉 각 지점별 유황곡선 255

〈그림 3.1.10〉 비점오염원 단위 산정 흐름도 (최지용, 1997) 263

〈그림 3.1.11〉 Quantity and quality of effluent from Anyang wastewater treatment plant(WWTP) 270

〈그림 3.1.12〉 Drainage system of the watershed 271

〈그림 3.1.13〉 Concept of EMC 271

〈그림 3.1.14〉 Hydrograph and pollutographs at the Giadaegyo (bridge) 273

〈그림 3.1.15〉 Hydrographs and pollutographs during the dry weather at the Giadaegyo (bridge) 274

〈그림 3.1.16〉 Types of the observed polluteaph 276

〈그림 3.1.17〉 Pollutographs at Giadaegyo (2006. 5. 27) 278

〈그림 3.1.18〉 Pollutographs at Dorimgyo (2006. 6.10) 282

〈그림 3.1.19〉 Pollutographs at Bisangyo (2006. 6. 14 ~ 15) 285

〈그림 3.1.20〉 Simulation results of daily flow in the year of 2004 288

〈그림 3.1.21〉 안양천 유역 내 홍수취약지구 현황 (현대Eng., 2005) 295

〈그림 3.1.22〉 Sensitivity analysis of hydrology parameters 299

〈그림 3.1.23〉 Watershed division for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299

〈그림 3.1.24〉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for region I ~ IV (runoff) 300

〈그림 3.1.25〉 Hydrologic cycle diagram for HSPF 302

〈그림 3.1.26〉 안양천 유역에 위치한 목감천 유역 305

〈그림 3.1.27〉 목감천 유역의 행정구역도 306

〈그림 3.1.28〉 목감천 유역의 소유역 분할 306

〈그림 3.1.29〉 목감천 유역의 토지이용도 307

〈그림 3.1.30〉 목감천 유역의 TIN 파일 307

〈그림 3.1.31〉 Flow network of the combined sewer, interception sewer and stream diverted by flow divider(장주형, 2005) 308

〈그림 3.1.32〉 목감천 유역의 소유역분할 및 배수관망도 309

〈그림 3.1.33〉 목감천 유역의 하도 및 하수관망도 309

〈그림 3.1.34〉 수량 매개변수의 민감도 분석 313

〈그림 3.1.35〉 수량 매개변수 보정 (Y = 0.39) 314

〈그림 3.1.36〉 수량 매개변수의 검증 (Y = 0.35) 314

〈그림 3.1.37〉 목감천 유역의 물순환 분석 315

〈그림 3.1.38〉 안양천 최상류 유역의 비 홍수기 연도별 강우에 따른 유출모의결과 320

〈그림 3.1.39〉 안양천 최상류 유역의 비 홍수기 각 요소별 모의결과의 평균값 323

〈그림 3.1.40〉 학의천 유역의 비 홍수기 연도별 강우에 따른 유출모의결과 325

〈그림 3.1.41〉 학의천 유역의 비 홍수기 각 요소별 모의결과의 평균값 328

〈그림 3.1.42〉 삼성, 삼막천 유역의 비 홍수기 연도별 강우에 따른 유출모의결과 330

〈그림 3.1.43〉 삼성, 삼막천 유역의 비 홍수기 각 요소별 모의결과의 평균값 333

〈그림 3.1.44〉 삼봉천 유역의 비 홍수기 연도별 강우에 따른 유출모의결과 334

〈그림 3.1.45〉 삼봉천 유역의 비 홍수기 각 요소별 모의결과의 평균값 337

〈그림 3.1.46〉 안양천 중상류 유역의 비 홍수기 연도별 강우에 따른 유출모의결과 340

〈그림 3.1.47〉 안양천 중상류 유역의 비 홍수기 각 요소별 모의결과의 평균값 343

〈그림 3.1.48〉 민감도 분석결과 345

〈그림 3.1.49〉 Calibration (2001) 349

〈그림 3.1.50〉 Verification (2002 ~ 2003) 350

〈그림 3.1.51〉 도림천 유역의 물순환 모의결과 350

〈그림 3.1.52〉 Input data-list of PLOAD (Edwards and Miller, 2001) 356

〈그림 3.1.53〉 Sensitivity analysis of BOD parameters 360

〈그림 3.1.54〉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for region I ~ region IV (BOD concentration) 361

