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이상홍수 대응기법의 국내외 사례 조사 및 대응전략 수립 연구보고서 / 국토해양부 ;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공편] 인기도
발행사항
고양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9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형태사항
1책(면수복잡) : 삽화, 도표, 사진 ; 30 cm
제어번호
MONO1200962449
주기사항
주관연구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교통R&D정책·인프라사업 제4차 중간보고서
총괄연구책임자: 윤석영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요약문

SUMMARY

목차

제1장 서론 10

제1절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10

제2절 연구내용 및 범위 11

제3절 연구개발 목표 13

제2장 이상홍수 취약성 평가 방안의 개선 16

제1절 지표 개발 시 고려사항 16

제2절 지표 개발 및 평가 18

제3장 기후변화를 고려한 하향식 취약성 평가 기법의 개발 26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연구 방향 26

제2절 대상관측소 및 사용한 관측자료 29

제3절 방법론 및 적용 결과 31

제4절 기후변화가 확률강우량에 미치는 영향 평가 38

제5절 기후변화가 재해위험에 미치는 영향 평가 43

제4장 의사결정 지원 기법 연구 50

제1절 의사결정론의 정의와 개념 50

제2절 수자원 분야의 의사결정 기법 52

제3절 선택적 홍수방어 대안 수립을 위한 의사결정 지원 기법 55

제4절 기법 적용 69

제5장 홍수방어 시스템 92

제1절 시스템 개요 92

제2절 시스템 설계의 기본방향 93

제3절 시스템 구축방안 93

제4절 시스템 개발 94

제5절 홍수방어 시스템 산출물 95

참고문헌 120

부록 124

부록1. GIS기반의 선택적 홍수방어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매뉴얼 125

차례 126

제1장 GIS 기반의 선택적 홍수방어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127

1.1. 프로그램 시작 127

1.2. 메인구성 129

1.3. 유역현황 130

1.4. 강우관측소 현황 132

1.5. 취약성 분석 134

1.6. (취약성분석 결과) 등급 범례 136

1.7. 평가지표별 가중치 설정 137

1.8. 취약성 분석결과 등급별 방어 대책 139

1.9. 소유역별 취약성 분석 결과 141

1.10. 과거 침수이력 분석 143

1.11. (취약성분석 결과) 시설물 범례 145

1.12. 하천 정보 조회 146

1.13. 시설물 중요도 분석 148

1.14. 취약지역 현황 조회 149

1.15. 취약 지역내 시설물 상세조회 151

1.16. 선택적 홍수방어 의사결정 지원기능 152

1.17. 선택적 홍수방어 대안 제시 153

1.18. 지식기반의 의사결정 지원 기능 155

1.19. 의사결정을 위한 Reference 제공기능 157

부록2. 외국 홍수 대응 사례 조사 159

부록3. 도시홍수 위험관리 보고서 번역 182

REFERENCES 229

〈표 1.1. 4차년도 연구 목표 및 착안점〉 13

〈표 1.2. 연차별 목표〉 14

〈표 2.1. 홍수 피해 잠재능 산정 절차〉 20

〈표 2.2. 이상홍수 취약성 평가 지표별 이용자료〉 21

〈표 2.3. 중요 시설물 취약성 평가 지표별 이용자료〉 22

〈표 3.1. 기상관측소 이름과 관측 기간〉 30

〈표 3.2. 극한강우변동지수(EVI) 빈도별 통계치〉 44

〈표 4.1. 다목적의사결정과 다속성의사결정의 특징 비교 (김성희 등, 2003)〉 54

〈표 4.2. HAZUS-MH 분석 모듈별 기능〉 59

〈표 4.3. 등급별 홍수 대안 제시〉 63

〈표 4.4. 직접피해의 대상자산과 피해액 산정방법〉 68

〈표 4.5. 안성천 홍수범람 대상 현황〉 69

〈표 4.6. 안성천 홍수범람 위험구역 현황〉 71

〈표 4.7. 평택시지역 홍수위 및 제방고 비교〉 74

〈표 4.8. 평택시지역 적정 홍수대안 선정을 위한 홍수 대안〉 74

〈표 4.9. 저류지 선정지역의 일반현황〉 75

〈표 4.10. 신가 저류지 일반현황〉 76

〈표 4.11. 건천 저류지 일반현황〉 77

〈표 4.12. 신계 저류지 일반현황〉 78

〈표 4.13. 안성천 유역 저류지 분석 결과〉 79

〈표 4.14. 안성천 하도개선 구간〉 79

〈표 4.15. 안성천 홍수위 저감효과(하도개선)〉 81

〈표 4.16. 고삼 저수지 제원〉 83

〈표 4.17. 금광 저수지 제원〉 83

〈표 4.18. 안성천 홍수위 저감 효과(제체증고)〉 85

〈표 4.19. 저류지 공사비(안성천 유역종합 치수계획)〉 85

〈표 4.20. 저수지 공사비(안성천 유역종합 치수계획)〉 87

〈표 4.21. 사업비산정 결과〉 87

〈표 4.22. 경제성 분석 결과〉 88

〈표 5.1. 시스템 개발 기본사양〉 92

〈표 5.2. 시스템 요구사항〉 92

〈표 5.3. 시스템 설계의 기본방향〉 93

〈표 5.4. 시스템 개발 시 고려사항〉 94

〈그림 2.1. 지표와 자료, 최종 목적과의 관계도(Birkmann et. al, 1999)〉 17

〈그림 2.2. 지표의 개발 과정(Maclaren, 1996)〉 18

〈그림 2.3. 이상홍수 대응을 위한 취약성 접근 방법〉 19

〈그림 2.4. 이상홍수 취약성 지표의 중첩〉 23

〈그림 2.5. 기존 취약성 평가 방법〉 24

〈그림 2.6. 개선된 취약성 평가 방법〉 24

〈그림 3.1. 연구방법 및 흐름도〉 28

〈그림 3.2. 기상관측소 위치〉 29

〈그림 3.3. RegCM3 모형의 격자별 위치〉 31

〈그림 3.4.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한 계절별 강우패턴(2045s)〉 32

