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국방규격 체계정립 및 국제규격 수준화 / 국방기술품질원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국방기술품질원, 2007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형태사항
xviii, 586 p. : 삽화, 도표 ; 30 cm
제어번호
MONO1200812795
주기사항
주관연구기관: 국방대학교
"민ㆍ군규격통일화사업"의 연구과제임
연구책임자: 최석철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요약문

SUMMARY

목차

제1장 서론 21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21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24

제2장 규격/표준 및 국방표준화에 관한 일반적 고찰 26

제1절 규격/표준 개요 26

제2절 국방 규격/표준 29

제3절 국방 표준화 31

제3장 표준화 추진전략 및 국방표준제도 개선방안 34

제1절 국내·외 규격/표준 동향 조사분석 34

제2절 국방표준화 로드맵 분야별 세부 추진방안 62

제3절 국방표준화 세부추진사업 도출 및 추진방법 83

제4절 국방표준화 정보체계 발전방안 109

제5절 소결론 151

제4장 국방규격의 성능형 규격 작성 152

제1절 성능형 규격 개요 152

제2절 미국 및 국내 성능형 규격 동향 160

제3절 성능형 규격 작성절차 정립 및 작성 178

제4절 성능형 적용에 따른 분야별 개선방안 197

제5절 소결론 202

제5장 부품단종 조치방안 수립 및 적용 204

제1절 부품단종 개요 204

제2절 주요국 부품단종 관리 동향 206

제3절 부품단종 조치 및 적용방안 226

제4절 소결론 249

제6장 국방규격 작성체계 선진화 방안 250

제1절 국방/민간 표준 개요 250

제2절 국내·외 규격 작성체계 동향분석 266

제3절 국내 국방규격/표준 작성체계 실태분석 279

제4절 국방규격/표준 작성체계 선진화 방안 295

제5절 소결론 308

제7장 결론 310

참고문헌 312

부록 316

목차 317

1. 국방표준화 로드맵 2007 318

2. 미국 합동표준화 위원회(Policy Memo 07-1) 320

3. 전지/발전기 목록 현황 323

4. 미국 국방규격 및 표준목록 개요(DoDISS) 377

5. 미국 국방표준화 활동영역 할당(SD-1) 380

6. 미국 표준화정보체계(ASSIST) 구성 394

7. 미국 국방규격 및 표준 검색방법(www.assistdocs.com) 405

8. 소화펌프 성능형 규격(안) 412

9. 회로카드 조립체 성능형 규격(안) 418

10. 미국 성능형 규격 가이드(SD-15) 424

11. 미국 부품단종 관리도구(DMSMS Tools & Management Aids) 458

12. 부품단종관리규정(안) 469

13. 국방규격에서 국방표준으로 분류할 대상(총 60건) 478

14. 무기체계 도면번호 부여 WBS 483

15. 미국 3차원도면 표준(DIGITAL PRODUCT DEFINITION DATA PRACTICES ASME Y14.41-2003) 494

FOREWORD(서문) 495

목차 496

1. 개요 499

1.1. 범위 499

1.2. 표준의 구조 499

1.3. 3차원 도면 499

1.4. 이 표준의 참고 499

1.5. 단위(Unit) 500

1.6. 3차원 도면안의 텍스트(Text in Figures) 500

1.7. 기호(Symbols) 500

1.8. References(참고문서) 500

1.9. 정의와 용어 500

1.9.1. 정의 500

1.9.2. 용어 501

2. 데이터 세트 인식과 통제 502

2.1. 일반 502

