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차세대 고온형 고분자 연료전지 핵심요소 원천소재 및 스택 개발. 1 / 산업기술연구회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산업기술연구회, 2008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형태사항
xvi, 67 p. : 삽화, 도표, 사진 ; 30 cm
제어번호
MONO1200946117
주기사항
주관연구기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단위연구책임자: 이원용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요약문

SUMMARY

CONTENTS

목차

제1장 서론 19

제1절 고온용 전해질막 개발 20

제2절 고온용 막전극접합체(MEA) 개발 23

제3절 고온용 분리판 설계 및 재료 최적화 23

제4절 고온용 스택 설계 및 제작 25

제5절 성능평가 방안 최적화 및 운전 최적화 25

제2장 본론 27

제1절 고온용 전해질막 개발 27

1. 이온성 액체 27

가. 이온성 액체 27

나. 이온성 액체의 점도 28

다. 이온성 액체의 수소이온전도도 29

2. 이온성 액체 함유 탄화수소계열 고분자 전해질막 31

가. 탄화수소계열 고분자 31

나. 이온성 액체 함유 고온용 복합막 제조 32

다. 이온성 액체 함유 고온용 복합막 특성 분석 32

라. 이온성 액체 함유 고온용 복합막 연구 결과 34

3. 이온성 액체 함유 이오노머 바인더 개발 39

제2절 고온용 막전극접합체(MEA) 개발 40

1. 나피온(Nafion)/이온성 액체(EtMeImTf)를 이용한 복합막의 제조 40

2. 탄화수소계 고분자(SPAEK-6F)/이온성 액체(EtMeImTf)를 이용한 복합막의 제조 41

3. 촉매 슬러리의 제조 42

4. 막전극접합체용 기체확산전극(Gas Diffusion Electrode, GDE) 제조 42

5. 막전극접합체 개발 43

6. 복합막내 이온성 액체 누출 안정성 평가 43

7. 나피온(Nafion)/이온성액체(EtMeImTf)를 이용한 복합막의 성능 45

8. 탄화수소계 고분자(SPAEK-6F)/이온성액체(EtMeImTf)를 이용한 복합막의 성능 47

9. 복합막의 두께를 변화시킨 후 성능 평가 48

제3절 고온용 분리판 설계 및 재료 최적화 50

제4절 고온용 스택 설계 및 제작 59

1. 고온용 스택 기본 설계 59

2. 고온용 스택 종합 설계 65

제5절 성능평가 방안 최적화 및 운전 최적화 68

제3장 결론 80

제1절 고온용 전해질막 개발 80

제2절 고온용 막전극접합체(MEA) 개발 81

제3절 고온용 분리판 설계 및 재료 최적화 82

제4절 고온용 스택 설계 및 제작 83

제5절 성능평가 방안 최적화 및 운전 최적화 83

참고문헌 85

서지정보양식 86

BIBLIOGRAPHIC INFORMATION SHEET 87

〈표 2-1〉 합성된 복합막의 종류 33

〈표 2-2〉 단위전지 평가조건 44

〈표 2-3〉 Shell사 Thermia B 냉각 오일 특성표 66

〈표 2-4〉 연료전지내 전기화학, 물질 전달 및 고분자 전해질막 반응기구의 분석 71

〈표 2-5〉 연료전지 성능 개선을 위한 방안 71

〈표 2-6〉 고분자 전해질막 내구성 평가 방법 (내열성 평가) 73

〈표 2-7〉 고분자 전해질막 화학적 내구성 평가 방법 (H₂O₂ 가스 노출법) 73

〈표 2-8〉 전해질막 압축 creep 시험 74

〈표 2-9〉 수소/산수 투과성 측정 75

〈표 2-10〉 전극 촉매 내구성 평가 방법 76

〈표 2-11〉 단위전지를 이용한 전위 사이클을 통한 공기극 촉매 내구성 평가 77

〈표 2-12〉 단위전지를 이용한 전위 사이클을 통한 연료극 촉매 내구성 평가 78

〈표 2-13〉 반전지를 이용한 촉매 내구성 평가 방안 79

[그림 1-1] 기존 고분자 연료전지 시스템(좌)과 고온형 고분자 연료전지 시스템(우)의 비교. 19

[그림 1-2] 수팽윤된 고분자 전해질막에서의 수소이온 전도 메카니즘. 20

[그림 1-3] 수팽윤되지 않은 고분자 전해질막에서의 수소이온 전도. 21

[그림 1-4] 이온성 액체 복합막에서의 수소이온 전도 메카니즘. 22

[그림 1-5] 막전극접합체 제조 방법. 24

[그림 2-1] 다양한 이온성 액체의 구조. 28

[그림 2-2] 다양한 이온성 액체의 점도. 29

[그림 2-3] 다양한 이온성 액체의 이온 전도도. 30

[그림 2-4] 이온성 액체의 이온전도 메커니즘. 31

[그림 2-5] 고분자 구조. 31

[그림 2-6] 이온성액체 함유 탄화수소계열 고분자 전해질막 사진. 33

[그림 2-7] (a) 고분자전해질막의 수소이온전도도 측정용 셀의 개략도 : 1, Teflon block ; 2, 전압 측정용 Pt wires ; 3, 전류 공급용 Pt foils ; 4, 고분자전해질막 (4 cm × 1 cm) (b) 측정셀 실제 사진 : WE, 작업전극 ; SE, 센서 ; CE, 상대전극 ; RE, 기준전극. 34

