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생체정보처리기반 웨어러블 시스템 기술에 관한 연구 / 정보통신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정보통신부, 2008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형태사항
xix, 177 p. : 삽화, 도표, 사진 ; 26 cm
제어번호
MONO1200948304
주기사항
주관연구기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연구책임자: 이전우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인사 말씀 / 최문기

제출문

요약문

Summary

Contents

목차

제1장 서론 22

제1절 연구의 필요성 24

제2절 연구 개발의 목표 및 범위 24

1. 연구 개발의 목표 24

2. 연구 개발의 범위 24

제3절 주요 연구 개발 결과 25

1. 다중 생체신호 입력 처리 기술 25

2. 다중 생체신호 기반 컨텍스트 인식 기술 26

3. 인체 통신용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26

4. 통합 테스트베드 및 응용서비스 기술 26

제4절 본 보고서의 구성 27

제2장 다중생체신호 입력 처리 기술 28

제1절 개요 30

제2절 의복형 다중 생체신호 감지 기술 30

1. 생체신호 계측기술 30

2. 의복형 생체신호 계측기용 생체신호 분석 기술 40

3. 의복형 생체신호 입력 처리 기술 시험 및 시범적용 47

제3절 액세서리형 다중 생체신호 감지 기술 57

1. 생체신호 계측기 57

2. 생체신호 분석 알고리즘 61

3. WPAN 기술 66

제3장 컨텍스트 인식 기술 74

제1절 개요 76

제2절 컨텍스트 인식 프레임워크 76

1. 개요 76

2. 컨텍스트 인식 프레임워크 구성 77

3. 컨텍스트 인식 프레임워크의 상호 운용성 79

4. 응급 상황 컨텍스트 추론 80

5. 컨텍스트 인식 프레임워크 응용 개발 툴 82

제3절 컨텍스트 기반 실행환경 관리 83

1. 응용프로그램의 배포 에이전트 83

2. 형상 관리 에이전트 84

3. 장치 관리 에이전트 84

4. 프로파일 관리 에이전트 85

5. 원격 점검 에이전트 86

6. 통신 모드 설정 에이전트 86

7. 제어패널 사용자 인터페이스 86

8. 서비스 패널 사용자 인터페이스 88

제4절 에이전트 라이브러리 88

제5절 컨텍스트 정형화 90

1. 컨텍스트 정형화 기법 90

2. 컨텍스트 획득 및 해석 97

3. 컨텍스트 통합 101

4. 응용 테스트 베드 106

제4장 고속 저전력 BAN 기술 118

제1절 개요 120

제2절 디지털 인체 통신 121

1. 인체통신용 고속저전력 모듈 설계 및 제작 121

2. 인체통신용 1:1 통신 네트워크 프로토콜 기술 연구 124

3. 인체 부위별 상호 전파 영향 연구 127

4. 인체에 대한 신호전송 메커니즘 분석 128

5. 주위 환경구조물과 사용자간의 접촉 기반의 서비스 시범 모델 개발 130

제3절 인체통신을 이용한 개인 영역 네트워크 132

1. 개인 영역 네트워크를 위한 인체통신 시나리오 연구 132

2. 인체통신 시나리오로부터 프로토콜 요구 사항 도출 133

3. 인체 통신을 위한 1:N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 개발 134

4. 인체통신용 하드웨어 모듈 139

제4절 인체통신을 이용한 바이오셔츠 시스템 144

1. 시스템의 구성 144

2. 시스템의 규격 147

3. 하드웨어 시스템 150

4. 인체통신 BAN 시현 152

제5장 u-건강관리 테스트베드 구축 154

제1절 개요 156

제2절 Always Connected Network 156

