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직업성 폐암 감시체계 구축ㆍ운용 / 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편] 인기도
발행사항
인천 : 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08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자료실
해당자료 없음
형태사항
204 p. : 삽화, 도표 ; 26 cm
총서사항
보건분야-연구자료 연구원 ; 2008-15-16 연구결과보고서 ; 2007
제어번호
MONO1200824816
주기사항
연구기관: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연구책임자: 임종한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요약문

목차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8

1. 연구 개발의 필요성 20

2. 연구의 목적 22

II. 국내외 연구동향 및 범위 23

1. 국내외 연구동향 23

1) 미국의 직업병 감시체계 23

2) 영국의 직업병 감시체계 28

3) 한국의 직업병 감시체계 30

4) 2006년도 직업성폐암 감시체계 운용 결과 33

III. 연구내용 및 방법 38

1단계 (1-3차년도) 39

2단계 (4-7차년도) 39

3단계 (8-10차년도) 40

당해 연도의 연구내용 41

IV. 연구결과 42

1. 감시체계 구축 및 운용 42

1) 감시인력, 참여자의 조직 42

2) 표준화된 프로토콜에 의한 능동감시 42

(1) 직업성 폐암의 환례 정의 44

(2) 직업성 폐암 감시 매뉴얼 49

(3) 직업성폐암 환례 보고서 49

2. 감시체계 워크샵 및 집담회 개최 52

1) 직업성 폐암 감시 운영위원회 52

2) 직업성 폐암 감시 실무자 교육 53

3) 2007년 직업성 폐암 감세체계 워크샵 53

3. 홈페이지를 통한 정보제공 및 지지체계 제공 54

4. 기타 자료원 발굴 및 유용성 검토 56

1) 작업환경측정 결과에 근거한 직업성폐암 건수 추정 57

2) 사망자료를 이용한 폐암과 직업과의 관련성 검토 61

(1) 농업인과 폐암 62

5. 작업환경조사, 역학조사 및 관련기관의 협조체계 구축 68

1) 대한폐암학회 68

2) 대한산업의학회 68

(1) '직업성폐암연구회'의 연구내용 68

(2) '직업성폐암연구회'의 연구방법 69

(3) 예상연구결과물 69

6. 6개 권역 직업성 폐암 감시체계 운용 결과 70

1) 서울지역 직업성폐암 감시체계 운영(강북삼성병원) 70

(1) 자료 수집기간 및 조사 대상자 70

(2) 서울지역 직업성 폐암 감시체계 결과 70

2) 서울지역 직업성폐암 감시체계 운영(연세대 세브란스병원) 72

(1) 자료 수집기간 및 조사 대상자 72

(2) 서울지역 직업성 폐암 감시체계 결과 72

3) 인천 지역 직업성폐암 감시체계 운영 75

(1) 자료 수집기간 및 조사 대상자 75

(2) 인천 지역 직업성 폐암 감시체계 결과 75

4) 원주 지역 직업성폐암 감시체계 운영 80

(1) 자료 수집기간 및 조사 대상자 80

(2) 원주 지역 직업성 폐암 감시체계 결과 80

5) 대전, 충남 지역 직업성폐암 감시체계 운영 82

(1) 자료 수집기간 및 조사 대상자 82

(2) 대전, 충청 지역 직업성 폐암 감시체계 결과 82

6) 광주, 전남지역 직업성폐암 감시체계 운영 84

(1) 자료 수집기간 및 조사 대상자 84

(2) 광주, 전남지역 직업성 폐암 감시체계 결과 84

7) 경북지역 직업성폐암 감시체계 운영 87

(1) 자료 수집기간 및 조사 대상자 87

(2) 경북지역 직업성 폐암 감시체계 결과 87

8) 부산지역 직업성 폐암 감시체계 운영 89

(1) 자료 수집기간 및 조사 대상자 89

(2) 폐암 환자 직업력 조사 표준절차 89

(3) 부산지역 직업성 폐암 감시체계 결과 94

9) 전체 감시체계 운영결과 총괄 110

V. 향후 과제 112

1. 임상의사 참여를 통한 직업성폐암 감시체계 인프라 구축 112

1) 체계적인 보고서식 마련(개정) 113

2) 폐암유발 물질 및 공정에 대한 지속적인 업데이트 113

3) 소식지 제작 및 배포 113

2. 사업장에서 발암물질 노출 현황에 대한 조사 강화 114

3. 사망자료 및 기초 통계자료의 직업력 기록 강화 115

4. 직업성 폐암에 대한 관련 연구의 지원 확대 116

부록 1. 직업성 폐암 감시 매뉴얼 119

부록 2. 직업성 폐암 감시체계 홍보 리플릿 181

부록 3. NOMS에 사용되는 사망진단서의 직업 및 산업분류 183

부록 4. 직업성폐암감시체계 전체 등록환례 189

참고문헌 195

[연구진 등] 206

판권기 207

표 1. 미국 폐암의 직업별 비례사망률, 1999 25

표 2. 미국 폐암의 산업별 비례사망률, 1999 26

표 3. NOMS(National Occupational Mortality Surveillance)의 폐암 ICD-10 codes 27

표 4. SWORD/OPRA : 직업성 호흡기 질환, 1998-2005 29

표 5. 국내에서 시행된 직업성 질환 감시체계 연구 32

표 6. 직업성이 의심되는 환례의 근무업종 및 노출물질(부산) 35

표 7. 직업성이 의심되는 환례의 근무업종 및 노출물질(인천) 36

표 8. 추정유발물질 정리양식 50

표 9. 국내 폐암 (C33-C34) 발생률, 1999-2001년 57

표 10. 작업환경측정 결과 폐암유발물질에 노출되는 근로자 수 58

표 11. 직업성 발암물질의 폐암 발생 비교위험도 59

표 12. 중요 직업성 발암물질의 폐암 발생률, 직업성폐암 발생자 수 추정(작업환경측정 근거) 61

표 13. 남성의 직업별 사망률 및 폐암사망률 64

표 14. 여성의 직업별 사망률 및 폐암사망률 64

표 15. 감시체계를 통해 보고 된 직업성 폐암 환례 정리 (서울지역, 강북삼성병원) 70

표 16. 작업 관련성이 의심되는 환례의 근무업종 및 노출물질 (서울지역, 강북삼성병원) 71

표 17. 서울지역 작업 관련성이 의심되는 폐암 환례의 신뢰성 분류 (서울지역, 강북삼성병원) 72

표 18. 감시체계를 통해 보고 된 직업성 폐암 환례 정리 (서울지역, 연세대세브란스병원) 73

표 19. 직업성이 의심되는 환례의 근무업종 및 노출물질 (서울지역, 연세대세브란스병원) 73

표 20. 직업성이 의심되는 폐암 환례의 신뢰성 분류 (서울지역,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74

