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건설폐기물 분별해체 시스템 구축 및 적정공사비용 산정 연구 / 환경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과천] : 환경부, 2009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형태사항
1책(면수복잡) : 삽화, 도표, 사진 ; 30 cm
제어번호
MONO1200954318
주기사항
"폐기물 감량·재활용·관리기술"의 연구과제임
주관연구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최종보고서(완결본)
연구책임자: 이세현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보고서 초록

목차

제1장 서론 19

1절 연구개발의 중요성 및 필요성 19

1. 경제·사회적 필요성 19

2. 환경 정책과의 연계 필요성 25

3. 자원 활용을 위한 사전처리의 필요성 28

2절 연구개발의 국내외 현황 31

1. 해체공사 관련제도 및 기준 31

가. 국내의 해체관련 제도 31

나. 국외의 해체관련 기준현황 41

2. 국내외 분별해체공사의 분석 57

가. 국내의 해체공법 기술 조사분석 57

나. 일본의 분별해체 공법 93

3절 연구개발대상 기술의 차별성 122

1. 개요 122

2. 본 연구의 차별화를 위한 제도적 분석 및 추진방향 설정 123

가. 분별해체 각 주체별 역할 설정의 문제점 123

나. 분별해체를 위한 법적 근거규정의 문제점 124

다. 분별해체를 위한 제도적 개선대책 128

라. 분별해체의 사회적 문제점 및 개선대책 131

3. 본 연구의 차별화를 위한 기술적 분석 및 추진방향 설정 138

가. 건설현장의 분별해체공법 정립 필요 138

나. 해체폐기물의 발생량 예측기법 개발 필요 138

다. 분별해체 공사에 필요한 적정한 품의 계상 필요 139

제2장 연구개발의 목표 및 내용 140

1절 연구의 최종목표 140

2절 연도별 연구개발의 목표 및 평가방법 141

3절 연도별 추진체계 144

제3장 연구개발 결과 및 활용계획 146

1절 연구개발 결과 및 토의 146

1. 1차년도 연구개발 결과 및 토의 146

가. 해체구조물의 원단위 산정 146

나. 분별해체 품셈산정을 위한 조사·분석 182

다. 구조물의 분별해체 공사 정립 199

2. 2차년도 연구개발 결과 및 토의 217

가. 원단위 산정을 위한 국내 건설폐기물의 분류 및 현황 217

나. 분별해체의 원단위 산정 조사 및 제안 222

다. 분별해체 품셈산정을 위한 조사·분석 및 제안 253

라. 구조물의 분별해체 공사 정립 261

마. 분별해체 적용을 위한 제도적 개선안 제시 278

바. 분별해체에 의한 건설폐기물 발생량 예측 프로램 개발 281

사. 향후 연구 진행방향 289

2절 연구개발 결과 요약 290

1. 분별해체공사의 원단위 산출 290

2. 분별해체공사의 표준품셈(안) 제시 291

3. 분별해체지침 및 제도개선안 제시 291

4. 분별해체현장용 건설폐기물 발생량 예측프로그램 개발 292

5. 향후 연구진행방향 292

3절 연도별 연구개발목표의 달성도 293

4절 연도별 연구성과 294

5절 관련분야의 기술발전 기여도 295

6절 연구개발의 활용계획 297

제4장 참고문헌 298

부록 301

구조물의 분별해체공사 지침[안] 301

목차 302

제1장 총칙 309

1절 목적 309

2절 적용범위 311

제2장 사전조사 및 해체공법의 결정 315

1절 일반사항 315

2절 용어의 정의 315

