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광대역통합연구개발망 구축 운영에 관한 연구 : 최종 연구개발 결과보고서 / 정보통신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국정보사회진흥원, 2007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자료실
해당자료 없음
형태사항
xxi, 292 p. : 삽화, 도표, 사진 ; 27 cm
제어번호
MONO1200812819
주기사항
판권기표제: 광대역통합연구개발망(KOREN) 구축 운영
주관연구기관: 한국정보사회진흥원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요약문

SUMMARY

목차

CONTENTS 16

제1장 서론 24

제1절 연구의 목적 및 중요성 24

제2절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25

제2장 국내외 현황 26

제1절 해외 연구망 현황 26

제2절 국내 연구망 현황 57

제3장 광대역통합연구개발망 망구축 운영(KT) 62

제1절 사업개요 62

제2절 1995년~2007년도 추진현황 64

제3절 2007년도 사업 추진 내용 및 실적 73

제4절 결론 및 효과 82

제4장 광대역통합연구개발망 공용시험환경 고도화 및 NOC 운영 84

제1절 모바일 연구지원 환경 구축 및 활용 84

제2절 광대역통합연구개발망 백본망 개선 136

제3절 광대역통합연구개발망 통합 NOC 구축 148

제4절 국내 및 국제 NOC 운영 155

제5장 광대역통합연구개발망 이용활성화 164

제1절 사업추진방식 개선 164

제2절 미래인터넷 및 유비쿼터스 연구과제 발굴지원 165

제3절 광대역통합연구개발망 이용활성화 지원 223

제4절 이용수요 및 사용자 만족도 조사 252

제5절 광대역통합연구개발망 성과분석 295

제6절 광대역통합연구개발망 중장기 발전방향 연구 305

제6장 결론 312

판권기

[표 2-1-1] 국가별 연구망 사업 현황 27

[표 2-1-2] 미국과 유럽의 신규 연구망 프로젝트 추진현황 28

[표 2-1-3] JGN2 국제회선의 구성 30

[표 2-1-4] JGN2의 주요내용 32

[표 2-1-5] 중국의 4대 백본망 현황 35

[표 2-1-6] CERNET/CERNET2의 주요내용 38

[표 2-1-7] CSTNET의 주요내용 41

[표 2-1-8] 네트워크 서비스 현황 43

[표 2-1-9] Internet2의 주요내용 44

[표 2-1-10] CA*net4의 주요내용 요약 49

[표 2-1-11] 북미지역 연구망 비교 51

[표 2-2-1] KREONET2의 주요내용 60

[표 3-3-1] 공용접속시험센터간 회선 구성 내역 74

[표 3-3-2] 이용기관 회선 제공 내역 75

[표 3-3-3] 신규/증속 이용기관 회선 개통 내역 76

[표 3-3-4] 첨단 연구환경 제공 내역 76

[표 3-3-5] 이용기관 연구활동 및 행사지원 내역 77

[표 3-3-6] 이용기관 연동관련 지원 내역 79

[표 4-1-1] MIP HA H/W 규격 89

[표 4-1-2] MIP HA S/W 규격 90

[표 4-1-3] 이종망간 연동실험 장비 상세내용 91

[표 4-1-4] 이종망 연동 게이트웨이장비 IP 할당 내역 92

[표 4-1-5] 세션 관리 기능 94

[표 4-1-6] 가입자 및 서비스 관리기능 95

[표 4-1-7] Flow기반 QoS 장비 규격 및 사양 96

[표 4-1-8] WiBro ACR SPI-1110 수용 용량 99

[표 4-1-9] WiBro RAS SPI-2110 수용 용량 100

[표 4-1-10] WiBro RAS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100

[표 4-1-11] PMIP6 이동성 실험장비 107

[표 4-1-12] WiBro VCC 관련 시스템 109

[표 4-1-13] VCC Handover 시간측정 결과 110

[표 4-1-14] 트래픽 종류에 따른 핸드오프 시간 114

[표 4-1-15] SEND 프로토콜과 Enhanced SEND(E-SEND) 프로토콜의 성능 118

[표 4-1-16] SEND 프로토콜과 Enhanced SEND 프로토콜의 성능 분석 118

[표 4-1-17] 강전계에시 Throughput 테스트 결과 120

[표 4-1-18] 중전계에시 Throughput 테스트 결과 120

[표 4-1-19] 약전계에서 Throughput 테스트 결과 121

[표 4-1-20] 핸드오버 측정시간 123

[표 4-1-21] IPSec 터널 생성 및 데이터 세션 생성시험 127

[표 4-1-22] 이종망간 MOBIKE기반의 Handover 기능 실험 128

[표 4-1-23] Mobile IPv6 HA 실험 결과 130

[표 4-2-1] 동서대학교 KOREN 공용접속시험센터 이전 장비 세부 내역 142

[표 5-2-1] 2007년 연구과제 목록 165

[표 5-2-2] 검증 시험 및 내용 176

