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농촌어메니티 보전을 위한 마을공간자원 계획지침 연구 / 농촌진흥청 인기도
발행사항
[수원] : 농촌진흥청, 2007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자료실
해당자료 없음
형태사항
117 p. : 삽화, 도표 ; 30 cm
제어번호
MONO1200816943
주기사항
[연구기관]: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제2차년도 완결 보고서
연구책임자: 임승빈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목차

제1부 : 농촌어메니티자원의 농촌다움 특성 평가에 관한 연구 4

SUMMARY 6

I. 서언 8

II. 연구사 10

III. 연구 범위 및 방법 14

IV. 결과 및 고찰 20

V. 적요 45

VI. 인용문헌 47

부록 1. 〈농촌다움 이미지 연구를 위한 조사 1〉 49

부록 2. 〈농촌다움 이미지 연구를 위한 조사 2〉 50

부록 3. 〈농촌다움 이미지 연구를 위한 조사 3〉 51

제2부 : 인지도(認知圖)를 이용한 농촌마을 공간 인지 및 계획지침 연구 54

SUMMARY 56

I. 서언 58

II. 연구사 60

III. 연구 범위 및 방법 64

IV. 결과 및 고찰 69

V. 적요 111

VI. 인용문헌 113

부록 1. 〈공간 특성 분석을 위한 조사〉 115

부록 2. 〈인지도〉 116

제1부 : 농촌어메니티자원의 농촌다움 특성 평가에 관한 연구 4

〈표 1〉 농촌어메니티자원 분류 체계 12

〈표 2〉 어메니티자원도 자원 분류 14

〈표 3〉 농촌어메니티자원 분류 종합 15

〈표 4〉 농촌다움 평가 대상 자원 목록 15

〈표 5〉 설문조사 대상 지역 16

〈표 6〉 설문 표본의 결과 18

〈표 7〉 연구 내용 요약 18

〈표 8〉 농촌다움 관련 문헌조사에서 추출된 형용사 목록 20

〈표 9〉 농촌다움 형용사 개방형 설문조사 결과 20

〈표 10〉 개방형 설문조사 결과 21

〈표 11〉 농촌다움 표현 예비 형용사 목록 21

〈표 12〉 예비 농촌다움 표현 형용사 목록의 평균 22

〈표 13〉 예비 농촌다움 표현 형용사 목록의 분산 22

〈표 14〉 농촌다움 표현 형용사의 내적일관성 분석 결과 23

〈표 15〉 농촌다움 표현 형용사의 요인분석 결과 24

〈표 16〉 농촌다움 속성 및 최종 선정 형용사 25

〈표 17〉 어메니티자원의 서정성 평가 결과 28

〈표 18〉 어메니티자원의 안락성 평가 결과 29

〈표 19〉 어메니티자원의 자연성 평가 결과 30

〈표 20〉 어메니티자원의 심미성 평가 결과 31

〈표 21〉 어메니티자원의 풍요성 평가 결과 32

〈표 22〉 어메니티자원의 평온성 평가 결과 33

〈표 23〉 어메니티자원의 시간성 평가 결과 34

〈표 24〉 어메니티자원의 친근성 평가 결과 35

〈표 25〉 어메니티자원의 미개발성 평가 결과 36

〈표 26〉 어메니티자원의 농촌다움 평가 결과 37

〈표 27〉 어메니티자원의 농촌다움 속성 평가 결과 종합 38

〈표 28〉 도시 주민과 농촌 주민간 형용사 평가 차이 39

〈표 29〉 T-test 분석 결과 자원별 정리 39

〈표 30〉 T-test 분석 결과 형용사별 정리 40

〈표 31〉 농촌다움에 대한 도시 주민 회귀모델의 분산분석 41

〈표 32〉 농촌다움에 대한 도시 주민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정 41

