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울진원자력발전소 주변 일반환경 조사 및 평가 보고서. 2006년보 /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환경구조연구소 환경평가그룹 저 ; 인기도
발행사항
[대전] :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환경구조연구소 환경평가그룹 : 2007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자료실
해당자료 없음
형태사항
vii, 355 p. : 도표, 지도 ; 27 cm
총서사항
전력연 ; 단0258(2007)
제어번호
MONO1200726936
주기사항
Technical report
제출처: 한국수력원자력
연구책임자: 박석순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요약

목차

제1장 서론 10

제2장 원자력 발전소 주변의 일반환경 조사방법 14

1. 해양 물리학적 조사 16

2. 해양 수질 및 퇴적물 조사 18

3. 해양생물 조사 21

가. 식물플랑크톤 21

나. 동물플랑크톤 23

다. 해조류 23

라. 해양 저서동물 24

마. 어류 25

4. 육상생태계 조사 26

제3장 결과 및 고찰 34

1. 해양물리학적 특성 36

2. 해양 수질 및 퇴적물 84

가. 해양 수질 84

나. 해양 퇴적물 97

3. 플랑크톤 116

가. 식물플랑크톤 116

나. 동물플랑크톤 125

4. 해조류 146

5. 해양저서동물 156

6. 어류 181

7. 육상생태계 216

가. 육상식물 216

나. 조류(鳥類) 244

부록 278

Worksheet(한글)

Worksheet(영문)

배부처

제2장 원자력 발전소 주변의 일반환경 조사방법 14

표 2.1. 원전 주변 조사시 사용된 주요 해양 물리 장비 17

표 2.2. 2006년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 조사기간 중의 조석현황 17

표 2.3. 울진 원자력 발전소 주변해역의 수질 및 저질, 플랑크톤 그리고 저서동물의 조사정점 위치 29

표 2.4. 2006년도 울진 원자력 발전소 주변 환경조사 일정 29

제3장 결과 및 고찰 34

표 1.1.1.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유속·유향 분포(동계) 41

표 1.1.2.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유속·유향 분포(춘계) 42

표 1.1.3.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유속·유향 분포(하계) 43

표 1.1.4.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표층수온·염분 관측위치와 값 (2006. 2. 9. 동계, 창조시) 44

표 1.1.5.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표층수온·염분 관측위치와 값 (2006. 5.18. 춘계, 창조시) 47

표 1.1.6.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표층수온·염분 관측위치와 값 (2006. 8. 1. 하계, 낙조시) 50

표 1.1.7.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표층수온·염분 관측위치와 값 (2006. 10. 26. 추계, 낙조시) 53

표 1.1.8.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수심별 수온 및 염분(동계, 창조시) 56

표 1.1.9.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수심별 수온 및 염분(춘계, 창조시) 58

표 1.1.10.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수심별 수온 및 염분(하계, 낙조시) 60

표 1.1.11.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수심별 수온 및 염분(추계, 낙조시) 62

표 2.1.1. 수온의 계절별 변화 87

표 2.1.2. 투명도의 계절별 변화 87

표 2.1.3. pH, DO 및 COD의 계절별 농도 변화 88

표 2.1.4. SS, SiO₂-Si 및 PO₂³-(이미지참조)-P의 계절별 농도 변화 89

표 2.1.5. NO₂--N, NO₃--N 및 NH₄+-N의 계절별 농도 1.57변화(이미지참조) 90

표 2.1.6. Total-N, 잔류염소 및 B의 계절별 농도 변화 91

표 2.1.7. Fe, Cr 및 Cu의 계절별 농도 변화 92

표 2.1.8. 수소이온 농도(pH)의 연도별 변동 93

표 2.1.9. 용존산소(DO)의 연도별 변동 93

표 2.1.10.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의 연도별 변동 93

표 2.1.11. 부유물질(SS)의 연도별 변동 94

표 2.1.12. 총 질소(Total -N)의 연도별 변동 94

표 2.1.13. 인산염 인(PO₄³-(이미지참조)-P)의 연도별 변동 94

표 2.1.14. 규산염 규소(SiO₂-Si)의 연도별 변동 95

표 2.1.15. 붕소(B)의 연도별 변동 95

표 2.1.16. 철(Fe)의 연도별 변동 95

표 2.1.17. 6가 크롬(Cr6+(이미지참조))의 연도별 변동 96

표 2.1.18. 구리(Cu)의 연도별 변동 96

표 2.2.1. 2006년 동계 울진 주변해역 표층퇴적물의 화학성분 및 입도자료 103

표 2.2.2. 2006년 춘계 울진 주변해역 표층퇴적물의 화학성분 및 입도자료 104

표 2.2.3. 2006년 하계 울진 주변해역 표층퇴적물의 화학성분 및 입도자료 105

표 2.2.4. 2006년 추계 울진 주변해역 표층퇴적물의 화학성분 및 입도자료 106

표 3.2.1.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 해역에서의 계절별, 조사 정점별 동물 플랑크톤 출현량 128

