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콘크리트 충전 강관거더를 이용한 강합성 교량구조 개발 연구보고서 / 국토해양부 ;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공편] 인기도
발행사항
고양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8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형태사항
1책(면수복잡) : 삽화, 도표, 사진, 설계도 ; 30 cm
총서사항
R&D. 2005, 건설핵심 ; C18
제어번호
MONO1200947148
주기사항
주관연구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05건설핵심기술연구개발사업 최종보고서
총괄연구책임자: 강재윤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요약문

목차

제1장 서론 34

제1절 연구개발 배경 및 개요 34

제2절 기술 개발의 목표 및 내용 37

1. 연구개발의 최종 목표 37

2. 연차별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38

제2장 국내외 연구 및 기술개발 현황 42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50

제1절 신형상 ㄱ형 Perfobond 리브 전단연결재 개발 50

1. 개발 개요 50

2. 강도평가식 도출을 위한 전단실험 51

3. 실험변수에 따른 ㄱ형 Perfobond 리브 전단연결재의 전단거동 58

4. 실험변수를 고려한 전단내력 평가 67

5. ㄱ형 Perfobond 리브 전단연결재의 강도평가식 유도 79

6. 비선형 유한요소해석을 통한 강도평가식 검증 88

7. 재하실험을 통한 강도평가식 검증 97

8. ㄱ형 Perfobond 리브 전단연결재의 피로내구성 평가 113

9. 소결론 119

제2절 CFT부재 단위 성능평가 121

1. CFT부재 충전재의 사하중 영향 평가 121

2. CFT부재의 설계매개변수 영향 평가를 위한 재하실험 128

3. 재하 실험 결과 136

4. CFT부재의 단면형상 영향 평가 190

5. 충전재 압축강도의 영향 평가 196

6. 지름-두께비(D/t비)의 영향 평가 204

제3절 합성단면 단위 성능평가 209

1. CFT거더 합성단면의 정모멘트 거동 평가 209

2. CFT거더 합성단면의 부모멘트 거동 평가 216

3. 2경간 연속 CFT거더 합성단면의 거동 평가 225

4. 강관이음방법을 고려한 CFT거더 합성단면의 거동 평가 238

5. CFT거더 합성단면의 피로 내구성 평가 254

제4절 실교량 단위 성능평가 260

1. 40m 단순지지 CFT거더 도로교 성능 평가 260

2. 35m 단순지지 CFT거더 철도교 진동성능 평가 267

3. 20m 4주형 단순지지 CFT거더 철도교 이중하중해석 282

제5절 시험교량 현장 주행실험을 통한 사용성능 평가 292

1. 현장주행실험 개요 292

2. 유한요소해석을 통한 예비 거동평가 306

3. 정적재하시험에 의한 사용성 평가 324

4. 동적재하시험에 의한 동특성 평가 339

5. 충격계수 산정 346

6. 삼일1교의 진동성능 검토 353

제6절 유지관리를 고려한 교량 성능 검토 357

1. 보강방법에 따른 CFT거더 휨성능 평가 357

2. CFT거더 합성단면의 내부 부식 평가 382

3. 충전 손실의 영향 검토 388

제7절 CFT거더 해석모델 연구 391

1. 개요 391

2. 재료 모델 결정 392

3. 해석 모델 및 해석 방법 399

4. 콘크리트 충전 강관의 휨거동 해석 401

제8절 콘크리트 충전 강관거더 설계기준 407

1. 개요 407

2. 콘크리트 충전 강관 부재의 단면 특성 407

3. CFT부재 구성요소 평가 방법 410

4. 콘크리트 충전 강관거더교 강도설계식 426

제9절 콘크리트 충전 강관거더 설계법에 따른 설계 예제 442

1. 설계예제 검토 조건 442

2. 설계 결과 444

제10절 콘크리트 충전 강관거더 강합성교 경제성 분석 464

제4장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472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478