3절 사전조사 315

4절 해체공법의 결정 319

1. 해체공법의 종류 319

2. 해체공법의 결정 327

제3장 분별해체공사의 시공계획 수립 331

1절 일반사항 331

2절 용어의 정의 331

3절 분별해체 시공계획 수립의 기본요건 331

1. 분별해체가 필요한 폐기물 332

2. 분별해체 대상자재의 결정 333

3. 생활계폐기물의 철거 333

4. 지정폐기물의 해체·제거 334

4절 분별해체공사의 일반적 절차 335

1. 생활계폐기물의 철거 335

2. 지정폐기물의 해체·제거 335

3. 건축설비 및 기기의 분별해체 336

4. 내·외장재 등의 분별해체 336

5. 지붕마감재·옥상방수층 등의 분별해체 337

6. 구조형식을 고려한 구조체의 해체 337

7. 부지 내 포장, 담벼락 등 338

8. 기초·말뚝 등 338

9. 지하매설물, 매설배관 등 338

10. 매립폐기물 및 쓰레기 등 338

5절 환경보전 및 안전관리 계획 351

1. 소음저감 계획 352

2. 진동저감 계획 352

3. 분진저감 계획 352

4. 안전관리 계획 352

6절 공사에 따른 허가신청 및 신고 등 355

제4장 분별해체공사의 현장관리 357

1절 일반사항 357

2절 해체현장 관리 357

1. 해체현장 관리의 기본조건 357

2. 분별해체공사 관련교육 358

3절 환경보전 관리 359

1. 소음저감 관리 359

2. 진동저감 관리 360

3. 분진저감 관리 361

4절 안전 관리 361

1. 안전관리 교육 361

2. 공사 중의 안전 확보 361

3. 재해 및 안전사고 발생시의 안전 확보 362

4. 안전점검 362

5. 안전장비 및 시설 363

제5장 분별해체공사의 시공 364

1절 일반사항 364

2절 가설공사 364

1. 소음·분진 등의 양생 364

2. 가설시설물 등 365

3절 생활계폐기물, 지장폐기물 등의 처리 및 제거 365

4절 사전조치 365

5절 분별해체작업의 수행 366

1. 주요 분별해체 대상자재별 해체작업 366

2. 조적류의 분리배출 368

3. 구조체의 해체 368

4. 건설폐기물의 지상낙하 369

5. 폐콘크리트의 분리배출 369

6. 폐목재, 폐합성수지, 폐금속 등의 자체 처리 370

7. 건설폐기물의 반출 370

제6장 폐기물의 처리 371

1절 일반사항 371

2절 용어의 정의 371

3절 폐기물의 재활용 및 처리 372

4절 매립폐기물의 처리 373

5절 폐콘크리트의 재활용 373

6절 폐기물의 수집, 보관 및 운반 374

1. 폐기물의 수집 374

2. 폐기물의 보관 374

3. 운반 375

4. 폐기물의 수집·운반 및 처리의 위탁 375

제7장 지정폐기물 등의 처리 376

1절 일반사항 376

2절 용어의 정의 379

3절 지정폐기물의 보관, 운반 및 처리 379

1. 지정폐기물의 처리계획 수립 379

2. 지정폐기물의 해체현장 내 보관 380

3. 수집·운반, 처리 및 그 위탁 380

4절 지정폐기물의 처리 등 381

1. 폐석면, 석면함유 자재 등 381

2. PCB를 포함한 기기류 등 381

3. 의료폐기물 381

4. 폐유 381

5. 폐산, 페알칼리 381

6. 프레온, 할론 등 특정물질 382

제8장 폐석면, 석면함유 자재 등의 해체·제거 등 383

1절 일반사항 383

2절 용어의 정의 385

3절 해체·제거의 기본요건 387

1. 폐석면 등의 해체·제거작업 대상의 판단기준 387

2. 폐석면 등의 사전조사 387

4절 폐석면 등의 해체·제거 작업계획 수립 388

1. 수립 주체 388

2. 폐석면 등의 해체·제거 작업계획에 포함될 내용 388