표 21. 직업성이 의심되는 폐암 환례의 신뢰성 분류 (인천지역) 76

표 22. 감시체계를 통해 보고된 작업 관련성이 높은 폐암 환례 정리 (인천지역) 76

표 23. 직업성이 의심되는 환례의 근무업종 및 노출물질 (인천지역) 78

표 24. 조직병리학적 소견 (인천지역) 79

표 25. 감시체계를 통해 보고 된 직업성 폐암 환례 정리 (강원지역) 80

표 26. 직업성이 의심되는 환례의 근무업종 및 노출물질 (강원지역) 81

표 27. 직업성이 의심되는 폐암 환례의 신뢰성 분류 (강원지역) 81

표 28. 감시체계를 통해 보고 된 직업성 폐암 환례 정리 (대전, 충남지역) 82

표 29. 직업성이 의심되는 환례의 근무업종 및 노출물질 (대전, 충남지역) 83

표 30. 감시체계를 통해 보고 된 직업성 폐암 환례 정리 (광주, 전남지역) 84

표 31. 직업성 환례의 근무업종 및 노출물질 (광주, 전남지역) 85

표 32. 직업성이 의심되는 폐암 환례의 신뢰성 분류 (광주, 전남지역) 85

표 33. 감시체계를 통해 보고 된 직업성 폐암 환례 정리 (경북지역) 87

표 34. 직업성이 의심되는 환례의 근무업종 및 노출물질 (경북지역) 88

표 35. 직업성이 의심되는 폐암 환례의 신뢰성 분류 (경북지역) 88

표 36. 감시체계를 통해 보고 된 작업 관련성이 있는 폐암 환례 정리 (부산지역) 94

표 37. 직업적 요인에서 기인될 수 있는 폐암 환례의 산업분류 (부산지역) 104

표 38. 직업적 요인에서 기인될 수 있는 폐암 환례의 노출물질 분류 (부산지역) 105

표 39. 직업성이 의심되는 폐암 환례의 신뢰성 분류 (부산지역) 106

표 40. 조직병리소견 (부산지역) 107

표 41. 직업성이 의심되는 폐암 환례의 신뢰성 분류 (전체총괄) 110

표 42. 지역별 폐암 유발물질 분포 (전체 총괄) 111

그림 1. 직업성암 감시체계 구축 개요 38

그림 2. 직업성폐암감시 참여기관 43

그림 3. 직업성폐암 감시체계 전반에 대한 소개 화면 55

그림 4. 직업성폐암 추정유발물질 매뉴얼 화면 56

그림 5. 남성의 직업별 폐암사망률 65

그림 6. 남성의 직업별 사망률 65

그림 7. 여성의 직업별 사망률 66

그림 8. 여성의 직업별 폐암사망률 66

그림 9. 2005년 남성 각종 암 사망률 67

그림 10. 2005년 여성 각종 암 사망률 67

초록보기 더보기

1. 과제명: 직업성 폐암 감시체계 구축·운용

2. 연구기간: 2007년 3월 13일 부터 2007년 11월 30일 까지

3. 연구책임자: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임 종 한

4. 연구의 필요성

직업성 질환 특히, 직업성 암의 경우 근로자의 건강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게 되므로 조기 발견 및 예방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직업성질환의 예방대책 수립은 직업성질환의 발병 규모 및 직업성질한의 발생양상을 파악하고 관련된 유해요인 노출 현황에 관한 정보와 함께 관리조치로 이어질 때 비로소 가능해 질 수 있다. 직업성 질환 감시체계는 직업병 집단 발생의 확인이나 잘 알려진 직업병 발생의 시, 공간적인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새로운 유해물질에 의한 신종 직업병을 찾아내고 직업병의 발생원인에 대한 연구를 자극하는 매우 중요한 기능을 한다. 따라서, 실제적인 근로자의 직업성 폐암 유병양상을 파악하고, 다양한 자료원을 연계하여 궁극적으로 직업성 폐암을 예방하기 위한 조치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국적인 직업성 폐암 감시체계의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5. 연구 결과

