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한반도 고유 생물자원 발굴 및 관리기반 구축 / 환경부 인기도
발행사항
[과천] : 환경부, 2008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자료실
해당자료 없음
형태사항
81, 165, 196 p. : 삽화, 도표, 사진 ; 30 cm + CD 1매
제어번호
MONO1200823451
주기사항
최종보고서(완결본)
총괄과제: 한반도 미발굴 생물자원의 발굴ㆍ관리
연구책임자: 박종욱
주관연구기관: 국립생물자원관
"생태환경 이용 및 관리기술"의 연구과제임
부록/보유자료:한반도 고유 생물자원 발굴 및 관리기반 구축  바로보기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한반도 고유 생물자원 발굴 및 관리기반 구축 (총괄과제 : 한반도 미발굴 생물자원의 발굴·관리) 2

제출문 3

보고서 초록 5

요약문 7

SUMMARY 11

CONTENTS 15

목차 17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19

제1절 연구개발의 필요성 19

제2절 연구개발의 목표 22

제3절 주요 사업 내용 및 범위 24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25

제1절 국외 25

제2절 국내 26

제3절 국내·외 유사 기술과의 차별성 37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39

제1절 주요 연구 결과 개요 39

제2절 주요 연구별 결과 41

1. 발굴(채집) 조사 41

2. 생물재료의 통합 관리 체계 구축 42

3. 고유/주요 생물자원 확증표본 자료 시스템 구축 44

4. 국가 생물자원 관리 네트워크 구축 (National Biological Resources Network) 구축 46

5. 관속포자식물 유전자 은행 구축 및 분자 표지인자 개발 51

6. 한반도 목본 자원식물 조직표본 은행 구축 56

7. 자생 고등균류자원 은행 구축 및 유전 특성 평가 58

8. 한국 유용 곤충 조직 은행 구축 61

제4장 목표 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65

제1절 평가의 착안점 및 기준 65

제2절 연구개발 수행내용 및 목표달성도 72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75

제1절 기술 개발 시 예상되는 파급효과 75

제2절 개발 결과의 활용방안 76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79

제7장 참고문헌 81

한반도 고유 생물자원 발굴 및 관리기반 구축 (세부과제1 : 한반도 미발굴 고유 식물자원의 발굴·관리) 84

제출문 85

보고서 초록 87

요약문 89

Abstract 92

CONTENTS 96

목차 97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103

제1절 연구개발의 목표 103

제2절 연구개발의 필요성 및 범위 104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105

제1절 국외 관련 분야 현황 105

제2절 국내 관련 분야 현황 106

1. 관속식물 106

2. 균류 108

3. 지의류 109

4. 수생하등식물 (조류; algae) 109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111

제1절 연구개발의 목표 111

제2절 연구내용, 범위 및 연구수행 방법 113

제3절 연구개발 조사지역 및 일정 118

제4절 연구수행 결과 119

제5절 과제 결과 요약 237

제6절 한반도 고유/자생 식물자원 관리 정보 축적 237

제4장 목표 달성도 241

제1절 한반도 고유 및 주요 식물자원 발굴 현황 241

제2절 한반도 고유 및 주요 식물자원 관리 정보 산출 및 DB 입력 242

제3절 논문발표 242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243

제1절 타 연구에의 응용 243

제2절 본 연구의 파급효과 244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245

제7장 참고문헌 247

한반도 고유 생물자원 발굴 및 관리 기반 구축(세부2 : 미 발굴 한반도 고유 동물자원의 발굴·관리)(Inventories and Management of Biological Resources of Korea : Animal Resources) 250

