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산사태재해 예측 및 저감기술 개발 / 산업자원부 인기도
발행사항
[과천] : 산업자원부, 2008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자료실
해당자료 없음
형태사항
566 p. : 삽화, 도표, 사진 ; 30 cm
제어번호
MONO1200818409
주기사항
주관연구기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자연재해저감기술개발"의 연구과제임
주관연구책임자: 채병곤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주관연구과제] : 산사태 피해규모 정량화 및 최적 피해저감 기술 개발 2

제출문 3

보고서 초록 4

요약문 5

SUMMARY 13

CONTENTS 15

목차 16

제1장 서론 21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25

제1절 국외현황 25

제2절 국내현황 28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31

제1절 현장조사를 통한 전국 산사태 DB 구축 31

1. 산사태 DB 시스템 개요 31

가. 산사태 DB 구축 환경 31

나. 산사태 DB 시스템의 구성 32

2. 산사태 조사지역 현황 35

가. 강원도 평창지역의 산사태 조사현황 36

나. 강원도 인제지역의 산사태 조사현황 39

3. 산사태 DB구축 항목 및 내역 40

가. 개략조사 산사태자료 입력 40

나. 정밀조사 산사태자료 입력 42

다. 토질자료 입력 44

제2절 권역별 주요지역 산사태 예측지도 작성 및 high potential 지역 선정 45

1. 확률론적 산사태 예측기술의 개요 45

가. 변성암 및 화강암 분포지 산사태 예측모델 45

나. 산사태 예측지도 작성방법 55

2. 서울·경기지역 산사태 예측지도 작성 56

가. 산사태 예측지도 작성지역 선정 56

나. 예측지도 작성지역의 지형 및 지질 59

다. 대상지역의 토질특성 분석 62

라. 예측지도 작성 결과 및 high potential 지역 해석 79

3. 강원지역 산사태 예측지도 작성 113

가. 산사태 예측지도 작성지역 선정 113

나. 예측지도 작성지역의 지형 및 지질 118

다. 대상지역의 토질특성 분석 121

라. 예측지도 작성 결과 및 high potential 지역 해석 133

제3절 지질특성별 산사태 피해규모 정량적 산정(QRA)기술 개발 및 수도권 주요지역 산사태 재해위험지도 작성 145

1. QRA기술을 이용한 정량적 피해규모 산정 전문가 시스템 145

가. 지형분석을 통한 사태물질 이동경로 예측기술의 고도화 146

나. 산사태 피해위험도 산정 전문가시스템 156

2. 수도권 주요지역 산사태 재해위험지도 작성 159

가. 산사태 재해위험지도의 개요 159

나. 산사태 재해위험지도의 작성 사례 160

다. 서울-경기지역 산사태 재해위험지도 작성 163

3. 실내 모형실험을 통한 산사태 발생 및 확산특성 구명 169

가. 모형실험장치의 성능 개선 169

나. 계측장비 및 계측방법 개선 173

다. 산사태 모형실험 방법 및 실험재료의 토질특성 192

라. 모형실험 결과 203

마. 누적강우시 또는 반복강우시 현장토의 거동특성 214

바. 결론 257

제4절 유연성 원리를 이용한 산사태 방재공법 설계 및 시범설치 259

1. 서론 259

2. 토석류 산사태에 대한 피해저감공법 260

3. 유연성의 원리를 이용한 방호공법의 연구사례 263

가. 미국 Oragon에서의 모형실험 263

나. 독일 Lobental에서의 유목방류 실험 264

다. 스위스 Illgraben에서의 토석류 산사태 현장실험 265

4. 링네트 토석류 방호책 269

가. 링네트 토석류 방호책의 종류 269

나. 링네트 토석류 방호책의 설계법 272

5. 링네트 토석류 방호책의 시범설치 276

가. 현장조사 및 선정기준 276

나. 설치위치선정 277

다. 링네트 토석류 방호책 설계검토 278

라. 링네트 토석류 방호책 설치 281

6. 링네트 토석류 방호책 시방제안 286

가. 일반사항 286

나. 장비 및 인원 289

다. 시공순서도 290

라. 시공일반 291

마. 품질관리 및 보수 294

제5절 결론 299

제4장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 301

제1절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301

제2절 대외기여도 305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307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309

제1절 미국 309

1. 연구기관 309

2. 연구분야 309

제2절 캐나다 310

1. 연구기관 310

2. 연구분야 310

제3절 홍콩 311

1. 연구기관 311

2. 연구분야 312

제4절 일본 312

1. 방재과학기술연구소 (방재과학기술연구소; NIED) 312

2. 교토대학 방재연구소 (경도대학 방재연구소; DPRI) 314

제5절 대만 315

1. 연구기관 315

2. 조직 및 인원 315

3. 주요임무 315

4. 프로그램 316

5. 연구내용 (산사태재해분야) 316

제7장 참고문헌 319

[협동연구과제] : 유비쿼터스 기반 산사태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327

제출문 329

보고서 초록 331

요약문 333

SUMMARY 341

CONTENTS 343

목차 345

제1장 서론 349

제1절 연구목적 및 필요성 349

1. 기술적 측면 350

2. 경제·산업적 측면 350

3. 사회·문화적 측면 351

4. 현기술상태의 취약성 351

5. 앞으로의 전망 351

제2절 연구내용 및 범위 352

1. 최종연구목표 352

2. 연구내용 및 범위 355

3. 연구추진체계 355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357

제1절 국내 기술개발 현황 357

제2절 국외 기술개발 현황 357

1. 일본의 토석류 산사태 모니터링 개발 현황 357

가. 와이어식 토석류 감지 시스템 358

나. 광섬유 센서를 이용한 토석류 감지 시스템 359

2. 대만의 토석류 산사태 모니터링 개발 현황 360

3. 스위스의 토석류 산사태 모니터링 개발 현황 361

제3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363

제1절 토석류 산사태 계측 시스템 가이드라인 설정 연구 363

1. 연구수행 방법 363

2. 연구내용 및 결과 363

가. 산사태와 강우특성 363

나. 지역별 산사태 특성 364

다. 토석류 산사태의 붕괴 특징 조사 364

라. 토석류 관측기법 364

마. 국내 토석류 산사태 계측 항목 및 배치 기준 연구 370

제2절 무선 네트워크 기반 산사태 감지 시스템 개발 370

1. 연구수행 방법 371

2. 연구내용 및 결과 371

가. 토석류 감지 시스템 373

나. 토석류 거동 시스템 376

다. 함수비 측정 시스템 377

라. RF로거 378

마. 메인로거 시스템 379

제3절 산사태 감시 통합관리 프로그램 개발 381

1. 연구수행 방법 381

2. 연구내용 및 결과 382

가. 웹 스크래핑을 이용한 강수량 모니터링 프로그램 개발 382

나. 산사태 감시 프로그램 388

제4절 현장 시범 계측 402

1. 연구수행 방법 402

2. 연구내용 및 결과 403

가. 현장시범계측 실시 403

나. 계측결과 411

제4장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 417

제1절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417

제2절 대외기여도 418

1. 기술적 측면 419

2. 경제·산업적 측면 419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421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423

