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 일반환경 조사 및 평가 보고서. 2006년보 /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환경구조연구소 환경평가그룹 저 인기도
발행사항
[대전] :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환경구조연구소 환경평가그룹, 2007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자료실
해당자료 없음
형태사항
vii, 337 p. : 도표, 지도 ; 27 cm
총서사항
전력연 ; 단0257(2007)
제어번호
MONO1200726939
주기사항
Technical report
제출처: 한국수력원자력
연구책임자: 박석순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요약

목차

제1장 서론 10

제2장 원자력 발전소 주변의 일반환경 조사방법 14

1. 해양 물리학적 특성 조사 16

2. 해양 수질 및 퇴적물 조사 17

3. 해양생물 조사 21

가. 식물 플랑크톤 21

나. 동물플랑크톤 22

다. 해조류 23

라. 해양 저서동물 24

마. 어류 25

4. 육상생태계 조사 25

제3장 결과 및 고찰 34

1. 해양물리학적 특성 36

2. 해양 수질 및 저질 80

가. 해양 수질 80

나. 해양퇴적물 93

3. 플랑크톤 119

가. 식물플랑크톤 119

나. 동물플랑크톤 128

4. 해조류 146

5. 해양 저서동물 167

6. 어류 192

7. 육상생태계 241

가. 육상식물 241

나. 조류(鳥類) 269

참고문헌 295

부록 300

Worksheet(한글)

Worksheet(영문)

배부처

제2장 원자력 발전소 주변의 일반환경 조사방법 14

표 2.1. 원전 주변 조사시 사용된 주요 해양 물리 장비 16

표 2.2. 2006년 영광원전 주변 일반환경 조사기간 중의 조석현황 17

표 2.3. 영광 원자력 발전소 주변해역의 수질 및 저질, 플랑크톤 그리고 저서동물의 조사정점 위치 29

표 2.4. 영광 원자력 발전소 주변 환경조사 일정(2006년) 29

제3장 결과 및 고찰 34

표 1.1.1.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유속·유향 분포(동계) 43

표 1.1.2.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유속·유향 분포(춘계) 44

표 1.1.3.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유속·유향 분포(추계) 45

표 1.1.4.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표층수온 및 염분 분포(동계) 46

표 1.1.5.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표층수온 및 염분 분포(춘계) 47

표 1.1.6.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표층수온 및 염분 분포(하계) 48

표 1.1.7.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표층수온 및 염분 분포(추계) 49

표 1.1.8.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수심별 수온(℃)(2006. 2. 14 동계, 창조시) 50

표 1.1.9.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수심별 수온(℃)(2006. 2. 15 동계, 낙조시) 50

표 1.1.10.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수심별 수온(℃)(2006. 5. 10 춘계, 창조시) 50

표 1.1.11.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수심별 수온(℃)(2006. 5. 9 춘계, 낙조시) 51

표 1.1.12.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수심별 수온(℃)(2006. 8. 18 하계, 창조시) 51

표 1.1.13.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수심별 수온(℃)(2006. 8. 17 하계, 낙조시) 51

표 1.1.14.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수심별 수온(℃)(2006. 11. 17 추계, 창조시) 52

표 1.1.15.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수심별 수온(℃)(2006. 11. 16 추계, 낙조시) 52

표 1.1.16.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수심별 염분(‰)(2006. 2. 14 동계, 창조시) 52

표 1.1.17.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수심별 염분(‰)(2006. 2. 15 동계, 낙조시) 53

표 1.1.18.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수심별 염분(‰)(2006. 5. 10 춘계, 창조시) 53

표 1.1.19.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수심별 염분(‰)(2006. 5. 9 춘계, 낙조시) 53

표 1.1.20.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수심별 염분(‰)(2006. 8. 18 하계, 창조시) 54

표 1.1.21.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수심별 염분(‰)(2006. 8. 17 하계, 낙조시) 54

표 1.1.22.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수심별 염분(‰)(2006. 11. 17 추계, 창조시) 54

표 1.1.23.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수심별 염분(‰)(2006. 11. 16 추계, 낙조시) 55

표 2.1.1. 수온의 계절별 변화 83

표 2.1.2. 투명도의 계절별 변화 83

표 2.1.3. pH, DO 및 COD의 계절별 농도 변화 84

표 2.1.4. SS, SiO₂-Si 및 PO₄³--P(이미지참조)의 계절별 농도 변화 85

표 2.1.5. NO₂--N, NO₃--N 및 NH₄+-N의 계절별 농도 변화(이미지참조) 86

표 2.1.6. Total-N, 잔류염소 및 B의 계절별 농도 변화 87

표 2.1.7. Fe, Cr 및 Cu의 계절별 농도 변화 88

표 2.1.8. 수소이온 농도(pH)의 연도별 변동 89

표 2.1.9. 용존산소(DO)의 연도별 변동 89

표 2.1.10.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의 연도별 변동 89

표 2.1.11. 부유물질(SS)의 연도별 변동 90

표 2.1.12. 총 질소(Total -N)의 연도별 변동 90

표 2.1.13. 인산염 인(PO₄³-(이미지참조)-P)의 연도별 변동 90

표 2.1.14. 규산염 규소(SiO₂-Si)의 연도별 변동 91

표 2.1.15. 붕소(B)의 연도별 변동 91

표 2.1.16. 철(Fe)의 연도별 변동 91

표 2.1.17. 6가 크롬(Cr6+(이미지참조))의 연도별 변동 92

표 2.1.18. 구리(Cu)의 연도별 변동 92

표 2.2.1. 영광원전 주변해역 표층퇴적물의 강열감량 및 입도분석 96

표 2.2.2. 영광원전 주변해역 퇴적물 내 중금속함량 (2006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109