성균관대 강북삼성병원,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인하대병원, 연세대 원주기독병원, 을지대병원, 경북대병원, 전남대병원, 인제대부산백병원(부산지역 감시본부), 의 총 6개 권역, 8개 대학병원(산업의학과와 호흡기내과 전문의)과 국립암센터에 소속된 연구원들이 참여하여 전국적인 직업성 폐암 감시체계 구축 및 운용에 대해 연구하였다.

표준화된 프로토콜에 의한 능동감시는 다음과 이루어진다. 감시체계에 참여하는 각 지역 감시자들은 해당 병원의 의무기록을 검토하여 새로운 직업성 폐암 발생을 확인한다. 감시대상으로 선정된 환자 또는 보호자 면담 후 다음과 같은 직업성 폐암 환례보고서를 작성하여 각 기관별 감시회의 때 보고하고 산업의학적 직업력 검토가 필요한 경우 산업의학과의 협조 하에 추가 면담 및 자료검토를 한다. 이 때 다음에 제시한 환례정의에 준하여 폐암의 직업관련성을 판단한다. 직업성 폐암 환례 정의는 명확한 진단(진단명, 진단방법, 방사선학 진단 또는 병리학적 진단 소견), 발암물질 노출여부(추정유발물질 및 작업), 잠복기를 기준을 설정하였다. 또한, 세 가지 항목을 종합하여 A. 확실한(definite), B. 가능성이 높은(Probable), C. 가능성이 낮은(Possible) 직업성 폐암으로 재분류한다.

다기관이 참여하는 연구이기 때문에 직업성 폐암의 환례정의의 표준화 과정 및 임상의와 산업의학과와의 긴밀한 네트워크 구축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직업성 폐암 환례정의 중 폐암 추정유발물질 및 추정유발작업에 대한 매뉴얼을 작성하였으며 호흡기내과, 흉부외과, 종양내과 등을 포함한 연구진들 간의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서 홈페이지를 구축하였다. 직업성 폐암 감시체계의 영문약어를 "OLCAS", 즉 Occupational Lung CAncer Surveillance system으로 하였다. 현재 http://www.olcas.org로 개설되어 운영되고 있다.

직업성 폐암 감시체계를 수도권지역(서울, 인천), 강원지역, 충청지역, 전남지역, 경북지역, 부산지역에서 운용한 결과 2007년 1월 에서 2007년 11월 까지 전국 6개권역의 8개 기관에서 총 804명의 폐암환자를 대상으로 직업력을 평가하였고, 이들 중 직업관련 가능성이 있는 사람은 183명(22.7%)이었다. 직업관련성은 확실함(definite)이 23건(2.9%), 가능성 높음(probable)이 41명(5%), 가능성 있음(possible)이 119명(14.8%) 이었었다.

6, 향후 과제

-1. 임상의사 참여를 통한 직업성폐암 감시체계 인프라 구축

직업성폐암감시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 작업으로 1차년도에 직업성 폐암 환례정의, 보고서식 작성, 환례보고를 촉진하기 위한 직업성폐암 매뉴얼 작성, 웹사이트 구축, 전문가의 합의 도출을 위한 워크샵 및 전문가 집담회 개최, 환례 수집의 가능성 평가 등을 진행하였고, 2차 년도에서는 1차년도의 성과를 바탕으로 전국 6개 권역에서 폐암환자들에 대한 직업력 평가가 진행되었고, 그에 따라 직업과 관련하여 발생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폐암환자들을 발굴해 감시체계에 등록시킬 수 있었다. 하지만 아직까지 전국에 있는 각 기관들의 역량이 불균등하고 감시활동 또한 고르지 못해 아직 전국적으로 통일성 있고 근거가 안정적인 감시자료를 확보했다고 평가 하기는 힘들다.