제출문 251

보고서 초록 253

요약문 255

SUMMARY 258

CONTENTS 259

목차 269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277

1절 연구개발의 중요성 및 필요성 277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281

1절 국내·외의 연구현황 281

1. 무척추동물 (곤충 제외) 281

2. 곤충 282

3. 척추동물 283

2절 세계적 기술개발 수준 283

3절 국내 기술개발 수준 284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287

1절 연구수행 방법 287

2절 연구 내용 및 결과 290

1. 발굴(채집)조사 290

가. 1차년도 291

나. 2차년도 292

다. 3차년도 293

2. 한반도 고유 및 주요 무척추동물자원 (곤충 제외) 발굴 294

가. 연구 범위 294

나. 연구 내용 및 방법 294

다. 연구 결과 296

3. 한반도 고유 및 주요 곤충자원 발굴 326

가. 연구 범위 326

나. 연구 내용 및 방법 326

다. 연구 결과 328

4. 한반도 고유 및 주요 척추동물자원 발굴 393

가. 연구 범위 393

나. 연구 내용 및 방법 393

다. 연구 결과 395

5. 한반도 고유 및 주요 동물자원 관리 정보 축적 402

가. 연구 범위 402

나. 연구 결과 402

제4장 목표 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411

1절 연구개발목표 및 평가의 착안점 411

2절 연구개발목표의 달성도 415

3절 관련분야의 기술발전에의 기여도 419

1. 사업성과의 목표달성도 419

2. 사업성과의 질적수준 419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421

1절 연구개발결과의 실용성 및 활용성 421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423

제7장 참고문헌 425

1절 무척추동물(곤충제외) 425

2절 곤충 431

3절 척추동물 445

한반도 고유 생물자원 발굴 및 관리기반 구축 (총괄과제 : 한반도 미발굴 생물자원의 발굴·관리) 18

〈표 1〉 한반도 자생동물 기록종 현황 29

〈표 2〉 한반도 자생식물 기록종 현황 30

〈표 3〉 소장 생물 표본수의 국내·외 비교 30

〈표 4〉 한반도 자생 곤충류의 기록 종 수 36

〈표 5〉 총괄과제 수행을 위한 발굴조사 일정 및 경로 41

〈표 6〉 한반도 고유 생물자원 발굴 및 관리기반 구축 사업 운영위원회 구성 43

〈표 7〉 고유/주요 생물자원 확증표본 자료 시스템 구축 연구에서 확보된 확증표본수 및 분류군 현황 45

〈표 8〉 포자를 관찰한 관속포자식물 목록 54

〈표 9〉 자생 고등균류자원 은행 구축에서 확보한 미기록종 목록 60

한반도 고유 생물자원 발굴 및 관리기반 구축 (세부과제1 : 한반도 미발굴 고유 식물자원의 발굴·관리)(Inventories and Management of Biological Resources of Korea : Inventories and Management of Plant Resources of Korea) 98

