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정기시장의 구조와 기능 변화 연구 / 이용선 [외저]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자료실
해당자료 없음
형태사항
xviii, 182 p. : 삽화, 도표, 사진 ; 25 cm
총서사항
연구보고 ; R554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60130647
제어번호
MONO1200824383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머리말 / 최정섭

요약

ABSTRACT

목차

제1장 서론 18

연구의 필요성 19

연구목적 20

선행연구 검토 21

연구범위 25

연구방법 26

제2장 정기시장의 여건 변화 29

도시화와 농촌인구의 고령화 31

교통 및 정보통신의 발달 35

금융 서비스의 증가 37

농업생산의 전문화와 유통근대화 38

제3장 정기시장의 분포와 운영 실태 43

정기시장의 개소수와 지역 분포 45

정기시장의 개설, 폐쇄 및 상설화 49

정기시장의 이용자와 상인 현황 52

정기시장의 거래 현황 56

정기시장의 조직·관리 및 시설 현황 57

제4장 정기시장의 기능과 이용행태 61

정기시장의 기능 변화 63

정기시장 이용자의 이용행태 분석 78

제5장 정기시장의 시장권과 거래 특성 95

정기시장의 시장권 특성 변화 97

정기시장 상인 이동권역의 변화 99

상인의 특성 변화 105

시장의 규모결정요인과 유형화 110

제6장 정기시장 사례 분석 117

충주장 119

제주장 123

옥천장 127

문경 신흥장 130

정선장 133

장흥장 136

종합 분석 140

제7장 전망과 대응방향 143

정기시장의 미래 전망 145

정기시장의 활성화 방향 147

제8장 요약 및 결론 155

부록 1. 정기시장 일람표 161

부록 2. 센서스 조사표 168

부록 3. 상인 조사표 170

부록 4. 소비자 조사표 173

부록 5. 판매농가 조사표 179

부록 6. 중앙성을 활용한 시장권 분석 185

부록 7. 주요 외국의 정기시장 동향 190

참고 문헌 196

판권기 199

표 1. 인구변화 추이, 1960-2005 32

표 2. 시도별 읍면수 변화, 1975, 2005 32

표 3. 업종별 경제활동인구 구성 33

표 4. 도로 포장률, 1975, 2005 35

표 5. 자동차 등록대수, 1970-2005 36

표 6. TV 소유가구 비율, 1970-1990 37

표 7. 전화보급률, 1970-1990 37

표 8. 차입처별 농가부채, 1975-2005 38

표 9. 작물부류별 재배면적 변화 추이, 1960-2005 39

표 10. 출하처·재배품목별 농가 비율, 1995, 2006 40

표 11. 판매규모·출하처별 농가 비율, 1995, 2006 41

표 12. 상설시장과 정기시장 개소수의 변화 47

표 13. 읍·면·동별 정기시장 개소수 49

표 14. 개시일별 정기시장수 비중 49

표 15. 정기시장의 변화 형태별 개소수 51

표 16. 상설화되거나 신규 개설된 시장 일람 51

표 17. 지역별 정기시장 이용자 현황 52

표 18. 지역별 점포수 변화 54

표 19. 고정 및 이동 점포(상인) 현황 55

표 20. 정기시장 1회당 매출액 56

표 21. 읍·면·동별 장당 평균 매출액 57

표 22. 상업시설 보유형태에 따른 정기시장 유형 59

표 23. 정기시장 시설현황 60

표 24. 정기시장의 기능 변화 70

표 25. 정기시장 이용자 조사 수 79

표 26. 정기시장 이용자의 성별 및 연령 80

표 27. 정기시장 이용자의 동행자 및 이동수단 81

표 28. 정기시장 이용자의 이동시간 및 체재시간 82

표 29. 정기시장 판매농가가 출시하는 정기시장 수 82

표 30. 정기시장 이용자의 방문 이유(가중 평균) 84

표 31. 일반소비자의 생필품 구매처별 비중(2007) 87

표 32. 정기시장 이용자의 생필품 구매처별 비중(1976) 87

표 33. 정기시장의 시장권 특성 변화 98

표 34. 정기시장 상인들의 상품 구입처 101

표 35. 정기시장 상인들의 상품별 구매주기 102

표 36. 정기시장 취급 품목별 상인 비중 변화 106

표 37. 정기시장 점포당 상인수 비중 108

표 38. 정기시장의 매출감소 원인 109

표 39. 정기시장의 규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13