제6장 참고문헌 482

부록 1. CFT 거더 교량 시스템 설계편람 484

부록 2. CFT 거더 교량 시스템 제조편람 508

목차 509

제1장 총칙 511

1.1. 목적 511

1.2. 적용기준 및 관련규정 511

1.3. 일반사항 511

제2장 자재관리 및 Shop-drawing 512

2.1. 강재의 규격 512

2.2. 원자재 식별표시 512

2.3. 원자재 색칠방법 512

2.4. 강재이력관리(HEAT NO.) 513

2.5. 용접재료 513

2.6. SHOP DRAWING 514

제3장 강관 및 소부재 제작 517

3.1. 원자재 전처리 및 소부재 가공 517

3.2. 강관제작 Flow 518

3.3. 현도 519

3.4. 원자재 투입 519

3.5. 마킹 519

3.6. 절단 520

3.7. 개선가공 521

3.8. 천공 522

3.9. 마찰면 처리 523

3.10. U자형 홈을 갖는 / ㄱ형 perfobond 리브 전단연결재 523

3.11. 다이아프램 제작 525

3.12. SPLICE PLATE 526

3.13. CROSS BEAM 527

제4장 용접 528

4.1. 용접 528

제5장 가조립 및 품질검사 535

5.1. 교정 535

5.2. 가조립 535

5.3. 검사 536

5.4. 포장 536

5.5. 운송 537

부록 3. CFT 거더 교량 시스템 시공편람 538

목차 539

용어정의 542

인용 및 관련 규격 기준 544

1. 일반사항 545

1.1. 적용범위 545

1.2. 참조규격 545

2. CFT 거더 용접 546

2.1. CFT 거더 용접 546

3. 콘크리트 충전 559

3.1. 목적 559

3.2. 적용 및 관련문서 559

3.3. 레미콘 공급 업체 선정 559

3.4. 콘크리트재료 품질관리 지침 559

3.5. 콘크리트 배합설계 절차 562

3.6. 콘크리트 시공관리 563

3.7. 콘크리트 품질관리 지침 564

4. 시공 565

4.1. 시공 흐름도 565

4.2. 가설공 566

4.3. 콘크리트 타설 567

별첨 # 1. 강관 충전용 경량기포콘크리트 전문 시방서 568

목차 569

1. 일반사항 572

1.1. 적용범위 572

1.2. 일반사항 572

1.3. 관련규격 572

2. 재료 573

2.1. 품질기준 573

3. 배합 574

3.1. 총칙 574

3.2. 일반사항 574

3.3. 배합설계 574

4. 경량기포 콘크리트의 생산 576

4.1. 생산설비 576

4.2. 비비기 576

4.3. 운반 및 타설 576

4.4. 양생 577

5. 품질관리 578

5.1. 배합시 품질관리 578

5.2. 경화후의 품질관리 578

6. 품질실험 580

6.1. 단위중량시험기(기포슬러리 비중 측정) 580

6.2. 플로우 값 580

6.3. 침하 깊이 580

6.4. 겉보기 밀도 581

6.5. 압축강도 581

7. 품질검사 582

7.1. 품질검사 방법 582

판권기 583

〈표 1.2.1〉 연차별 연구목표 및 내용 40

〈표 2.1.1〉 일본의 CFT 적용사례 (주요 건축구조물) 43

〈표 2.1.2〉 국내외 CFT거더 관련 기술수준 비교 48

〈표 3.1.1〉 전단실험체의 종류 및 설계변수 52

〈표 3.1.2〉 횡방향 철근 개수에 따른 전단내력 59

〈표 3.1.3〉 홀 개수에 따른 전단내력 61

〈표 3.1.4〉 홀 직경에 따른 전단내력 62

〈표 3.1.5〉 리브높이에 따른 전단내력 63

〈표 3.1.6〉 머리부분 플레이트 크기 변화에 따른 전단내력 65

〈표 3.1.7〉 바닥판 콘크리트 강도에 따른 전단내력 66

〈표 3.1.8〉 실험체의 강도평가식 계산 84

〈표 3.1.9〉 Push-out 실험체의 종류 및 주요특징 98

〈표 3.1.10〉 게이지 측정내용 101

〈표 3.1.11〉 횡방향 철근 직경에 따른 전단내력 109

〈표 3.1.12〉 리브 두께에 따른 전단내력 110

〈표 3.1.13〉 리브 길이에 따른 전단내력 111

〈표 3.1.14〉 추가실험체 실험결과와 강도평가식의 비교 113

〈표 3.1.15〉 피로 전단실험체의 주요특징 114

〈표 3.2.1〉 지름 508mm 강관의 두께변화에 대한 사하중 처짐 해석결과 123

〈표 3.2.2〉 설계변수 연구를 위한 재하실험체 일람 130

〈표 3.2.3〉 강관형상을 고려한 실험체의 단면특성 비교 132

〈표 3.2.4〉 강관형상 비교 실험을 위한 실험체 일람 132

〈표 3.2.5〉 D508-B-C0 실험체의 중앙단면 종방향 변형률 137

〈표 3.2.6〉 D508-B-C1 실험체의 중앙단면 종방향 변형률 137

〈표 3.2.7〉 D508-B-C2 실험체의 중앙단면 종방향 변형률 137

〈표 3.2.8〉 D508-B-C0 실험체의 중앙단면 원주방향 변형률 137

〈표 3.2.9〉 D508-B-C1 실험체의 중앙단면 원주방향 변형률 138

〈표 3.2.10〉 D508-B-C2 실험체의 중앙단면 원주방향 변형률 138

〈표 3.2.11〉 D558-A-C0 실험체의 중앙단면 종방향 변형률 146

〈표 3.2.12〉 D558-A-C1 실험체의 중앙단면 종방향 변형률 146

〈표 3.2.13〉 D558-A-C2 실험체의 중앙단면 종방향 변형률 146

〈표 3.2.14〉 D558-A-C0 실험체의 중앙단면 원주방향 변형률 146

〈표 3.2.15〉 D558-A-C1 실험체의 중앙단면 원주방향 변형률 147

〈표 3.2.16〉 D558-A-C2 실험체의 중앙단면 원주방향 변형률 147

〈표 3.2.17〉 D558-B-C0 실험체의 중앙단면 종방향 변형률 154

〈표 3.2.18〉 D558-B-C1 실험체의 중앙단면 종방향 변형률 155

〈표 3.2.19〉 D558-B-C2 실험체의 중앙단면 종방향 변형률 155

〈표 3.2.20〉 D558-B-C0 실험체의 중앙단면 원주방향 변형률 155

〈표 3.2.21〉 D558-B-C1 실험체의 중앙단면 원주방향 변형률 155

〈표 3.2.22〉 D558-B-C2 실험체의 중앙단면 원주방향 변형률 156

〈표 3.2.23〉 D609-A-C0 실험체의 중앙단면 종방향 변형률 162

〈표 3.2.24〉 D609-A-C1 실험체의 중앙단면 종방향 변형률 163

〈표 3.2.25〉 D609-A-C2 실험체의 중앙단면 종방향 변형률 163

〈표 3.2.26〉 D609-A-C0 실험체의 중앙단면 원주방향 변형률 163

〈표 3.2.27〉 D609-A-C1 실험체의 중앙단면 원주방향 변형률 163

〈표 3.2.28〉 D609-A-C2 실험체의 중앙단면 원주방향 변형률 164

〈표 3.2.29〉 D609-B-C0 실험체의 중앙단면 종방향 변형률 170

〈표 3.2.30〉 D609-B-C1 실험체의 중앙단면 종방향 변형률 171

〈표 3.2.31〉 D609-B-C2 실험체의 중앙단면 종방향 변형률 171

〈표 3.2.32〉 D609-B-C0 실험체의 중앙단면 원주방향 변형률 171