표 3.2.2.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의 계절별 취수구, 배수구, 대조구의 동물플랑크톤 출현량의 변화 128

표 3.2.3.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의 동물플랑크톤 우점종의 계절 변화 및 출현비율(최대출현정점) 129

표 3.2.4.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 해역에서 연도별 동물플랑크톤 우점종 변화 괄호 안은 단위체적당 출현량 구성비율 130

표 3.2.5.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 해역에서의 연도별 동물플랑크톤 평균 출현량의 변화 133

표 3.2.6. 울진 원자력발전소 냉각수 사용에 따른 동물플랑크톤 사망률(동계) 134

표 3.2.7. 울진 원자력발전소 냉각수 사용에 따른 동물플랑크톤 사망률(춘계) 134

표 3.2.8. 울진 원자력발전소 냉각수 사용에 따른 동물플랑크톤 사망률(하계) 135

표 3.2.9. 울진 원자력발전소 냉각수 사용에 따른 동물플랑크톤 사망률(추계) 135

표 3.2.10. 울진 원자력발전소 냉각계통 통과에 따른 연도별 동물플랑크톤의 사망률 136

표 3.2.11. 울진원자력 발전소 주변 해역에서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목록(2006년) 137

표 3.2.12.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 해역에서의 동물플랑크톤 출현량(2006년 2월) 138

표 3.2.13.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 해역에서의 동물플랑크톤 출현량(2006년 4월) 139

표 3.2.14.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 해역에서의 동물플랑크톤 출현량(2006년 7월) 140

표 3.2.15.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 해역에서의 동물플랑크톤 출현량(2006년 10월) 141

표 4.1. 울진원자력발전소 주변 해조류 출현종수의 변동 (2006년도) 150

표 4.2. 울진원자력발전소 주변 해조류 현존량의 변동 (2006년도) 150

표 4.3. 울진원자력발전소 주변 해조류 우점종 (2006년도) : 괄호 안은 단위면적당 현존량 구성비율 151

표 4.4. 울진원자력발전소 주변 해조류 종다양성지수(H')의 변동 (2006년도) 152

표 4.5. 울진원자력발전소 주변 해조류 출현종수 및 평균현존량의 연도별 변화 152

표 4.6. 울진원자력발전소 주변 해조군집의 연도별 및 계절별 우점종 변화 153

표 5.1.1. 울진원전 주변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종수 조성(2006년) 157

표 5.1.2. 울진원전 주변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정점별 종수(2006년) 158

표 5.1.3. 울진원전 주변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개체수 조성 161

표 5.1.4. 울진원전 주변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정점별 개체수 162

표 5.1.5. 울진원전 주변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생체량 조성(2006년) 165

표 5.1.6. 울진원전 주변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정점별 생체량 166

표 5.1.7. 울진원전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개체수에서 우점적인 종의 분포(2006년) 169

표 5.1.8. 울진원전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생체량에서 우점적인 종의 분포(2006년) 173

표 5.1.9. 울진원전 주변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종다양도(H') (2005년) 176

표 5.1.10. 우리나라의 저서동물 군집 중 유기물 오염지표종의 개체수(그물코 1.0㎜) 180

표 6.1.1.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otter trawl에 채집된 어류의 종조성(겨울) 187

표 6.1.2.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otter trawl에 채집된 어류의 종조성(봄) 188

표 6.1.3/6.1.32.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otter trawl에 채집된 어류의 종조성(여름) 189

표 6.1.4.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otter trawl에 채집된 어류의 종조성(가을) 190

표 6.1.5. 울진 원자력발전소 취수구 스크린(Travelling screen)에서 채집된 어류의 종조성 191

표 6.1.6.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otter trawl로 채집된 어류의 종조성 N과 W는 예인면적 15,000 ㎡에서 채집된 개체수와 생체량 192

