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유역 물 관리 운영 기술 개발 / 과학기술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과천] : 과학기술부, 2007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형태사항
li, 1080 p. : 삽화, 도표, 사진, 지도 ; 30 cm
제어번호
MONO1200716023
주기사항
"21세기 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개발 사업 "의 세부과제임
주관연구기관: 한국수자원공사
주관연구책임자: 고익환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보고서 초록

요약문

SUMMARY

목차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53

제1절 연구개발의 필요성 53

제2절 연구개발의 목표 53

제3절 연구개발의 범위 55

1. 유역 수문해석을 위한 기상정보의 활용 및 연계기술 개발 55

2. 실시간 유역유출 모의 기술 적용 56

3. 장ㆍ단기 댐군 연계운영 모형 기술 적용 57

4. 실시간 물관리를 위한 수질 예측 기술 적용 58

5. GIS 기반 실시간 물관리 의사결정지원시스템 개발 58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60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63

제1절 개요 63

제2절 유역 수문해석을 위한 기상정보의 활용 및 연계기술 개발 67

1. 기상정보의 활용 및 연계기술개발 68

가. 정량적 강수예측 및 정량적 확률 강수예측 현황 69

나. 강우수치예보모델과 강수진단모델(QPM)의 연계 시스템 구축 71

다. 강우수치예보모델과 강수진단모델(QPM)의 연계시스템 시범운영 및 수문학적/기상학적 검증 92

라. 요약 및 결론 112

2. 정량적 강수예측을 이용한 중기유출예측 114

가. 유량예측시스템 구성 114

나. 분위사상법(Quantile Mapping)을 이용한 유량예측의 후처리과정 115

다. 유량예측 124

라. 요약 및 결론 142

3. 기상전망을 이용한 하천월유량예측 143

가. 월 강수전망의 활용 144

나. 기상전망을 이용한 장기유출예측 145

다. 군집분석을 통한 계절구분 147

라. 앙상블유량예측(ESP) 결과평가 152

마. 요약 및 결론 159

제3절 실시간 유역유출 모의 기술 적용 160

1. 주요 제어지점의 유량측정 및 검증 160

가. 주요 제어지점 및 유출량 검증지점의 일반 현황 161

나. 기 구축 관측유출량 자료의 평가 및 현장 유량측정 174

2. 유역 유출모의시스템 안정화 및 GUI 개선 206

가. 유역 유출모의시스템(RRFS) 안정화 206

나. 유역 유출모의시스템(RRFS) GUI 개선 234

3. 유역 유출모의시스템 Validation Test 244

가. 일유량에 대한 모의결과 분석 244

나. 총유량에 대한 모의결과 분석 260

4. 유출모의시스템을 이용한 유출예측 271

가. 각 방법별 월 예측 유출량 산정 절차 272

나. 각 기법별 유출량 예측 결과 및 비교 277

다. 월별 예측 유출량 결과 분석 286

라. 분석 결과 302

5. 기후학적 물수지 302

가. NOAA 위성과 식생지수(NDVI) 309

나. 기후학적 물수지를 위한 입력자료 구축 328

다. 유역의 습윤상황 모니터링 373

라. 기후학적 물수지 프로그램 407

마. 결론 412

6. 유역유출지표 개발 413

가. 용수이용량 분석 413

나. 유역유출지표 체계 435

다. 지점별 유역유출지표 436

라. 소유역별 유역유출지표 463

마. 소유역별 유출성분분석에 의한 유출지표 477

바. 유역유출지표별 통합 프로그램 482

사. 유역유출지표 적용사례 485

제4절 장ㆍ단기 댐군 연계운영 모형 기술 개발 488

1. 추계학적 특성 및 불확실성을 고려한 댐군 최적연계운영기술개발 및 활용성 평가 488

가. 최적화 모형 488

나. 현실성 있는 목적함수 및 제약조건의 구성 490

다. 월중 수문상황을 반영한 ESP 정확도 개선 및 운영률 산정 499

라. 연계운영 효과의 정량화 514

마. 예측정확도가 댐 운영에 미치는 영향의 정량화 519

바. 가뭄대비 SSDP 모형 개선 526

사. Graphic User Interface (GUI) 개선 559

2. 불확실성을 고려한 일별 저수지군 최적 연계운영 모형 개발 562

가. CoMOM 4.0 개선 및 일반화 562

나. 불확실성을 고려한 실시간 모의 운영 566

다. 용수 공급 능력평가 577

라. 다단계 추계학적 선형 계획 모형 583

3. 장ㆍ단기 댐군 모의 운영 모형 589

가. 모형의 사용을 위한 편의성 증대 590

나. 발전량 산정을 위한 발전 매개변수 안정화 591

다. 모형의 일반화 592

4. 경제성 및 지표수-지하수 연계운영을 고려한 의사결정지원시스템 개발 601

가.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 필요성 601

나. 의사결정지원시스템 요소모형 602

다. 새로운 모의운영모형의 필요성 604

라. 모의운영모형 개발 현황 605

마. 한국형 모의운영모형 개발 615

바. KModSim 모형 616

사. Network Flow 모델링 624

아. 모형의 입출력 구조, GUI 및 DBMS 637

자. 금강유역에서의 KModSim Network 검정 655

차. KModSim 모형 모의운영 697

카. 수자원 분석 시스템 적용 715

제5절 실시간 물관리를 위한 수질예측 기술 개발 764

1. 하천수질 평가시스템 765

가. 정상 및 비정상상태 수질모형의 비교 765

나. 대청댐 상류 용담-대청구간 동적 수질모형 구축 776

다. 대청댐 하류구간 지류별 오염부하량 산정 793

라. 용담-대청구간 하천수질 예측 837

마. 월별수질예측 및 수질을 고려한 적정방류량산정 874

바. 금강 및 미호천의 수질보전 필요유량의 산정 878

사. 비정상상태모형 개선 및 적용 884

2. 실시간 저수지 탁수 감시 및 예측시스템 개발 885

가. 탁수 발생 및 유입특성 수리, 수질 조사분석 885

나. 저수지 탁수 예측 2차원 수치모형 구축 892

다. 수온, 탁도 예측 모듈 개발 및 검증 903

라. 실시간 저수지 탁수 감시 및 예측시스템(RTMMS) 개발 907

마. 저수지 탁수 조절 대안 평가 및 댐 운영 방안 제시 930

바. SWAT 모델 구축 및 적용 938

3. 탈성층의 수리적 영향인자 분석 965

가. 탈성층의 수리적 영향인자 분석 965

나. 저수지 탈성층 수리적 설계안 제시 980

다. 수질조건을 고려한 폭기방안 평가 990

라. 전산유체를 이용한 저수지 수중폭기 설계/운영 방안 1004

제6절 GIS기반 실시간 물관리 의사결정시스템 개발 1033

1. 기상예보/분석 자료와 유역유출모형의 연계기술 개발 1033

2. 하천 유출량 산정/평가 시스템 구축 1037

3. 해석모형의 기능 고도화 및 연계시스템 구축 1040

가. 유역 유출 모의 시스템 구축 및 확장 1040

나. 통합 댐군 연계운영 시스템 구축 1044

다. 저수지 및 하류하천의 수질 예측 시스템 구축 및 확장 1049

라. 통합 물관리 시스템 개발 및 기능 고도화 1051

4. PC 기반의 범용해석 프로그램 개발 1057

가. 범용 RRFS 1057

나. QUAL2E-PLUS 1058

다. KORIV1-PLUS 1063

5. 실시간 저수지 탁수 모니터링 연계 시스템구축 1066

가. 실시간 탁수 감시 시스템 1068

나. 실시간 탁수 모델링 &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RTMMS) 1070

6. GIS기반 실시간 물관리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개발 및 모의운영 기술 개발 1073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1075

제1절 목표달성도 1075

제2절 관련분야의 기여도 1077

제5장 연구개발 활용계획 1080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1084

제1절 분포형 수문 모형의 적용 1084

1. 모형 검정 (Model Calibration) 1085

2. 결언 1086

제2절 MODSIM 하천-대수층 모의모듈 1086

참고문헌 1091

특정연구개발사업 연구결과 활용계획서 1110

【첨부1】연구결과 활용계획서 1111

【첨부2】기술 요약서 1127

〈표 3.1.1〉 과업 추진 체계 63

〈표 3.1.2〉 수행기관별 연차별 과제수행계획 64

〈표 3.2.1.1〉 GDAPS (T213/L20) 모형의 개요 73

〈표 3.2.1.2〉 GDAPS 생산 자료의 변수 종류 74

〈표 3.2.1.3〉 RDAPS에서 생산된 3차원 변수 75

〈표 3.2.1.4〉 사례별 모의기간 77

〈표 3.2.1.5〉 RMSE of geopotential height(m) at 500hPa against analysis 79

〈표 3.2.1.6〉 RMSE of geopotential height(m) at 500hPa against observations 79

〈표 3.2.1.7〉 RMSE of geopotential height(m) at 250hPa against analysis 80

〈표 3.2.1.8〉 RMSE of geopotential height(m) at 250hPa against observations 80

〈표 3.2.1.9〉 QPM 각 디렉토리 역할 90

〈표 3.2.1.10〉 최종결과파일 형태(2006년 9월 11~20일까지의 금강유역 소유역별 강우량) 90

〈표 3.2.1.11〉 NWP와 QPM의 강수생산 시간비교 91

〈표 3.2.1.12〉 NWP와 QPM의 비교 92

〈표 3.2.1.13〉 정성적 검증을 위한 강우분할표 94

〈표 3.2.1.14〉 저기압 통과와 동시에 상층 대기 불안정에의한 소낙성 강우 시 강우량과 예측량 106

〈표 3.2.1.15〉 장마전선의 남방진동에 의한 강수 시 강우량과 예측량 107

〈표 3.2.1.16〉 태풍 '개미'에 의한 장마전선의 강제북상 시 강우량과 예측량 109

〈표 3.2.2.1〉 확률분포 매개변수(관측값) 119

〈표 3.2.2.2〉 확률분포 매개변수(1일전 예측) 119

〈표 3.2.2.3〉 확률분포 매개변수(2일전 예측) 120

〈표 3.2.2.4〉 확률분포 매개변수(3일전 예측) 120

〈표 3.2.2.5〉 화률분포 매개변수(4일전 예측) 121

〈표 3.2.2.6〉 화률분포 매개변수(5일전 예측) 121

〈표 3.2.2.7〉 확률분포 매개변수(6일전 예측) 122

〈표 3.2.2.8〉 확률분포 매개변수(7일전 예측) 122

〈표 3.2.2.9〉 확률분포 매개변수(8일전 예측) 123

〈표 3.2.2.10〉 확률분포 매개변수(9일전 예측) 123

〈표 3.2.2.11〉 확률분포 매개변수(10일전 예측) 124

〈표 3.2.2.12〉 정량적 강수예측 결과비교 125

〈표 3.2.3.1〉 Average Hit Score of Precipitation Outlook for the Geum River Basin 145

