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도로의 야생동물 서식지 단절 정도의 분석과 road-kill의 원인 분석에 따른 도로유형별ㆍ동물종별 관리 기법 개발 / 환경부 인기도
발행사항
[과천] : 환경부, 2007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자료실
해당자료 없음
형태사항
1책(면수복잡) : 삽화, 도표, 사진 ; 30 cm
제어번호
MONO1200814060
주기사항
주관연구기관: 서울대학교
"생태환경 이용 및 관리기술"의 연구과제임
연구책임자: 박종화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보고서 초록

요약문

SUMMARY

CONTENTS

목차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28

제1절 연구개발의 목적과 필요성 28

제2절 연구개발의 범위 30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33

제1절 국내 현황 33

1. 국내 로드킬 관련 연구 33

2. 한국도로공사의 로드킬 저감 대책 34

3. 국내의 성과와 한계 34

제2절 국외 현황 35

1. 국외 로드킬 관련 연구 35

2. 국외의 성과와 한계 36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39

제1절 조사 및 분석 39

1. 연구 대상지 39

2. 로드킬 조사 49

3. 원격무선추적 조사 56

4. 무인센서카메라 조사 77

5. 눈 위 발자국 조사 84

제2절 현장 조사 결과 90

1. 로드킬 조사 90

2. 원격무선추적 조사 119

3. 무인센서카메라 조사 146

4. 눈 위 발자국 조사 156

제3절 주요 문제점과 원인 160

1. 로드킬의 심각성은 전국적인 현상 160

2. 도로 유형별 165

3. 동물 종별 174

제4절 저감 대책 186

1. 효과 높은 전략의 선택 186

2. 도로 유형별 195

3. 동물 분류군별 221

제5절 결론 및 요약 230

1. 로드킬과 서식지 단절 관련 주요 이슈 230

2. 로드킬과 서식지 단절 저감 대책 232

제4장 목표 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234

제1절 연도별 연구개발 목표의 달성 234

1. 연차별 기술개발 추진 체계 234

2. 연구개발 목표의 달성도 235

3. 관련분야 기술발전의 기여도 236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239

제1절 추가연구의 필요성 239

1. 로드킬의 예측 239

2. 저감 대책의 사전·사후 모니터링 241

3. 한국도로공사 유도펜스설치 사업 활용 241

4. 노선 계획 및 도로 설계 단계의 고려 241

5. 정부차원의 로드킬 조사 시스템 구축 244

제2절 타 연구에의 응용 244

1. 건설교통부 생태통로 위치 선정 및 효과 분석에 활용 244

2. 한국도로공사 유도펜스설치 사업 활용 245

3. 건설교통부 조경설계기준 생태통로분야 및 친환경적인 도로 설계 기법에 적용 245

4. 야생동물유전자원은행에 야생동물 샘플 제공 245

제3절 기업화 추진방안 246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247

제7장 참고문헌 248

부록 254

부록 1. 본 연구 관련 연구 실적 255

부록 2. 건설교통부 조경설계기준 생태통로 부분 340

목차 341

생태통로 343

1. 일반사항 343

1.1. 적용범위 343

1.2. 용어의 정의 343

1.3. 전제조건 343

2. 설계일반 344

2.1. 설계 기본 원칙 344

2.2. 조성 목표 및 성격 344

2.3. 야생동물 행태 및 서식지 단절의 조사와 분석 344

2.4. 현황 조사 및 분석 344

2.5. 목표종 선정 345

2.6. 위치 선정 345

2.7. 유형 도출 346

2.8. 규모 및 구조 설정 347

3. 선형 생태통로 347

3.1. 설치 위치 347

3.2. 선형 생태통로의 유형별 기법 347

