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1)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크로이츠펠트-야곱병 등 인수공통감염증의 현황분석 및 관리정책 개발 / 질병관리본부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질병관리본부, 2005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내용구분
연구자료
출처
외부기관 원문
면수
432
제어번호
MONO1200721938
주기사항
주관연구기관 : 고려대학교
주관연구책임자 : 박승철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문 3

[총괄] 13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4

2 연구 목표 14

3. 연구수행체계 15

4. 연구내용 15

5.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17

[ 제 1 세부 연구과제 ] 인수공통감염증의 종합관리정책 개발 19

1.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 20

1.1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목표 20

2.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대상 및 방법 20

2/1.1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구성 20

2/1.2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내용 21

2/1.3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방법 22

3.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결과 23

3.1. 인수공통전염병의 개괄 23

3.2 국내 주요 인수공통전염병의 현황 및 역학적 특성 요약 32

3.3 국내 주요 인수공통전염병의 관리 정책 개발 및 연구성과 40

4. 참고문헌 51

[ 제 2 세부 연구과제] 탄저, 부르셀라 현황 및 관리정책개발 52

1. 제2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 53

1.1. 제2세부연구개발과제의 목표 53

1.2. 제2세부연구개발과제의 목표 달성도 53

2. 제2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대상 및 방법 54

2.1. 탄저병 54

2.2. 브루셀라 55

3. 제2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결과 56

3.1. 탄저병 56

3.2. 브루셀라증 99

4. 제2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139

4.1. 탄저 139

4.2. 브루셀라증 140

5. 제2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 성과 142

6. 참고문헌 143

6.1. 탄저병 143

6.2. 브루셀라증 147

부록 151

부록 1 경상북도에서 발생한 브루셀라증 환자 역학조사 보고서(2003년과 2004년 보고된 사례) 152

부록 2 일부 농촌 지역주민의 브루셀라증 인지도 조사 168

[ 제 3 세부 연구과제] 장출혈성대장균 감염증 현황 및 관리정책개발 186

1. 제3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 187

1.1 제3세부연구개발과제의 목표 187

1.2. 제3세부연구개발과제의 목표달성도 188

2. 제3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대상 및 방법 189

2.1. 연구 내용 및 방법 189

2.2 연구수행체계 189

3. 제3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 결과 192

3.1.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의 일반적 특성 192

3.2.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의 현황 195

4. 제3세부과제 결론 및 제언 - 우리나라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관리를 위한 대응과 대비를 위한 제안 231