〈표 33〉 농촌다움에 대한 농촌 주민 회귀모델의 분산분석 42

〈표 34〉 농촌다움에 대한 농촌 주민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정 42

〈표 35〉 회귀분석 결과로 분석한 농촌다움의 주요 속성 43

제2부 : 인지도(認知圖)를 이용한 농촌마을 공간 인지 및 계획지침 연구 54

〈표 1〉 도시 이미지 구성 요소(이훈, 1999) 61

〈표 2〉 연구의 내용적 범위 64

〈표 3〉 연구의 공간적 범위를 위한 농촌마을 유형 구분 65

〈표 4〉 연구의 공간적 범위 65

〈표 5〉 조사 대상지 농촌마을 66

〈표 6〉 연구 방법 67

〈표 7〉 조사 대상지 농촌마을의 현황(2006년 10월 현재) 69

〈표 8〉 율문 3리의 공간 인지 요소 72

〈표 9〉 중심 공간 및 상징적 지물 또는 장소(중복응답기능) 73

〈표 10〉 선호 장소 및 혐오 장소(중복응답가능) 73

〈표 11〉 태 1리의 공간 인지 요소 74

〈표 12〉 중심 공간 및 상징적 지물 또는 장소(중복응답가능) 75

〈표 13〉 선호 장소 및 혐오 장소(중복응답가능) 75

〈표 14〉 이곡 1리의 공간 인지 요소 76

〈표 15〉 중심 공간 및 상징적 지물 또는 장소(중복응답가능) 76

〈표 16〉 선호 장소 및 혐오 장소(중복응답가능) 77

〈표 17〉 관대리의 공간 인지 요소 77

〈표 18〉 중심 공간 및 상징적 지물 또는 장소(중복응답가능) 78

〈표 19〉 선호 장소 및 혐오 장소(중복응답가능) 78

〈표 20〉 내부 2리의 공간 인지 요소 79

〈표 21〉 중심 공간 및 상징적 지물 또는 장소(중복응답가능) 80

〈표 22〉 선호 장소 및 혐오 장소(중복응답가능) 80

〈표 23〉 덕평 3리의 공간 인지 요소 81

〈표 24〉 중심 공간 및 상징적 지물 또는 장소(중복응답가능) 82

〈표 25〉 선호 장소 및 혐오 장소(중복응답가능) 82

〈표 26〉 관산리의 공간 인지 요소 82

〈표 27〉 중심 공간 및 상징적 지물 또는 장소(중복응답가능) 83

〈표 28〉 선호 장소 및 혐오 장소(중복응답가능) 84

〈표 29〉 적누 1리의 공간 인지 요소 84

〈표 30〉 중심 공간 및 상징적 지물 또는 장소(중복응답가능) 85

〈표 31〉 선호 장소 및 혐오 장소(중복응답가능) 86

〈표 32〉 광이리의 공간 인지 요소 86

〈표 33〉 중심 공간 및 상징적 지물 또는 장소(중복응답가능) 87

〈표 34〉 선호 장소 및 혐오 장소(중복응답가능) 87

〈표 35〉 덕산리의 공간 인지 요소 88

〈표 36〉 중심 공간 및 상징적 지물 또는 장소(중복응답가능) 89

〈표 37〉 선호 장소 및 혐오 장소(중복응답가능) 89

〈표 38〉 만수 2리의 공간 인지 요소 89

〈표 39〉 중심 공간 및 상징적 지물 또는 장소(중복응답가능) 90

〈표 40〉 선호 장소 및 혐오 장소(중복응답가능) 90

〈표 41〉 청룡리의 공간 인지 요소 91

〈표 42〉 중심 공간 및 상징적 지물 또는 장소(중복응답가능) 92

〈표 43〉 선호 장소 및 혐오 장소(중복응답가능) 92

〈표 44〉 조사 대상지 농촌마을의 결절점 종합(인지도) 93

〈표 45〉 조사 대상지 농촌마을의 랜드마크 종합 순위(인지도) 93

〈표 46〉 조사 대상지 농촌마을의 랜드마크 종합(인지도) 94

〈표 47〉 조사 대상지 농촌마을의 통로 종합(인지도) 95

〈표 48〉 조사 대상지 농촌마을의 지역 종합(인지도) 95

〈표 49〉 조사 대상지 농촌마을의 모서리 종합(인지도) 95

〈표 50〉 조사 대상지 농촌마을의 중심 공간 종합(설문조사) 96