〈표 1〉 국내외 기관별 식물자원 연구 개발 내용 및 활용 현황 106

〈표 2〉 한반도 자생식물 기록종 현황 107

〈표 세부1-1〉 연구내용, 범위 및 연구수행 방법 116

〈표 세부1-2〉 한반도 고유/자생 식물자원 세부1과제 수행을 위한 발굴조사 지역 및 일수 118

〈표 세부1-3〉 한반도 고유/자생 고등식물 (관속식물)자원 발굴 연구의 주요 결과 121

〈표 세부1-4〉 한반도 고유종 및 한반도를 포함한 주변지역과의 공통종 목록 125

〈표 세부1-5〉 한반도 고유식물의 국내 분포현황 목록 132

〈표 세부1-6〉 한반도 법정 멸종위기 야생식물의 국내 분포현황 목록 183

〈표 세부1-7〉 한반도 고유/자생 하등식물자원 발굴 연구 주요 결과 196

〈표 세부1-8〉 연구수행 결과 요약표 237

〈표 세부1-9〉 한반도 고유/자생 식물자원 관리 정보 축적 연구 1차년도 주요 결과. 238

한반도 고유 생물자원 발굴 및 관리 기반 구축 (세부2 : 미 발굴 한반도 고유 동물자원의 발굴·관리) 270

〈표 세부2-1〉 세부2과제 수행을 위한 발굴(채집)조사 일정 및 경로. 290

〈표 세부2-2〉 1차년도 발굴(채집)조사 일정 및 경로. 291

〈표 세부2-3〉 2차년도 발굴(채집)조사 일정 및 경로 292

〈표 세부2-4〉 3차년도 발굴조사 일정 및 경로 293

〈표 세부2-5〉 한반도 고유 및 주요 무척추동물자원(곤충 제외) 발굴 연구 주요 결과. 297

〈표 세부2-6〉 한반도 고유 및 주요 곤충자원 발굴 연구 주요 결과. 328

〈표 세부2-7〉 한반도 고유 및 주요 척추동물자원 발굴 연구 주요 결과. 395

〈표 세부2-8〉 동물자원 발굴 연구 주요 결과. 402

〈표 세부2-9〉 당해연도 확인된 환경부 지정 특정해안 생물(갯지렁이류) 409

한반도 고유 생물자원 발굴 및 관리기반 구축 (총괄과제 : 한반도 미발굴 생물자원의 발굴·관리) 18

〈그림 1〉 한반도 고유 생물자원 발굴 및 관리기반 구축사업 homepage 43

〈그림 2〉 『표본 및 생물재료 통합 관리 시스템』 의 기본 구조. 48

〈그림 3〉 『표본 및 생물재료 통합 관리 시스템』 의 login 화면. 48

〈그림 4〉 『표본 및 생물재료 통합 관리 시스템』 의 입력 자료 검색/목록창. 49

〈그림 5〉 『표본 및 생물재료 통합 관리 시스템』 의 표본 자료 및 기타 생물재료 상세 정보입력/조회창. 49

〈그림 6〉 『표본 및 생물재료 통합 관리 시스템』 에서 출력된 표본 라벨 종류 및 2D barcode. 50

〈그림 7〉 『표본 및 생물재료 통합 관리 시스템』 의 분포도 작성 예. 50

〈그림 8〉 분리된 균주의 체계적인 데이터 관리 양식. 60

한반도 고유 생물자원 발굴 및 관리기반 구축 (세부과제1 : 한반도 미발굴 고유 식물자원의 발굴·관리) 99

〈그림 세부1-1〉 한반도 고유식물의 국내 확인지역 138

〈그림 세부1-2〉 한반도 고유식물의 국내 확인지역 139

〈그림 세부1-3〉 한반도 고유식물의 국내 확인 지역 140

〈그림 세부1-4〉 한반도 고유식물의 국내 확인지역 141

〈그림 세부1-5〉 한반도 고유식물의 국내 확인지역 142