4. 육교형 생 태통로 348

4.1. 설치 위치 348

4.2. 대상 동물 348

4.3. 규모, 재질 및 기법 349

4.4. 기타 사항 349

5. 하부형 생태통로 351

5.1. 박스형 암거 351

5.2. 파이프형 암거 354

5.3. 수로형 암거 355

6. 하부형 생태통로 356

6.1. 설치 위치 356

6.2. 대상 동물 356

6.3. 규모, 재질 및 기법 356

6.4. 기타사항 356

7. 어도 358

7 1. 설치 위치 358

7.2. 대상 동물 358

7.3. 규모 및 재질 358

7.4. 기타사항 358

8. 보조시설 359

8.1. 울타리(침입방지 및 유도 펜스) 359

8.2. 이동제한 구조물 359

8.3. 차량 소음 및 불빛 방지시설 359

8.4. 횡단유도식재 359

8.5. 주변 동물과 식물을 위한 대책 360

8.6. 기타 시설 360

9. 야생동물 대체 서식지 360

10. 모니터링 360

11. 유지관리 361

12. 부록 363

부록 3. 환경친화적인 도로건설지침 동·식물 부분 366

표 1. 선정된 연구 대상 도로의 유형 40

표 2. 너구리, 삵, 족제비 포획 대상지의 서식지 유형 63

표 3. 통로의 유형과 카메라 설치 현황 80

표 4. Status of monitored roads 86

표 5. 눈 위 흔적 조사 현장조사표의 예 89

표 6. 통로를 이용한 동물 발자국 조사표의 예 89

표 7. 로드킬 발생 순위 목록(2004년 7월 ~ 2006년 12월) 93

표 8. 로드킬에 희생된 법정보호종 목록 (2004년 7월 ~ 2006년 12월) 115

표 9. 조사 대상 도로 주변에서 포획 후 표식기와 무선추적발신기가 부착된 동물 현황 120

표 10. 조사 대상지 내에서 포획 및 무선추적 현황 (2006년 1월 30일 현재) 122

표 11. 무선추적 개체의 분실 및 사망 원인 (2006년 1월 30일 현재) 123

표 12. 무선추적 개체의 행동권 결과 124

표 13. Home-ranges of radio-tracked raccoon dogs. 131

표 14. Home-ranges of radio-tracked wild boars.... 139

표 15. 통로 내 종별 촬영된 주요 포유류 횟수, 통로별 특성, 통로별 이용률 146

표 16. 통로 개방도와 이용률 상관관계 150

표 17. Using ratio and number of wildlife crossing on each structure type 157

표 18. 2001~2005년 전국 고속도로 노선별 로드킬 발생 현황 160

표 19. 2001~2005년 전국 고속도로 종별 로드킬 발생 현황 160

표 20. 본 연구팀에 의한 전국 고속도로 포유류 로드킬 조사 결과 162

표 21. 삵의 도로횡단구조물 유형별 이용률 184

표 22. 우리나라 왕복4차선 도로의 포유류 종별 도로횡단구조물 이용도 199

표 23. 산악2차선 도로의 로드킬 발생 종(2004년 7월 ~ 2005년 6월, 1년간) 220

표 24. 대형도로에서의 조류 로드킬 유형 (Jacobson 2005) 228

표 25. 본 연구 진행 관련 발표된 연구 실적 236

그림 1. 연구 개발의 필요성 29

그림 2. 연구 방법 개요 30

그림 3. 연구 대상 도로의 유형과 위치 39

그림 4. 88고속도로 41

그림 5. 4차선산업도로 (19번국도) 41

그림 6. 강변2차선도로 (19번국도) 42

그림 7. 산악2차선도로(861번 지방도, 지리산국립공원 성삼재도로) 42

그림 8. 토지이용 유형과 로드킬 지점 주변의 토지이용 유형 43

그림 9. 도로주변의 토지이용현황 44

그림 10. 도로 구조 및 주변 환경의 GIS 데이터베이스 구축 과정 46

그림 11. 향 분포 46

그림 12. 경사도 분포 46

그림 13. 계곡/능선 분류 47

그림 14. Hillshade 47

그림 15. 표고 분포 47

그림 16. 임상도 47

그림 17. 도로 분포 48

그림 18. 수계 분포 48

그림 19. 토지이용현황 48

그림 20. 전라북도 지역의 종별 로드킬 발생 현황 ; 2003년 3월부터 2005년 2월 가지 5.184km 조사 결과 (이용욱, 2006) 50