〈표 3.3.1.1〉 조사대상지점의 수위자료 보유현황 175

〈표 3.3.1.2〉 수위-유량 실측자료 보유현황 176

〈표 3.3.1.3〉 공주지점 기존 Rating Curve식 개발 현황('56~'02) 177

〈표 3.3.1.4〉 유출분석에 의한 측정자료 신뢰성 검토(금남지점) 183

〈표 3.3.1.5〉 하천조사지 일예(논산천) 187

〈표 3.3.1.6〉 현장 유량측정 지점선정의 적정성 평가 188

〈표 3.3.1.7〉 2003년도 공주지점의 유량측정 성과 191

〈표 3.3.1.8〉 2004년도 공주지점의 유량측정 성과 191

〈표 3.3.1.9〉 2005년도 공주지점의 유량측정 성과 192

〈표 3.3.1.10〉 2006년도 공주지점의 유량측정 성과 192

〈표 3.3.1.11〉 무주 수위관측소 지점의 유량측정 성과 194

〈표 3.3.1.12〉 2005년도 수통 수위관측소 지점의 유량측정 성과 195

〈표 3.3.1.13〉 2006년도 수통 수위관측소 지점의 유량측정 성과 196

〈표 3.3.1.14〉 2003년도 유량측정 결과로부터 산정된 단면조도계수 추정결과 203

〈표 3.3.1.15〉 2004년도 유량측정 결과로부터 산정된 단면조도계수 추정결과 203

〈표 3.3.1.16〉 동일수위에 대한 관측유량과 계산유량의 비교ㆍ검증 206

〈표 3.3.2.1〉 금강유역 생ㆍ공용수 수요 및 공급량 213

〈표 3.3.2.2〉 청주시 생활용수 회귀율(2003년도 기준) 219

〈표 3.3.2.3〉 권역별 SMI-ROP 도표 (1단계) 230

〈표 3.3.2.4〉 권역별 SMI-ROP 도표 (2단계) 231

〈표 3.3.2.5〉 권역별 BII-BFP 도표 (1단계) 231

〈표 3.3.2.6〉 권역별 BII-BFP 도표 (2단계) 232

〈표 3.3.2.7〉 권역별 S-SS 도표 (1단계) 232

〈표 3.3.3.1〉 용담댐지점 관측유량 및 모의유량에 대한 오차분석결과 245

〈표 3.3.3.2〉 대청댐지점 관측유량 및 모의유량에 대한 오차분석결과 246

〈표 3.3.3.3〉 공주지점 관측유량 및 모의유량에 대한 오차분석결과 247

〈표 3.3.3.4〉 용담댐 관측유량 및 모의유량에 대한 오차분석결과 251

〈표 3.3.3.5〉 대청댐 관측유량 및 모의유량에 대한 오차분석결과 255

〈표 3.3.3.6〉 공주지점 관측유량 및 모의유량에 대한 오차분석결과 259

〈표 3.3.4.1〉 '05년 ESP 확률 및 ESP 유출량(용담지점) 273

〈표 3.3.4.2〉 '05년 ESP 확률 및 ESP 유출량(대청지점) 274

〈표 3.3.4.3〉 '05년 ESP 확률 및 ESP 유출량(공주지점) 274

〈표 3.3.4.4〉 유출량 예측을 위한 ESP 적용 확률 ('00년~'04년) 275

〈표 3.3.4.5〉 '05년 기상전망을 고려한 ESP 확률 및 ESP 유출량(용담지점) 276

〈표 3.3.4.6〉 '05년 기상전망을 고려한 ESP 확률 및 ESP 유출량(대청지점) 276

〈표 3.3.4.7〉 '05년 기상전망을 고려한 ESP 확률 및 ESP 유출량(공주지점) 277

〈표 3.3.4.8〉 유출량 예측을 위한 기상전망을 고려한 ESP 적용 확률 ('03년~'05년) 277

〈표 3.3.5.1〉 대표적 인공위성(원격탐사 시스템)의 주요 특징 306

〈표 3.3.5.2〉 NOAA/AVHRR 센서의 특징 310

〈표 3.3.5.3〉 기상관측소별 2001년 3~5월 강수량의 비교 (단위:㎜) 330

〈표 3.3.5.4〉 기상관측소별 과거 최소강수량 기록순위(3~5월, 단위:㎜) 331

〈표 3.3.5.5〉 사용된 강우관측소 목록 335

〈표 3.3.5.6〉 위도별 가조시간 (단위 12h/day) 353

〈표 3.3.5.7〉 평균기온에 대한 포화수증기압 및 포화절대습도 353

〈표 3.3.5.8〉 중회귀분석에 의한 실제증발산량 추정식 365

〈표 3.3.6.1〉 지표산정 방법 및 표현 414

〈표 3.3.6.2〉 생활용수 지표 415

〈표 3.3.6.3〉 공업용수 지표 421

〈표 3.3.6.4〉 농업용수 지표 427

〈표 3.3.6.5〉 강우량과 용수사용량의 관계 433

〈표 3.3.6.6〉 관측유출량에 의한 유출지표 439

〈표 3.3.6.7〉 모의유출량에 의한 유출지표 445

〈표 3.3.6.8〉 대청댐 관측유출량의 월별 유출율 455

〈표 3.3.6.9〉 대청댐 모의유출량의 월별 유출율 457

〈표 3.3.6.10〉 7번 소유역의 모의유출량에 의한 유출지표 465

〈표 3.3.6.11〉 7번 소유역 모의유출량의 월별 유출율 473

〈표 3.3.6.12〉 지표산정 방법 및 표현 478

〈표 3.3.6.13〉 습윤지표 479

〈표 3.3.6.14〉 7번 소유역별 월, 분기, 년별 유출성분 480

〈표 3.4.1.1〉 초기저수량에 따른 목적별 기대값 (1월) 496

〈표 3.4.1.2〉 ESP01, ESP11, ESP21의 입력자료 구성 500

〈표 3.4.1.3〉 예측기간 별 ESP 정확도 평가 504

〈표 3.4.1.4〉 월단위 ESP의 예측정확도 평가 505

〈표 3.4.1.5〉 10월 초기저수량에 따른 용수부족량 509

〈표 3.4.1.6〉 SSDP/Hist와 확정론적 모형의 모의운영 결과 510

〈표 3.4.1.7〉 운영률 갱신을 통한 SSDP/ESP01과 SSDP/Hist 모형의 모의운영 결과 511

〈표 3.4.1.8〉 예측정확도가 다른 3가지 SSDP/ESP 모형의 모의운영 결과 512

〈표 3.4.1.9〉 최적화 모형의 모의운영 결과 513

〈표 3.4.1.10〉 대청댐 SSDP모형의 단독운영률 표 516

〈표 3.4.1.11〉 단독운영과 연계운영 결과비교 516

〈표 3.4.1.12〉 용담댐 유효저수량 299.3 × 106 m3일 때 모의운영 결과 518

〈표 3.4.1.13〉 용담댐 유효저수량 224.5 × 106 m3일 때 모의운영 결과 518

〈표 3.4.1.14〉 용담댐 유효저수량 149.7 × 106 m3일 때 모의운영 결과 518

〈표 3.4.1.15〉 선정된 두 기간의 월별 ESP01 정확도 520

〈표 3.4.1.16〉 금강수계 이수기 총 유출량 521

〈표 3.4.1.17〉 선정된 두 기간의 모의운영 결과 522

〈표 3.4.1.18〉 최적화 모형에 따른 선정된 두 기간의 모의운영 차이 523

〈표 3.4.1.19〉 예측정확도가 낮은 5개년에 대한 모의운영 결과 524

〈표 3.4.1.20〉 총 유출량과 예측정확도에 따른 모의운영 결과비교 525

〈표 3.4.1.21〉 가뭄해에 발생한 용수부족량의 비율 527

〈표 3.4.1.22〉 대표적인 가뭄지표 (Heim, 2002) 529

〈표 3.4.1.23〉 SPI의 가뭄 범주(Wilhite, 2005) 531

〈표 3.4.1.24〉 PDSI의 가뭄 범주(Wilhite, 2005) 531

〈표 3.4.1.25〉 SWSI의 가뭄 범주(Wilhite, 2005) 531

〈표 3.4.1.26〉 ADI 입력자료 537

〈표 3.4.1.27〉 Percentile에 기인한 가뭄심도 구분 537

〈표 3.4.1.28〉 1994년 ~ 1995년의 과거 가뭄기록과 ADI의 비교 538

〈표 3.4.1.29〉 기준수위에 대한 모의운영 결과 541

〈표 3.4.1.30〉 10월초 저수량에 따른 신뢰도 542

〈표 3.4.1.31〉 댐별 설계 이수안전도(한국수자원공사 물관리센터, 2005) 544

〈표 3.4.1.32〉 외국의 물공급 안전도(건설교통부, 2000) 544

〈표 3.4.1.33〉 이수안전도와 신뢰도에 의한 평가방식 544

〈표 3.4.2.1〉 CoMOM 수행을 위하여 설정되어야 할 가중치 종류 563

〈표 3.4.2.2〉 CoMOM 수행시간 분석 565

〈표 3.4.2.3〉 모형의 현실 적용에 따른 효과 분석을 위한 실시간 모의 운영 조건 568

〈표 3.4.2.4〉 금강 수계 실시간 모의 운영 결과 573

〈표 3.4.2.5〉 낙동강 수계 실시간 모의 운영 조건 574

〈표 3.4.2.6〉 낙동강 수계 실시간 모의 운영 결과 576

〈표 3.4.2.7〉 불확실성하에서 CoMOM을 활용한 용수공급능력 평가 결과 578

〈표 3.4.2.8〉 용수공급 능력평가를 위한 수요 패턴 581

〈표 3.4.2.9〉 각 저수지 할당 방안에 따른 결과 583

〈표 3.4.2.10〉 시나리오 크기에 따른 프로그램 수행 시간 587

〈표 3.4.3.1〉 발전량 산정을 위한 매개변수 보정 결과(대청댐) 592

〈표 3.4.3.2〉 4개 다목적댐 유효저수용량 및 연평균 유입량 593

〈표 3.4.3.3〉 주요 운영기간(분기)별 운영률 설정방향 597

〈표 3.4.3.4〉 WROC을 사용한 낙동강 유역 2개 저수지 연계운영 모의 결과 600

〈표 3.4.3.5〉 WROC을 사용한 낙동강 유역 4개 저수지 연계운영 모의 결과 600

〈표 3.4.4.1〉 금강 유역 내 댐 주요 설계제원 657

〈표 3.4.4.2〉 대청댐계통 광역상수도 도시별 공급계획 666

〈표 3.4.4.3〉 대청댐 공업용수 수요전망 666

〈표 3.4.4.4〉 청주시 계획지구 관개용수량 667

〈표 3.4.4.5〉 전북 계획지구 관개용수량 667

〈표 3.4.4.6〉 용담댐의 전주권에 대한 용수공급계획 668

〈표 3.4.4.7〉 광역공급망 현황 및 계획 669

〈표 3.4.4.8〉 공업용수도 현황 및 계획 669

〈표 3.4.4.9〉 대청댐 월별 용수공급계획 670

〈표 3.4.4.10〉 대청댐 월평균 운영자료 670

〈표 3.4.4.11〉 대청댐 생공용수 공급실적 671

〈표 3.4.4.12〉 하천유지유량 수요전망 676

〈표 3.4.4.13〉 지점별 하천유지유량 676

〈표 3.4.4.14〉 각각의 월말 목표저류량을 이용하여 모의한 소유역별 부족량 678

〈표 3.4.4.15〉 각각의 일 단위 목표저류량을 이용하여 모의한 소유역별 부족량 682

〈표 3.4.4.16〉 평, 갈수기 각 구간별 Routing 계수 688

〈표 3.4.4.17〉 평, 홍수기 각 구간별 Routing 계수 688

〈표 3.4.4.18〉 각각의 월말 목표저류량을 이용하여 모의한 소유역별 부족량 699

〈표 3.4.4.19〉 각각의 일 단위 목표저류량을 이용하여 모의한 소유역별 부족량 703

〈표 3.4.4.20〉 수계별 하천유지용수 (건설교통부, 2001) 718

〈표 3.4.4.21〉 한강권역의 월단위 물수지분석 결과 (1988년 기준) 725

〈표 3.4.4.22〉 낙동강권역의 월단위 물수지분석 결과 (1994년 기준) 726

〈표 3.4.4.23〉 금강권역의 월단위 물수지분석 결과 (1988년 기준) 726

〈표 3.4.4.24〉 금강권역의 반순단위 물수지분석 결과 (1988년 기준, K-MODSIM) 728

〈표 3.4.4.25〉 금강권역의 반순단위 물수지분석 결과 (1988년 기준, 수장기 보완) 728

〈표 3.4.4.26〉 행정중심목합도시의 생활용수 수요량 734

〈표 3.4.4.27〉 금강의 하천유지용수(건설교통부, 2001) 735

〈표 3.4.4.28〉 인구 20만명이 유입될 경우 금강권역 물수지분석 결과 738

〈표 3.4.4.29〉 인구 30만명이 유입될 경우 금강권역 물수지분석 결과 739

〈표 3.4.4.30〉 인구 50만명이 유입될 경우 금강권역 물수지분석 결과 739

〈표 3.4.4.31〉 충남중부권 광역상수도 반영 물수지분석 결과 742

〈표 3.4.4.32〉 우리나라의 주요가뭄 사례(1960년 이후) 745

〈표 3.4.4.33〉 전국 다목적유역의 강수량 (200111~614) 745

〈표 3.4.4.34〉 유입량 모의기법 750

〈표 3.4.4.35〉 각각의 수요에 연결된 멀티링크의 링크 각각에 설정된 비용 752

〈표 3.5.1.1〉 모의항목 및 입력조건 비교 767

〈표 3.5.1.2〉 유량 및 수질 측정결과 771

〈표 3.5.1.3〉 QUAL2E 모형과 RIV1 모형의 매개변수 비교 773

〈표 3.5.1.4〉 환경부 수질조사 지점 일반사항 778

〈표 3.5.1.5〉 금강수계 광역시ㆍ도 경계지점의 목표수질 778

〈표 3.5.1.6〉 금강상류 주요지점의 수위유량관계식 785

〈표 3.5.1.7〉 금강상류 주요지점의 면적별 비유량 785

〈표 3.5.1.8〉 금강수계 광역시ㆍ도 경계지점의 목표수질 796

〈표 3.5.1.9〉 연도별 인구 증가 추이 806

〈표 3.5.1.10〉 연도별 가축두수 증가 추이 807

〈표 3.5.1.11〉 연도별 폐수발생량 증가 추이 811

〈표 3.5.1.12〉 연도별 양식장 시설면적 증가 추이 812

〈표 3.5.1.13〉 연도별 토지면적 증가 추이 813

〈표 3.5.1.14〉 매립계 오ㆍ폐수 발생유량 현황 및 전망 816

〈표 3.5.1.15〉 행정구역별 발생ㆍ배출부하량(2002년) 818

〈표 3.5.1.16〉 행정구역별 발생ㆍ배출부하량(2010년) 820