[표 5-3-1] 2007년 광대역통합연구개발망 발전위원회 명단 224

[표 5-3-2] 이용기관 평가지표 239

[표 5-3-3] 이용기관 평가항목 240

[표 5-3-4] 2007년 이용기관 평가결과 242

[표 5-3-5] 이용기관 지원조건(변경 전) 250

[표 5-3-6] 이용기관 지원조건(변경 후) 251

[표 5-4-1] 사용자만족도 조사 설문의 주요내용 257

[표 5-4-2] 잠재이용자 수요조사 설문의 주요내용 257

[표 5-4-3] 기관별 의사소통 빈도 270

[표 5-4-4] 연도별 이용현황 비교분석 283

[표 5-5-1] 광대역통합연구개발망의 핵심성공요인 297

[그림 2-1-1] JGN2 국제회선 구성도 30

[그림 2-1-2] JGN2와 제휴한 연구개발 거점과 연구테마 31

[그림 2-1-3] JGN2의 추진방침 31

[그림 2-1-4] SINET/Super SINET 망 구성도 33

[그림 2-1-5] SINET의 발전단계 33

[그림 2-1-6] SINET3의 75개소 접속거점 34

[그림 2-1-7] SINET3의 국제회선 35

[그림 2-1-8] CERNET 구성도 37

[그림 2-1-9] CERNET2 구성도 38

[그림 2-1-10] CSTNET의 국제연계 현황 40

[그림 2-1-11] Internet2 네트워크 42

[그림 2-1-12] Abilene 연구망(10Gbps Optical Upgrade) 43

[그림 2-1-13] NLR 네트워크 45

[그림 2-1-14] CA*net4 Access Point 49

[그림 2-1-15] GEANT2 백본 구성도 53

[그림 2-1-16] TEIN2 네트워크 55

[그림 2-2-1] KREONET 연혁 57

[그림 2-2-2] 국내백본망 현황 58

[그림 2-2-3] 국내외 백본 구성도 59

[그림 4-1-1] Mobile IP Home Agent 구축 및 무선접속환경 88

[그림 4-1-2] MIP HA 장비사진 88

[그림 4-1-3] KOREN에 Mobile IP망 구축 89

[그림 4-1-4] 게이트웨이 장비를 이용한 이기종망간 연동기능 제공망 구축 90

[그림 4-1-5] MOBIKE 터널링 방식을 이용한 안전한 이기종망간 연동 91

[그림 4-1-6] 이종망간 연동장비 구축 및 연동 구성도 92

[그림 4-1-7] Class기반 품칠보장 vs. Flow기반 품질보장 94

[그림 4-1-8] WiBro 망 구성 97

[그림 4-1-9] KAIST WiBro RAS 설치 위치 101

[그림 4-1-10] KAIST WiBro RAS기지국 설치 및 시비스 지역 101

[그림 4-1-11] 동서대 WiBro RAS기지국 설치 및 시비스 지역 102

[그림 4-1-12] 시범시비스 무선랜 구축 지역 103

[그림 4-1-13] 무선랜 망 VLAN 구성도 103

[그림 4-1-14] 무선랜을 이용한 MIP 서브넷 구성도 104

[그림 4-1-15] MIP 기반 WLAN망 구성도 104

[그림 4-1-16] 동서대학교 WLAN 구성도 105

[그림 4-1-17] 동서대학교 IPv6 WLAN 구성도 106

[그림 4-1-18] 동서대학교 MIPv6 적용 WLAN 구성도 106

[그림 4-1-19] PMIP6 실험 네트워크 구성도 107

[그림 4-1-20] PMIP6 Handoff 시간 측정그래프 108

[그림 4-1-21] 우면동 WiBro VCC 시험망 구성도 109

[그림 4-1-22] VoIP 가입자 수에 따라 MOS(PESQ)값 (Best-Effort) 110

[그림 4-1-23] WiBro VoIP 측정망 구성 및 실험이동경로 111

[그림 4-1-24] 상향 및 하향 링크에서 R-factor값의 CDF 112

[그림 4-1-25] 시간에 따른 (a) half-RTT, (b) loss rate, (c) R-factor 값의 변화 113

[그림 4-1-26] IP 이동성 관리 실험 망 구성 및 이동경로 113

[그림 4-1-27] 이동단말 및 리우터에서 트래픽 측정 시간 비교 114

[그림 4-1-28] KOREN기반의 MPLS 이동성 구성도 115

[그림 4-1-29] Ethereal을 이용한 시그널링 패킷 분석 결과 116

[그림 4-1-30] Enhanced SEND 실험 117

[그림 4-1-31] SEND 프로토콜과 Enhanced SEND 프로토콜의 성능 비교 118

[그림 4-1-32] WiBro 시험 단말 119

[그림 4-1-33] Mobile KOREN WiBro 설치구성 및 단말 실험 이동경로 119

[그림 4-1-34] CM Debug Screen 참조 121

[그림 4-1-35] xGMIP 실험 네트워크 구성도 122

[그림 4-1-36] Mobile KOREN에서 Flow기반 QoS 실험 구성도 124

[그림 4-1-37] Flow type에 MR를 적용한 테스트 결과 125

[그림 4-1-38] 이종망간 연동 실험 네트워크 구성도 126

[그림 4-1-39] 이종망 연동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WiBro 망 접속 126