〈그림 3.1.55〉 수질 관련 매개변수의 민감도 분석 365

〈그림 3.1.56〉 수질 매개변수의 보정 (Y = 0.15) 366

〈그림 3.1.57〉 수질 매개변수의 검증 (Y = 0.18) 367

〈그림 3.1.58/3.1.65〉 유역분할도 369

〈그림 3.1.59〉 연도별 단위면적당 오염물질 부하량 변화 추이 371

〈그림 3.1.60〉 안양천 유역의 소유역 구분과 Thiessen network 373

〈그림 3.1.61〉 홍수량 산정 모식도 375

〈그림 3.1.62〉 민감도 분석 (첨두유량) 378

〈그림 3.1.63〉 민감도 분석 (총유출량) 378

〈그림 3.1.64〉 신정지점 보정결과 380

〈그림 3.1.65〉 안양지점 보정결과 381

〈그림 3.1.66〉 신정지점 검증결과 (03년 8월 20일) 382

〈그림 3.1.67〉 안양지점 검증결과 (03년 7월 24일) 383

〈그림 3.1.68〉 신정지점의 검증결과 (05년 9월 30) 384

〈그림 3.1.69〉 안양지점의 보정결과 (05년 9월 30일) 385

〈그림 3.1.70〉 2001년 기왕최대 강우사상 모의결과 392

〈그림 3.1.71〉 1972년 기왕최대 강우사상 모의결과 393

〈그림 3.1.72〉 모의결과 비교 - 2001년 7월 14일 ~ 15일 397

〈그림 3.1.73〉 모의결과 비교 - 1972년 8월 18일 ~ 19일 400

〈그림 3.1.74〉 유역종합치수계획과 삼본엔지니어링의 50년 빈도 확률강우량 산정결과 비교 401

〈그림 3.1.75〉 안양천 유역종합치수계획 확률강우강도식의 5 ~ 6시간 10분단위 강우량 산정결과 401

〈그림 3.1.76〉 삼본엔지니어링 확률강우강도식의 2 ~ 4시간 10분단위 강우량 산정결과 401

〈그림 3.1.77〉 50년 빈도 주요지점별 지속시간별 홍수량 404

〈그림 3.1.78〉 100년 빈도 주요지점별 지속시간별 홍수량 404

〈그림 3.1.79〉 200년 빈도 주요지점별 지속시간별 홍수량 405

〈그림 3.1.80〉 각 빈도별 4-6시간 지속시간 10분 단위 홍수량 산정결과 405

〈그림 3.1.81〉 각 빈도별 12 - 14시간 지속시간 10분 단위 홍수량 산정결과 406

〈그림 3.1.82〉 배수영향을 고려하지 않은 홍수위 산정결과 412

〈그림 3.1.83〉 배수영향을 고려한 홍수위 산정결과 414

〈그림 3.1.84〉 200년 빈도 홍수위 및 제방고와 교량의 하단표고 419

〈그림 3.1.85〉 내수침수도 (이경호, 2005) 420

〈그림 3.1.86〉 외수범람을 고려한 내수침수도 (이경호, 2005) 420

〈그림 3.1.87〉 민감도 분석에 사용된 반응계수 및 재포기 계수 공식의 선택 (U.S. EPA, 1995) 422

〈그림 3.1.88〉 DO 실측값 및 모의값 (보정) 427

〈그림 3.1.89〉 BOD 실측값 및 모의값 (보정) 427

〈그림 3.1.90〉 NO₃-N 실측값 및 모의값 (보정) 428

〈그림 3.1.91〉 질산화(Nitrification) 과정 (장준영, 2004) 428

〈그림 3.1.92〉 DO 실측값 및 모의값 (검증) 430

〈그림 3.1.93〉 BOD 실측값 및 모의값 (검증) 431

〈그림 3.1.94〉 NO₃-N 실측값 및 모의값 (검증) 431

〈그림 3.1.95〉 The indicator structure of indices 432

〈그림 3.1.96〉 Spatial grade distributions of PFD, PSD, PWQD and WEI 439

〈그림 3.1.97〉 Indices of all subwatersheds 441

〈그림 3.1.98〉 Grades of all subwatersheds 441

〈그림 3.1.99〉 하천유지유량 산정지점 445

〈그림 3.1.100〉 Dupuit-Boussinesq stream-aquifer 모형의 개념도 (Vogel and Kroll, 1992) 448

〈그림 3.1.101〉 모의 일유량 자료의 생성 절차 460

〈그림 3.1.102〉 대수 일유량 자료의 생성시 사용된 평균과 표준편차 460

〈그림 3.1.103〉 대수 일유량 자료의 생성시 사용된 lag-1 자기상관계수 460

〈그림 3.1.104〉 표준편차와 lag-1 자기상관계수에 따른 100년 중 355일 유지유량이 최저 7일 평균유량보다 큰 해의 수 461

〈그림 3.1.105〉 유역별 대수를 취한 일별 유량의 평균, 표준편차, lag-1 자기상관계수의 Fourier series 463

〈그림 3.1.106〉 355일 유지유량의 Weibull probability plot 469

〈그림 3.1.107〉 최저 7일 평균유량의 Weibull probability plot 471

〈그림 3.1.108〉 PHABSIM for windows flowchart (USGS, 2001) 474

〈그림 3.1.109〉 Conceptualization of how PHABSIM calculates habitat values as a function of discharge (Stalnaker et al., 1995) 475

〈그림 3.1.110〉 Examples of three formats of habitat suitability criteria that can be used in PHABSIM:(a) binary, (b) univariate curve, and (c) multivariate respons surface (Bovee et al., 1998) 475

〈그림 3.1.111〉 Habitat suitability criteria attributes for a habitat cell, showing multiplicative aggregation option (USGS, 2001) 477

〈그림 3.1.112〉 대표어종별 서식처 적합도 곡선 480

〈그림 3.1.113〉 목표수질 487

〈그림 3.1.114〉 홍수량 산정 모식도 (현대Eng., 2005) 489

〈그림 3.1.115〉 CN값의 변화 (현대Eng., 2005) 491

〈그림 3.1.116〉 300 ㎥/day 이상 용출수가 발생하는 지하철 역사 분포도 504

〈그림 3.1.117〉 안양천 유역 내의 침투증진시설 설치가능지역 현황 (㎡) 508

〈그림 3.1.118〉 둔치 주차장 및 도로 현황 511

〈그림 3.1.119〉 이수관련 사업 계획도 529

〈그림 3.1.120〉 치수관련 사업 계획도 530

〈그림 3.1.121〉 수질관련 사업 계획도 531

〈그림 3.1.122〉 Restoration alternatives by streams 534

〈그림 3.1.123〉 Flow-duration curve for Ojencheon (1996 ~ 2005) 536

〈그림 3.1.124〉 Comparison of BOD concentration flow as a result of reservoir outflow change for Ojencheon (1996 ~ 2005) 537

〈그림 3.1.125〉 Comparison of BOD load as a result of reservoir outflow change for Ojencheon (1996 ~ 2005) 537

〈그림 3.1.126〉 Flow-duration curve for Sammakcheon (1996 ~ 2005) 539

〈그림 3.1.127〉 Comparison of BOD concentration between without and with wastewater reuse for Sammakcheon (1996 ~ 2005) 540

〈그림 3.1.128〉 Comparison of BOD load between without and with wastewater reuse for Sammakcheon (1996 ~ 2005) 540

〈그림 3.1.129〉 Flow-duration curve for Samsungcheon (1996 ~ 2005) 540

〈그림 3.1.130〉 Comparison of BOD concentration as a result of measures for Samsungcheon (1996 ~ 2005) 543

〈그림 3.1.131〉 Comparison of BOD concentration as result of measures for Samsungcheon (1996 ~ 2005) 543

〈그림 3.1.132〉 Flow-duration curve for Suamcheon (1996 ~ 2005) 543

〈그림 3.1.133〉 Flow-duration curve for Sambongcheon (1996 ~ 2005) 543

〈그림 3.1.134〉 Comparison of BOD concentration between without and with wastewater reuse for Suamcheon (1996 ~ 2005) 545

〈그림 3.1.135〉 Comparison of BOD load between without and with wastewater reuse for Suamcheon (1996 ~ 2005) 545

〈그림 3.1.136〉 Comparison of BOD concentration between without and with wastewater reusefor Sambongcheon (1996 ~ 2005) 545

〈그림 3.1.137〉 Comparison of BOD load between without and with wastewater reuse for Sambongcheon (1996 ~ 2005) 545

〈그림 3.1.138〉 Flow-duration curve for Gesucheon (1996 ~ 2005) 547

〈그림 3.1.139〉 Comparison of BOD concentration as a result of reservoir redevelopment for Gesucheon (1996 ~ 2005) 548

〈그림 3.1.140〉 Comparison of BOD load as a result of reservoir redevelopment for Gesucheon(1996 ~ 2005) 548

〈그림 3.1.141〉 Flow-duration curve for Daebangcheon(1996 ~ 2005) 549

〈그림 3.1.142〉 Comparison of BOD concentration between without and with subway water for Daebangcheon (1996 ~ 2005) 550