표 2.2.3. 지각 평균 및 한국 주변 표층 퇴적물의 금속원소 농도 110

표 3.2.1.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의 계절별, 조사 정점별 동물플랑크톤 출현량 130

표 3.2.2.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의 계절별 취수구, 배수구, 대조구의 동물플랑크톤 출현량 변화 131

표 3.2.3.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동물플랑크톤 우점종의 계절변화 및 출현비율(최대출현정점) 131

표 3.2.4. 영광 원자력발전소 냉각계통 통과에 따른 동물플랑크톤 사망률 (3월) 132

표 3.2.5. 영광 원자력발전소 냉각계통 통과에 따른 동물플랑크톤 사망률(5월) 132

표 3.2.6. 영광 원자력발전소 냉각계통 통과에 따른 동물플랑크톤 사망률 (8월) 133

표 3.2.7. 영광 원자력발전소 냉각계통 통과에 따른 동물플랑크톤 사망률(11월) 133

표 3.2.8.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동물플랑크톤의 출현량 (2006년 3월) 138

표 3.2.9.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동물플랑크톤의 출현량 (2006년 5월) 139

표 3.2.10.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동물플랑크톤의 출현량 (2006년 8월) 140

표 3.2.11.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동물플랑크톤의 출현량 (2006년 11월) 141

표 3.2.12/3.2.1. 동물플랑크톤의 년도별 및 계절별 출현량 142

표 3.2.13. 동물플랑크톤의 연도별 우점종변동 144

표 4.1.1. 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 해조류 군집의 종조성 및 현존량 (2006년 2월 18).... 149

표 4.1.2. 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 해조류 군집의 종조성 및 현존량 (2006년 5월 4일).... 153

표 4.1.3. 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 해조류 군집의 종조성 및 현존량 (2006년 7월 20일).... 157

표 4.1.4. 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 해조류 군집의 종조성 및 현존량 (2006년 11월 7일).... 160

표 5.1.1. 영광원전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종조성(2006년) 168

표 5.1.2. 영광원전 조하대에서 저서동물 군집의 정점별 종수(2006년) 170

표 5.1.3. 영광원전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개체 조성 172

표 5.1.4. 영광원전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정점별 개체수 분포 173

표 5.1.5. 영광원전 주변해역 저서동물의 개체수(/0.8㎡) 및 현존량(g/0.8㎡) 분포 174

표 5.1.6. 영광원전 주변의 개체수에서 우점적인 저서동물의 정점별 분포밀도(2006년) 182

표 5.1.7. 영광원전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현존량 조성 184

표 5.1.8. 영광원전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현존량(g/㎡) 분포(2006년) 185

표 5.1.9. 영광원전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현존량에서 우점적인 저서동물 분포(2006년) 189

표 5.1.10. 영광 원전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종다양도(H') 분포(2006년) 191

표 6.1.1.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소형저인망에 채집된 어류의 종조성 (2006년) 203

표 6.1.2. 동계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소형저인망에 채집된 어류의 종조성 (2006년) 206

표 6.1.3. 춘계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소형저인망에 채집된 어류의 종조성 (2006년) 207

표 6.1.4. 하계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소형저인망에 채집된 어류의 종조성 (2006년) 208

표 6.1.5. 추계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소형저인망에 채집된 어류의 종조성 (2006년) 209

표 6.1.6. 영광원자력발전소 취수구스크린(Travelling screen)에서 채집된 어류의 종조성(2006년) 210

표 6.1.7. 영광원자력발전소 취수구스크린(Travelling screen)에서 채집된 어류의 종조성(2006년 겨울) 211

표 6.1.8. 영광원자력발전소 취수구스크린(Travelling screen)에서 채집된 어류의 종조성(2006년 봄) 211

표 6.1.9. 영광원자력발전소 취수구스크린(Travelling screen)에서 채집된 어류의 종조성(2006년 여름) 212

표 6.1.10. 영광원자력발전소 취수구스크린(Travelling screen)에서 채집된 어류의 종조성(2006년 가을) 213

표 6.1.11. 영광원자력발전소 취수구스크린(Travelling screen)에서 채집된 우점종의 종조성(1999~2006년) 214

표 6.1.12. 동계 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소형저인망에 채집된 어류군집 특성 226

표 6.1.13. 춘계 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소형저인망에 채집된 어류군집 특성 226

표 6.1.14. 하계 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소형저인망에 채집된 어류군집 특성 227

표 6.1.15. 추계 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소형저인망에 채집된 어류군집 특성 227