2.1.1. 데이터 세트 인식자 502

2.1.2. 제도 인식 503

2.1.3. 부품 및 인식 번호 503

2.2. 관련 데이터 503

2.3. 데이터 관리 504

2.3.1. 관리 시스템 504

2.3.2. 승인 504

2.3.3. 저장 및 유지(보존) 504

2.3.4. 개정된 히스토리(History) 504

3. 데이터 세트 요구사항 504

3.1. 일반 504

3.1.1. 기본적인 표시 및 공차 요구사항 504

3.1.2. 설계 모델 요구 사항 505

3.2. 일반적인 모델 요구사항 505

3.2.1. 결합성 505

3.2.2. 모델 좌표계 506

3.2.3. 보조 평면 도형의 어플리케이션 506

3.2.4. 완전히 모델화가 안된 부품 3차원 도면 506

3.3. 일반적인 방법 요구사항들 506

3.3.1. 하나의 모델(Model only) 506

3.3.2. 모델과 제도 508

3.4. 관리 데이터 508

3.4.1. 데이터 세트안에서 관리 데이터 508

3.4.2. 모델상의 관리 데이터 508

3.5. 보안 표시 509

3.5.1. 모델상의 보안 표시 위치 509

3.5.2. 정부, 국방부, 그리고 연방 기관 보안 표시 509

3.5.3. 기업 보안 표시 510

3.5.4. 정부 고시, 성명과 발췌(설명문) 510

3.6. 모델상의 시점 511

4. 설계 모델 요구사항 512

4.1. 일반 512

4.1.1. 기하학상의 배율, 단위, 그리고 정확도 512

4.1.2. 모델 완성도 512

4.1.3. 조립 모델 완성도 512

4.1.4. 설치 모델 완성도 513

5. 제품 정의 데이터의 기본 요구사항 513

5.1. 기본 요구사항들 513

5.1.1. 표시 관리 513

5.1.2. 하드카피 513

5.2. 모델 요구사항들 513

5.2.1. 결합성 513

5.2.2. 속성. 513

5.2.3. 주석면. 514

5.2.4. 지시선. 514

5.2.5. 방향 비독립 공차. 514

5.2.6. 공차의 표시 제한 어플리케이션. 514

5.2.7. 쿼리. 516

5.3. 설계 요구사항들 526

5.3.1. 수직 시점. 526

5.3.2. 축특투영법 시점. 526

6. 노트와 특별한 주석들 530

6.1. 기본 요구사항들 530

6.2. 모델 요구사항들 530

6.2.1. 노트 영역 주석면 530

6.2.2. 일반적 노트 531

6.2.3. 지역 노트(국부적 노트) 531

6.2.4. 깃발 노트 531

6.2.5. 특별한 주석 531

6.3. 설계 요구사항들 531

6.3.1. 축특투영법 시점에서의 지역 노트 531

7. 모델값과 치수 531

7.1. 기본 요구사항들 531

7.1.1. 확정된 치수 532

7.2. 모델 요구사항들 532

7.2.1. 기본 치수 532

7.2.2. 크기 치수 533

7.3. 설계 요구사항들 534

7.3.1. 축측투영법 시점에 치수의 표현 534

8. 양과 음 공차 535

8.1. 기본 요구사항들 535

8.2. 모델 요구사항들 535

8.2.1. 쇠시리(홈을 팜) 535

8.2.2. 깊이 규격 535

8.3. 설계 요구사항들 535

9. 자료 어플리케이션 538

9.1. 기본 요구사항들 538

9.2. 모델 요구사항들 538

9.2.1. 자료 참조들과 모델 좌표계 538

9.2.2. 자료 3차원 도면의 인식 539

9.2.3. 데이터 표적 인식 및 붙임 540

9.2.4. 다중 3차원 도면이 설립된 자료. 540

9.3. 제도 요구사항들 542

10. 기하학적 공차들 545

10.1. 기본 요구사항들 545

10.2. 모델 요구사항들 545

10.2.1. 형식 공차 545

10.2.2. 방향 공차 547

10.2.3. 윤곽 오차. 547

10.2.4. 위치 공차. 548

10.2.5. 흔들림 공차 550

10.3. 제도 요구사항 551

10.3.1. 모든 기하 공차에 적용할 수 있는 요구사항 551