제1절 NEPCO LTD. : http://www.nepco.jp/ 423

제2절 종합 토사 재해 정보 시스템(http://www.takuwa.co.jp) 426

1. 시스템 개요 426

2. 시스템의 구성 426

제7장 참고문헌 429

[협동연구과제] : GIS기반 산사태 위험분석 시스템 개발 431

제출문 433

보고서 초록 435

요약문 437

SUMMARY 439

CONTENTS 441

목차 443

제1장 서론 447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449

제1절 국내 기술개발 현황 449

제2절 국외 기술개발 현황 449

제3절 연구결과와 국내·외 현황 450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453

제1절 산사태 위험분석용 주제도 레이어 추출 453

1. 산사태 예측을 위한 주제도 레이어 표준화 453

가. 지질별 적용 가능한 정량적 산사태 예측모델 453

나. 산림청의 산사태 위험지 판정모델 455

다. 산사태 예측 주제도 표준화 458

2. 산사태 위험분석을 위한 주제도 레이어 선정 459

가. 보은지역의 시설물 위험분석 460

나.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QRA 시스템 462

다. 산사태 위험분 주제도 선정 465

제2절 GIS기반 인명 및 시설물 피해 산정 기법 개발 468

1. 위험분석을 위한 인명피해액 산정기법 개발 468

가. 접근방법 468

나. 연구내용 469

2. 위험분석을 위한 시설물피해액 산정기법 개발 477

가. 접근방법 477

나. 연구내용 478

다. 연구결과 488

3. 시나리오 490

가. 산사태 예측도 작성 490

나. 산사태 피해영역 분석 491

다. 산사태 사전 피해액 산정 491

제3절 RS/GIS 데이터를 이용한 공간 분석 기법 493

1. 개요 493

2. 이종데이터의 기하보정 494

가. 국내외 연구동향 494

3. 연구 개발 방법론 495

가. 기하보정 요소의 선택 497

나. 기하보정요소의 추출 497

다. 기하보정을 위한 변환함수의 적용 500

4. 실험 적용 502

가. 실험 데이터 502

나. 정사영상 제작 504

다. 3차원 수치 영상 지형지도 제작 505

제4절 GIS기반 산사태 위험분석 프로세스 도출 509

1. 데이터 분석 509

가. 개요 509

나. 입력 데이터 510

다. 처리 데이터, 출력 데이터 513

2. 상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기존 프로세스 분석 513

가. 데이터 처리 과정 514

나. 문제점 514

3. 산사태 QRA 시스템을 이용한 기존 처리 프로세스 분석 515

가. 데이터 처리 과정 515

나. 문제점 516

4. 신규 프로세스 도출 517

가. 개요 517

나. 기존 프로세스와의 차이점 517

제5절 사용자 요구분석 및 GUI 설계 519

1. 기존 프로그램의 분석 520

가. 산사태 QRA 통합시스템 개요 520

나. 기존 프로그램의 개선 사항 분석 524

2. 사용자 요구분석 527

가. 사용자 요구 사항 528

3. GUI 설계 530

가. 문제기술서 530

나. 유저 인터페이스 532

제6절 산사태 정보 및 현장 시료 관리 구현 536

1. 산사태 관리 시스템 536

가. DB 입력(Input Landslide DB) 538

나. 산사태 정보 관리(Landslide Information) 539

다. 토질시험자료 정보(Soil Property Information) 542

제7절 산사태 예측 모델 알고리즘 구현 546

1. 전처리 시스템 546

가. 수치지도 관련 기능(Digital Map) 546

나. 배경이미지 조정 기능(Background Image) 550

다. 주제도 생성기능 (Thematic Map) 550

2. 산사태 예측도 작성 시스템 556

가. 예측 모델식 556

제4장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 561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563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565