3. 작업계획의 주지 389

5절 제거공사 공통사항 389

1. 전문 처리업자 389

2. 경고표지의 설치 389

3. 개인보호구의 지급·착용 389

4. 관계자 외 출입금지 및 흡연 등의 금지 390

5. 위생설비의 설치 390

6. 해체·제거된 폐석면 등의 처리 391

7. 잔재물 등의 비산 방지 391

8. 폐석면 등의 해체·제거작업 시 금지사항 391

9. 폐석면 등의 제거, 청소 및 처리 392

6절 석면함유 자재별 작업기준 392

1. 석면함유 뿜칠재의 해체·제거작업 392

2. 석면함유 보온재 등의 해체·제거작업 394

3. 석면함유 지붕재 등의 해체·제거작업 395

4. 석면함유 성형판 등의 해체·제거작업 397

목조구조물의 분별해체공사 지침[안] 401

목차 402

제1장 총칙 405

1절 목적 405

2절 적용 범위 405

3절 용어의 의미 406

제2장 해체공사의 기본 사항 409

1절 해체공사에서 관계자의 역할과 책무 409

2절 분별해체의 실시 410

3절 재활용 등 및 적정 처분의 실시 411

4절 안전 및 환경보전의 추진 412

5절 기술관리자의 설치 412

제3장 해체 공법 413

1절 기본 사항 413

2절 수작업에 의한 분별해체공법 413

3절 수작업·기계작업 병용에 의한 분별해체 공법 414

제4장 사전조사 416

1절 기본 사항 416

2절 조사 항목 417

3절 조사결과 보고 및 설명 420

제5장 공사 계획 421

1절 공사 계획의 입안 및 작성 421

2절 해체 공법 선정 424

3절 공정 계획 입안 및 공정표 작성 425

4절 안전 및 환경보전 계획 426

5절 건설폐기물 반출 및 처리 계획 427

6절 분별해체 등의 계획서 작성·제출 및 설명 428

제6장 적산 및 견적 430

1절 기본 사항 430

2절 해체공사비의 구성 430

3절 견적 433

제7장 사전조치 434

1절 사전조치의 내용 434

2절 발주자에 대한 사전설명과 하청업자에 대한 고지 435

3절 공사계약 435

4절 사전조치에 동반되는 작업 437

5절 각종 신고, 수배 등의 확인 438

6절 건설폐기물의 처리위탁 기본계약 등 440

제8장 시공 442

1절 기본 사항 442

2절 공사관리 443

3절 안전관리 및 환경보전 444

4절 준비작업 445

5절 가설작업 446

6절 해체작업 447

7절 목조축조 구법의 수작업에 의한 분별해체작업 절차 448

8절 목조축조 구법의 수작업·기계작업 병용에 의한 분별해체작업 절차 453

9절 목조축조 구법 이외의 분별해체 공법 454

10절 기타 철거작업 455

11절 건설폐기물의 분별·집적·적재·반출 456

12절 해체작업 완료 후의 작업 457

13절 해체공사 완료 검사 및 보고 457

제9장 해체공사 완료 후의 관리 459

1절 건설폐기물 이력 확인 459

2절 발주자에 대한 보고 등 459

3절 각종 서류, 보고서 등의 관리·보관 460

원단위 산정을 위한 조사자료 461

〈표 1.1〉 건설폐기물 성상별 발생량 20

〈표 1.2〉 건설폐기물 분리선별 및 분별해체관련 규정 24

〈표 1.3〉 교토협약의 배출권 유형 29

〈표 1.4〉 건설폐기물의 종류 32

〈표 1.5〉 건설폐기물 분리배출 관련 법규 내용 33

〈표 1.6〉 분별해체공사 의무화 대상공사의 분류(안) 34

〈표 1.7〉 폐기물관리법상 석면의 지정폐기물 대상 35

〈표 1.8〉 건설교통부와 환경부의 건설폐기물 관련 법규 38

〈표 1.9〉 건설폐기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상의 분별해체 관련 내용 40