표 6.1.7. 울진 원전 주변해역에서 소형 저서동물 채집기로 채집된 동계 어류군집 특성 194

표 6.1.8. 울진 원전 주변해역에서 소형 저서동물 채집기로 채집된 춘계 어류군집 특성 195

표 6.1.9. 울진 원전 주변해역에서 소형 저서동물 채집기로 채집된 하계 어류군집 특성 196

표 6.1.10. 울진 원전 주변해역에서 소형 저서동물 채집기로 채집된 추계 어류군집 특성 197

표 7.1.1. 교목·아교목층의 층상구조 변화(울진) 217

표 7.1.2. 관목·초본층의 층상구조 변화(울진) 217

표 7.1.3. 교목, 아교목의 흉고직경 급별 분포(울진) 218

표 7.1.4. 교목, 아교목의 흉고면적(울진) 219

표 7.1.5. 교목, 아교목의 식생구조(울진) 220

표 7.1.6. 울진 원전 조사구 내 출현 분류군 수 221

표 7.1.7. 울진원자력발전소 주변지역의 소산식물목록 223

표 7.2.1. 2006년도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 전체 조류상 245

표 7.2.2. 2006년도 상반기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 조류상 248

표 7.2.3. 2006년도 하반기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 조류상 250

부록 I-1.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의 종조성(2006년도) 280

부록 I-2/I-14.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식물플랑크톤의 출현종수의 연도별 변동 285

부록 I-3-1.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정점별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분포(2006년 하계) 286

부록 I-3-2.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정점별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분포(2006년 추계) 288

부록 I-4.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출현한 우점종 분포 현황 289

부록 I-5. 울진 원자력발전소 가동 후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변화 양상 292

부록 I-6. 울진원자력발전소 주변 식물플랑크톤의 chl-a 농도(2006년보) 293

부록 IV-1. 울진원자력발전소 주변 해조류 출현종의 계절적 변동 (2006년) 294

부록 IV-2. 울진원자력발전소 주변 해조류 군집의 종조성 및 생물량 (2006.2.) 297

부록 IV-3. 울진원자력발전소 주변 해조류 군집의 종조성 및 생물량 (2006.5.) 299

부록 IV-4. 울진원자력발전소 주변 해조류 군집의 종조성 및 생물량 (2006.7.) 301

부록 IV-5. 울진원자력발전소 주변 해조류 군집의 종조성 및 생물량 (2006.10.) 303

부록표 5.1.1. 울진원전 주변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정점별 개체수(/0.8㎡) 및 생체량(/0.8㎡) (2006년) 305

부록표 5.1.2. 울진원전 주변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정점별 개체수(/0.2㎡) 및 생체량(/0.2㎡) (2006년 1월) 317

부록표 5.1.3. 울진원전 주변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정점별 개체수(/0.2㎡) 및 생체량(/0.2㎡) (2006년 4월) 323

부록표 5.1.4. 울진원전 주변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정점별 개체수(/0.2㎡) 및 생체량(/0.2㎡) (2006년 7월) 331

부록표 5.1.5. 울진원전 주변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정점별 개체수(/0.2㎡) 및 생체량(/0.2㎡) (2006년 10월) 337

부록 VI-1. 부산(고리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연안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344

부록 VI-2. 부산(고리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근해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344

부록 VI-3. 경남(고리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연안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345

부록 VI-4. 경남(고리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근해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345

부록 VI-5. 경북(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연안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346

부록 VI-6. 경북(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근해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346

부록 VI-7. 전남(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연안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347

부록 VI-8. 전남(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근해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347

부록 VI-9. 전북(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연안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348

부록 VI-10. 전북(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근해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348

부록 VI-11. 경북 주요 어종의 17년간 월별 어획실적 (1990.1~2006.10) 349

부록 VI-12. 부산 주요 어종의 17년간 월별 어획실적 (1990.1~2006.10) 353

부록 VI-13. 전남 주요 어종의 17년간 월별 어획실적 (1990.1~2006.10) 357

부록 VI-14. 경북 구룡포 수협 주요 어종의 최근 7년간 어획실적 (1999.1~2006.10) 361

부록 VI-15. 경북 죽변 수협 주요 어종의 최근 6년간 어획실적 (1999.1~2006.9) 362

부록 VI-16. 전남 영광수협 주요 어종의 최근 6년간 어획실적 (1999.1~2006.10) 364

제2장 원자력 발전소 주변의 일반환경 조사방법 14

그림 2-1. HDMS(Horizontal Drawn Monitoring System)의 모식도. 16

그림 2-2/2-3. 울진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해양수질 및 퇴적물, 식·동물플랑크톤, 해양저서동물의 조사정점 30