〈표 3.2.33〉 D609-B-C1 실험체의 중앙단면 원주방향 변형률 171

〈표 3.2.34〉 D609-B-C2 실험체의 중앙단면 원주방향 변형률 172

〈표 3.2.35〉 B450-C0 실험체의 중앙단면 종방향 변형률 178

〈표 3.2.36〉 B450-C1 실험체의 중앙단면 종방향 변형률 179

〈표 3.2.37〉 B450-C0 실험체의 중앙단면 원주방향 변형률 179

〈표 3.2.38〉 B450-C1 실험체의 중앙단면 원주방향 변형률 179

〈표 3.2.39〉 B500-C0 실험체의 중앙단면 종방향 변형률 184

〈표 3.2.40〉 B500-C1 실험체의 중앙단면 종방향 변형률 185

〈표 3.2.41〉 B500-C0 실험체의 중앙단면 원주방향 변형률 185

〈표 3.2.42〉 B500-C1 실험체의 중앙단면 원주방향 변형률 185

〈표 3.2.43〉 각형 및 원형 빈강관의 초기강성 및 내력 비교 190

〈표 3.2.44〉 각형 및 원형 충전강관의 초기강성 및 내력 비교 192

〈표 3.2.45〉 실험체별 항복하중 비교 197

〈표 3.2.46〉 13.5MPa 충전재 적용시 항복하중 증가율 197

〈표 3.2.47〉 27.0MPa 충전재 적용시 항복하중 증가율 198

〈표 3.2.48〉 13.5MPa 충전재 적용시 충전강관의 항복하중 증가율 200

〈표 3.2.49〉 27.0MPa 충전재 적용시 충전강관의 항복하중 증가율 201

〈표 3.2.50〉 13.5MPa 충전재 적용시 최대하중 증가율 202

〈표 3.2.51〉 27.0MPa 충전재 적용시 최대하중 증가율 202

〈표 3.3.1〉 정모멘트 실험체의 종류 및 실험체 제작변수 209

〈표 3.3.2〉 실험체별 최대하중 비교 (φ508) 212

〈표 3.3.3〉 실험체별 변위연성도 비교 (φ508) 213

〈표 3.3.4〉 실험체별 회전연성도 비교 (φ508) 213

〈표 3.3.5〉 부모멘트 실험체의 종류 및 실험체 제작변수 217

〈표 3.3.6〉 실험체별 최대하중 비교 (φ508) 220

〈표 3.3.7〉 실험체별 변위연성도 비교 (φ508) 220

〈표 3.3.8〉 실험체별 회전연성도 비교 (φ508) 221

〈표 3.3.9〉 2경간 연속보 실험체의 종류 및 실험체 제작변수 226

〈표 3.3.10〉 단계별 작용 모멘트 비교 230

〈표 3.3.11〉 실험체 제원 247

〈표 3.3.12〉 피로실험체 제원 255

〈표 3.3.13〉 무이음 강관 실험체(D780-N-F)의 피로실험 결과 256

〈표 3.3.14〉 용접이음 강관 실험체(D780-W-F)의 피로실험 결과 256

〈표 3.3.15〉 볼트이음 강관 실험체(D780-B-F)의 피로실험 결과 257

〈표 3.3.16〉 볼트이음부 충전 강관 실험체(D780-BF-F)의 피로실험 결과 257

〈표 3.4.1〉 해석단면의 특성 및 입력 물성치 284

〈표 3.4.2〉 차량 종류 및 주행속도에 대한 동적응답 비교 (단경간 4주형 CFT거더교) 290

〈표 3.5.1〉 각 단면별 게이지 부착 개소 299

〈표 3.5.2〉 삼일1교 재하실험 및 구조해석에 적용한 차량하중의 제원 및 하중 300

〈표 3.5.3〉 삼일1교의 처짐 해석 결과 307

〈표 3.5.4〉 재하조건별 최대 처짐 및 발생 위치 324

〈표 3.5.5〉 삼일1교의 처짐 계측 결과 325

〈표 3.5.6〉 삼일1교의 처짐에 대한 해석 및 계측 결과 비교 326

〈표 3.5.7〉 거더B의 하단부 인장응력에 대한 해석 및 계측 결과 비교 337

〈표 3.5.8〉 삼일 1교 고유진동수 346

〈표 3.5.9〉 충격계수 결과(변형률 기준) 347

〈표 3.5.10〉 삼일1교의 Meister 등감각곡선 등급 356

〈표 3.6.1〉 휨재하실험체 일람 358

〈표 3.6.2〉 무보강 실험체의 중앙단면 종방향 변형률 366

〈표 3.6.3〉 무보강 실험체의 중앙단면 원주방향 변형률 367

〈표 3.6.4〉 강봉보강 실험체 중앙단면 종방향 변형률 369

〈표 3.6.5〉 강봉보강 실험체의 중앙단면 원주방향 변형률 369

〈표 3.6.6〉 강선보강1 실험체의 중앙단면 종방향 변형률 372

〈표 3.6.7〉 강선보강1 실험체의 중앙단면 원주방향 변형률 372

〈표 3.6.8〉 강선보강2 실험체의 중앙단면 종방향 변형률(긴장후) 375

〈표 3.6.9〉 강선보강2 실험체의 중앙단변 원주방향 변형률 375

〈표 3.6.10〉 휨재하실험결과 377

〈표 3.6.11〉 슬래브 실험체의 중앙단면 종방향 변형률 379

〈표 3.6.12〉 슬래브 실험체의 중앙단면 원주방향 변형률 379

〈표 3.7.1〉 강재 시편의 항복응력 계측 결과 392

〈표 3.7.2〉 재료별 포아송비 비교 397

〈표 3.7.3〉 해석 대상 실험체 종류 402

〈표 3.7.4〉 최대하중 및 파괴시 변위에 대한 해석치와 실험치 비교 403

〈표 3.7.5〉 최대하중 및 파괴시 변위에 대한 해석치와 실험치 비교 405

〈표 3.8.1〉 하중단계별 역학적 특성 409

〈표 3.8.2〉 프리플렉스 거더교의 단면 설계법의 예 410

〈표 3.8.3〉 강관 형상에 대한 기준 412

〈표 3.8.4〉 강관의 항복강도 계산 413

〈표 3.8.5〉 충전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계산 415

〈표 3.8.6〉 충전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419

〈표 3.8.7〉 충전 콘크리트의 크리프 421

〈표 3.8.8〉 시험종류 및 조건 427

〈표 3.9.1〉 설계예제 조건 442

〈표 3.9.2〉 주요 설계부재 제원 445

〈표 3.9.3〉 주요 위치에서의 최종응력 평가 445

〈표 3.9.4〉 주요 설계부재 제원 447

〈표 3.9.5〉 주요 설계부재 제원 449

〈표 3.9.6〉 주요 위치에서의 최종응력 평가 449

〈표 3.9.7〉 주요 설계부재 제원 451

〈표 3.9.8〉 주요 설계부재 제원 453

〈표 3.9.9〉 주요 위치에서의 최종응력 평가 453

〈표 3.9.10〉 주요 설계부재 제원 455

〈표 3.9.11〉 비교 설계 결과 정리 456

〈표 3.10.1〉 40m 단경간에 대한 교량형식별 형고비 및 공사비 비교 471

〈표 4.1.1〉 학술논문 발표 실적 474

〈표 4.1.2〉 CFT거더교 실용화 관련 실적 476

부록 3. CFT 거더 교량 시스템 시공편람 540

[표 2.1] 용접 정밀도 기준 547

[표 2.2] 결함부의 보수방법 548

[표 2.3] 가붙임 용접의 최소 예열 온도 549

[표 2.4] 예열온도의 표준(℃) 551

[표 2.5] 홈용접의 덧붙임 (mm) 553

[표 2.6] 현장 용접검사 554

[표 2.7] 용접검사 판정기준 555

[표 2.8] 결함부의 보수방법 555

[표 2.9] 용접 정밀도 기준 557

[표 2.10] 가붙임 용접 허용기준 558