4.1. 진단 검사 표준화 및 개선을 위한 연구 240

5./4. 참고 문헌 243

[ 제 4 세부 연구과제] 공수병 현황 및 관리정책개발 245

1. 제4세부 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 246

1.1 제4세부 연구개발과제의 목표 246

1.2. 제4세부연구개발과제의 목표달성도 249

2. 제4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대상 및 방법 250

3. 제4세부 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결과 251

4. 제4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309

5. 제4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311

6. 참고문헌 312

[ 제 5 세부 연구과제] 일본뇌염 현황 및 관리정책개발 315

1. 제5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 316

1.1 제5세부연구개발과제의 목표 316

1.2. 제5세부연구개발과제의 목표달성도 316

2. 제5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대상 및 방법 317

2.1 연구 대상 317

2.2 연구방법 317

3. 제5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결과 317

3.1 일본뇌염(Japanese Encephalitis)의 역학 317

3.2 일본뇌염의 관리 335

4. 제5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339

5. 제5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339

6. 참고문헌 339

[ 제 6 세부 연구과제] CJD, vCJD 현황 및 관리정책 개발 342

1. 제 6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 343

1.1 제6세부연구개발과제의 목표 343

1.2 제 6 세부연구개발과제의 목표달성도 346

2. 제 6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대상 및 방법 348

2.1 국내 CJD 발병환자수의 현황파악 및 방법 348

3. 제 6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결과 349

3.1 국내 CJD 환자 연도별 발병수 349

3.2 국내 동물 전염성 해면상 뇌병증 검사 현황 349

3.3 국내 동물의 전염성 해면상 뇌병증 발병 현황 350

3.4 국내 CJD 환자와 직업 연관성 조사 351

3.5 국내외 CJD 환자와 PRNP 유전자 다형성 관계 352

3.6 국내 CJD 신고 현황과 특징 354

3.7 BSE 발병국가와 출입국 현황 354

4. 제 6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356

5. 제 6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358

5.1 1997년 이후 조사된 국내 CJD 및 유사환자 현황 358

5.2 국내에서 검사된 동물의 전염성 해면상 뇌병증 358

5.3 BSE 국가와 장기체류자 및 출입국자 현황 359

5.4 인수공통전염병인 전염성 해면상 뇌병증의 관리정책 359

6. 참고문헌 371

[ 제 7 세부 연구과제] 인플루엔자/조류인플루엔자 현황 및 관리정책 개발 373

1. 제7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 374

1.1 제7세부연구개발과제의 목표 374

1.2. 제7세부연구개발과제의 목표달성도 375

2. 제7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대상 및 방법 375

2/1.1. 연구대상 및 내용 375

2.2. 연구 방법 376

3. 제7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결과 378

3.1 인플루엔자/조류인플루엔자의 특성 378

3.2 인플루엔자/조류인플루엔자 발생현황 및 역학적 특성 파악 396

3.3 범유행 대비 신종 전염병으로서 조류인플루엔자의 최근 유행 역학 417

4. 제7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424

4.1 인플루엔자관리/조류 인플루엔자 관리 정책개발 424

4.2 인플루엔자관리/조류 인플루엔자 정책 및 연구 우선 순위 428

5. 제7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430

6. 참고문헌 431

표 1-1. 인수공통전염병의 병원체에 따른 분류 24

표 1-2. 1973년부터 2003년까지 새로 발견된 신종 전염병들 29

표 1-3/2. 가축숙주의 주요 인수공통전염병들 31

표 1-4/3. 인수공통전염병의 위험군의 분류 32

표 1-5/4. 최근 10년간 탄저의 가축 및 사람에서의 발생현황 32

표 1-6/5. 최근 10년간 부르셀라증 가축 및 사람에서의 발생현황 33

표 1-7/6. 최근 10년간 장출혈성대장균 감염증 가축 및 사람에서의 발생현황 34

표 1-8/7. 최근 10년간 공수병(광견병)의 가축 및 사람에서의 발생현황 36

표 1-9/8. 최근 10년간 일본뇌염의 가축 및 사람에서의 발생현황 37

표 1-10/9. 최근 10년간 CJD관련 질환의 가축 및 사람에서의 발생현황 38

표 1-11/10. 최근 10년간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의 가축 및 사람에서의 발생현황 39

표 1-12/11. 최근 2년간 저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의 가금류 발생현황 39