〈표 3.5.1.17〉 지류유역별 발생ㆍ배출부하량(2002년) 822

〈표 3.5.1.18〉 지류유역별 발생ㆍ배출부하량(2002년) 824

〈표 3.5.1.19〉 유량-유달률 회귀관계식 828

〈표 3.5.1.20〉 단위유역별 목표수질과 할당부하량 829

〈표 3.5.1.21〉 지류별 유달부하량(2010년) 829

〈표 3.5.1.22〉 소유역별 발생ㆍ배출부하량 830

〈표 3.5.1.23〉 소유역별 유달부하량 831

〈표 3.5.1.24〉 모형의 보정에 사용한 입력자료(2004년 2월) 833

〈표 3.5.1.25〉 모형의 매개변수 입력범위 833

〈표 3.5.1.26〉 모형의 검증에 사용한 입력자료(2005년 2월) 835

〈표 3.5.1.27〉 장래 수질 예측에 이용한 수질자료(2010년) 836

〈표 3.5.1.28〉 하천특성 838

〈표 3.5.1.29〉 금강상류 본류 수질측정망 조사지점 839

〈표 3.5.1.30〉 금강상류 총량관리단위유역 경계지점의 목표수질 839

〈표 3.5.1.31〉 행정구역별 인구현황 및 전망 841

〈표 3.5.1.32〉 행정구역별 축산현황 및 전망 842

〈표 3.5.1.33〉 행정구역별 산업현황 및 전망(폐수 발생량) 843

〈표 3.5.1.34〉 행정구역별 양식현황 및 전망 843

〈표 3.5.1.35〉 매립시설 현황 844

〈표 3.5.1.36〉 행정구역별 토지현황 및 전망 조사표 845

〈표 3.5.1.37〉 금강상류 유역의 행정구역별 발생ㆍ배출부하량(2002년) 853

〈표 3.5.1.38〉 금강상류 유역의 행정구역별 발생ㆍ배출부하량(2010년) 855

〈표 3.5.1.39〉 금강상류 유역의 지류구역별 발생ㆍ배출부하량(2002년) 857

〈표 3.5.1.40〉 금강상류 유역의 지류구역별 발생ㆍ배출부하량(2010년) 857

〈표 3.5.1.41〉 유량 - 유달률 회귀관계식 859

〈표 3.5.1.42〉 각 단위유역별 할당부하량 862

〈표 3.5.1.43〉 금강상류 유역의 면적비유량 863

〈표 3.5.1.44〉 지류별 유달부하량(2010년) 864

〈표 3.5.1.45〉 소유역별 발생ㆍ배출부하량(2010년) 864

〈표 3.5.1.46〉 소유역별 유달부하량(2010년) 864

〈표 3.5.1.47〉 금강상류의 유랑계수 867

〈표 3.5.1.48〉 중간유입 부분의 유량 및 농도 868

〈표 3.5.1.49〉 금강상류 유역 하수종말처리장 868

〈표 3.5.1.50〉 금강상류 유역 폐수종말처리시설 868

〈표 3.5.1.51〉 금강상류 유역 오수 및 분뇨축산처리장 현황 869

〈표 3.5.1.52〉 금강상류 유역의 취수시설 현황 869

〈표 3.5.1.53〉 모델 보정에 사용한 입력 자료(2003년 12월) 870

〈표 3.5.1.54〉 수질 매개변수 보정결과 870

〈표 3.5.1.55〉 모델 검증에 사용한 입력 자료(2004년 2월) 872

〈표 3.5.1.56〉 장래 수질 예측에 사용한 Reach별 입력자료(2010년) 873

〈표 3.5.1.57〉 장래 수질 예측에 사용한 지류별 입력자료(2010년) 873

〈표 3.5.1.58〉 공주 및 부여지점의 BOD 및 NH3-N 농도산정 877

〈표 3.5.1.59〉 월별 저수지 실적방류량 및 수질기준을 만족하는 방류량산정 877

〈표 3.5.1.60〉 미호천 유역의 지류구역별 발생ㆍ배출부하량(2010년) 880

〈표 3.5.1.61〉 각 단위유역별 할당부하량 881

〈표 3.5.1.62〉 모의입력조건 881

〈표 3.5.1.63〉 모의결과정리 884

〈표 3.5.1.64〉 방류량 증가 대비 취수장 운영제한 시간 885

〈표 3.5.2.1〉 CE-QUAL-W2 모형의 모의 수질항목 894

〈표 3.5.2.2〉 W2 모델의 민감도분석에 사용된 매개변수와 변동범위 899

〈표 3.5.2.3〉 통계형 수온예측모델 및 예측성능 비교 905

〈표 3.5.2.4〉 데이터 로거(TCP-RT300)의 규격 910

〈표 3.5.2.5〉 TB_TIME (실시간 계측자료) 915

〈표 3.5.2.6〉 SURVEY_MASTER (지점정보) 915

〈표 3.5.2.7〉 대청댐 유역 기상관측소 현황 946

〈표 3.5.2.8〉 대청댐 유역 강우관측소 현황 947

〈표 3.5.2.9〉 물 수지와 총 유출량 보정을 위해 사용된 매개변수 950

〈표 3.5.2.10〉 일 유출량 보정을 위해 사용된 매개변수 951

〈표 3.5.2.11〉 2004년 주요 지점별 연간 유출량 모의결과 952

〈표 3.5.2.12〉 2005년 주요 지점별 연간 유출량 모의결과 952

〈표 3.5.2.13〉 2004년 주요 지점별 유출량 모의 오차 평가 962

〈표 3.5.2.14〉 2005년 주요 지점별 유출량 모의 오차 평가 962

〈표 3.5.2.15〉 토지이용별 토양침식량 산정 결과 963

〈표 3.5.3.1〉 실험실 규모 및 파일럿 규모의 실험 조건 970

〈표 3.5.3.2〉 다수 폭기기 적용시의 실험 조건 976

〈표 3.5.3.3〉 폭기장치의 최적간격평가를 위한 실험 조건 978

〈표 3.5.3.4〉 본 과제와 이전 연구에서 이용된 기포의 특성 982

〈표 3.5.3.5〉 공기와 접촉시 온도에 따르는 표면장력 값 982

〈표 3.5.3.6〉 실험조건 및 결과 985

〈표 3.5.3.7〉 CB배지 구성 시약 993

〈표 3.5.3.8〉 Experimental matrix 994

〈표 3.5.3.9〉 조류예보제 발령기준 994

〈표 3.5.3.10〉 폭기조건 변화에 따른 산소전달 효율 996

〈표 3.5.3.11〉 CFD 모델 적용을 위한 가정사항 1007

〈표 3.5.3.12〉 산기기의 위치 (기준좌표는〈그림 3.5.3.48을 참조) 1009

〈표 3.5.3.13〉 CFD 모델 적용을 위한 가정사항 1010

〈표 3.5.3.14〉 수심별 온도변화 예측 위치 1031

〈표 3.6.1.1〉 10일간 수치예보데이터 포맷 1034

〈표 3.6.1.2〉 데이터베이스 구성 예 1036

〈표 3.6.2.1〉 분석 예시 1038

〈표 3.6.4.1〉 모의가능 수질항목 1059

〈표 3.6.5.1〉 탁수감시 항목 스키마 테이블 1069

〈표 3.6.5.2〉 제작 도구 1069

〈그림 1.2.1〉 유역 통합 물관리 운영시스템(IRWMS) 개념 및 구성도 55

〈그림 1.3.1〉 실시간 물관리를 위한 수질예측 기술 개발 흐름도 58

〈그림 3.2.1〉 Flood management 시스템 설계도(예시) 67

〈그림 3.2.1.1〉 GDAPS의 2m 온도장(a)과 누적 강수 패턴(b) 74

〈그림 3.2.1.2〉 RDAPS의 예보영역 및 수평 격자수 75

〈그림 3.2.1.3〉 RDAPS의 2m 온도장(a)과 누적 강수 패턴(b) 76

〈그림 3.2.1.4〉 선정된 5가지 사례의 평균오차(ME), 평균제곱오차(RMSE), 그리고 상관계수(CC) 78

〈그림 3.2.1.5〉 QPM(Quantitative Precipitation Model)의 강수 모의 flow-chart 85

〈그림 3.2.1.6〉 강우수치예보모델과 강수진단모델의 연계시스템(QPMV1.2) 86

〈그림 3.2.1.7〉 물관리 센터의 시스템 개념도 87

〈그림 3.2.1.8〉 Hydrometer 서버내 QPMV1.2 디렉토리 구성도 89

〈그림 3.2.1.9〉 강우수치예보모델(NWP)과 강수진단모델(QPM)의 강수생산 비교 개념도 91

〈그림 3.2.1.10〉 GDAPS(55㎞), RDAPS(30㎞)와 QPM(3㎞)의 지형 비교 93

〈그림 3.2.1.11〉 검증 영역(금강유역) 93

〈그림 3.2.1.12〉 강우분할표에 따른 4범주 95

〈그림 3.2.1.13〉 금강유역 주요 관측지점에서의 관측 강수 (obs), RDAPS 강수 (rdaps), RDAPS을 연계한 QPM의 강수 (qpm) 시계열 비교 96

〈그림 3.2.1.14〉 금강유역 주요 관측지점에서의 관측 강수 (obs), GDAPS 강수 (gdaps), GDAPS을 연계한 QPM의 강수 (qpm) 시계열 비교 97

〈그림 3.2.1.15〉 금강유역 단기 2일에 대한 일 누적 최고 강수량 98

〈그림 3.2.1.16〉 지형과 관측강수, 원시 강우수치예측강수, 그리고 정량적강우예측 시스템의 예측강수 분포도 99

〈그림 3.2.1.17〉 2006년 6월 14일 금강유역 강수예측 비교 100

〈그림 3.2.1.18〉 2006년 9월 6일 금강유역 강수예측 비교 101

〈그림 3.2.1.19〉 2006년 5월 6일 금강유역 강수예측 비교 101

〈그림 3.2.1.20〉 2006년 7월 16일 금강유역 강수예측 비교 102

〈그림 3.2.1.21〉 금강유역 강수면적 비교 103

〈그림 3.2.1.22〉 14개 소유역에 대한 일강수량의 시간적 변동에 대한 비교 104

〈그림 3.2.1.23〉 저기압 통과와 동시에 상층 대기 불안정에 의한 소낙성 강우 106

〈그림 3.2.1.24〉 장마전선의 남방진동에 의한 강수 107

〈그림 3.2.1.25〉 태풍 '개미'에 의한 장마전선의 강제북상 108

〈그림 3.2.1.26〉 예보 시간에 따른 검증 기간 동안의 편이(금강유역) 110

〈그림 3.2.1.27〉 예보 시간에 따른 검증 기간 동안의 편이(용담댐 유역) 110

〈그림 3.2.1.28〉 월 단위 강수예측과 그에 대한 범주별 강수일비교 (7월) 111

〈그림 3.2.1.29〉 월 단위 강수예측과 그에 대한 범주별 강수일비교 (9월) 112

〈그림 3.2.2.1〉 기상예측정보의 합성 115

〈그림 3.2.2.2〉 분위도를 이용한 모의자료변환 116

〈그림 3.2.2.3〉 용담댐 소유역에서의 관측강우와 1일 선행 QPM 예측모의자료의 분위도 117

〈그림 3.2.2.4〉 용담댐 소유역에서의 관측강우와 2일 선행 QPM 예측모의자료의 분위도 118

〈그림 3.2.2.5〉 2006년 상반기 RQPM 강우예측 결과 126

〈그림 3.2.2.6〉 2006년 상반기 GQPM 강우예측결과 127

〈그림 3.2.2.7〉 RQPM을 이용한 용담댐지점 2day-예측 수문곡선 129

〈그림 3.2.2.8〉 RQPM을 이용한 대청댐지점 2day-예측 수문곡선 130

〈그림 3.2.2.9〉 RQPM을 이용한 공주지점 2day-예측 수문곡선 131

〈그림 3.2.2.10〉 RQPM을 이용한 규암지점 2day-예측 수문곡선 132

〈그림 3.2.2.11〉 GQPM을 이용한 용담댐치점 10day-예측 수문곡선 133

〈그림 3.2.2.12〉 GQPM을 이용한 대청댐지점 10day-예측 수문곡선 134

〈그림 3.2.2.13〉 GQPM을 이용한 공주지점 10day-예측 수문곡선 135

〈그림 3.2.2.14〉 GQPM을 이응한 규암지점 104ay-예측 수문곡선 136

〈그림 3.2.2.15〉 수치예보와 초보예측에 대한 2일예측 수문곡선 비교 137

〈그림 3.2.2.16〉 수치예보와 초보예측에 대한 2일예측 수문곡선 비교 137

〈그림 3.2.2.17〉 2-day 유량예측성과 139

〈그림 3.2.2.18〉 10-day 유량예측성과 140

〈그림 3.2.2.19〉 지점별 예측기간별 RMSE평가 141

〈그림 3.2.2.20〉 지점별 예측기간별 COE평가 141

〈그림 3.2.3.1〉 Comparison of Annual Average Precipitation by Basins with the Nationwide average 144

〈그림 3.2.3.2〉 Overview of Ensemble Streamflow Prediction 146

〈그림 3.2.3.3〉 Flowchart for Determining Scenario Weights using 10-day Precipitation Outlook 147

〈그림 3.2.3.4〉 Box & Whisker plot for 10-day accumulated precipitation (Data source:1974-1998 Daecheong dam basin) 148

〈그림 3.2.3.5〉 Tree Diagram for Cluster Analysis 149

〈그림 3.2.3.6〉 Probability density for 10-day accumulated precipitation in dry season 150

〈그림 3.2.3.7〉 Probability density for 10-day accumulated precipitation in flood season 151

〈그림 3.2.3.8〉 Cumulative Probability curves for equal(1/n) and pdf weights ESP during flood season in 2004 153

〈그림 3.2.3.9〉 Cumulative Probability curves for equal(1/n) and pdf weights ESP during flood season in 2005 155