〈그림 3.1.143〉 Comparison of BOD load between without and with subway water for Daebangcheon (1996 ~ 2005) 550

〈그림 3.1.144〉 Flow-duration curve for Bongcheoncheon (1996 ~ 2005) 552

〈그림 3.1.145〉 Comparison of BOD concentration between without and with subway water for Bongcheoncheon (1996 ~ 2005) 553

〈그림 3.1.146〉 Comparison of BOD load between without and with subway water for Bongcheoncheon (1996 ~ 2005) 553

〈그림 3.1.147〉 Flow-duration curve for Dorimcheon (1996 ~ 2005) 553

〈그림 3.1.148〉 Comparison of BOD concentrationas a result of measures for Dorimcheon (1996 ~ 2005) 555

〈그림 3.1.149〉 Comparison of instream flow as a result of measures for Dorimcheon (1996 ~ 2005) 555

〈그림 3.1.150〉 기존과 대안 ①의 수질변화 비교 562

〈그림 3.1.151〉 기존과 대안 ②의 수질변화 비교 563

〈그림 3.1.152〉 기존과 대안 ① + ②의 수질변화 비교 564

〈그림 3.1.153〉 안양천 중상류 유역 내 하수처리장 및 지하철역 위치도 570

〈그림 3.1.154〉 오전천 유역 출구지점에서의 유황곡선 571

〈그림 3.1.155〉 왕곡천 유역 출구지점에서의 유황곡선 575

〈그림 3.1.156〉 학의천 비산교지점에서의 유황곡선 577

〈그림 3.1.157〉 삼성천 유역 출구지점에서의 유황곡선 578

〈그림 3.1.158〉 삼막천 유역 출구지점에서의 유황곡선 580

〈그림 3.1.159〉 도시개발 전ㆍ후의 토지이용현황도 비교 585

〈그림 3.1.160〉 격자 내의 세부 토지이용현황 구축방법 585

〈그림 3.1.161〉 토지이용변화에 의한 유출특성 비교 586

〈그림 3.1.162〉 토지이용변화에 의한 성분별 비교 587

〈그림 3.1.163〉 도림천 유역의 침투트랜치 적용 위치 및 길이 589

〈그림 3.1.164〉 침투트랜치 설치에 의한 유출특성 비교 590

〈그림 3.1.165〉 침투트랜치 설치에 의한 성분별 비교 591

〈그림 3.1.166〉 도림천 유역의 도로위치 592

〈그림 3.1.167〉 투수성 포장재 설치에 의한 유출특성 비교 592

〈그림 3.1.168〉 투수성 포장재 설치에 의한 성분별 비교 593

〈그림 3.1.169〉 침투트랜치와 투수성 포장재 동시적용에 의한 유출특성 비교 594

〈그림 3.1.170〉 침투트랜치와 투수성 포장재 동시적용에 의한 성분별 비교 595

〈그림 3.1.171〉 전체 물순환 모의 유출특성 비교 596

〈그림 3.1.172〉 하수처리장 방류수 수질 601

〈그림 3.1.173〉 고도처리시설 고려에 대한 BOD 변화 605

〈그림 3.1.174〉 고도처리시설 고려에 대한 DO 변화 605

〈그림 3.1.175〉 고도처리시설 고려에 대한 NO₃-N 변화 606

〈그림 3.1.176〉 자갈접촉산화시설 조감도 608

〈그림 3.1.177〉 끈상접촉산화공법의 정화원리 609

〈그림 3.1.178〉 끈상접촉여재 (메디아) 609

〈그림 3.1.179〉 끈상접촉산화공법 조감도 610

〈그림 3.1.180〉 STORMSYS 원리 610

〈그림 3.1.181〉 하천정화시설 고려에 대한 DO 변화 612

〈그림 3.1.182〉 하천정화시설 고려에 대한 BOD 변화 613

〈그림 3.1.183〉 하천정화시설 고려에 대한 NO₃-N 변화 613

〈그림 3.1.184〉 실행계획도 616

〈그림 3.1.185〉 Constitution of evaluation index for water quality 619

〈그림 3.1.186〉 Constitution of evaluation index for water quality 622

〈그림 3.1.187〉 Evaluation indices in case of quantity:quality = 0.5:0.5 623

〈그림 3.1.188〉 Evaluation indices in case of quantity:quality = 0.35:0.65 624

〈그림 3.2.1〉 안양천 유역 내에 위치한 학의천 유역 627

〈그림 3.2.2〉 학의천 유역의 수문관측소 현황 628

〈그림 3.2.3〉 학의천 유역의 지형도와 하수간선관망도 631

〈그림 3.2.4〉 학의천 유역의 유역분할도 632

〈그림 3.2.5〉 학의천 유역의 DEM 632

〈그림 3.2.6〉 하도/관망 구성도 636

〈그림 3.2.7〉 하도/관망 모식도 637

〈그림 3.2.8〉 학의천 유역의 불투수면적 변화도 638

〈그림 3.2.9〉 모형의 보정 (GA vs. Manual) 641

〈그림 3.2.10〉 모형의 검증 641

〈그림 3.2.11〉 불투수면적 변화에 따른 유출 변화 641

〈그림 3.2.12〉 불투수면적 변화에 따른 물 순환 변화 643

〈그림 3.2.13〉 SWMM 블록간의 관계 (Huber and Dickinson, 1988) 645

〈그림 3.2.14〉 RUNOFF 블록의 구성 (Huber and Dickinson, 1988) 648

〈그림 3.2.15〉 전형적인 투수성 포장의 구조 (Kresin, 1996) 651

〈그림 3.2.16〉 MICBEC와 MICBIC 블록 651

〈그림 3.2.17〉 RUNOFF 블록 소유역 개념도 (Huber and Dickinson, 1988) 653

〈그림 3.2.18〉 감쇄계수에 따른 지수 함수 657

〈그림 3.2.19〉 수정된 물 순환 모형의 시험 수행 소유역 658

〈그림 3.2.20〉 시험 수행 1 (포장층 재생 효과, 4년 모의 중 초기) 660