10.3.2. 형태(Form) 공차 551

10.3.3. 방향오차 552

10.3.4. 윤곽 공차 552

10.3.5. 위치 공차 552

10.3.6. 제도상의 흔들림 오차 552

필수 부록 I. 기호들 598

RELATED DOCUMENTS 599

16. 약어정리 600

〈표 2-1〉 국가표준과 기술기준의 구분 26

〈표 3-1〉 정책과제별 2007년도 주요 추진내용 43

〈표 3-2〉 국내 인증시장 규모 46

〈표 3-3〉 정부규격 보유현황 48

〈표 3-4〉 한국산업표준 현황 49

〈표 3-5〉 한국산업표준의 국제규격 부합화 현황 50

〈표 3-6〉 부처별 정부규격 통일화 추진현황 51

〈표 3-7〉 미국 활성(Active)규격 분류 55

〈표 3-8〉 미국의 성능형 규격 현황(active) 55

〈표 3-9〉 국방규격/표준 관리체계 57

〈표 3-10〉 국방규격(정식) 제정현황 61

〈표 3-11〉 국방규격 연도별/기관별 현황 61

〈표 3-12〉 전지목록 현황 92

〈표 3-13〉 납 축전지 그룹화(안) 95

〈표 3-14〉 국외도입전지의 국산품 대체(안) 96

〈표 3-15〉 니카드전지 그룹화(안) 97

〈표 3-16〉 발전기목록 현황 98

〈표 3-17〉 군수관리관실(군수관리팀) 주요 업무 101

〈표 3-18〉 군수조달 실무위원회 심의안건 102

〈표 3-19〉 군수품 표준화 대상품목 선정을 위한 검토목록(안) 105

〈표 3-20〉 군수품 표준화 제외품목 선정을 위한 검토목록(안) 105

〈표 3-21〉 요구도 분석시 검토 목록(안) 107

〈표 3-22〉 표준화 관리조직 및 책임 113

〈표 3-23〉 ASSIST Data 제공 현황 121

〈표 3-24〉 한국산업표준의 분류현황 128

〈표 3-25〉 KH2-1 이외의 군급번호 부여 130

〈표 3-26〉 군급번호 분류체계 131

〈표 3-27〉 국방표준화 관련 정보체계 135

〈표 4-1〉 성능형 규격 관련 국내 연구 현황 155

〈표 4-2〉 성능형 규격과 상세형 규격의 정의 156

〈표 4-3〉 성능형 규격과 상세형 규격의 비교 157

〈표 4-4〉 성능형 규격과 상세형 규격 각 항목별 비교 158

〈표 4-5〉 미 국방규격/표준 현황 161

〈표 4-6〉 성능형 규격 세부 분류 161

〈표 4-7〉 미국의 제품인증목록(QPL) 현황 171

〈표 4-8〉 성능형 규격 관련 제도 173

〈표 4-9〉 미 국방규격개혁 전·후 변경된 성능형/상세형 규격 분류체계 174

〈표 4-10〉 기관별 성능형규격 제정현황(2003~2006년) 175

〈표 4-11〉 성능형 규격 상세현황(2003~2006년) 175

〈표 4-12〉 기술검토 단계별 활동 183

〈표 4-13〉 시장조사시 상용품 적용 및 성능형 규격 적용대상 판단을 위한 기술검토 목록(안) 192

〈표 4-14〉 성능형 규격 적용을 위한 추가 품질보증 활동 200

〈표 5-1〉 미국의 부품관리 규정변천 과정 207

〈표 5-2〉 미국의 부품단종 관리 규정 및 지침 210

〈표 5-3〉 DMSMS 활동도구의 구분 215

〈표 5-4〉 부품단종 관련 규정 제시(안) 227

〈표 6-1〉 규격서의 종류 254

〈표 6-2〉 한·미 국방규격서 번호체계 비교 255

〈표 6-3〉 규격작성기관과 작성관리기관 257

〈표 6-4〉 KS의 특징적 요소 포함 내용 264

〈표 6-5〉 T-50 규격업무 추진절차 267

〈표 6-6〉 T-50 적용규격 관련근거 268

〈표 6-7〉 T-50 규격관련 기술현황 269

〈표 6-8〉 TA-50 항공기체계 규격 개정내용 271

〈표 6-9〉 표준화 문서를 위한 형식과 내용의 안내 278

〈표 6-10〉 업체별 CAD TOOL 보유현황 289

〈표 6-11〉 `국방규격작성 표준지침`중 상세/중복 서술내용 294

〈표 6-12〉 국방표준 제정대상 298

〈표 6-13〉 `국방규격작성 표준지침`에 인용된 KS의 제목이 다른 경우 305