〈그림 3.2.3.10〉 Ranked probability score by years 158

〈그림 3.2.3.11〉 Ranked probability score for flood season 158

〈그림 3.2.3.12〉 Ranked probability score for dry season 158

〈그림 3.3.1.1〉 금강유역내 수위관측소 현황(2006년 현재) 162

〈그림 3.3.1.2〉 수통 수위관측소의 위치 및 전경 163

〈그림 3.3.1.3〉 수통 수위관측소 부근 하천조사 결과 163

〈그림 3.3.1.4〉 서하 소수력 발전소 전경 164

〈그림 3.3.1.5〉 호탄 수위관측소의 위치 164

〈그림 3.3.1.6〉 호탄 수위관측소의 상ㆍ하류전경 165

〈그림 3.3.1.7〉 송천 수위관측소의 위치 165

〈그림 3.3.1.8〉 송천 수위관측소의 상ㆍ하류전경 166

〈그림 3.3.1.9〉 옥천 수위관측소의 위치 166

〈그림 3.3.1.10〉 옥천 수위관측소의 상ㆍ하류전경 167

〈그림 3.3.1.11〉 청성 수위관측소의 위치 167

〈그림 3.3.1.12〉 청성 수위관측소의 상ㆍ하류전경 168

〈그림 3.3.1.13〉 금남 수위관측소의 위치 169

〈그림 3.3.1.14〉 금남 수위관측소 전경 169

〈그림 3.3.1.15〉 공주 수위관측소의 위치 170

〈그림 3.3.1.16〉 공주 수위관측소의 홍수기시 유수흐름 상황 170

〈그림 3.3.1.17〉 규암 수위관측소의 위치 171

〈그림 3.3.1.18〉 규암 수위관측소의 상ㆍ하류 전경 171

〈그림 3.3.1.19〉 논산 수위관측소의 위치 172

〈그림 3.3.1.20〉 논산천 상류 탑정저수지 172

〈그림 3.3.1.21〉 구룡 수위관측소의 위치 173

〈그림 3.3.1.22〉 구룡 수위관측소의 상ㆍ하류 전경 173

〈그림 3.3.1.23〉 기존 유량측정성과 자료의 신뢰성 검토(수통지점) 182

〈그림 3.3.1.24〉 기존 유량측정성과 자료의 신뢰성 검토(금남지점) 183

〈그림 3.3.1.25〉 기존 수위-유량관계곡선 자료의 신뢰성 검토(공주지점) 184

〈그림 3.3.1.26〉 유량측정성과 자료의 신뢰성 검토(규암지점) 185

〈그림 3.3.1.27〉 기존 유량측정성과 자료의 신뢰성 검토(구룡지점) 185

〈그림 3.3.1.28〉 기존 유량측정성과 자료의 신뢰성 검토(논산지점) 186

〈그림 3.3.1.29〉 공주 수위관측소 상류지점의 유수배제 현황 189

〈그림 3.3.1.30〉 유량측정 단면(#1)에 설치된 기포식 수위계 189

〈그림 3.3.1.31〉 공주지점 평ㆍ갈수기시 유량측정구간에서 하천횡단 측량광경 189

〈그림 3.3.1.32〉 공주 유량측정지점에 대한 하천 횡단측량 결과 190

〈그림 3.3.1.33〉 유량측정구간 중 저협수로부에서의 지형변화 190

〈그림 3.3.1.34〉 공주지점에서의 평ㆍ갈수기시 유량측정 광경 191

〈그림 3.3.1.35〉 공주 수위관측 지점의 유량측정 결과(2003~2005) 191

〈그림 3.3.1.36〉 무주지점에 대한 하천 횡단측량 및 유량측정 광경 193

〈그림 3.3.1.37〉 무주 유량측정지점에 대한 하천 횡단측량 결과 193

〈그림 3.3.1.38〉 무주관측소 이설 예정지점 194

〈그림 3.3.1.39〉 무주지점 유량측정 결과 194

〈그림 3.3.1.40〉 수통지점의 횡단면 자료 195

〈그림 3.3.1.41〉 유량측정 광경(수통지점) 195

〈그림 3.3.1.42〉 수통지점의 유량측정성과 분석('05~'06 1/4분기) 196

〈그림 3.3.1.43〉 연구 대상 구간 200

〈그림 3.3.1.44〉 상류 100m 부근 수공구조물에 의한 유수상황 200

〈그림 3.3.1.45〉 분석대상구간의 연속 수위측정 및 수위차 201

〈그림 3.3.1.46〉 단면조도계수의 추정과정 203

〈그림 3.3.1.47〉 유량산정 프로그램의 구성도 203

〈그림 3.3.1.48〉 수위변화에 따른 단면조도계수 추정결과 204

〈그림 3.3.1.49〉 유량변화에 따른 단면조도계수 추정결과 204

〈그림 3.3.1.50〉 단면조도계수의 변화구간 204

〈그림 3.3.1.51〉 모의유량과 관측유량의 비교('03-'05) 205

〈그림 3.3.1.52〉 연속유량산정의 일예('04 5/28 11:00~'04 5/31 14:00) 206

〈그림 3.3.2.1〉 금강유역 소유역 분할도 208

〈그림 3.3.2.2〉 금강유역 유출 모의 구성도 209

〈그림 3.3.2.3〉 결측치 및 이상치 추출을 위한 강우관측지점별 연강수량조사 210

〈그림 3.3.2.4〉 강우관측소별 일강우량 보완 210

〈그림 3.3.2.5〉 강우관측소별 보완된 최종 일강우량 211

〈그림 3.3.2.6〉 면적강수량 산정을 위해 적용된 Thiessen 계수 212

〈그림 3.3.2.7〉 Excel 매크로를 이용한 소유역별 면적강수량 산정결과 212

〈그림 3.3.2.8〉 금강유역 소유역 분할도 213

〈그림 3.3.2.9〉 기존용수자료 적용시 RRFS 모의결과 214

〈그림 3.3.2.10〉 보정용수자료 적용시 RRFS 모의결과 214

〈그림 3.3.2.11〉 다목적댐에서 공급된 용수량 현황 (2004년도) 216

〈그림 3.3.2.12〉 생ㆍ공ㆍ농업용수 하천취수지점 현황 (2004년도) 217

〈그림 3.3.2.13〉 금강유역내 14개 소유역현황 217

〈그림 3.3.2.14〉 용수계통도 작성을 위한 물수지 요소 적용방법 218

〈그림 3.3.2.15〉 미호천-무심천 용수계통도(청주권) 220

〈그림 3.3.2.16〉 논산천 용수 계통도 221

〈그림 3.3.2.17〉 강경천 용수 계통도 222

〈그림 3.3.2.18〉 대전광역시 용수계통도 223

〈그림 3.3.2.19〉 무주남대천 용수계통도 223

〈그림 3.3.2.20〉 영동천 용수계통도 224

〈그림 3.3.2.21〉 초강 용수계통도 224

〈그림 3.3.2.22〉 대청댐 상류 용수계통도 225

〈그림 3.3.2.23〉 보청천 용수계통도 225

〈그림 3.3.2.24〉 대청댐 하류 용수계통도 226

〈그림 3.3.2.25〉 공주수위표 용수계통도 226

〈그림 3.3.2.26〉 금강하구언 용수계통도 227

〈그림 3.3.2.27〉 금강II 지구 용수계통도 228

〈그림 3.3.2.28〉 금강유역 용수계통도 통합 구성 229

〈그림 3.3.2.29〉 매개변수 보정화면 234

〈그림 3.3.2.30〉 RRFS 기능 구성도 235

〈그림 3.3.2.31〉 매개변수 보정 초기화면 236

〈그림 3.3.2.32〉 매개변수 보정화면 236

〈그림 3.3.2.33〉 입력자료 설정화면 236

〈그림 3.3.2.34〉 예측강우자료 설정화면 236

〈그림 3.3.2.35〉 모의유출량 산정 237

〈그림 3.3.2.36〉 소유역별 모의유출량 237

〈그림 3.3.2.37〉 지점별 모의유출량 237

〈그림 3.3.2.38〉 개선된 RRFS의 메뉴 구조도 238

〈그림 3.3.2.39〉 강우정보 화면 239

〈그림 3.3.2.40〉 취수량정보 화면 239

〈그림 3.3.2.41〉 매개변수 보정 초기 화면 240

〈그림 3.3.2.42〉 빠른 매개변수 보정 화면 240

〈그림 3.3.2.43〉 케이스별 매개변수 보정화면 240

〈그림 3.3.2.44〉 케이스별 결과의 비교 화면 240

〈그림 3.3.2.45〉 입력자료 설정 화면 241

〈그림 3.3.2.46〉 예측 모의결과 확인 화면 241

〈그림 3.3.2.47〉 성분별 유출수문곡선 241

〈그림 3.3.2.48〉 주요매개변수의 시간적 변화 241

〈그림 3.3.2.49〉 ESP 모의 시나리오 그래프 242

〈그림 3.3.2.50〉 ESP 시나리오에 대한 결과 242

〈그림 3.3.2.51〉 월별 ESP 분석 결과 화면 242

〈그림 3.3.2.52〉 확률히스토그램 242

〈그림 3.3.2.53〉 ESP 확률 예측 243

〈그림 3.3.2.54〉 기상전망을 통한 유출예측 243

〈그림 3.3.2.55〉 이수기 유출예측 결과 243

〈그림 3.3.2.56〉 홍수기 유출예측 결과 243

〈그림 3.3.3.1〉 용담댐 분기별 유량 비교(2005년) 245

〈그림 3.3.3.2〉 대청댐 분기별 유량 비교(2005년) 246

〈그림 3.3.3.3〉 공주지점 분기별 유량 비교(2005년) 247

〈그림 3.3.3.4〉 용담댐 월별 유입량 비교(2005년~현재) 248

〈그림 3.3.3.5〉 대청댐 월별 유입량 비교(2005년~현재) 252

〈그림 3.3.3.6〉 공주지점 월별 유량 비교(2005년~현재) 256

〈그림 3.3.3.7〉 용담댐에 대한 연간 총유입량 모의결과 260

〈그림 3.3.3.8〉 대청댐에 대한 연간 총유입량 모의결과 261

〈그림 3.3.3.9〉 공주지점에 대한 연간 총유입량 모의결과 262

〈그림 3.3.3.10〉 용담댐 분기별 총유입량 모의결과 263

〈그림 3.3.3.11〉 대청댐 분기별 총유입량 모의결과 264

〈그림 3.3.3.12〉 공주지점 분기별 총유입량 모의결과 265

〈그림 3.3.3.13〉 용담댐 월별 총유입량 모의결과 ('05.01 ~ '05.12) 266

〈그림 3.3.3.14〉 대청댐 월별 총유입량 모의결과 ('05.01 ~ '05.12) 268

〈그림 3.3.3.15〉 공주지점 월별 총유입량 모의결과 ('05.01 ~ '05.12) 269

〈그림 3.3.4.1〉 ESP(Ensemble Streamflow Prediction) 기본개념 272

〈그림 3.3.4.2〉 유출 모의 시나리오 273

〈그림 3.3.4.3〉 ESP 통계분석 결과 273

〈그림 3.3.4.4〉 기상청 기상전망 자료 275

〈그림 3.3.4.5〉 기법별 예측 유출량 오차 비교 (1월, 용담지점) 286

〈그림 3.3.4.6〉 기법별 예측 유출량 오차 비교 (1월, 대청지점) 286

〈그림 3.3.4.7〉 기법별 예측 유출량 오차 비교 (1월, 공주지점) 287

〈그림 3.3.4.8〉 기법별 예측 유출량 오차 비교 (2월, 용담지점) 287

〈그림 3.3.4.9〉 기법별 예측 유출량 오차 비교 (2월, 대청지점) 288

〈그림 3.3.4.10〉 기법별 예측 유출량 오차 비교 (2월, 공주지점) 288

〈그림 3.3.4.11〉 기법별 예측 유출량 오차 비교 (3월, 용담지점) 289

〈그림 3.3.4.12〉 기법별 예측 유출량 오차 비교 (3월, 대청지점) 289

〈그림 3.3.4.13〉 기법별 예측 유출량 오차 비교 (3월, 공주지점) 290

〈그림 3.3.4.14〉 기법별 예측 유출량 오차 비교 (4월, 용담지점) 290

〈그림 3.3.4.15〉 기법별 예측 유출량 오차 비교 (4월, 대청지점) 291

〈그림 3.3.4.16〉 기법별 예측 유출량 오차 비교 (4월, 공주지점) 291

〈그림 3.3.4.17〉 기법별 예측 유출량 오차 비교 (5월, 용담지점) 292

〈그림 3.3.4.18〉 기법별 예측 유출량 오차 비교 (5월, 대청지점) 292

〈그림 3.3.4.19〉 기법별 예측 유출량 오차 비교 (5월, 공주지점, 보정 전) 293

〈그림 3.3.4.20〉 기법별 예측 유출량 오차 비교 (5월, 공주지점, 보정 후) 293

〈그림 3.3.4.21〉 기법별 예측 유출량 오차 비교 (6월, 공주지점, 보정 전) 294

〈그림 3.3.4.22〉 기법별 예측 유출량 오차 비교 (6월, 공주지점, 보정 후) 294

〈그림 3.3.4.23〉 기법별 예측 유출량 오차 비교 (6월, 대청지점, 보정 전) 295

〈그림 3.3.4.24〉 기법별 예측 유출량 오차 비교 (6월, 대청지점, 보정 후) 295

〈그림 3.3.4.25〉 기법별 예측 유출량 오차 비교 (6월, 공주지점) 296

〈그림 3.3.4.26〉 기법별 예측 유출량 오차 비교 (7월, 용담지점, 보정 전) 296

〈그림 3.3.4.27〉 기법별 예측 유출량 오차 비교 (7월, 용담지점, 보정 후) 297

〈그림 3.3.4.28〉 기법별 예측 유출량 오차 비교 (7월, 대청지점, 보정 전) 297

〈그림 3.3.4.29〉 기법별 예측 유출량 오차 비교 (7월, 대청지점, 보정 후) 298

〈그림 3.3.4.30〉 기법별 예측 유출량 오차 비교 (7월, 공주지점, 보정 전) 298

〈그림 3.3.4.31〉 기법별 예측 유출량 오차 비교 (7월, 공주지점, 보정 후) 299

〈그림 3.3.4.32〉 기법별 예측 유출량 오차 비교 (8월, 용담지점, 보정 전) 299

〈그림 3.3.4.33〉 기법별 예측 유출량 오차 비교 (8월, 용담지점, 보정 후) 300

〈그림 3.3.4.34〉 기법별 예측 유출량 오차 비교 (8월, 용담지점, 보정 전) 300

〈그림 3.3.4.35〉 기법별 예측 유출량 오차 비교 (8월, 대청지점, 보정 후) 301

〈그림 3.3.4.36〉 기법별 예측 유출량 오차 비교 (8월, 대청지점, 보정 전) 301

〈그림 3.3.4.37〉 기법별 예측 유출량 오차 비교 (8월, 대청지점, 보정 후) 302

〈그림 3.3.5.1〉 연구의 목적 및 활용 303

〈그림 3.3.5.2〉 전자기파의 분류 305

〈그림 3.3.5.3〉 기상청에서 제공받은 원시 NOAA/AVHRR 자료 311

〈그림 3.3.5.4〉 원시 NOAA 자료를 알베도로 변환하기 위한 테이블 311

〈그림 3.3.5.5〉 NOAA 위성 영상의 기하보정 과정 312

〈그림 3.3.5.6〉 기하보정된 후의 NOAA 위성 영상 314

〈그림 3.3.5.7〉 식생에 대한 분광반사 특성 315

〈그림 3.3.5.8〉 일별로 산정된 식생지수(NDVI)의 예 318

〈그림 3.3.5.9〉 작성된 월대표 NDVI의 예 318

〈그림 3.3.5.10〉 NOAA/AVHRR로부터 얻어진 월대표 NDVI 319

〈그림 3.3.5.11〉 iNDVI image 327

〈그림 3.3.5.12〉 식생등급 분류 327

〈그림 3.3.5.13〉 환경부 피복분류도 (1990년대) 327

〈그림 3.3.5.14〉 기후학적 물수지를 위한 과정 328

〈그림 3.3.5.15〉 2001년 3월에서 5월까지의 총강우량(㎜)(기상청) 329

〈그림 3.3.5.16〉 2001년 3월에서 5월까지의 총강우량 예년비(%) 329

〈그림 3.3.5.17〉 연구에 사용된 강우관측소의 위치 334

〈그림 3.3.5.18〉 우리나라 전역에 대한 강우분포도 337

〈그림 3.3.5.19〉 금강유역에 대한 강우분포도 344

〈그림 3.3.5.20〉 봄철의 누적강우량 351

〈그림 3.3.5.21〉 금강유역에 대한 잠재증발산량 분포도 354

〈그림 3.3.5.22〉 실제증발산량 분포도 생성을 위한 흐름도 361

〈그림 3.3.5.23〉 보완관계식에 의한 증발산량 363

〈그림 3.3.5.24〉 회귀방정식에 의한 증발산량과 보완관계식에 의한 증발산량의 비교 365

〈그림 3.3.5.25〉 금강유역에 대한 실제증발산량 분포도 366

〈그림 3.3.5.26〉 기후학적 물수지의 흐름도 374

〈그림 3.3.5.27〉 금강유역에 대한 과잉수분량 분포도 375

〈그림 3.3.5.28〉 소유역별 과잉수분량의 누적분포 382

〈그림 3.3.5.29〉 금강유역에 대한 부족수분량 분포도 384