표 1-13/12. 인수공통전염병의 관리와 예방의 일반적 원칙 41

표 2-1. 탄저병의 발생기전 및 관여인자(Inglesby et al., 1999) 57

표 2-2. 국내 소(牛) 탄저병의 연도별 발생 현황(1907-2004) 66

표 2-3. 탄저병 연도별 발생 현황(1952년-2004년) 70

표 2-4. 세계적인 탄저균 생물무기 사용례 72

표 2-5. 2001년 미국 탄저병 환자의 역학적 특성 74

표 2-6. 2001년 미국에서 발생한 흡입 탄저병의 치료 지침(CDC, 2001b) 75

표 2-7. 2001년 미국에서 발생한 피부 탄저병의 치료 지침(CDC, 2001b) 76

표 2-8. 2001년 미국에서 발생한 탄저병의 예방 지침(CDC, 2001a) 76

표 2-9. 실험실 중심의 환례 정의(WHO, 2003) 77

표 2-10. B. anthracis와 비병원성 간균종의 특성 비교(수의전염병학교수협의회, 2002) 79

표 2-11. B. anthracis 진단법의 장ㆍ단점 비교(WHO, 2003) 80

표 2-12. 흡입 탄저병에 대한 선별검사의 비교(Howell et al., 2004) 81

표 2-13. 흡입 탄저병의 치료(질병관리본부, 2005) 87

표 2-14. 탄저병의 예방(질병관리본부, 2005) 87

표 2-15. 국제 수역사무국(OIE)의 가축질병 분류 목록(2005) 99

표 2-16. 브루셀라균 및 숙주 100

표 2-17. Brucella species의 특성 및 병원성 101

표 2-18. 사람 브루셀라증의 임상적 특성 108

표 2-19. 사람 브루셀라증의 장기별 증상 108

표 2-20. 국내 브루셀라증 환자의 임상증상(2002년 1월 ~ 2003년 12월, N=17) 109

표 2-21. 아시아 지역의 동물 브루셀라증,1994 111

표 2-22. 소 브루셀라증 박멸 국가, 1994 111

표 2-23. 국내 소(牛) 브루셀라증의 연도별 발생 현황(1955-2004) 113

표 2-24. 국내 소 브루셀라증의 연도별 시ㆍ도별 발생 현황(2000-2004) 115

표 2-25. 연도별 브루셀라 혈청응집검사 양성률(1956-1990) 115

표 2-26. 혈액배양 및 혈청검사와 PCR의 비교(Nimri, 2003) 122

표 2-27. 브루셀라증 진단법의 민감도 및 특이도(Araj et al., 1986) 122

표 2-28. 브루셀라증의 치료(Adapted Sauret & Vilissova, 2002) 126

표 2-29. 브루셀라 백신의 종류 129

부록 표 1. 경상북도 소 브루셀라 발생 현황 (두) 154

부록 표 2. 2004년까지 사람 브루셀라증 발생 현황 156

부록 표 3. 지역별 성별 분포 170

부록 표 4. 지역별 연령별 분포 170

부록 표 5. 지역별 소 사육 관련 일 종사 유무별 분포 171

부록 표 6. ‘브루셀라증에 대하여 들어본 적이 있거나 알고 있는가?’에 대한 응답 결과 172

부록 표 7. ‘소 브루셀라증이 사람에게도 감염된다는 사실을 알고 있습니까?’에 대한 응답 173

부록 표 8. ‘여자에서 브루셀라증 감염 시 유산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습니까?’에 대한 응답 결과 174

부록 표 9. ‘소 브루셀라 예방에 대한 교육이나 홍보 책자를 받은 적이 있습니까?’에 대한 응답 175

부록 표 10. ‘최근 축산가에서 발생하는 소 브루셀라증은 어떤 상태라고 생각하십니까?’에 대한 응답 결과 176

부록 표 11. ‘최근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사람 브루셀라증은 어떤 상태라고 생각하십니까?’에 대한 응답 결과 177

부록 표 12. ‘소를 다루는 중에 브루셀라에 감염되어 살처분 된 소가 있었습니까?’에 대한 응답 결과 178

부록 표 13. ‘소 분만시 직접 분만을 받습니까?’에 대한 응답 결과 178

부록 표 14. ‘키우는 암소에서 유산되거나 미숙한 송아지로 태어난 적이 있습니까?’에 대한 응답 결과 179

부록 표 15. ‘그러한 암소의 유산물이나 미숙 송아지를 맨손으로 직접 만졌습니까?’에 대한 응답 결과 180

부록 표 16. ‘2004년(올해) 콧물이나 인후통 없이 고열이나 근육통(몸살)이 발생한 적이 있습니까?’에 대한 응답 결과 180

부록 표 17. ‘그러한 증상이 있었다면 그 증상이 브루셀라증이라고 생각하였습니까?’에 대한 응답 결과 181

부록 표 18. ‘소 브루셀라증이 발생하면 나라에서 보상해 준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까?’에 대한 응답 결과 182

부록 표 19. ‘자신의 소가 유산한다면 가축위생시험소에 브루셀라 검사 신고를 하겠습니까?’에 대한 응답 결과 183

부록 표 20. ‘신고를 안하겠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에 대한 응답 결과 183