표 7.1.1. 교목·아교목층의 층상구조 변화(영광) 242

표 7.1.2. 관목·초본층의 층상구조 변화(영광) 242

표 7.1.3. 교목·아교목의 흉고직경 급별 분포(영광) 243

표 7.1.4. 교목·아교목의 흉고면적(영광) 244

표 7.1.5. 식생구조(영광) 245

표 7.1.6. 영광원전 조사구 내 출현 분류군 수 246

표 7.1.7. 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지역의 소산식물목록 248

표 7.2.1. 2006년도 영광 원자력 발전소 주변지역의 조류상 270

표 7.2.2. 2006년도 상반기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지역의 조류상 272

표 7.2.3. 2006년도 하반기 영광원자력 발전소 주변지역의 조류상 274

부록 I-1.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의 종조성(2006년도) 302

부록 I-2.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식물플랑크톤의 연도별 출현종수 변화 307

부록 I-3-1.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정점별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분포(2006년 하계) 308

부록 I-3-2.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정점별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분포(2006년 추계) 310

부록 I-4.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출현한 우점종 분포 현황 311

부록 I-5. 영광 원자력발전소 가동 후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변화 양상 312

부록 I-6. 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 식물플랑크톤의 chl-a 농도(2006년도) 313

부록표 5.1.1. 영광원전 주변해역 저서동물의 개체수(/0.2㎡) 및 현존량(g/0,2㎡) 분포 (2006년 2월) 314

부록표 5.1.2. 영광원전 주변해역 저서동물의 개체수(/0.2㎡) 및 현존량(g/0.2㎡) 분포 (2006년 5월) 317

부록표 5.1.3. 영광원전 주변해역 저서동물의 개체수(/0.2㎡) 및 현존량(g/0.2㎡) 분포 (2006년 8월) 320

부록표 5.1.4. 영광원전 주변해역 저서동물의 개체수(/0.2㎡) 및 현존량(g/0.2㎡) 분포 (2006년 11월) 323

부록 VI-1. 부산(고리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연안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326

부록 VI-2. 부산(고리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근해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326

부록 VI-3. 경남(고리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연안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327

부록 VI-4. 경남(고리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근해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327

부록 VI-5. 경북(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연안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328

부록 VI-6. 경북(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근해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328

부록 VI-7. 전남(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연안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329

부록 VI-8. 전남(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근해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329

부록 VI-9. 전북(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연안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330

부록 VI-10. 전북(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근해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330

부록 VI-11. 경북 주요 어종의 17년간 월별 어획실적 (1990.1 ~ 2006.10) 331

부록 VI-12. 부산 주요 어종의 17년간 월별 어획실적 (1990.1 ~ 2006.10) 335

부록 VI-13. 전남 주요 어종의 17년간 월별 어획실적 (1990.1 ~ 2006.10) 339

부록 VI-14. 경북 구룡포 수협 주요 어종의 최근 7년간 어획실적 (1999.1 ~ 2006.10) 343

부록 VI-15. 경북 죽변 수협 주요 어종의 최근 6년간 어획실적 (1999.1 ~ 2006.9) 344

부록 VI-16. 전남 영광수협 주요 어종의 최근 6년간 어획실적 (1999.1 ~ 2006.10) 346

그림 2-1/2-3. 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해양수질 및 퇴적물, 식·동물플랑크톤, 해양저서동물의 조사정점 30

그림 2-2/2-4. 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해조류 및 어류의 조사정점... 31

그림 2-3/2-5. 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지역의 육상식물 조사정점 32

그림 2-4/2-6. 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지역의 육상동물 조사정점 33

그림 1.1.1.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 연속 측류점. 56

그림 1.1.2. 영광원전 주변 고정점 A에서의 수온, 유향 및 유속(동계). 57

그림 1.1.3. 영광원전 주변 고정점 A에서의 Scatter Plot, X성분, Y성분, Stick Plot(동계). 58

그림 1.1.4. 영광원전 주변 고정점 A에서의 수온, 유향 및 유속(춘계). 59

그림 1.1.5. 영광원전 주변 고정점 A에서의 Scatter Plot, X성분, Y성분, Stick Plot(춘계). 60

그림 1.1.6. 영광원전 주변 고정점 A에서의 수온, 유향 및 유속(추계). 61

그림 1.1.7. 영광원전 주변 고정점 A에서의 Scatter Plot, X성분, Y성분, Stick Plot(추계). 62

그림 1.1.8.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표층수온 조사정점. 63

그림 1.1.9.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표층수온 분포(동계 창조시). 64

그림 1,1.10.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표층수온 분포(동계 낙조시). 65

그림 1.1.11.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표층수온 분포(춘계 창조시). 66

그림 1.1.12.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표층수온 분포(춘계 낙조시). 67

그림 1.1.13.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표층수온 분포(하계 창조시). 68

그림 1.1.14.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표층수온 분포(하계 낙조시). 69

그림 1.1.15.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표층수온 분포(추계 창조시). 70

그림 1.1.16.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표층수온 분포(추계 낙조시). 71