〈그림 3.2.21〉 시험 수행 1 (포장층 재생 효과, 4년 모의 중 말기) 660

〈그림 3.2.22〉 시험 수행 2 (투수성 포장 효과 및 포장층 방치결과, 4년모의 중 초기) 661

〈그림 3.2.23〉 시험 수행 2 (투수성 포장 효과 및 포장층 방치결과, 4년모의 중 말기) 661

〈그림 3.2.24〉 시험 수행 3 (포장층 포화투수계수 효과, 4년 모의 중 초기) 662

〈그림 3.2.25〉 시험 수행 3 (포장층 포화투수계수 효과, 4년 모의 중 말기) 662

〈그림 3.2.26〉 학의천의 건천화 방지를 위한 유지용수들의 방류 지점 664

〈그림 3.2.27〉 하수처리 재이용수의 효과분석 (비산교) 664

〈그림 3.2.28〉 하수처리 재이용수에 대한 유황곡선의 비교 (비산교) 665

〈그림 3.2.29〉 학의천 유역의 투수성 포장 효과 (불투수면적의 10 % 치환) 665

〈그림 3.2.30〉 학의천 유역의 투수성 포장 설치 효과와 기존 지표유량의 비교 (비산교) 666

〈그림 3.2.31〉 침투 트렌치의 구조 667

〈그림 3.2.32〉 배수유역의 침투 트렌치 유출흐름도 668

〈그림 3.2.33〉 침투 트렌치 주요 내부시설 668

〈그림 3.2.34〉 전형적인 exfiltration 트렌치 669

〈그림 3.2.35〉 침투 트렌치 횡단면 개념도 671

〈그림 3.2.36〉 추가된 SWMM 침투 트렌치 소영역 A6 673

〈그림 3.2.37〉 수정 SWMM의 지표면 흐름계산 673

〈그림 3.2.38〉 9번 소유역 트렌치 효과분석 (2004년 6월 22~24일) 674

〈그림 3.2.39〉 학의천 유역 트렌치 효과분석 (비산교) 674

〈그림 3.2.40〉 학의천 유역 트렌치 효과분석 (2002년 10월 12~14일;비산교) 674

〈그림 3.2.41〉 유황곡선의 비교 (비산교) 675

〈그림 3.2.42〉 하천유지유량의 비교 (비산교) 676

〈그림 3.2.43〉 TRANSPORT 블록의 구성(Huber and Dickinson, 1988) 678

〈그림 3.2.44〉 TRANSPORT 블록의 계산 흐름도 680

〈그림 3.2.45〉 격자망 구성과 가중치 682

〈그림 3.2.46〉 TRANSPORT 블록의 관거흐름 해석 682

〈그림 3.2.47〉 백운저수지 현장 위치도와 주요 방류시설 688

〈그림 3.2.48〉 TRANSPORT 블록 내의 백운저수지 입력자료 689

〈그림 3.2.49〉 학의천 백운저수지 효과분석 1 (백운저수지 직하류) 690

〈그림 3.2.50〉 학의천 백운저수지 효과분석 2 (백운저수지 직하류) 690

〈그림 3.2.51〉 학의천 백운저수지 효과분석 1 (비산교) 691

〈그림 3.2.52〉 학의천 백운저수지 효과분석 2 (비산교) 691

〈그림 3.2.53〉 유황곡선의 비교 (비산교) 691

〈그림 3.2.54〉 하천유지유량의 비교 (비산교) 691

〈그림 3.2.55〉 SWMM GROUND 부프로그램의 개념도 및 매개변수 James et al., 2003) 693

〈그림 3.2.56〉 하천-대수층 상호작용 (Rushton, 2003) 695

〈그림 3.2.57〉 MODFLOW의 하천-대수층 상호작용 695

〈그림 3.2.58〉 하천수의 지하유출에 따른 SWMM GROUND 부프로그램의 개념도 및 매개변수 697

〈그림 3.2.59〉 수정 SWMM의 시범수행을 위한 가상의 소유역 698

〈그림 3.2.60〉 수정 SWMM의 시범수행 모의결과 699

〈그림 3.2.61〉 수정 SWMM의 시험수행 모의결과 분석 699

〈그림 3.2.62〉 학의천 유역 내 행정구역(동)들의 지하수 이용량 702

〈그림 3.2.63〉 학의천 지하수 양수 시험수행 소유역 702

〈그림 3.2.64〉 지하수 양수를 고려한 경우와 고려하지 않은 경우의 지하수유출량 비교 703

〈그림 3.2.65〉 하천-대수층 상호작용에 의한 지하수유출량과 지하수위의 변동 703

〈그림 3.2.66〉 지하수 양수를 고려한 SWMM의 개선된 모의 704

〈그림 3.2.67〉 개선된 SWMM의 하천-대수층 상호작용에 따른 지하수유출 변화 705

〈그림 3.2.68〉 학의천 지하철 용출수 효과분석 대상 소유역 (갈현천) 710

〈그림 3.2.69〉 치하철 용출수 방류지점의 하천-대수층 상호작용에 따른 지하수유출 변화(갈현천) 710

〈그림 3.2.70〉 지하철 용출수 효과분석 1 (갈현천 하류) 711

〈그림 3.2.71〉 지하철 용출수 효과분석 2 (갈현천 하류) 711

〈그림 3.2.72〉 지하철 용출수에 대한 유황곡선의 비교 (갈현천) 712

〈그림 3.2.73〉 지하철 용출수에 대한 지표유량의 비교 (갈현천) 713

〈그림 3.2.74〉 실험장치 개념도 719

〈그림 3.2.75〉 실험기기 설치를 위한 유입구 위치도 721

〈그림 3.2.76〉 지하수 유출 수집통 설치 개념도 725

〈그림 3.2.77〉 위치에 따른 흡수력계 설치 단면도 727

〈그림 3.2.78〉 위치에 따른 흡수력계 설치 측면도 및 구성 727

〈그림 3.2.79〉 위압수두계 설치 위치도 728

〈그림 3.2.80〉 지표 및 지하수 유출량 변화 (사례 1) 732

〈그림 3.2.81〉 토조 내 지하수위 변화 (사례 1) 732

〈그림 3.2.82〉 토조 내 함수비 변화 (사례 1) 733

〈그림 3.2.83〉 지표 및 지하수 유출량 변화 (사례 2) 734

〈그림 3.2.84〉 토조 내 지하수위 변화 (사례 2) 735

〈그림 3.2.85〉 토조 내 함수비 변화 (사례 2) 735

〈그림 3.2.86〉 지표 및 지하수 유출량 변화 (사례 3) 736

〈그림 3.2.87〉 토조 내 지하수위 변화 (사례 3) 737

〈그림 3.2.88〉 토조 내 함수비 변화 (사례 3) 737

〈그림 3.2.89〉 첨두유량에 대한 지표, 지하수 유출량의 민감도 분석 (H3) 743

〈그림 3.2.90〉 총 유출량에 대한 지표, 지하수 유출량의 민감도 분석 (H3) 743

〈그림 3.2.91〉 첨두유량에 대한 지표, 지하수 유출량의 민감도 분석 (H4) 744