그림 2-3/2-4. 울진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해조류 및 어류의 조사정점... 31

그림 2-4/2-5.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지역의 육상 식물 조사정점 32

그림 2-5/2-6.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지역의 육상 동물 조사정점 33

제3장 결과 및 고찰 34

그림 1.1.1. 울진원전 주변 해수유동특성 조사 정점 A. 64

그림 1.1.2. 울진원전 주변 고정점 A에서의 수온, 유향 및 유속(동계). 65

그림 1.1.3. 울진원전 주변 고정점 A에서의 Scatter Plot, X성분, Y성분, Stick Plot(동계). 66

그림 1.1.4. 울진원전 주변 고정점 A에서의 수온, 유향 및 유속(춘계). 67

그림 1.1.5. 울진원전 주변 고정점 A에서의 Scatter Plot, X성분, Y성분, Stick Plot(춘계). 68

그림 1.1.6. 울진원전 주변 고정점 A에서의 수온, 유향 및 유속(하계). 69

그림 1.1.7. 울진원전 주변 고정점 A에서의 Scatter Plot, X성분, Y성분, Stick Plot(하계). 70

그림 1.1.8.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표층수온 및 염분 조사정점(동계). 71

그림 1.1.9.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표층수온 분포(동계). 72

그림 1.1.10.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표층수온 및 염분 조사정점(춘계). 73

그림 1.1.11.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표층수온 분포(춘계). 74

그림 1.1.12.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표층수온 및 염분 조사정점(하계). 75

그림 1.1.13.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표층수온 분포(하계). 76

그림 1.1.14.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표층수온 및 염분 조사정점(추계). 77

그림 1.1.15.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표층수온 분포(추계). 78

그림 1.1.16. 울진원전 주변해역의 수심별 수온 및 염분 조사정점. 79

그림 1.1.17. 수심별 수온 및 염분(동계). 80

그림 1.1.18. 수심별 수온 및 염분(춘계). 81

그림 1.1.19. 수심별 수온 및 염분(하계). 82

그림 1.1.20. 수심별 수온 및 염분(추계) 83

그림 2.2.1. 삼각다이어그램에 나타낸 퇴적물의 퇴적상 분포 107

그림 2.2.2. 평균입도(Mz)의 계절별, 정점별 변화 108

그림 2.2.3. 퇴적물의 평균입도와 강열감량(LOI) 및 탄산염(CaCO3) 함량의 상관관계 109

그림 2.2.4. 탄산염 (CaCO₃) 함량의 계절별, 정점별 변화 110

그림 2.2.5. 강열감량(LOI)의 계절별, 정점별 변화 111

그림 2.2.6. 중금속 함량의 계절별 변화 112

그림 2.2.7. 중금속 함량의 정점별 변화 113

그림 2.2.8. 퇴적물의 평균입도(Mz)와 중금속 함량의 상관관계... 115

그림 3.1.1.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식물플랑크톤의 출현종수 변화 120

그림 3.1.2.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 변화 120

그림 3.1.3.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식물플랑크톤의 종 다양성지수(H') 변화 121

그림 3.1.4.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미소형 편모류의 계절별 현존량 변화 122

그림 3.1.5.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미소형 편모류 현존량 변화... 123

그림 3.1.6. 울진 원자력발전소에서 냉각계통 연행 후 미소형 편모류의 계절별 현존량 변화 양상 124

그림 3.2.1.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동물플랑크톤 출현분류군수의 변화 (2006년) 142

그림 3.2.2.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동물플랑크톤 출현량의 변화 (2006년) 143

그림 3.2.3.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출현한 중요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출현비율(2006년 동계) 144

그림 3.2.4.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출현한 중요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출현비율(2006년 춘계) 144

그림 3.2.5.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출현한 중요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출현비율(2006년 하계) 145

그림 3.2.6.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출현한 중요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출현비율(2006년 추계) 145

그림 5.1.1. 울진원전 주변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종수 조성(2006년) 157

그림 5.1.2. 울진원전 주변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정점별 종수(2006년) 159

그림 5.1.3. 울진원전 주변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계절별 종수(2006년) 159

그림 5.1.4. 울진원전 주변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개체수 조성(2006년) 161

그림 5.1.5. 울진원전 주변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정점별 개체수(2006년) 163