〈표 6-14〉 개정 및 폐지된 KS를 참고하고 있는 경우 306

〈표 6-15〉 개정 및 폐지된 미군사규격을 참고하고 있는 경우 306

〈그림 2-1〉 국가표준의 구조 및 운영 체계 27

〈그림 3-1〉 2007년도 국가표준 시행계획 수립·추진 체계도 42

〈그림 3-2〉 2007년도 국가표준 기본계획 수립절차 44

〈그림 3-3〉 국방표준화 정책분야 로드맵 63

〈그림 3-4〉 국방표준화 법/규정분야 로드맵 70

〈그림 3-5〉 국방표준화 조직/인력분야 로드맵 72

〈그림 3-6〉 국방표준화 혁신팀(T/F) 구성(안) 74

〈그림 3-7〉 국방표준화 교육훈련분야 로드맵 75

〈그림 3-8〉 국방표준화 정보체계분야 로드맵 78

〈그림 3-9〉 국방표준화 기타분야 로드맵 81

〈그림 3-10〉 미 DSP 관리구조 및 합동표준화 위원회 84

〈그림 3-11〉 표준화 가능전지 현황 94

〈그림 3-12〉 국방부 군수관리관실 조직도 101

〈그림 3-13〉 방위사업청 표준관리부 조직도 102

〈그림 3-14〉 군수품 표준화사업 업무절차(안) 103

〈그림 3-15〉 미 DSP 조직도 111

〈그림 3-16〉 미 DepSO 조직 및 활동영역 112

〈그림 3-17〉 ASSIST 제공 Data 120

〈그림 3-18〉 ASSIST Conceptual Architecture 123

〈그림 3-19〉 ASSIST Main 화면 123

〈그림 3-20〉 Document Details Report 126

〈그림 3-21〉 Document Parameter Screen Report 파라미터 입력 126

〈그림 3-22〉 Document Parameter Screen Report 요약정보 127

〈그림 3-23〉 Document Parameter Screen Report 추가정보 127

〈그림 3-24〉 규격 총람 검색 136

〈그림 3-25〉 규격서 본문 열람 137

〈그림 3-26〉 규격서 본문 137

〈그림 3-27〉 도면열람 138

〈그림 3-28〉 도면검색 138

〈그림 3-29〉 DPMS 도면확인 139

〈그림 3-30〉 외국규격 검색 139

〈그림 3-31〉 KS 규격검색 화면 140

〈그림 3-32〉 국방형상관리정보체계 메인검색화면 141

〈그림 3-33〉 국방형상관리정보체계 규격본문 출력화면 142

〈그림 3-34〉 도면항목 선택 143

〈그림 3-35〉 DCMIS 도면확인 143

〈그림 3-36〉 규격/표준 공통분류목록 제정(안) 146

〈그림 3-37〉 국방표준화 정보체계 운용개념도 147

〈그림 3-38〉 국방표준화 정보체계 세부 운용개념도 148

〈그림 3-39〉 국방표준화 정보체계 운용활동모델 149

〈그림 4-1〉 Mil-Spec Reform 전·후 군사규격/표준의 변화 160

〈그림 4-2〉 Abrams ELRF 162

〈그림 4-3〉 AWACS CLDS 163

〈그림 4-4〉 ARC-210 163

〈그림 4-5〉 JDAM 164

〈그림 4-6〉 성과기반군수(PBL) 범위 및 수행모델 168

〈그림 4-7〉 T-50용 훈련장비 177

〈그림 4-8〉 구성품 레벨에서 성능형으로 규격화된 구성품 177

〈그림 4-9〉 개정된 DoD 5000 획득 프로세스 179

〈그림 4-10〉 TLCSM 체계 180

〈그림 4-11〉 무기체계 연구개발사업관리 기본절차 180

〈그림 4-12〉 T-50 체계규격서 개발(KDS 1510-****) 181

〈그림 4-13〉 SE와 검증 182

〈그림 4-14〉 SE 프로세스와 시험평가 183

〈그림 4-15〉 연구개발 사업시 성능형규격 작성절차(안) 184

〈그림 4-16〉 시험평가 산출물로서의 규격서 186

〈그림 4-17〉 규격의 계층구조 186

〈그림 4-18〉 연구개발사업 성능형규격 작성시 분야별 주요 업무 187

〈그림 4-19〉 부품국산화 사업시 성능형규격 작성절차(안) 189

〈그림 4-20〉 부품국산화사업 성능형규격 작성시 분야별 주요 업무 190