그림 1.1.17. 수직 수온 및 염분 (동계 창조시). 72

그림 1.1.18. 수직 수온 및 염분 (동계 낙조시). 73

그림 1.1.19. 수직 수온 및 염분 (춘계 창조시). 74

그림 1.1.20. 수직 수온 및 염분 (춘계 낙조시). 75

그림 1.1.21. 수직 수온 및 염분 (하계 창조시). 76

그림 1.1.22. 수직 수온 및 염분 (하계 낙조시). 77

그림 1.1.23. 수직 수온 및 염분 (추계 창조시). 78

그림 1.1.24. 수직 수온 및 염분 (추계 낙조시). 79

그림 2.2.1. Folk의 분류에 의한 퇴적물 입도 분포 95

그림 2.2.2. Folk & Ward 방법에 의한 영광원전 주변 해양퇴적물의 분류(모래, 실트, 점토함량에 의한 분류; 2006년 동계) 97

그림 2.2.3. 영광원전 주변해역 퇴적물의 평균입도(Mz), 강열감량(LOI) 및 철(Fe)의 분포(2006년 동계) 98

그림 2.2.4. Folk & Ward 방법에 의한 영광원전 주변 해양퇴적물의 분류(모래, 실트, 점토함량에 의한 분류; 2006년 춘계) 99

그림 2.2.5. 영광원전 주변해역 퇴적물의 평균입도(Mz), 강열감량(LOI) 및 철(Fe)의 분포(2006년 춘계) 100

그림 2.2.6. Folk & Ward 방법에 의한 영광원전 주변 해양퇴적물의 분류(모래, 실트, 점토함량에 의한 분류; 2006년 하계) 101

그림 2.2.7. 영광원전 주변해역 퇴적물의 평균입도(Mz), 강열감량(LOI) 및 철(Fe)의 분포(2006년 하계) 102

그림 2.2.8. Folk & Ward 방법에 의한 영광원전 주변 해양퇴적물의 분류(모래, 실트, 점토함량에 의한 분류; 2006년 추계) 103

그림 2.2.9. 영광원전 주변해역 퇴적물의 평균입도(Mz), 강열감량(LOI) 및 철(Fe)의 분포(2006년 추계) 104

그림 2.2.10. 영광원전 주변해역 퇴적물 내 강열감량 (2006 동계, 춘계, 하계, 추계) 106

그림 2.2.11. 영광원전 주변해역 표층 퇴적물에 크롬(Cr), 납(Pb), 구리(Cu), 아연(Zn), 망간(Mn), 철(Fe)과 강열감량(LOI)의 농도(2006년 동계) 111

그림 2.2.12. 평균입도와 강열감량의 상관관계와 중금속의 분포(2006년 동계) 112

그림 2.2.13. 영광원전 주변해역 표층 퇴적물에 크롬(Cr), 납(Pb), 구리(Cu), 아연(Zn), 망간 (Mn), 철(Fe)과 강열감량(LOI)의 농도(2006년 춘계) 113

그림 2.2.14. 평균입도와 강열감량의 상관관계와 중금속의 분포(2006년 춘계) 114

그림 2.2.15. 영광원전 주변해역 표층 퇴적물에 크롬(Cr), 납(Pb), 구리(Cu), 아연(Zn), 망간 (Mn), 철(Fe)과 강열감량(LOI)의 농도(2006년 하계) 115

그림 2.2.16. 평균입도와 강열감량의 상관관계와 중금속의 분포(2006년 하계) 116

그림 2.2.17. 영광원전 주변해역 표층 퇴적물에 크롬(Cr), 납(Pb), 구리(Cu), 아연(Zn), 망간 (Mn), 철(Fe)과 강열감량(LOI)의 농도(2006년 추계) 117

그림 2.2.18. 평균입도와 강열감량의 상관관계와 중금속의 분포(2006년 추계) 118

그림 3.1.1.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식물플랑크톤의 출현종수 변화 123

그림 3.1.2.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 변화 123

그림 3.1.3.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식물플랑크톤의 종 다양성지수(H') 변화 124

그림 3.1.4.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미소형 편모류의 계절별 현존량 변화 125

그림 3.1.5.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미소형 편모류 현존량 변화.... 126

그림 3.1.6. 영광 원자력발전소에서 냉각계통 연행 후 미소형 편모류의 계절별 현존량 변화 양상 127

그림 3.2.1. 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동물플랑크톤의 계절 및 정점별 출현 분류군수의 변화.... 134

그림 3.2.2. 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동물플랑크톤의 계절 및 정점별 출현 134

그림 3.2.3/3.23. 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동물플랑크톤의 계절 및 정점별 출현량의 변화.... 135

그림 3.2.4. 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동물플랑크톤의 계절 및 정점별 출현량의 변화.... 135

그림 3.2.5. 2006년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동물플랑크톤 군집조성의 정점별 변화(동계) 136

그림 3.2.6. 2006년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동물플랑크톤 군집조성의 정점별 변화(춘계) 136

그림 3.2.7. 2006년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동물플랑크톤 군집조성의 정점별 변화(하계) 137

그림 3.2.8. 2006년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동물플랑크톤 군집조성의 정점별 변화(추계) 137