〈그림 3.2.92〉 총 유출량에 대한 지표, 지하수 유출량의 민감도 분석 (H4) 744

〈그림 3.2.93〉 지표, 지하수 유출 모의 결과 (사례 1) 745

〈그림 3.2.94〉 지하수위 모의 결과 (사례 1) 746

〈그림 3.2.95〉 함수비 모의 결과 (사례 1) 746

〈그림 3.2.96〉 지표, 지하수 유출 모의 결과 (사례 2) 747

〈그림 3.2.97〉 지하수위 모의 결과 (사례 2) 748

〈그림 3.2.98〉 함수비 모의 결과 (사례 2) 748

〈그림 3.2.99〉 지표, 지하수 유출 모의 결과 (사례 3) 749

〈그림 3.2.100〉 지하수위 모의 결과 (사례 3) 750

〈그림 3.2.101〉 함수비 모의 결과 (사례 3) 750

〈그림 3.2.102〉 지표, 지하수 유출량 비교 (사례 1) 751

〈그림 3.2.103〉 지표, 지하수 유출량 비교 (사례 2) 752

〈그림 3.2.104〉 지표, 지하수 유출량 비교 (사례 3) 752

〈그림 3.2.105〉 지하수위 변화 비교 (사례 1) 754

〈그림 3.2.106〉 지하수위 변화 비교 (사례 2) 755

〈그림 3.2.107〉 지하수위 변화 비교 (사례 3) 755

〈그림 3.2.108〉 함수비 비교 (사례 1) 756

〈그림 3.2.109〉 함수비 비교 (사례 2) 757

〈그림 3.2.110〉 함수비 비교 (사례 3) 757

〈그림 3.2.111〉 실험장치 개념도 759

〈그림 3.2.112〉 흡수력계 설치 위치 760

〈그림 3.2.113〉 위압수두계 설치 위치 761

〈그림 3.2.114〉 가상의 영역을 포함한 실험 토조의 개념도 763

〈그림 3.2.115〉 사례 1의 유출량 변화 764

〈그림 3.2.116〉 사례 1의 지하수위 변화 765

〈그림 3.2.117〉 사례 1의 함수비 변화 765

〈그림 3.2.118〉 사례 2의 유출량 변화 766

〈그림 3.2.119〉 사례 2의 지하수위 변화 767

〈그림 3.2.120〉 사례 2의 함수비 변화 767

〈그림 3.2.121〉 사례 3의 유출량 변화 768

〈그림 3.2.122〉 사례 3의 지하수위 변화 769

〈그림 3.2.123〉 사례 3의 함수비 변화 769

〈그림 3.2.124〉 모형실험과 SWMM 모의의 유출량 비교(사례 A) 772

〈그림 3.2.125〉 모형실험과 SWMM 모의의 지하수위 비교(사례 A) 773

〈그림 3.2.126〉 모형실험과 SWMM 모의의 함수비 비교(사례 A) 774

〈그림 3.2.127〉 모형실험과 SWMM 모의의 유출량 비교(사례 B) 774

〈그림 3.2.128〉 모형실험과 SWMM 모의의 지하수위 비교(사례 B) 775

〈그림 3.2.129〉 모형실험과 SWMM 모의의 함수비 비교(사례 B) 775

〈그림 3.2.130〉 모형실험과 SWMM 모의의 유출량 비교(사례 C) 776

〈그림 3.2.131〉 모형실험과 SWMM 모의의 지하수위 비교(사례 C) 777

〈그림 3.2.132〉 모형실험과 SWMM 모의의 함수비 비교(사례 C) 777

〈그림 3.3.1〉 실시간 수문모니터링 시스템 구조도 780

〈그림 3.3.2〉 안양천 하천수위 모니터링 지점 현황도 780

〈그림 3.3.3〉 실시간 하천수위 모니터링 장비 현장설치 781

〈그림 3.3.4〉 안양천 지하수위 모니터링 지점 현황도 781

〈그림 3.3.5〉 실시간 지하수위 모니터링 장비 현장설치 781

〈그림 3.3.6〉 학의천 수촌교 아래 차집관거 모습 783

〈그림 3.3.7〉 안양천 삼진기술소 앞 합류식 관거 모습 783

〈그림 3.3.8〉 학의천 수촌교 아래 차집관거 내 설치모습 784

〈그림 3.3.9〉 삼진기술소 앞 합류식 관거 내 설치모습 784

〈그림 3.3.10〉 계측 시스템 설치 개요도 785

〈그림 3.3.11〉 태양열 전자판 및 판넬 설치 모습 786

〈그림 3.3.12〉 데이터로거 및 태양열전지판 판넬 내부 모습 786

〈그림 3.3.13〉 실시간 하수관거 모니터링 웹 시스템 모식도 787

〈그림 3.3.14〉 기 구축된 실시간 수문모니터링 웹 시스템(하천-지하수위) 788

〈그림 3.3.15〉 실시간 하수관거 모니터링 웹 시스템 화면 788

〈그림 3.3.16〉 안양천 유역 관측 DB의 통합 모식도 790

〈그림 3.3.17〉 안양천 수계 내 강우관측소 위치도(안양시청 관할) 790

〈그림 3.3.18〉 강우관측자료 통합 운영 예 791

〈그림 3.3.19〉 안양천 수계 내 하천수위 관측소 위치도 792

〈그림 3.3.20〉 하천수위 관측자료 통합 운영 예 793

〈그림 3.3.21〉 안양천 수계내 치하수위 관측소 위치도 794

〈그림 3.3.22〉 지하수위 관측자료 통합 운영 현황 795

〈그림 3.3.23〉 노후된 안양시 수문관측 서버 796

〈그림 3.3.24〉 개선 전 안양시 수문관측체계 구성도 796

〈그림 3.3.25〉 퇴적토로 인해 음파식 수위계 작동 불능 797

〈그림 3.3.26〉 노후된 수문관측기기 및 통신기기 797

〈그림 3.3.27〉 안양대교의 노후된 수문관측기기 및 통신기기 798

〈그림 3.3.28〉 PLC장비 프로토콜 수정 작업 798

〈그림 3.3.29〉 안양천 살리기 웹사이트내의 실시간 수문모니터링 화면 799

〈그림 3.3.30〉 안양천 실시간 수문관측체계 수신 프로그램 테이블 구조 800

〈그림 3.3.31〉 ARMS 운영 다이어그램 801

〈그림 3.3.32〉 안양천 살리기 사업 진행현황 802

〈그림 3.3.33〉 안양천 유역내 생태 구성 및 분포현황 802

〈그림 3.3.34〉 안양천 유역내(안양시 관할) 조류서식 분포(위치별, 계절별) 803

〈그림 3.3.35〉 안양시 운영 강우량 관측시설 위치도 826

〈그림 3.3.36〉 안양시 운영 하천수위 관측시설 위치도 827

〈그림 3.3.37〉 안양시청 수위관측일보 예시(파일명:day20040910_xls) 828

〈그림 3.3.38〉 Architecture of SYBASE ASE 829