표 40. 정기시장의 규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2006) 113

표 41. 김성훈 등(1977)의 정기시장 유형화 114

표 42. 정기시장 군집별 변수의 평균 115

표 43. 정기시장의 유형 구분 116

표 44. 옥천군 정기시장의 변화, 1938~2006 128

그림 1. 연구추진체계 28

그림 2. 읍·면·동별 고령화 추이, 1980-2005 34

그림 3. 정기시장의 개소수 추이 46

그림 4. 시군별 정기시장 개소수 분포 변화 48

그림 5. 읍·면·동별 장당 평균 점포(상인) 수 55

그림 6. 등록 유무와 소유형태별 비중 58

그림 7. 상인 조직과 상근 직원 59

그림 8. 공동수도시설 보유 정기시장 개소수 비율 변화 60

그림 9. 과거 정기시장의 기능(1970년대 이전) 66

그림 10. 현대 정기시장의 기능 67

그림 11. 정기시장 방문목적 비교 68

그림 12. 정기시장 방문 이유(1순위 비교) 83

그림 13. 정기시장 이용자의 주요 구매 상품 84

그림 14. 정기시장에서 구입하는 이유 86

그림 15. 판매농가의 판매상품 88

그림 16. 농가의 연령대별 정기시장 출하 비중 90

그림 17. 정기시장에서 판매하는 이유 90

그림 18. 정기시장 이용자의 이용 만족도 91

그림 19. 정기시장의 개선 요구 사항 94

그림 20. 정기시장 상인 이동권역 구조(1976) 100

그림 21. 정기시장 상인의 이동권역 구조(2006) 101

그림 22. 안성시장의 정기시장 상인 이동권역 변화 103

그림 23. 정선시장 상인의 이동권역 104

그림 24. 충북 옥천시장 상인의 이동권역 변화 105

그림 25. 제주장의 점포배치도 106

그림 26. 정선시장의 주요 점포 배치도 107

그림 27. 충주장의 위치 120

그림 28. 충주장터(왼쪽)와 인근 상설시장(오른쪽) 122

그림 29. 제주장의 위치 124

그림 30. 제주장의 주차장과 장옥 중앙통로 125

그림 31. 제주장의 장옥 외부 모습과 할망장터 126

그림 32. 옥천장의 위치 127

그림 33. 옥천시장(왼쪽), 장날 노점을 연 상설시장 상인(오른쪽) 129

그림 34. 신흥시장의 위치 130

그림 35. 신흥시장의 노점(왼쪽)과 아케이드 내부(오른쪽) 모습 132

그림 36. 정선장의 위치 134

그림 37. 정선장의 모습 135

그림 38. 장흥토요시장 안내도 137

그림 39. 도자기 체험(왼쪽)과 마당놀이 공연(오른쪽) 139

그림 40. 외국인 거주자 노래자랑(왼족)과 장흥장 풍경(오른쪽) 139

그림 41. 맨손장어잡기 체험(왼쪽)과 짚풀공예 체험(오른쪽) 140

그림 42. 경기지역 정기시장 연결망의 인접중앙성 188

그림 43. 충청남도 정기시장 연결망의 인접중앙성 189

그림 44. 미국 농민시장의 분포 191

그림 45. 미국 농민시장의 개소수 추이 192

초록보기 더보기

이 연구는 정기시장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전국적인 현황을 파악하고, 1970년대 이후 정기시장의 구조와 기능상의 변화 실태와 유형, 그리고 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정기시장의 분포와 운영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전국 각지의 정기시장 대표자 또는 해당 지자체 담당자에게 면접 또는 전화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시장권과 거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전국 18개 시장 127명의 상인에게 면접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시장의 기능과 이용행태를 파악하기 위해 전국 19개 시장 700명의 이용자(방문객)를 대상으로 면접에 의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에서 2006년 말 현재 운영되고 있는 정기시장수는 총 562개소로 나타났다. 이는 1976년 조사치 952개소에 비해 41% 감소한 것이다. 정기장수는 전국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충청, 영남, 제주 지역에서 많이 감소하였다. 지역 유형별로는 증감을 달리한다. 동과 읍 지역의 정기시장 개소수는 증가한 반면, 면 지역의 시장수는 절반 이하로 감소하였다. 이는 행정 구역의 변화에도 기인하지만 면 지역 장 규모가 크게 축소되었음을 의미한다.