[표 2.11] 용접기준 558

[표 2.12] 언더컷 깊이의 허용오차 558

[표 3.1] 시멘트 품질 시험방법 560

[표 3.2] 잔골재 품질 시험방법 561

[표 3.3] 굵은골재 품질 시험방법 561

별첨 # 1 강관 충전용 경량기포콘크리트 전문 시방서 571

[표 5.1] 배합시 품질관리 578

[표 5.2] 경화 후의 품질관리 579

〈그림 1.1.1〉 콘크리트 충전강관의 내력 상승효과 개념 35

〈그림 1.1.2〉 연구개발의 필요성 36

〈그림 1.2.1〉 콘크리트 충전 강관거더 교량의 구조 및 단면 형상 38

〈그림 2.1.1〉 CFT구조 적용예 (건축구조물) - 미국, Two Union Center 44

〈그림 2.1.2〉 CFT구조 적용예 (건축구조물) - 홍콩, Cheung Kong Center 44

〈그림 2.1.3〉 트러스 형태의 CFT부재 적용 사례 45

〈그림 2.1.4〉 중국의 CFT 아치교 45

〈그림 2.1.5〉 일본의 CFT거더 4주형교 (35m+38m+34m 3경간 연속교) 46

〈그림 2.1.6〉 일본 신간선 CFT거더 교량의 충전구간 구성 개념도 46

〈그림 2.1.7/2.7〉 사장교에의 CFT거더 적용 개념도 47

〈그림 2.1.8〉 CFT구조 적용예 (건축구조물) - 한국, Tower Palace Sports Club 47

〈그림 3.1.1〉 Perfobond 리브 전단연결재 형상 개선 51

〈그림 3.1.2〉 전단실험체의 대표 단면 53

〈그림 3.1.3〉 전단실험체의 제작과정 54

〈그림 3.1.4〉 ㄱ형 perfobond 리브 홀에 삽입되는 횡방향 철근의 수 55

〈그림 3.1.5〉 ㄱ형 perfobond 리브에 설치된 홀의 수 55

〈그림 3.1.6〉 ㄱ형 perfobond 리브에 설치된 홀의 직경 56

〈그림 3.1.7〉 ㄱ형 perfobond 리브의 높이 56

〈그림 3.1.8〉 ㄱ형 perfobond 리브 머리 부분 플레이트의 크기 57

〈그림 3.1.9〉 변위계 설치 현황 58

〈그림 3.1.10〉 횡방향 철근 개수에 따른 하중-상대변위 곡선 59

〈그림 3.1.11〉 홀 개수에 따른 하중-상대변위 곡선 60

〈그림 3.1.12〉 홀의 직경별 하중-상대변위 곡선 62

〈그림 3.1.13〉 리브 높이에 따른 하중-상대변위 곡선 63

〈그림 3.1.14〉 머리부분 플레이트 크기에 따른 하중-상대변위 곡선 65

〈그림 3.1.15〉 바닥판 콘크리트 강도에 따른 하중-상대변위 곡선 66

〈그림 3.1.16〉 홀에 배치되는 횡방향 철근수에 따른 전단내력 67

〈그림 3.1.17〉 홀 개수에 따른 전단내력 68

〈그림 3.1.18〉 리브의 홀 직경 변화에 따른 전단내력 69

〈그림 3.1.19〉 리브 높이에 따른 전단내력 69

〈그림 3.1.20〉 콘크리트 강도에 따른 전단내력 70

〈그림 3.1.21〉 머리부분 플레이트 크기에 따른 전단내력 71

〈그림 3.1.22〉 해석모델의 단면 72

〈그림 3.1.23〉 전단실험체의 수치해석 모델 72

〈그림 3.1.24〉 수치해석 모델에 적용된 contact 요소 73

〈그림 3.1.25〉 콘크리트 모델의 일축 응력-변형률 곡선 73

〈그림 3.1.26〉 수정 Hognestad 응력-변형률 곡선 74

〈그림 3.1.27〉 콘크리트의 인장강화 모델 75

〈그림 3.1.28〉 철근의 응력-변형률 곡선 76

〈그림 3.1.29〉 강재의 응력-변형률 곡선 76

〈그림 3.1.30〉 홀 중심간 거리/홀 직경 비에 따른 실험결과 77

〈그림 3.1.31〉 홀 중심간 거리/홀 직경 비에 따른 해석결과 78

〈그림 3.1.32〉 리브 전면 콘크리트의 하중전달체계 79

〈그림 3.1.33〉 ㄱ형 perfobond 리브 전단연결재의 전단저항 메카니즘 79

〈그림 3.1.34〉 ㄱ형 perfobond 리브 전단연결재의 제원 83

〈그림 3.1.35〉 실험값과 예측값의 비교 85

〈그림 3.1.36〉 리브 높이에 따른 비교 86

〈그림 3.1.37〉 콘크리트 강도에 따른 비교 86

〈그림 3.1.38〉 홀 직경에 따른 비교 87

〈그림 3.1.39〉 횡방향 철근 개수에 따른 비교 87

〈그림 3.1.40〉 유한요소모델의 형상 89

〈그림 3.1.41〉 contact 요소 89

〈그림 3.1.42〉 콘크리트의 일축 응력 변형률 곡선 89

〈그림 3.1.43〉 수정 Hognestad 응력-변형률 곡선 90

〈그림 3.1.44〉 콘크리트의 인장강화 모델 91

〈그림 3.1.45〉 철근의 응력-변형률 곡선 91

〈그림 3.1.46〉 강관과 슬래브 경계면에 있는 단면의 응력 분포 91

〈그림 3.1.47〉 리브 중앙 높이에 있는 단면의 응력 분포 92

〈그림 3.1.48〉 리브와 맞닿아 있는 횡단면의 응력 분포 93

〈그림 3.1.49〉 슬래브 표면부의 최대주응력 93

〈그림 3.1.50〉 슬래브 표면부의 균열 상태 93

〈그림 3.1.51〉 홀 직경 변화에 따른 전단강도 94

〈그림 3.1.52〉 홀 중심간 거리/홀 직경 비에 따른 비교 95

〈그림 3.1.53〉 리브 높이에 따른 비교 96

〈그림 3.1.54〉 횡철근 개수에 따른 비교 96

〈그림 3.1.55〉 추가실험체의 전단연결재 형상 99

〈그림 3.1.56〉 Push-out 실험체의 제작 상황 99

〈그림 3.1.57〉 전단시험시 하중재하 장면 100

〈그림 3.1.58〉 상대변위 측정위치 101

〈그림 3.1.59〉 게이지 부착위치 101

〈그림 3.1.60〉 전단파괴시 콘크리트 슬래브 형상 102

〈그림 3.1.61〉 전단파괴시 균열발생 현황 103

〈그림 3.1.62〉 기본 형상을 가지는 실험체의 하중-상대변위 곡선 104

〈그림 3.1.63〉 횡방향 철근의 개수에 따른 하중-슬립 곡선 105

〈그림 3.1.64〉 리브 높이에 따른 하중-상대변위 곡선 106

〈그림 3.1.65〉 리브길이에 따른 하중-상대변위 곡선 107

〈그림 3.1.66〉 리브두께에 따른 하중-상대변위 곡선 108

〈그림 3.1.67〉 횡방향 철근의 지름에 따른 하중-상대변위 곡선 108

〈그림 3.1.68〉 횡방향 철근 직경에 따른 하중-상대변위 곡선 109

〈그림 3.1.69〉 리브 두께에 따른 하중-상대변위 곡선 110

〈그림 3.1.70〉 리브 길이에 따른 하중-상대변위 곡선 111

〈그림 3.1.71〉 리브 길이에 따른 전단내력 112

〈그림 3.1.72〉 피로 전단실험체 114

〈그림 3.1.73〉 피로하중 가력 상황 115

〈그림 3.1.74〉 재하회수별 하중-상대변위곡선 116

〈그림 3.1.75〉 하중-변형률 곡선 117

〈그림 3.1.76〉 피로실험 후 정적실험의 하중-상대변위 곡선 118

〈그림 3.1.77〉 피로실험 후 정적실험 결과 콘크리트 균열형상 118

〈그림 3.2.1〉 강관-충전재 합성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의 사하중 처짐 124