〈그림 세부1-6〉 한반도 고유식물의 국내 확인지역 143

〈그림 세부1-7〉 한반도 고유식물의 국내 확인지역 144

〈그림 세부1-8〉 한반도 고유식물의 국내 확인지역 145

〈그림 세부1-9〉 한반도 고유식물의 국내 확인지역 146

〈그림 세부1-10〉 한반도 고유식물의 국내 확인지역 147

〈그림 세부1-11〉 한반도 고유식물의 국내 확인지역 148

〈그림 세부1-12〉 한반도 고유식물의 국내 확인지역 149

〈그림 세부1-13〉 한반도 고유식물의 국내 확인지역 150

〈그림 세부1-14〉 한반도 고유식물의 국내 확인지역 151

〈그림 세부1-15〉 한반도 고유식물의 국내 확인지역 152

〈그림 세부1-16〉 한반도 고유식물의 국내 확인지역 153

〈그림 세부1-17〉 한반도 고유식물의 국내 확인지역 154

〈그림 세부1-18〉 한반도 고유식물의 국내 확인지역 155

〈그림 세부1-19〉 한반도 고유식물의 국내 확인지역 156

〈그림 세부1-20〉 한반도 고유식물의 국내 확인지역 157

〈그림 세부1-21〉 한반도 고유식물의 국내 확인지역 158

〈그림 세부1-22〉 한반도 고유식물의 국내 확인지역 159

〈그림 세부1-23〉 한반도 고유식물의 국내 확인지역 160

〈그림 세부1-24〉 한반도 고유식물의 국내 확인지역 161

〈그림 세부1-25〉 한반도 고유식물의 국내 확인지역 162

〈그림 세부1-26〉 한반도 고유식물의 국내 확인지역 163

〈그림 세부1-27〉 한반도 고유식물의 국내 확인지역 164

〈그림 세부1-28〉 한반도 고유식물의 국내 확인지역 165

〈그림 세부1-29〉 한반도 고유식물의 국내 확인지역 166

〈그림 세부1-30〉 한반도 고유식물의 국내 확인지역 167

〈그림 세부1-31〉 한반도 고유식물의 국내 확인지역 168

〈그림 세부1-32〉 한반도 고유식물의 국내 확인지역 169

〈그림 세부1-33〉 한반도 고유식물의 국내 확인지역 170

〈그림 세부1-34〉 한반도 고유식물의 국내 확인지역 171

〈그림 세부1-35〉 한반도 고유식물의 국내 확인지역 172

〈그림 세부1-36〉 한반도 고유식물의 국내 확인지역 173

〈그림 세부1-37〉 한반도 고유식물의 국내 확인지역 174

〈그림 세부1-38〉 한반도 고유식물의 국내 확인지역 175

〈그림 세부1-39〉 한반도 고유식물의 국내 확인지역 176

〈그림 세부1-40〉 거문천남성 177

〈그림 세부1-41〉 꼬리고사리과 신종 후보 식물 178

〈그림 세부1-42〉 한반도 미기록종 변산붙살이풀 (Monochasma sheareri) 179

〈그림 세부1-43〉 한반도 미기록식물 : A, 줄고사리(Nephrolepis cordifolia) ; B, 산중개고사리(Athyrium epirachis) ; C, 거미꼬리고사리 (Asplenium castanea-viride) 180

〈그림 세부1-44〉 한반도 미기록식물 : A, 발레나무(Maesa japonica) ; B, 꼬마냉이(Cardamine tanakae) 181

〈그림 세부1-45〉 한반도 미기록식물 낙동나사말(Vallisneria spinulosa) ; 물의 표면에서 기부가 2열된 주두를 갖는 암꽃 182