그림 5.1.6. 울진원전 주변 조하대에서 저서동물군집의 계절별 개체수(2006년) 163

그림 5.1.7. 울진원전 주변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생체량 조성(2006년) 165

그림 5.1.8. 울진원전 주변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정점별 생체량(2006년) 167

그림 5.1.9. 울진원전 주변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계절별 생체량 (2006년) 167

그림 5.1.10. 울진원전 조하대 저서동물 중 개체수에서 우점종의 분포(2006년) 170

그림 5.1.11. 울진원전 조하대 저서동물 중 개체수에서 우점종의 분포(2006년) 174

그림 5.1.12. 울진원전 주변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정점별 종다양도(2006년) 177

그림 5.1.13. 울진원전 주변 조하대 저서동물군집의 계절별 총 종다양도(2006년) 177

그림 5.1.14. 울진원전 주변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연간 종수. 178

그림 5.1.15. 울진원전 주변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연간 개체수. 178

그림 5.1.16. 울진원전 주변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연간 생체량. 179

그림 5.1.17. 울진원전 주변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연간 총 종다양도 변화 180

그림 6.1.1/6.1.27. 2006년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채집된 물메기 (Liparis tessellatus)의 전장 조성 변화 198

그림 6.1.2/6.1.28. 2006년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채집된 기름가자미 (Glyptocephalus stelleri)의 전장 조성 변화 199

그림 6.1.3/6.1.29. 2006년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채집된 돛양태 (Repomucenus lunatus)의 전장 조성 변화 200

그림 6.1.4/6.1.30. 2006년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채집된 대구 (Gadus macrocephalus)의 전장 조성 변화 201

그림 6.1.5/6.1.31.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채집된 어류의 종수, 개체수, 생체량 및 종다양성 지수의 계절 변화 202

그림 6.2.1. 부산(고리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연안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211

그림 6.2.2. 부산(고리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근해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211

그림 6.2.3. 경남(고리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연안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212

그림 6.2.4. 경남(고리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근해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212

그림 6.2.5. 경북(울진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연안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213

그림 6.2.6. 경북(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근해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213

그림 6.2.7. 전남(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연안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214

그림 6.2.8. 전남(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근해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214

그림 6.2.9. 전북(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연안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215

그림 6.2.10. 전북(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근해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215

그림 7.2.1. 울진원자력발전소 주변조류의 출현분류군에 따른 분포 현황. 247

그림 7.2.2. 울진원자력발전소 주변조류의 출현분류군에 따른 상반기분포 현황. 250

그림 7.2.3. 울진원자력발전소 주변조류의 출현분류군에 따른 상반기분포 현황. 252

초록보기 더보기

본 보고서는 2006년도에 계절별로 수행한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 일반환경 조사결과이며, 조사항목으로는 해양물리학적 특성, 해양수질 및 퇴적물특성, 해양생물학적 특성(플랑크톤, 해조류, 저서동물, 어류) 그리고 육상식물(초본류) 및 육상동물(조류) 특성이다. 그 결과 울진 원자력발전소 가동으로 인한 발전소 주변에서 특이할 만한 생태계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전반적으로 주변 자연 환경특성과 유사한 분포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가. 해양 물리학적 특성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의 2006년도 해수특성 중 표층수온은 동계에 9.2~17.0℃, 춘계에 9.3~19.3℃의 분포를 보였으며, 하계에 14.5~22.8℃, 추계에 16.8~23.9℃의 분포를 보였다. 또한 표층염분은 동계에 33.5~34.2‰, 춘계에 33.8~34.4‰의 분포를 보였으며, 하계에 31.9~32.6‰, 추계에 31.8~32.5‰의 분포를 보였다. 발전소 온배수로 인해 자연해수보다 수온 1℃ 이상 상승한 해역은 발전소를 기준으로 남쪽연안으로 동계에 5.0km, 춘계에 2.5km, 하계에 3.0km, 추계에 5.5km로 조사되었다.