〈그림 3.2.2〉 강관-충전재 합성을 고려한 경우의 사하중 처짐 124

〈그림 3.2.3〉 Air-Mortar 충전거더의 사하중 해석 125

〈그림 3.2.4〉 콘크리트 충전거더의 사하중 해석 125

〈그림 3.2.5〉 지름 508mm 강관의 사하중 해석결과 비교 126

〈그림 3.2.6〉 지름 558.8mm 강관의 사하중 해석결과 비교 127

〈그림 3.2.7〉 지름 609.6mm 강관의 사하중 해석결과 비교 127

〈그림 3.2.8〉 D/t비에 대한 항복내력 변화 비교 129

〈그림 3.2.9〉 D/t비에 대한 극한내력 129

〈그림 3.2.10〉 실험체 제작시 고려한 지름-두께비의 범위 131

〈그림 3.2.11〉 강관형상을 고려한 실험체 단면도 133

〈그림 3.2.12〉 4점 휨재하 실험 개념도 133

〈그림 3.2.13〉 재하실험체의 변위 측정 및 변형률 측정단면 위치 134

〈그림 3.2.14〉 실험체 종류별 변형률 측정 위치 135

〈그림 3.2.15〉 D508-B 실험체군의 하중-변위 곡선 136

〈그림 3.2.16〉 D508-B-C0 실험체의 종방향 변형률 분포 138

〈그림 3.2.17〉 D508-B-C1 실험체의 종방향 변형률 분포 139

〈그림 3.2.18〉 D508-B-C2 실험체의 종방향 변형률 분포 139

〈그림 3.2.19〉 D508-B-C0 실험체의 원주방향 변형률 분포 140

〈그림 3.2.20〉 D508-B-C1 실험체의 원주방향 변형률 분포 140

〈그림 3.2.21〉 D508-B-C2 실험체의 원주방향 변형률 분포 141

〈그림 3.2.22〉 D508-B-C0 실험체의 변형 형상 142

〈그림 3.2.23〉 D508-B-C1 실험체의 변형 형상 143

〈그림 3.2.24〉 D508-B-C2 실험체의 변형 형상 144

〈그림 3.2.25〉 D558-A 실험체군의 하중-변위 곡선 145

〈그림 3.2.26〉 D558-A-C0 실험체의 종방향 변형률 분포 147

〈그림 3.2.27〉 D558-A-C1 실험체의 종방향 변형률 분포 148

〈그림 3.2.28〉 D558-A-C2 실험체의 종방향 변형률 분포 148

〈그림 3.2.29〉 D558-A-C0 실험체의 원주방향 변형률 분포 149

〈그림 3.2.30〉 D558-A-C1 실험체의 원주방향 변형률 분포 149

〈그림 3.2.31〉 D558-A-C2 실험체의 원주방향 변형률 분포 150

〈그림 3.2.32〉 D558-A-C0 실험체의 변형 형상 151

〈그림 3.2.33〉 D558-A-C1 실험체의 변형 형상 152

〈그림 3.2.34〉 D558-A-C2 실험체의 변형 형상 153

〈그림 3.2.35〉 D558-B 실험체군의 하중-변위 곡선 154

〈그림 3.2.36〉 D558-B-C0 실험체의 종방향 변형률 분포 156

〈그림 3.2.37〉 D558-B-C1 실험체의 종방향 변형률 분포 156

〈그림 3.2.38〉 D558-B-C2 실험체의 종방향 변형률 분포 157

〈그림 3.2.39〉 D558-B-C0 실험체의 원주방향 변형률 분포 157

〈그림 3.2.40〉 D558-B-C1 실험체의 원주방향 변형률 분포 158

〈그림 3.2.41〉 D558-B-C2 실험체의 원주방향 변형률 분포 158

〈그림 3.2.42〉 D558-B-C0 실험체의 변형 형상 159

〈그림 3.2.43〉 D558-B-C1 실험체의 변형 160

〈그림 3.2.44〉 D558-B-C2 실험체의 변형 형상 161

〈그림 3.2.45〉 D609-A 실험체군의 하중-변위 곡선 162

〈그림 3.2.46〉 D609-A-C0 실험체의 종방향 변형률 분포 164

〈그림 3.2.47〉 D609-A-C1 실험체의 종방향 변형률 분포 164

〈그림 3.2.48〉 D609-A-C2 실험체의 종방향 변형률 분포 165

〈그림 3.2.49〉 D609-A-C0 실험체의 원주방향 변형률 분포 165

〈그림 3.2.50〉 D609-A-C1 실험체의 원주방향 변형률 분포 166

〈그림 3.2.51〉 D609-A-C2 실험체의 원주방향 변형률 분포 166

〈그림 3.2.52〉 D609-A-C0 실험체의 변형 형상 167

〈그림 3.2.53〉 D609-A-C1 실험체의 변형 형상 168

〈그림 3.2.54〉 D609-A-C2 실험체의 변형 형상 169

〈그림 3.2.55〉 D609-B 실험체군의 하중-변위 곡선 170

〈그림 3.2.56〉 D609-B-C0 실험체의 종방향 변형률 분포 172

〈그림 3.2.57〉 D609-B-C1 실험체의 종방향 변형률 분포 172

〈그림 3.2.58〉 D609-B-C2 실험체의 종방향 변형률 분포 173

〈그림 3.2.59〉 D609-B-C0 실험체의 원주방향 변형률 분포 173

〈그림 3.2.60〉 D609-B-C1 실험체의 원주방향 변형률 분포 174

〈그림 3.2.61〉 D609-B-C2 실험체의 원주방향 변형률 분포 174

〈그림 3.2.62〉 D609-B-C0 실험체의 변형 형상 175

〈그림 3.2.63〉 D609-B-C1 실험체의 변형 형상 176

〈그림 3.2.64〉 D609-B-C2 실험체의 변형 형상 177

〈그림 3.2.65〉 B450 실험체군의 하중-변위 곡선 178

〈그림 3.2.66〉 B450-C0 실험체의 종방향 변형률 분포 180

〈그림 3.2.67〉 B450-C1 실험체의 종방향 변형률 분포 180

〈그림 3.2.68〉 B450-C0 실험체의 원주방향 변형률 분포 181

〈그림 3.2.69〉 B450-C1 실험체의 원주방향 변형률 분포 181

〈그림 3.2.70〉 B450-C0 실험체의 변형 형상 182

〈그림 3.2.71〉 B450-C1 실험체의 변형 형상 및 압축부 파단 183

〈그림 3.2.72〉 B500 실험체군의 하중-변위 곡선 184

〈그림 3.2.73〉 B500-C0 실험체의 종방향 변형률 분포 186

〈그림 3.2.74〉 B500-C1 실험체의 종방향 변형률 분포 186

〈그림 3.2.75〉 B500-C0 실험체의 원주방향 변형률 분포 187

〈그림 3.2.76〉 B500-C1 실험체의 원주방향 변형률 분포 187

〈그림 3.2.77〉 B500-C0 실험체의 변형 형상 188

〈그림 3.2.78〉 B500-C1 실험체의 변형 형상 189

〈그림 3.2.79〉 비충전 B450 및 D508 강관의 휨재하 실험결과 191

〈그림 3.2.80〉 비충전 B500 및 D609 강관의 휨재하 실험결과 191

〈그림 3.2.81〉 내부 충전한 B500 및 D609 강관의 휨재하 실험결과 192

〈그림 3.2.82〉 각형강관의 충전조건에 따른 변형형상 (B500 각형 강관) 193

〈그림 3.2.83〉 원형강관의 충전조건에 따른 변형형상 (D609 원형 강관) 193

〈그림 3.2.84〉 충전강관 합성단면의 공칭항복강도 비교 195

〈그림 3.2.85〉 강관형상에 따른 충전강관의 휨강도지수 비교 196

〈그림 3.2.86〉 D508 강관의 항복하중 비교 199

〈그림 3.2.87〉 D558 강관의 항복하중 비교 199

〈그림 3.2.88〉 D609 강관의 항복하중 비교 200

〈그림 3.2.89〉 13.5MPa 충전재를 적용한 충전강관의 최대하중 증가율 203