〈그림 세부1-46〉 한반도 멸종위기식물의 국내 확인지역 184

〈그림 세부1-47〉 한반도 멸종위기식물의 국내 확인지역. 185

〈그림 세부1-48〉 한반도 멸종위기식물의 국내 확인지역. 186

〈그림 세부1-49〉 한반도 멸종위기식물의 국내 확인지역. 187

〈그림 세부1-50〉 한반도 멸종위기식물의 국내 확인지역. 188

〈그림 세부1-51〉 한반도 멸종위기식물의 국내 확인지역. 189

〈그림 세부1-52〉 한반도 멸종위기식물의 국내 확인지역. 190

〈그림 세부1-53〉 한반도 멸종위기식물의 국내 확인지역. 191

〈그림 세부1-54〉 한반도 멸종위기식물의 국내 확인지역. 192

〈그림 세부1-55〉 한반도내 식물구계학적 분포 특이종. 193

〈그림 세부1-56〉 신종 자실체 및 현미경적 구조. 198

〈그림 세부1-57〉 신종 자실체 및 현미경적 구조. 198

〈그림 세부1-58〉 지의류의 신종 후보. 199

〈그림 세부1-59〉 rbcL 염기서열에 의한 홍조류 김속 신종후보 동해김의 계통적 위치 200

〈그림 세부1-60〉 rbcL 염기서열에 의한 홍조류 김속 신종후보 꼬인돌김의 계통적 위치 201

〈그림 세부1-61〉 rbcL+psaA+psbA 염기서열에 의한 신종후보 얇은그물바탕말의 계통적 위치 202

〈그림 세부1-62〉 rbcL 유전자 염기서열의 의한 신종후보 파래의 계통적 위치 203

〈그림 세부1-63〉 미기록종 자실체 및 현미경적 구조 204

〈그림 세부1-64〉 미기록종 자실체 및 현미경적 구조 204

〈그림 세부1-65〉 미기록종 자실체 및 현미경적 구조 205

〈그림 세부1-66〉 미기록종 자실체 및 현미경적 구조 205

〈그림 세부1-67〉 미기록종 자실체 및 현미경적 구조 206

〈그림 세부1-68〉 미기록종 자실체 및 현미경적 구조 206

〈그림 세부1-69〉 미기록종 자실체 및 현미경적 구조 207

〈그림 세부1-70〉 미기록종 자실체 및 현미경적 구조 207

〈그림 세부1-71〉 미기록종 자실체 및 현미경적 구조 208

〈그림 세부1-72〉 미기록종 자실체 및 현미경적 구조 208

〈그림 세부1-73〉 미기록종 자실체 및 현미경적 구조 209

〈그림 세부1-74〉 미기록종 자실체 및 현미경적 구조 209

〈그림 세부1-75〉 미기록종 자실체 및 현미경적 구조 210

〈그림 세부1-76〉 미기록종 자실체 및 현미경적 구조 210

〈그림 세부1-77〉 미기록종 자실체 및 현미경적 구조 211

〈그림 세부1-78〉 미기록종 자실체 및 현미경적 구조 211

〈그림 세부1-79〉 미기록종 자실체 및 현미경적 구조. 212

〈그림 세부1-80〉 미기록종 자실체 및 현미경적 구조. 212

〈그림 세부1-81〉 미기록종 자실체 및 현미경적 구조. 213

〈그림 세부1-82〉 미기록종 자실체 및 현미경적 구조. 213

〈그림 세부1-83〉 미기록종 자실체 및 현미경적 구조. 214

〈그림 세부1-84〉 미기록종 자실체 및 현미경적 구조. 214

〈그림 세부1-85〉 미기록종 자실체 및 현미경적 구조. 215

〈그림 세부1-86〉 미기록종 자실체 및 현미경적 구조. 215

〈그림 세부1-87〉 미기록종 자실체 및 현미경적 구조. 216

〈그림 세부1-88〉 미기록 지의식물, Tuckerrnannopsis gilva 218

〈그림 세부1-89〉 미기록 지의식물, Tuckneraria togashii 219

〈그림 세부1-90〉 미기록 지의식물, Cladonia merochlorophaea 219

〈그림 세부1-91〉 미기록 지의식물. 220

〈그림 세부1-92〉 미기록 지의식물. 221

〈그림 세부1-93〉 미기록 지의식물. 222

〈그림 세부1-94〉 미기록 지의식물. 223

〈그림 세부1-95〉 미기록 지의식물 224

〈그림 세부1-96〉 미기록 지의식물. 225

〈그림 세부1-97〉 미기록 지의식물. 226

〈그림 세부1-98〉 미기록 지의식물. 227

〈그림 세부1-99〉 rbcL 유전자 염기서열에 의한 한국산 꼬인파래의 계통적 위치. 228

한반도 고유 생물자원 발굴 및 관리 기반 구축(세부2 : 미 발굴 한반도 고유 동물자원의 발굴·관리)(Inventories and Management of Biological Resources of Korea : Animal Resources) 271