〈표 1.10〉 일본의 건설리사이클링법에 의한 분별해체 의무화 대상공사의 범위 43

〈표 1.11〉 일본의 분별해체 원칙 및 분별작업 공정 44

〈표 1.12〉 일본의 해체잔재의 재활용 목표율 45

〈표 1.13〉 건축물관련 건설폐기물 발생 예측량 46

〈표 1.14〉 미국의 건설폐기물의 발생량 47

〈표 1.15〉 미국의 지역별 폐기물 처리처분비 47

〈표 1.16〉 미국의 분별해체 사례연구 결과 48

〈표 1.17〉 영국의 건설폐기물 연간 발생량 51

〈표 1.18〉 영국의 해체폐기물의 연간 발생량 52

〈표 1.19〉 호주의 주거용 건물의 해체 후 재사용 비율 54

〈표 1.20〉 호주의 상업용 건물의 해체 후 재사용 비율 54

〈표 1.21〉 선진 각국의 건설폐기물 관련 정책동향 56

〈표 1.22〉 핸드 브레이커의 제원 63

〈표 1.23〉 각종 대형 브레이커의 제원 65

〈표 1.24〉 절단기의 제원 69

〈표 1.25/2.25〉 다이아몬드 와이어 쏘의 제원 75

〈표 1.26〉 유압식 확대기의 제원 77

〈표 1.27〉 주행식 잭의 제원 79

〈표 1.28〉 양압하는 압쇄기의 제원 81

〈표 1.29〉 끼워서 전단하는 압쇄기의 제원 82

〈표 1.30〉 철골절단기의 제원 84

〈표 1.31〉 서울 지하철 공사 발파진동 허용치 86

〈표 1.32〉 기계식 해체와 발파해체의 소음 비교 87

〈표 1.33〉 처리주체별 처리기준 89

〈표 1.34〉 공종에 따른 건설폐기물 발생과 처리방법 90

〈표 1.35〉 잔존물품의 예 96

〈표 1.36〉 발주자가 처리해야 하는 폐기물 98

〈표 1.37〉 유해폐기물 99

〈표 1.38〉 재활용 가능한 것 100

〈표 1.39〉 원청업자가 처리해야 하는 폐기물 100

〈표 1.40〉 석면함유제품과 그 석면함유의 식별법 102

〈표 1.41〉 철근콘크리트 구축물의 해체공사비·해체폐기물의 내역 104

〈표 1.42〉 항목별 환경보전 대책 109

〈표 1.43〉 항목별 안전관리 대책 110

〈표 1.44〉 건물소유자가 행하는 주된 허가신청 및 신고 111

〈표 1.45〉 공사시공자가 행하는 허가신청 및 신고 112

〈표 1.46〉 공사내역서 118

〈표 1.47〉 일본의 건설리사이클법의 주요 내용 128

〈표 1.48〉 해체공사 관련 국내 주요 관련법 129

〈표 1.49〉 건설폐기물 성상별 처리용역 단가 135

〈표 2.1〉 1차년도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141

〈표 2.2〉 2차년도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142

〈표 2.3〉 연구결과의 평가방법 143

〈표 2.4〉 본 연구의 내용 및 추진방법 145

〈표 3.1〉 건설폐기물 발생원단위 조사에 관한 방법 및 특징 147

〈표 3.2〉 아파트 해체공사 현장의 건설폐기물 발생원단위 148

〈표 3.3〉 건축물의 용도 및 구조별 해체건설부산물의 배출량원단위 150

〈표 3.4〉 건축물 해체폐기물 원단위 151

〈표 3.5〉 해체공사 발생원단위 153

〈표 3.6〉 현행발생성상별 단위질량 154

〈표 3.7〉 해체공사시 발생하는 건설폐기물의 원단위 154

〈표 3.8〉 건축물 해체공사에 따른 건설폐기물 발생원단위 155

〈표 3.9〉 일본의 건설폐기물 분별 실시율 및 원단위 156

〈표 3.10〉 해체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폐기물 발생원단위 157

〈표 3.11〉 H빌딩의 철거 개요 159

〈표 3.12〉 폐기물의 구분 및 예상 발생량(철거·멸실 단계 배출자료) 160

〈표 3.13〉 건설폐기물 발생량 분석 160

〈표 3.14〉 해체공사의 내용 162

〈표 3.15〉 H빌딩의 분별해체 진행 분석 163

〈표 3.16〉 부위별 분별해체 적용현황 168

〈표 3.17〉 금천구 창고시설 철거 개요 172

