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가압수형 원전 2차측 배관 감육 연속 감시 시스템 개발 / 과학기술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과천] : 과학기술부, 2008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형태사항
307 p. : 삽화, 도표, 사진 ; 30 cm
제어번호
MONO1200945958
주기사항
주관연구기관: 서울대학교
주관연구책임자: 황일순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보고서 초록

요약문

SUMMARY

〈CONTENTS〉

목차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28

제1절 연구 개발의 필요성 28

1. 연구개발의 경제, 사회, 기술적 중요성 및 필요성 28

가. 기술적 측면 28

나. 경제, 산업적 측면 29

다. 사회, 문화적 측면 30

제2절 연구 개발 목표 및 내용 36

1. 1차년도 목표 및 내용 36

2. 2차년도 목표 및 내용 36

3. 3차년도 목표 및 내용 37

4. 최종 목표 37

제3절 연구 추진 전략 및 방법 39

1. 연구 추진 체계 39

2. 연구 추진 방법 40

가. 서울대 40

나. 한국원자력연구원 41

다. 삼창기업(주) 41

제2장 국내외 기술 개발 현황 43

제1절 유사 연구사례에 대한 조사 현황 43

1. 국내외 기술 현황 43

2. 연구개발사례에 대한 자체분석 및 평가결과 44

제2절 세부 기술사항의 검토 분석결과 47

1. 파괴시험 47

2. 피로시험 47

3. 환경조장균열시험 48

4. Creep Crack 시험 48

제3절 기존의 특허 및 외국의 기술과의 차이점 비교 검토 49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50