〈그림 세부2-1〉 한반도 미기록종 매끈등밤게와 가시원숭이게의 형태 303

〈그림 세부2-2〉 한반도 미기록종 한톱장절게의 형태 303

〈그림 세부2-3〉 Pilumnopeus granulata, Palapedia integrass의 형태 305

〈그림 세부2-4〉 Petrolisthes militaris, Petrolisthes coccineus의 형태 306

〈그림 세부2-5〉 Pilodius nigrocrinitus, Macromedaeus orientolisss의 형태 307

〈그림 세부2-6〉 Heptacarpus grebnitzkii, Heptacarpus geniculatus의 형태 307

〈그림 세부2-7〉 Alpheus lobidens, Alpheus sudara의 형태 308

〈그림 세부2-8〉 Plesionika izumiae, Latreutes anoplonyx의 형태 309

〈그림 세부2-9〉 Heptacarpus pandaloides, Eriphia smithiiss의 형태 309

〈그림 세부2-10〉 A. Euplotes woodruffi의 염색표본 ; B. Chlamydodon mnemosyne의 생체 ; C. Condylostoma arenarium의 생체 ; D. Krassniggia auxiliaris의 생체 ; E. Colpoda cucullus의 생체 ; F. Pseudokelonopsis rubra의 생체 ; G. Pseudokelonopsis... 311

〈그림 세부2-11〉 A. Gonostomum algicola의 생체 표본 ; B. Gonostomum alocigla의 염색표본 ; C. Cyrtohymena australis의 생체표본 ; D. Cyrtohymena australis의 염색표본 ; E. Dileptus visscheri의 생체표본 ; F. Dileptus visscheri의 염색표본 ; G. Metopus es의... 312

〈그림 세부2-12〉 한반도 미기록종 이끼장수노벌레류 3종의 형태. 314

〈그림 세부2-13〉 해양 자유 선충 Desmoscolex cosmopolites (Lim & Chang, 2006) 315

〈그림 세부2-14〉 Latreutus laminirostris, Ocypode cordimana의 형태 315

〈그림 세부2-15〉 Parapenaeus lanceolatus, Parapandalus sepinips의 형태 316

〈그림 세부2-16〉 Cervimunida princeps, Harrovia japonica의 형태 316

〈그림 세부2-17〉 Heptacarpus jordani의 형태 317

〈그림 세부2-18〉 Balanus perforatus의 형태 318

〈그림 세부2-19〉 Coleps sp.의 4-8개의 꼬리섬모와 전방에 5개, 후방에 6개의 plate 319

〈그림 세부2-20〉 조간대코응애 Neomolgus littoralishilyra 의 서식처(제주 성산)와 형태 320

〈그림 세부2-21〉 Tropocyclops ishidai, Tropocyclops setulifer의 형태 322

〈그림 세부2-22〉 Megacyclops magnus 암수 한 쌍의 형태 322

〈그림 세부2-23〉 Acanthocyclops robustus, Acanthocyclops orientalis의 형태 323

〈그림 세부2-24〉 Diacyclops suoensis의 형태 323

〈그림 세부2-25〉 Sminthurinus 속의 2 신종 330

〈그림 세부2-26〉 Sospita gebleri와 Menochilus sexmaculatus의 형태. 330

〈그림 세부2-27〉 Paromius piratoides, Zoraida hubeiensis, Vekunta malloti, Cedusa tamagawana의 형태. 331

〈그림 세부2-28〉 바구미과의 Anoplus plantaris, Baris maritima, Hypera postica, Metialma signifera, Metiorhynchus querendus, Myllocerus neglectus의 형태 331

〈그림 세부2-29〉 Choreutis pariana, Mesochorus semirufs, Eucosma sp., Euexorista sp.의 형태 332

〈그림 세부2-30〉 거위벌레과 Attelabidae sp.1 과 sp.2의 형태 336

〈그림 세부2-31〉 창주둥이바구미과 Apion sp.1, sp.2, sp.3의 형태Curculionidae sp.6, 336

〈그림 세부2-32〉 바구미과 Curculionidae sp.1 - sp.11의 형태 337

〈그림 세부2-33〉 Ethima sp., Crambus atrosignatus, Acrobasis herafottella의 형태 338

〈그림 세부2-34〉 Nacoleia inouei, Acrobasis encaustella, Nemophora sp.의 형태 338

〈그림 세부2-35〉 Ancylix sp., Olethreutes sp., Aphelia christophi의 형태 338

〈그림 세부2-36〉 Phaneta musetta, Grammodes geometrica, Coleotechnites milleri의 형태 339