나. 해양 수질 및 퇴적물 특성

(1) 해양수질

울진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환경조사를 실시한 결과 일반수질 항목 중 pH는 환경부에서 고시한 해역별 수질환경기준에 의하면 해역수질 I등급에 해당되었다. DO는 I~II등급 그리고 COD의 함량은 II등급으로 분류되었다. 총 질소와 인산염 인의 함량은 환경부에서 고시한 해역별 수질환경기준에 의하면 해역수질 I등급에 해당되었으며, 기타 원소 및 미량 중금속은 미량으로 분석되었다. 전체적으로 발전소 가동으로 인한 주변해역의 특이할 만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2) 해양퇴적물

울진원전 주변해역에서 사계절에 걸쳐 퇴적물의 입도와 화학성분 함량을 분석한 결과 퇴적물의 퇴적상은 모래가 지배적인 사질 퇴적상이 우세하였으며, 계절별 평균입도의 변화는 동계 2.8±1.4Φ, 춘계 3.0±1.7Φ, 하계 1.9±1.0Φ, 추계 2.5±1.0Φ로 춘계에 입도 변화가 가장 컸고 하계의 입도가 가장 조립하였다. 탄산염 함량은 동계 4.7±3.1%, 춘계 9.2±14.0%, 하계 6.5±2.1%, 추계 6.1±2.8%로 겨울철에 가장 낮고 봄철 시료에서 가장 높았다. 강열감량은 동계에 2.8±1.8%, 춘계 3.6±3.1%, 하계 1.6±0.7%, 추계 2.2±1.6%로 여름철에 가장 낮고 봄철에 가장 높았다. 중금속의 계절별 평균함량은 Fe 2.1~2.4%, Mn 243~310 ppm, Co 5.9~7.2 ppm, Cr 36~46 ppm, Cu 8~11 ppm, Ni 10~13 ppm, Zn 52~68 ppm, Pb 20~27 ppm이었고, 계절별 함량의 변화는 Fe가 7%(σx/X-)로 가장 작았고 Co, Mn, Cr, Zn, Ni, Cu 순으로 증가하였으며 Pb가 16%로 가장 켰다. 중금속의 평균 함량은 여름철에 가장 낮았으며, 함량의 변화는 가을철에 가장 심했다. 중금속 함량의 계절별, 정점별 변화의 주된 요인은 퇴적물의 입도였으며, 탄산염은 중금속의 희석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다. 해양생물학적 특성

(1) 식물플랑크톤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의 총 출현종수는 154종으로 예년보다 적었고 계절별로는 63~81종으로 동계에 가장 많은 출현종수를 보였다. 계절별 평균 현존량은 13,102~129,026 cells/ℓ 범위로 추계에 가장 낮았고 춘계에 가장 높았다. 우점종으로는 규조류인 Navicula sp., Leptocylindrus danicus, chaetoceros densus, Chaetoceros laciniosus, Skeletonema costatum, Thalassionema nitzschioides, Nitzschia sp.와 은편모조류인 Chroomonas sp. 등이었으며, 계절에 따라 주요 우점종 조성에 다소 차이는 있었으나 대체적으로 예년과 유사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의 총 chlorophyll-a 농도는 평균 0.37~l.61㎍/ℓ이었으며, 발전소 냉각계통 통과 후 식물플랑크톤의 성장 저해율은 평균 37.7~85.0%로 나타났다. 종 다양성 지수는 평균 1.8~2.8의 범위로 전년도와 유사하였다.

크기가 매우 작은 미소형 편모류의 평균 현존량은 l18~2,644 cells/㎖ 로 나타났고 동계에 가장 낮았고 춘계에 가장 높은 생물량을 나타냈다. 종속영양 미소형 편모류와 자가영양 미소형 편모류의 현존량은 전체 미소형 편모류의 현존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각각 26.9~46.8%와 53.2~73.1%로 나타났다. 냉각계통 연행 후 미소형 편모조류의 생물량은 47.8~61.5%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동물플랑크톤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의 분류군수는 48분류군으로 1996년 31분류군, 1997년 46분류군, 1998년 63분류군으로 점차 증가하다가 1999년 59분류군, 2000년 45분류군으로 감소하였다. 2001년 다시 59분류군으로 증가였다가 2002-2003년에 각각 53분류군과 42분류군으로 감소하여 4-5년 주기의 증감 패턴을 보였다. 2004-2006년 까지는 각각 52, 39, 48분류군을 보이며 1년 단위의 증감 패턴을 보이고 있었다. 계절별로는 동계, 춘계, 하계, 추계에 각각 26, 20, 34, 34분류군이 출현하였다 2005년에 비하여 적게는 3분류군에서 많게는 10분류군까지 전반적으로 증가하여 2006년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동물플랑크톤의 출현분류군수가 증가한 원인이 되었다. 정점 M에서 7분류군이 출현하여 조사기간 중 가장 빈약한 출현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정점 L2에서 26분류군이 출현하여 조사기간 중 가장 다양한 동물플랑크톤 군집을 형성하고 있었다. 출현량은 춘계에 정점 M에서 입방미터당 1,091개체로 조사기간 중 가장 낮았으며 동계에 정점 L1에서 입방미터당 28,167개체로 가장 높았다. 계절별 평균 출현량은 추계에 입방미터당 5,634개체로 최소 평균 출현량을 보였으며 동계에 11,106개체로 최대 평균 출현량을 보였다.