제7장 참고문헌 567

[주관연구과제] : 산사태 피해규모 정량화 및 최적 피해저감 기술 개발 2

표 1.1.1. 최근 30년간 자연재해로 인한 사망자 통계 22

표 2.1.1. 지질재해 선진국의 산사태 연구 내용 27

표 2.2.1. 자연사면 및 절취사면 관련연구에 대한 기관별 연구/업무분야 29

표 3.2.1. 변수명과 변수설명... 46

표 3.2.2. 범주형 변수에 대한 기초통계량 46

표 3.2.3. 연속형 변수에 대한 기초통계량 47

표 3.2.4. 유의수준 5%하에서 T-검정 결과... 48

표 3.2.5.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48

표 3.2.6. AS51-04 지역의 관측데이터와 추정확률 49

표 3.2.7 입력변수별 오즈의 증가량 50

표 3.2.8. 로지스틱 판별분석에 대한 정오분류표 51

표 3.2.9. 분류기준값에 따른 로지스틱회귀모형의 성능비교 54

표 3.2.10. 서울/경기지역 도엽별 구성암석 62

표 3.2.11. 흙의 분류기호 64

표 3.2.12. 토층의 투수성등급 분류기준 76

표 3.2.13. 서울·경기지역의 산사태 예측 결과(각 도면별 면적대비) 80

표 3.2.14. 강원지역 지역별 구성암석 121

표 3.2.15. 강원지역의 산사태 발생가능성 예측 결과(각 도면별 면적대비) 133

표 3.3.1. 8방향흐름1 154

표 3.3.2. 8방향흐름2 154

표 3.3.3. 카메라와 렌즈의 제원 189

표 3.3.4. 현장토 시료에 대한 토질 실험결과 및 표준사의 토질특성 194

표 3.3.5. 전단강도 실험결과 196

표 3.3.6. 주문진 표준사의 낙하고에 따른 상대밀도 및 건조단위중량 197

표 3.3.7. 주문진 표준사의 직접전단시험 결과 202

표 3.3.8. 화강암 풍화토의 실험변수 214

표 3.3.9. 편마암 풍화토의 실험변수 214

표 3.3.10. 모델별 확산면적과 건조중량 243

표 3.3.11. 모형 실험기기에서 간극수압의 반응시간 244

표 3.3.12. 모델별 확산면적과 건조중량 247

표 3.3.13. 모델별 확산면적과 건조중량 248

표 3.3.14. 모형 실험기기에서 간극수압의 반응시간 251

표 3.3.15. 디지털 영상계측 결과 257

표 3.4.1. 토석류 피해저감공법의 비교 262

표 3.4.2. 계곡형상에 따른 링네트 토석류 방호책의 표준형태 271

표 3.4.3. 링네트 토석류 방호책에 작용하는 충격에너지 산정결과 279

표 3.4.4. 와이어로프(galvanized)의 보증절단하중 289

표 3.4.5. 표준배합비 292

표 3.4.6. 와이어로프 클립의 설치기준 293

표 3.4.7. 품질관리항목 294

표 3.4.8. 조임 토르크 관리기준 값 295

표 3.4.9. 토석류의 제거방법 298

표 6.1.1. 국외 급경사지재해 연구(요약) 317

[협동연구과제] : 유비쿼터스 기반 산사태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327

표 1.1.1. 현재 국내 건설계측의 기술수준 351

표 1.2.1. 기존 산사태 모니터링 시스템과 유비쿼터스 기반 산사태 모니터링 시스템 비교 354

표 1.2.2. 연차별 연구 목표와 주요 연구내용 및 범위 355

표 3.1.1. 토석류 산사태 계측 시스템 가이드라인 설정 연구수행 방법 363

표 3.2.1. 무선 네트워크 기반 산사태 감지 시스템 개발 방법 371

표 3.3.1. 산사태 감시 통합관리 프로그램 연구수행 방법 381

표 3.3.2. 웹크래핑을 이용한 강수량 모니터링 프로그램 구성 383

표 3.4.1. 시범계측 연구수행방법 403

표 3.4.2. 인제지역 강우발생 현황(2007) 404

표 3.4.3. 인제지역 산사태 피해현황(2007) 405

표 4.1.1.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417

표 6.1.1. 토석류 감기 시스템 사양 425

[협동연구과제] : GIS기반 산사태 위험분석 시스템 개발 431

표 3.1.1. 산사태 위험 예보제 발령 기준 456

표 3.1.2. 산사태 위험도 등급 기준 456

표 3.1.3. 산사태 위험지 판정기준 및 각 인자별 점수표 457

표 3.1.4. 시설물 위험평가에 사용된 주제도 461

표 3.1.5. 국가지리정보 수치지형도의 대분류 체계 462

표 3.1.6. 대분류 체계를 바탕으로 한 중분류 항목 463

표 3.1.7. 국가지리정보체계를 바탕으로 설정한 소분류 항목 464

표 3.1.8. 수치지도 Ver 2.0을 바탕으로 설정한 위험도 항목 467

표 3.2.1. 국토통계지도의 통계지표 475

표 3.2.2. 인명 피해 산정 시 사용하는 수치지도 항목 476

표 3.2.3. 주택 자연재난지원금 지원기준지수 479

표 3.2.4. 건물기준시가 산정 구조지수 479

표 3.2.5. 건물기준시가 산정 용도지수 480

표 3.2.6. 건물기준시가 산정 위치지수 480

표 3.2.7. 건물기준시가 산정 대상건물별 내용연수, 최종잔존가치율 및 상각방법 480

표 3.2.8. 건물기준시가 건물 신축연도별 잔가율표 481

표 3.2.9. 도로 재난복구비용 단가 483

표 3.2.10. 고속국도건설 평균단가 485

표 3.2.11. 일반국도건설 평균단가 485

표 3.2.12. 교량 및 터널 평균단가 486

표 3.2.13. 고속국도건설 표준단가 486

표 3.2.14. 일반국도건설 표준단가 486

표 3.2.15. 도로 재난복구비용 단가 487

표 3.2.16. 농경지 재난복구비용 단가 488

표 3.2.17. 시설물 피해 산정 시 사용하는 수치지도 항목 488

표 3.2.18. 산사태 사전 피해액 결과 493

표 3.4.1/3.4.0. 1:1,000 수치지도의 등고선 레이어 511

표 3.4.2/3.4.1. 1:5,000 수치지도의 등고선 레이어 511

표 3.4.3. 토질 시료 데이터 구조 512

표 3.4.4. 데이터 처리 소요 시간 516

표 3.5.1. Geomania기반의 산사태 통합 시스템의 구성과 기능 521

표 3.5.2. 세부 메뉴 구성 522

