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 일반환경 조사 및 평가 보고서. 2006년보 /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환경구조연구소 환경평가그룹 저 ; 인기도
발행사항
[대전] :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환경구조연구소 환경평가그룹 : 2007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자료실
해당자료 없음
형태사항
vii, 395 p. : 도표, 지도 ; 27 cm
총서사항
전력연 ; 단0256(2007)
제어번호
MONO1200726934
주기사항
Technical report
제출처: 한국수력원자력
연구책임자: 박석순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요약

목차

제1장 서론 10

제2장 원자력 발전소 주변의 일반환경 조사방법 14

1. 해양 물리학적 조사 16

2. 해양 수질 및 퇴적물 조사 18

3. 해양생물 조사 21

가. 식물플랑크톤 21

나. 동물플랑크톤 22

다. 해조류 23

라. 해양 저서동물 24

마. 어류 25

4. 육상 생태계 조사 26

제3장 결과 및 고찰 36

1. 해양물리학적 특성 38

2. 해양 수질 및 퇴적물 85

가. 해양 수질 85

나. 해양 퇴적물 99

3. 플랑크톤 122

가. 식물플랑크톤 122

나. 동물플랑크톤 136

4. 해조류 158

5. 해양 저서동물 169

6. 어류 194

7. 육상 생태계 234

가. 육상식물 234

나. 조류 264

참고문헌 299

부록 304

Worksheet(한글)

Worksheet(영문)

배부처

표 2.1. 원전 주변 조사시 사용된 주요 해양 물리 장비 17

표 2.2. 2006년 월성 원전 주변 일반환경 조사기간 중의 조석현황 17

표 2.3. 월성 원자력 발전소 주변해역의 수질 및 저질, 플랑크톤 그리고 저서동물의 조사정점 위치 30

표 2.4. 월성 원자력 발전소 주변 환경조사 일정(2006년도) 30

표 1.1.1. 월성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유속·유향 분포(동계) 43

표 1.1.2. 월성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유속·유향 분포(춘계) 44

표 1.1.3. 월성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유속·유향 분포(하계) 45

표 1.1.4. 월성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유속·유향 분포(추계) 46

표 1.1.5. 월성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표층수온·염분 관측위치와 값 (200. 1. 24 동계, 창조시) 47

표 1.1.6. 월성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표층수온·염분 관측위치와 값 (2006. 5. 16 춘계, 창조시) 50

표 1.1.7. 월성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표층수온·염분 관측위치와 값 (2006. 7. 25 하계, 낙조시) 53

표 1.1.8. 월성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표층수온·염분 관측위치와 값 (2006. 10. 31 추계, 낙조시) 56

표 1.1.9. 월성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수심별 수온 및 염분(동계) 59

표 1.1.10. 월성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수심별 수온 및 염분(춘계) 60

표 1.1.11. 월성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수심별 수온 및 염분(하계) 61

표 2.1.1. 수온의 계절별 변화 88

표 2.1.2. 투명도의 계절별 변화 88

표 2.1.3. pH, DO 및 COD의 계절별 농도 변화 89

표 2.1.4. SS, SiO₂-Si 및 PO₄³-(이미지참조)-P의 계절별 농도 변화 90

표 2.1.5. NO₂--N, NO₃--N 및 NH₄+-N의 계절별 농도(이미지참조) 91

표 2.1.6. Total-N, 잔류염소 및 B의 계절별 농도 변화 92

표 2.1.7. Fe, Cr 및 Cu의 계절별 농도 변화 93

표 2.1.8. TOC의 계절별 농도 변화 94

표 2.1.9. 수소이온 농도(pH)의 연도별 변동 95

표 2.1.10. 용존산소(DO)의 연도별 변동 95

표 2.1.11.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의 연도별 변동 95

표 2.1.12. 부유물질(SS)의 연도별 변동 96

표 2.1.13. 총 질소(Total -N)의 연도별 변동 96

표 2.1.14. 인산염 인(PO₄³--P(이미지참조))의 연도별 변동 96

표 2,1,15. 규산염 규소(SiO₂-Si)의 연도별 변동 97

표 2.1.16. 붕소(B)의 연도별 변동 97

표 2.1.17. 철(Fe)의 연도별 변동 97

표 2.1.18. 6가 크롬(Cr6+(이미지참조))의 연도별 변동 98

표 2.1.19. 구리(Cu)의 연도별 변동 98

표 2.2.1. 월성원전 주변해역 해양퇴적물의 계절별 입도분석 자료 102

표 2.2.2. 월성원전 주변해역 해양퇴적물의 계절별 원소분석 자료 103

표 2.2.3. 월성원전 주변해역 퇴적물의 금속원소 함량과 다른 지역 금속원소 함량과의 비교 104

표 3.1.1.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식물플랑크톤의 우점종 분포 현황 (1986~ 2006). 125

표 3.2.1. 월성 원자력발전소 주변 해역에서의 계절별, 조사 정점별 동물 플랑크톤 출현량 139

표 3.2.2. 월성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의 계절별 취수구, 배수구, 대조구의 동물플랑크톤 현량의 변화 139