〈그림 3.3.39〉 안양천 통합 수문모니터링 시스템 모식도 830

〈그림 3.3.40〉 안양천 통합 수문모니터링 시스템 송ㆍ수신 모식도 830

〈그림 3.3.41〉 프론티어 사업단 운영 안양천 수문관측 DB 831

〈그림 3.3.42〉 안양시청 운영 안양천 수문관측DB 831

〈그림 3.3.43〉 안양천 실시간 통합 수문모니터링 웹시스템 구성도 832

〈그림 3.3.44〉 안양천 상류 유역 내 하수유량관측소 위치도 833

〈그림 3.3.45〉 안양천 실시간 수문모니터링 시스템 메인화면 835

〈그림 3.3.46〉 실시간 수문모니터링의 DB 연계 836

〈그림 3.3.47〉 실시간 하천수위 검색 837

〈그림 3.3.48〉 실시간 하천수위 검색 결과의 그래프 분석 및 결과 저장 기능 837

〈그림 3.3.49〉 실시간 수문모니터링 자료검색 기능에서의 DB 연계 838

〈그림 3.3.50〉 실시간 수문모니터링 자료검색 기능 838

〈그림 3.3.51〉 실시간 수문모니터링 자료비교 검색 기능 839

〈그림 3.3.52〉 비교검색 결과의 그래프 분석(강우량, 하천수위) 840

〈그림 3.3.53〉 자료 비교검색 DB 연계 840

〈그림 3.3.54〉 생태모니터링 웹 시스템 841

〈그림 3.3.55〉 안양시 운영 강우관측소 845

〈그림 3.3.56〉 안양시 운영 수위관측소 845

〈그림 3.3.57〉 안양시청관할 원시 수문관측자료 현황 846

〈그림 3.3.58〉 안양천 유역의 2001~2004년 일강우 현황 848

〈그림 3.3.59〉 2002년 5월 1일 00:00 ~ 2002년 9월 30일 23:00 849

〈그림 3.3.60〉 2003년 4월 1일 00:00 ~ 2002년 9월 30일 23:00 850

〈그림 3.3.61〉 2004년 5월 1일 00:00 ~ 2002년 9월 30일 23:00 851

〈그림 3.3.62〉 프론티어 사업에서 구축된 수문모니터링 관측지점 853

〈그림 3.3.63〉 하천수위 모니터링 관측지점별 일강우-일수위 변화 855

〈그림 3.3.64〉 지하수위 모니터링 관측지점별 일강우-일수위 변화 856

〈그림 3.3.65〉 지차제 및 프론티어 모니터링 관측지점별 일강우-일수위 변화(1/2) 856

〈그림 3.3.66〉 지차제 및 프론티어 모니터링 관측지점별 일강우-일수위 변화(2/2) 857

〈그림 3.3.67〉 강우특성별 4개 관측지점 하천수위 변화 분석 857

〈그림 3.3.68〉 하천수위-지하수위 상관관계 분석 859

〈그림 3.3.69〉 강우량-지하수위 상관관계 분석 860

〈그림 3.3.70〉 상류-하류의 하천수위 변화 분석 862

〈그림 3.3.71〉 상호상관 분석을 위해 수집된 강우관측소의 위치 현황도 864

〈그림 3.3.72〉 상관도 분석을 위해 수집된 관측일우량 865

〈그림 3.3.73〉 관측소간의 상관거리 산정 866

〈그림 3.3.74〉 관측소간 거리별 관측강우량과의 상관도(계수) 분석 866

〈그림 3.3.75〉 관측소간 거리별 관측강우량과의 선형적 회귀분석 867

〈그림 3.3.76〉 상관도에 따른 관측강우의 영향 지배면적 평가 867

〈그림 3.3.77〉 수문자료관리 프로그램 구조도 874

〈그림 3.3.78〉 자료해석모듈 모식도 874

〈그림 3.3.79〉 수문자료 품질관리를 위한 DB 구조 및 결과 DB 테이블 설계안 875

〈그림 3.3.80〉 품질관리 모듈 수행에 따른 이력관리 DB설계안("Revision" 테이블) 876

〈그림 3.3.81〉 "Revision 테이블"의 샘플 디자인 876

〈그림 3.3.82〉 HDAMS의 자료송ㆍ수신 흐름도 877

〈그림 3.3.83〉 HDAMS의 실행화면 879

〈그림 3.3.84〉 HDAMS 메인화면 및 실시간 수문모니터링 현황 화면 879

〈그림 3.3.85〉 HDAMS 메인화면에서의 관측소정보 제공 880

〈그림 3.3.86〉 HDAMS의 수문자료검색 기능 881

〈그림 3.3.87〉 검색자료의 저장 기능 882

〈그림 3.3.88〉 다양한 그래프 표현 기능 882

〈그림 3.3.89〉 HDAMS의 과거자료검색 기능 883

〈그림 3.3.90〉 수문자료분석에서의 도식적 분석 기능 884

〈그림 3.3.91〉 수문자료분석에서의 통계적 분석 기능 884

〈그림 3.3.92〉 다양하게 작성되는 보고서 기능 885

〈그림 3.3.93〉 수문자료관리 웹 시스템의 메인화면 886

〈그림 3.3.94〉 실시간 수문자료관리에서의 관측항목 관리ㆍ수정 GUI 887

〈그림 3.3.95〉 웹 시스템에서의 관측항목별 수문조사연보 작성 기능 888

〈그림 3.3.96〉 안양천 실시간 수문모니터링장비 설치 현장조사 893

〈그림 3.3.97〉 안양천 유역의 주요 구간 현장사진 895

〈그림 3.3.98〉 안양천 수계의 하천현황 및 하천주변현황 896

〈그림 3.3.99〉 주요 현장조사 구간 표시도 897

〈그림 3.3.100〉 현장조사 구간에 대한 현장사진 897

〈그림 3.3.101〉 안양천 유역의 주요 지점에서의 하천현황 898

〈그림 3.3.102〉 현장조사 대장 작성 예 901

〈그림 3.3.103〉 유량측정자료를 이용한 주요구간의 물수지도 902

〈그림 3.3.104〉 물수지 모식도 902

〈그림 3.3.105〉 유량측정 가능 지점 선정을 위한 현장조사지점 903

〈그림 3.3.106〉 유량측정 가능 지점 선정의 현장(호안교) 904

〈그림 3.3.107〉 유량측정 가능 지점 선정의 현장(안일교) 904

〈그림 3.3.108〉 유량측정 가능 지점 선정의 현장(안양대교) 905

〈그림 3.3.109〉 유량측정 가능 지점 선정의 현장(삼성천1교) 905

〈그림 3.3.110〉 유량측정 가능 지점 선정의 현장(삼막천과 삼성천 합류부) 906

〈그림 3.3.111〉 유량측정 가능 지점 선정의 현장(삼본천 및 안양천 합류부) 906

〈그림 3.3.112〉 수문순환의 토지현상에 대한 순환도 908

〈그림 3.3.113〉 SWAT 모형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계산(토지순환) 909