〈그림 3.3.5.30〉 소유역별 부족수분량의 누적분포 391

〈그림 3.3.5.31〉 금강유역에 대한 습윤지표의 분포도 393

〈그림 3.3.5.32〉 소유역별 습윤지표의 누적분포 400

〈그림 3.3.5.33〉 2000년 건조상황의 습윤지표 401

〈그림 3.3.5.34〉 2001년 건조상황의 습윤지표 402

〈그림 3.3.5.35〉 습윤/건조지역 변화 예상분석 404

〈그림 3.3.5.36〉 2001년 3월에서 4월의 습윤지표 변화 예상 405

〈그림 3.3.5.37〉 강우상태에 따른 습윤지표의 변화 405

〈그림 3.3.5.38〉 2001년 3월에서 4월까지의 필요강우량 406

〈그림 3.3.5.39〉 2001년 3월에서 물부족 현상이 1개월 이내에 해소되기 위한 필요강우 407

〈그림 3.3.5.40〉 기후학적 물수지 계산을 위한 메인화면 407

〈그림 3.3.5.41〉 잠재증발산량 산정 과정 408

〈그림 3.3.5.42〉 실제증발산량 산정 과정 409

〈그림 3.3.5.43〉 과잉수분량 산정 과정 410

〈그림 3.3.5.44〉 부족수분량 산정 과정 410

〈그림 3.3.5.45〉 습윤지표 산정 과정 410

〈그림 3.3.5.46〉 1개월 강우량 예상분포도 작성과정 411

〈그림 3.3.5.47〉 필요강우량 산정 과정 411

〈그림 3.3.6.1〉 월강우량과 농업용수이용량과의 관계 434

〈그림 3.3.6.2〉 유역유출지표 체계도 436

〈그림 3.3.6.3〉 관측유출량에 의한 유황분석 451

〈그림 3.3.6.4〉 모의유출량에 의한 유황분석 451

〈그림 3.3.6.5〉 관측유출량에 의한 빈도분석 451

〈그림 3.3.6.6〉 모의유출량에 의한 빈도분석 452

〈그림 3.3.6.7〉 연강우량별 유출율 변화 459

〈그림 3.3.6.8〉 주요지점별 100㎜이상/월 및 분기별 관측/모의 유출율 460

〈그림 3.3.6.9〉 대청댐 지점 유황분석 461

〈그림 3.3.6.10〉 주요지점 관측 및 모의 유출량에 대한 월별 빈도분석 462

〈그림 3.3.6.11〉 7번 소유역 모의유출량에 의한 유황분석 471

〈그림 3.3.6.12〉 7번 소유역의 모의유출량에 의한 빈도분석 471

〈그림 3.3.6.13〉 7번 소유역 연강우량별 유출율 변화 475

〈그림 3.3.6.14〉 7번 소유역 100㎜이상/월 및 분기별 관측/모의 유출율 475

〈그림 3.3.6.15〉 7번 소유역 모의 유출량에 대한 월별 빈도분석 476

〈그림 3.3.6.16〉 월, 분기, 년별 유출성분 481

〈그림 3.3.6.17〉 유역유출지표 통합 파일 483

〈그림 3.3.6.18〉 유역유출지표 적용 흐름도 485

〈그림 3.3.6.19〉 대청댐 지점 유출 분석 486

〈그림 3.4.1.1〉 SSDP/Hist 모형, ESP, SSDP/ESP 모형에 설정된 관계 모식도 490

〈그림 3.4.1.2〉 가중값에 따른 발전 생산량 493

〈그림 3.4.1.3〉 절대우선순위에 의한 최적운영률 선정 과정 494

〈그림 3.4.1.4〉 초기저수량에 따른 목적별 기댓값 (1월) 497

〈그림 3.4.1.5〉 대청댐의 저수량변화 (기간:1998년 ~ 2002년) 498

〈그림 3.4.1.6〉 6월말 기준수위의 허용범위를 적용했을 때의 저수량변화 499

〈그림 3.4.1.7〉 ESP21의 입력자료 500

〈그림 3.4.1.8〉 AHS를 통한 정확성 평가(한국수자원공사, 2004) 501

〈그림 3.4.1.9〉 소유역별 ESP01의 예측정확도(신뢰도) 503

〈그림 3.4.1.10〉 ESP01의 소유역별 RPS Boxplot 504

〈그림 3.4.1.11〉 월단위 ESP01의 월별 예측정확도 506

〈그림 3.4.1.12〉 월단위 ESP11의 월별 예측정확도 506

〈그림 3.4.1.13〉 월단위 ESP21의 월별 예측정확도 506

〈그림 3.4.1.14〉 4월의 앙상블 예측정확도 개선 507

〈그림 3.4.1.15〉 10월 초기저수량에 따른 용수부족량 508

〈그림 3.4.1.16〉 10월초 저수량에 따른 SSDP/Hist 모형과 SSDP/ESP01 모형의 용수부족량 차이 511

〈그림 3.4.1.17〉 10월초 저수량에 따른 SSDP/ESP01 모형과 SSDP/ESP11 모형의 용수부족량 차이 512

〈그림 3.4.1.18〉 10월초 저수량에 따른 SSDP/ESP11 모형과 SSDP/ESP21 모형의 용수부족량 차이 513

〈그림 3.4.1.19〉 금강수계 단독운영과 연계운영의 정의 514

〈그림 3.4.1.20〉 용담댐 단독운영률에 의한 방류량 515

〈그림 3.4.1.21〉 10월초 저수용량에 따른 단독운영과 연계운영의 용수부족량 차이 517

〈그림 3.4.1.22〉 용담댐 224.5 MCM, 대청댐 0.0 MCM일 때의 저수지 운영 결과 519

〈그림 3.4.1.23〉 용담댐 224.5 MCM, 대청댐 87.8 MCM일 때의 저수지 운영 결과 519

〈그림 3.4.1.24〉 선정된 두 기간의 월별 유출량 520

〈그림 3.4.1.25〉 ESP 정확도와 총 유출량에 따른 용수부족 감소량 526

〈그림 3.4.1.26〉 상관관계가 높은 Z1과 Z2의 산포도 532

〈그림 3.4.1.27〉 새로운 F1과 F2축으로 표현된 자료 533

〈그림 3.4.1.28〉 ADI 산정 절차 (Keyantash and Dracup, 2004) 535

〈그림 3.4.1.29〉 백분위수에 의한 가뭄심도 구분 예 (Keyantash and Dracup, 2004) 535

〈그림 3.4.1.30〉 대청댐의 ADI (1982년~2001년) 536

〈그림 3.4.1.31〉 ADI-3와 현재 유입량과의 상관관계 539

〈그림 3.4.1.32〉 ADI-3와 유입량의 상관관계에 대한 가설검정 결과 539

〈그림 3.4.1.33〉 월단위 빈도유입량 산정 예 (12월) 540

〈그림 3.4.1.34〉 한국수자원공사의 기준수위 설정 방식 540

〈그림 3.4.1.35〉 실적운영과 기준수위와 비교 543

〈그림 3.4.1.36〉 관측개수에 따른 lag-1 상관계수의 표준오차 546

〈그림 3.4.1.37〉 소유역 1의 평균값 비교 547

〈그림 3.4.1.38〉 소유역 1의 표준편차 비교 547

〈그림 3.4.1.39〉 소유역 1의 lag-1 상관계수 비교 547

〈그림 3.4.1.40〉 소유역 1과 타소유역의 교차상관계수 비교 548

〈그림 3.4.1.41〉 금강 수계 다목적 댐 20년 빈도 유입량 550

〈그림 3.4.1.42〉 빈도유입량에 의한 기준수위 551

〈그림 3.4.1.43〉 신뢰도 평가방식에 의한 기준수위 552

〈그림 3.4.1.44〉 설정방식에 따른 기준수위 비교 553

〈그림 3.4.1.45〉 Standard Operating Policy (굵은 선) 554

〈그림 3.4.1.46〉 Two-point hedging rule의 예 (Bayazit and Unal, 1990) 555

〈그림 3.4.1.47〉 비상운영률 적용절차 558

〈그림 3.4.1.48〉 프론티어 1단계의 SSDP GUI 화면 559

〈그림 3.4.1.49〉 개선된 SSDP GUI 화면 560

〈그림 3.4.1.50〉 현재편익과 미래 기대편익을 제시하는 GUI 예 561

〈그림 3.4.1.51〉 다양한 시나리오에 의한 잔여기간의 모의운영 예 561

〈그림 3.4.1.52〉 사용자 의견을 반영한 결과를 제시할 수 있는 GUI 구성 예 561

〈그림 3.4.2.1〉 분석기간의 일반화 564

〈그림 3.4.2.2〉 대화형 가중치 설정 564

〈그림 3.4.2.3〉 대화형 다중 목적 계획법 적용 565

〈그림 3.4.2.4〉 실적치 대비 HEC-5와 CoMOM의 결과 566

〈그림 3.4.2.5〉 불확실성 하에서 CoMOM을 활용한 실시간 모의운영 567

〈그림 3.4.2.6〉 실시간 물관리 시스템 모의 운영 절차(CASE 3) 567

〈그림 3.4.2.7〉 각 Case 별 개선효과(실적 대비) 570

〈그림 3.4.2.8〉 Case 1의 용담/대청댐 저수량 그래프 (2002.10 ~ 2004.09) 571

〈그림 3.4.2.9〉 Case 2의 용담/대청댐 저수량 그래프 (2002.10 ~ 2004.09) 571

〈그림 3.4.2.10〉 Case 3의 용담/대청댐 저수량 그래프 (2002.10 ~ 2004.09) 572

〈그림 3.4.2.11〉 각 Case 별 실시간 모의 운영 결과 572

〈그림 3.4.2.12〉 Case 1의 안동/임하댐 저수량 그래프 (2001.10 ~ 2005.09) 575

〈그림 3.4.2.13〉 Case 2의 안동/임하댐 저수량 그래프 (2001.10 ~ 2005.09) 575

〈그림 3.4.2.14〉 낙동강 수계 실시간 모의 운영 결과 그래프 576

〈그림 3.4.2.15〉 각 저수지 할당 방안에 따른 안동댐 저수량 그래프 581

〈그림 3.4.2.16〉 각 저수지 할당 방안에 따른 임하댐 저수량 그래프 582

〈그림 3.4.2.17〉 각 저수지 할당 방안에 따른 합천댐 저수량 그래프 582

〈그림 3.4.2.18〉 각 저수지 할당 방안에 따른 남강댐 저수량 그래프 582

〈그림 3.4.2.19〉 단기 기상 예측 정보를 활용한 다단계 유입량 시나리오 나무 584

〈그림 3.4.2.20〉 유입량 시나리오 생성 방법 585

〈그림 3.4.2.21〉 정보의 가치 따른 결과 그래프 588

〈그림 3.4.2.22〉 실시간 모의운영 결과에 대한 Box Plot 588

〈그림 3.4.3.1〉 KORSIM 모형의 기본 선택사항 GUI 화면(옵션화) 591

〈그림 3.4.3.2〉 소유역별 및 하도별 입력자료의 매개변수화 GUI 591

〈그림 3.4.3.3〉 제어지점별 유량 및 물 부족량 분석 GUI 591

〈그림 3.4.3.4〉 댐별 발전량 및 제어지점별 물부족 평가 지표 분석결과 GUI 591

〈그림 3.4.3.5〉 대청댐 발전 매개변수 보정 전ㆍ후 비교 592

〈그림 3.4.3.6〉 4개댐의 월별 실적방류에 대한 Deficit Supply 방식별 방류 배분 594

〈그림 3.4.3.7〉 대청댐 발전량 산정을 매개변수 보정 594

〈그림 3.4.3.8〉 남강댐 방안별 운영 궤적 595

〈그림 3.4.3.9〉 안동댐 방안별 운영 궤적 595

〈그림 3.4.3.10〉 분기별 저수지 운영목적과 다목적댐 운영기준 수위(충주댐) 597

〈그림 3.4.3.11〉 WROC에서의 용수공급단계 599

〈그림 3.4.3.12〉 SOP와 Hedging Rule 599

〈그림 3.4.4.1〉 HEC-ResSim 모형의 전체화면 606

〈그림 3.4.4.2〉 CALSIM 모형의 전체화면 607

〈그림 3.4.4.3〉 RiverWare 모형의 전체화면 609

〈그림 3.4.4.4〉 WEAP 모형의 전체화면 610

〈그림 3.4.4.5〉 RAISON 모형의 전체화면 611

〈그림 3.4.4.6〉 WaterWare 모형의 전체화면 612

〈그림 3.4.4.7〉 ArcGIS에 탑재된 WRAP 모형의 전체화면 613

〈그림 3.4.4.8〉 RIVASIM 모형의 전체화면 614

〈그림 3.4.4.9〉 KModSim 모형의 사용자지원툴 (GUI) 618

〈그림 3.4.4.10〉 KModSim 네트워크 제어를 위한 Custom Code Editor 작성 예 619

〈그림 3.4.4.11〉 용담댐과 대청댐 저수량 결과 비교 620

〈그림 3.4.4.12〉 KModSim의 네트웍 구조 626

〈그림 3.4.4.13〉 네트웍 구성 627

〈그림 3.4.4.14〉 배분 및 홍수 저수 링크 628

〈그림 3.4.4.15〉 수문학적 상태의 정의 630

〈그림 3.4.4.16〉 배분된 수요링크와 노드 632

〈그림 3.4.4.17〉 복합수리권의 링크의 이용 형태 633

〈그림 3.4.4.18〉 통과 수요량의 설명 633

〈그림 3.4.4.19〉 교환 수요량과 감시 링크 634

〈그림 3.4.4.20〉 링크 손실량 계산을 위한 반복계산 절차 635

〈그림 3.4.4.21〉 저수량 할당과 저수량 소유권 636

〈그림 3.4.4.22〉 KModSim 주화면 639

〈그림 3.4.4.23〉 File 메뉴항목 및 Import 기능 641

〈그림 3.4.4.24〉 Edit 메뉴항목 642

〈그림 3.4.4.25〉 View 메뉴항목 644

〈그림 3.4.4.26〉 K-MODSIM 메뉴항목 645

〈그림 3.4.4.27〉 System Sate 입력창 645

〈그림 3.4.4.28〉 Hydrologic Table 입력창 645

〈그림 3.4.4.29〉 대청댐 목표저수량 운영율 설정 646

〈그림 3.4.4.30〉 대청댐 목표저수량 설정 646

〈그림 3.4.4.31〉 K-MODSIM 8.0 모형의 개념도 646

〈그림 3.4.4.32〉 .Net Framework의 개념도 647

〈그림 3.4.4.33〉 KModSim 8.0의 계산 흐름도 648

〈그림 3.4.4.34〉 Output Control 메뉴 649

〈그림 3.4.4.35〉 Window 메뉴 649

〈그림 3.4.4.36〉 도구 바 649

〈그림 3.4.4.37〉 금강유역의 KModSim 네트워크모형 656

〈그림 3.4.4.38〉 용담댐 상ㆍ하류 유역의 KModSim 네트워크 658

〈그림 3.4.4.39〉 용담댐 하류-대청댐 상류 유역의 KModSim 네트워크 659

〈그림 3.4.4.40〉 대청댐 하류-공주지점 유역의 KModSim 네트워크 660

〈그림 3.4.4.41〉 금강하구 유역의 KModSim 네트워크 660

〈그림 3.4.4.42〉 하천유량의 구성요소 675

〈그림 3.4.4.43〉 금강유역의 각 소유역별 생활, 공업 및 농업용수 분포 677

〈그림 3.4.4.44〉 금강유역의 시계열 유입량 분포 678

〈그림 3.4.4.45〉 용담댐 모의 저수위와 실적저수위 비교 680

〈그림 3.4.4.46〉 대청댐 모의 저수위와 실적저수위 비교 680

〈그림 3.4.4.47〉 각 운영방법에 따른 댐 저류량 비교 681

〈그림 3.4.4.48〉 공주지점의 모의유량과 실측유량 비교 681

〈그림 3.4.4.49〉 용담댐 모의 저수위와 실적저수위 비교 683

〈그림 3.4.4.50〉 용담댐 모의 저수위와 실적저수위 비교 683

〈그림 3.4.4.51〉 대청댐 모의 저수위와 실적저수위 비교 684

〈그림 3.4.4.52〉 대청댐 모의 저수위와 실적저수위 비교 685

〈그림 3.4.4.53〉 각 운영방법에 따른 댐 저류량 비교 686

〈그림 3.4.4.54〉 공주지점의 모의유량과 실측유량 비교 687

〈그림 3.4.4.55〉 공주지점의 모의유량과 실측유량 비교 687

〈그림 3.4.4.56〉 실적 저류량을 목표저류량으로 설정하고 하도추적 방법을 적용하여 구한 공주지점의 모의유량 결과와 적용하지 않고 구한 모의유량 결과를 실측결과와 비교 689

〈그림 3.4.4.57〉 CoMOM 저류량을 목표저류량으로 설정하고 하도추적 방법을 적용하여 구한 공주지점의 모의유량 결과와 적용하지 않고 구한 모의유량 결과를 실측결과와 비교 690

〈그림 3.4.4.58〉 운영율을 이용하여 구한 목표저류량을 설정하고 하도추적 방법을 적용하여 구한 공주지점의 모의유량 결과와 적용하지 않고 구한 모의유량 결과를 실측결과와 비교 691