표 3.7.1. USCS 값(Full Model) 556

표 3.7.2. USCS 값(Lithology 제외) 556

[주관연구과제] : 산사태 피해규모 정량화 및 최적 피해저감 기술 개발 2

그림 3.1.1. 산사태 DB시스템 구축을 위한 Addon 선택창. 32

그림 3.1.2. 산사태 DB 시스템의 산사태 및 토질자료 관리... 33

그림 3.1.3. 산사태 정보관리 Access 데이터베이스 "mdb" 데이터파일 (산사태 및 토질시험자료 통합관리). 34

그림 3.1.4. 산사태 mdb 파일에 저장된 산사태 및 토질시료 자료. 35

그림 3.1.5. 강원도 평창지역 산사태 기하학적 특성 (1:25,000 축척 조사결과). 36

그림 3.1.6. 강원도 평창지역 산사태 기하학적 특성 (1:5,000 축척 조사결과). 37

그림 3.1.7. 강원도 평창지역 산사태 폭변화 (1:5,000 축척 조사결과). 38

그림 3.1.8. 강원도 인제지역 산사태 기하학적 특성 (1:25,000 축척 조사결과). 39

그림 3.1.9. 현장 개략조사의 산사태자료 입력창. 40

그림 3.1.10. 강원도 평창지역에서의 개략조사시 확인된 산사태 지점의 산사태 DB 구축. 41

그림 3.1.11. 정밀조사시 취득된 산사태자료 입력. 42

그림 3.1.12. 강원도 평창지역에서의 정밀조사시 확인된 산사태 지점의 산사태 DB 구축. 43

그림 3.1.13. 토질시료 채취지점 및 토질 물성치 DB 구축. 44

그림 3.2.1. 분류기준값의 변화에 따른 모형의 성능. 53

그림 3.2.2. 산사태 예측지도 작성과정. 56

그림 3.2.3. 서울·경기지역의 산사태 예측도 작성지역... 58

그림 3.2.4. 서울·경기지역 토층시료의 USCS에 의한 토질분류. 66

그림 3.2.5. 서울·경기지역 토층시료의 소성도에 의한 연경도. 66

그림 3.2.6. 서울·경기지역 토층시료의 입도분포도. 69

그림 3.2.7. 서울·경기지역 토층시료의 삼각도에 의한 입도분포. 69

그림 3.2.8. 서울·경기지역 토층시료의 간극율분포. 71

그림 3.2.9. 서울·경기지역 토층시료의 밀도분포. 72

그림 3.2.10. 서울·경기지역 토층시료의 간극비와 건조밀도의 관계. 72

그림 3.2.11. 서울·경기지역 토층시료의 전단강도분포. 74

그림 3.2.12. 서울·경기지역 토층시료의 투수계수와 유효경의 관계. 78

그림 3.2.13. 서울·경기지역 토층시료의 투수계수와 균등계수의 관계. 78

그림 3.2.14. 서울·경기지역 토층시료의 투수계수와 곡률계수의 관계. 79

그림 3.2.15. 서울·경기지역의 산사태 예측도 작성 결과. 80

그림 3.2.16. 고양 산사태 예측도. 83

그림 3.2.17. 의정부 산사태 예측도. 84

그림 3.2.18. 의정부 산사태 예측도. 85

그림 3.2.19. 성동 산사태 예측도. 86

그림 3.2.20. 안양 산사태 예측도. 87

그림 3.2.21. 둔전 산사태 예측도. 88

그림 3.2.22. 성남 산사태 예측도. 89

그림 3.2.23. 군포 산사태 예측도. 90

그림 3.2.24. 수원 산사태 예측도. 91

그림 3.2.25. 내평 산사태 예측도. 92

그림 3.2.26. 양주지역 정밀 산사태 예측도. 93

그림 3.2.27. 은평-고양지역 정밀 산사태 예측도. 94

그림 3.2.28. 도봉지역 정밀 산사태 예측도. 95

그림 3.2.29. 노원지역 정밀 산사태 예측도. 96

그림 3.2.30. 금천-관약-안양지역 정밀 산사태 예측도. 97

그림 3.2.31. 관악-과천지역 정밀 산사태 예측도. 98

그림 3.2.32. 안양지역 정밀 산사태 예측도. 99

그림 3.2.33. 안양-과천-의왕지역 정밀 산사태 예측도. 100

그림 3.2.34. 과천-의왕지역 정밀 산사태 예측도. 101

그림 3.2.35. 서초-성남지역 정밀 산사태 예측도. 102

그림 3.2.36. 성남-하남-광주지역 정밀 산사태 예측도. 103

그림 3.2.37. 하남-광주지역 정밀 산사태 예측도. 104

그림 3.2.38. 성남-광주지역 정밀 산사태 예측도. 105

그림 3.2.39. 광주지역 정밀 산사태 예측도. 106

그림 3.2.40. 안양-군포-화성지역 정밀 산사태 예측도. 107

그림 3.2.41. 의왕-수원지역 정밀 산사태 예측도. 108

그림 3.2.42. 성남-용인지역 정밀 산사태 예측도. 109

그림 3.2.43. 성남지역 정밀 산사태 예측도. 110

그림 3.2.44. 수원-용인시역 정밀 산사태 예측도. 111

그림 3.2.45. 성남-용인지역 정밀 산사태 예측도. 112

그림 3.2.46. 강원도에서 산사태예측지도를 작성한 지역. 114

그림 3.2.47. 춘천, 원주, 인제, 양구 및 평창지역의 해발고도 분포. 115

그림 3.2.48. 춘천, 원주, 인제, 양구 및 평창지역의 사면경사 분포. 116

그림 3.2.49. 도암, 속초, 양양 강릉 및 동해지역의 해발고도 분포. 117

그림 3.2.50. 도암, 속초, 양양 강릉 및 동해지역의 사면경사 분포. 118

그림 3.2.51. 강원지역 토층시료의 USCS에 의한 토질분류. 123

그림 3.2.52. 강원지역 토층시료의 소성도에 의한 연경도. 123

그림 3.2.53. 강원지역 토층시료의 입도분포도. 124

그림 3.2.54. 강원지역 토층시료의 삼각도에 의한 입도분포 125

그림 3.2.55. 강원지역 토층시료의 막대그래프에 의한 입도분포. 125

그림 3.2.56. 강원지역 토층시료의 간극율 분포. 126

그림 3.2.57. 강원지역 토층시료의 밀도분포. 127

그림 3.2.58. 강원지역 토층시료의 간극비와 건조밀도의 관계. 128

그림 3.2.59. 강원지역 토층시료의 투수계수분포. 129

그림 3.2.60. 강원지역 토층시료의 투수계수와 유효경의 관계. 130

그림 3.2.61. 강원지역 토층시료의 투수계수와 균등계수의 관계. 130

그림 3.2.62. 강원지역 토층시료의 투수계수와 곡률계수의 관계. 131

그림 3.2.63. 강원지역 토층시료의 투수계수와 간극비의 관계. 132

그림 3.2.64. 강원지역 토층시료의 투수계수와 세립토 함유율의 관계 132

그림 3.2.65. 강원지역의 산사태 예측도 작성 결과. 133