〈그림 3.3.114〉 Relationship among SWMM blocks(Huber and Dickinson, 1988) 912

〈그림 3.3.115〉 수문관측시스템에서 활용 가능한 강우자료 예(일단위) 916

〈그림 3.3.116〉 수문관측시스템에서 활용 가능한 강우-수위자료 예(일단위) 916

〈그림 3.3.117〉 의사결정지원 웹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자료 917

〈그림 3.3.118〉 SWMM 모의를 위한 수문모니터링 자료의 예(강수량-하수관거유량) 919

〈그림 3.3.119〉 SWMM 모의를 위한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자료의 예(토양도, 토지이용도) 919

〈그림 3.3.120〉 의사결정지원 웹 시스템 메인화면 925

〈그림 3.4.1〉 통합된 유역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Heathcote, 1998) 927

〈그림 3.4.2〉 유역통합관리 개념 931

〈그림 3.4.3〉 유역계획 수립과정 932

〈그림 3.4.4〉 안양천 수질개선 대책협의회 구성도 960

〈그림 3.4.5〉 미국 미네소타의 45개 유역 970

〈그림 3.4.6〉 텍사스주의 물관리 연계체계 972

〈그림 3.4.7〉 텍사스주의 유역통합관리 절차 974

〈그림 3.4.8〉 브라조스강 유역 통합관리 절차 974

〈그림 3.4.9〉 델라웨어강 유역관리체계 977

〈그림 3.4.10〉 호주의 유역관리계획의 틀 979

〈그림 3.4.11〉 무레이-다링 유역관리체계 980

〈그림 3.4.12〉 영국의 유역통합관리 흐름도 983

〈그림 3.4.13〉 라인강유역 통합관리 984

〈그림 3.4.14〉 국가물관리위원회 설치(안) 992

〈그림 3.4.15〉 안양천유역위원회 992

〈그림 3.4.16〉 유역계획 수립 및 사업집행 996

〈그림 3.4.17〉 안양천 Blueprint 작성체계 1000

〈그림 3.4.18〉 안양천 유역도 1005

〈그림 3.4.19〉 안양천의 종합적인 인과관계 1007

〈그림 3.4.20〉 건천화 및 치수문제의 인과관계 1008

〈그림 3.4.21〉 수질 및 생물다양성 감소 문제의 인과관계 1009

〈그림 3.4.22〉 유역네트워크 구성 제한의 문제 1009

〈그림 3.4.23〉 안양천 Blueprint의 기대효과 1011

〈그림 3.4.24〉 내수침수도 (이경호, 2005) 1013

〈그림 3.4.25〉 외수범람을 고려한 내수침수도 (이경호, 2005) 1013

〈그림 3.4.26〉 안양천 유역 내 하천복개 현황 1016

〈그림 3.4.27〉 안양천 유역의 연도별 토지이용도 1018

〈그림 3.4.28〉 설문응답자의 성별 1037

〈그림 3.4.29〉 설문응답자의 연령 1037

〈그림 3.4.30〉 설문응답자의 거주지역 1038

〈그림 3.4.31〉 설문응답자의 학력수준 1038

〈그림 3.4.32〉 설문응답자의 NGO 가입여부 1039

〈그림 3.4.33〉 안양천살리기 사업의 인지여부 1039

〈그림 3.4.34〉 안양천수질개선대책협의회 구성 인지여부 1040

〈그림 3.4.35〉 안양천 수질에 대한 인식 1040

〈그림 3.4.36〉 안양천의 이용횟수 1041

〈그림 3.4.37〉 안양천의 이용목적 1041

〈그림 3.4.38〉 안양천의 공익적 가치에 대한 인식 1042

〈그림 3.4.39〉 안양천의 10년 동안의 변화 1042

〈그림 3.4.40〉 안양천 개선으로 인한 부동산 가격상승효과 1043

〈그림 3.4.41〉 주민참여프로그램 참여의사 1043

〈그림 3.4.42〉 안양천을 살리기 위한 우선과제 1044

〈그림 3.4.43〉 안양천의 공익적 가치에 대한 비용부담에 찬성한 이유 1044

〈그림 3.4.44〉 안양천의 공익적 가치에 대한 비용부담에 반대한 이유 1045

〈그림 3.4.45〉 지자체 담당자의 업무 담당기간 1051

〈그림 3.4.46〉 안양천유역자문위원회의 역할(1순위) 1056

〈그림 3.4.47〉 안양천유역자문위원회의 역할(2순위) 1056

〈그림 3.4.48〉 사업단의 사업제안에 따른 수용의사 1056

〈그림 3.4.49〉 현재의 안양천의 모습 1091

〈그림 3.4.50〉 응답자의 거주지역 1094

〈그림 3.4.51〉 응답자의 성별 1094

〈그림 3.4.52〉 응답자의 연령분포 1095

〈그림 3.4.53〉 응답자의 학력수준 1095

〈그림 3.4.54〉 응답자의 소득수준 1096

〈그림 3.4.55〉 응답자의 환경단체 가입 유무 1096

〈그림 3.4.56〉 안양천의 이용경험 1097

〈그림 3.4.57〉 안양천의 이용경험 비교 1097

〈그림 3.4.58〉 수질개선대책협의회 구성에 대한 인지도 1098

〈그림 3.4.59〉 수질개선대책협의회 구성에 대한 인지도 비교 1098

〈그림 3.4.60〉 주민참여프로그램 참여의사 1099

〈그림 3.4.61〉 주민참여프로그램 참여의사 비교 1100

〈그림 3.4.62〉 안양천살리기 사업 우선순위 1101

〈그림 3.4.63〉 안양천살리기 사업 우선순위 비교 1101

〈그림 3.4.64〉 하수종말처리장의 하수처리기준에 대한 의견 1102

〈그림 3.4.65〉 안양천을 청계천처럼 복원하는 것에 대해 1102

〈그림 3.4.66〉 안양천의 중요한 속성 1103

〈그림 3.5.1〉 유역통합관리를 위한 의사결정지원시스템 구조도 1111

〈그림 3.5.2〉 DIWM의 메인화면 1112

〈그림 3.5.3〉 모식도 작성창 1112

〈그림 3.5.4〉 구성된 모식도 (안양천 중류) 1113

〈그림 3.5.5〉 입력자료 구축 창 1113

