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판권기

목차

I. 서론 7

II. 통일 외교의 이론적 고찰 12

1. 국제정치이론의 조건부일반화(Conditional Generalization) 필요성 15

2. 국가의 성향: 현상유지(Status quo) vs. 현상타파(Revisionist) 18

3. 북한의 국가성향: 현상유지국가? 아니면 현상타파국가? 22

4. 국가성향 변수를 통한 국제정치이론의 비판적 고찰 26

가. 현실주의와 대북정책 26

나. 자유주의와 대북정책 32

5. 소결: 전략적 개념으로서의 통일 외교 36

III. 통일 외교의 역사적 전개과정과 특징 38

1. 기본노선 및 전략 41

가. 냉전기: 해방부터 1980년대 중반까지 43

나. 탈냉전기: 1980년대 후반부터 현재까지 49

2. 추진형태/방식 54

가. 냉전기 56

나. 탈냉전기 59

3. 주요 분야 62

가. 냉전기 63

나. 탈냉전기 67

4. 행위 주체 71

가. 냉전기 72

나. 탈냉전기 74

5. 소결 83

IV. 평화 및 통일 외교의 성과와 평가 86

1. 북핵 문제 87

2. 대북정책에 대한 국제적 지지 문제 93

3. 북한의 변화 조성문제 95

V. 신 평화구조 창출을 위한 통일 외교 추진체계 109

1. 이명박 신정부의 '신 평화구조 창출' 방안 110

가. 개요 110

나. 북핵 폐기의 우선적 해결 112

다. ‘비핵·개방·3000’ 구상 추진 113

라. 한·미관계의 창조적 발전 116

마. 동북아 신협력체제 구축 117

바. 소결 118

2.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과 6자회담 120

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논의 경과 120

나. 평화체제 구축에 대한 접근방법 123

3. 신 평화구조를 위한 외교 추진체계와 전략 125

가. 신 평화통일외교 추진 체계 125

나. 추진전략과 원칙 127

VI. 통일 외교를 위한 인프라 구축 방향 132

1. 기본 방향 133

2. 인프라 구축 방안 141

가. 무형적 정책역량 강화 141

나. 유형적 인프라 구축 147

VII. 결론 156

참고문헌 161

표목차

〈표 III-1〉 대북 인도적 지원 현황 70

〈표 III-2〉 민간단체 설립 추이 75

〈표 V-1〉 새로운 평화구조 창출을 위한 과제 112

〈표 V-2〉 ‘비핵·개방·3000’ 구상의 5대 중점 프로젝트 115

〈표 V-3〉 평화체제 관련 조치와 합의 연혁 122

〈표 V-4〉 신평화구조 구축 로드맵 127

이용현황보기

한반도 통일 외교 인프라 구축 연구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379665 통일 320.158 -9-1 서울관 독도·통일자료실(의정관3층) 이용가능
0001379666 통일 320.158 -9-1 서울관 독도·통일자료실(의정관3층) 이용가능
EM0000038671 통일 320.158 -9-1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