〈그림 3.2.90〉 27.0MPa 충전재를 적용한 충전강관의 최대하중 증가율 203

〈그림 3.2.91〉 27.0MPa 충전재를 갖는 D508 충전강관의 항복하중 변화 204

〈그림 3.2.92〉 27.0MPa 충전재를 갖는 D508 충전강관의 극한하중 변화 205

〈그림 3.2.93〉 강관 두께 변화에 대한 항복하중 변화 206

〈그림 3.2.94〉 강관 두께 변화에 대한 최대하중 변화 206

〈그림 3.2.95〉 D/t비 변화에 대한 강관별 항복내력 비교 207

〈그림 3.2.96〉 D/t비 변화에 대한 강관별 극한내력 비교 207

〈그림 3.2.97〉 설계하중에 대한 충전강관 지름 및 두께 결정 208

〈그림 3.3.1〉 C00-N-P 및 CMF-N-P 실험체의 제원 210

〈그림 3.3.2〉 CMF-6P-P 실험체의 제원 210

〈그림 3.3.3〉 정모멘트 실험체군의 가력위치 및 제원 211

〈그림 3.3.4〉 정모멘트 실험체의 가력상황 211

〈그림 3.3.5〉 CFT거더 합성보의 파괴진행 과정 213

〈그림 3.3.6〉 하중단계별 변형률 분포 (C00-N-P) 214

〈그림 3.3.7〉 하중단계별 변형률 분포 (CMF-N-P) 215

〈그림 3.3.8〉 하중단계별 변형률 분포 (CMF-6P-P) 215

〈그림 3.3.9〉 CFT거더 합성보의 바닥판 슬립량 비교 216

〈그림 3.3.10〉 부모멘트 실험체군의 가력 위치 및 제원 217

〈그림 3.3.11〉 부모멘트 실험체의 가력상황 217

〈그림 3.3.12〉 CCF-N-CP 실험체의 제원 218

〈그림 3.3.13〉 CCF-N-S 실험체의 제원 218

〈그림 3.3.14〉 CCF-6P-CP 실험체의 제원 219

〈그림 3.3.15〉 CFT거더 합성보의 부모멘트 재하실험 결과 220

〈그림 3.3.16〉 CCF-N-S 실험체의 하중단계별 변형률 분포 222

〈그림 3.3.17〉 CCF-N-CP 실험체의 하중단계별 변형률 분포 222

〈그림 3.3.18〉 CCF-6P-CP 실험체의 하중단계별 변형률 분포 223

〈그림 3.3.19〉 CCF-N-S 실험체의 재하중 중립축 이동 경로 224

〈그림 3.3.20〉 CCF-N-CP 실험체의 재하중 중립축 이동 경로 224

〈그림 3.3.21〉 CCF-6P-CP 실험체의 재하중 중립축 이동 경로 225

〈그림 3.3.22〉 2경간 연속 CFT거더교 실험체 제작 도면 227

〈그림 3.3.23〉 구간별 바닥판 철근 배근도 227

〈그림 3.3.24〉 2경간 연속 CFT거더교 재하 방법 228

〈그림 3.3.25〉 2@7.5m 연속 CFT거더교 모형실험 재하 228

〈그림 3.3.26〉 실험체별 하중-처짐 곡선 229

〈그림 3.3.27〉 정모멘트부 단면내 종방향 변형률 분포 (VOID 실험체) 231

〈그림 3.3.28〉 정모멘트부 단면내 종방향 변형률 분포 (MORT 실험체) 231

〈그림 3.3.29〉 정모멘트부 단면내 종방향 변형률 분포 (MORP 실험체) 232

〈그림 3.3.30〉 부모멘트부 단면내 종방향 변형률 분포 (VOID 실험체) 233

〈그림 3.3.31〉 부모멘트부 단면내 종방향 변형률 분포 (MORT 실험체) 233

〈그림 3.3.32〉 부모멘트부 단면내 종방향 변형률 분포 (MORP 실험체) 234

〈그림 3.3.33〉 하중단계별 부모멘트부 단면 변형률 (VOID 실험체) 234

〈그림 3.3.34〉 하중단계별 부모멘트부 단면 변형률 (MORT 실험체) 235

〈그림 3.3.35〉 하중단계별 부모멘트부 단면 변형률 (MORP 실험체) 235

〈그림 3.3.36〉 하중증가에 따른 부모멘트부 중립축 위치 변화 236

〈그림 3.3.37〉 내부지점부 강관의 좌굴 발생 237

〈그림 3.3.38〉 부모멘트부 바닥판 균열폭 변화 (MORP 실험체) 237

〈그림 3.3.39〉 부모멘트부 바닥판 균열 분포 (MORP 실험체) 238

〈그림 3.3.40〉 강관의 용접 연결 239

〈그림 3.3.41〉 강관의 볼트연결 239

〈그림 3.3.42〉 프리캐스트 CFT부재의 접합방법 240

〈그림 3.3.43〉 볼트연결 실험체 형상 244

〈그림 3.3.44〉 실험체 강관 내부충전을 위한 격벽 설치 위치 248

〈그림 3.3.45〉 실험체 재하 위치 248

〈그림 3.3.46〉 CFT-거더 바닥판 합성단면 제원 249

〈그림 3.3.47〉 볼트이음 실험체의 제작 형상 249

〈그림 3.3.48〉 정적재하 가력 상황 250

〈그림 3.3.49〉 이음방법에 대한 정적재하 실험 결과 251

〈그림 3.3.50〉 D780-N-S 실험체의 하중-변위 곡선 252

〈그림 3.3.51〉 D780-N-S 실험체의 하중-변위 곡선 252

〈그림 3.3.52〉 D780-B-S 실험체의 하중-변위 곡선 253

〈그림 3.3.53〉 D780-BF-S 실험체의 하중-변위 곡선 253

〈그림 3.3.54〉 볼트이음부 덧댐판에서의 미끄러짐 254

〈그림 3.3.55〉 D780-N-F 실험체의 하중반복회수별 최대 처짐 258

〈그림 3.3.56〉 D780-N-F 실험체의 하중반복회수별 최대 처짐 258

〈그림 3.3.57〉 D780-B-F 실험체의 하중반복회수별 최대 처짐 259

〈그림 3.3.58〉 D780-BF-F 실험체의 하중반복회수별 최대 처짐 259

〈그림 3.4.1〉 실물실험체 가력 위치 및 제원 261

〈그림 3.4.2〉 실물 재하 실험체 전경 261

〈그림 3.4.3〉 충전재 수화열에 의한 CFT강관거더의 신축 변화량 262

〈그림 3.4.4〉 실물 재하 실험체 단면도 262

〈그림 3.4.5〉 실물실험체의 하중-처짐 곡선 (φ1321) 264

〈그림 3.4.6〉 실물실험체의 모멘트-곡률 곡선 (φ1321) 264

〈그림 3.4.7〉 실물실험체의 재하중 중립축 이동 경로 (φ1321) 265

〈그림 3.4.8〉 실물실험체 재하시 강관거더의 축방향 변형율 변화 265

〈그림 3.4.9〉 하중단계별 변형율 분포 266

〈그림 3.4.10〉 실물실험체 재하시 단부 바닥판-강관 상대 슬립량 266

〈그림 3.4.11〉 최종 파괴시의 처짐 변형 267

〈그림 3.4.12〉 20m 단경간 실물실험체 269

〈그림 3.4.13〉 실험에 사용된 가진기와 엑츄에이터 270

〈그림 3.4.14〉 가진기와 엑츄에이터의 설치 전경 270

〈그림 3.4.15〉 가진기를 이용한 중앙부 가속응답의 PSD (13% 가진력) 271

〈그림 3.4.16〉 Quick-release 방법에 의한 중앙부 가속응답의 PSD 271

〈그림 3.4.17〉 가진기의 Sweeping에 의한 가속도의 변화 272

〈그림 3.4.18〉 응답곡선에 의한 감쇠비 산정 272

〈그림 3.4.19〉 가진기에 의한 공진후 자유진동 곡선의 Logarithmic 감쇠비 산정 273

〈그림 3.4.20〉 Quick-release방법에 의한 자유진동 응답의 Logarithmic 감쇠비 273

〈그림 3.4.21〉 가진기 Sweeping (3Hz, 5Hz, 6.2Hz(공진), 8Hz, 10Hz) 275

〈그림 3.4.22〉 공진시 중앙부처짐 시간이력(6.2Hz 가진) 275

〈그림 3.4.23〉 공진시 중앙부가속도 시간이력(6.2Hz 가진) 276

〈그림 3.4.24〉 공진시 단부회전각 시간이력(6.2Hz 가진) 276