그림 3.2.66. 춘천지역 산사태 예측도. 135

그림 3.2.67. 원주지역 산사태 예측도. 136

그림 3.2.68. 인제지역 산사태 예측도. 137

그림 3.2.69. 양구지역 산사태 예측도. 138

그림 3.2.70. 평창지역 산사태 예측도. 139

그림 3.2.71. 도암지역 산사태 예측도. 140

그림 3.2.72. 속초지역 산사태 예측도. 141

그림 3.2.73. 양양지역 산사태 예측도. 142

그림 3.2.74. 강릉지역 산사태 예측도. 143

그림 3.2.75. 동해지역 산사태 예측도. 144

그림 3.3.1. DEM 생성. 147

그림 3.3.2. 보정 결과.... 148

그림 3.3.3. Convex 형태. 149

그림 3.3.4. Concave 형태. 149

그림 3.3.5. 본 연구에서 사용한 Low-pass Filter. 150

그림 3.3.6. Agree Burn DEM. 151

그림 3.3.7. 버퍼 영역 정의 그림. 152

그림 3.3.8. 검색영역. 154

그림 3.3.9. Flow Direction 생성. 155

그림 3.3.10. 임의지점으로부터의 산사태물질 이동 경로 가시화 결과. 156

그림 3.3.11. 산사태 위험 지점의 조회(확률74%이상 조회경우). 157

그림 3.3.12. 산사태 피해영역 분석. 157

그림 3.3.13. 장애물 객체(도로)가 선택과 그에 따른 사태물질 확산 결과. 158

그림 3.3.14. 이동경로 방향 코드 및 경사값 확인 기능. 158

그림 3.3.15. 피해내역 집계 예시. 158

그림 3.3.16. 산사태 재해위험지도 작성을 위한 산사태 예측도... 161

그림 3.3.17. 산사태 재해위험지도 작성을 위한 AddOn 실행. 162

그림 3.3.18. 산사태 이동경로 및 확산분석을 위한 분석 Layer 추출... 162

그림 3.3.19. 산사태 재해위험지도 작성 결과. 163

그림 3.3.20. 경기도 의왕-수원지역 산사태 재해위험지도 작성사례... 165

그림 3.3.21. 경기도 의왕-수원지역 산사태 재해위험지도 분석결과... 166

그림 3.3.22. 경기도 수원-용인지역 산사태 재해위험지도 작성사례... 168

그림 3.3.23. 경기도 수원-용인지역 산사태 재해위험지도 분석결과... 168

그림 3.3.24. 실험 시스템 구성 및 센서의 위치(측면도) 171

그림 3.3.25. 실험 시스템 구성 및 센서의 위치(평면도). 171

그림 3.3.26. 실험 시스템 구성 및 센서의 위치(전면도). 172

그림 3.3.27. 각 측정기기의 위치. 172

그림 3.3.28. ADR센서와 모식도. 174

그림 3.3.29. 토조바닥을 천공하여 설치한 ADR센서. 175

그림 3.3.30. 상부토조에 역방향으로 매설된 ADR센서. 175

그림 3.3.31. 체적함수비 와 측정전압과의 관계. 176

그림 3.3.32. ADR 계측자료와 간극수압 계측자료의 계측시간 차이. 176

그림 3.3.33. 시간에 따른 ADR 계측센서 위치별 체적함수비. 177

그림 3.3.34. 모형사면에서 시간에 따른 사면붕괴 길이의 예. 177

그림 3.3.35. ADR 계측치(voltage)와 체적함수비 관계. 178

그림 3.3.36. ADR 계측치(voltage)와 √e(이미지참조) 관계. 179

그림 3.3.37. ADR 계측치(voltage)와 경과시간. 180

그림 3.3.38. 위 그림 3.3.37에서 피크부분을 확대한 그림. 180

그림 3.3.39. √e(이미지참조)와 경과시간. 181

그림 3.3.40. 위 그림 3.3.39에서 피크부분을 확대한 그림. 181

그림 3.3.41. 체적함수비와 경과시간. 182

그림 3.3.42. 위 그림 3.3.41에서 피크부분을 확대한 그림. 183

그림 3.3.43. 화강암 풍화토. 184

그림 3.3.44. 편마암 풍화토. 184

그림 3.3.45. 온도에 대한 화강암 풍화토 보정 값. 186

그림 3.3.46. 온도에 대한 편마암 풍화토 보정 값. 187

그림 3.3.47. 사진계측활용의 예. 188

그림 3.3.48. 코드 타겟. 190

그림 3.3.49. calibration grid. 191

그림 3.3.50. Calibration작업 완료. 192

그림 3.3.51. 사진계측 방법 모식도. 192

그림 3.3.52. 입도 분포 곡선. 195

그림 3.3.53. 낙하높이에 따른 상대밀도. 196

그림 3.3.54. 주문진 표준사의 수평 변형률에 따른 전단응력 곡선 199

그림 3.3.55. 주문진 표준사의 수평변형률에 따른 침하량 곡선 200

그림 3.3.56. 주문진 표준사의 연직응력에 대한 최대전단강도 201

그림 3.3.57. 주문진 표준사의 상대밀도에 따른 내부마찰각. 202

그림 3.3.58. 강우에 의한 산사태의 파괴형태. 204

그림 3.3.59. 암종별 파괴형태와 확산특성. 205

그림 3.3.60. P1 지점의 간극수압 분포. 206

그림 3.3.61. P2 지점의 간극수압 분포. 207

그림 3.3.62. P3 지점의 간극수압 분포. 207

그림 3.3.63. Lower part의 함수비 변화 양상. 208

그림 3.3.64. Middle part의 함수비 변화 양상. 209

그림 3.3.65. Upper part의 함수비 변화 양상. 209

그림 3.3.66. 시간에 따른 사태물질의 확산 폭 변화. 210

그림 3.3.67. 시간에 따른 사태물질의 확산 길이 변화. 211

그림 3.3.68. 시간에 따른 사태물질의 확산 면적 변화. 212

그림 3.3.69. 표준사의 사태물질 확산 과정도와 실험종료 후 영향범위. 212

그림 3.3.70. 화강암 풍화토의 사태물질 확산 과정도와 실험종료 후 영향범위. 213

그림 3.3.71. 편마암 풍화토의 사태물질 확산 과정도와 실험종료 후 영향범위. 213

그림 3.3.72. 사태물질 건조중량. 214

그림 3.3.73. Gr-1모델의 간극수압 분포. 215

그림 3.3.74. Gr-1모델의 지표면에서의 변위와 누적변위. 216

그림 3.3.75. Gr-1모델의 사태물질 확산 과정도. 217

그림 3.3.76. Gr-1모델의 사태물질의 확산의 폭과 길이. 217