그림 21. 동물교통사고의 예 50

그림 22. 동물교통사고의 예 50

그림 23. 토지이용별 포유류 동물교통사고 발생 현황 (Choi and Park, 2005) 51

그림 24. 1996~2003년 중앙고속도로에 발생한 고라니와 노루의 월별 로드킬 변화(이상돈·조희선·김종근, 2004) 52

그림 25. GPS를 이용한 로드킬 위치 좌표 수집 53

그림 26. 조사 후 사체 제거 모습 53

그림 27. 현장 조사표 54

그림 28. 로드킬된 종의 동정 과정 55

그림 29. 훼손된 사체의 종 구분에 활용 가능한 종별 발 모양 56

그림 30. VHF원격무선추적 58

그림 31. VHF원격무선추적 58

그림 32. GPS원격무선추적에 필요한 발신기, 수신기, 안테나 59

그림 33. 멧토끼 목에 부착할 수 있는 크기의 발신기와 데이터 수신용 안테나 59

그림 34. 포획 및 원격무선추적 대상 지역 60

그림 35. 88고속도로 포획 대상지 61

그림 36. 산업도로 포획 대상지 61

그림 37. 2차선 산악형도로 포획 대상지 62

그림 38. 2차선 강변도로 포획 대상지 62

그림 39. 도난 방지 위해 생포틀에 안내문 부착 64

그림 40. 연구 차량을 이용한 생포틀 운반 64

그림 41. 생포틀 설치 장면 65

그림 42. 포획된 너구리 65

그림 43. 발신기 부착 작업 중인 너구리 66

그림 44. 너구리 발신기 부착작업 66

그림 45. 포획된 삵 67

그림 46. 포획 후 양쪽 귀에 금속 표식기(고유번호)가 부착된 족제비 67

그림 47. 포획된 개체의 체중 및 기초 측정 68

그림 48. 고라니 포획용 트랩 68

그림 49. 생포틀에 잡힌 멧돼지 70

그림 50. 귀에 소형 발신기를 부착하는 모습 70

그림 51. 삵의 목에 발신기를 부착하는 모습 71

그림 52. 족제비의 목에 발신기 부착 72

그림 53. 발신기를 통해 무선 추적 중인 삵 72

그림 54. 삵의 목에 부착된 발신기 73

그림 55. 목에 무선 발신기가 부착된 너구리 73

그림 56. 삵의 무선 발신기 부착 작업 74

그림 57. 발신기부착 개체의 무선추적 74

그림 58. 차에 치어죽은 무선추적 너구리 75

그림 59. 질병(급성폐렴)으로 사망한 무선추적 중인 너구리 75

그림 60. 밀렵꾼의 올무에 걸려있는 무선추적 중인 너구리 76

그림 61. 멧돼지 귀에 부착된 소형 발신기 77

그림 62. 조사대상지의 통로 분포 79

그림 63. 박스수로에 설치된 카메라 81

그림 64. 원형관(배수로) 81

그림 65. 교각하부에 설치된 카메라 82

그림 66. 도로 아래의 수로 82

그림 67. 원형관의 카메라 83

그림 68. 통로 밖에 설치된 예 83

그림 69. 가드레일 아래로 건너간 삵 발자국 87

그림 70. 통로박스를 이용해 건너간 삵 발자국 87

그림 71. 육교를 이용해 건너간 너구리 발자국 88

그림 72. 도로 유형별 로드킬 수 91

그림 73. 도로 유형별 로드킬 밀도 91

그림 74. 도로 유형별·분류군별 로드킬 발생 비율과 수 92

그림 75. 월별 로드킬 수의 변화 98

그림 76. 월별·분류군별 로드킬 수의 변화 98

그림 77. 분류군별 조사된 로드킬 수 (총 5,769건) 100

그림 78. 분류군별 조사된 로드킬 종 수 (척추동물 총 107종) 100

그림 79. 포유류 종별 로드킬 발생 수 (총 1,792건) 101

그림 80. 도로경계석을 못 넘는 두더지 102

그림 81. 로드킬에 희생된 고라니를 너구리가 먹은 후 가죽만 남은 모습 102

그림 82. 조류 로드킬이 가장 빈번한 20종 104

그림 83. 1년간 꿩의 월별 로드킬 발생 수;... 105

그림 84. 소쩍새와 큰소쩍새의 로드킬 월별 분포;... 106

그림 85. 소쩍새 (88고속도로) 107

그림 86. 수리부엉이 (88고속도로) 107

그림 87. 양서류 로드킬 현황 (총 1,604건) 108

그림 88. 두꺼비 월별 로드킬 현황 109