[그림 2-8] Ionic conductivity of the composite membranes based on SPAEK-6F (DS 40) with different ionic liquids (50wt% SPAEK-6F/50wt% IL) under anhydrous condition.. 35

[그림 2-9] Ionic conductivity of the composite membranes based on SPAEK-6F at different temperatures with different DS (50wt% SPAEK-6F/50wt% IL) under anhydrous condition. 36

[그림 2-10] Ionic conductivity of the composite membranes based on SPAEK with different ionic liquids (50wt% polymer/50wt% IL) under anhydrous condition. 37

[그림 2-11] Tapping mode atomic force microscopy images. 38

[그림 2-12] Thermogravimetric weight loss curves for ionic liquid and composite membranes with 50wt% polymer/50wt% IL. 39

[그림 2-13] (a) CCM (catalyst coated membrane) (b) CCG (catalyst coated GDL). 40

[그림 2-14] 가스 확산 전극을 사용하여 제조된 MEA. 40

[그림 2-15] Nafion/Ionic liquid 및 SPAEK-6F/Ionic liquid 복합막의 제조과정. 41

[그림 2-16] GDE 제작용 촉매 슬러리. 42

[그림 2-17] 이온성 액체를 함유한 이오노머 바인더를 이용하여 제작한 GDE. 42

[그림 2-18] 이온성 액체가 함유한 전해질막 및 전극을 이용하여 제작한 막전극접합체. 43

[그림 2-19] 복합막 내 이온성 액체 누출 안정성 평가 절차. 44

[그림 2-20] (a) 단위전지 평가 장치 및 (b) Cyclic voltammetry, Chronoamperometry 측정장치. 45

[그림 2-21] Nafion/Ionic liquid를 이용한 복합막의 구조적 안정성 평가 곡선. 46

[그림 2-22] Nafion/Ionic liquid를 이용한 복합막의 (a) 80℃와 (b) 150℃의 cross over current 곡선. 46

[그림 2-23] SPAEK-6F/Ionic liquid를 이용한 복합막의 구조적 안정성 평가 곡선. 47

[그림 2-24] Nafion/Ionic liquid를 이용한 복합막의 (a) 80℃와 (b) 150℃의 cross over current 곡선. 48

[그림 2-25] 두 장의 복합막을 겹쳐 사용했을 경우의 성능 곡선. 49

[그림 2-26] SPAEK-6F와 ionic liquid를(250㎛)의 성능 곡선. 49

[그림 2-27] 연료전지 구성의 개략도. 50

[그림 2-28] 고온형 연료전지 이온교환막의 이온 전도도. 57

[그림 2-29] 연료전지 분리판 도면 및 전산해석 영역의 개략도. 58

[그림 2-30] CFD 해석 결과 연료전지 성능 곡선. 59

[그림 2-31] 매니폴드 전산해석 영역의 개략도. 61

[그림 2-32] 매니폴드 반응가스 인입부의 후보군. 61

[그림 3-33] 반응가스 인입부의 길이에 따른 셀 별 유량 편차 분포. 63

[그림 2-34] 반응가스 인입부의 길이에 따른 셀 별 유량의 표준편차. 64

[그림 2-35] 매니폴드-단위전지 연계 전산해석 영역. 64

[그림 2-36] 단위전지내 채널 별 공급 유량의 편차. 65

[그림 2-37] 고온용 연료전지 스택 앤드판 투시도. 67

[그림 2-38] Technical University of Denmark에서 제작한 고온용 40셀 스택. 67

[그림 2-39] 고온용 연료전지 스택 구성 전개도. 68

[그림 2-40] 고분자 연료전지 MEA 열화 맵. 70

[그림 2-41] 자동차용 연료전지 운전 모드에 따른 전해질막 및 촉매의 열화요인. 72

[그림 2-42] H₂O₂ 가스 노출법 시험 장치. 74

[그림 2-43] 수소/산수 투과성 측정 장치 개략도. 75

[그림 3-1] SPAEK-6F막 및 이온성 액체 함유 복합막의 가습 및 온도에 따른 수소이온전도도. 81

[그림 3-2] SPAEK-6F 및 EtMeImTf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막전극접합체 개발 절차. 82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T000029371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v.1 전자자료 이용불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