1. WLAN only 모드 157

2. CDMA PPP only 모드 158

3. WLAN + CDMA PPP 연동 모드 158

제3절 건강관리 서비스 159

1. 자가진단 서비스 159

2. 원격관리 서비스 160

3. 응급관리 서비스 161

4. 운동관리 서비스 162

제4절 건강관리 포털 163

1. 운영 환경 163

2. 주요 기능 163

제6장 결론 166

제1절 결론 168

제2절 향후 과제 168

부록 170

부록 1. 연구 결과물 목록 172

〈표 2-2-1〉 PBM-N100의 각 모드에 따른 전류 소모량 34

〈표 2-2-2〉 XF-S100의 동작 모드에 따른 전류소모량 37

〈표 2-2-3〉 레코드별 특성 요약 (PBM 위치 : 1= 가슴 아래쪽, 2= 등 위쪽) 42

〈표 2-2-4〉 11개 레코드에 대한 총에너지소모량 계산 결과 비교 43

〈표 2-2-5〉 운동부하검사 프로토콜 47

〈표 2-2-6〉 웨어러블 컴퓨터 기반의 u-health 서비스 내역 54

〈표 2-2-7〉 XPOD-M100과 PBM-B08 비교 55

〈표 2-2-8〉 최대 피어슨 상관계수 57

〈표 2-3-1〉 심박수 측정 알고리즘 성능 62

〈표 2-3-2〉 호흡수 측정 알고리즘 성능 시험 결과 63

〈표 2-3-3〉 SBP 측정 알고리즘 성능 64

〈표 2-3-4〉 DBP 측정 알고리즘 성능 64

〈표 2-3-5〉 운동 강도 구분 기준 64

〈표 2-3-6〉 운동 강도 구분 결과 65

〈표 2-3-7〉 성능 시험(Packet loss) 결과 72

〈표 3-2-1〉 응급 판별 규칙 82

〈표 3-5-1〉 컨텍스트 요소의 의미와 그 적용 예 92

〈표 3-5-2〉 컨텍스트 요소 구조체의 필드 및 의미 93

〈표 3-5-3〉 실험에 사용된 HW와 SW에 대한 기능 설명 95

〈표 3-5-4〉 메모리 사용량 97

〈표 3-5-5〉 돌 센서 사용자 요구사항 분석표 111

〈표 4-2-1〉 송신기 모듈 특성 측정결과 123

〈표 4-2-2〉 송신기 모듈 특성 측정 결과 124

〈표 4-3-1〉 인체통신 컨텍스트 인지 서비스 매트릭스 133

〈표 5-4-1〉 일주일 단위의 필요 신체활동 기본정보 162

〈그림 2-2-1〉 Bio-shirt 2.0 (outer-wear, inner-wear) 30

〈그림 2-2-2〉 Bio-shirt 3.0 31

〈그림 2-2-3〉 Bio-shirt 측정 데이터 32

〈그림 2-2-4〉 Bio-shirt 4.0 32

〈그림 2-2-5〉 전도성 천 전극 32

〈그림 2-2-6〉 실시간 생체신호 측정시스템(PBM-N100) 33

〈그림 2-2-7〉 BioShirt에 PBM-N100을 장착한 모습 34

〈그림 2-2-8〉 PBM-N100의 실장형태 34

〈그림 2-2-9〉 XF-H100을 이용한 휴대폰에서의 건강정보 확인 35

〈그림 2-2-10〉 의복용 건강지수 측정시스템(XF-S100) 36

〈그림 2-2-11〉 바이오재킷(BioJacket)에 XF-S100을 장착한 형태 37

〈그림 2-2-12〉 실시간 생체신호 측정시스템(XPOD-M100) 38

〈그림 2-2-13〉 cuffless blood pressure monitor 39

〈그림 2-2-14〉 산소포화도 측정 회로 구성도 39

〈그림 2-2-15〉 산소포화도 측정 회로도 40

〈그림 2-2-16〉 충격량과 에너지소모량의 관계 43

〈그림 2-2-17〉 IP(inductive plethysmography)와 EDR(EDG-derived respiration) 44

〈그림 2-2-18〉 프로그램 구조도 45

〈그림 2-2-19〉 PDA GUI 프로그램 46

〈그림 2-2-20〉 지그비 레이어 46

〈그림 2-2-21〉 운동부하검사 모습 47

〈그림 2-2-22〉 운동부하검사로부터 얻어진 속도에 따른 생체신호의 변화 48

〈그림 2-2-23〉 운동부하검사장비와 XPOD-M100으로부터 얻어진 심박수 비교 49