그림 89. 도로 옹벽에 막힌 두꺼비 109

그림 90. 파충류 로드킬 현황 111

그림 91. 주요 파충류 월별 로드킬 수;... 112

그림 92. 도로경계석을 넘고 있는 누룩뱀 112

그림 93. 등갑이 깨진 남생이 113

그림 94. 쇠족제비 (멸종위기2급) 116

그림 95. 하늘다람쥐 (멸종위기 2급, 천연기념물) 116

그림 96. 수달(멸종위기 1급, 천연기념물) 117

그림 97. 삵(멸종위기2급) 118

그림 98. 전남 구례지역 무선추적 개체의 날짜별 위치 126

그림 99. 전남 구례지역 무선추적 개체의 행동권 127

그림 100. 88고속도로지역 무선추적 개체의 날짜별 위치 128

그림 101. 88고속도로 지역 무선추적 개체의 행동권 129

그림 102. 88고속도로 지역에서 무선추적된 삵의 행동권 130

그림 103. Locations, movements and home-range of individual A. 132

그림 104. Locations, movements and home-range of individual B. 132

그림 105. Locations, movements and home-range of individual C. 133

그림 106. Locations, movements and home-range of individual D. 133

그림 107. Locations, movements and home-range of individual E. 134

그림 108. Locations, movements and home-range of individual F. 134

그림 109. Locations, movements and home-range of individual G. 135

그림 110. Locations, movements and home-range of individual H. 135

그림 111. Locations, movements and home-range of individual I. 136

그림 112. Locations and movements of individual A. 140

그림 113. Locations and movements of individual B. 140

그림 114. Locations and movements of individual C. 141

그림 115. Locations and movements of individual D. 141

그림 116. Locations and movements of individual E. 142

그림 117. Home-range and core area of individual A. 142

그림 118. Home-range and core area of individual B. 143

그림 119. Home-range and core area of individual C. 143

그림 120. Home-range and core area of individual D. 144

그림 121. Home-range and core area of individual E. 144

그림 122. 포유류의 통로 유형별 이용률 148

그림 123, 통로 유용성에 따른 이용률 148

그림 124. 통로 내·외부의 종 출현 비율 149

그림 125. 통로의 개방도와 이용률;... 150

그림 126. 고라니의 이용률과 통로의 개방도 151

그림 127. 박스통로를 이용 중인 족제비 151

그림 128. 박스통로를 이용 중인너구리 152

그림 129. 통로 밖에서 촬영된 고라니 152

그림 130. 물이 고이면 쥐만 이용 한다 153

그림 131. 양계장에서 닭을 물고 이동하는 삵 153

그림 132. 발신기를 목에 부착한 고양이 154

그림 133, Frequency of mammal species using crossing structures and found on outside of structure 158