〈그림 4-21〉 규격화 최종단계에서의 성능형 규격 작성(심의) 절차 191

〈그림 5-1〉 미국의 수명주기에서의 Parts Management 207

〈그림 5-2〉 부품수명주기와 비용관계 208

〈그림 5-3〉 미국의 DMS SDW 구축개념 209

〈그림 5-4〉 미국의 DMSMS KSP Capabilities 213

〈그림 5-5〉 미국의 DMSMS 활동영역 214

〈그림 5-6〉 영국의 무기체계 수명주기단계 218

〈그림 5-7〉 영국의 수명주기 단계별 표준화 활동 220

〈그림 5-8〉 미국의 부품 표준화 적용사례 232

〈그림 5-9〉 수명주기동안의 부품단종 관리 방안 237

〈그림 5-10〉 양산단계 부품단종 발생전 관리방안 239

〈그림 5-11〉 양산단계 부품단종 발생후 관리방안 241

〈그림 5-12〉 운영유지단계 부품단종 발생전 관리방안 242

〈그림 5-13〉 운영유지단계 부품단종 발생후 관리방안 244

〈그림 5-14〉 부품단종관리 정보체계 운용개념도 246

〈그림 5-15〉 부품단종관리 정보체계 상세 개념도 248

〈그림 6-1〉 국방규격의 제정 절차 258

〈그림 6-2〉 국방규격의 개정 절차 258

〈그림 6-3〉 국방규격 심의절차 259

〈그림 6-4〉 T-50 규격추진 일정 269

〈그림 6-5〉 T-50 정식규격 개념 270

〈그림 6-6〉 TA-50 정식규격 개념 270

〈그림 6-7〉 MBD모델 구성요소 274

〈그림 6-8〉 보잉 787 적용사례 275

〈그림 6-9〉 국가표준제도/정책 수립 위원회 280

〈그림 6-10〉 산업표준 제정절차 283

〈그림 6-11〉 정보통신표준 제정절차 285

〈그림 6-12〉 ISO/IEC 표준 제정절차 286

〈그림 6-13〉 국방규격/표준 제정절차 287

〈그림 6-14〉 CAD/CAM/CAE 개념이해도 291

〈그림 6-15〉 국방규격 및 표준 표기법 292

〈그림 6-16〉 도면번호 표기법의 문제점 292

〈그림 6-17〉 국방규격/표준 제정절차(안) 299

〈그림 6-18〉 3차원 모델의 2차원 도면 대체 가능 300

〈그림 6-19〉 도면 수정시 오류방지 300

〈그림 6-20〉 3차원 설계의 시간/비용 감소 301

〈그림 6-21〉 3차원 모델을 사용한 CAE 301

〈그림 6-22〉 3차원 설계 데이터의 활용성 302

〈그림 6-23〉 국방규격/표준/핸드북 표기법(안) 303

〈그림 6-24〉 선진화된 도면번호체계(안) 304

초록보기 더보기

I. 제목

국방규격 체계정립 및 국제규격 수준화

o 국방표준화 추진전략 및 국방표준제도 개선방안 연구

o 국방규격의 성능형 규격 작성

o 무기체계 부품단종 조치방안 수립 및 적용

o 국방규격 작성체계 선진화 방안

II.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o 미국 등 주요국들은 국방표준화를 무기체계의 효율적인 획득 및 효과적인 운용의 중요한 분야로 인식하여 국방 표준정책을 국방 획득 전략 및 국가 표준정책과 연계하여 추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각 국가별 특성에 맞는 표준화 정책을 수립하여 운영하고 있음.

o 이에 대하여 국방규격/표준에 대한 주요국의 추진전략을 조사하고 국내 국방표준화의 현실태를 분석하여 국내 국방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국방표준화에 대한 장기적인 발전방안이 필요한 실정임.

o 주요국에서는 획득비용절감과 앞선 민간기술 수용을 위하여 국방표준정책중의 하나로 성능형 규격을 적극 활용하고 있으나, 국내의 성능형 규격에 대한 작성 및 활용은 미약한 실정임

o 또한 현대 무기체계는 점점 정밀화 및 복잡화되고 있으며, 전기, 전자 및 통신 분야의 기술은 매우 빠르게 발전하고 있음. 이러한 첨단기술의 급진적 발전에 따른 부품단종 현상은 무기체계의 운영/유지시 애로사항을 점점 증가시키고 있는 추세임.

