촛불집회가 보여준 기득의 권리에 대한 도전은 행정부나 국회와 같이 국가의 영역에 속하는 기관만을 상대로 하는 것이 아니었다. 이보다는 훨씬 더 전방위적이고 전폭적인 것이어서 시민사회에 뿌리를 두고 있는 시민사회단체나 언론 심지어 종교단체까지도 초월하고자 했다. 기득의 질서를 넘으려는 열망이 그 어느 때보다도 더 크고 절실했던 셈이다. 이는 다른 측면에서 볼 때 기득의 체제가 시민과의 소통에 실패했다는 증거이며 특히 정부의 시민참여 공간이 부족했거나 제 역할을 다하지 못했다는 반증에 다름 아니다. 이런 현실인식과 문제의식을 가지고 이 책은 편집되었다. 시민참여 문제를 비통상적 참여와 통상적 참여로 나누어 통상적 참여의 배면에 숨어 있는 참여의 총합적 실체가 무엇인지를 찾아보고자 했다. 직접민주주의와 간접민주주의의 접합점은 실제 어디에서 찾아질 수 있는 것인지? 정치적 합리성과 과학적 합리성 내지는 시민의 선호와 전문가의 판단은 또 어떻게 균형을 잡아야 마땅한 것인지? 또 그 과정은 어떻게 설명 가능한 것인지? 이런 질문에 대한 해답이 모색되기를 기대하면서 편집 작업은 시동되었다. 이 책은 그런 의미에서 촛불집회 이후의 시대에 조응하기 위한 사회적 논의의 물꼬를 트자는 데에 우선적인 목표를 두고 있다. 현상의 의미를 단순히 진단하는 데에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로부터 천착하여 문제해결의 구체적인 대안과 전략은 무엇인지를 진지하게 고민해 보자는 것이다. -서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