표 3.2.3. 월성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의 동물플랑크톤 우점종의 계절 변화 및 출현비율(최대출현정점) 140

표 3.2.4. 월성 원자력발전소 주변 해역에서 연도별 동물플랑크톤 우점종 변화 단, 괄호 안은 단위체적당 출현량 구성비율(%) 141

표 3.2.5. 월성 원자력발전소 주변 해역에서 연도별 동물플랑크톤 평균 출현량의 변화 145

표 3.2.6. 월성 원자력발전소 냉각수 사용에 따른 동물플랑크톤 사망률(동계) 146

표 3.2.7. 월성 원자력발전소 냉각수 사용에 따른 동물플랑크톤 사망률(춘계) 146

표 3.2.8. 월성 원자력발전소 냉각수 사용에 따른 동물플랑크톤 사망률(하계) 147

표 3.2.9. 월성 원자력발전소 냉각수 사용에 따른 동물플랑크톤 사망률(추계) 147

표 3.2.10. 월성 원자력발전소 냉각계통 통과에 따른 연도별 동물플랑크톤의 사망률 148

표 3.2.11. 월성원자력 발전소 주변 해역에서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목록(2006년) 149

표 3.2.12. 월성 원자력발전소 주변 해역에서의 동물플랑크톤 출현량(2006년 2월) 150

표 3.2.13. 월성 원자력발전소 주변 해역에서의 동물플랑크톤 출현량(2006년 5월) 151

표 3.2.14. 월성 원자력발전소 주변 해역에서의 동물플랑크톤 출현량(2006년 8월) 152

표 3.2.15. 월성 원자력발전소 주변 해역에서의 동물플랑크톤 출현량(2006. 10) 153

표 4.1.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 해조류 출현종수의 변동 (2006년도) 162

표 4.2.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 해조류 현존량의 변동 (2006년도) 162

표 4.3.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 해조류 우점종 (2006년도) : 괄호 안은 단위면적당 현존량 구성비율 163

표 4.4.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 해조류 종다양성지수(H')의 변동 (2006년도) 164

표 4.5.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 해조류 출현종수 및 평균현존량의 연도별 변화 164

표 4.6.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 해조군집의 연도별 및 계절별 우점종 변화 165

표 5.1.1. 월성원전 주변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종수 조성(2006년) 170

표 5.1.2. 월성원전 주변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정점별 종수(2006년) 171

표 5.1.3. 월성원전 주변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개체수 조성 174

표 5.1.4. 월성원전 주변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정점별 개체수 175

표 5.1.5. 월성원전 주변 조하대 저서등물 군집의 생체량 조성(2006년) 178

표 5.1.6. 월성원전 주변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정점별 생체량 179

표 5.1.7. 월성원전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개체수에서 우점적인 종의 분포(2006년) 183

표 5.1.8. 월성원전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생체량에서 우점적인 종의 분포(2006년) 186

표 5.1.9. 월성원전 주변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정점별 총종다양도(H') (2006년) 188

표 5.1.10. 월성원전 주변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 중 개체수에서 우점종의 연변화 192

표 5.1.11. 우리나라의 저서동물 군집 중 유기물 오염지표종의 개체수 193

표 6.1.1.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소형저인망에 채집된 어류의 종조성(2006년) 201

표 6.1.2.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소형 저인망에 채집된 어류의 종조성 (3월) 202

표 6.1.3.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소형 저인망에 채집된 어류의 종조성 (5월) 203

표 6.1.4.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소형 저인망에 채집된 어류의 종조성 (8월) 204

표 6.1.5.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소형 저인망에 채집된 어류의 종조성(11월) 205

표 6.1.6. 월성원자력발전소 취수구스크린에서 채집된 어류의 종조성(2006년) 206

표 6.1.7. 월성원자력발전소 취수구스크린에서 채집된 어류의 종조성(동계; 1월 24일) 207

표 6.1.8. 월성원자력발전소 취수구스크린에서 채집된 어류의 종조성(춘계; 4월 18일) 207

표 6.1.9. 월성원자력발전소 취수구스크린에서 채집된 어류의 종조성(하계; 7월 25일) 208

표 6.1.10. 월성원자력발전소 취수구스크린에서 채집된 어류의 종조성(추계; 10월 31일) 208

표 5.1.11. 동계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소형저인망에 채집된 어류군집 특성 219

표 6.1.12. 춘계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소형저인망에 채집된 어류군집 특성 219

표 6.1.13. 하계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소형저인망에 채집된 어류군집 특성 220

표 6.1.14. 추계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소형저인망에 채집된 어류군집 특성 220

표 7.1.1. 교목·아교목층의 층상구조 변화(월성) 235

표 7.1.2. 관목·초본층의 층상구조 변화(월성) 235

표 7.1.3. 교목·아교목의 흉고직경 급별 분포(월성) 236

표 7.1.4. 교목·아교목의 흉고면적(월성) 237

표 7.1.5. 교목·아교목의 식생구조(월성) 239

표 7.1.6. 월성 원전 조사구 내 출현 분류군 수 240

〈표 7〉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지역의 소산식물목록 242

표 7.2.1. 2006년도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지역의 조류상 265

표 7.2.2. 2006년도 상반기 월성 원자력발전소 주변 조류상 269

표 7.2.3. 2006년도 하반기 월성 원자력발전소 주변 조류상 271

그림 2-1. HDMS(Horizontal Drawn Monitoring System)의 모식도. 16

그림 2-3.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해양수질 및 퇴적물, 식·동물플랑크톤, 해양저서동물의 조사정점 31