〈그림 세부2-37〉 Coleotechnites sp., Battaristis sp., Platyptilia ignifera의 형태 339

〈그림 세부2-38〉 Melittobia acasta의 형태. 340

〈그림 세부2-39〉 Stigmatonotum japonicum, Horridipamera inconspicua, Moissonia punctata의 형태. 341

〈그림 세부2-40〉 Gen. et sp. nov. 1, Lycorma delicαtula의 형태 342

〈그림 세부2-41〉 Troilus luridus, Cicadella lasiocarpae의 형태 342

〈그림 세부2-42〉 Pararrhynchium ornatum bifasciatum Giordani Soika의 외부 형태 343

〈그림 세부2-43〉 Carabus sternbergi, nssp.1, Carabus sternbergi nssp.2의 형태 344

〈그림 세부2-44〉 충남 태안에서 채집된 Hatchiana n. sp. 344

〈그림 세부2-45〉 Sandrabatis crassiella, Spatulipalpia albistrialis의 형태 346

〈그림 세부2-46〉 Ceroprepes nigrolineatella, Assara funerella의 형태 346

〈그림 세부2-47〉 Nyctegretis achatinella katastropella, Euzophera batangensis의 형태 347

〈그림 세부2-48〉 Acrobasis flavifasciella, Acrobasis birgitella의 형태 347

〈그림 세부2-49〉 Conobathra frankella, Pseudocadra cuprotaeniella의 형태 348

〈그림 세부2-50〉 Conobathra rufizonella Phycitodes subcretacellus의 형태 348

〈그림 세부2-51〉 Faveria bitinctella의 형태 349

〈그림 세부2-52〉 한반도 미기록종 해초파리 Coleopida frigida의 형태 350

〈그림 세부2-53〉 Damaster(Acoptolabrus) mirabilissimus mirabilissimus의 형태 351

〈그림 세부2-54〉 한반도 기록종 A. nocturnus(왕눈이뿔자루맵시벌)의 형태 352

〈그림 세부2-55〉 Eumorphus quadriguttatus, Endomychus gorhami의 형태 353

〈그림 세부2-56〉 Xylolestes sp., Anthicus nigrocyanellus의 형태 354

〈그림 세부2-57〉 Carpophilus sibiricus, Cyparium sp.의 형태 354

〈그림 세부2-58〉 Rhodotritoma sufflava, Epuraea commutata의 형태 355

〈그림 세부2-59〉 Haptoncurina motschulskii, Gastrolinoides japonicus의 형태 356

〈그림 세부2-60〉 Intybia pellegrini, Iniybia sp., Smarogdina nipponensis의 형태 356

〈그림 세부2-61〉 Ebaeus sp., Librodor ruffiventris의 형태 357

〈그림 세부2-62〉 Remaudiereana flavipes의 형태 358

〈그림 세부2-63〉 Rhodoneura hamifera, Roeselia protogigas, Roeselia costalis의 형태 358

〈그림 세부2-64〉 Eilicrinia nuptaria, Antilycauges pinguis, Hydrelia shioyana의 형태 359

〈그림 세부2-65〉 Asuridia carnipicta, Sinibotys sp.1, Neustrotia nr rectilineata의 형태 359