제1절 등전위교번식 직류전위차법 기반 감육감시 신기술 개발 50

1. 등전위교번식 직류전위차법의 개발 50

가. 등전위교번식 직류전위차법의 개발 : 등전위 구현 기술 51

나. 등전위교번식 직류전위차법의 개발 : 비저항 변화의 정규화 기술 52

다. 등전위교번식 직류전위차법의 개발 : 전류 교번 기술 53

2. 등전위교번식 직류전위차법의 검증 54

가. 건식실증루프(DRYTEL) 제작 54

나. 등전위교번식 직류전위차법의 검증 : 등전위 구현 기술 54

다. 등전위교번식 직류전위차법의 검증 : 전류 교번 및 비저항 변화 정규화 기술 55

3. 등전위교번식 직류전위차법을 이용한 배관 감육 감시 기술 57

가. ES-DCPD 기술을 이용한 광역 감시(WiRM) 57

(1) 광역감시 감육 평가식 : 저항 모델 58

(2) 저항 모델의 검증 59

(3) ES-DCPD 기술을 이용한 광역 감시 (WiRM) 59

나. ES-DCPD 기술을 이용한 협역 감시 60

(1) 3차원 감육 형상의 예측 방법 61

(2) 협역 감시(NaRM) 기법 62

다. 광역 감시 기술의 검증 63

라. 협역 감시 기술의 검증 64

마. 등전위교번식 직류전위차법을 이용한 배관 감육 감시 기술 65

제2절 진동 기반 감육감시 신기술 개발 91

1. 배경 이론 91

가. 군속도와 두께의 관계 91

나. 시간-주파수 기법을 이용한 군속도 계산 93

2. FEM을 이용한 충격전파 시뮬레이션 해석 94

가. 3차원모델링 95

나. 유한요소모델 95

(1) 물성치(Materials Properties) 96

(2) 경계조건(Boundary Conditions) 96

(3) 해석방법 96

다. 해석결과 96

3. 진동신호를 이용한 배관감육 감시 시스템 97

가. 하드웨어 97

(1) NI 4462 데이터 취득보드 97

(2) NI PXI 1042 데이터 취득 보드 외장 케이스 99

(3) NI PXI-CardBus 8310 99

나. 소프트웨어 99

(1) 하드웨어 설정 99

(2) 시간주파수 분석기법 101

(3) 배관 두께 계산 101

4. 두께가 다른 배관에 대한 실험 결과 102

가. 실험장치 구성 102

나. 실험 결과 102

5. 주요인자 연구 103

가. 해머 무게 영향 103

나. 거리에 따른 영향 104

제3절 감육가속화 실증설비 개발 133

1. 두께 감육 모델의 선정 및 보완 133

가. KWU-KR 모델(High pH model) 133

나. Sanchez-Caldera 모델(low pH model) 134

다. FAC 민감 인자의 선정 137

(1) FAC에 영향을 주는 인자 연구 137

(2) FAC 민감 인자의 선정 142

2. 전극(ECP, pH) 개발 142

3. 원전 2차측 모사 실험 루프(SFASL) 개발 143

가. 감육 가속화 수화학 환경 개발 143

나. 설계 및 감육 부위 예측 144

다. 감육 가속화 모사 실험 루프 (SFASL) 개발 145

제4절 감육감시 신기술 실증 연구 154

1. SFASL 실험 조건 154

가. SFASL-2007 실험 154

나. SFASL-2008 실험 155

2. SFASL 실증 실험 결과 156

가. SFASL 수화학 감시 결과 : 전극 결과 156

나. 감육 발생 결과 157

다. ES-DCPD 검증 결과 158

(1) ES-DCPD 결과 158

(2) ES-DCPD와 UT결과의 비교 159

(3) ES-DCPD와 FAC 예측 모델 예측결과의 비교 160

라. 진동 기반 감시 기술 검증 결과[개인신상정보 삭제] 161

제5절 원전 노이즈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배관 노이즈 제거 알고리즘 개발 181

1. 전자기적 노이즈 데이터베이스 구축 181

가. 전자기적 Noise Source 분석 181

(1) 전자기적 Noise Source 분석 181

(2) 전자기적 Noise 제거 방법 183

나. 전자기적 Noise Data 조사 183

(1) 전자기적 Noise에 의한 오동작 사례 조사 184

(2) 원자력발전소의 전자기적 Noise에 대한 관리 185

다. 원자력 환경에서의 전기적 Noise 측정 186

(1) 원자력발전소 Fluid 환경에서의 전자기적 Noise 측정 186

(2) 열수력 실증 설비 환경에서의 전자기적 Noise 측정 187

(3) 원전 환경에서의 복사성 Noise 측정 및 Database 확보 193

(4) 측정데이터의 비교 201

2. Noise 제거 Filter 설계 및 제작 202

가. 전자기적 Noise Source 분석 202

(1) 전자기적 Noise Source 분석 202

(2) Switching DCPD 센서의 신호 특성 203

나. Noise 특성에 따른 Noise Filter 설계 및 제작 204

(1) 신호처리 장치의 구성 205

(2) Low Pass Filter 설계 205

(3) Notch Filter(Band Stop Filter) 설계 206

(4) 전원 공급 장치 설계 206

(5) 신호처리 장치의 외관 설계 207

다. Noise Filter 설치 및 성능 평가 207

(1) Noise Filter SNUMAT Test Loop 설치 207

(2) SNUMAT Test Loop에서의 Noise Filter 성능 시험 207

(3) Noise Filter 성능 시험 결과 208

제6절 감육감시 신기술의 실용화 연구 262

1. 모듈화 하드웨어 개발 262

가. ES-DCPD 모듈화 장비 개발 262

나. 측정 단자 세트 개발 262

2. ES-DCPD 소프트웨어 개발 264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274

제1절 최종목표 274

제2절 최종목표 및 달성도 275

제3절 세부연구목표별 주요연구내용 및 결과 277

1. 주요 연구개발결과 277

가. 등전위교번식 직류전위차법(ES-DCPD)의 개발 277

나. 현장 전기 잡음 제거 알고리즘 개발 278

다. ES-DCPD 장비의 모듈화와 3차원 가시화를 통한 현장 적용성 확립 278

라. 3차원 전산 유체역학 해석에 의한 두께 감육 형상 예측법 개발 279

마. 현 배관에 대한 상태 예측 및 감시 결과의 그래픽 처리 소프트웨어 개발 280

바. 배관 진동 군속도 기술의 검증 실험 및 DB 구축 280

사. 배관 진동 군속도 기술의 감시용 인자 연구 및 민감도 분석 281

아. 감육 감시용 소프트웨어 개발 282

자. 두께 감육 모델 선정 및 보완 282

차. 전극(ECP, pH) 개발 282

카. 원전 2차측 모사 실험 루프(SFASL) 개발 283

타. 검증 실험 루프를 통한 실증 실험 283

파. 종합실적 284

2. 참여연구원별 연구활동 및 주요연구실적 285

3. 자체평가의견서 287

가. 연구개발결과의 우수성 및 창의성 287

나. 연구개발결과의 파급효과 287

다. 연구개발결과에 대한 활용가능성 288

라. 연구개발 수행노력의 성실도 288

마. 공개발표된 연구개발성과(논문·지적재산권·발표회 개최 등) 289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290