그림 2-4.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해조류 조사정점 32

그림 2-5. 월성원전 주변해역 어류 자원조사 정점 위치도 33

그림 2-6.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지역의 육상식물 조사정점 34

그림 2-7.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지역의 육상동물 조사정점 35

그림 1.1.1. 월성 원전주변 해수유동 특성 조사정점 A. 62

그림 1.1.2. 월성원전 주변 고정점 A에서의 수온, 유향 및 유속(동계). 63

그림 1.1.3. 월성원전 주변 고정점 A에서의 Scatter Plot, X성분, Y성분, Stick Plot(동계). 64

그림 1.1.4. 월성원전 주변 고정점 A에서의 수온, 유향 및 유속(춘계). 65

그림 1.1.5. 월성원전 주변 고정점 A에서의 Scatter Plot, X성분, Y성분, Stick Plot(춘계). 66

그림 1.1.6. 월성원전 주변 고정점 A에서의 수온, 유향 및 유속(하계). 67

그림 1.1.7. 월성원전 주변 고정점 A에서의 Scatter Plot, X성분, Y성분, Stick Plot(하계). 68

그림 1.1.8. 월성원전 주변 고정점 A에서의 수온, 유향 및 유속(추계). 69

그림 1.1.9. 월성원전 주변 고정점 A에서의 Scatter Plot, X성분, Y성분, Stick Plot(추계). 70

그림 1.1.10. 월성원전 주변 표층수온 및 염분 관측정점(동계) 71

그림 1.1.11. 월성원전 주변 표층수온 분포(동계). 72

그림 1.1.12. 월성원전 주변 표층수온 및 염분 관측정점(춘계). 73

그림 1.1.13. 월성원전 주변 표층수온 분포(춘계). 74

그림 1.1.14. 월성원전 주변 표층수온 및 염분 관측정점(하계). 75

그림 1.1.15. 월성원전 주변 표층수온 분포(하계). 76

그림 1.1.16. 월성원전 주변 표층수온 및 염분 관측정점(추계). 77

그림 1.1.17. 월성원전 주변 표층수온 분포(추계). 78

그림 1.1.18. 월성원전 주변 수직수온 및 염분 조사정점(동계). 79

그림 1.1.19. 수직 수온 및 염분 분포(동계). 80

그림 1.1.20. 월성원전 주변 수직수온 및 염분 조사정점(춘계). 81

그림 1.1.21. 수직 수온 및 염분 분포(춘계). 82

그림 1.1.22. 월성원전 주변 수직수온 및 염분 조사정점(하계). 83

그림 1.1.23. 수직 수온 및 염분 분포(하계) 84

그림 2.2.1. 지난 5년간 월성원전 주변 해양퇴적물의 정점별 평균 입도 변화도 (2002~2006) 104

그림 2.2.2. 동계 및 춘계 월성원전 주변 해양퇴적물의 삼각 다이아그램을 이용한 퇴적물 유형(sediment type) 분류(자갈, 모래, 니의 함량에 의한 계절별 분류) 105

그림 2.2.3. 동계 및 춘계 월성원전 주변 해양퇴적물의 삼각 다이아그램을 이용한 퇴적물 유형(sediment type) 분류(모래, 실트, 점토의 함량에 의한 계절별 분류) 106

그림 2.2.4. 하계 및 추계의 월성원전 주변 해양퇴적물의 삼각 다이아그램을 이용한 퇴적물 유형(sediment type) 분류(자갈, 모래, 니의 함량에 의한 계절별 분류) 107

그림 2.2.5. 하계 및 추계의 월성원전 주변 해양퇴적물의 삼각 다이아그램을 이용한 퇴적물 유형(sediment type) 분류(모래, 실트, 점토의 함량에 의한 계절별 분류) 108