〈표 3.18〉 폐기물의 구분 및 예상 발생량 172

〈표 3.19〉 건설폐기물 발생량 분석 173

〈표 3.20〉 구조물 해체공법 174

〈표 3.21〉 금천구 창고시설 공사진행 분석 175

〈표 3.22〉 부위볕 분별해체 적용현황 178

〈표 3.23〉 상도동 옥수아파트 179

〈표 3.24〉 구조형태별 예상 폐기물 발생량(50세대 기준) 180

〈표 3.25〉 아파트 면적별 폐기물 발생량 181

〈표 3.26〉 목조건물 철거 품기준 183

〈표 3.27〉 건축물 구조체별 철거 184

〈표 3.28〉 헐기 및 부수기(인력) 185

〈표 3.29〉 헐기 및 부수기(기계사용) 185

〈표 3.30〉 헐기 및 부수기(기계사용) 185

〈표 3.31〉 철골재 철거 186

〈표 3.32〉 기존방수층 및 보호층 철거 186

〈표 3.33〉 부위별 폐기물 발생 성상 187

〈표 3.34〉 분별해체 품 산정을 위한 조사대상 건축물 188

〈표 3.35〉 해체공사의 내용 190

〈표 3.36〉 천장재 해체공사 투입인력 191

〈표 3.37〉 벽체 해체공사 투입인력 191

〈표 3.38〉 바닥재 해체공사 투입인력 192

〈표 3.39〉 사무용 건축물 분별해체 투입인력(내장재) 192

〈표 3.40〉 부위별 분별해체 적용현황 195

〈표 3.41〉 천장재 해체공사 투입인력 195

〈표 3.42〉 벽체 해체공사 투입인력 196

〈표 3.43〉 바닥재 해체공사 투입인력 196

〈표 3.44〉 공동주택 분별해체 투입인력(내장재) 197

〈표 3.45〉 기존 말뚝 해체·철거공법의 분류와 개요 209

〈표 3.46〉 건설폐기물의 제도적 분류 217

〈표 3.47〉 건설폐기물의 종류별 분류체계(건폐법 제3조의2관련) 218

〈표 3.48〉 건설폐기물의 수집운반현황 220

〈표 3.49〉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현황 221

〈표 3.50〉 국내 건설폐기물의 분류별 비율 221

〈표 3.51〉 RC 구조물의 투입 물량 222

〈표 3.52〉 SRC 구조물의 투입 물량 223

〈표 3.53〉 구조형식 별 발생 원단위 추정 226

〈표 3.54〉 국내의 건축물 구조별 건설폐기물 발생량 조사대상 목록 227

〈표 3.55〉 해체작업 개요 227

〈표 3.56〉 RC조 사무실 해체작업 228

〈표 3.57〉 RC조 사무실 해체작업 230

〈표 3.58〉 구조별 건설폐기물의 발생량 231

〈표 3.59〉 구조별 원단위 발생량 231

〈표 3.60〉 중량환산계수(용적에서 질량으로 환산) 232

〈표 3.61〉 일본의 건설폐기물 및 원단위 분류 233

〈표 3.62〉 일본의 구조별 발생원단위 234

〈표 3.63〉 조사대상 건축물의 개요 235

〈표 3.64〉 해체공종의 비교 238

〈표 3.65〉 분별해체의 공종별 투입인윈 및 작업시간 242

〈표 3.66〉 일반해체의 공종별 투입인원 및 작업시간 246

〈표 3.67〉 도면에 의한 분별해체 대상 층의 자재 물량 계산 247

〈표 3.68〉 실측에 의한 발생 건설폐기물 247

〈표 3.69〉 도면에 의한 일반해체 대상 층의 자재 물량 계산 249

〈표 3.70〉 실측에 의한 일반해체 대상 층의 발생 건설폐기물 249

〈표 3.71〉 국내 건축물의 구조별 원단위 발생량 252

〈표 3.72〉 해체공사의 내용 254

〈표 3.73〉 천장재 해체공사 투입인력 254

〈표 3.74〉 벽체 해체공사 투입인력 255

〈표 3.75〉 바닥재 해체공사 투입인력 255

〈표 3.76〉 상가건물 분별해체 투입인력(내장재) 256

〈표 3.77〉 품산출 비교표 257

〈표 3.78〉 분별해체를 고려한 해체공사 표준품셈(안) 259

〈표 3.79〉 국내 건설폐기물 관련 법령 278

〈표 3.80〉 건설폐기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 개정안 279