표 3-1. 연구원 구성과 역할 190

표 3-2. 자문위원 명단 191

표 3-3. 독성기전에 따른 병원성대장균의 분류 194

표 3-4. FoodNet 운영 지역의 E coli O157:H7과 용혈성 요독증의 발생률 비교 197

표 3-5. 유럽 15개 국가의 EHEC 감염증과 용혈성 요독증 감시체계 현황 (1997년) 200

표 3-6. 유럽 10개 국가의 EHEC 감염 발생률 201

표 3-7. 20명 이상 EHEC 감염자가 보고된 유럽 몇 나라의 연도별 발생 추이(1992-1996) 201

표 3-8. 2001년도와 2002년도 일본에서 분리된 EHEC 분리균수의 독소 형과 혈청형 203

표 3-9. 동물에서 분리된 쉬가독소 생성 대장균의 외국 현황 204

표 3-10. 동물에서 분리된 쉬가독소 생성 대장균의 특징 (외국 현황) 206

표 3-11. 소에서 분리된 쉬가독소 생성 대장균의 특징 (현황) 206

표 3-12. 소에서 분리된 쉬가독소 생성 대장균의 특징 (스페인) 207

표 3-13. 송아지에서 분리된 쉬가독소 생성 대장균의 특징 (스페인) 208

표 3-14. 소에서 분리된 쉬가독소 생성 대장균의 특징 (아르헨티나) 208

표 3-15. 동물의 분변 및 식육중 장출혈성대장균 O157:H7 검사결과 209

표 3-16. 미국 도축장에서의 식육중 장출혈성대장균 O157 오염현황 210

표 3-17. 미국 축산물가공품에서의 장출혈성대장균 O157 오염현황 210

표 3-18. 미국 축산식품에서의 위해검출에 의한 회수 현황(FSIS) 210

표 3-19. 우리나라 EHEC의 지역별 발생 분포 211

표 3-20. 우리나라에서 분리된 EHEC 균주의 혈청형 연도별 분포 213

표 3-21. 우리나라에서 분리된 EHEC 균주의 혈청형 지역별 분포 214

표 3-22. 장출혈성대장균(추정포함) 발생현황(1998-2000) 215

표 3-23. 섭취 식단 분석 결과와 식자재 공급 현황 219

표 3-24 분리된 EHEC 균주의 verotoxin type과 혈청형, PFGE 형 220

표 3-25. virulences genes 연구에사용된 Primer sequence 221

표 3-26. PCR의 running condition 222

표 3-27/26. 동물 분변에서 분리한 대장균 혈청형(2002-2003, 국립수의과학검역원) 223

표 3-28/27. 국내 동물 분변에서의 STEC 분리 병원체 특성(2002-2003, 국립수의과학검역원) 224

표 3-29/28. 동물 분변에서 분리한 대장균 STEC 분리율(2004,국립수의과학검역원) 226

표 3-30/29. 동물분변에서 분리한 대장균 STEC의 특성(2002-2004, 국립수의과학검역원) 226

표 3-31/30. 쇠고기로부터 장출혈성대장균 O157:H7 검사결과 227

표 3-32/31. 돼지고기로부터 장출혈성대장균 O157:H7 검사결과 228

표 3-33/32. 도축장 미생물 모니터링 검사결과 (2004년) 228

표 3-34/33. 도축장 미생물 모니터링 검사결과 (2003) 228

표 3-35/34. 수입축산물가공품에 대한 정밀검사결과 229

표 3-36/35. 우리나라 축산물가공품에 대한 수거검사 결과 229

표 3-37/36. 유통식품 중 장출혈성대장균 O157:H7 검출현황 230

표 3-38/37. 유통식육 중 장출혈성대장균 O157:H7 검출현황 230

표 3-39/38. 환자 발견 시 기관별 역할 233

표 3-40/39. 세계보건기구의 환례정의(유행 역학조사시) 237

표 4-1. Lyssavirus genus : rabies virus and rabies-related virus 252

표 4-2. List of rabies strain isolate in South Korea employed for genetic analysis 254

표 4-3. Animal susceptibility to rabies virus 259

표 4-4. Reported human rabies cases by non-bite exposure 261

표 4-5. Human cases of rabies caused by bat variants, 1990-2000. USA 262

표 4-6. Recovery cases from rabies 265

표 4-7. Clinical stages of rabies 267

표 4-8. Human rabies vaccine recommended by WHO 269

표 4-9. Rabies pre-exposure prophylaxis guide in USA 271

표 4-10. WHO guideline for post-exposure treatment 273

표 4-11. Rabies post-exposure prophylaxis guide in USA 274

표 4-12. Rabies post-exposure prophylaxis schedule in USA 275

표 4-13. Number of rabid animals occurred from 1907 to 1939 285

표 4-14. Regional distribution of rabid animals occurred from 1917 to 1939 285

표 4-15. Rabies outbreak among different animal species from 1930 to 1938 285

표 4-16. Number of rabid animals occurred from 1950 to 1992 286

표 4-17. Regional distribution of rabid animals occurred from 1953 to 1984 287

표 4-18. Number of rabid animal from 1993 to 2004 287

표 4-19. Result of rabies test of the wild animals captured or collected in Kyonggi and Kangwon provinces in korea from Dec. 1998 to Nov. 2001 289