정기시장의 장 1회당 평균 이용자수는 1,029명이며, 이는 1976년의 1,111명보다 7% 적은 수준이다. 정기시장의 장별 평균 점포수는 173개로 30년 전에 비해 5% 많다. 정기시장의 장 1회당 평균 매출액은 1,670만원으로 예전보다 53% 감소하였다. 현재 운영 중인 정기시장의 평균 규모가 1970년대의 시장 규모에 비해 축소된 것이다. 한편 동 지역의 점포수는 크게 늘어났으나 읍과 면 지역의 점포수는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시 지역과 농촌 지역의 시장 규모가 차별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정기시장의 기능은 과거에 비해 크게 달라졌다. 과거 이용자의 대부분을 차지하던 농가는 판매자인 동시에 구매자였으나, 지금은 판매자로서의 기능은 크게 감소하였다. 즉 오늘날의 정기시장은 농가의 판매나 이에 따른 수집·반출 시장으로서의 기능이 크게 약화되었으며, 소비자를 위한 소매 유통 기능이 상대적으로 강화되었다. 농촌 지역 금융기능은 거의 대부분 농협에서 전담하게 되어 과거 정기시장의 사금융 기능은 매우 약화되었다.

정기시장은 경제적 기능뿐 아니라 비경제적 기능에서도 크게 변하였다. 정기시장에서 사교나 정보 교류 등의 사회적 기능과 문화·오락적 기능도 약화되었다. 정기시장의 기능이 전반적으로 약화되면서도 일부 기능은 유지되거나 강화되었다. 오늘날의 정기시장은 도시민에게 '탈(脫) 일상', '활기', '추억' 등의 어메니티를 제공하며, 농촌 고령층의 여가 공간 또는 영세상인들의 친목 장소로 활용되고 있다.

정기시장은 주로 전업주부(49%)와 농업인(31%)이 주로 이용한다. 정기시장 이용자는 월평균소득이 187만원인 서민 계층이 주를 이룬다. 도시지역 이용자는 연령층이 고른 편이지만 농촌 지역으로 갈수록 연령층이 높다. 관광형 소비자는 월평균소득이 273만원으로 일반소비자에 비해 46% 많으며, 장당 평균 구매액이 6만 7,740원으로 일반소비자보다 54%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기시장에서 구입하는 이유에 대해 일반소비자는 가격, 품목다양성, 신선함, 근거리의 순으로 응답하였는데 비해, 관광형 소비자는 품질 신뢰, 신선함, 가격, 지역특산 등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정기시장의 개선이 필요한 사항으로 화장실과 주차장이 지적되었다. 한편 장터에서 판매하는 농가는 대부분이 영세 농가로서 이들 중 79%가 60대 이상의 여성이며, 채소류(71%)와 잡곡(11%)을 주로 판매한다.

1차 시장권 인구가 감소함에 따라 시군당 정기시장 개소수는 1976년 5.9개에서 3.7개로 감소하였다. 정기시장 수의 감소는 상인들의 3~4개 시장을 순회하며 판매하는 이동권역을 확대시키는 주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상인들의 이동범위는 1970년대의 8~12km에서 30~50km로 크게 확대되었다. 시장규모를 결정요인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시장규모는 인구수와 인구밀도가 클수록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일 시군내 정기시장수가 많을수록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2·7일에 개시되는 시장의 규모는 다른 날짜에 개시되는 시장에 비해 크며, 동, 읍, 면 사이의 차이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시장의 특성을 반영하여 군집분석한 결과 시장의 규모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기시장의 시장권은 광역형, 시군단위형, 읍면단위형 등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광역 시장은 점포 (상인)수가 751명 이상의 시장으로 전체 정기시장의 3.3%를 차지하고, 시군단위 시장은 점포수 290~750명의 시장으로 전체의 12.7%, 읍면단위 시장은 점포수 290명 미만의 시장으로 전체의 8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정기시장은 전반적으로 쇠퇴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쇠퇴하는 속도는 완화될 것이며 일부 활성화되는 시장도 나타나 시장간 차이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기시장이 활성화되려면 화장실, 주차장 등의 시설이 보완되어야 한다. 관광 목적의 방문객을 흡인할 수 있도록 접근성을 제고하고, 흥미를 유발하기 위해 지역 자원을 활용한 문화 행사나 체험프로그램 등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지역 농가가 판매 활동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거나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일은 정기시장에서 직거래의 장점을 살리는 길이다. 정기시장을 위한 지자체나 정부의 지원은 정기시장을 통한 지역경제의 활성화는 물론 지역사회의 통합과 유지를 위해서도 도움이 된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