그림 3.2.9. 동물플랑크톤의 연도별(년도별) 출현량 변동 (2001~2006) 143

그림 3.2.10. 동물플랑크톤의 연도별 출현종수 변동 143

그림 3.2.11. 발전소 냉각계통 통과에 따른 연중 계절별 사망률 변동 145

그림 4.1.1. 2006년도 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조사정점에서 해조류 출현종수의 계절변화. 161

그림 4.1.2. 2006년도 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조사정점에서 해조군집 현존량 (g dry wt/㎡)의 계절변화.... 163

그림 4.1.3. 2006년도 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조사정점에서 해조군집 종다양성지수(H')의 계절변화.... 163

그림 4.1.4. 2006년 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조사정점 간의 출현종수. 164

그림 4.1.5. 2006년 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조사정점 간의 평균 현존량 (g dry wt/㎡).... 165

그림 4.1.6. 2006년 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조사정점 간의 종 다양성 지수(H').... 166

그림 5.1.1. 영광원전 조하대에서 저서동물 군집의 종조성(2006년) 168

그림 5.1.2. 영광원전 조하대에서 저서동물 군집의 정점별 종수 분포(2006년) 170

그림 5.1.3. 영광원전 조하대에서 저서동물 군집의 계체 조성(2006년). 172

그림 5.1.4. 영광원전 조하대에서 저서동물 군집의 정점별 개체수 분포(2006년) 173

그림 5.1.5. 영광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중 개체수의 우점종의 분포(2006년).... 181

그림 5.1.6. 영광원전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현존량 조성(2006년). 184

그림 5.1.7. 영광원전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정점별 현존량 분포(2006년). 185

그림 5.1.8. 영광원전 조하대 저서동물 중 현존량에서 우점종의 분포(2006년)... 186

그림 5.1.9. 영광원전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정점별 종다양도(H')(2006년). 191

그림 6.1.1.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소형저인망에 채집된 어류의 출현종수, 개체수, 생체량 및 종다양성지수(H')의 변화(2006) 216

그림 6.1.2. 동계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주요 어종의 체장분포 (2006). 217

그림 6.1.3. 춘계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주요 어종의 체장분포 (2006). 218

그림 6.1.4. 하계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주요 어종의 체장분포 (2006). 219

그림 6.1.5. 추계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주요 어종의 체장분포 (2006). 220

그림 6.1.6. 영광원자력발전소 취수구스크린에 채집된 어류의 출현종수, 개체수, 생체량 및 종다양성지수(H')의 변화 (2006) 221

그림 6.1.7. 영광원자력발전소 취수구스크린에 채집된 우점종인 복섬, 웅어, 눈강달이의 체장분포 (2006년 춘계). 222

그림 6.1.8. 영광원자력발전소 취수구스크린에 채집된 우점종인 가숭어, 전어, 반지, 조피볼락, 밴댕이의 체장분포 (2006년 하계). 223

그림 6.1.9. 영광원자력발전소 취수구스크린에 채집된 우점종인 가숭어, 풀반댕이, 청멸, 주둥치, 날개망둑의 체장분포 (2006년 추계). 224

그림 6.1.10. 영광원자력발전소 취수구 스크린(Travelling screen)에 채집된 어류의 출현종수, 개체수, 생체량 및 종다양성지수(H')의 변화 (1996~2006년) 225

그림 6.2.1. 부산(고리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연안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236

그림 6.2.2. 부산(고리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근해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236

그림 6.2.3. 경남(고리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연안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237

그림 6.2.4. 경남(고리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근해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237

그림 6.2.5. 경북(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연안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238

그림 6.2.6. 경북(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근해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238

그림 6.2.7. 전남(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연안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239

그림 6.2.8. 전남(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근해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239

그림 6.2.9. 전북(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연안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240

그림 6.2.10. 전북(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 주요 근해어업의 17년간 어획량 변동 240

그림 7.2.1. 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조류의 출현분류군에 따른 분포 현황.... 272

그림 7.2.2. 상반기 영광원자력발전소 출현조류 분류군별 비율현황.... 274

그림 7.2.3. 하반기 영광원자력발전소 출현조류 분류군별 비율현황.... 275

초록보기 더보기

본 보고서는 2006년도에 계절별로 수행한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 일반환경 조사결과이며, 조사항목으로는 해양물리학적 특성, 해양수질 및 퇴적물특성, 해양생물학적 특성(플랑크톤, 해조류, 저서동물, 어류) 그리고 육상식물(초본류) 및 육상동물(조류) 특성이다. 그 결과 영광 원자력발전소 가동으로 인한 발전소 주변에서 특이할 만한 생태계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전반적으로 주변자연 환경특성과 유사한 분포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가. 해안 물리적 특성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반해역에서의 2006년도 상반기 해수특성 중 표층수온은 동계 창조시에 3.5~14.2℃, 낙조시에 3.8~14.6℃로 조사되었으며, 춘계 창조시에 15.8~25.5℃, 낙조시에 15.3~24.7℃로 조사되었다. 하계 창조시에 28.2~37.2℃, 낙조시에 29.6~38.0℃로 조사되었으며, 추계 창조시에 12.4~22.5℃, 낙조시에 13.2~22.6℃로 조사되었다. 또한 표층염분은 동계 창조시 32.2~32.5‰, 낙조시 32.1~32.4‰를 보였으며 춘계 창조시 31.3~31.9‰, 낙조시 31.6~31.9‰로 조사되었다. 하계 창조시 30.3~31.2‰, 낙조시 30.4~31.2‰를 보였으며 추계 창조시 32.1~32.4‰, 낙조시 32.1~32.4‰로 조사되었다. 발전소 온배수로 인해 자연해수보다 수온 1℃ 이상 상승한 해역은 동계 창조시 8.0km, 낙조시 8.0km, 춘계 창조시에 6.0km, 낙조시에 7.0km, 하계 창조시 5.5km, 낙조시 8.0km, 추계 창조시에 7.0km, 낙조시에 5.5km로 조사되었다.