그림 134, 포유류 주요 5종의 로드킬 분포(2005년 10월, 2006년 10월, 각 1회조사) 163

그림 135. 포유류 주요 5종의 고속도로 로드킬 발생 밀도(2005년 10월, 2006년 10월, 각 1회조사) 164

그림 136. 포유류의 통로 유형별 이용률 166

그림 137. 통로 내·외부의 종 출현 비율 167

그림 138. 고라니의 이용률과 통로의 개방도 167

그림 139. 도로횡단구조물 내부와 외부의 포유류 흔적 발견 횟 수 168

그림 140. 펜스에 안에 갇혀 너구리 로드킬 4건 발생한 구간 169

그림 141. 가드레일 또는 펜스가 없어 고라니 로드킬 4건 발생한 구간 169

그림 142. 펜스가 빈 지점을 통해 들어온 고라니 로드킬 3건 발생 한 곳 169

그림 143. 펜스가 없는 지점을 통해 들어온 고라니 로드킬 4건 발생 한 곳 169

그림 144. 고라니 로드킬 주요 지점 (4차선 산업도로 전남 구례 지역);도로의 교차로 도는 가드레일이 끊긴 지점에서 발생하고 있음 170

그림 145. 고라니 로드킬 다발 구간의 현황 171

그림 146. 도로 유형별·분류군별 로드킬 발생 비율과 수 172

그림 147. 두꺼비 월별 로드킬 현황 173

그림 148. 조류 로드킬이 가장 빈번한 20종 175

그림 149. 소쩍새와 큰소쩍새의 로드킬 월별 분포; 소쩍새는 여름철새, 큰소쩍새는 겨울철새이며, 두 종 모두 도래시기에 많이 희생되었다 176

그림 150. 포유류 종별 로드킬 발생 수 (총 1,792건); 고라니가 4번째로 많음 177

그림 151. 고라니 로드킬과 부서진 자동차 파편(범퍼) 178

그림 152. 고라니 로드킬과 부서진 자동차 파편(전조등과 범퍼) 179

그림 153, 수로 및 통로에서 촬영된 포유류 180

그림 154. 조사된 야생동물 교통사고 수 180

그림 155. 도로횡단구조물 내부와 외부의 포유류 흔적 발견 횟 수 182

그림 156. 포유류 종별 로드킬 발생 수 (총 1,792건) 185

그림 157. 멧돼지 원격무선추적 결과; 2차선 산악도로를 거의 건너지 않았음 186

그림 158. 미국 일반 펜스 189

그림 159. 미국 일반 펜스 (높이 1.2m);... 190

그림 160. 미국 일반 펜스;... 190

그림 161. 미국 생태통로 펜스 191

그림 162. 미국 생태통로 펜스; 도약력이 높은 사슴을 대상으로한 생태통로 유도 펜스 191

그림 163. 일본 국립공원 인접 구간의 펜스; 도약력이 높은 사슴을 대상으로한 로드킬 예방 펜스 192

그림 164. 미국 생태통로 펜스; 대형 고양이과 동물인 퓨마의 생태통로 유도가 목적 192

그림 165. 국내 일반펜스; 일반적으로 사용하기엔 비용과 경관측면에서 타당성이 떨어짐.... 193

그림 166. 친환경도로건설 치침에 따른 펜스;... 194

그림 167. 현재 일반적인 국내 펜스;... 195

그림 168. 생태통로 기능을 하고 있는 대형도로의 통로박스 196

그림 169. 생태통로 기능을 하고 있는 대형도로의 교량 196

그림 170. 절·성토면이 많은 대형도로;... 197

그림 171. 대형도로는 보행자의 임의 출입이 금지되어있고, 입체교차로가 많아 펜스를 이용한 동물 침입의 예방이 용이하다. 197

그림 172. 2차선과 4차선도로를 모두 포함하는 너구리 행동권;... 199

그림 173. 수로파이프를 이용해 도로를 진너는 원격무선추적 중인 너구리(목에 발신기 부착) 200

그림 174. 동물 이용이 많은 수로파이프 200

그림 175. 닭을 물고 수로파이프로 이동하는 삵 201

그림 176. 동물 이용이 어려운 수로 입구 202

그림 177. 일년 내내 막혀있는 수로박스 입구 202

그림 178. 동물 이용이 어려운 수로 입구 203

그림 179. 개구리와 뱀이 빠져나오기 힘든 배수로 203

그림 180. 물에 잠겨있는 수로박스 바닥 204

그림 181. 이용이 어려운 수로 진입부 204

그림 182. 교각 아래의 장애물 205

그림 183. 농수로에 갇힌 두꺼비 205

그림 184. 기존 박스형 수로 206

그림 185. 기존 박스형 수로에 소형 동물이 이동 가능하도록 턱 설치 206

그림 186. 기존 수로 206

그림 187. 기존 수로에 소형 동물이 이동 가능하도록 턱 설치 206

그림 188. 기존 수로의 측면 206

그림 189. 소형 동물들이 이동할 수 있도록 수로의 측면에 구조물 설치 206

그림 190. 도로 측구 배수로 207

그림 191. 소형 포유류나 양서파충류가 이동할 수 있도록 배수로에 경사로 설치 207

그림 192. 일 년 내내 막혀있는 수로박스 207

그림 193. 이동이 가능하도록 수로 개방 207

그림 194. 시각적으로 좁은 배수로 207

그림 195. 배수로의 너비를 확장하여 시각적으로 개방감이 있도록 변경 207

그림 196. 도로 밑 원형배수로 208

그림 197. 도로위로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입구주변 펜스 설치 208

그림 198. 가드레일 밑으로 야생동물 이동 208

그림 199. 가드레일 밑으로 야생동물이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단부에도 가드레일 설치 208