제1절 연구개발결과 290

제2절 연구수행결과로 발생한 지적재산권, 노하우 및 출판물 291

1. 특허(실용신안) 등 자료목록 291

2. 프로그램 등록목록 291

3. 논문개제 및 발표 실적 292

4. 노하우 내역 295

5. 발생품 및 시작품 내역 295

제3절 기술이전 및 연구결과 활용계획 296

제4절 기대효과 297

1. 경제적, 사회적 측면 297

2. 기술적 측면 297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 과학기술정보 298

제7장 참고문헌 299

부록 309

목차 310

1.0. 목적 311

2.0. 일반사항 312

3.0. 품질등급 : S 313

4.0. 공급 범위 314

5.0.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규격 315

6.0. 입출력 사양 320

7.0. 시험 및 검사 321

8.0. 특기사항 322

9.0. 붙임 323

표 1.2.1. 연차별 연구 개발 목표 내용 38

표 3.1.1. ES-DCPD (%) with ES-DCPD WiRM technique in a straight pipe 89

표 3.1.2. ES-DCPD (%) with ES-DCPD NaRM technique in elbows 90

표 3.2.1. 배관 유한요소 모델링에 적용된 물성치(material properties) 132

표 3.3.1. 식 (3.3.2)의 유로형상에 따른 geometrical 인자 151

표 3.3.2. HSC ChemistryR(이미지참조)에서 도출된 평형상수 K값의 온도에 대한 상관식 (식 (3.3.14) 참조) 152

표 3.3.3. FAC 예측 모델에서의 geometric factor 153

표 3.4.1. SFASL 실험에 사용된 탄소강 배관의 성분 분석 결과 : 직관부 (잔여 성분은 철)[개인신상정보 삭제] 178

표 3.4.2. SFASL-2007 실험에 사용된 탄소강 배관의 성분 분석 결과 : 엘보우 (잔여 성분은 철)[개인신상정보 삭제] 179

표 3.4.3. SFASL-2008 실험에 사용된 탄소강 배관의 성분 분석 결과 : 엘보우 (잔여 성분은 철)[개인신상정보 삭제] 180

표 3.5.1. 디지털 장비의 고장에 따른 증상 및 결과 256

표 3.5.2. 원자로 안전계통의 고장원인 분석 257

표 3.5.3. 안전계통 EMI/RFI 관련 오동작의 원인 분석 258

표 3.5.4. 시험항목 259

표 3.5.5. 대역폭 및 측정시간 260

표 3.5.6. 시험결과 261

표 3.6.1. 모듈화 ES-DCPD 하드웨어 규격 272

표 3.6.2. ES-DCPD 실험 시 탐촉자와 관련하여 발생 가능한 모든 문제점들과 개선방법 273

표 4.2.1. 세부 연구 목표 및 달성도 276

그림 1.1.1. 미하마 원전 3호기의 2차 급수관 FAC 파단 사고 (2004) 32

그림 1.1.2. 영광 3호기 2차 계통 고압부 히터 배수계통 파단 사례 (2001) 33

그림 1.1.3. 미국 원전의 배관 감육 검사부위 선정 근거 기술 분포 (2005) 34

그림 1.1.4. FAC 예측 불확실성 : 동일한 조건으로 FAC rate을 계산하였을 때 대표적 두 모델 간에 예측 속도가 크게 다름 35

그림 1.3.1. 연구 개발 추진 체계 42

그림 2.1.1. 초음파를 이용한 배관 두께 검사 방법. 46

그림 3.1.1. ES-DCPD의 등전위 구현 방법 : 전기 회로 해석(ANSYStm(이미지참조)). 67

그림 3.1.2. ES-DCPD의 등전위 구현 개념도 68

그림 3.1.3. Douglas-Randal Relay(DRR)을 이용한 ES-DCPD의 전류 교번 구성도. 69

그림 3.1.4. 건식실증루프(DRYTEL). 70

그림 3.1.5. 등전위 구현 실험. 71

그림 3.1.6. ES-DCPD의 대형 시스템에의 실증 실험. 72

그림 3.1.7. 누설 전류 제거 및 센서 영향 확인 실험 73

그림 3.1.8. ES-DCPD 기법의 신호 특성 : 전류를 교번시키고 온도 효과를 보정 해주면 감육이 되지 않았을 경우 DCPD 값이 1로 일정하게 유지됨 74