발전소 복수기 통과 후 동물플랑크톤 사망률은 하계에 21.1%로 가장 높았고 춘계에는 10.5%로 가장 낮게 측정되었으나 발전소 가동이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한계사망률로 추정되는 30% 이상으로는 나타나지 않아 울진 원자력발전소 가동이 주변 해역 동물플랑크톤 군집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3) 해조류

울진원자력발전소 주변 연안에서는 2006년에 총 98종(남조식물 2종, 녹조식물 15종, 갈조식물 23종, 홍조식물 58종)의 해조류가 관찰되었다. 계절별로는 겨울에 65종 봄에 67종, 여름에 68종 그리고 가을에 62종이 관찰되었으며, 계절별 평균 출현종수는 66종이었다. 조사정점별로는 대조구인 죽변에서 출현종수가 가장 많았고(연 평균 48종), 온배수가 흐르는 배수구 내면에서 연 평균 13종이 출현하여 가장 적었다. 단위면적당 해조류 평균 현존량은 121~l,819 g dry wt m-²의 비교적 넓은 범위(연 평균 549 g dry wt m-²)로 나타났으며, 여름에 810 g dry wt m-²로 가장 많았고, 가을에 279 g dry wt m-²로 적게 나타났다. 조사 정점별로는 취수구 외면(연 평균 973 g dry wt m-²)에서 비교적 많았고, 취수구 내면(연 평균 263 g dry wt m-²)에서 적은 경향을 보였다. 발전소 주변 해조군집은 예년과 비슷하게 작은구슬산호말로 대표되었으나 조사정점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였으며, 종다양성지수(H')는 0.1~2.2의 다양한 범위(연 평균 1.3)로 나타났다.

1994~2005년까지 해마다 90~121종의 해조류가 울진원자력발전소 주변에서 관찰되었음을 고려할 때 2006년에 관찰된 해조류 98종은 예년 수준으로 해석된다. 평균 현존량에 있어서도 예년의 수준을 보였다. 발전소 주변에서 조사된 해조류 우점종 가운데 홍조류 작은구슬산호말이 다수를 차지하였으며, 산호말 무리가 갯녹음 또는 백화현상의 주요 원인생물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발전소 주변의 백화현상에 관한 보다 상세한 조사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4) 저서동물

2006년도에 울진원전 주변 해역에서 채집된 저서동물은 모두 205종, 평균 588개체/㎡, 평균 41.76g/㎡이었다. 우점종은 개체수에서 민얼굴갯지렁이(spiophanes bombyx), 긴자락송곳갯지렁이(Scoletoma longifolia), 말발조개류(Adontorhina subquadrata), 솜털바퀴실타래갯지렁이(Chaetozone setosa)로 이들은 총 개체수의 33.1%를 차지하였다. 현존량에서는 염통성게(Schizaster lacunosus), 빗살거미불가사리류(Ophiura unid. 100B), 광삼류(Cucumaria echinata), 해삼류 (Holothuroidea unid. 2)로 이들은 총 생체량의 60.6%를 차지하였다.

(5) 어류

울진원전 주변에서 채집된 어류는 총 23종, 3,977마리, 174,072.6 g이었다. 물메기가 1,730마리로 가장 많이 채집되었다. 그 다음으로는 기름가자미 (929마리), 돛양태(815마리 ), 장어베도라치(115마리), 대구(110마리) 순으로 많았다. 위 5종이 총 채집 개체수의 93.0%, 총 생체량의 82.7%를 차지하였다. 출현 종수는 동계에 13종에서 하계에 15종으로 증가하였다가 추계에 9종으로 감소하였다. 개체수는 동계에 492마리에서 춘계에 2580마리로 증가하였다가 하계(731마리)와 추계(174마리)로 가면서 점차 감소하였다. 생체량의 계절 변동은 8.3~114.2 kg 범위에서 변동하였으며, 계절에 따른 변동 경향은 개체수의 변동과 유사하였다. 개체수와 생체량의 계절변동은 봄에 다량 채집된 물메기에 의해서 좌우되었다. 종다양성지수(H')는 개체수를 대상으로 한 경우에는 1.03~1.68범위에서, 생체량을 대상으로 한 경우에는 0.92~1.83 범위에서 계절에 따라 변동하였으며, 물메기가 우점종이었던 봄에 가장 낮았고 여름과 봄에 비해 겨울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취수구 스크린에서 채집된 어류는 총 8종, 13마리, 532.4 g으로 전년도에 비해 채집량이 급감하였고, 추계에는 채집되지 않았다. 복섬과 학공치만 4마리가 채집되었고 대부분의 어류가 1~2마리정도만 채집되어 계절적이 변동양상은 파악하기 어려웠다.