〈그림 3.5. 각 EOF의 공간적 패턴〉 33

〈그림 3.6. 확률 맵핑을 이용한 편의 보정〉 34

〈그림 3.7. 조건부 Markov Chain 기법을 이용한 강수자료 축소기법의 알고리즘〉 35

〈그림 3.8. 조건부 Markov Chain 기법의 매개변수 추정 및 모의〉 36

〈그림 3.8. 조건부 Markov Chain 기법의 매개변수 추정 및 모의(계속)〉 37

〈그림 3.9. 각 지점별 빈도곡선의 비교〉 38

〈그림 3.10. 재현기간별 RCM 강수량의 공간분포〉 41

〈그림 3.10. 재현기간별 RCM 강수량의 공간분포(계속)〉 42

〈그림 3.11. 기후변화에 따른 재해위험 영향 평가 과정 모식도〉 43

〈그림 3.12. 격자 기반의 극한강우변동지수(EVI) 분석〉 44

〈그림 3.13. EVI의 50년에서 500년 빈도 공간 분포〉 45

〈그림 3.14. HRI의 50년에서 500년 빈도 공간 분포〉 46

〈그림 3.15. DII의 50년에서 500년 빈도 공간 분포〉 47

〈그림 3.16. DII의 빈도별 위험등급 분포 현황〉 48

〈그림 3.17. 호우와 태풍피해 현황(1994-2007))〉 49

〈그림 4.1. 의사분석 과정의 흐름도(이충성, 2002)〉 51

〈그림 4.2. 해 탐색방법에 따른 다기준의사결정의 분류 (한국수자원공사, 2002a)〉 54

〈그림 4.3. 홍수 취약성 분석(Peck & Simonovic, 2007)〉 57

〈그림 4.4. HAZUS-MH 손실 피해 산정 과정〉 58

〈그림 4.5. HAZUS-MH 사회기반시설 취약성 분석 결과〉 59

〈그림 4.6. 중요 시설물에 대한 중요도 평가〉 60

〈그림 4.7. 한강 유역중 중랑천 부근에 대한 시설물 중요도 평가〉 61

〈그림 4.8. 취약성 요소별 결과 도출 그래프(왼쪽; 이론, 오른쪽; 시스템)〉 62

〈그림 4.9. 선택적 홍수대안 설정을 위한 구조〉 64

〈그림 4.10. 대안별 계산 Matrix〉 64

〈그림 4.11. 의사결정을 위한 대안 설정〉 65

〈그림 4.12. 서바이벌 방식을 이용한 분석 결과〉 65

〈그림 4.13. 실제 의사결정 시스템 화면〉 66

〈그림 4.14. 다차원 홍수피해산정방법의 개념도(수자원공사, 치수경제성분석)〉 66

〈그림 4.15. 안성천 유역의 하천 현황도〉 70

〈그림 4.16. 안성천 홍수범람 위험 구역〉 72

〈그림 4.17. 홍수범람구역(평택시) 위치도 및 안성천 EFVI 결과〉 73

〈그림 4.18. 안성 유역 하도개선 구간 위치도〉 80

〈그림 4.19. 하도개선계획 모식도〉 80

〈그림 4.20. 안성천 No.125에서의 수위시간곡선〉 81

〈그림 4.21. 안성천 No.126에서의 수위시간곡선〉 82

〈그림 4.22. 안성천 No.127에서의 수위시간곡선〉 82

〈그림 4.23. 안성천 No.128에서의 수위시간곡선〉 82

〈그림 4.24. 고삼 저수지 내용적 곡선〉 84

〈그림 4.25. 금광 저수지 내용적 곡선〉 84

〈그림 4.26. 저류지 면적-공사비 비용 곡선〉 86

〈그림 4.27. 저류지 면적-보상비 비용 곡선〉 86

〈그림 4.28. Decision Tree를 이용한 의사결정 방안〉 89

〈그림 4.29. 시스템을 통한 외국의 Reference 지원 기능〉 90

〈그림 5.1. 시스템 구축방안〉 93

〈그림 5.2. 로그인〉 95

〈그림 5.3. 유역현황〉 96

〈그림 5.4. 기상관측지점 조회〉 97

〈그림 5.5. 취약성 분석〉 98

〈그림 5.6. 유역경사도〉 99

〈그림 5.7. 불투수율〉 100

〈그림 5.8. 홍수위험지역〉 100

〈그림 5.9. 홍수피해규모지도〉 101

〈그림 5.10. 인구밀도〉 101

