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21세기 한국의 국가안보전략 / 최종철 [외] 저 ; 국회 국방위원회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국회 국방위원회, 2007
청구기호
355.033051 ㅇ287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151 p. ; 30 cm
출처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MONO1200733431
주기사항
국회 국방위원회 정책연구용역과제 연구보고서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 7

I. 서론: 기회와 도전의 분수령 7

II. 한국안보전략의 시각과 패러다임 및 특성 8

III. 한국의 안보역량과 안보환경: 현재와 전망 10

IV. 한국의 국가안보 목표 12

V. 한반도 안보전략 : 안보와 경제협력 통한 한반도 안정과 질서 14

VI. 아시아 안보전략 17

VII. 세계 안보전략: 중급국가의 Follwership+Leadership 양면전략 19

VIII. 전략 추진 지원 조치/제안 고려사항 20

IX. 결론 21

I. 서론: ‘기회와 도전의 분수령’ 탄생 25

1. 연구의 중요성 28

2. 연구의 목적 29

3. 연구의 구성 30

제 1 부 31

II. 한국 안보전략의 시각, 패러다임 및 특성 31

1. 한국적 안보 시각: 다각 복합안보 31

2. 한국의 안보 패러다임: 다중심 세계의 함께하는 안보 37

3. 한국의 국가 안보전략 체계: 한국형-목표지향형 안보체제 42

III. 한국의 안보역량과 안보환경: 현재와 전망 44

1. 한국의 안보역량 평가 44

2. 안보환경과 정세 52

가. 현시적 및 잠재적 위협 53

나. 국내 안보 취약성 58

다. 안보 환경/정세의 불확실성 61

3. 2020년 안보환경/정세 전망 73

가. 미국의 패권 유지 74

나. 아시아의 세기 77

다. 미국 패권 질서의 불안정 78

IV. 한국의 국가안보 목표 81

1. 단ㆍ중기(2008-2012) 국가안보 목표 82

2. 중장기(2020-2030) 국가안보 목표 84

제 2 부 85

V. 한반도 안보전략: ‘안보와 경제‘ 협력 통한 한반도 안정과 질서 85

1. 전략 기조 85

2. 대북한 안보-협력 전략: 북한의「평화적 변화와 정상국가화」와 남북관계 질적 개선 87

3. 한반도 안정의 제도화 전략:「한반도 안보-평화 레짐」 형성 및 「동북아 안보협의기구」창설 95

4. 국내안보 자강(自彊) 전략 100

VI. 아시아 안보전략 106

1. 전략 기조 106

가. 한국 안보 지평 확대: 동북아를 넘어 아시아로 107

나. 아시아 안보전략의 틀 108

다. 안보-경제 협력 조정자/중재자 역할 109

2. 미중의 역학관계에 대한 대응전략 111

3. 한미동맹 공고화 전략 117

1) 대북정책 조율 121

2) 주한미군 재배치 및 감축 122

3)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123

4) 주한미군 전략적 유연성 125

5) 유엔사 개편 126

6) 방위비분담 126

7) 한미 대화채널 확대 127

4. 범아시아 지역 복합적 쌍무/다자 안보협력체제 구축 전략 128

VII. 세계 안보전략: “중급국가의 followership+leadership” 양면 전략 140

1. 전략기조 140

2. 세계 중급국가 안보 연대 구축 143

3. 국제안보 협력동반자 역할 확대 144

4. 초국가 안보쟁점: 에너지 및 환경 안보 전략 145

제 3 부 150

Ⅷ. 전략 추진 지원 조치/제안 150

1. 안보정책결정체계 개선 150

2. 국회 안보정책 감독(oversight) 기능 강화 방안 152

3. 안보/군사원조 확대 방안 153

4. 국제 안보 외교 및 정보 역량 강화 방안 155

5. 국방태세 강화 조치: 전략군과 「평화-안정군」 창설 157

IX. 결론 158

참고문헌 161

[국 문] 161

[영 문] 163

부 록 166

중급국가의 전략 이해 166

초국가적 안보 쟁점: 에너지 환경 안보 169

2008-2012 중일 안보외교 전략 170

다자 안보협력의 정의, 의미 및 목적 172

2008-2012 주변4강의 동북아 다자안보협력 관련 시각 174

표 Ⅲ-1) 남북한 경제력 변동 추이, 1998-2006 45

표 Ⅲ-2) 한국 군사력의 위상(2005년) 46

표 Ⅲ-3) 세계 주요 국가의 국내총생산(GDP at PPP. billion $) 47

표 Ⅲ-4) 세계 주요 국가 국력지수(Power Index) 47

표 Ⅲ-5) 주요국가의 국력 지수 변화 48

표 Ⅲ-6) 미국의 아ㆍ태 민주주의 협조체제 구축 노력 64

표 Ⅲ-7) 미국과 중국의 아시아 안보정책 비교 66

표 Ⅲ-8) 일본과 중국의 군사력 증강 전망 67

표 Ⅲ-9) 동북아 지역 주요 국제 이벤트, 2008-2012 71

표 Ⅲ-10) 각국의 국내총생산(GDP at PPP. billion $) 75

표 Ⅲ-11) 국력지수(Power Index) 76

표 Ⅲ-12) 주요 지역의 세계 GDP 비율 78

표 Ⅲ-13) 주요국가의 국력 지수 변화 80

표 Ⅳ-1) 한국의 국가안보 핵심 가치: 국가이익/목표 81

표 Ⅴ-1) 북한체제의 4대 비정상 특징 88

표 Ⅴ-2) 북한 핵의 군사적 대비 전략 92

표 Ⅴ-3) 6자회담의 북핵문제 해결 로드맵 94

표 Ⅴ-4) 선진국 진입을 위한 달성 과제 106

표 Ⅵ-1) 미중 소비지출 시장 규모 변화 추이 113

표 Ⅵ-2) 미국의 차별적 무기 판매 규정 121

표 Ⅷ-1) 주요 유럽 국가의 위기관리 신속대응군 규모(2000년) 158

표 부록-1) 안보협력 수준 비교 173

표 부록-2) 안보협력 형태 174

그림Ⅱ-1) 한국 포괄적 안보 요소의 구성도 33

그림Ⅱ-2) 한국 안보전략의 지역 동심원 구도 34

그림Ⅲ-1) 해양세력과 대륙세력 사이의 한국: 아태지역 안보역학 구도 63

그림Ⅲ-2) 2020년 힘의 배분 상황 전망 77

그림Ⅴ-1) 차기 대통령 선정 기준 105

그림Ⅵ-1) 미국과 중국의 아시아 동맹 진영 111

그림Ⅵ-2) 전시 작통권 전환 전후 한미군사방위체제 118

그림Ⅵ-3) 전시 작통권 전환 이후 군사협조체제 119

그림Ⅵ-4) 에치슨 라인(Acheson Line) 120

그림Ⅵ-5) 아시아 4대 권력 안보협력 기구 구도 130

그림Ⅵ-6) 동북아 다자 안보협력체의 복합적 연계 구도 132

그림Ⅵ-7) 동북아 군사안보 협력 기구 구상 139

그림Ⅵ-8) 동북아 다자 협력안보 레짐 구상도 140

그림Ⅷ-1) 참여정부의 국가안보회의 조직체계 152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248405 355.033051 ㅇ28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불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