〈그림 3.4.25〉 이동하중모사 실험개념도 277

〈그림 3.4.26〉 새마을호열차하중 시간이력 278

〈그림 3.4.27〉 새마을호 열차하중 재하시 중앙부처짐 시간이력 278

〈그림 3.4.28〉 새마을호 열차하중 재하시 중앙부가속도 시간이력 279

〈그림 3.4.29〉 새마을호 열차하중 재하시 단부회전각 시간이력 279

〈그림 3.4.30〉 화물열차하중 시간이력 280

〈그림 3.4.31〉 화물열차하중재하시 중앙부처짐 시간이력 280

〈그림 3.4.32〉 화물열차하중재하시 중앙부가속도 시간이력 281

〈그림 3.4.33〉 화물열차하중재하시 단부회전각 시간이력 281

〈그림 3.4.34〉 4주형 CFT거더교 설계단면 283

〈그림 3.4.35〉 해석 모델 형상 283

〈그림 3.4.36〉 4주형 CFT 철도교의 고유모드 형상 285

〈그림 3.4.37〉 211.07km/h 주행시 주행선측 CFT거더 중앙부 수직처짐 (새마을호) 286

〈그림 3.4.38〉 211.07km/h 주행시 주행선측 CFT거더 중앙부 수직가속도 (새마을호) 286

〈그림 3.4.39〉 211.07km/h 주행시 주행선측 CFT거더교 단부회전각 (새마을호) 287

〈그림 3.4.40〉 125.3km/h 주행시 주행선측 CFT거더 중앙부 수직처짐 (화물열차) 287

〈그림 3.4.41〉 125.3km/h 주행시 주행선측 CFT거더 중앙부 수직가속도 (화물열차) 288

〈그림 3.4.42〉 125.3km/h 주행시 주행선측 CFT거더교 단부회전각 (화물열차) 288

〈그림 3.4.43〉 259.59km/h 주행시 주행선측 CFT거더 중앙부 수직처짐 (화물열차) 289

〈그림 3.4.44〉 259.59km/h 주행시 주행선측 CFT거더 중앙부 수직가속도 (화물열차) 289

〈그림 3.4.45〉 259.59km/h 주행시 주행선측 CFT거더교 단부회전각 (화물열차) 290

〈그림 3.5.1〉 삼일1교 횡단변도 292

〈그림 3.5.2〉 삼일1교 종단면도 293

〈그림 3.5.3〉 삼일1교 평면도 294

〈그림 3.5.4〉 삼일1교 전경 295

〈그림 3.5.5〉 정적 및 동적 재하실험 절차 297

〈그림 3.5.6/7〉 삼일1교의 계측단면 구분 298

〈그림 3.5.7〉 삼일1교의 계측단면별 측점 위치 299

〈그림 3.5.8〉 단면내 변형률 게이지 설치 위치 299

〈그림 3.5.9〉 시험차량의 제원 300

〈그림 3.5.10〉 삼일1교의 차량 재하 위치 301

〈그림 3.5.11〉 전기저항식 변형율 게이지 철근 부착 302

〈그림 3.5.12〉 FBG 센서(광섬유 센서) 철근 부착 302

〈그림 3.5.13〉 강관 외부 변형률 게이지 설치 303

〈그림 3.5.14〉 변위계 설치 303

〈그림 3.5.15〉 정적재하실험(LC1) 304

〈그림 3.5.16〉 정적재하실험(LC10) 304

〈그림 3.5.17〉 무선가속도계 설치 305

〈그림 3.5.18〉 동적주행실험 305

〈그림 3.5.19〉 삼일1교의 유한요소해석 모델 306

〈그림 3.5.20〉 강재 CFT 거더 및 가로보 유한요소모델 구성 306

〈그림 3.5.21〉 시험차량 1대를 정적재하한 경우, 교량 처짐 해석 결과 309

〈그림 3.5.22〉 시험차량 1대를 정적재하한 경우, 교량 처짐 해석 결과 311

〈그림 3.5.23〉 최외측 거더 중앙부에 차량 1대를 정적재하한 경우, 교량 처짐 해석 결과 312

〈그림 3.5.24〉 실험차량 1대를 정적재하한 경우, 거더 하단부 휨응력 해석 결과 315

〈그림 3.5.25〉 차량 2대를 동시 정적재하한 경우, 거더 하단부 휨응력 해석 결과 317

〈그림 3.5.26〉 최외측거더 중앙부에 차량 1대를 정적재하한 경우, 거더 하단부 휨응력 해석 결과 318

〈그림 3.5.27〉 실험차량 1대를 정적재하한 경우, 거더 하단부 조합응력 해석 결과 320

〈그림 3.5.28〉 차량 2대를 동시정적재하한 경우, 거더 하단부 조합응력 해석 결과 322

〈그림 3.5.29〉 최외측거더 중앙부에 차량 1대를 정적재하한 경우, 거더 하단부 조합응력 해석 결과 323

〈그림 3.5.30〉 시험차량 1대 재하시, 교량 처짐에 대한 해석 및 계측 결과 비교 329

〈그림 3.5.31〉 시험차량 2대 재하시, 교량 처짐에 대한 해석 및 계측 결과 비교 331

〈그림 3.5.32〉 최외측거더 중앙부에 시험차량 1대 재하시, 교량 처짐에 대한 해석 및 계측 결과 비교 332

〈그림 3.5.33〉 실험차량 1대 재하시, 교량 처짐 해석 및 계측 결과 비교 334

〈그림 3.5.34〉 실험차량 2대 재하시, 교량 처짐에 대한 해석 및 계측 결과 비교 335

〈그림 3.5.35〉 최외측거더 중앙부에 차량 1대 재하시, 교량 처짐에 대한 해석 및 계측 결과 비교 336

〈그림 3.5.36〉 차량 1대 재하시 강재CFT거더 단면 변형율 분포 337

〈그림 3.5.37〉 차량 2대 재하시 강재CFT거더 단면 변형율 분포 338

〈그림 3.5.38〉 차량 1대 재하시 강재CFT거더 단면 변형율 분포 338

〈그림 3.5.39〉 차량 2대 재하시 강재CFT거더 단면 변형율 분포 339

〈그림 3.5.40〉 30km/hr 주행시 동적처짐(상행, A2-〉A1방향) 340

〈그림 3.5.41〉 50km/hr 주행시 동적처짐(상행, A2-〉A1방향) 340

〈그림 3.5.42〉 60km/hr 주행시 동적처짐(상행, A2-〉A1방향) 341

〈그림 3.5.43〉 10km/hr 주행시 가속도 응답(3회측정) 342

〈그림 3.5.44〉 20km/hr 주행시 가속도 응답(3회측정) 343

〈그림 3.5.45〉 30km/hr 주행시 가속도 응답(3회측정) 344

〈그림 3.5.46〉 60km/hr 주행시 가속도 응답(3회측정)-G2의 가속도계 측정불가 345

〈그림 3.5.47〉 10km/hr 주행시 변형률 변화 및 충격계수 산정 348

〈그림 3.5.48〉 20km/hr 주행시 변형률 변화 및 충격계수 산정 349

〈그림 3.5.49〉 30km/hr 주행시 변형률 변화 및 충격계수 산정 350

〈그림 3.5.50〉 60km/hr 주행시 변형률 변화 및 충격계수 산정 (1차 측정) 351

〈그림 3.5.51〉 60km/hr 주행시 변형률 변화 및 충격계수 산정 (2차 측정) 352

〈그림 3.5.52〉 Meister의 진동 등감각곡선 354

〈그림 3.5.53〉 Meister 등감각곡선(가속도 기준) 355

〈그림 3.5.54〉 Meister 등감각곡선(변위 기준) 356

〈그림 3.6.1〉 4점 휨재하 실험 개념도 359

〈그림 3.6.2〉 CFT 거더 실험체 제원 및 제작 형상 359

〈그림 3.6.3〉 D508-2 (강선보강) ; D508-1(강봉보강은 중앙부에 80mm 강봉설치) 360

〈그림 3.6.4〉 CFT거더교 재하 방법 360

〈그림 3.6.5〉 D508-slab 개념도(ㄱ형 perfobond rib 설치) 361

〈그림 3.6.6〉 D508-slab 개념도(ㄱ형 perfobond rib 설치) 361

〈그림 3.6.7〉 실험체 경량골재 콘크리트타설 362

〈그림 3.6.8〉 실험체 전경 363

〈그림 3.6.9〉 긴장력 도입 363