그림 3.3.77. Gr-1모델의 사태물질 확산 면적. 218

그림 3.3.78. Gr-2모델의 간극수압 분포. 219

그림 3.3.79. Gr-2모델의 지표면에서의 변위와 누적변위. 220

그림 3.3.80. Gr-2모델의 사태물질 확산 과정도. 221

그림 3.3.81. Gr-2모델의 사태물질 확산의 폭과 길이. 221

그림 3.3.82. Gr-2모델의 사태물질 확산 면적. 222

그림 3.3.83. Gn-1모델의 체적함수비. 223

그림 3.3.84. Gn-1모델의 간극수압 분포. 223

그림 3.3.85. Gn-1모델의 지표면에서의 변위와 누적변위. 224

그림 3.3.86. Gn-1모델의 사태물질 확산 과정도. 225

그림 3.3.87. Gn-1모델의 사태물질 확산의 폭과 길이. 225

그림 3.3.88. Gn-1모델의 사태물질 확산면적. 226

그림 3.3.89. Gn-2모델의 체적 함수비. 227

그림 3.3.90. Gn-2모델의 간극수압 분포. 227

그림 3.3.91. Gn-2모델의 지표면에서의 변위와 누적변위. 228

그림 3.3.92. Gn-2모델의 사태물질 확산 과정도. 229

그림 3.3.93. Gn-2모델의 사태물질 확산의 폭과 길이. 229

그림 3.3.94. Gn-2모델의 사태물질 확산면적. 230

그림 3.3.95. Gn-3모델의 체적 함수비. 231

그림 3.3.96. Gn-3모델의 간극수압 분포. 231

그림 3.3.97. Gn-3모델의 지표면에서의 변위와 누적변위. 232

그림 3.3.98. Gn-3모델의 사태물질 확산 과정도. 233

그림 3.3.99. Gn-3모델의 사태물질 확산의 폭과 길이. 233

그림 3.3.100. Gn-3모델의 사태물질 확산 면적. 234

그림 3.3.101. Gn-4모델의 체적 함수비. 235

그림 3.3.102. Gn-4모델의 간극수압 분포. 235

그림 3.3.103. Gn-4모델의 지표면에서의 변위와 누적변위. 236

그림 3.3.104. Gn-4모델의 사태물질 확산 과정도. 237

그림 3.3.105. Gn-4모델의 사태물질 확산의 폭과 길이. 237

그림 3.3.106. Gn-4모델의 사태물질 확산 면적. 238

그림 3.3.107. Gn-5모델의 체적 함수비. 239

그림 3.3.108. Gn-5모델의 간극수압 분포. 239

그림 3.3.109. Gn-4모델의 지표면에서의 변위와 누적변위. 240

그림 3.3.110. Gn-5모델의 사태물질 확산 과정도. 241

그림 3.3.111. Gn-5모델의 사태물질 확산의 폭과 길이. 241

그림 3.3.112. Gn-5모델의 사태물질 확산 면적. 242

그림 3.3.113. 초기함수비와 확산면적. 242

그림 3.3.114. 초기함수비와 파괴형태. 243

그림 3.3.115. 그림 3.3.78의 그래프 중 700~1300초를 확대. 244

그림 3.3.116. 초기함수비에 대한 파괴시간. 245

그림 3.3.117. 초기함수비에 대한 파괴시간. 246

그림 3.3.118. 초기함수비에 대한 확산면적. 246

그림 3.3.119. 경사와 파괴시간. 247

그림 3.3.120. 경사와 확산면적. 248

그림 3.3.121. 초기함수비와 파괴형태. 250

그림 3.3.122. 그림 3.3.102 그래프 중 0~700초 구간 확대. 251

그림 3.3.123. 변위속도의 역수와 표면변위. 252

그림 3.3.124. 변위속도의 역수와 표면변위. 253

그림 3.3.125. 변위속도의 역수와 표면변위. 253

그림 3.3.126. 변위속도의 역수와 표면변위. 254

그림 3.3.127. 변위속도의 역수와 표면변위. 255

그림 3.3.128. 타겟이 매설된 토조의 전면사진. 255

그림 3.3.129. 실험시작. 256

그림 3.3.130. 실험종료. 256

그림 3.4.1. 강성(rigid) 및 연성(flexible)구조물에 대한 하중-변위 특성. 259

그림 3.4.2. 능동적인 피해저감공법. 261

그림 3.4.3. Oragon주 모형실험. 264

그림 3.4.4. Lobental시험장의 유목방류실험. 265

그림 3.4.5. 대상지역의 지형도와 계측기 설치위치. 266

그림 3.4.6. 계측장치. 267

그림 3.4.7. 토석류 하중측정 장치. 267

그림 3.4.8. 토석류 산사태 계측결과. 268

그림 3.4.9. 토석류 발생이후 방호책 전경. 268

그림 3.4.10. VX형 링네트 방호책. 270

그림 3.4.11. UX형 링네트 방호책. 270

그림 3.4.12. Whale형 링네트 방호책. 270

그림 3.4.13. 설계를 위한 토석류 측면도. 272

그림 3.4.14. 설계를 위한 토석류의 정면도. 272

그림 3.4.15. 토석류 방호책으로 저지된 토석류 퇴적물. 274

그림 3.4.16. 링네트 토석류 방호책 설치개념 (예). 275

그림 3.4.17. 링네트 토석류 방호책의 후보지 선정방법. 277

그림 3.4.18. 설치예정지역의 위치도. 278

그림 3.4.19. 설치예정지역의 전경. 278

그림 3.4.20. 와이어로프 앵커의 설계. 279

그림 3.4.21. 중공봉강 록볼트 시스템. 280

그림 3.4.22. 대상지역에 설치된 링네트 토석류 방호책 설계단면. 281

그림 3.4.23. 현장전경. 282

그림 3.4.44. 앵커설치를 위한 천공. 283

그림 3.4.25. 앵커 설치 모습. 283

그림 3.4.26. 앵커 두부 설치. 283

그림 3.4.27. 링네트 설치. 285

그림 3.4.28. 와이어로프클립 설치. 286

그림 3.4.29. 설치완료 모습. 286

그림 3.4.30. 시공순서도. 290

그림 3.4.31. 와이어로프 클립. 293

[협동연구과제] : 유비쿼터스 기반 산사태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327

그림 1.1.1. 10년 합계 자연재해 사망자 비율. 349

그림 1.1.2. 연도별 산사태 & 사면재해 관련 사망자수. 350

그림 1.2.1. 최종 연구 목표 : 유비쿼터스 기반 산사태 모니터링 시스템 구성도. 353

그림 1.2.2. 연구추진체계. 356