직업성폐암 감시체계가 2차년도를 거치면서 감시체계 구축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지만, 직업성폐암감시체계가 질 좋은 감시 자료를 내기까지에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판단된다. 필요한 자료원과 핵심기술의 개발, 중재 및 관리 기술 방안 마련을 포함한 다년간의 장기계획을 수립하여 국내 직업성암 감시 기술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끌어 올릴 필요가 있으며, 수동감시(passive surveillance)와 능동감시(active surveillance)의 다양한 감시 기술을 발전시켜가야 할 것이다.

특별히 호흡기내과, 종양내과 등 임상의사의 참여를 확보하는 것이 최우선의 과제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자들은 폐암 환자를 치료하는 데 있어 주역할을 하는 임상과 전문의를 통해 감시체계 보고자로서의 역할을 부여 한다면 환례보고를 신속, 정확하게 할 수 있으며 보고 누락율도 최소화 할 수 있음을 예비운용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대학병원 내에서 산업의학과와 이들 폐암 관련 임상과의 협조체계를 구축하는 것에 역량을 집중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임상학회에 직업성폐암 감시활동을 알리고, 참여를 독려하는 제반 활동 또한 더욱 적극적으로 벌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다음 년도 이후에는 지속적으로 다음과 같은 과제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① 체계적인 보고서식 마련 및 지속적인 점점

② 폐암유발 물질 및 공정에 대한 지속적인 업데이트

③ 소식지 제작 및 배포

-2. 사업장에서 발암물질 노출 현황에 대한 조사 강화

사업장 산업보건서비스의 근간을 이루는 특수건강진단과 작업환경측정은 근로자들이 노출되는 실제 유해인자 및 발암물질 노출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고, 이들 발암물질의 노출 실태 및 건강영향을 심각하게 과소평가할 수 있다. 때문에 부서단위의 단일 물질에 의한 건강영향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는 작업환경측정 및 특수건강진단제도는 근로자들이 실제 노출되는 유해요인 및 발암물질에 초점을 맞춘 제도로 발전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국제적으로 암 유발원인으로 인정을 받고 있는 DEP 및 철강주조 등과 같은 발암공정에 대한 관리대책도 필요하다.

-3.사망자료 및 기초 통계자료의 직업력 기록 강화

사망자료 및 기초 통계자료의 직업력 기록을 강화함으로써 사망 및 질병상태에 직업적 요인이 기여하는 정도를 파악해 적절한 중재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 때문에 이에 대한 지속적인 요구 및 필요성을 알리는 작업이 필요하다.

-4. 직업성 폐암에 대한 관련 연구의 지원 확대

직업성폐암감시를 통해 직업성폐암을 야기하는 것으로 의심되는 물질, 공정에 대한 정보가 파악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렇게 파악된 정보는 해당 사업장의 조사를 통하여 발암물질 노출 수준이 어떠한지, 발암물질 노출과 개인의 유전 감수성 등과의 상호 작용( 유전과 환경의 상호작용, 환경과 환경의 상호작용, 유전과 유전의 상호작용등)에 대한 보다 분명한 정보를 밝혀내는 연구로 이어져야 하며, 이러한 과학적인 연구 결과를 근거로 폐암을 예방하는 구체적인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직업성 발암물질과 관련한 코호트연구를 통해서 특정 발암물질의 암 발생위험도를 정확히 산출해 낼 수 있으며, 국내에 직업성폐암의 발병규모를 산출할 수 있고, 폐암의 1차 예방, 2차 예방에 관련한 구체적인 대책도 강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현단계에서는 폐암의 조기 발견을 가능케 할 수 있는 생물학적 지표 (Biomarker) 개발을 통해 2차 예방의 실효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며, 대체 물질 개발을 통해 발암물질의 노출 자체를 줄이려는 노력도 꾸준히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특별히 2004년 우리나라 사망원인 1위는 암이며 그 중에서 폐암이 가장 높은 분율(20.3%)을 차지한 만큼, 암 발생으로 인한 사회적인 비용을 떨어뜨리고 국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정부가 암의 예방 대책 마련에 적극 나서야 할 것이다. 폐암은 가장 빠르게 증가하는 암의 하나로, 직업적인 노출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비율이 높은 암이니만큼, 암의 1차, 2차 예방을 통해 폐암 발생을 실질적으로 줄여 나갈 수 있어, 감시체계를 포함한 폐암 관련 연구 지원을 확대해야 할 것이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