그림 3.1.9. ES-DCPD의 온도 보정 효과 : 온도가 1시간 동안 47.2℃에서 129.1℃로 증가하였을 때 ES-DCPD가 1에서 1.32로 증가하지만 온도 정규화 이후 1로 일정하게 유지됨 75

그림 3.1.10. Crack과 넓은 영역에 걸쳐 발생하는 열화(Groove)의 DCPD 신호 효율 비교. 76

그림 3.1.11. ES-DCPD와 감육 형상 사이의 상관 관계. 77

그림 3.1.12. 감육 평가식(저항 모델)을 검증하기 위한 유한 요소 해석 수행 결과 78

그림 3.1.13. CHECWORKS를 통해 예측한 감육율로 감육이 진행될 경우에 따른 각 발전 주기별 ES-DCPD 변화량(광역 감시) 79

그림 3.1.14. 전산유동해석에서 사용한 3방향 속도 성분의 정의 80

그림 3.1.15. 용접 효과에 따른 Radial Velocity Profile. 81

그림 3.1.16. Radial Velocity와 감육량 간의 상관 관계. 82

그림 3.1.17. 3차원 감육 형상 예측 결과. 83

그림 3.1.18. ES-DCPD의 협역 감시 적용 방법. 감육 발생이 가능한 inlet쪽 1D(diameter)부터 outlet쪽 2D를 포함하는 Elbow 전체를 한 번에 바르게 검사함. full-grid 방식의 UT 검사 포인트를 함께 표시하였음. 84

그림 3.1.19. CHECWORKS DB에서 예상한 평균 감육율에 따른 발전 주기별 ES-DCPD의 변화량(협역 감시) 85

그림 3.1.20. 광역 감시 검증 실험. 86

그림 3.1.21. 협역 감시 검증 실험. 87

그림 3.1.22. 본 연구를 통해 제안된 감육 감시 방법론. WiRM과 NaRM을 통한 screening으로 UT 검사의 효율을 높임. 중요 배관에 대한 온라인 두께 감시로의 적용이 가능함. 88

그림 3.2.1. 평판 모델. 여기서, h : 두께, p : 밀도, E : 영 계수 이며, u 방향이 굽힘파의 변위 방향임. 106

그림 3.2.2. 판파(Lamb wave)의 전파 특성 107

그림 3.2.3. 동일 크기 및 동일 방향으로 전파하는 2개의 굽힘파 성분(ω₁및 ω₂)에 대한 위그너-빌 분포 특성. 주파수 성분의 차이가 작은 경우, 중심주파수(ωc) 위치에서 최대값이 파동에너지의 전파속도(군속도)로 이동함을 나타냄.(이미지참조) 108

그림 3.2.4. 3차원 유한요소모델링에 사용된 배관 및 가속도 센서 설치 위치 109

그림 3.2.5. 배관에 대한 유한요소모델링 110

그림 3.2.6. 강구 충돌 시의 배관의 응력분포 시뮬레이션. 111

그림 3.2.7. 강구 충돌 시의 배관의 가속도 위치에서의 진동신호(배관 내 유체가 존재할 경우의 시뮬레이션). 112

그림 3.2.8. 배관 감육 감시 시스템 구성도 113

그림 3.2.9. NI 4462 데이터취득 보드 114

그림 3.2.10. NI PXI-1042 및 CardBus 8310 115

그림 3.2.11. 하드웨어 설정 화면 116

그림 3.2.12. 트리거 기능을 이용한 충격파 신호 검출 117

그림 3.2.13. 반사파를 가진 신호의 시간-주파수 분석결과 118

그림 3.2.14. 배관두께 계산 화면 119

그림 3.2.15. 배관 두께 측정 실험장치 구성 120

그림 3.2.16. 배관 두께 측정실험을 위한 가속도 센서 설치위치. 센서 간격은 50mm이며 임팩트해머를 이용하여 1번 센서에서 10mm 띨어진 곳을 가진. 121