〈그림 3.4.4.59〉 용담댐 모의발전량과 실적발전량 비교 692

〈그림 3.4.4.60〉 대청댐 모의발전량과 실적발전량 비교 692

〈그림 3.4.4.61〉 각 운영방법에 따른 발전생산량 비교 693

〈그림 3.4.4.62〉 용담댐 모의에너지생산량과 실적에너지생산량 비교 694

〈그림 3.4.4.63〉 용담댐 모의에너지생산량과 실적에너지생산량 비교 694

〈그림 3.4.4.64〉 대청댐 모의에너지생산량과 실적에너지생산량 비교 695

〈그림 3.4.4.65〉 대청댐 모의에너지생산량과 실적에너지생산량 비교 696

〈그림 3.4.4.66〉 각 운영방법에 따른 댐 저류량 비교 696

〈그림 3.4.4.67〉 용담댐 모의 저수위와 실적저수위 비교 700

〈그림 3.4.4.68〉 대청댐 모의 저수위와 실적저수위 비교 701

〈그림 3.4.4.69〉 각 운영방법에 따른 댐 저류량 비교 701

〈그림 3.4.4.70〉 공주지점의 모의유량과 실측유량 비교 702

〈그림 3.4.4.71〉 용담댐 모의 저수위와 실적저수위 비교 704

〈그림 3.4.4.72〉 용담댐 모의 저수위와 실적저수위 비교 704

〈그림 3.4.4.73〉 대청댐 모의 저수위와 실적저수위 비교 706

〈그림 3.4.4.74〉 대청댐 모의 저수위와 실적저수위 비교 706

〈그림 3.4.4.75〉 각 운영방법에 따른 댐 저류량 비교 707

〈그림 3.4.4.76〉 공주지점의 모의유량과 실측유량 비교 708

〈그림 3.4.4.77〉 공주지점의 모의유량과 실측유량 비교 708

〈그림 3.4.4.78〉 용담댐 모의발전량과 실적발전량 비교 709

〈그림 3.4.4.79〉 대청댐 모의발전량과 실적발전량 비교 710

〈그림 3.4.4.80〉 각 운영방법에 따른 발전생산량 비교 711

〈그림 3.4.4.81〉 용담댐 모의에너지생산량과 실적에너지생산량 비교 712

〈그림 3.4.4.82〉 용담댐 모의에너지생산량과 실적에너지생산량 비교 712

〈그림 3.4.4.83〉 대청댐 모의에너지생산량과 실적에너지생산량 비교 713

〈그림 3.4.4.84〉 대청댐 모의에너지생산량과 실적에너지생산량 비교 714

〈그림 3.4.4.85〉 각 운영방법에 따른 댐 저류량 비교 714

〈그림 3.4.4.86〉 KModSim 8.0 모형의 개념도 716

〈그림 3.4.4.87〉 한강권역의 생활, 공업, 농업용수 (2006년 기준수요) 717

〈그림 3.4.4.88〉 낙동강권역의 생활, 공업, 농업용수 (2006년 기준수요) 717

〈그림 3.4.4.89〉 금강권역의 생활, 공업, 농업용수 (2006년 기준수요) 717

〈그림 3.4.4.90〉 한강권역의 연평균유출량 719

〈그림 3.4.4.91〉 낙동강권역의 연평균유출량 719

〈그림 3.4.4.92〉 금강권역의 연평균유출량 720

〈그림 3.4.4.93〉 KModSim에서 댐조작 손실 고려 방법 721

〈그림 3.4.4.94〉 KModSim에서 취수가능량 조정 방법 721

〈그림 3.4.4.95〉 Reservoir balancing에 의한 댐간 연계방법 722

〈그림 3.4.4.96〉 K-MODSIM에서 광역상수도 고려 방법 722

〈그림 3.4.4.97〉 한강권역의 물수지분석 네트워크 723

〈그림 3.4.4.98〉 낙동강권역의 물수지분석 네트워크 723

〈그림 3.4.4.99〉 금강권역의 물수지분석 네트워크 724

〈그림 3.4.4.100〉 K-MODSIM과 ArcGIS를 연계한 Geo-MODSIM 730

〈그림 3.4.4.101〉 Reservoir balancing에 의한 댐간 연계운영 (한강수계) 731

〈그림 3.4.4.102〉 금강권역의 생활, 공업, 농업용수(2006년 기준수요) 734

〈그림 3.4.4.103〉 금강권역의 연평균유출량 736

〈그림 3.4.4.104〉 금강권역의 K-MODSIM 네트워크 737

〈그림 3.4.4.105〉 광역상수도 건설 전후의 대청댐 저수량 변화 743

〈그림 3.4.4.106〉 다목적댐 예년대비 유입량 비교 (2001.1.1-2001.6.14) 746

〈그림 3.4.4.107〉 다목적댐 예년대비 방류량 비교 (2001.1.1-2001.6.14) 747

〈그림 3.4.4.108〉 전국 용수공급 현황도 (2001. 6. 14) 748

〈그림 3.4.4.109〉 이수목적 댐운영계획 수립과정 749

〈그림 3.4.4.110〉 다목적댐의 용도별 우선순위 752

〈그림 3.4.4.111〉 수요량 감소에 따른 용담댐 저류량 및 방류량 비교 754

〈그림 3.4.4.112〉 수요량 감소에 따른 대청댐 저류량 및 방류량 비교 755

〈그림 3.4.4.113〉 수요량 감소에 따른 공주지점 유량 비교 756

〈그림 3.4.4.114〉 수요량 감소에 따른 용담댐 저류량 및 방류량 비교 757

〈그림 3.4.4.115〉 수요량 감소에 따른 대청댐 저류량 및 방류량 비교 757

〈그림 3.4.4.116〉 수요량 감소에 따른 공주지점 유량 비교 758

〈그림 3.4.4.117〉 수요량 감소에 따른 용담댐 저류량 및 방류량 비교 759

〈그림 3.4.4.118〉 수요량 감소에 따른 대청댐 저류량 및 방류량 비교 759

〈그림 3.4.4.119〉 수요량 감소에 따른 공주지점 유량 비교 760

〈그림 3.4.4.120〉 댐유입량에 따른 목표저수위 조정하는 물수지 네트워크 761

〈그림 3.4.4.121〉 Custom code에 의한 제어 결과 761

〈그림 3.4.4.122〉 링크의 용량을 조정하는 물수지 네트워크 762

〈그림 3.4.4.123〉 생활용수 노드의 결과 762

〈그림 3.4.4.124〉 보존성 물질에 대한 수질 모의 네트워크 762

〈그림 3.4.4.125〉 보존성 물질 계산을 위한 코드 763

〈그림 3.5.1.1〉 대청댐 하류구간의 수질변동사항 771

〈그림 3.5.1.2〉 QUAL2E 모식도 773

〈그림 3.5.1.3〉 RIV1 모식도 773

〈그림 3.5.1.4〉 QUAL2E 및 RIV1 모형의 결과비교 774

〈그림 3.5.1.5〉 QUAL2E 모형에서의 K1 변화에 따른 민감도 분석 776

〈그림 3.5.1.6〉 QUAL2E 모형에서의 K3 변화에 따른 민감도 분석 776

〈그림 3.5.1.7〉 금강수계와 금강 상류부의 주요 유입하천 777

〈그림 3.5.1.8〉 금강상류 주요 지점의 연도별 수질변화 779

〈그림 3.5.1.9〉 금강상류 주요 지점의 월별 수질변화 780

〈그림 3.5.1.10〉 금강상류 주요 지류의 월별 수질변화 782

〈그림 3.5.1.11〉 KORIV1의 모형을 위한 소구간 구분 783

〈그림 3.5.1.12〉 KORIV1의 모형을 위한 하천단면 재구성 784

〈그림 3.5.1.13〉 용담댐의 방류량 변화 784

〈그림 3.5.1.14〉 지류의 비유량 산정결과 785

〈그림 3.5.1.15〉 등류수심 산정 프로그램 786

〈그림 3.5.1.16〉 호탄지점 및 옥천지점의 수위 비교결과 786

〈그림 3.5.1.17〉 용담댐의 시간별 방류량 변화 787

〈그림 3.5.1.18〉 지류의 시간별 유량 변화 787

〈그림 3.5.1.19〉 호탄지점 및 옥천지점의 홍수시 수위 검증결과 788

〈그림 3.5.1.20〉 호탄지점 및 옥천지점의 홍수시 유량변화 789

〈그림 3.5.1.21〉 모의 기간의 용담댐 방류량 789

〈그림 3.5.1.22〉 모의기간의 유입지류 유량변화 790

〈그림 3.5.1.23〉 모의기간의 호탄 및 옥천지점에서의 갈수시 수위 검증결과 790

〈그림 3.5.1.24〉 호탄지점 및 옥천지점의 갈수시 유량변화 791

〈그림 3.5.1.25〉 수질모듈 보정결과 792

〈그림 3.5.1.26〉 수질모듈 검증결과 793

〈그림 3.5.1.27〉 금강수계와 금강 상류부의 주요 유입하천 795

〈그림 3.5.1.28〉 금강하류의 행정구역 구분 796

〈그림 3.5.1.29〉 오염총량관리단위유역 796

〈그림 3.5.1.30〉 오염총량관리 목표수질 797

〈그림 3.5.1.31〉 금강본류 지점별 연도별 수질변화 798

〈그림 3.5.1.32〉 금강본류 지점별 월별 수질변화 799

〈그림 3.5.1.33〉 금강 주요 유입지류의 월별 수질변화 803

〈그림 3.5.1.34〉 행정구역별 발생ㆍ배출부하량(2002년) 817

〈그림 3.5.1.35〉 행정구역별 발생ㆍ배출부하량(2010년) 819

〈그림 3.5.1.36〉 금강하류의 소유역 구분 821

〈그림 3.5.1.37〉 지류유역별 발생ㆍ배출부하량(2002년) 821

〈그림 3.5.1.38〉 지류유역별 발생ㆍ배출부하량(2010년) 823

〈그림 3.5.1.39〉 금강 지류별 BOD 유량-유달률 관계 824

〈그림 3.5.1.40〉 금강 지류별 TN 유량-유달률 관계 826

〈그림 3.5.1.41〉 중간유입 부분의 소유역 구분 830

〈그림 3.5.1.42〉 금강하류 하천구간의 QUAL2E모식도 832

〈그림 3.5.1.43〉 모형의 보정결과 835

〈그림 3.5.1.44〉 모형의 검증결과 836

〈그림 3.5.1.45〉 장래 수질예측 837

〈그림 3.5.1.46〉 금강 상류 유역도 838

〈그림 3.5.1.47〉 행정구역도 840

〈그림 3.5.1.48〉 오염총량관리단위유역 840

〈그림 3.5.1.49〉 금강상류 본류의 연평균 수질변화 846

〈그림 3.5.1.50〉 무주남대천의 월별 수질변화 847

〈그림 3.5.1.51〉 봉황천의 월별 수질변화 848

〈그림 3.5.1.52〉 영동천의 월별 수질변화 849

〈그림 3.5.1.53〉 초강천의 월별 수질변화 850

〈그림 3.5.1.54〉 보강천의 월별 수질변화 851

〈그림 3.5.1.55〉 행정구역별 발생ㆍ배출 부하량(2002년) 852

〈그림 3.5.1.56〉 행정구역별 발생ㆍ배출 부하량(2010년) 854

〈그림 3.5.1.57〉 금강상류 유역의 지류유역 구분 855

〈그림 3.5.1.58〉 지류유역별 발생ㆍ배출 부하량(2002년) 856

〈그림 3.5.1.59〉 지류유역별 발생ㆍ배출 부하량(2010년) 858

〈그림 3.5.1.60〉 유달률 산정을 위한 회귀분석 - BOD 860

〈그림 3.5.1.61〉 유달률 산정을 위한 회귀분석 - TN 860

〈그림 3.5.1.62〉 유달률 산정을 위한 회귀분석 - TP 861

〈그림 3.5.1.63〉 지류를 제외한 소유역 부분의 구분 863

〈그림 3.5.1.64〉 금강상류 하천수질 모의를 위한 모식도 구성 865

〈그림 3.5.1.65〉 금강상류 유역의 HEC-RAS 모식도, 종단면도 866