〈표 3.81〉 건설폐기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안 280

구조물의 분별해체공사 지침[안] 307

〈표 2.1〉 분별해체공법의 구조별 조합의 예 330

〈표 3.1〉 기존 말뚝 해체·철거공법의 분류와 개요 349

〈표 3.2〉 해체공사 관련 인허가사항 356

〈표 4.1〉 건설소음 허용한도 360

〈표 8.1〉 국내 석면 관련 법규 현황 384

목조구조물의 분별해체공사 지침[안] 404

〈표 1〉 해체공사비용의 적산·견적과 세부항목의 예 432

〈표 2〉 해체공사 관련 인허가 사항 439

〈그림 1.1〉 연도별 신축 및 멸실면적의 예측 20

〈그림 1.2〉 건설폐기물 발생량 및 점유율 21

〈그림 1.3〉 폐기물 연도별 변화추이 21

〈그림 1.4〉 분별해체대상 건설페기물의 종류 23

〈그림 1.5〉 건설페기물 정책 페러다임 26

〈그림 1.6〉 건설현장의 건설폐기물 분리 형태 27

〈그림 1.7〉 건설현장의 건설페기물 분리 형태 27

〈그림 1.8〉 건설현장의 건설폐기물 분리 형태 28

〈그림 1.9〉 가연성 건설폐기물 발생 및 처리 흐름 30

〈그림 1.10〉 국내 폐기물 분류체계 31

〈그림 1.11〉 국내 폐기물관련 법령 36

〈그림 1.12〉 일반해체와 분별해체의 발생폐기물의 활용 40

〈그림 1.13〉 일본의 종합 분별해체 및 재활용 시스템 42

〈그림 1.14〉 현행해체와 분별해체에 의한 재활용률의 변화분석(일본) 43

〈그림 1.15〉 일본 걸설리싸이클링법의 주요 골자 44

〈그림 1.16〉 미국의 건설폐기물 분류 46

〈그림 1.17〉 분별해체에 따른 총 해체 및 폐기비용의 변화 분석결과 49

〈그림 1.18〉 네덜란드의 재생골재 생산시스템(closed system) 52

〈그림 1.19〉 네덜란드의 재생골재 생산시스템(open system) 53

〈그림 1.20〉 핸드 브레이커 작업 64

〈그림 1.21〉 대형 브레이커의 형상 65

〈그림 1.22〉 각종 절단기의 형상 68

〈그림 1.23〉 절단기에 의한 구조물의 해체 71

〈그림 1.24〉 강구에 의한 해체 72

〈그림 1.25〉 다이아몬드 와이어 쏘의 작업개념도 74

〈그림 1.26〉 다이아몬드 와이어 쏘 74

〈그림 1.27〉 교각의 해체 75

〈그림 1.28〉 유진상가 부분 해체 76

〈그림 1.29〉 압쇄기의 형태 81

〈그림 1.30〉 압쇄기를 장착한 장비 81

〈그림 1.31〉 압쇄기를 사용한 슬래브의 파쇄 82

〈그림 1.32〉 철골전단기-1점형 축 85

〈그림 1.33〉 철골절단기-2점형 축 85

〈그림 1.34〉 전단방식 철골절단기 85

〈그림 1.35〉 프레스 절단 방식 철골절단기 85

〈그림 1.36〉 여의도 L빌딩 연속 발파해체 광경 87

〈그림 1.37〉 조사·계획 플로우 95

〈그림 1.38〉 일본의 석면해체 사전조사의 개념 106

〈그림 1.39〉 뿜칠아스베스토스 제거처리공사의 순서 107

〈그림 1.40〉 생활 방치물 철거전 114

〈그림 1.41〉 내부마감재 해체후 모습 114

〈그림 1.42〉 석고보드 및 철제배출 115

〈그림 1.43〉 혼합폐기물 115

〈그림 1.44〉 형광등 수집 115

〈그림 1.45〉 프론제거 확인증 부착 모습 115

〈그림 1.46〉 성광학원 기숙사동 평면도 116

〈그림 1.47〉 내장재 철거후 본구조물의 해체를 위한 구조보강 실시 장면 116

〈그림 1.48〉 해체공사 전경 116

〈그림 1.49〉 파쇄된 콘크리트 117

〈그림 1.50〉 혼합폐기물의 분별 117

〈그림 1.51〉 목구조물 해체현장 및 내부 해체 장면 119

〈그림 1.52〉 창호제거 및 내장재 선별작업 120

〈그림 1.53〉 내장재 철거 후 남은 목구조 120

〈그림 1.54〉 목구조물 해체시 분류된 석고보드 및 단열재 120

〈그림 1.55〉 폐목재의 재활용을 위한 재자원화 공정(목재�� 생산) 121

〈그림 1.56〉 분별해체를 위한 각 주체별 역할 123