그림 3.2.17. 센서 1번의 위그너-빌 분석 결과. 시간-주파수 영역에서 2개의 충격파를 관찰할 수 있음 122

그림 3.2.18. 충격파 전파 시뮬레이션. 배관의 축방향 외에 원주방향으로도 충격파가 전파되기 때문에 측정신호는 여러 개의 충격파가 존재하게 됨. 123

그림 3.2.19. 각 센서에서의 계측된 가속도 신호. 124

그림 3.2.20. 위그너-빌 분석 결과. 125

그림 3.2.21. 시간-주파수 분석을 이용한 두께별 배관의 군속도. 신호대 잡음비가 좋은 12kHz에서 25kHz 영역에서 두께에 따라 군속도가 달라짐을 관찰할 수 있음. 126

그림 3.2.22. Hertz의 충격이론에서 변수의 정의 127

그림 3.2.23.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임팩트 해머 종류 128

그림 3.2.24. 임팩트 해머의 무게 변화에 따른 신호 측정 결과. 129

그림 3.2.25. 센서간 거리 및 충격지점 거리에 따른 신호 분석 시험 장치 130

그림 3.2.26. 거리에 따른 충격 신호의 시간-주파수 분석 결과. 131

그림 3.3.1. SFASL의 고온 고압용으로 개발된 전극. 146

그림 3.3.2. SFASL의 설계. 147

그림 3.3.3. SFASL에 대한 3D CAD 설계와 이를 통한 감육부위 예측. 148

그림 3.3.4. SNU FAC Accelerated Simulation Loop (SFASL) 전경 및 센서 사진 149

그림 3.3.5. SFASL 측정치와 분석결과의 통합 디스플레이 Labview 기반 화면. 150

그림 3.4.1. SFASL-2008 실험에 사용된 직관부와 엘보우, SFASL-2007 실험에 사용된 엘보우의 성분 분석 결과 (나머지는 Fe) 162

그림 3.4.2. SFASL에서 Fe 이온의 농축(붉은색 오른쪽으로 이동)에 따른 pH, ECP의 변화와 Magnetite(Fe₃O₄)의 안정성 증가를 확인하는 Pourbaix diagram(HSC chemistryR(이미지참조)) 163

그림 3.4.3. SFASL-2008 EVENT diagram. 795시간 동안의 이벤트의 온도 및 압력 이력 164

그림 3.4.4. SFASL-2007 시험에서 탄소강 시편에서 측정된 ECP와 pH, 그리고 inlet pH 165

그림 3.4.5. SFASL-2008 시험에서 탄소강 시편에서 측정된 ECP와 pH, 그리고 inlet pH 166

그림 3.4.6. SFASL-2007 시험의 결과에서 전형적 FAC 감육 발생 형상 결과 167

그림 3.4.7. SFASL-2008 시험에서 전형적 FAC 감육 발생 형상 결과 168

그림 3.4.8. SFASL-2008 감육 발생 XRD 검증 결과.최종 실험 종료 후 FAC 발생면의 산화막을 XRD를 이용한 성분 분석 결과 169