〈그림 3.5.1.66〉 금강상류 유역의 3차원 단면도 866

〈그림 3.5.1.67〉 모형의 보정 결과(2003년 12월) 871

〈그림 3.5.1.68〉 모형의 검증 결과(2004년 2월) 872

〈그림 3.5.1.69〉 모형의 검증 결과(2004년 2월) 874

〈그림 3.5.1.70〉 수질모의를 위한 자료생성 과정 874

〈그림 3.5.1.71〉 2006년 3월 수질모의결과 875

〈그림 3.5.1.72〉 공주 및 부여취수장의 수질현황 875

〈그림 3.5.1.73〉 취수장의 NH3-N 농도분포 및 대청댐 하류단 모식도 876

〈그림 3.5.1.74〉 방류량증가에 따른 BOD 및 NH3-N 농도저감 모의결과 876

〈그림 3.5.1.75〉 방류량대비 따른 공주ㆍ부여지점의 BOD 및 NH3-N농도 관계곡선 878

〈그림 3.5.1.76〉 행정구역도 및 총량관리단위유역 878

〈그림 3.5.1.77〉 미호천의 수질현황 879

〈그림 3.5.1.78〉 지류유역별 BOD 발생ㆍ배출 부하량(2010년) 880

〈그림 3.5.1.79〉 수질모형 모식도 882

〈그림 3.5.1.80〉 지점별 수질농도 883

〈그림 3.5.1.81〉 지점별 유량 883

〈그림 3.5.1.82〉 KORIV1-WIN의 비정상상태 수질 모의결과 884

〈그림 3.5.2.1〉 대청호 상류 수질측정망 및 현장측정 사진 886

〈그림 3.5.2.2〉 2004년 홍수기 기간 대청댐 수문상황:일평균 강우량, 유입량, 방류량 886

〈그림 3.5.2.3〉 2004년 대청호 유입하천 Sta.7지점의 수온 및 탁수 실시간 계측 결과 887

〈그림 3.5.2.4〉 장계교 지점의 6월21일(좌), 7월1일(우) ADP 유속측정 결과 887

〈그림 3.5.2.5〉 2004년 홍수기 동안 대청호내 탁수의 시공간분포 특성 888

〈그림 3.5.2.6〉 대청호 Sta.2 지점의 수온(좌) 및 탁도 (우) 시공간 변화 (2004년) 889

〈그림 3.5.2.7〉 대청호 Sta.2 지점의 전기전도도(좌)와 DO(우)의 시공간 변화 (2004년) 889

〈그림 3.5.2.8〉 2004년 홍수기 동안 대청호 Sta.2에서의 수심별 수질특성 890

〈그림 3.5.2.9〉 2005년 대청호 유입하천 Sta.7지점의 수온 및 탁수 실시간 계측 결과 890

〈그림 3.5.2.10〉 2005년 홍수기 동안 대청호 Sta.2에서의 수심별 수질특성 891

〈그림 3.5.2.11〉 상류 본류 옥천지점(좌)과 저수지내(우)에서의 탁도-SS 선형관계 892

〈그림 3.5.2.12〉 CE-QUAL-W2모델의 수체구성도 893

〈그림 3.5.2.13〉 CE-OUAL-W2모델의 구성도 894

〈그림 3.5.2.14〉 탁수예측 수치모델 구축을 위한 저수지 구역 분할 898

〈그림 3.5.2.15〉 대청호 지형자료의 Bathymetry 입력자료의 구성 및 검증 898

〈그림 3.5.2.16〉 매개변수 민감도 분석 결과 900

〈그림 3.5.2.17〉 매개변수 보정후 관측수온과 모의수온의 수직분포 비교결과 901

〈그림 3.5.2.18〉 모형 보정 전(좌)과 보정 후(우) 잔차 분석 902

〈그림 3.5.2.19〉 2004년 홍수기 수문사상에 대한 대청호 수온모의 검증결과 902

〈그림 3.5.2.20〉 2004년 홍수기 수문사상에 대한 대청호 탁도 모의 Snapshot 결과 903

〈그림 3.5.2.21〉 2004년 홍수기 수문사상에 대한 대청호 탁도 모의 검증결과 903

〈그림 3.5.2.22〉 수온예측 모듈의 예측 성능 평가 결과 904

〈그림 3.5.2.23〉 유량-SS부하량 관계(상)와 유량-탁도(하) 관계 이용한 탁도예측 개념도 905

〈그림 3.5.2.24〉 옥천지점 (좌)과 청성지점 (우)의 유량-SS 부하량 관계 906

〈그림 3.5.2.25〉 대청댐 저수지 상류하천과 저수지내 지점별 SS-탁도 선형관계 906

〈그림 3.5.2.26〉 옥천지점에서 관측된 하천유량과 탁도 관계 907

〈그림 3.5.2.27〉 탁도예측 모델 QLM과 QTM의 모의결과와 실측값 비교 907

〈그림 3.5.2.28〉 RTMMS의 기능 및 GUI 화면 908

〈그림 3.5.2.29〉 RTMMS의 시스템 구성 908

〈그림 3.5.2.30〉 실시간 탁수감시시스템 구성도 909

〈그림 3.5.2.31〉 인터넷 웹상에 제공된 실시간 탁수감시시스템 계측 자료 910

〈그림 3.5.2.32〉 상류 유입하천 계측자료 DB 설계 절차 911

〈그림 3.5.2.33〉 RTMMS 설치 파일 915

〈그림 3.5.2.34〉 RTMMS 설치 마법사 916

〈그림 3.5.2.35〉 RTMMS 실행 화면 916

〈그림 3.5.2.36〉 실행화면에서의 실시간 현황 917

〈그림 3.5.2.37〉 Input data 생성 화면 918

〈그림 3.5.2.38〉 관측유량자료 생성모듈 918

〈그림 3.5.2.39〉 Load Raw Data 팝업창 919

〈그림 3.5.2.40〉 예측유량자료 생성모듈 919

〈그림 3.5.2.41〉 유역면적비율을 이용한 하천유입량 920

〈그림 3.5.2.42〉 관측수온자료 생성모듈 920

〈그림 3.5.2.43〉 기상데이터를 불러오는 팝업창 921

〈그림 3.5.2.44〉 기상 및 유량 자료 생성모듈 921

〈그림 3.5.2.45〉 월 평균 수온 생성모듈 922

〈그림 3.5.2.46〉 유역 내의 유입수온 생성모듈 922

〈그림 3.5.2.47〉 관측탁도 생성모듈 923

〈그림 3.5.2.48〉 QLM모듈을 이용한 탁도 생성모듈 923

〈그림 3.5.2.49〉 W2 - time control 입력 화면 924

〈그림 3.5.2.50〉 W2 실행 메시지 창 924

〈그림 3.5.2.51〉 Parameters 입력모듈 925

〈그림 3.5.2.52〉 W2 모형 종료 925

〈그림 3.5.2.53〉 Update Field Data 925

〈그림 3.5.2.54〉 온도 경로 지정화면 926

〈그림 3.5.2.55〉 AGPM 결과보기 화면 926

〈그림 3.5.2.56〉 AGPM Output 926

〈그림 3.5.2.57〉 2006년 홍수기 RTMMS 운영기간 동안 저수지 수문상황 927

〈그림 3.5.2.58〉 2006년 홍수기 탁수예측을 위한 RTMMS 적용결과 928

〈그림 3.5.2.59〉 RTMMS를 이용한 댐 앞 지접 탁도 수직분포 예측결과 (2006년 7월) 929

〈그림 3.5.2.60〉 RTMMS를 이용한 댐 방류수 탁도 예측 결과 (2006년 7월) 929

〈그림 3.5.2.61〉 선택취수에 의한 탁수조절 효과 분석을 위한 방류 시나리오 931

〈그림 3.5.2.62〉 RTMMS를 이용한 선택취수에 의한 탁수조절 효과 모의 결과 933

〈그림 3.5.2.63〉 선택취수에 의한 탁수조절 효과 비교 933

〈그림 3.5.2.64〉 탁수조절을 위한 내부 웨어 설치 개념도 934

〈그림 3.5.2.65〉 RTMMS를 이용한 내부웨어에 의한 탁수조절 효과 모의 결과 936

〈그림 3.5.2.66〉 내부웨어 설치로 의한 댐 방류수 탁도 변화 비교 937

〈그림 3.5.2.67〉 내부웨어 설치로 의한 댐 저수지 탁수 잔류량 비교 937

〈그림 3.5.2.68〉 SWAT 모델에서 고려하는 수문순환 개요도 939

〈그림 3.5.2.69〉 SWAT에서의 하천 내 모의과정 946

〈그림 3.5.2.70〉 대청댐 유역의 DEM 948

〈그림 3.5.2.71〉 대청댐 유역의 토지이용도 948

〈그림 3.5.2.72〉 대청댐 유역의 토양 분포 상태 949

〈그림 3.5.2.73〉 소유역 구분 개념도 및 소유역 분할 950

〈그림 3.5.2.74〉 2005년 주요 지점별 월간 유출량 모의결과 955

〈그림 3.5.2.75〉 2004년 주요 지점별 월간 유출량 모의결과 선형회귀분석 956

〈그림 3.5.2.76〉 2005년 주요 지점별 월간 유출량 모의결과 선형회귀분석 957

〈그림 3.5.2.77〉 2004년 청성 지점 일 유출량 수문곡선 비교 958

〈그림 3.5.2.78〉 2004년 옥천 지점 일 유출량 수문곡선 비교 959

〈그림 3.5.2.79〉 2005년 청성 지점 일 유출량 수문곡선 비교 960

〈그림 3.5.2.80〉 2005년 옥천 지점 일 유출량 수문곡선 비교 961

〈그림 3.5.2.81〉 2004년 지점별 일 유출량 모의결과 선형회귀분석 962

〈그림 3.5.2.82〉 2005년 지점별 일 유출량 모의결과 선형회귀분석 962

〈그림 3.5.2.83〉 소유역별 토양침식량 GIS 주제도 963

〈그림 3.5.2.84〉 토지이용별 토양침식량 산정 결과 964

〈그림 3.5.3.1〉 실험실 규모 실험장치의 구성 967

〈그림 3.5.3.2〉 실증규모 실험조의 전체 구성 968

〈그림 3.5.3.3〉 실험에 사용된 산기장치의 형태 및 구성 969

〈그림 3.5.3.4〉 다수 폭기기 운영시의 운전 조건 969

〈그림 3.5.3.5〉 기포경의 측정 방법 971

〈그림 3.5.3.6〉 수중폭기 운영에 따른 시간에 따른 온도변화 971

〈그림 3.5.3.7〉 파일럿 실험에서 전체탈성층 효율과 초기탈성층 효율의 비 비교 972

〈그림 3.5.3.8〉 플룸 넘버에 따른 탈성층 효율 974

〈그림 3.5.3.9〉 MH에 따른 탈성층 효율 (PN이 500이하인 경우는 제외) 974

〈그림 3.5.3.10〉 무차원 기포 슬립속도 UN에 따른 효율 975

〈그림 3.5.3.11〉 내부 프라우드수의 역수와 탈성층 효율 관계 975

〈그림 3.5.3.12〉 총 유입공기량이 같은 경우 분산효과에 따른 효율변화 추이 977

〈그림 3.5.3.13〉 간격의 변화에 따른 효율 평가 결과 978

〈그림 3.5.3.14〉 단일 무차원 변수들(PN, MH, UN ,DN)과 탈성층 효율과의 관계 979

〈그림 3.5.3.15〉 탈성층 수와 간격에 따르는 탈성층 효율의 관계 그래프 979

〈그림 3.5.3.16〉 버블 플룸 구조의 모식도 984

〈그림 3.5.3.17〉 Be수와 효율과의 관계 (Case LTL;Tank area=1.0m2) 986

〈그림 3.5.3.18〉 Be수와 효율과의 관계 (Case LTS;Tank area=0.125m2) 986

〈그림 3.5.3.19〉 Be수와 효율과의 관계 (Case PT;Tank area=24.0㎡) 987

〈그림 3.5.3.20〉 Be수와 효율과의 관계 (Asaeda and Imberger, 1993;Ceramic diffuser case;Tank area=1.0m2) 987