나. 해양 수질 및 퇴적물 특성

(1) 해양 수질

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의 환경조사를 실시한 결과 일반수질 항목 중 pH와 DO는 환경부에서 고시한 해역별 수질환경기준에 의거 해역수질 I등급에 해당되었으며, COD의 경우 대부분 정점에서 I~II등급으로 분류되었다. 부유물질의 함량은 영광 연안해역의 경우 미세한 퇴적물의 수직적 혼합이 활발하여 매우 농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보였다. 총 질소와 인산염 인의 함량은 전 계절에 걸쳐 환경부에서 고시한 해역별 수질환경기준 수질 I등급에 해당되었으며, 기타 원소 및 미량 중금속은 미량으로 분석되었다. 전반적으로 발전소 가동으로 인한 특이할 만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2) 해암 퇴직물

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 해양퇴적물의 평균입도는 동계 4.65 φ, 춘계 4.65 φ, 하계 6.09 φ, 추계 4.50 φ 로 동, 춘계에 입도가 가장 조립하고, 하계에 가장 세립한 것으로 나타났다. 퇴적물의 강열감량은 동계 1.63~9.43%, 춘계 2.50~8.00%, 하계 1.10~3.79%, 추계 0.84~2.65%로 춘계에 가장 높게 나타나, 봄철의 높은 생물생산성과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퇴적물의 금속원소 농도는 동계와 춘계의 경우 다소 높은 농도를 보였는데, 이때의 평균입도와 강열감량과의 상관성과 중금속의 함량을 비교해 보았을 때 입도분포와 강열감량 사이에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입도가 세립해짐에 따라 금속원소들의 함량이 높게 나타나지도 않았다. 그러나 하계와 추계에는 금속원소의 함량이 퇴적물의 입도와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내, 이들 원소의 분포가 주로 세립퇴적물의 양에 기해 조절되는 것으로 보인다.

다. 해양 생물학적 특성

(1) 식물플랑크톤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의 총 출현종수는 155종으로 예년과 유사한 출현종수를 보였고 계절별로는 69~79종으로 하계에 가장 많은 출현종수를 보였다. 계절별 평균 현존량은 123,256~639,492 cells/ℓ 범위로 동계에 가장 낮았고 추계에 가장 높았다. 식물플랑크톤 중 주요 우점종은 규조류인 Asterionellopsis kariana, Cylindrotheca closterium, Detonula pumila, Paralia sulcata, Skeletonema costatum, Thalassiosira sp.등이었으며, 계절에 따라 주요 우점종 조성에 다소 차이는 있었으나 대체적으로 예년과 유사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의 총 chlorophyll-α 농도는 1.56~7.38 ㎍/ℓ 로 하계에 가장 높았고 추계에 가장 낮았다. 종 다양성 지수는 계절별로 평균 1.8~2.7의 범위로 예년보다 다소 높았다. 냉각계통 통과 후 식물플랑크톤의 성장 저해율은 평균 -0.04~70.7%로 예년과 유사하였다.

크기가 매우 작은 미소형 편모류의 평균 현존량은 175~1,230 cells/㎖ 로 나타났고 동계에 가장 낮았고 하계에 가장 높은 생물량을 나타냈다. 종속영양 미소형 편모류와 자가영양 미소형 편모류의 현존량은 전체 미소형 편모류의 현존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각각 37.7~80.1%와 19.9~62.3%로 나타났다. 냉각계통 연행 후 미소형 편모조류의 생물량은 하계에 51.3%로 가장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동물플랑크톤

2000년부터 2006년까지 영광원자력 발전소에서 출현하는 동물플랑크톤의 출현량과 종수는 채집네트를 교체한 2001년 이후에 큰 감소를 보였다. 이는 망목 크기의 증가로 인한 결과이며, 이를 제외하고, 모두 비슷한 출현양상을 나타냈다. 또한, 동물플랑크톤은 종에 따라 크기가 매우 다양하므로, 각 계절별 및 조사정점간의 출현개체수의 차이가 현존량의 차이를 대변할 수는 없다. 출현분류군의 수에서도 출현양상이 년도별 및 계절별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발전소에서 배출된 온배수가 조사해역의 동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발전기 가동에 따른 동물플랑크톤의 사망률 또한 2001년을 제외하고는 계절에 상관없이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 발전기 가동에 따른 동물플랑크톤의 사망률이 일정 수준을 유지함을 확인했다. 배수구에서의 현존량과 출현분류군수가 대조구를 포함한 주변해역과 크게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아 발전소 가동이 동물플랑크톤의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은 낮을 것으로 사료된다.