표 4-20. Monthly distribution of rabid animals. 290

표 4-21. Discovered location of rabid animals. 291

표 4-22. Human rabies cases since 1999 in Korea 297

표 4-23. Circulation amount of vaccine for human and rabies immunoglobulin in 2004 303

표 4-24. Endemic area of animal rabies in Korea 304

표 4-25. Criteria for reporting of human rabies 305

표 4-26. Target amount of parenteral rabies vaccination 306

표 4-27. Rabies Antibody positive rate among cow and dogs (항체양성율, %) 307

표 4-28. Amount of applying rabies bait vaccine 307

표 5-1. 여러 연구에서 보고하고 있는 임상적 증상의 분포 318

표 5-2. 국가별 지역별, 계절별 일본뇌염 발생위험 323

표 5-3. 2004년 돼지일본뇌염 혈청검사 실적 330

표 5-4. 국내분리 일본뇌염 바이러스와 표준주와의 핵산 및 아미노산의 상동성 비교 332

표 6-1. vCJD 발병 현황 344

표 6-2. 자료원 348

표 6-3. BSE 국내 검사현황 350

표 6-4. 국내 CWD 발병현황 351

표 6-5. 국내 CJD 환자의 직업별 분포도 352

표 6-6. 국내외 CJD 환자와 PRNP 유전자 다형성 관계 354

표 6-7. 2003년도 해외 및 BSE 발병국과 출입국자 현황 355

표 6-8. 최근 8년간 CJD 의뢰 및 진단현황 358

표 6-9. 기관별 역할 363

표 7-1. 인플루엔자의 진단 방법 비교 384

표 7-2.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한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의 경제적 효과 391

표 7-3. 홍콩에서 추계된 인플루엔자 관련 비용결과 [내용누락] 393

표 7-4. 홍콩에서 시뮬레이션 결과로 예측한 인플루엔자 접종대상에 따른 비용효과 [내용누락] 393

표 7-5. 연도별 인플루엔자와 폐렴, COPD 사망자 수 399

표 7-6. 연령별 인플루엔자, 폐렴, COPD 사망자 수의 분포 399

표 7-7. 인플루엔자바이러스 분리현황 403

표 7-8. 2003-2004절기 주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분리 현황 405

표 7-9. 시도별 주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분리 현황, 2003-2004절기 406