〈그림 1.57〉 건축물 해체 과정 흐름도 125

〈그림 1.58〉 분별해체와 일반해체의 폐기물 처리 개념 126

〈그림 1.59〉 일본 건설리싸이클법상의 분별 해체 등 재자원화 실시의 흐름 127

〈그림 1.60〉 해체공사비의 구성 133

〈그림 2.1〉 연구의 최종 목표 및 수행 내용 140

〈그림 2.2〉 본 연구의 연도별 추진체계 144

〈그림 3.1〉 폐기물 품목별 원단위('00~'02년 평균치) 156

〈그림 3.2〉 건설폐기물 발생량 비교 161

〈그림 3.3〉 서울 중구 H빌딩 해체 163

〈그림 3.4〉 건설폐기물 발생량 비교 173

〈그림 3.5〉 금천구 창고시설 174

〈그림 3.6〉 건설폐기물 발생량 분석(56.1㎡형) 181

〈그림 3.7〉 건설폐기물 발생량 분석 (82.5㎡형) 181

〈그림 3.8〉 사무용 건축물의 인력품 산출결과 비교 193

〈그림 3.9〉 사무용 건축물 분별해체 투입인력(내장재) 198

〈그림 3.10〉 구조물의 단계별 해체공사 순서 199

〈그림 3.11〉 석면 및 유해물질 제거 201

〈그림 3.12〉 설비기기의 분별해체 201

〈그림 3.13〉 해체현장의 외부비계, 방음패널 202

〈그림 3.14〉 압쇄기의 지상작업에 의한 해체순서 예 203

〈그림 3.15〉 구조체의 해체 204

〈그림 3.16〉 구조체 처리 204

〈그림 3.17〉 구조체 처리 204

〈그림 3.18〉 콘크리트 절단·분할 204

〈그림 3.19〉 철근 분리 204

〈그림 3.20〉 폐콘크리트 반출 204

〈그림 3.21〉 압쇄기의 층상작업에 의한 해체순서 예 205

〈그림 3.22〉 대형 브레이커의 층상작업과 전도공법에 의한 해체순서 예 206

〈그림 3.23〉 외벽전도공법의 모식도 207

〈그림 3.24〉 국내 건설폐기물 발생량 219

〈그림 3.25〉 국내 건설폐기물 처리현황 220

〈그림 3.26〉 RC구조의 물량산출 대상 도면(G생명 일산사옥) 224

〈그림 3.27〉 SRC구조의 물량산출 대상 도면(N사무소 건물) 224

〈그림 3.28〉 대상현장 위치 225

〈그림 3.29〉 해체대상 건물 전경 235

〈그림 3.30〉 해체작업 전 3층 내부 전경 236

〈그림 3.31〉 해체작업 전 2층 내부 전경 236

〈그림 3.32〉 실측에 의해 작성한 분별해체 대상(3층) 펑면 236

〈그림 3.33〉 실측에 의해 작성한 일반해체 대상(2층) 평면 237

〈그림 3.34〉 벽체의 단면구성 237

〈그림 3.35〉 단위용적중량 측정을 위한 이동식 스케일 및 제작한 1m³박스 238

〈그림 3.36〉 카펫 제거 239

〈그림 3.37〉 목재 문짝 제거 239

〈그림 3.38〉 목재 문틀제거 239

〈그림 3.39〉 유리제거 239

〈그림 3.40〉 벽체제거(샌드위치패널+목재+석고보드) 239

〈그림 3.41〉 석고보드와 샌드위치패널의분리 239

〈그림 3.42〉 목재의 분리 240

〈그림 3.43〉 벽체제거 완료 240

〈그림 3.44〉 석고보드 천장마감재 제거 240

〈그림 3.45〉 금속재 천장재 받이 및 달대 제거 240

〈그림 3.46〉 천장재 받이 및 달대 제거 240

〈그림 3.47〉 목재의 분별 240

〈그림 3.48〉 석고보드의 분별 241

〈그림 3.49〉 유리의 분별 241

〈그림 3.50〉 샌드위치패널의 분별 241

〈그림 3.51〉 금속류의 분별 241

〈그림 3.52〉 샌드위치패널의 분별 243

〈그림 3.53〉 복도벽의 해체 243

〈그림 3.54〉 내부벽의 해체 243

〈그림 3.55〉 해체된 벽체 243

〈그림 3.56〉 일반해체 발생 혼합폐기물 243

〈그림 3.57〉 유리를 포함한 벽체의 해체 243

〈그림 3.58〉 내벽체 해체 완료 244

〈그림 3.59〉 천장 마감재의 제거 244

〈그림 3.60〉 금속재 천장재 받이 및 달대 제거 244

〈그림 3.61〉 천장재 제거 완료179 244

〈그림 3.62〉 금속류의 분별 244