〈그림 3.5.6〉 유역별 토지이용도 그래프 창 1114

〈그림 3.5.7〉 하수처리장 방류실적 입력창 1114

〈그림 3.5.8〉 하수처리장 방류실적 그래프 창 1115

〈그림 3.5.9〉 하천 단면 및 사진보기 창 1115

〈그림 3.5.10〉 수위유량 관계곡선 입력창 1116

〈그림 3.5.11〉 물순환 시나리오 입력창 1116

〈그림 3.5.12〉 사진 입력창 1116

〈그림 3.5.13〉 물순환 시나리오 그래프 창 1117

〈그림 3.5.14〉 오염물질 시나리오 그래프 창 1117

〈그림 3.5.15〉 이수 결과창 1118

〈그림 3.5.16〉 원단위 입력창 1119

〈그림 3.5.17〉 문제점 파악 창 1120

〈그림 3.5.18〉 하천유지유량 입력창 1120

〈사진 3.1.1〉 박달ㆍ석수 하수처리장 599

〈사진 3.1.2〉 정화ㆍ분뇨 처리장 600

〈사진 3.1.3〉 고도처리시설 및 송수관로 600

〈사진 3.1.4〉 하천정화시설 현황 611

〈사진 3.2.1〉 자동차 극장 주차장에 위치한 관로 분기점 (05. 7. 21) 689

〈사진 3.2.2〉 학의천으로 방류되는 방류구 (05. 7. 21) 689

〈사진 3.2.3〉 지하철 용출수 1구간 집수정의 지상맨홀 (06. 7. 11) 707

〈사진 3.2.4〉 지하철 용출수 2구간 집수정의 지상맨홀 (06. 7. 11) 707

〈사진 3.2.5〉 지하철 용출수 1구간의 방류구 1 (06. 7. 11) 709

〈사진 3.2.6〉 지하철 용출수 1구간의 방류구 2 (06. 7. 11) 709

〈사진 3.2.7〉 지하철 용출수 1구간 방류구 직상류 지점의 유량 측정 (06. 7. 11) 709

〈사진 3.2.8〉 지하철 용출수 1구간 방류구 직하류 지점의 유량 측정 (06. 7. 11) 709

〈사진 3.2.9〉 박달초등학교 비상급수시설과 지하수위 관측소 현황 (07. 2. 27) 714

〈사진 3.2.10〉 범계초등학교 비상급수시설과 지하수위 관측소 현황 (07. 2. 27) 714

〈사진 3.2.11〉 박달초등학교 지하수위 측정 장면 (07. 2. 27) 715

〈사진 3.2.12〉 범계초등학교 지하수위 측정 장면 (07. 2. 27) 715

〈사진 3.2.13〉 만안초등학교 내의 수준점 (07. 2. 27) 716

〈사진 3.2.14〉 수준측량 수행 장면 (07. 2. 27) 716

〈사진 3.2.15〉 실험에 사용된 대표 토양 (04. 12. 15) 717

〈사진 3.2.16〉 실험용 토양 선별 과정 (04. 12. 15) 717

〈사진 3.2.17〉 투수성 포장재에 사용된 재료 (05. 1. 3) 718

〈사진 3.2.18〉 투수성 포장재 표본 (05. 1. 3) 718

〈사진 3.2.19〉 투수성 포장 토조 기초 및 현장 설치 (04. 12. 15) 720

〈사진 3.2.20〉 토조 외부 배수장치 (04. 12. 15) 720

〈사진 3.2.21〉 토조 내부 배수장치 (04. 12. 15) 720

〈사진 3.2.22〉 배수 및 지하수위 관리를 위한 쇄석층 설치 (04. 12. 15) 720

〈사진 3.2.23〉 쇄석층과 토양시료 분리를 위한 부직포 설치 (04. 12. 15) 720

〈사진 3.2.24〉 토양시료 설치 (04. 12. 15) 720

〈사진 3.2.25〉 토양시료 다짐 장면 (04. 12. 15) 721

〈사진 3.2.26〉 모래층 설치 (04. 12. 15) 721

〈사진 3.2.27〉 쇄석층 설치 (04. 12. 15) 721

〈사진 3.2.28〉 측정 실험 기기 유입구 확보를 위한 파이프 설치장면 (04. 12. 15) 722

〈사진 3.2.29〉 포장재 각 층의 다짐 (05. 1. 3) 722

〈사진 3.2.30〉 측정 실험기기 설치를 위한 파이프 제거 (05. 1. 3) 722

〈사진 3.2.31〉 완성된 투수성 포장 실험토조 (05. 1. 3) 722

〈사진 3.2.32〉 강우 예비 실험 (05. 2. 4) 723

〈사진 3.2.33〉 예비 시험에 사용된 노즐 (05. 2. 14) 723

〈사진 3.2.34〉 강우 장치 설치 장면 (05. 2. 14) 723

〈사진 3.2.35〉 유량 조절 밸브와 유량계 (05. 2. 14) 723

〈사진 3.2.36〉 지표면 유출 수집통 설치 장면 (05. 3. 1) 724

〈사진 3.2.37〉 투수성 포장 토조 외부 천막 설치 (05. 2. 21) 725

〈사진 3.2.38〉 흡수력계와 자동 압력계 (05. 5. 10) 727

〈사진 3.2.39〉 데이터 로거 (05. 5. 10) 727

〈사진 3.2.40〉 흡수력계 설치 과정 (05. 5. 10) 728

〈사진 3.2.41〉 설치 완성된 흡수력계 (05. 5. 10) 728

〈사진 3.2.42〉 설치 완성된 위압수두계 (05. 9. 23) 728

〈사진 3.2.43〉 토조 내 공기압 방출 현상 (05. 9. 23) 733

〈사진 3.2.44〉 시공 중인 침투 트렌치 (06. 5. 17) 759

〈사진 3.2.45〉 완성된 토조 전경 (06. 6. 12) 759

〈사진 3.2.46〉 유역 I에 설치된 흡수력계 (06. 6. 27) 760

〈사진 3.2.47〉 유역 II에 설치된 흡수력계 (06. 6. 27) 760

〈사진 3.2.48〉 유역 I에 설치된 위압수두계 (06. 6. 12) 761

〈사진 3.2.49〉 침투 트렌치에 설치된 위압수두계 (06. 6. 27) 761

〈사진 3.2.50〉 연결관에 설치된 유량계 (06. 6. 2) 762

〈사진 3.2.51〉 토조 외부에 위치한 집수통 (06. 6. 27) 762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