그림 200. 도로로 이동하는 야생동물 209

그림 201. 야생동물의 횡단을 막기 위해 펜스 설치 209

그림 202. 도로를 횡단하는 야생동물 211

그림 203. 야생동물 횡단을 방지하기 위해 deer-granting 설치 211

그림 204. Deer-grating 교차로 부분(장소 : 미국 플로리다주 키웨스트) 212

그림 205. Deer-grating 근접 사진(장소 : 미국 플로리다주 키웨스트) 212

그림 206. Deer-grating 펜스 끝나는 부분(장소 : 미국 플로리다주 키웨스트) 213

그림 207. 펜스의 꼼꼼한 설치(장소 : 미국 플로리다주 키웨스트) 213

그림 208. Deer-guard(장소 : 일본 홋가이도 Shari 에코로드) 214

그림 209. Deer-guard; 사람의 발이 빠질 위험(장소 : 일본 홋가이도 Shari 에코로드) 214

그림 210. 야생동물이 도로 밖으로 탈출할 수 없다. 215

그림 211. 탈출용 경사로(escape ramp) 215

그림 212. 도로와 서식처가 개방이 되어있어 야생동물이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215

그림 213. 야생동물이 도로 밖으로 나갈 수는 있으나 안으로 들어올 수 없다. 215

그림 214. 탈출용 경사로(escape ramp) 216

그림 215. Jump-out 216

그림 216, 일방향문(one-way gate)도면 217

그림 217. 일방향문이 적용된 탈출 유도 펜스 218

그림 218. 일방향문이 적용된 탈출 유도 펜스 218

그림 219. 도로 유형별 로드킬 밀도;... 219

그림 220. 산악2차선은 다른 도로에 비해 포유류 로드킬이 많이 발생되었다. 220

그림 221. 펜스와 가드레일이 떨어져 있어 이곳을 통해 야생동물의 도로 유입 222

그림 222. 펜스와 가드레일 사이 간격을 제거함으로써 야생동물의 도로유입을 방지 222

그림 223. 옹벽과 가드레일 사이에 간격이 있어 이곳을 통해 야생동물 도로유입 222

그림 224. 옹벽과 가드레일 사이 간격을 제거함으로써 야생동물의 도로유입 방지 222

그림 225. 전라북도 지역 포유류 종별 로드킬 발생 비율 224

그림 226. 청설모를 위한 로프형 생태통로의 설계도 224

그림 227. 로프형 생태통로를 이용해 건너는 청설모 225

그림 228. 교통사고로 희생된 88고속도로의 하늘다람쥐 (멸종위기2급, 천연기념물) 226

그림 229, 일본 오비히로히루 고속도로의 하늘다람쥐를 위한 징검다리형 생태통로 226

그림 230. 징검다리형 생태통로로 유도하기 위한 시설; 일본 오비히로히루 고속도로 226

그림 231. 징검다리형 생태통로를 이용하고 있는 하늘다람쥐 227

그림 232. 일본 야마나시현의 都留시에 오래된 전신주를 이용한 징검다리형 생태통로 227

그림 233. lesser horseshoe 박쥐의 비행 패턴(Wray et al. 2005);... 229

초록보기 더보기

I. 제목

도로의 야생동물 서식지 단절 정도의 분석과 road-kill의 원인 분석에 따른 도로유형별ㆍ동물종별 관리 기법 개발

II.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그간 국내에서 발생되는 로드킬에 대한 과학적이고 정밀한 자료가 없는 상태에서 로드킬 예방과 서식지 연결을 위한 대책이 수립되어 왔으며, 이로 인해 보다 효율이 높은 대책과, 우선적으로 해결해야할 문제점에 대한 논란이 있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장조사를 통한 로드킬 통계자료의 축적과 함께 도로주변에서 서식하는 야생동물의 원격무선추적 및 무인센서카메라 조사를 통하여 도로 주변에서의 야생동물 이동특성에 관한 조사를 하고, 이를 바탕으로 로드킬을 저감하고 단절된 야생동물의 이동성을 보장하도록 하는 합리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는데 있다.