〈그림 3.5.3.21〉 Be와 탈성층 효율관계 종합 그래프 (Log-plot) 988

〈그림 3.5.3.22〉 탈성층 효율에 대한 모델예측치와 결과치의 비교 989

〈그림 3.5.3.23〉 용존산소 전달량 평가를 위한 실험조의 구성 990

〈그림 3.5.3.24〉 수질 실험조의 구성 991

〈그림 3.5.3.25〉 실험실 규모 조류 실험조 992

〈그림 3.5.3.26〉 Pilot 규모의 조류 실험조 992

〈그림 3.5.3.27〉 실험실 규모 실험방법 995

〈그림 3.5.3.28〉 ChlorophyII a 측정장비 (10-AU Fluorometer) 995

〈그림 3.5.3.29〉 Pilot 규모 실험방법 996

〈그림 3.5.3.30〉 시간에 따르는 산소전달량 변화 997

〈그림 3.5.3.31〉 인산염의 농도변화 997

〈그림 3.5.3.32〉 수온변화에 따른 인산염과 용존산소 농도변화 998

〈그림 3.5.3.33〉 수온변화와 인산염의 농도 변화 998

〈그림 3.5.3.34〉 폭기에 따른 용출량의 변화 998

〈그림 3.5.3.35〉 기계적 교반과의 비교를 위한 실험조 999

〈그림 3.5.3.36〉 폭기와 기계적 교반과의 비교 실험 결과 999

〈그림 3.5.3.37〉 난류강도 G=10, 20, 30sec-1 일 때의 실험 결과 1001

〈그림 3.5.3.38〉 난류강도 G=30, 50, 70sec-1 일 때의 실험 결과 1003

〈그림 3.5.3.39〉 난류강도 G=85, 120sec-1 일 때의 실험 결과 1003

〈그림 3.5.3.40〉 난류강도에 따른 클로로필 농도 변화 1004

〈그림 3.5.3.41〉 수온 측정치 및 CFD 모델결과와의 비교 1005

〈그림 3.5.3.42〉 CFD 모델에 의한 시간에 따른 수온 약층의 변화 예측 1005

〈그림 3.5.3.43〉 H댐 지형도 및 해석단면 1006

〈그림 3.5.3.44〉 CFD 해석 영역 및 산기장치 배치 (위에서 본 모습) 1006

〈그림 3.5.3.45〉 CFD 해석 영역 및 산기장치 배치 (단면 방향 모습) 1006

〈그림 3.5.3.46〉 H댐 예상 수온 연직분포(화북댐 건설사업 환경영향평가서 초안, 2002) 1007

〈그림 3.5.3.47〉 B면 식수댐 지형도 및 폭기장치 배치도 1008

〈그림 3.5.3.48〉 B면 식수댐 CFD 해석영역 1008

〈그림 3.5.3.49〉 B면 식수댐 CFD 해석영역 (댐축 옆에서 본 그림) 1009

〈그림 3.5.3.50〉 B면 식수댐 CFD 해석영역의 격자 구성 1009

〈그림 3.5.3.51〉 B댐 CFD 해석시 초기 온도 조건 (높이에 따르는 온도변화) 1010

〈그림 3.5.3.52〉 저수지 단면 유속의 예측 분포 (폭기 2시간 후) 1011

〈그림 3.5.3.53〉 저수지 단면 유속의 예측 분포 (폭기 4시간 후) 1011

〈그림 3.5.3.54〉 저수지 단면 유속의 예측 분포 (폭기 8시간 후) 1011

〈그림 3.5.3.55〉 저수지 단면 유속의 예측 분포 (폭기 12시간 후) 1012

〈그림 3.5.3.56〉 저수지 단면 유속의 예측 분포 (폭기 24시간 후) 1012

〈그림 3.5.3.57〉 저수지 단면 유속의 예측 분포 (폭기 48시간 후) 1012

〈그림 3.5.3.58〉 저수지 단면 유속의 예측 분포 (폭기 72시간 후) 1012

〈그림 3.5.3.59〉 유속 0.00096m/s에 대한 등속도면 1013

〈그림 3.5.3.60〉 유속 0.00096m/s에 대한 등속도면(위에서 본 그림) 1014

〈그림 3.5.3.61〉 유속 0.00048m/s에 대한 등속도면 1014

〈그림 3.5.3.62〉 시간에 따르는 온도 분포 (측면도, 폭기전) 1014

〈그림 3.5.3.63〉 시간에 따르는 온도 분포 (측면도, 폭기 1시간 후) 1015

〈그림 3.5.3.64〉 시간에 따르는 온도 분포 (측면도, 폭기 3시간 후) 1015

〈그림 3.5.3.65〉 시간에 따르는 온도 분포 (측면도, 폭기 6시간 후) 1015

〈그림 3.5.3.66〉 시간에 따르는 온도 분포 (측면도, 폭기 10시간 후) 1015

〈그림 3.5.3.67〉 시간에 따르는 온도 분포 (측면도, 폭기 15시간 후) 1016

〈그림 3.5.3.68〉 시간에 따르는 온도 분포 (측면도, 폭기 20시간 후) 1016

〈그림 3.5.3.69〉 시간에 따르는 온도 분포 (측면도, 폭기 30시간 후) 1016

〈그림 3.5.3.70〉 시간에 따르는 온도 분포 (측면도, 폭기 40시간 후) 1016

〈그림 3.5.3.71〉 시간에 따르는 온도 분포 (측면도, 폭기 50시간 후) 1017

〈그림 3.5.3.72〉 시간에 따르는 온도 분포 (측면도, 폭기 72시간 후) 1017

〈그림 3.5.3.73〉 시간에 따르는 온도 분포 (깊이 5m, 폭기전) 1017

〈그림 3.5.3.74〉 시간에 따르는 온도 분포 (깊이 5m, 폭기 1시간 후) 1017

〈그림 3.5.3.75〉 시간에 따르는 온도 분포 (깊이 5m, 폭기 3시간 후) 1018

〈그림 3.5.3.76〉 시간에 따르는 온도 분포 (깊이 5m, 폭기 6시간 후) 1018

〈그림 3.5.3.77〉 시간에 따르는 온도 분포 (깊이 5m, 폭기 10시간 후) 1018

〈그림 3.5.3.78〉 시간에 따르는 온도 분포 (깊이 5m, 폭기 15시간 후) 1018

〈그림 3.5.3.79〉 시간에 따르는 온도 분포 (깊이 5m, 폭기 20시간 후) 1019

〈그림 3.5.3.80〉 시간에 따르는 온도 분포 (깊이 5m, 폭기 30시간 후) 1019

〈그림 3.5.3.81〉 시간에 따르는 온도 분포 (깊이 5m, 폭기 40시간 후) 1019

〈그림 3.5.3.82〉 시간에 따르는 온도 분포 (깊이 5m, 폭기 50시간 후) 1019

〈그림 3.5.3.83〉 시간에 따르는 온도 분포 (깊이 5m, 폭기 72시간 후) 1020

〈그림 3.5.3.84〉 시간에 따르는 온도분포 변화 (산기장치 직상부:x=500m, y=150m) 1020

〈그림 3.5.3.85〉 시간에 따르는 온도분포 변화 (외곽지역:x=100m, y=30m) 1021

〈그림 3.5.3.86〉 적용 면적 300,000m²에 대한 폭기장치의 배치도 (기존안, 17대 배치) 1022

〈그림 3.5.3.87〉 적용 면적 300,000m²에 대한 폭기장치의 배치도 (변경안, 20대 배치) 1022

〈그림 3.5.3.88〉 폭기 장치 배치에 따른 온도변화 (깊이 5m, 폭기 10시간 후) 1022

〈그림 3.5.3.89〉 폭기 장치 배치에 따른 온도변화 (깊이 5m, 폭기 15시간 후) 1023

〈그림 3.5.3.90〉 폭기 장치 배치에 따른 온도변화 (깊이 5m, 폭기 20시간 후) 1023

〈그림 3.5.3.91〉 변경설치안의 적용시 등속도면을 통한 영향반경 (위에서 본 그림) 1024

〈그림 3.5.3.92〉 시간에 따르는 온도 분포 (평면도, 폭기전) 1025

〈그림 3.5.3.93〉 시간에 따르는 온도 분포 (평면도, 폭기 1시간 후) 1025

〈그림 3.5.3.94〉 시간에 따르는 온도 분포 (평면도, 폭기 2시간 후) 1025

〈그림 3.5.3.95〉 시간에 따르는 온도 분포 (평면도, 폭기 4시간 후) 1026

〈그림 3.5.3.96〉 시간에 따르는 온도 분포 (평면도, 폭기 6시간 후) 1026

〈그림 3.5.3.97〉 시간에 따르는 온도 분포 (평면도, 폭기 18시간 후) 1026

〈그림 3.5.3.98〉 시간에 따르는 온도 분포 (측면도, 폭기전) 1027

〈그림 3.5.3.99〉 시간에 따르는 온도 분포 (측면도, 폭기 1시간 후) 1027

〈그림 3.5.3.100〉 시간에 따르는 온도 분포 (측면도, 폭기 2시간 후) 1027

〈그림 3.5.3.101〉 시간에 따르는 온도 분포 (측면도, 폭기 4시간 후) 1028

〈그림 3.5.3.102〉 시간에 따르는 온도 분포 (측면도, 폭기 6시간 후) 1028

〈그림 3.5.3.103〉 시간에 따르는 온도 분포 (측면도, 폭기 12시간 후) 1028

〈그림 3.5.3.104〉 시간에 따르는 온도 분포 (측면도, 폭기 18시간 후) 1029

〈그림 3.5.3.105〉 시간에 따르는 온도 분포 (정면도, 폭기전) 1029

〈그림 3.5.3.106〉 시간에 따르는 온도 분포 (정면도, 폭기 1시간 후) 1029

〈그림 3.5.3.107〉 시간에 따르는 온도 분포 (정면도, 폭기 4시간 후) 1030

〈그림 3.5.3.108〉 시간에 따르는 온도 분포 (정면도, 폭기 12시간 후) 1030

〈그림 3.5.3.109〉 수심별 온도변화 예측 위치 (4지점) 1030

〈그림 3.5.3.110〉 댐축 부근 수온변화 예측 (절대온도값) 1031

〈그림 3.5.3.111〉 집중 폭기지역 외곽 수온변화 예측 1031

〈그림 3.5.3.112〉 댐상류측 수온변화 1032

〈그림 3.5.3.113〉 댐하류측 수온변화 1032

〈그림 3.6.1.1〉 기상데이터 월간 생성주기 1033

〈그림 3.6.1.2〉 단기(RDAPS)예측자료 생산주기 1033

〈그림 3.6.1.3〉 강우 예측 데이터 산정과정 1035

〈그림 3.6.1.4〉 QPM 전송 모듈 1035

〈그림 3.6.1.5〉 유역유출 예측 모듈의 강우 예측 자료 입력 UI 1037

〈그림 3.6.2.1〉 시스템 main GUI 화면 1039

〈그림 3.6.2.2〉 수위단면자료입력UI 1039

〈그림 3.6.2.3〉 유랑측정성과입력화면 1039

〈그림 3.6.2.4〉 조도계수 산정화면 1039

〈그림 3.6.2.5〉 유랑산정결과화면 1039

〈그림 3.6.2.6〉 유량산정결과화면 1039

〈그림 3.6.3.1〉 연속 유출 모의 모형의 DB 연결 분석 1040

〈그림 3.6.3.2〉 유출모형의 DB 연동체계 1041

〈그림 3.6.3.3〉 RRFS 매개변수 보정화면 1041

〈그림 3.6.3.4〉 RRFS 입력자료 설정 및 모의결과 화면 1042

〈그림 3.6.3.5〉 통계적 기법을 이용한 월 유량 예측 1043

〈그림 3.6.3.6〉 ESP 확률 및 기상전망을 이용한 월유량예측 GUI 화면 1044

〈그림 3.6.3.7〉 ESP 확률 및 기상전망을 이용한 월유량 예측결과 및 전체 결과보기화면 1044

〈그림 3.6.3.8〉 댐 운영 모형의 DB 연결 분석 1045

〈그림 3.6.3.9〉 댐 운영 모형의 DB 연동체계 1045

〈그림 3.6.3.10〉 SSDP 메인 화면 1046

〈그림 3.6.3.11〉 SSDP-Hist/ESP 모의 화면 1046

〈그림 3.6.3.12〉 CoMOM 모형 입력자료 설정 화면 1047

〈그림 3.6.3.13〉 CoMOM 모의결과 화면 1048

〈그림 3.6.3.14〉 KORSIM 메인 화면 1048

〈그림 3.6.3.15〉 KORSIM 옵션 설정 화면 1049

〈그림 3.6.3.16〉 KORSIM 모의운영 결과 화면 1049

〈그림 3.6.3.17〉 수질예측 모형의 DB 연결분석 1050

〈그림 3.6.3.18〉 수질예측 모형의 DB 연동체계 1050

〈그림 3.6.3.19〉 QUAL2E 모형의 입력 및 결과 화면 1051

〈그림 3.6.3.20〉 인터페이스의 구축 체계 1052

〈그림 3.6.3.21〉 시스템 배경도 1052

〈그림 3.6.3.22〉 시스템의 최상위 흐름도 1053

〈그림 3.6.3.23〉 통합 시스템 메인 화면 구성 1054

〈그림 3.6.3.24〉 IRWMS 연계시스템 모식도 1055

〈그림 3.6.3.25〉 해석모형별 주요 GUI 1057

〈그림 3.6.4.1〉 범용 RRFS 모형 메인 프레임 1058

〈그림 3.6.4.2〉 QUAL2E 메인 화면 1060

〈그림 3.6.4.3〉 입력트리 뷰 1060

〈그림 3.6.4.4〉 출력트리뷰 1060

〈그림 3.6.4.5〉 수계의 모식화 화면 1061

〈그림 3.6.4.6〉 모델 수행 설정 및 초기조건 설정 화면 1062

〈그림 3.6.4.7〉 수리 및 수질계수 설정화면 1062

〈그림 3.6.4.8〉 모의 결과 확인 화면 1063

〈그림 3.6.4.9〉 모델 구성요소 및 적용절차 1064

〈그림 3.6.4.10〉 모델의 입출력 구조 1064

〈그림 3.6.4.11〉 KORIV1_PLUS 전체구성화면 1065

〈그림 3.6.4.12〉 수리모듈 구성화면 1066

〈그림 3.6.4.13〉 수질모듈 구성화면 1066

〈그림 3.6.5.1〉 탁수감시 시스템 구성도 1067

〈그림 3.6.5.2〉 데이터베이스 연계 구성도 1067

〈그림 3.6.5.3〉 RT300 서버 수신 GUI 1068

〈그림 3.6.5.4〉 데이터 수신 형식 1068

〈그림 3.6.5.5〉 탁수모니터링 시스템 웹페이지 1069

〈그림 3.6.5.6〉 실시간 모니터링(지점 정보) 1070

〈그림 3.6.5.7〉 실시간 모니터링(자료 조회) 1070

〈그림 3.6.5.8〉 입력 데이터(Flow Data) 1070

〈그림 3.6.5.9〉 입력 데이터설정(DMR) 1071

〈그림 3.6.5.10〉 입력 데이터(QLM) 1071

〈그림 3.6.5.11〉 수질 모의 결과 1071

〈그림 3.6.5.12〉 지점 목록 1072

〈그림 3.6.5.13〉 모의 자료 불러오기 1072

〈그림 3.6.5.14〉 모니터링 자료 업데이트 1073

〈그림 3.6.5.15〉 기상자료 테이블 1073

〈그림 3.6.6.1〉 해석모형과 GIS 연계 1074

〈그림 3.6.6.2〉 Windows기반의 MRWMS 운영 1074

〈그림 5.1.1〉 수계 통합 실시간 물관리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구성도 1082

〈그림 6.1.1〉 VfloTM 모형을 이용한 하도의 구성과 주요관측지점 위치 1084

〈그림 6.1.2〉 용담댐 유역에서의 적용 사례 1086

〈그림 6.2.1〉 MODSIM과 노드와 MODFLOW 셀의 연결 1089

〈그림 6.2.2〉 SDSS의 구조와 화면구성 1090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T000019063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이용불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