각 년도별 그리고 계절별 우점종의 출현비율과 구성은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이는 대체적으로 우리나라 서해연안에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모습이다.

(3) 해조류

2006년 4계절에 영광원자력발전소 인근해역의 취수구 내면, 취수구 외면, 배수군 외면, 대조구를 조사지점으로 해조군집의 종조성, 군집구조, 현존량, 종 다양성 및 균등성 지수를 분석하였다. 조사동안 출현한 해조류는 28종이었고 남조류, 녹조류, 갈조류, 홍조류 각각 3종, 7종, 3종, 15종류이었다. 2005년 32종류, 2004년 31종, 2003년 34종, 2002년 30종에 비하면 약간의 출현종수 감소가 있었는데, 이전까지 꾸준히 출현했던 개미역쇠(Petalonia fascia), 게발류(Amphiroa sp.), 잎꼬시래기(Gracilaria textorii)가 제외된 결과이고 주요 분류군 수준의 구성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계절별 출현종수는 동계, 춘계, 하계, 추계 각각 20, 24, 24, 22종류로 큰 차이가 없었다. 다년간 이와 같은 조사결과는 대체로 동계에 출현종의 감소를 보여주고 있다. 조사지점 간의 연중 출현종수는 취수구 외면에서 모든 종이 출현하였고, 취수구 내면에서 21종류, 대조구에서 18종류, 배수구 외면에서 16종류가 출현하였다. 조사지점 간의 출현종수 순위와 구성에 있어서 지난 다년간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간대 해조군집의 현존량은 연평균 2.21 g dry wt m-²이었고 춘계에 2.48, 하계에 2.40, 추계에 2.08, 동계에 1.88 g dry wt m-²이었다. 조사지점 간의 해조류 현존량은 취수구 외면에서 연평균 6.43, 취수구 내면에서 1.45, 대조구에서 0.68, 배수구 외면에서 0.28g dry wt m-²으로 취수구 외면을 제외하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내었다. 구멍갈파래(Ulva pertusa), 우뭇가사리(Gelidium amansii), 애기우뭇가사리(Gelidium divaricatum), 작은구슬산호말(Corallina pilulifera), 애기가시덤불(Caulacanthus okamurae) 등의 일부 종에 의한 생물량치 해조군집 현존량의 시공간적 분포를 결정하였다.

해조군집의 종 다양성 지수는 동계 1.50, 춘계 1.58, 하계 1.70, 추계 1.67이었다. 조사지점 간에는 취수구 외면에서 연평균 2.02, 취수구 내면에서 1.57, 배수구 외면에서 1.45, 대조구에서 1.31이었다. 전반적으로 해조군집의 종 다양성 지수가 낮게 나타나는데, 소수 출현종과 빈약한 현존량으로 조사해역의 해조군집이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4) 해양저서동물

영광원전 주변의 조하대에서 2006년에 조사된 저서동물은 총 101종, 평균 424개체/㎡, 평균 47.27g/㎡이었다. 우점종은 개체수에서 환형동물의 버들갯지렁이류(Heteromastus sp.), 오뚜기갯지렁이(Sternaspis scutata), 미갑갯지렁이류(Glycera spp.) 그리고 극피동물의 가시닻해삼(Protankyra bidentata), 절지동물의 옆새우류(Gammaridea spp.) 등으로 이들 5종이 전체의 58.3%를 차지하였다. 현존량에서는 극피동물의 가시닻해삼(Protankyra bidentata)과 환형동물의 버들갯지렁이류(Heteromastus sp.) 그리고 절지동물의 옆길게류(Tritodynamia spp.) 등으로 이들 3종이 전체 생물량의 68,3%를 차지하였다.

(5) 어 류

2006년에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소형 저인망에 의한 4회의 조사에서 3개 조사정점을 합한 45,000㎡를 단위면적으로 하여 채집된 어류는 총 47종, 24,364개체 295.0kg이었다. 출현 종수는 하계(8월)에 25종으로 가장 많았고, 춘계(6월)에 20종, 추계(12월)에 16종 및 동계(4월)에 14종의 순이었다. 개체수는 춘계에 16,834개체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하계에 3,718개체, 추계에 2,605개체 및 동계 1,207개체의 순이었으며. 청멸(Thryssa kammalensis)은 춘계에 12,429개체가 채집되이 전체 출현 개체수의 50% 이상을 차지하였다. 생체량은 춘계에 142.7kg이 채집되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동계 87.7kg, 추계 44.9kg 및 하계 19.7kg의 순이었다. 조사기간 동안 영광원전 주변해역에서 우점하였던 어류는 청멸, 민태(Jihnius grypotus), 전어(Konosirus punctatus), 쉬쉬망둑(Chaeturichthys stigmatias), 가숭어(Chelon haematocheilus) 및 참서대(Cynoglossus joyneri)이었으며, 나머지 종들은 적게 채집되었다. 본 해역에서 개체순와 생체량에 의한 종다양성지수(H')는 각각 1.699와 2.080으로 나타났으며, 계절별로는 하계에 가장 높았고, 춘계에 낮았다. 영광원자력발전소 취수구 스크린에 충돌하여 채집된 어류는 총 50종 75,497개체 399.9kg이었다. 겨울에 10종 11,536개체 59.6kg이었으며, 봄에 18종 249개체 3.8kg이었다. 여름에 20종 672개체 7.2kg이었으며, 가을에 34종 63,040개체 329.3kg이었다. 출현종수는 가을에 높았고 봄과 여름은 비슷하며 겨울에 낮았다. 개체수는 겨울에 채집량은 많았으나 여름까지 계속 감소하다가 가을에 크게 증가하였다. 생체량은 가을에 최고를 보였으며, 그다음 겨울에 많이 채집되었고 봄과 여름에는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종다양성지수 개체수에 의한 종 다양성지수 H'(N)는 봄과 여름에 높고 겨울과 가을에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생체량에 의한 종 다양성지수 H'(W)는 겨울을 제외한 타 계절에 비슷한 경향을 보였는데. 여름철이 제일 높았다.