III.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1. 로드킬이 각 동물 종의 개체군에 미치는 영향 및 종별 이동 특성 파악

2. 로드킬이 자주 발생하거나 통과가 빈번한 지점과 시기가 주변 환경과 갖는 관계 분석

3. 로드킬이 주로 발생하는 지점에 대한 도로의 구조적 특성 분석

4. 도로의 통행량과 속도가 로드킬에 미치는 영향 분석

5. 도로 유형별 로드킬 발생 억제 및 효율적인 서식지 연결 방법의 모형 제시

6. 동물 종별 효율적인 서식지 연결 방안 및 이동통로의 적합한 위치 및 설계 조건 제시

IV. 연구개발결과

1. 로드킬과 서식지 단절 관련 주요 이슈

가. 도로유형별로 주로 희생되는 분류군의 차이가 있었음

- 도로 유형별로 로드킬 대책이 다르게 적용될 필요성 확인

ㆍ88고속도로 (왕복2차선, 규정 속도 80km/hr): 조류 = 포유류 > 파충류 > 양서류

ㆍ강변2차선도로 (규정 속도 60km/hr): 양서류 > 포유류 = 파충류 > 조류

ㆍ산업4차선도로 (규정 속도 80km/hr): 포유류 >조류 > 파충류 > 양서류

ㆍ산악2차선도로 (규정 속도 20~40km/hr): 로드킬 거의 없음

나. 소쩍새의 로드킬 심각

- 매우 흔한 새가 아니며, 차량 통행이 적은 시간의 야행성 조류임에도 불구하고 희생된 65종의 조류 중 4번째로 많이 발생(119km 도로에서 30개월 간 102건 발견)

- 번식이 끝나기 전인 6월 이전에 전체 로드킬의 69%인 74마리가 희생되며 이중 암컷의 비율이 수컷보다 2배 이상 많아 소쩍새 개체군 유지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 우려

- 천연기념물로서의 중요성

- 정서적, 문화적으로 가장 친숙한 새

- 중대형 곤충을 먹는 야행성 맹금류로서 생태계 조절의 독특한 역할 (key species)

다. 고라니 이동통로 부족

- 기존의 수로 및 통로박스(입구 4.3m×4.3m 이하)를 고라니를 제외한 동물들은 매우 잘 활용, 더 큰 규격의 구조물 필요

- 대형 종으로서 운전자의 안전에 심각

- 포유류 중 4번째로 많은 로드킬 발생 (119km 도로에서 30개월 간 180건 발견)

- 우리나라 고유종으로서의 가치

라. 하늘다람쥐, 남생이, 두꺼비

-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2급인 하늘다람쥐 13건, 남생이 11건 로드킬 발견

- 두꺼비 로드킬이 1,495건으로 전체 로드킬 중 가장 많이 발생

- 서식실태에 대한 정보가 없어 로드킬이 이들 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알 수없음

마. 일부 종은 도로에 의한 서식지 단절이 심각하지 않음

- 무인센서카메라 조사결과 삵, 족제비, 수달, 너구리 등의 다수 동물들이 수로와 통로박스를 이용해 도로를 자주 건너고 있음 (고라니 제외)

- 너구리 원격무선추적 결과 행동권이 2차선도로와 4차선도로를 모두 포함하고 있음

- 포유류 로드킬의 주 원인은 이동통로의 부족이 아니라, 이동이 많은 시기에 낯선 도로의 수로와 통로에 대한 이용 가능성이 낮아지고 도로 위로의 횡단 가능성이 높아지는 현상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큼

- 산림 내부를 중심으로 서식하는 노루, 오소리, 멧돼지, 담비는 조사 대상 도로와 인접한 산림에 비교적 흔하게 서식하지만 로드킬 발생이 극히 적어 도로 자체에 대한 혐오감이 큰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종의 경우 도로에 의한 서식지 단절과 서식지 질의 저하에 큰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음

바. 너구리 사망원인의 23%가 로드킬

- 16개월간 너구리 22마리 원격무선추적 중 13마리 사망 (질병 5, 로드킬 3, 원인미상 3, 산불 1, 밀렵 1)

- 로드킬이 너구리 개체군의 가장 큰 위협은 아니지만 가장 큰 인위적 요인

- 원격무선추적된 삵의 경우 4마리 중 2마리가 로드킬로 사망 (실험 개체수가 적어 로드킬에 의한 영향에 대한 판단이 어려우나 로드킬에 취약할 우려)

2. 로드킬과 서식지 단절 저감 대책

가. 로드킬의 심각성은 전국적인 현상임

- 한국도로공사 로드킬 통계와 본 연구팀의 전국 고속도로 로드킬 조사결과 지리산권의 고속도로보다 다른 지역의 고속도로에서 더 많은 로드킬이 발생하고 있음