그림 3.4.9. SFASL-2007실험의 ES-DCPD 결과. 170

그림 3.4.10. ES-DCPD가 장착된 모습 (SFASL-2008 실험) 171

그림 3.4.11. SFASL-2008실험의 ES-DCPD 결과. 172

그림 3.4.12. Elbow에 대한 UT 감육 속도 결과 및 파괴실험 결과의 비교 173

그림 3.4.13. SFASL에서 ES-DCPD와 UT 측정 결과의 비교. 174

그림 3.4.14. ES-DCPD와 감육 예측 모델의 속도 상관성 비교 결과. 175

그림 3.4.15. 배관 진동 판파의 군속도 측정 장치의 구성 176

그림 3.4.16. 배관 진동 감시법으로 측정한 2주간 감육 전/후의 군속도 비교 177

그림 3.5.1. Sensor에 유도되는 복사성 잡음원과 전도성 잡음원 210

그림 3.5.2. 전자기적 장해 발생 Mechanism(EMI Coupling Mechanism) 211

그림 3.5.3. 전기적인 회로의 Capacitive(Electric) Coupling 예 212

그림 3.5.4. 저주파 신호에 대한 Single-point 접지 시스템 213

그림 3.5.5. 열수력 설비 환경에서 계측기기에 입력되는 Noise를 측정하기 위한 구성 214

그림 3.5.6. Core 비등 열수력 실증 설비 전경 및 제어감시화면 215

그림 3.5.7. Core 비등 열수력 실증 설비에서 측정된 신호 특성 216

그림 3.5.8. Freon GAS RCS 유동시험 설비 제어감시화면과 Trend 감시화면 217

그림 3.5.9. Freon GAS RCS 유동시험 설비에서 측정된 Noise 신호의 특성 218

그림 3.5.10. 원자력발전소 공중파 Noise 측정을 위한 시스템 구성 219

그림 3.5.11. 울진3호기 PCS의 저주파 전도잡음 220

그림 3.5.12. 울진 3호기의 CPC 저주파 전도성 잡음(공통모드) 221

그림 3.5.13. 울진3호기 PCS의 고주파 전도잡음 222

그림 3.5.14. 차동모드 PCS의 전도성 잡음 223

그림 3.5.15. CPC의 고주파 전도성 잡음(공통모드) 224

그림 3.5.16. CPC의 고주파 전도성 잡음(차동모드) 225

그림 3.5.17. 서지(Serge) 측정시스템 구성도 226

그림 3.5.18. PCS의 전원 전압파형 측정결과 227

그림 3.5.19. CPC 전원 파형 228

그림 3.5.20. DCC-Y의 전도성 잡음 분포-Differential Mode 229

그림 3.5.21. DCC-Y의CPU 캐비닛 전원선의 Common - Mode 전도잡음 230

그림 3.5.22. Magnetic Field 측정결과 231

그림 3.5.23. 방사성 전계강도 측정결과 232

그림 3.5.24. 200MHz - 7 GHz영역의 전자기 환경 233

그림 3.5.25. 실외 공중파 분포도(10 kHz ~ 200 MHz) 234

그림 3.5.26. 실외 공중파 분포도(200 MHz ~ 7 GHz) 235

그림 3.5.27. 120VAC입력전원의 잡음주파수 분포 236

그림 3.5.28. 접지선의 전자기 잡음 측정 구성도 237

그림 3.5.29. R-11 LCU접지선 잡음분포(1) 238

그림 3.5.30. R-11 LCU접지선 잡음분포(2) 239

그림 3.5.31. R2 LCU(Skid Unit없는 경우 : 격납용기 입구)의 접지선의 잡음분포 240

그림 3.5.32. R15 LCU(Skid Unit 있는 경우 : 터빈빌딩)접지선 잡음분포 241

그림 3.5.33. 본 연구와 선행 연구 간의 원자력발전소의 전도성 잡음분포에 대한 비교 242

그림 3.5.34. 본 연구와 선행 연구간의 Magnetic Field에 대한 비교 243

그림 3.5.35. 본 연구와 선행 연구간의 Electric Field의 측정데이터에 대한 비교 244

그림 3.5.36. Equipotential Switching DCPD 센서의 구성 245

그림 3.5.37. ES-DCPD에서 R1, R2 부분의 등전위(Equipotential) 측정 지점 246

그림 3.5.38. ES-DCPD의 전자기적 Noise 제거를 위한 Filter개념도 247

그림 3.5.39. ES-DCPD의 신호 특성에 따른 신호처리 장치의 구성도 248

그림 3.5.40. Low Pass Filter의 상세한 회로 구성 249

그림 3.5.41. Notch Filter의 신호 전달 특성 250

그림 3.5.42. Notch Filter(Band Pass Filter) Circuit 251

그림 3.5.43. 전원공급 장치의 설계 252

그림 3.5.44. 신호처리장치의 외관 구성 253

그림 3.5.45. 제작된 Noise Filter와 Filter의 성능시험 결과 254

그림 3.5.46. Noise Filter의 성능 시험 결과 255

그림 3.6.1. ES-DCPD 모듈화한 장비의 구성 266

그림 3.6.2. 모듈화 개발된 ES-DCPD 장비 267

그림 3.6.3. ES-DCPD용 일체형 측정 단자 세트 268

그림 3.6.4. 제작된 ES-DCPD 측정 단자 세트 269

그림 3.6.5. ES-DCPD 적용 때 단자와 배관간의 접촉 저항 확인을 위한 실험 회로의 개략도 270

그림 3.6.6. ES-DCPD 자동화 및 가시화 소프트웨어 271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T000029347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전자자료 이용불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