〈그림 2-2-24〉 육상경기 필드 테스트 49

〈그림 2-2-25〉 XPOD-M100이 부착된 바이오셔츠 운동복으로부터 측정된 생체신호 50

〈그림 2-2-26〉 운동장 트랙 전력 질주시 측정된 데이터. 51

〈그림 2-2-27〉 일반인의 축구경기에서 측정된 데이터 51

〈그림 2-2-28〉 춘천마라톤 대회 중 측정된 생체신호. 52

〈그림 2-2-29〉 웨어러블 컴퓨터 기반의 u-health 서비스 구성도 53

〈그림 2-2-30〉 PBM-B08이 장착된 바이오셔츠 53

〈그림 2-2-31〉 PDA 프로그램 작동 53

〈그림 2-2-32〉 바이오셔츠와 iWorx의 Crest Factor 비교 56

〈그림 2-2-33〉 피어슨 상관 계수 샘플 56

〈그림 2-3-1〉 가슴형 생체신호 계측장치 59

〈그림 2-3-2〉 손목형 생체신호 계측장치 60

〈그림 2-3-3〉 목걸이형 생체신호 계측장치 60

〈그림 2-3-4〉 어깨형 생체신호 계측장치 61

〈그림 2-3-5〉 가슴 장치만을 이용한 운동량 추정 결과 66

〈그림 2-3-6〉 가슴 장치와 손목 장치를 모두 이용한 운동량 추정 결과 66

〈그림 2-3-7〉 WPAN 시스템 68

〈그림 2-3-8〉 WBAM의 ZigBee 프로파일 70

〈그림 2-3-9〉 그룹ID를 이용한 접근 제어 71

〈그림 2-3-10〉 성능 시험(Packet loss) 구성 72

〈그림 3-2-1〉 컨텍스트 인식 프레임워크 역할 개념 77

〈그림 3-2-2〉 컨텍스트 인식 프레임워크 구성 요소 78

〈그림 3-2-3〉 컨텍스트 인식 프레임워크를 위한 온톨로지 설계 80

〈그림 3-2-4〉 응급상황 추론 81

〈그림 3-2-5〉 응급인터프리터의 응급 판별 81

〈그림 3-2-6〉 컨텍스트 인식 프레임워크 개발툴 화면 82

〈그림 3-3-1〉 제어패널 사용자 인터페이스 88

〈그림 3-3-2〉 서비스 패널 사용자 인터페이스 88

〈그림 3-4-1〉 에이전트와 응용서비스 구성 89

〈그림 3-4-2〉 에이전트 라이브러리 API 코드 예 90

〈그림 3-5-1〉 사용자 중심의 컨텍스트 모델 구조 91

〈그림 3-5-2〉 ContextElement 구조체와 그 활용 예 92

〈그림 3-5-3〉 ContextElement 구조체와 그 활용 예 93

〈그림 3-5-4〉 컨텍스트의 연산자 및 내부 구조 94

〈그림 3-5-5〉 ContextMemory의 구조 94

〈그림 3-5-6〉 컨텍스트 모델 실험 구성도 96

〈그림 3-5-7〉 컨텍스트 연산자들의 연산 시간 96

〈그림 3-5-8〉 초벌 컨텍스트 정보 생성 방법 98

〈그림 3-5-9〉 초벌 컨텍스트정보 생성을 위한 센서 프로파일의 예 99

〈그림 3-5-10〉 사용자 별 생체 신호 분석 절차 100

〈그림 3-5-11〉 생성된 생체 신호 초벌 컨텍스트정보의 예 101

〈그림 3-5-12〉 단일 컨텍스트 통합기의 구조 102

〈그림 3-5-13〉 단일 레이어와 다수 레이어의 컨텍스트 통합기 103

〈그림 3-5-14〉 시분할 레이어 과정 104

〈그림 3-5-15〉 시분할 레이어드 컨텍스트 통합기 105

〈그림 3-5-16〉 통합 컨텍스트 생성 예시 106

〈그림 3-5-17〉 컨텍스트 인스펙터 (Context Inspector) 107

〈그림 3-5-18〉 센서 디자인을 위한 Positioning map 108

〈그림 3-5-19〉 센서 디자인 시안 109

〈그림 3-5-20〉 생체 신호 정보 가시화 개념도 110

〈그림 3-5-21〉 개발된 돌 센서의 외형 및 사용자가 센서를 잡은 형태 110

〈그림 3-5-22〉 3가지 신호를 계측하는 센서 및 돌 센서 내부 110

〈그림 3-5-23〉 센서의 심미성에 대한 평가 112

〈그림 3-5-24〉 센서를 장시간/단시간 착용 후 편안한지에 대한 평가 112

〈그림 3-5-25〉 생체 신호 계측 신호의 적용예 (화분) 113

〈그림 3-5-26〉 컨텍스트 통합기와 지식 베이스와의 관계 114