그림 2.2.6. 월성원전 주변해역 해양퇴적물의 평균입도 분포도(2006년 동계) 109

그림 2.2.7. 월성원전 주변해역 해양퇴적물의 평균입도 분포도(2006년 춘계) 110

그림 2.2.8. 월성원전 주변해역 해양퇴적물의 평균입도 분포도(2006년 하계) 111

그림 2.2.9. 월성원전 주변해역 해양퇴적물의 평균입도 분포도(2006년 추계) 112

그림 2.2.10. 월성원전 주변 해양퇴적물 내의 탄산염, 강열감량의 정점별 함량 113

그림 2.2.11. 월성원전 주변 해양퇴적물 내의 지난 5년간 정점별 탄산염, 강열감량의 변화도 114

그림 2.2.12. 월성원전 주변 해양퇴적물 내의 평균입도와 탄산염 및 강열감량과의 상관관계 115

그림 2.2.13. 월성원전 주변 해양퇴적물 내의 아연, 카드뮴, 크롬의 정점별 함량 116

그림 2.2.14. 월성원전 주변 해양퇴적물 내의 니켈, 구리, 망간의 정점별 함량 117

그림 2.2.15. 월성원전 주변 해양퇴적물내의 납, 철의 정점별 함량 118

그림 2.2.16. 월성원전 주변 해양퇴적물 내의 지난 5년간 정점별 아연, 카드뮴 크롬의 함량 변화도 119

그림 2.2.17. 월성원전 주변 해양퇴적물 내의 지난 5년간 정점별 니켈, 구리 망간의 함량 변화도 120

그림 2.2.18. 월성원전 주변 해양퇴적물 내의 지난 5년간 정점별 납, 철의 함량 변화도 121

그림 3.1.1. 월성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식물플랑크톤의 출현종수 변동 (2006년도) 122

그림 3.1.2. 월성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 변동 (2006년도) 124

그림 3.1.3.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식물플랑크톤의 주요 우점종의 점유율 변동(2006년) 127

그림 3.1.4. 월성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식물플랑크톤의 종 다양성지수(H') 변화(2006년도) 128

그림 3.1.5.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수 변동 (1986~2006) 129

그림 3.1.6.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식물플랑크톤 총 현존량 변동 (1986~2006) 130

그림 3.1.7.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식물플랑크톤의 총 클로로필-α 농도 변동(1994~2006) 131

그림 3.1.8.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식물플랑크톤 성정 저해율 변동 (1997~2006) 132

그림 3.1.9. 월성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미소형 편모류의 계절별 현존량 변화 133

그림 3.1.10. 월성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미소형 편모류 현존량 변화 134

그림 3.1.11. 월성 원자력발전소에서 냉각계통 통과 후 미소형 편모류의 계절별현존량 변화 양상 135

그림 3.2.1. 월성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동물플랑크톤 출현분류군수의 변화 (2006년) 154

그림 3.2.2. 월성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동물플랑크톤 출현량의 변화 (2006년) 155

그림 3.2.3. 월성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출현한 중요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출현비율(2006년 동계) 156

그림 3.2.4. 월성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출현한 중요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출현비율(2006년 춘계) 156

그림 3.2.5. 월성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출현한 중요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출현비율(2006년 하계) 157

그림 3.2.6. 월성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출현한 중요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출현비율(2006년 추계) 157

그림 5.1.1. 월성원전 주변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종수 조성(2006년) 170

그림 5.1.2. 월성원전 주변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정점별 종수(2006년) 172

그림 5.1.3. 월성원전 주변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계절별 종수(2006년) 172

그림 5.1.4. 월성원전 주변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개체수 조성(2006년) 174

그림 5.1.5. 월성원전 주변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정점별 개체수(2006년) 176

그림 5.1.6. 월성원전 주변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계절별 개체수(2006년) 176

그림 5.1.7. 월성원전 주변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생체량 조성(2006년 종합). 178

그림 5.1.8. 월성원전 주변 조하대 저서동물 생체량의 정점별 분포(2006년) 180

그림 5.1.9. 월성원전 주변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계절별 생체량 (2006년) 180

그림 5.1.10. 월성원전 조하대 저서동물 중 개체수에서 우점종의 분포(2006년) 182

그림 5.1.11. 고리원전 조하대 저서동물 중 개체수에서 우점종의 분포(2006년) 187

그림 5.1.12. 월성원전 주변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정점별 종다양도(2006년) 189

그림 5.1.13. 월성원전 주변 조하대 저서동물군집의 계절별 총 종다양도(2006년) 189

그림 5.1.14. 월성원전 주변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계절별 종수. 190

그림 5.1.15. 월성원전 주변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계절별 개체수. 190

그림 5.1.16. 월성원전 주변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계절별 생체량. 191

그림 5.1.17. 월성원전 주변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계절별 총종다양도 192

그림 6.1.1.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소형저인망에 채집된 어류의 출현종수, 개체수, 생체량 및 종다양도지수의 변화(2006년). 209

그림 6.1.2.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3월에 채집된 주요 어종의 체장분포. 210

그림 6.1.3.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5월에 채집된 주요 어종의 체장분포. 211

그림 6.1.4.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8월에 채집된 주요 어종의 체장분포. 213

그림 6.1.5.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11월에 채집된 주요 어종의 체장분포. 215

그림 6.1.6. 월성원자력발전소 취수구스크린에서 채집된 어류의 출현종수, 개체수, 생체량 및 종다양성지수의 변화(2006년). 216

그림 6.1.7. 월성원자력발전소 취수구스크린에서 채집된 우점종인 갈치, 복섬 멸치의 체장분포 (2006년 동계). 217

그림 6.1.8. 월성원자력발전소 취수구스크린에서 채집된 우점종인 멸치, 학공치의 체장분포 (2006년 추계). 218

그림 6.2.1. 부산(고리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연안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229

그림 6.2.2. 부산(고리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근해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229

그림 6.2.3. 경남(고리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연안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230

그림 6.2.4. 경남(고리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근해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230