그림 2.2.1. 토석류 산사태 계측 시스템. 358

그림 2.2.2. 와이어식 토석류 감지 센서 모식도. 359

그림 2.2.3. 토석류 감지센서 설치 전경. 359

그림 2.2.4. 광섬유 센서를 이용한 토석류 감시 시스템. 359

그림 2.2.5. 데만의 토석류 모니터링 시스템 구성도. 360

그림 3.2.6. 토석류 모니터링에 적용되는 계측항목(대만). 360

그림 2.2.7. 기상관측장치. 361

그림 2.2.8. Geophone 측정장치. 361

그림 2.2.9. 링네트 하중계 및 감시 카메라. 362

그림 2.2.10. Check-Dam에서의 토석류 하중 및 속도 측정시스템. 362

그림 3.1.1. 위험지역 선정 기준. 364

그림 3.1.2. 토석류 산사태 관측지역. 364

그림 3.1.3. 토석류 발생 개념도. 366

그림 3.1.4. 토석류 발생 메카니즘. 367

그림 3.1.5. 와이어 타입 토석류 감지 센서 설치 모식도. 368

그림 3.1.6. 와이어 타입 센서 설치사진. 368

그림 3.1.7. Flipping 센서 작동 원리. 368

그림 3.1.8. Flipping 센서 설치 사진. 368

그림 3.1.9. 광 센서 타입 토석류 감지 센서 설치 모식도. 369

그림 3.1.10. 진동 측정 센서를 이용한 토석류 감지 방법. 369

그림 3.1.11. 토석류 산사태 계측 항목 및 배치 기준. 370

그림 3.2.1. 무선네트워크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 구성도. 373

그림 3.2.2. 토석류 감지 센서 구성도. 374

그림 3.2.3. 토석류 감지 로거 설치 상태. 375

그림 3.2.4. 토석류 감지 센서 설치 상태. 375

그림 3.2.5. 경광등. 375

그림 3.2.6. 토석류 거동 감지 센서. 377

그림 3.2.7. 함수비 측정 센서. 378

그림 3.2.8. RF로거. 379

그림 3.2.9. 메인로거 시스템. 380

그림 3.2.10. RF야기 안테나. 380

그림 3.2.11. CDMA 안테나. 380

그림 3.3.1. 웹스크래핑을 이용한 강수량 모니터링 시스템 구성도. 382

그림 3.3.2. WeatherScrap UI. 383

그림 3.3.3. GeoRainMonitor 메인 화면. 384

그림 3.3.4. 데이터 출력 구간 설정 기능. 385

그림 3.3.5. 경보내역 테이블 기능. 385

그림 3.3.6. 그래프 출력. 385

그림 3.3.7. 시간별 데이터 테이블 표시. 386

그림 3.3.8. 웹페이지를 통한 강수량 모니터링. 387

그림 3.3.9. 관리기준치 설정 그래프. 387

그림 3.3.10. 산사태 감시 프로그램 구성도. 388

그림 3.3.11. TCP/IP 통신 흐름도. 389

그림 3.3.12. GeoControlSrv Database 구조. 390

그림 3.3.13. GeoDatabase 구조. 391

그림 3.3.14. 프로그램 기능 Flow Chart. 392

그림 3.3.15. 데이터 베이스 저장 Flow Chart. 392

그림 3.3.16. TCP/IP 통신 Protocol 처리 구조. 393

그림 3.3.17. Database 관리 구조. 393

그림 3.3.18. GeoLandslide 메인 화면. 394

그림 3.3.19. 경보 발생 및 로거 상태 확인 UI. 395

그림 3.3.20. Sensor 추가 UI. 395

그림 3.3.21. 로거 설정 UI. 396

그림 3.3.22. 관리내역 기록 UI. 396

그림 3.3.23. 문자 메세지 발송관리 UI. 397

그림 3.3.24. 프로그램 환경 설정 UI. 397

그림 3.3.25. GeoMonitor Center Webpage 메인화면. 398

그림 3.3.26. 계측데이터 현황판. 399

그림 3.3.27. Website에 웹카메라 Link 화면. 399

그림 3.3.28. 로그인 화면. 400

그림 3.3.29. GeoMonitor 메인화면(수치지도 형식). 400

그림 3.3.30. GeoMonitor 메인화면(이미지 형식). 401

그림 3.3.31. 센서 Mapping. 401

그림 3.3.32. 계측 데이터 및 그래프 출력 화면. 402

그림 3.4.1. 현장 위치. 404

그림 3.4.2. 시범계측 Site 하류 계곡. 404

그림 3.4.3. 시범계측 Site 상류 계곡. 404

그림 3.4.4. 콘크리트 사방댐. 405

그림 3.4.5. Buttress 사방댐. 405

그림 3.4.6. SLIT 사방댐. 405

그림 3.4.7. Shell 사방댐. 405

그림 3.4.8. Geophone. 407

그림 3.4.9. WebCam. 407

그림 3.4.10. 시범계측 시스템 구성도. 408

그림 3.4.11. 메인로거 및 강우량계 구축. 408

그림 3.4.12. 센서부 고정. 409

그림 3.4.13. 턴버클 이용 와이어로프 긴장. 409

그림 3.4.14. RF 로거 구축. 410

그림 3.4.15. 토석류 거동센서 및 함수비 측정센서 구축완료. 410

그림 3.4.16. Level 체크 및 센서 고정. 410

그림 3.4.17. Grophone 구축완료. 410

그림 3.4.18. Webcamera 위치 선정. 411

그림 3.4.19. Webcamera 구축. 411

그림 3.4.20. 현장시범계측기 설치전경. 411

그림 3.4.21. 강우량계 측정 그래프. 412

그림 3.4.22. 토석류 감지 센서 측정 그래프. 412

그림 3.4.23. 감지센서 단락 테스트후 SMS 전송상태. 413

그림 3.4.24. 토석류 거동 센서 측정 그래프. 413

그림 3.4.25. 함수비 측정 센서 측정 그래프. 414

그림 3.4.26. Geophone 측정 데이터. 415

그림 3.4.27. 웹카메라 캡쳐 화면. 415

그림 6.1.1. 토석류 산사태 감지 시스템 개요도. 424

그림 6.1.2. 토석류 감지 센서 및 설치 전경. 424

그림 6.1.3. 토석류 감지 Logger 및 경보시스템. 425

그림 6.2.1. 종합 토사 재해 정보 시스템. 427

[협동연구과제] : GIS기반 산사태 위험분석 시스템 개발 431