〈그림 3-5-27〉 건강지수 추론 규칙 코드 114

〈그림 3-5-28〉 음식 추천 DB XML 코드 114

〈그림 3-5-29〉 음식 추천을 위해 재료별 가중치 115

〈그림 3-5-30〉 밥상 시스템 시뮬레이터 115

〈그림 3-5-31〉 밥상 시스템에 사용된 센서 116

〈그림 3-5-32〉 밥상 시스템 프레임 116

〈그림 4-2-1〉 송신 모듈 구성도 122

〈그림 4-2-2〉 수신 모듈 구성도 122

〈그림 4-2-3〉 수신 모듈 각단의 출력 파형 123

〈그림 4-2-4〉 송신기 모듈 및 수신기 모듈 123

〈그림 4-2-5〉 마스터 송신 슬레이브 수신을 위한 흐름도 125

〈그림 4-2-6〉 마스터 수신 슬레이브 송신을 위한 흐름도 126

〈그림 4-2-7〉 인체 내부의 전류분포 127

〈그림 4-2-8〉 인체 주변의 전자장 분포 127

〈그림 4-2-9〉 접지 전극에 따른 신호 손실의 변화 128

〈그림 4-2-10〉 접지 전극에 의한 신호 손실 변화 측정 결과 128

〈그림 4-2-11〉 인체 내부의 전류밀도 분포 129

〈그림 4-2-12〉 인체통신 서비스 시범모델 131

〈그림 4-3-1〉 웨어러블 컴퓨터와 유비쿼터스 컴퓨팅 사이에서의 인체통신 132

〈그림 4-3-2〉 인체통신 패킷 헤더 포맷 135

〈그림 4-3-3〉 프레임 구조 136

〈그림 4-3-4〉 데이터 패킷 송수신 137

〈그림 4-3-5〉 네트워크 레이어의 주요 함수 138

〈그림 4-3-6〉 Service Application Layer의 주요 함수 139

〈그림 4-3-7〉 인체통신용 송수신 모듈 블록 다이어그램 140

〈그림 4-3-8〉 제작된 인체통신용 송수신 모듈 141

〈그림 4-3-9〉 인체통신용 USB Dongle을 이용한 시연 구현도 142

〈그림 4-3-10〉 인체통신 USB 컨트롤러 모듈의 주요 부품 142

〈그림 4-3-11〉 인체통신용 USB Dongle이 PC에 연결된 모습 143

〈그림 4-3-12〉 인체통신용 시연 구현도 143

〈그림 4-3-13〉 인체통신용 손목형 단말의 보드 144

〈그림 4-3-14〉 글러브 형태의 인체통신용 단말과 착용 예 144

〈그림 4-4-1〉 웨어러블 컴퓨터 플랫폼의 구성 145

〈그림 4-4-2〉 인체통신 송신용 테스트베드(BCM-A) 구성 요소 146

〈그림 4-4-3〉 인체통신 수신용 테스트베드(BCM-B) 구성 요소 146

〈그림 4-4-4〉 PBM과 인체통신 송신용 테스트베드 사이의 신호선 연결 147

〈그림 4-4-5〉 PBM과 인체통신 송신용 테스트베드사이의 데이터의 포맷 147

〈그림 4-4-6〉 인체통신 시스템 블록 다이어그램 148

〈그림 4-4-7〉 송신용(왼쪽), 수신용(오른쪽) 테스트베드 블록 다이어그램 151

〈그림 4-4-8〉 송신용 인체통신 모듈 151

〈그림 4-4-9〉 수신용 인체통신 모듈 151

〈그림 4-4-10〉 아날로그 프론트엔드 모듈 152

〈그림 4-4-11〉 패킷(혹은 비트) 에러 측정 시현 환경 152

〈그림 4-4-12〉 인체통신을 적용한 바이오셔츠 153

〈그림 5-1-1〉 테스트베드 실행환경 156

〈그림 5-3-1〉 자가진단 구조 159

〈그림 5-3-2〉 원격모니터링 구조 160

〈그림 5-3-3〉 응급서비스 구조 161

〈그림 5-4-1〉 메인 화면 163

〈그림 5-4-2〉 회원 정보 관리화면 163

〈그림 5-4-3〉 자가진단 결과 화면 164

〈그림 5-4-4〉 원격 진단 결과 화면 164

〈그림 5-4-5〉 원격 진단 결과 그래프 팝업창 165

〈그림 5-4-6〉 신체활동 결과 화면 165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T000030034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전자자료 이용불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