그림 6.2.5. 경북(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연안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231

그림 6.2.6. 경북(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근해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231

그림 6.2.7. 전남(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연안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232

그림 6.2.8. 전남(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근해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232

그림 6.2.9. 전북(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연안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233

그림 6.2.10. 전북(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근해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233

그림 7.2.1.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조류의 출현분류군에 따른 분포 현황. 268

그림 7.2.2.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조류의 출현분류군에 따른 분포 현황. 271

그림 7.2.3.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조류의 출현분류군에 따른 분포 현황. 273

부록 I-1.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의 종 목록(2006년도) 306

부록 I-2-1.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 분포 312

부록 I-2-2.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우점종으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종의 점유율 분포(2003.1.24) 314

부록 I-2-3.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 분포(2006.5.16) 316

부록 I-2-4.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우점종으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종의 점유율 분포(2006.5.16) 318

부록 I-2-5.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 분포 320

부록 I-2-6.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우점종으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종의 점유율 분포(2006.7.25) 323

부록 I-2-7.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 분포 326

부록 I-2-8.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우점종으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종의 점유율 분포(2006.10.31) 329

부록 I-3.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 식물플랑크톤의 종 다양성지수(2006) 332

부록 I-4.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 식물플랑크톤의 chl-a 농도(2006년) 332

부록 I-5.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식물플랑크톤의 출현종수 변동(1986년~2006년) 333

부록 I-6.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 분포 현황(1986년~2006년) 334

부록 IV-1.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 해조류 출현종의 계절적 변동(2006년) 335

부록 IV-2.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 해조류 군집의 종조성 및 생물량(2006.2.) 338

부록 IV-3.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 해조류 군집의 종조성 및 생물량(2006.5.) 340

부록 IV-4.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 해조류 군집의 종조성 및 생물량(2006.8.) 343

부록 IV-5.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 해조류 군집의 종조성 및 생물량(2006.11.) 345

부록표 5.1.1. 월성원전 주변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정점별 개체수(/0.8㎡) 및 생체량(/0.8㎡) (2006년) 348

부록표 5.1.2. 월성원전 주변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정점별 개체수(/0.2㎡) 및 생체량(/0.2㎡) (2006년 1월) 360

부록표 5.1.3. 월성원전 주변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정점별 개체수(/0.2㎡) 및 생체량(/0.2㎡) (2006년 4월) 364

부록표 5.1.4. 월성원전 주변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정점별 개체수(/0.2㎡) 및 생체량(/0.2㎡) (2006년 7월) 371

부록표 5.1.5. 월성원전 주변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정점별 개체수(/0.2㎡) 및 생체량(/0.2㎡) (2006년 10월 ) 378

부록 VI-1. 부산(고리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연안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384

부록 VI-2. 부산(고리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근해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384

부록 VI-3. 경남(고리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연안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385

부록 VI-4. 경남(고리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근해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385

부록 VI-5. 경북(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연안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386

부록 VI-6. 경북(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근해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386

부록 VI-7. 전남(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연안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387

부록 VI-8. 전남(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근해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387

부록 VI-9. 전북(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연안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388

부록 VI-10. 전북(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근해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388

부록 VI-11. 경북 주요 어종의 17년간 월별 어획실적 (1990.1 ~ 2006.10) 389

부록 VI-12. 부산 주요 어종의 17년간 월별 어획실적 (1990.1 ~ 2006.10) 393

부록 VI-13. 전남 주요 어종의 17년간 월별 어획실적 (1990.1 ~ 2006.10) 397

부록 VI-14. 경북 구룡포 수협 주요 어종의 7년간 어획실적 (1999.1 ~ 2006.10) 401

부록 VI-15. 경북 죽변 수협 주요 어종의 최근 6년간 어획실적 (1999.1 ~ 2006.9) 402

부록 VI-16. 전남 영광수협 주요 어종의 최근 6년간 어획실적 (1999.1 ~ 2006.10) 404

초록보기 더보기

본 보고서는 2006년도 계절별로 수행한 월성 원자력발전소 주변 일반환경 조사결과이며, 조사항목으로는 해양물리학적 특성, 해양수질 및 퇴적물특성, 해양생물학적 특성(플랑크톤, 해조류, 저서동물, 어류) 그리고 육상식물(초본류) 및 육상동물(조류)등이다. 그 결과 월성 원자력발전소 가동으로 인한 발전소 주변에서 우려할 만한 생태계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전반적으로 주변 자연 환경특성과 유사한 분포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가. 해양 물리학적 특성

월성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의 2006년도 해수특성 중 표층수온은 동계에 11.6~16.3℃, 춘계에 13.1~19.2℃의 분포를 보였으며, 하계에 18.8~22.7℃, 추계에 19.8~26.1℃의 분포를 보였다. 또한 표층염분은 동계에 33.6~34.3‰, 춘계에 34.7~34.4‰의 분포를 보였으며, 하계에 30.8~31.5‰, 추계에 31.9~32.5‰의 분포를 보였다. 발전소 온배수로 인해 자연해수보다 수온 1℃ 이상 상승한 해역은 발전소를 기준으로 동계에 1.9km, 춘계에 3.0km, 하계에 1.0km, 추계에 2.3km로 조사되었다.