〈표 51〉 조사 대상지 농촌마을의 상징적 지물 또는 장소 종합(설문조사) 97

〈표 52〉 조사 대상지 농촌마을의 선호 장소 종합(설문조사) 98

〈표 53〉 조사 대상지 농촌마을의 혐오 장소 종합(설문조사) 98

〈표 54〉 조사 대상지 농촌마을의 행사 장소 종합(설문조사) 99

〈표 55〉 인지도와 설문조사 평가 기준 100

〈표 56〉 인지도와 설문조사를 통한 마을회관 평가 및 계획 방안 101

〈표 57〉 인지도와 설문조사를 통한 상업시설 평가 및 계획 방안 102

〈표 58〉 인지도와 설문조사를 통한 정자나무 평가 및 계획 방안 102

〈표 59〉 인지도와 설문조사를 통한 정자 평가 및 계획 방안 103

〈표 60〉 인지도와 설문조사를 통한 노인회관 평가 및 계획 방안 104

〈표 61〉 인지도와 설문조사를 통한 마을 내 지원시설 평가 및 계획 방안 104

〈표 62〉 인지도와 설문조사를 통한 쉼터 평가 및 계획 방안 105

〈표 63〉 인지도와 설문조사를 통한 경작지 평가 및 계획 방안 106

〈표 64〉 인지도와 설문조사를 통한 저수지 및 하천 및 호수 평가 및 계획 방안 106

〈표 65〉 인지도와 설문조사를 통한 전통건조물 평가 및 계획 방안 107

〈표 66〉 인지도와 설문조사를 통한 산 및 산봉우리 평가 및 계획 방안 108

〈표 67〉 인지도와 설문조사를 통한 버스정류장 평가 및 계획 방안 108

〈표 68〉 인지도와 설문조사를 통한 신성공간 평가 및 계획 방안 109

제1부 : 농촌어메니티자원의 농촌다움 특성 평가에 관한 연구 4

〈그림 1/2〉 본 연구에서 농촌어메니티와 농촌다움의 관계 11

〈그림 2/3〉 연구 과정도 19

〈그림 3/4〉 농촌 주민의 생태자원 평가 다차원척도 분석 결과 26

〈그림 4/5〉 도시 주민의 생태자원 평가 다차원척도 분석 결과 26

〈그림 5/6〉 농촌 주민의 사회자원 평가 다차원척도 분석 결과 27

〈그림 6/7〉 도시 주민의 사회자원 평가 다차원척도 분석 결과 27

〈그림 7/8〉 농촌 주민의 문화자원 평가 다차원척도 분석 결과 27

〈그림 8/9〉 도시 주민의 문화자원 평가 다차원척도 분석 결과 27

〈그림 9/10〉 연구 결과의 활용 방안 예시 44

제2부 : 인지도(認知圖)를 이용한 농촌마을 공간 인지 및 계획지침 연구 54

〈그림 1〉 연구 과정도 68

〈그림 2〉 율문 3리 인지도 1 73

〈그림 3〉 율문 3리 인지도 2 73

〈그림 4〉 태 1리 인지도 1 74

〈그림 5〉 태 1리 인지도 2 74

〈그림 6〉 이곡 1리 인지도 1 76

〈그림 7〉 이곡 1리 인지도 2 76

〈그림 8〉 관대리 인지도 1 78

〈그림 9〉 관대리 인지도 2 78

〈그림 10〉 내부 2리 인지도 1 79

〈그림 11〉 내부 2리 인지도 2 79

〈그림 12〉 덕평 3리 인지도 1 81

〈그림 13〉 덕평 3리 인지도 2 81

〈그림 14〉 관산리 인지도 1 83

〈그림 15〉 관산리 인지도 2 83

〈그림 16〉 적누 1리 인지도 1 85

〈그림 17〉 적누 1리 인지도 2 85

〈그림 18〉 광이리 인지도 1 87

〈그림 19〉 광이리 인지도 2 87

〈그림 20〉 덕산리 인지도 1 88

〈그림 21〉 덕산리 인지도 2 88

〈그림 22〉 만수 2리 인지도 1 90

〈그림 23〉 만수 2리 인지도 2(1) 90

〈그림 24〉 청룡리 인지도 1 91

〈그림 25〉 청룡리 인지도 2 91

〈그림 26〉 농촌마을 공간 인지 종합도 100

〈그림 27〉 연구 결과의 활용 방안 예시 110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