표 7-10. 지역별 HPAI 신고 및 정밀검사 결과 408

표 7-11. 발생건수 및 도축두수 410

표 7-12. 오리농장에 대한 HPAI 혈청검사 결과 411

표 7-13. 종오리농장에 대한 HPAI에 대한 정밀검사 결과 412

표 7-14. 철새도래지의 철새 분변으로부터 AIV 분리 동정 결과 412

표 7-15. 발생농장 인근 야생조류(텃새)에서의 바이러스 및 혈청검사 결과 413

표 7-16. 발생농장 처리 분변내 AIV 바이러스 생존성 검사(재입식 전) 414

표 7-17. 시ㆍ도별 철새도래지 조류인플루엔자 검사 결과(‘04.10.1~’05.2.19) 416

표 7-18. 국가별 조류독감의 유행과 환자 수 및 사망자 수 (2005년 현재) 418

표 7-19. 1997년 H5N1 유행시 중증도별 감염자의 특성 비교 [내용누락] 419

표 7-20. 2004년 3월까지 확진된 베트남 환자 10명의 임상소견과 검사소견 요약 [내용누락] 420

표 7-21. 2004년 8월까지 발생한 H5와 H7 바이러스에 의해서 발생한 LPAI, HPAI 유행사례 [내용누락] 422

표 7-22. 2004년 8월까지 발생한 HPAI H5N1 유행사례 [내용누락] 422

그림. 연구조직표 15

그림 1-1. 신종 전염병의 출현 메카니즘(출처: 참고문헌 7) 30

그림 2-1. 탄저병의 발생기전(Inglesby et al., 1999) 58

그림 2-2. 동물 및 사람에서의 탄저병 발생 분포(WHOCC, 2005) 64

그림 2-3. 국내 소(牛) 탄저병의 연도별 발생 현황(1907-2004) 66

그림 2-4. Mayer 등에 의한 개정 후 선별검사 프로토콜(Howell et al., 2004) 82

그림 2-5. 흡입 탄저병의 가능성이 있는 사람들에 대한 임상적 평가 지침 83

그림 2-6. 피부탄저의 가능성이 있는 사람들에 대한 임상적 평가 지침 84

그림 2-7. 탄저균의 전파(child and strickland, 2000) 89

그림 2-8. 브루셀라균의 인체감염[Adapted from Alton & Forsyth(2005)] 100

그림 2-9. 미국의 브루셀라증 환자 발생 현황(CDC, 2004) 112

그림 2-10. 국내 소(牛) 브루셀라증의 연도별 발생 현황(1955-2004) 114

그림 2-11. 브루셀라증의 진단(Alton & Forsyth, 2005) 121

그림 2-12. 브루셀라균의 전파(B. abortus) 124

그림 2-14. 브루셀라균의 전파(B. suis) 125

그림 2-14. 브루셀라균의 전파(B. melitensis) 125

그림 2-15. 외국의 소 브루셀라증 방역 대책 131

그림 2-16. 미국의 소 브루셀라 박멸 프로그램(USDA, 2005) 132

부록 그림 1. 경상북도 브루셀라증 환자 발생 현황 155

부록 그림 2/1. 울진군 북면 및 포항시 기계면의 지리적 위치 169

그림 3-1. 연구 수행 체계 190

그림 3-2. 장출혈대장균 감염증의 병원소와 전파 경로 195

그림 3-3. 미국의 EHEC 발생 추이 (1994-2001) 198

그림 3-4. 미국의 월별 EHEC 발생 양상 198

그림 3-5. 미국의 연령별 EHEC와 HUS 발생 양상 199

그림 3-6. 일본의 VTEC 분리주의 보고 현황 (1991-2005) 202

그림 3-7. EHEC의 연령별 분포 212

그림 8. EHEC의 계절별 분포 212

그림 3-9. 추정 감염 경로 모식도 217

그림 3-10. 장출혈성대장균증 사례의 날짜별 발생 분포 218

그림 3-11. 장출혈성대장균증 발생 지역(경기도) [내용누락] 218

그림 3-12. EHEC 균주의 chromosomal DNA에 대한 Mutiplex PCR 분석. 222

그림 3-13. 설사 후 용혈성 요독증후군 환자 내원 시 신고 체계 흐름도 232

그림 3-14. 혈변환자 내원시 업무 흐름도 232

그림 3-15. 장출혈성대장균 감시체계 요약 236

그림 4- 1. 연구 흐름도 249

그림 4-2. Global distribution of lyssaviruses 253

그림 4-3. Map of South Korea show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places where rabies strains 254

그림 4-4. Maximum likelihood phylogenetic trees showing the relationships among 59 nucleoprotein(N) isolates of lyssavirus. The phylogenetic tree was constructed from the complete N coding sequences of rabies virus (genotype 1) except other genotypes lyssa 255

그림 4-5. Maximum likelihood phylogenetic radial tree showing the relationships among 37 glycoprotein (G) isolates of lyssavirus. 256

그림 4-6. Maximum likelihood phylogenetic radial trees showing the relationships among Korean isolates of rabiesvirus. 257

그림 4-7. Maximum likelihood phylogenetic radial trees showing the relationships among Korean isolates of rabies virus. 258

그림 4-8. KCDC recommendation on post-exposure treatment for person bit by pet or livestock in rabies endemic area 276

그림 4-9. KCDC recommendation on post-exposure treatment for person bit by pet or livestock in rabies non-endemic area 277

그림 4-10. KCDC recommendation on post-exposure treatment for person bit by wildlife 278

그림 4-11. Rabies vaccination regimens for previously unvaccinated person 279

그림 4-12. Numbers of human, dog, and wild animal rabies in USA from 1938 to 1992 283

그림 4-13. Number of human rabies death in USA(1960-2000) attributed from indigenous domestic dogs, other terrestrial mammals, bats, or unknown sources. 283

그림 4-14. Reported areas of rabid animal in Korea 288

그림 4-15. Regional distribution of rabid animals occurred from 1993 to 2004 288

그림 4-16. Seasonal distribution of rabid animals occurred from 2001 to 2004 290

그림 4-17. Spatial distribution of rabid animals occurred from 1993 to 2004 291

그림 4-18. Spatial distribution of rabid animals according to year 295

그림 4-19. Number of human and animal rabies since 1962 296

그림 4-20. Field application spots of oral rabies vaccine and rabies endemic area 308