나. 해양 수질 및 퇴적물 특성

(1) 해양수질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환경조사를 실시한 결과 일반수질 항목 중 pH는 환경부에서 고시한 해역별 수질환경기준에 의하면 해역수질 I 등급에 해당되었다. DO와 COD의 함량은 I~II등급으로 분류되었다. 총 질소와 인산염 인의 함량은 환경부에서 고시한 해역별 수질환경기준에 의하면 해역수질 I 등급에 해당되었으며, 기타 원소 및 미량 중금속은 미량으로 분석되었다. 전체적으로 발전소 가동으로 인한 주변해역의 특이할 만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2) 해양퇴적물

월성원자력 발전소 주변해역의 저질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2006년 1월 24일(동계), 2006년 5월 1일(춘계), 2006년 7월 25일(하계), 2006년 10월 31일(추계)에 걸쳐 발전소 주변의 해양 표층퇴적물의 시료채취와 채취된 시료의 입도, 조직표준치 및 중금속 분석을 실시하였다. 해양퇴적물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계절별 평균입도는 동계, 춘계, 하계, 추계 각각 4.2 Φ, 3.6 Φ, 5.7 Φ, 4.1 Φ로 나타났다. 정점별 입도 값을 보면 몇몇 정점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세립질 퇴적물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강열감량의 평균값은 동계가 9.84%, 춘계가 5.59%, 하계가 6.21%, 추계가 5.36%로 동계의 유기물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탄산염함량의 경우 동계 2.84%, 춘계 3.18%, 하계 2.53%, 추계 1.40%로 계절별 함량 변화가 크지 않았다. 분석된 금속원소 함량의 범위는 자연상태의 일반적인 값과 큰 차이가 없었으며, 계절별 분포 역시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특히 세립질 퇴적물이 분포하고 있는 정점에서 원소함유량이 대체로 높은 값을 보여주는 것으로 보아 금속원소의 함량은 퇴적물의 입도에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지난 5년간의 자료를 비교한 결과 정점별 퇴적물의 입도 변화와 금속원소 함량 변화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 해양생물 특성

(1) 식물플랑크톤

월성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의 총 출현종수는 214종으로 2005년도의 189종으로 예년보다 다소 증가하였고, 계절별로는 123~150종으로 추계에 가장 많은 출현종수를 보였다. 계절별 평균 현존량은 161,705~1,553,160 cells/ℓ 범위로 동계에 가장 낮았고 춘계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우점종으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은 Chaetoceros socialis, Leptocylindrus danicus, Chaetoceros debilis, Prorocentrum sp. 등이 각 계절별로 최우점종으로 출현하였으며, 이외에 Detonula pumila, Chaetoceros curvisetus, Gymnodinium sp. 등도 주요 종으로 출현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의 총 chlorophyll-a 농도는 평균 0.99~5.53㎍/ℓ이었으며, 종 다양성 지수는 평균 0.55~2.84의 범위로 예년과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발전소 냉각계통 통과에 따른 식물플랑크톤의 성장 저해율은 평균 7.6~70.5%로 예년과 유사하였다.

크기가 매우 작은 미소형 편모류의 평균 현존량은 149~1,002 cells/㎖ 로 나타났고 동계에 가장 낮았고 추계에 가장 높은 생물량을 나타냈다. 종속영양 미소형 편모류와 자가영양 미소형 편모류의 현존량은 전체 미소형 편모류의 현존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각각 34.3~76.2%와 23.8~65.6%로 나타났다. 냉각계통 연행 후 미소형 편모조류의 생물량은 24.9~42.0%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동물플랑크톤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동물플랑크톤은 46분류군이 출현하였다. 계절별로는 동계, 춘계, 하계, 추계에 각각 34, 29, 31, 35종류의 분류군이 출현하였다. 2005년에 비하여 동계, 춘계, 하계, 추계는 각각 5, 1, 4, 4종류가 전반적으로 감소하였다. 전년도에 비하여 출현 분류군수가 감소한 것 같으나 조사 및 분석 방법론의 차이에서 기인된 결과로서 전년도에는 요각류의 경우는 한종을 성체와 유생등 2 종류로 표기되었으며 난바다곤쟁이류의 경우는 성체, 유생, 알등 3종류로 구분하였고 연체동물의 경우 복족류와 이매패류의 2 종류로 구분한 것에 기인하여 출현분류군수가 늘어난 것이다. 이러한 방법론의 차이를 감안하여 비교한 결과 2006년 월성원자력 발전소 주변해역에서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군집 조성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조사기간 중의 최대 출현량은 추계에, 최소 출현량은 하계에 기록되었다. 하계에 배수구에서 입방미터당 1,446개체로 조사기간 중 출현량이 가장 낮았으며 추계에 정점 C1에서 입방미터당 21,974개체로 가장 높았다. 전반적으로 동물플랑크톤의 출현량은 2005년 보다 증가 하였는데 이것은 2005년에 망목 330㎛의 노르팍 네트를 사용하여 채집함으로서 소형 동물플랑크톤과 유생군의 채집이 불가능했던 반면 2006년부터는 100㎛ 망목의 키타하라 네트를 사용하여 채집함으로서 소형 동물플랑크톤의 출현량이 첨부된 결과이다.