라. 육상 생태계

(1) 육상식물

울진원자력발전소 주변 식물의 외관상 이상 징후를 파악하기 위하여 추계에 각 중점조사지점에 대한 현장답사를 통하여 발전소 주변에 생육하는 23분류군, 주인리 중리 31분류군, 덕구리 온천동 20분류군, 행곡리 천진동 27분류군 등 총 79분류군의 관속식물에 대한 외관을 관찰하였다. 또한, 환경의 변화에 가장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잎과 화부기관에 대하여 외관상 이상 현상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엽선, 엽연, 엽맥의 생장 장애나 잎 표피의 분리현상, 잎의 황화ㆍ백화현상, 꽃의 변색ㆍ탈색현상 등 환경오염의 원인에 의한 것이라고 판단되는 비정상적인 현상들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식물체의 영양기관이나 생식기관은 모두 외관상 정상적인 생육상태를 보였다.

식생 조사에서는 각 조사구의 계층 구조, 교목ㆍ아교목층의 층상구조 변화, 관목ㆍ초본층의 층상구조 변화, 교목과 아교목의 흉고직경 급별 분포 및 흉고면적, 교목과 아교목의 상대우점치, 출현 분류군의 다양성 등이 관찰되었다. 결과적으로 조사구 1에서는 교목층에 소나무, 아교목층에 아까시나무, 관목층에 굴참나무, 초본층에 실사초가, 조사구 2에서는 교목층에 일본잎갈나무, 아교목층에 갈참나무, 관목층에 국수나무, 초본층에 주름조개풀이, 조사구 3에서는 교목층에 소나무, 아교목층에 소나무, 관목층에 철쭉꽃, 초본층에 주름조개풀, 대조구에서는 교목층에 곰솔, 아교목층은 없었고, 관목층에 곰솔, 초본층에 새가 각각 우점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사지역은 냉온대 삼림대 남부(Cool temperature forest, southern zone)에 해당되며, 낙엽활엽수림이 특징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일부 상록활엽수 및 상록침엽수들도 혼생하고 있었다. 이번 조사에서 확인된 관속식물 수는 81과 213 속 271종 46변종 4품종으로 총 321분류군이었으며, 가막사리, 돌콩, 용둥굴레 3분류군이 새로이 추가되었다. 출현종의 수는 향후 조사가 이루어질 경우 지속적인 분류군 수의 증가가 예상된다.

또한 법적인 보호종(멸종, 보호, 천연기념물) 또는 국내 생태계 위해종의 분포상황은 확인된 것이 없었다. 그러나 조사지역에 대한 세밀하고 광범위한 조사가 이루어질 경우 이들의 생육이 확인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조사된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울진원자력발전소 가동으로 인한 식물의 외관상 이상 징후는 나타나지 않았고, 의미를 부여할 만한 식물상과 식생의 변화는 찾아 볼 수가 없었다.

(2) 육상동물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 지역에서 관찰된 조류는 총 12목 29과 47종 887개체가 관찰되었다. 최우점종은 괭이갈매기 Larus crassirostris(15.78%, 140개체)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참새 Passer montanus(12.40%, 110개체), 쇠백로 Egretta garzetta(7.89%, 70개체), 흰빰검둥오리 Anas poecilorhycha(6.76%, 60개체), 까치 Pica pica(5.64%, 50개체)의 순으로 나타났다. 각 기간별 출현종과 개체수를 보면 상반기 47종 439개체, 하반기 30종 448개체로 종수는 상반기가 많았으며 개체수의 경우에는 하반기가 많이 관찰되었다. 조사 기간 중에 종다양도는 상반기가 2.96으로 높았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