[그림 4-1-40] WiBro 망 접속 후 WLAN으로 이종망 Handover 127

[그림 4-1-41] MoBile KOREN에서 Overlay MIpv6 실험 131

[그림 4-1-42] MIPv6 핸드오버 시간 계산 방법 (예시) 132

[그림 4-1-43] MIPv6 총 핸드오버 시간 133

[그림 4-1-44] MlPv6 L3 핸드오버 시간 133

[그림 4-1-45] Mobile KOREN에서 IPv6 ACR 개발 개념도 134

[그림 4-1-46] IPv6 ACR 기능개발 검증 네트워크 구성 135

[그림 4-2-1] 동서대학교 KOREN 공용접속시험센터 내부도 140

[그림 4-2-2] 부산 KOREN 공용접속시험센터 이전 후 배치도 142

[그림 4-2-3] 동서대 이전 완료 후 구성도 143

[그림 4-2-4] RIC 교육실 앞 명판 부착 144

[그림 4-2-5] 탁자, PC, 스위치 이전 설치 모습 144

[그림 4-2-6] 추가 연구 장비(랙) 운용실 위치 모습 145

[그림 4-2-7] 운용실 문과 명패 모습 145

[그림 4-2-8] 서울센터 라우터 이중화 구축도 146

[그림 4-2-9] 서울 센터 라우터 이중화 설치 내역 147

[그림 4-3-1] 사업개요 148

[그림 4-3-2] 통합 NOC 구축 내역 150

[그림 4-3-3] KOREN NOC 홈페이지 152

[그림 4-3-4] 라우트 익스플로러 화면 152

[그림 4-3-5] 네트워크 모니터링 시스템 153

[그림 4-4-1] KOREN 사업추진방식 변경 155

[그림 4-4-2] NOC 역할 분담 156

[그림 4-4-3] 회선 개통 프로세스 157

[그림 4-4-4] 네트워크 작업 프로세스 157

[그림 4-4-5] 국내 연구망(KOREN) 구성도 159

[그림 4-4-6] 국제 연구망 구성도 160

[그림 4-4-7] TEIN2 Topology 161

[그림 4-4-8] TEIN2, 한-일, 한-중 라우팅 162

[그림 5-2-1] Wireless Ad-hoc Network Research Platform 테스트베드 168

[그림 5-2-2] 유무선 연동 네트워크 적응적 멀티미디어 시스템 169

[그림 5-2-3] 네트워크 적응적 미디어 스트리밍기법 적용 시 비디오 화질 비교 170

[그림 5-2-4] KOREN 기반의 테스트베드 구성도 180

[그림 5-2-5] 코어망(KOREN)을 고려한 시험실 기반의 이동성 기능시험 구축환경 181

[그림 5-2-6] KOREN을 이용하는 CMSS의 제어신호 처리에 대한 모니터링 181

[그림 5-2-7] 시스템 구성도 188

[그림 5-2-8] 시스템 상세 구성도 189

[그림 5-2-9] 게이트웨이를 통한 네트워크 동작 순서도 191

[그림 5-2-10] 테스트베드 구성 195

[그림 5-2-11] 이동성 객체 모니터링을 위한 센서 미들웨어 구조 196

[그림 5-2-12] U-lD의 개념적 정의 202

[그림 5-2-13] U-lD 관리자 구조 202

[그림 5-2-14] 통합프로파일 구조 203

[그림 5-2-15] 세부 식별절차 203

[그림 5-2-16] EDS의 역할 204

[그림 5-2-17] EDS의 구조 205

[그림 5-2-18] 구현 소프트웨어 구성도 205

[그림 5-2-19] KOREN 연동 시험 구조도 206

[그림 5-2-20] 가입과정 I 207

[그림 5-2-21] Event 발생 및 처리절차 4 208

[그림 5-2-22] U-lD를 통한 통합 식별체계 구현의 예 208

[그림 5-2-23] IMS 세션 제어 기반의 RACF 구현 구조도 211

[그림 5-2-24] 기본 오버레이 네트워크 구조 212

[그림 5-2-25] 한중간 IPTV 시험망 213

[그림 5-2-26]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통해 이기종망간의 QoS 자원 제어 기능 214

[그림 5-2-27] CMS Computing Model 218

[그림 5-2-28] KOREN 망에 연결된 국내 CMS 참여대학 219

[그림 5-2-29] KNU Tier3 Farm 구성도 220

[그림 5-2-30] CSA07 기간중 Debug Transfer - Transfer Rate 221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