월성 원자력발전소 냉각계통 통과에 따라 증가된 동물플랑크톤의 사망률은 동계에는 10.6%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수온상승기인 하계에 18.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동물플랑크톤의 사망률이 30%를 초과할 경우 주변 해양생태계에 영향을 미친다는 이전 보고에 비추어 2006년 동계와 춘계의 월성원자력발전소 가동이 동물플랑크톤 사망률을 증가시켜 주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3) 해조류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 연안에서는 2006년에 총 114종(남조식물 3종, 녹조식물 13종, 갈조식물 29종, 홍조식물 69종)의 해조류가 관찰되었다. 계절별로는 겨울에 66종, 봄에 78종, 여름에 63종 그리고 가을에 73종이 관찰되었으며, 계절별 평균 출현종수는 70종이었다. 조사정점별로는 대조구인 감포에서 출현종수가 가장 많았고(연 평균 49종), 배수구 내면에서 연 평균 10종으로 가장 적었다. 단위 면적당 해조류 평균 현존량은 21~l,382 g dry wt m-²의 넓은 범위(연 평균 402 g dry wt m-²)로 나타났다. 계절별로는 겨울에 계절 평균 534 g dry wt m-²로 가장 많았고, 가을에 평균 225 g dry wt m-²로 가장 적었다. 조사정점별로는 발전소의 취수구 외면(연 평균 799 g dry wt m-²)에서 비교적 많았고, 배수구 내면(연 평균 45 g dry wt m-²)에서 적은 경향을 보였다. 발전소 주변 해조군집은 예년과 비슷하게 작은구슬산호말(Corallina pilulifera)의 우점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나, 조사정점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였으며, 종다양성지수(H')는 계절과 정점에 따라 0.3~2.2의 다양한 범위(연 평균 1.2)로 나타났다.

2006년에 조사된 해조류의 계절 평균 출현종수는 70종으로 2005년의 74종과 비교하여 감소한 수준이며, 1996~2005년까지 10년간 해마다 99~126종의 다양한 해조류가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에서 관찰되었음을 고려할 때 2006년에 관찰된 해조류 114종은 예년의 수준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렇지만 최근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에서 조사된 해조류 우점종 가운데 홍조류 작은구슬산호말과 같은 산초말 무리가 다수를 차지하였으며, 산호말 무리가 갯녹음 또는 백화현상의 주요 원인생물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발전소 주변의 산호말 무리의 분포와 백화현상에 관한 보다 상세한 조사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4) 해양저서동물

2006년도에 채집된 저서동물은 모두 208종, 평균 609개체/㎡, 평균 52.42g/㎡이었다. 우점종은 개체수에서 민얼굴갯지렁이(Spiophanes bombyx), 양손갯지렁이(Magelona japonica), 오뚜기갯지렁이(sternaspis scutata)로 총 개체수의 63.6%를 차지하였다. 현존량에서는 염통성게(Schizaster lacunosus), 물결무늬큰꽃잎조개(Lucinoma acutilineata), 호두조개(Acila divaricata)로 이들은 총 생체량의 57.3%를 차지하였다.

(5) 어류

2006년 월성원전 주변해역 어류 조사에서 총 40종, 15,031개체, 949,381.0g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전년도에 비해 출현종수와 개체수는 비슷하였으나 생체량은 크게 증가하였다. 출현한 어류 가운데, 기름가자미(Glyptocephalus stelleri)가 4,180개체로 가장 많이 채집되었다. 그 다음으로는 전갱이(Trachurus japonicus, 2,369개체), 청어(Clupea pallasii, 1,819개체), 용가자미(Hippoglossoides pinetorum, 1,344개체), 두루묵(Arctoscopus japonicus, 968개체), 물메기(Liparis tessellatus, 964개체), 황아귀(Lopohius litulon, 750개체), 꼼치(Liparis tanakai, 665개체) 순으로 많았다. 위 8종이 총 채집 개체수의 86.6%, 총 생체량의 89.5%를 차지하였다. 출현 종수는 동계에 11종에서 추계에 21종으로 점차 증가하였다. 개체수는 동계에 1,381개체에서 춘계에 8,189개체로 급격히 증가하였다가 하계(2,605개체)와 추계(3,396개체)로 가면서 점차 감소하였다. 생체량의 계절 변동은 123.2~332.4 kg 범위에서 변동하였다. 종다양성지수(H')는 개체수를 대상으로 한 경우에는 1.22~l.63 범위에서, 생체량을 대상으로 한 경우에는 0.93~l.91 범위에서 계절에 따라 변동하였다.