- 대구지방환경청의 조사결과에서도 지리산권처럼 대구ㆍ경북지역에서 소쩍새, 하늘다람쥐, 수달 등의 법정보호종 로드킬이 다수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나. 생태통로보다 펜스 설치를 우선하는 것이 국내 현실에 더 적합함

- 많은 종의 동물들이 기존 도로의 수로와 통로박스를 이용하여 도로를 빈번히 횡단하고 있어 로드킬의 잦은 발생이 생태통로의 부족에 기인한다고 보기 어려움

- 따라서 도로변 펜스 설치에 중점을 둘 경우 기존의 수로와 통로박스 등으로 동물들의 이동을 유도되고 도로 위로 동물이 올라오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을 것임

다. 생태통로는 다음의 경우에 한해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함

- 도로에 의해 동물 이동이 단절되었음이 확인된 구간

- 생태계 네트워크 차원에서 향후 전략적으로 중요한 구간

- 로드킬 집중 구간 중 펜스 설치만으로는 서식지 단절을 가중시킬 우려가 큰 곳

라. 효율적인 펜스에 대한 연구 필요

- 구간별 로드킬 심각성의 정도와 목표종의 특성에 따라 선택 가능한 펜스의 유형화 필요

- 현재 일반적으로 설치되는 펜스는 고비용의 제품으로서 보다 저렴한 펜스를 개발해 보다 많은 도로에 설치하는 것이 필요함

- 일반 국도의 경우 교차로 등 펜스가 없는 곳을 이용해 도로 위로 올라올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한 시설물의 고안 필요 (예: Deer-grating 등)

- 우연히 펜스 안으로 들어온 동물들이 신속하고 자연스럽게 펜스 밖으로 나가도록 유도하는 시설물의 고안 필요 (예: 탈출용 경사로, 일방향문, Jump-out 등)

마. 도로의 노선 계획 및 설계 단계에서부터 로드킬 예방을 위한 배려 필요

- 로드킬 예측 기법을 개발하여 도로 노선 설정 단계, 그리고 펜스와 생태 통로 등의 저감대책 우선 구간 선정에 활용

바. 기존 도로횡단구조물의 구조개선

- 수로와 통로박스를 이용해 다양한 동물들이 도로를 건너는 것이 확인되었으나, 많은 수의 구조물들이 동물들이 이용하기에 부적합한 실정임

ㆍ진입부가 물리적으로 막혀있음

ㆍ입구 양쪽이 시각적으로 트여있지 않음

ㆍ바닥에 물이 많이 고여 있는 경우가 많음

사. 정부의 로드킬 조사 시스템 개선

- 한국도로공사는 대형 포유류 위주의 통계에만 치우치지 말고 보다 다양한 동물에 대한 관심 필요

ㆍ고속도로의 일부 구간에 한해서 조류, 중소형 포유류, 양서ㆍ파충류 조사 포함

ㆍ조사원의 교통사고 위험을 줄이기 위해 갓길에서 줌 또는 망원카메라로 촬영 후 전문가에게 종 판독 의뢰

- 지방환경청의 경우 일정한 도로 구간을 장기적이고 주기적으로 조사 필요

- 도로공사와 지방환경청 모두 로드킬 조사 기법과 시스템에 대한 나름의 기준과 원칙이 자세하게 세워져야함

- 펜스나 생태통로가 설치되기 전과 후의 동물 이동 및 로드킬 결과 비교를 통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개선 노력 필요

- 로드킬 및 도로와 야생동물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전문 조직의 필요

V.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1. 도로의 노선 계획 및 설계 시 구조물 설계에 로드킬 예방 및 동물 이동을 보장성을 높일 수 있는 근거 자료로 활용

2. 도로의 유형 및 주변 서식 종에 따른 효과적인 대책의 선택 근거로 활용

3. 월별, 계절별, 주변 환경, 도로구조에 따른 동물 종별 이동 특성을 파악하는데 활용

4. 펜스와 생태통로 등의 저감 대책의 적합한 위치선정을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

5. 로드킬, 원격무선추적, 무인센서카메라에 의한 조사결과는 야생동물의 행동권, 이동습성, 상대적 서식 밀도 등의 생태적 자료로서의 활용 가능

6. 로드킬 조사가 장기적으로 이루어 질 경우 취해진 대책의 효율성 파악 및 해당 지역에서의 야생동물 서식 밀도 변이 파악에 활용 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