〈그림 3.6.10〉 CFT-Slab 신형식 전단연결재(ㄱ형 Perfobond Rib) 364

〈그림 3.6.11〉 재하실험체의 변위 측정 및 변형률 측정단면 위치 364

〈그림 3.6.12〉 실험체 종류별 변형률 측정 위치 365

〈그림 3.6.13〉 무보강 실험체 휨재하실험전경 365

〈그림 3.6.14〉 무보강 실험체 휨재하실험전경 366

〈그림 3.6.15〉 무보강 실험체 중앙단면 종방향 변형률 분포 366

〈그림 3.6.16〉 무보강 실험체 중앙단면 원주방향 변형률 분포 367

〈그림 3.6.17〉 무보강 실험체 중앙부 하중-변위 곡선 367

〈그림 3.6.18〉 강봉보강 실험체 휨재하실험전경 368

〈그림 3.6.19〉 강봉보강 실험체 좌굴형상 368

〈그림 3.6.20〉 강봉보강 실험체 중앙단면 종방향 변형률 분포 369

〈그림 3.6.21〉 강봉보강 실험체 중앙단면 원주방향 변형률 분포 370

〈그림 3.6.22〉 강봉보강 실험체 중앙부 하중-변위 곡선 370

〈그림 3.6.23〉 강선보강-1 실험전경 371

〈그림 3.6.24〉 강선보강-1 실험전경 371

〈그림 3.6.25〉 강선보강1 실험체 중앙단면 종방향 변형률 분포 372

〈그림 3.6.26〉 강선보강1 실험체 중앙단면 원주방향 변형률 분포 373

〈그림 3.6.27〉 강선보강1 실험체 중앙부 하중-변위 곡선 373

〈그림 3.6.28〉 강선보강2 실험체 휨재하실험 374

〈그림 3.6.29〉 강선보강2 실험체 긴장력도입 374

〈그림 3.6.30〉 강선보강2 실험체 중앙단면 종방향 변형률 분포 375

〈그림 3.6.31〉 강선보강2 실험체 중앙단면 원주방향 변형률 분포 376

〈그림 3.6.32〉 강선보강2 실험체 중앙부 하중-변위 곡선 376

〈그림 3.6.33〉 휨재하실험결과 377

〈그림 3.6.34〉 강선보강 D508 CFT 거더-바닥판 합성단면 실험전경 378

〈그림 3.6.35〉 강선보강 D508 CFT 거더-바닥판 합성단면 실험전경 378

〈그림 3.6.36〉 슬래브 실험체 중앙단면 종방향 변형률 분포 379

〈그림 3.6.37〉 슬래브 실험체 중앙단면 종방향 변형률 분포 380

〈그림 3.6.38〉 CFT거더-바닥판 실험체 중앙부 하중-변위 곡선 380

〈그림 3.6.39〉 강관내부 부식 상태 점검 작업 전경 382

〈그림 3.6.40〉 강관내부 부식 조사를 위한 절단 위치 383

〈그림 3.6.41〉 강관 내부 부식 상태 (절편 1 ~절편 6) 384

〈그림 3.6.42〉 강관 내부 부식 상태 (절편 7 ~절편 11) 385

〈그림 3.6.43〉 바닥판 캔틸레버부 우수 유입 방지 대책 386

〈그림 3.6.44〉 완전밀폐된 비충전 강관 내부의 부식 상태 387

〈그림 3.6.45〉 실물 실험체에서 관측된 충전손실 388

〈그림 3.6.46〉 충전손실에 대한 해석 결과 390

〈그림 3.7.1〉 강재의 응력-변형률 관계 곡선 393

〈그림 3.7.2〉 콘크리트 압축응력-변형률 관계곡선 394

〈그림 3.7.3〉 콘크리트 인장응력-변형률 관계 곡선 395

〈그림 3.7.4〉 구속효과를 고려한 콘크리트의 응력-변형률 관계곡선 396

〈그림 3.7.5〉 경량 기포 모르타르의 응력-변형률 관계 (실험치) 397

〈그림 3.7.6〉 Air-Mortar의 압축응력-변형률 관계 곡선 398

〈그림 3.7.7〉 Air-Mortar의 인장응력-변형률 관계 곡선 398

〈그림 3.7.8〉 해석모델 399

〈그림 3.7.9〉 하중재하시 변형에 의한 경계조건 변화 400

〈그림 3.7.10〉 penalty method를 이용한 전단저항력 특성 곡선 400

〈그림 3.7.11〉 비선형성이 강한 하중-변위 관계의 예 401

〈그림 3.7.12〉 충전재 종류에 따른 해석 결과 비교 403

〈그림 3.7.13〉 BMF-6P-N 실험체 해석 결과 비교 404

〈그림 3.7.14〉 BCF-6P-N 실험체 해석 결과 비교 404

〈그림 3.7.15〉 BCF-N-N 실험체의 단부 상대변위 해석 결과 비교 406

〈그림 3.7.16〉 BMF-N-N 실험체의 단부 상대변위 해석 결과 비교 406

〈그림 3.8.1〉 하중재하 단계별 응력분포와 등가응력분포 408

〈그림 3.8.2〉 ㄱ형 perfobond형 전단연결재 416

〈그림 3.8.3〉 Ichinose 등의 크리프 실험 420

〈그림 3.8.4〉 2경간 연속 CFT거더교의 구간별 충전단면 구성안 423

〈그림 3.8.5〉 2경간 연속 CFT거더의 축방향응력 분포 424

〈그림 3.8.6〉 연속교 부분충전 단면의 충전구간 및 격벽배치 간격 425

〈그림 3.8.7〉 환보강재 적용시 설치 제작 기준 425

〈그림 3.8.8〉 실험단면 및 개요도 427

〈그림 3.8.9〉 단면내 변형률 분포 427

〈그림 3.8.10〉 실물모형실험 시편 428

〈그림 3.8.11〉 하중단계별 변형률 분포 429

〈그림 3.8.12〉 CFT 응력 모델 430

〈그림 3.8.13〉 단면력 산정 절차 433

〈그림 3.9.1〉 설계예제 횡단구성 442

〈그림 3.9.2〉 콘크리트 충전 강관 거더교 설계 Flow 443

〈그림 3.9.3〉 허용응력설계법을 적용한 40m 단경간교의 횡·종단면도 444

〈그림 3.9.4〉 강도설계법을 적용한 40m 단경간교의 횡·종단면도 446

〈그림 3.9.5〉 주요 위치에서의 최종내력 평가 447

〈그림 3.9.6〉 허용응력설계법을 적용한 50m 단경간교의 횡·종단면도 448

〈그림 3.9.7〉 강도설계법을 적용한 50m 단경간교의 횡·종단면도 450

〈그림 3.9.8〉 주요 위치에서의 최종내력 평가 451

〈그림 3.9.9〉 허용응력설계법을 적용한 40+50+40=130m 연속교의 횡·종단면도 452

〈그림 3.9.10〉 강도설계법을 적용한 40+50+40=130m 연속교의 횡·종단면도 454

〈그림 3.9.11〉 주요 위치에서의 최종내력 평가 455

〈그림 3.9.12〉 단경간 40m 허용응력설계 결과 일반도 458

〈그림 3.9.13〉 단경간 40m 강도설계 결과 일반도 459

〈그림 3.9.14〉 단경간 50m 허용응력설계 결과 일반도 460

〈그림 3.9.15〉 50m 단경간 강도설계 결과 일반도 461

〈그림 3.9.16〉 3경간 40+50+40=130m 허용응력설계 결과 일반도 462

〈그림 3.9.17〉 3경간 40+50+40=130m 강도설계 결과 일반도 463

〈그림 3.10.1〉 경간장별 상부 총공사비 비교 470

〈그림 3.10.2〉 경간장별 형고 비교 471

〈그림 5.1.1〉 최근5년간 교량 건설개소수 478

〈그림 5.1.2〉 최근 5년간 교량건설 총연장 479

〈그림 5.1.3〉 교량형식별 점유율 479

〈그림 5.1.4〉 주요 교량형식의 건설 총연장 479

부록 3. CFT 거더 교량 시스템 시공편람 541

[그림. 1] CFT 거더 횡단면도 545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T000029735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이용불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