III. 연구의 내용 및 범위

o 국내 및 국외 민간분야와 국방분야의 규격/표준 보유현황, 운영절차, 주요 관심분야, 발전방향 및 추진전략 등에 관한 자료를 수집·분석하고, 이를 통해 기 작성된 국방표준화 로드맵을 최신화하며 이를 수용할 수 있는 국방표준화 정보체계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o 성능형 규격 작성 및 이와 관련된 발전방안 제시로 성능형 규격 활성화를 통한 무기체계의 효과적 획득 및 신뢰성 향상에 기여하고자 함.

o 무기체계의 부품단종에 대한 주요국의 대응 사례 및 관리동향 분석을 통하여, 관리 및 적용방안을 부품단종 발생 전·후로 구분하여 제시함으로써 효과적인 부품단종 관리에 기여하고자 함.

o 국방규격/표준 분류체계 및 제정절차를 확립하고, 국방규격 작성체계 선진화를 통한 국제표준 수준화에 기여하고자 함.

IV. 연구결과

o 국방표준화 추진전략 및 국방표준제도 개선방안 제시

- 국내 및 주요국의 국가/국방분야 규격/표준 조사 분석.

- 국방표준화 로드맵 분야별 세부 추진방안 수립.

- 국방표준화 사업 추진분야(전지, 발전기) 및 추진방법 제시.

o 국방표준화 정보체계 발전방안 제시

- 정보체계 구축을 위한 개념 및 방향 제시.

- 한국적 ASSIST구축을 위한 운용관점 아키텍처 제시.

o 국방규격의 성능형 규격 작성

- SE(System Engineering) 기반의 성능형 규격 작성절차(안) 제시.

- 새로운 절차를 적용한 성능형 규격작성

(펌프 등 2종에 대해 가상절차 적용).

- 성능형 규격 적용시 발생 가능한 문제점 분석 및 해결방안 제시.

o 무기체계 부품단종 조치방안 수립

- 국외(미국, 영국 및 NATO) 부품단종 관리 동향 분석.

- 전 수명주기 동안의 부품단종 관리방안 정립.

- 단종 발생 전·후 관리 프로세스 정립

- 부품단종관리 정보체계 구축방안 제시.

o 국방규격 작성체계 선진화 방안

- 국방규격/표준 분류체계 재정립.

- 도번체계 및 규격서 작성양식 개선 등을 통한 국방규격 작성체계 선진화.

V.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o 국내외 민간분야 및 국방분야 표준화 동향 분석 및 이를 통한 국방 표준화 발전방안과 로드맵은 국방 규격/표준관련 정책수립 및 업무수행에 활용.

o 국방표준화 추진사업 분석을 통하여 전지, 발전기 분야를 수행 가능한 분야로 제시하여, 향후 표준화 사업 추진시 활용.

o 국방표준화 정보체계 발전방안에 제시된 운용관점 아키텍처는 2007년부터 수행되는 '한국적 ASSIST구축사업'의 기초자료로 활용.

o 성능형 규격 작성절차, 작성사례 및 작성시 발생 가능한 문제점 및 대책연구는 관련 부서의 성능형 규격 작성/관리시 또는 성능형 규격 관련 정책 수립시 활용.

o 부품단종 발생전·후로 구분 작성된 조치 및 적용 절차는 향후 부품단종 문제점 해결을 위한 절차로 활용.

o 개선된 국방규격/표준 분류체계 적용을 통해 국방표준 및 성능형 규격 작성 및 관리에 활용하며, 도번체계 및 규격서 작성양식 개선 방안은 효과적인 DB관리에 활용.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T000023992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이용불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