라. 육상 생태계

(1) 육상식물

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 식물의 외관상 이상 징후를 파악하기 위하여 추계에 각 중점조사지점에 대한 현장 답사를 통하여 발전소 주변에 생육하는 42분류군, 망덕산 26분류군, 덕림산 36분류군, 한제산 25분류군 등 총 75분류군의 관속식물에 대한 외관을 관찰하였다. 또한 환경의 변화에 가장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잎과 화부기관에 대하여 외관상 이상 현상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엽선, 엽연, 엽맥의 생장 장애나 잎 표피의 분리현상, 잎의 황화ㆍ백화현상, 꽃의 변색ㆍ탈색현상 등 환경오염의 원인에 의한 것이라고 판단되는 비정상적인 현상들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식물체의 영양기관이나 생식기관은 모두 외관상 정상적인 생육상태를 보였다.

단, 원전 주변이나 도로변에 생육하는 일부 식물에서 잎의 표면이 미세한 분진에 의해 다소 색깔이 퇴색되어 있거나 광택이 미약한 상태를 보이기는 하나, 이러한 현상은 식물의 생육에 장애를 초래할 정도는 아닌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대조구 주변의 도로공사 측정을 위해 수목이 베어지고 있어, 대조구의 훼손이 우려 된다.

식생 조사에서는 각 조사구의 계층 구조, 교목 아교ㆍ목층의 층상구조 변화, 관목ㆍ초본층의 층상구조 변화, 교목과 아교목의 흉고직경 급별 분포 및 흉고면적, 교목과 아교목의 상대우점치, 출현 분류군의 다양성 등이 관찰되었다. 그 결과, 조사구 1에서는 교목층에 곰솔, 아교목층에 갈참나무, 관목층에 진달래, 초본층에 주름족개풀이, 조사구 2에서는 교목층에 사방오리, 아교목층에 졸참나무, 관목층에 졸참나무, 초본층에 대사초가, 조사구 3에서는 교목층에 소나무, 아교목층에 벚나무, 관목층에 갈참나무, 초본층에 주름조개풀이, 대조구에서는 교목층에 소나무, 아교목층에 소나무, 관목층에 졸참나무, 초본층에 주름조개풀이 각각 우점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사지역은 냉온대 삼림대 남부(Cool temperature forest, southern zone)에 해당되며, 낙엽활엽수림이 특징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일부 상록활엽수 및 상록침엽수들도 혼생하고 있었다. 이번 조사에서 확인된 관속식물 수는 83과 188속 258종 44변종 5품종으로 총 307분류군이었으며, 새로이 확인된 식물은 도깨비바늘, 두릅나무, 줄딸기, 황고사리 4분류군이 추가되었다. 출현종의 수는 향후 조사가 이루어질 경우 지속적인 분류군 수의 증가가 예상된다.

또한 법적인 보호종(멸종, 보호, 천연기념물) 또는 국내 생태계 위해종의 분포상황은 확인된 것이 없었다. 그러나 조사지역에 대한 세밀하고 광범위한 조사가 이루어질 경우 이들의 생육이 확인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조사된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영광원자력발전소 가동으로 인한 식물의 외관상 이상 징후는 나타나지 않았고, 의미를 부여할 만한 식물상과 식생의 변화는 찾아 볼 수가 없었다.

(2) 육상동물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 지역에서 관찰된 조류는 총 11목 25과 42종 2,144개체가 관찰되었다. 최우점종은 괭이갈매기 Larus crassirostris(57.37%, 1230개체)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까치 Pica pica(8.91%, 191개체), 참새 Passer montanus(8.12%, 174개체), 직박구리 Hypsipetes amaurotis (4.52%, 97개체)의 순으로 나타났다. 각 기간별 출현종과 개체수를 보면 상반기 29종 1219개체, 하반기 26종 925개체로 종수와 개체수 모두 상반기가 하반기 보다 많이 관찰되었다. 조사 기간 중 종다양도를 비교해 보면 상반기가 1.82로 높았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