〈그림 세부2-66〉 Minettia nigriventris, Protriuonometopus maculifrons 형태 360

〈그림 세부2-67〉 Bryocoris gracilis, Apoderaeocoris decolatus의 형태. 363

〈그림 세부2-68〉 Apolygus rubriceps, Charagochilus longicornis의 형태. 364

〈그림 세부2-69〉 Stenotus binotatus, Stenedema longula의 형태. 364

〈그림 세부2-70〉 Orthotylus pallens, Pseudoloxops mivatakei의 형태. 365

〈그림 세부2-71〉 Strongylocoris leucocephalus, Pherolepis kiritshenkoi의 형태. 366

〈그림 세부2-72〉 Neolygus zhugei, Neolygus roseus의 형태. 366

〈그림 세부2-73〉 Pararrhynchium ornatum bifasciatum, Tiphia sternocarinata의 형태. 367

〈그림 세부2-74〉 Carabus sternbergi nssp의 형태. 368

〈그림 세부2-75〉 톡토기목 Ptenothrix vittata의 형태. 370

〈그림 세부2-76〉 Podosilis omissa의 형태 371

〈그림 세부2-77〉 Assara inouei, Assara pallidella의 형태. 372

〈그림 세부2-78〉 Nephopterix tomisawai, Salebria vinacea의 형태. 372

〈그림 세부2-79〉 Agrotera posticalis, Nacoleia tampiusalis의 형태. 373

〈그림 세부2-80〉 Palpita inusitata, Pleuroptya deficiens의 형태. 374

〈그림 세부2-81〉 Circobotys rtycterina, Udea stigmatalis의 형태. 374

〈그림 세부2-82〉 Pyrausta nigrimaculata의 형태. 375

〈그림 세부2-83〉 Brachydeutera ibari의 형태 및 생태 모습 375

〈그림 세부2-84〉 한반도 미기록종 378

〈그림 세부2-85〉 Arthula속의 형태모습. 379

〈그림 세부2-86〉 Intybia sp1, Intybia sp2.의 형태. 380

〈그림 세부2-87〉 Ebaeus sp. Haptoncurina motschulskii의 형태. 381

〈그림 세부2-88〉 Epuraea sp. Pseudoleptaleus sp.의 형태. 381

〈그림 세부2-89〉 Xyleborus sp. Lasiodactylus sp.의 형태. 382

〈그림 세부2-90〉 Stenelmis sp. Notoxus sp.의 형태. 382

〈그림 세부2-91〉 Borboresthes sp., Silpba koreana의 형태. 383

〈그림 세부2-92〉 Dysaethria cretacea, Oroplema oyamana의 형태 384

〈그림 세부2-93〉 Zola terranea, Nadagara prosigna의 형태 384

〈그림 세부2-94〉 Gymnoscelis esakii, Gymnoscelis deletass의 형태 385

〈그림 세부2-95〉 Ischyja manlia의 형태 386

〈그림 세부2-96〉 Protrigonometopus sexlituris, Sciasminettia similis의 형태 386

〈그림 세부2-97〉 Pseudorombus oculocirris, Gerres equulus 형태 397

〈그림 세부2-98〉 어류 신종(후보) Takifugu sp. 1 형태 397

〈그림 세부2-99〉 포유류 미기록종 Neomys fodiens, Murina leucogaster 형태 398

〈그림 세부2-100〉 분류학적 재검증이 필요한 큰집박쥐 Hypsugo savii (대구양박쥐) 400

〈그림 세부2-101〉 구렁이 (멸종위기종 I급) 서식지 405

〈그림 세부2-102〉 금개구리 (멸종위기종 II급) 서식지 405

〈그림 세부2-103〉 맹꽁이 (멸종위기종 II급) 서식지 406

〈그림 세부2-104〉 금개구리, 맹꽁이 (멸종위기종 II급) 서식지 406

〈그림 세부2-105〉 멋조롱박딱정별레 (멸종위기종 II급) 서식지 407

〈그림 세부2-106〉 저어새 (멸종위기종 I급) 407

〈그림 세부2-107〉 노랑부리백로(멸종위기종 I급) 407

〈그림 세부2-108〉 매(멸종위기종 I급) 408

〈그림 세부2-109〉 노랑부리저어새(멸종위기종 I급) 408

〈그림 세부2-110〉 재두루미(멸종위기종 I급) 408

〈그림 세부2-111〉 검은머리물떼새(멸종위기종 II급) 409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