발전소 취수구스크린에서 계절별로 채집된 어류는 총 27종, 828개체, 5,759.1g으로 전년에 비해 출현종수는 크게 감소하였으나 개체수와 생체량은 증가하였다. 가장 많이 채집된 어종인 멸치(Engraulis japonicus)는 435개체, 413.5g이 채집되어 전체 개체수의 52.5%, 전체 생체량의 7.2%를 차지하여 최우점하였다. 개체수에 있어서는 학공치(Hyporhamphus sajori)와 갈치(Trichiurus lepturus)가 각각 68개체, 50개체로 전체 개체수의 8.2%, 6.0%를 차지하여 우점종에 포함되었고, 생체량에 있어서는 달고기(Zeus fαber)가 1,351.2g으로 전체 생체량의 23.5%을 차지하였다. 출현종수는 계절에 따라 4~14종 출현하였으며, 동계와 하계에 14종으로 가장 많았고 춘계에 6종으로 가장 적었다. 계절에 따른 개체수는 동계(149개체)에서 춘계(31개체)로 가면서 감소하였으나 하계(162개체), 추계(486개체)로 가면서 점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생체량의 계절 변동은 동계(1,414.7g)와 추계(2,964.0g)으로 많은 양이 채집되었고 춘계(626.4g)와 하계(754.2g)은 적은 양이 출현하였다. 개체수와 생체량에 의한 종다양성지수(H')는 각각 2.02와 2.35으로 나타났으며, 추계에 가장 낮았으며, 하계에 높았다. 계절에 따른 종다양성지수(H')는 개체수를 대상으로 한 경우에는 0.77~2.49범위를, 생체량을 대상으로 한 경우에는 1.00~2.17범위를 보였다.

라. 육상 생태계

(1) 육상식물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 식물의 외관상 이상 징후를 파악하기 위하여 추계에 각 중점조사지점에 대한 현장 답사를 통하여 발전소 주변에 생육하는 21분류군, 석읍리 한치 25분류군, 효동리 월천 20분류군 소동리 벌채 24분류군 등 총 90분류군의 관속식물에 대한 외관을 관찰하였다. 또한 환경의 변화에 가장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잎과 화부기관에 대하여 외관상 이상 현상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엽선, 엽연, 엽맥의 생장 장애나 잎 표피의 분리현상, 잎의 황화·백화현상, 꽃의 변색ㆍ탈색현상 등 환경오염의 원인에 의한 것이라고 판단되는 비정상적인 현상들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식물체의 영양기관이나 생식기관은 모두 외관상 정상적인 생육상태를 보였다.

식생 조사에서는 각 조사구의 계층 구조, 교목ㆍ아교목층의 층상구조 변화, 관목ㆍ초본층의 층상구조 변화, 교목과 아교목의 흉고직경 급별 분포 및 흉고면적, 교목과 아교목의 상대우점치, 출현 분류군의 다양성 등이 관찰되었다. 결과적으로 조사구 1에서는 교목층에 일본잎갈나무, 아교목층에 때죽나무, 관목층에 등, 초본층에 등이, 조사구 2에서는 교목층에 상수리나무, 아교목층에 굴참나무, 관목층에 싸리, 초본층에 맑은대쑥이, 조사구 3에서는 교목층에 소나무, 아교목층에 졸참나무, 관목층에 철쭉꽃과 진달래, 초본층에 진달래가, 대조구에서는 교목층에 소나무, 아교목층에 아까시나무, 관목층에 싸리, 초본층에 산국이 각각 우점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조사구 1은 2005년 태풍피해로 인해 다수의 수목이 쓰러져 훼손되어 있었으며 이로 인해 향후 조사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생각된다.

조사지역은 냉온대 삼림대 남부(Cool temperature forest, southern zone)에 해당되며, 낙엽활엽수림이 특징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일부 상록활엽수 및 상록침엽수들도 혼생하고 있었다. 이번 조사에서 확인된 관속식물 수는 2005년 추계조사와 동일한 84과 227속 292종 50변종 4품종으로 총 346분류군이었으며, 새로이 추가된 분류군이 조사되지 않았다. 출현종의 수는 향후 조사가 이루어질 경우 지속적인 분류군 수의 증가가 예상된다.

법적인 보호종(멸종, 보호, 천연기념물) 또는 국내 생태계 위해종의 분포상황은 확인된 것이 없었으나, 조사지역에 대한 세밀하고 광범위한 조사가 이루어질 경우 이들의 생육이 확인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조사된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월성원자력발전소 가동으로 인한 식물의 외관상 이상 징후는 나타나지 않았고, 의미를 부여할 만한 식물상과 식생의 변화는 찾아 볼 수가 없었다.

(2) 육상동물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 지역에서 관찰된 조류는 총 11목 31과 55종 1,243개체가 관찰되었고, 최우점종은 괭이갈매기 Larus crassirostris(20.92%, 260개체)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붉은머리오목눈이 Paradoxornis webbiana(18.50%, 230개체), 참새 Passer montanus(17.70%, 220개체), 까치 Pica pica(8.05%, 100개체)의 순으로 나타났다. 각 기간별 출현종과 개체수를 보면 상반기 55종 673개체, 하반기 38종 570개체로 종수와 개체수 모두 상반기가 하반기보다 많이 관찰되었다. 조사 기간 중에 종다양도는 상반기가 2.66으로 높았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