〈그림 3.63〉 일반해체 발생 혼합폐기물 244

〈그림 3.64〉 폐섬유류(카펫)의 단위용적중량 측정장면 248

〈그림 3.65〉 폐석고보드류의 단위용적중량 측정장면 248

〈그림 3.66〉 폐금속류의 단위용적중량 측정장면 248

〈그림 3.67〉 혼합건설폐기물의 단위용적중량 측정장면 250

〈그림 3.68〉 상가건축물의 해체 품 비교 256

〈그림 3.69〉 철골 각부의 명칭 262

〈그림 3.70〉 라멘 구조 262

〈그림 3.71〉 트러스 구조 262

〈그림 3.72〉 브레이스 구조 263

〈그림 3.73〉 해체 순서 264

〈그림 3.74〉 철골 트러스 및 기둥의 해체에 대한 예 264

〈그림 3.75〉 철골철근콘크리트조 등의 경우 기둥의 전도 절단 방법 265

〈그림 3.76〉 목재 가구식 구조 271

〈그림 3.77〉 목재 판식 구조 272

〈그림 3.78〉 프로그램 시작화면 281

〈그림 3.79〉 건설폐기물 원단위 입력 창(세부분류) 282

〈그림 3.80〉 환경설정데이터 불러오기 282

〈그림 3.81〉 중량환산계수 입력화면 283

〈그림 3.82〉 건설폐기물 원단위 입력화면 283

〈그림 3.83〉 구조체 철거 비용 입력 284

〈그림 3.84〉 부위별 해체 비용 입력 285

〈그림 3.85〉 폐기물 처리비용 입력 285

〈그림 3.86〉 건물 데이터 개요 입력 286

〈그림 3.87〉 건물 면적 입력 286

〈그림 3.88〉 건물 면적 입력 287

〈그림 3.89〉 건물 면적 입력 287

〈그림 3.90〉 결과값의 엑셀저장 288

구조물의 분별해체공사 지침[안] 307

〈그림 1.1〉 폐기물 발생량 변화추이 309

〈그림 1.2〉 건설폐기물의 발생량 및 국가 총 폐기물 중 점유율 310

〈그림 1.3〉 수도권 매립지 연도별 폐기물 반입 증감추이 311

〈그림 2.1〉 조사·계획 플로우 318

〈그림 2.2〉 해체공법의 분류 320

〈그림 2.3〉 브레이커 종류 322

〈그림 2.4〉 압쇄기의 종류 323

〈그림 2.5〉 철골절단공법 324

〈그림 2.6〉 다이아몬드 와이어소공법의 모식도 325

〈그림 2.7〉 절단기의 예 325

〈그림 2.8〉 발파·붕괴해체공법의 모식도 326

〈그림 2.9〉 워터제트공법의 모식도 327

〈그림 3.1〉 일반적인 분별해체의 순서 334

〈그림 3.2〉 해체전 철근콘크리리트 건축물 341

〈그림 3.3〉 내부설비 및 마감재 분리 341

〈그림 3.4〉 반출 준비 341

〈그림 3.5〉 반출 341

〈그림 3.6〉 압쇄기의 지상작업에 의한 해체순서 예 343

〈그림 3.7〉 구조체의 해체 343

〈그림 3.5〉 구조체 처리 343

〈그림 3.9〉 구조체 처리 344

〈그림 3.10〉 콘크리트 절단·분할 344

〈그림 3.11〉 철근 분리 344

〈그림 3.12〉 폐콘크리트 반출 344

〈그림 3.13〉 압쇄기의 층상작업에 의한 해체순서 예 345

〈그림 3.14〉 대형 브레이커의 층상작업과 전도공법에 의한 해체순서 예 346

〈그림 3.15〉 외벽전도공법의 모식도 347

〈그림 3.16〉 해체 순서 350

〈그림 3.17〉 철골 트러스 및 기둥의 해체에 대한 예 351

〈그림 3.18〉 철골철근 콘크리트조 등의 경우 기둥의 전도 절단 방법 351

〈그림 6.1〉 폐기물 처리에 관한 철차 371

〈그림 8.1〉 폐석면 신고 및 처리절차 388

〈그림 8.2〉 외장재의 석면 해체 과정 397

〈그림 8.3〉 내장재의 석면 해체 과정 400

목조구조물의 분별해체공사 지침[안] 404

〈그림 1〉 해체공사비의 구성 431

〈그림 2〉 수작업에 의한 분별해체작업 흐름의 예 448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T000030756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이용불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