그림 3.1.1. 2003년 모델의 산사태 예측 인자 454

그림 3.1.2. 분석 과정 454

그림 3.1.3. 2004년 모델의 산사태 예측 인자 455

그림 3.1.4. 퇴적암 및 화산암 지역의 산사태 예측 인자 455

그림 3.1.5. 산사태 위험지 판정과정 458

그림 3.1.6. 산사태 예측을 위한 주제도 459

그림 3.1.7. 산사태 정량적 위험도 산정 과정 460

그림 3.1.8. 수치지도 Ver 2.0 레이어 체계 466

그림 3.2.1. GIS 기반 정량적 산사태 피해 산정 과정 468

그림 3.2.2. 인명 피해 산정 기법 469

그림 3.2.3. 국가통계포털(KOSIS) 화면 471

그림 3.2.4. 통계네비게이터 화면 472

그림 3.2.5. 통계항목 설정 화면 473

그림 3.2.6. 통계 항목 조회 결과 화면 473

그림 3.2.7. 국토통계지도 화면 474

그림 3.2.8. 시설물 피해액 산정 기법 477

그림 3.2.9. 개별단독주택 공시가격 조회 화면 482

그림 3.2.10. 공동주택 공시가격 조회 화면 482

그림 3.2.11. 경기도 장흥지역의 산사태 예측도 490

그림 3.2.12. 산사태 이동경로 및 피해영역 분석. 491

그림 3.2.13. 중첩분석 492

그림 3.2.14. 산사태 사전 피해액 산정 기준. 492

그림 3.3.1. 연구 흐름도. 496

그림 3.3.2. 선형객체 추출과정... 498

그림 3.3.3. 항공사진으로부터의 선형요소 추출. 499

그림 3.3.4. 항공레이저측량 자료 및 수치지도로부터 추출된 선형 요소. 500

그림 3.3.5. 항공사진 단영상과 항공레이저측량 자료의 기하보정. 501

그림 3.3.6. 연구대상지역의 수치지도(1:1,000). 503

그림 3.3.7. 연구대상지역의 항공레이저 측량자료. 504

그림 3.3.8. 연구대상지역의 칼라 항공사진. 504

그림 3.3.9. 정사 영상 제작. 505

그림 3.3.10. DSM과 DEM. 506

그림 3.3.11. 3차원 지형도. 507

그림 3.3.12. 산사태 예측도, 수치지도의 중첩 (2차원 표현). 508

그림 3.3.13. 산사태 예측도, 수치지도, DEM의 중첩 (3차원 표현). 508

그림 3.3.14. 산사태 예측도, 항공사진, DEM의 중첩 (3차원 표현). 509

그림 3.4.1. 현장시료 테이블 예. 512

그림 3.4.2. 상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기존 처리 프로세스 분석. 514

그림 3.4.3. 산사태 QRA 시스템을 이용한 처리 프로세스. 515

그림 3.4.4. 산사태 예측도 생성 모델. 516

그림 3.4.5. 신규 프로세스. 519

그림 3.5.1. 시스템 구현 절차. 520

그림 3.5.2. 산사태 예측도. 523

그림 3.5.3. 산사태 이동경로 및 피해 현황. 523

그림 3.5.4. 전체 메뉴 구성. 524

그림 3.5.5. 찾기 기능. 525

그림 3.5.6. 산사태 시험 자료 입력 창. 526

그림 3.5.7. 피해 정보 표현. 527

그림 3.5.8. 사용자 요구사항 분석 방안. 528

그림 3.5.9. 사용자 요구사항 관리 테이블. 529

그림 3.5.10. 전체 메뉴 구성. 532

그림 3.5.11. 전체 메뉴 구성. 533

그림 3.5.12. 검색 선택 인터페이스. 534

그림 3.5.13. 영역별 검색 인터페이스. 534

그림 3.5.14. 특성치별 검색 인터페이스. 535

그림 3.5.15. DB관리 인터페이스. 535

그림 3.5.16. 좌표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 536

그림 3.6.1. Map Document 파일을 실행했을 때 초기 화면. 537

그림 3.6.2. 인터페이스 1. 537

그림 3.6.3. 인터페이스 2. 538

그림 3.6.4. 산사태 DB 생성. 539

그림 3.6.5. 공간정보 입력 툴. 539

그림 3.6.6. 산사태 발생 정보 입력 창. 540

그림 3.6.7. 공간정보 입력... 541

그림 3.6.8. 산사태 정보 검색 창. 542

그림 3.6.9. 토질시험자료 정보 입력 창. 543

그림 3.6.10. 시험 자료 공간 정보 입력 창. 544

그림 3.6.11. 토질시료 특성 검색 창. 545

그림 3.7.1. 전처리 시스템 구성. 546

그림 3.7.2. 수치지도 처리. 546

그림 3.7.3. 수치지도 입력 창. 547

그림 3.7.4. 수치지도가 화면에 표현된 모습. 547

그림 3.7.5. TIN 생성 화면. 548

그림 3.7.6. 수치지도 등고선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TIN. 548

그림 3.7.7. TIN 생성 화면. 549

그림 3.7.8. TIN으로부터 생성된 DEM. 549

그림 3.7.9. 배경 이미지 조정 기능 구성. 550

그림 3.7.10. 주제도 작성 구성. 550

그림 3.7.11. Slope 작성 창. 551

그림 3.7.12. Slope 주제도. 551

그림 3.7.13. IDW 보간 창. 552

그림 3.7.14. IDW 기법을 통한 건조밀도 주제도. 552

그림 3.7.15. Kriging. 553

그림 3.7.16. kriging. 기법을 통한 공극률 주제도. 553

그림 3.7.17. Spline. 554

그림 3.7.18. Spline을 통한 투수계수 주제도. 554

그림 3.7.19. Contour 생성. 555

그림 3.7.20. 투수계수주제도에서 contour 추출. 555

그림 3.7.21. 예측도 작성 시스템. 558

그림 3.7.22. 사용자 정의 함수와 그 모델식 계수 입력. 559

그림 6.1.1. Hong Kong Slope Safety Web Site. 565

그림 6.1.2. Quantitative risk analysis for landslides. 566

그림 6.1.3. Debris flow map. 566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