〈그림 5.11. 재정지수〉 102

〈그림 5.12. 극한강우사상의 빈도〉 102

〈그림 5.13. 일강우사상의 빈도〉 103

〈그림 5.14. 외수방어능력〉 103

〈그림 5.15. Hazard Analysis〉 104

〈그림 5.16. Social Analysis〉 104

〈그림 5.17. Economic Analysis〉 104

〈그림 5.18. Climatic Analysis〉 104

〈그림 5.19. Environmental Analysis〉 105

〈그림 5.20. Critical Facility Analysis〉 105

〈그림 5.21. Mitigation〉 105

〈그림 5.22. 취약성 분석결과 차트 및 등급별 대응 방안〉 106

〈그림 5.23. 등급별 대응방안〉 107

〈그림 5.24. 분류별 취약성 분석〉 107

〈그림 5.25. 선택적 홍수방어〉 108

〈그림 5.26. 주요시설물에 따른 위험도 분석〉 109

〈그림 5.27. 위험도 분석결과에 따른 위험시설현황정보〉 109

〈그림 5.28. 의사결정 I〉 110

〈그림 5.29. 의사결정 II〉 111

〈그림 5.30. 해외대응사례 검색〉 112

〈그림 5.31. KOR-WIG 초기 화면〉 113

〈그림 5.32. KOR-WIG 시나리오 선택 메뉴〉 113

〈그림 5.33. Disaggregation 분석 화면〉 114

〈그림 5.34. Disaggregation 분석 결과〉 114

〈그림 5.35. 관측치와 기후변화 모의치의 통계 계산〉 115

〈그림 5.36. 관측치와 기후변화 빈도 계산〉 115

〈그림 5.37. 재해영향평가〉 116

〈그림 5.38. EVI 50년〉 117

〈그림 5.39. EVI 100년〉 117

〈그림 5.40. EVI 200년〉 117

〈그림 5.41. EVI 300년〉 117

〈그림 5.42. EVI 500년〉 117

〈그림 5.43. HRI 50년〉 118

〈그림 5.44. HRI 100년〉 118

〈그림 5.45. HRI 200년〉 118

〈그림 5.46. HRI 300년〉 118

〈그림 5.47. HRI 500년〉 118

〈그림 5.48. DII 50년〉 119

〈그림 5.49. DII 100년〉 119

〈그림 5.50. DII 200년〉 119

〈그림 5.51. DII 300년〉 119

〈그림 5.52. DII 500년〉 119

초록보기 더보기

I. 제목

이상홍수 대응기법의 국내외 사례 조사 및 대응전략 수립

II.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 홍수에 대한 구조적 대응의 한계점 제시

- 방재와 감재를 병행하는 통합홍수관리 전략 필요

- 홍수대응 전략 수립을 위한 이상홍수 취약성 지수 필요

III.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 홍수취약성 지수 산정 방안 개선

- 기후변화를 고려한 취약성 분석 기법 연구

- 의사결정 지원 기법 연구

- GIS 기반의 취약성 분석 시스템 고도화

IV. 연구개발결과

- GIS 기반의 선택적 홍수방어 의사결정 시스템 개발

V.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지역의 이상홍수 잠재 취약성 평가

- 이상홍수에 대한 홍수대응 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T000031149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이용불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