그림 5-1 플라비바이러스과 바이러스의 형태 319

그림 5-2. 일본뇌염바이러스 혈청군 중 하나인 나일서부바이러스의 구조 319

그림 5-3. 알을 낳고 있는 집모기(Culex) 320

그림 5-5. 일본뇌염 발생지역 321

그림 5-6. 연도별 국가별 일본뇌염 발생건수(중국은 10을 곱할것) 322

그림 5-7. 우리나라에서 일본뇌염환자수와 접종된 일본뇌염백신의 양 1936-1998 326

그림 5-8. 우리나라에서 지역별 일본뇌염발생률(10만명당) 1949-1998. 327

그림 5-9. 2001년 돼지 일본뇌염에 대한 월별 항체가 양성률 329

그림 5-10. Nucleotide sequence alignment of the variable region in the 3' non- translated region(NTR) of 22 available JEV strains including KV1899 sequenced in this study. 332

그림 5-11. Phylogenetic tree constructed with the E genes of 41 JEV strains isolated from different geographical regions worldwide at different time periods. 333

그림 6-1. 국내 CJD 환자의 신경병리학적 관찰. (A) 해면상 변화.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 (B) 신경교세포에서 관찰되는 병원성 프리온 단백(PrPSc). 353

그림 6-2. 국내 CJD 환자의 뇌조직에서PrPSc의 웨스턴 블럿 분석. 1, 3 lane: 단백분해효소 K 처리하지 않음. 2, 4 lane: 단백분해효소 K 처리함. 353

그림 6-3. 국내 CJD 환자의 뇌척수액에서 14-3-3 단백의 웨스턴 블럿 분석. 1lane: 마우스의 뇌조직(양성 대조군).2, 3 lane: 국내 환자들의 뇌척수액 353

그림 6-4. 국내 CJD 환자의 혈액으로부터 프리온 유전자 129번 코돈의 DNA염기서열 분석 353

그림 6-5. 표본감시체계의 신고 및 결과 흐름도 [내용누락] 362

그림 1. 연구의 삼위일체 접근체계 [내용누락] 377

그림 7-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전자현미경 사진. [내용누락] 380

그림 7-2.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구조 381

그림 7-3.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자연숙주별 H와 N의 분포 [내용누락] 382

그림 7-4. 우리나라 발생 H5N1형 HPAI에 의한 숙주에 따른 병원성 차이 386

그림 7-5. 선위 출혈, 십이지장 출혈, 난포 파열 및 벼슬의 청색증 387

그림 7-6. 소아에서 예방접종률에 따른 입원과 사망의 변화예측 연구 [내용누락] 392

그림 7-7. 인플루엔자 질병의 비용구조(독일의 연구 사례) 395

그림 7-8. 연령별 인플루엔자 발생률 [내용누락] 397

그림 7-9. 연령별 인플루엔자로 인한 입원률 [내용누락] 397

그림 7-10. 연령별 인플루엔자 사망률 [내용누락] 398

그림 7-11. 1997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주간 폐렴 및 인플루엔자 사망의 비교 399

그림 7-12. 인플루엔자 감시자료(실선)와 인플루엔자 사망자료의 비교(점선) 400

그림 7-13. 1997년 10월-2001년 12월까지 인플루엔자 감시자료(PROP)와 페렴 혹은 인플루엔자로 사망한 자료(FP)의 비교 401

그림 7-14. 인플루엔자의사환자 주간발생 천분률, 2004-2005절기 401

그림 7-15. 인플루엔자의사환자 일일보고 백분률, 2004-2005절기 402

그림 7-16. 주별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발생분율 및 바이러스 분리현황, 2000-2004 403

그림 7-17. 주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분리 현황, 2003-2004절기 404

그림 7-18.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분리현황, 2004-2005절기 407

그림 7-19. 우리나라 일자별 HAPI 발생상황 [내용누락] 408

그림 7-20. 우리나라 HPAI 발생지도 [내용누락] 409

그림 7-21. 2004년 태국의 사람간 전파 확인 사례 421

그림 7-22. 1996-2004년 까지 분리된 H5N1의 유전계통도 [내용누락] 423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