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머리말5

고려사백관지의 특성과 역주23

高麗史??志 序文 譯註 49

1 동반東班?경직京職

1-1 삼사三師?삼공三公

1-2 문하부門下府(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첨의부僉議府)

1-2-1 판문하判門下(중서령中書令?첨의령僉議令)

1-2-2 시중侍中(문하시중門下侍中?첨의중찬僉議中贊?정승政丞)

1-2-3 찬성사贊成事(평장사平章事)

1-2-4 평리評理(참지정사?知政事?참리?理)

1-2-5 정당문학政堂文學(참문학사?文學事)

1-2-6 지문하부사知門下府事(지문하성사知門下省事?지첨의부사知僉議府事)

1-2-7 상시常侍(산기상시散騎常侍)

1-2-8 직문하直門下(직도첨의直都僉議)

1-2-9 사의대부司議大夫(간의대부諫議大夫)

1-2-10 급사중給事中

1-2-11 사인舍人(중서사인中書舍人?첨의사인僉議舍人)

1-2-12 기거주起居注

1-2-13 기거랑起居郞

1-2-14 기거사인起居舍人

1-2-15 헌납獻納(보궐補闕?사간司諫)

1-2-16 정언正言(습유拾遺)

1-2-17 녹사錄事(문하녹사門下錄事?첨의녹사僉議錄事)

1-2-18 주서注書(중서주서中書注書?첨의주서僉議注書)

1-2-19 전무령典務令?수령관首領官

1-2-20 연속?屬 ■

1-3 상서성尙書省

(어사도성御事都省?상서도성尙書都省)

1-4 삼사三司

1-5 밀직사密直司(중추원中樞院?추밀원樞密院)

1-5-1 자정원資政院

1-6 이조吏曹(이부吏部?전리사典理司)

1-6-1 고공사考功司

1-7 병조兵曹(병부兵部?군부사軍簿司)

1-8 호조戶曹(호부戶部?판도사版圖司)

1-9 형조刑曹(형부刑部?전법사典法司)

1-9-1 도관都官

1-10 예조禮曹(예부禮部?예의사禮儀司)

1-11 공조工曹(공부工部?전공사典工司)

1-12 사헌부司憲府(어사대御史臺?감찰사監察司)

1-13 개성부開城府

1-14 예문관藝文館(한림원翰林院)

1-15 춘추관春秋館(사관史館)

1-16 보문각寶文閣?청연각淸燕閣

1-17 제관전학사諸館殿學士(숭문관崇文館?홍문관弘文館,문덕전文德殿?수문전修文殿?우문관右文館,

연영전延英殿?집현전集賢殿?진현관進賢館)

1-18 성균관成均館(국자감國子監)

1-19 전교시典校寺(비서성秘書省?비서감秘書監,부附어서원御書院)

1-20 통례문通禮門(각문閣門)

1-21 전의시典儀寺(태상부太常府?태상시太常寺?봉상시奉常寺)

1-22 종부시宗簿寺(전중성殿中省?전중시殿中寺?전중감殿中監?종정시宗正寺)

1-23 위위시衛尉寺(사위시司衛寺)

1-24 사복시司僕寺(태복시太僕寺)

1-25 예빈시禮賓寺(예빈성禮賓省?객성客省?전객시典客寺)

1-26 전농시典農寺(사농시司農寺)

1-27 내부시內府寺(태부시太府寺)

1-28 소부시小府寺(소부감小府監)

1-29 군자시軍資寺

1-30 선공시繕工寺(장작감將作監?선공감繕工監)

1-31 사재시司宰寺(사재감司宰監?사진감司津監?도진사都津司)

1-32 사수시司水寺

1-33 군기시軍器寺(군기감軍器監)

1-34 서운관書雲觀(태복감太卜監?사천대司天臺?사천감司天監?태사국太史局)

1-35 전의시典醫寺(태의감太醫監)

1-36 통문관通文館(사역원司譯院)

1-37 침원서寢園署(태묘서太廟署)

1-38 제릉서諸陵署

1-39 사온서司?署(양온서良?署)

1-40 사선서司膳署(상식국尙食局)

1-41 봉의서奉醫署(상약국尙藥局?상의국尙醫局)

1-42 장복서掌服署(상의국尙衣局)

1-43 사설서司設署(상사국尙舍局)

1-44 봉거서奉車署(상승국尙乘局)

1-45 공조서供造署(중상서中尙署)

1-46 경시서京市署

1-47 선관서膳官署(태관서太官署)

1-48 장야서掌冶署(영조국營造局)

1-49 도교서都校署

1-50 전악서典樂署(태악서太樂署 부 자운방附 紫雲坊)

1-51 내원서內園署

1-52 공역서供驛署

1-53 전구서典廐署

1-54 장생서掌牲署

1-55 도염서都染署(직염국織染局)

1-56 잡직서雜織署

1-57 사의서司儀署

1-58 수궁서守宮署

1-59 전옥서典獄署(대리시大理寺)

1-60 대창서大倉署

1-61 대영서大盈署

1-62 풍저창豊儲倉(우창右倉)

1-63 광흥창廣興倉(좌창左倉)

1-64 요물고料物庫

1-65 의영고義盈庫

1-66 장흥고長興庫

1-67 상만고常滿庫

1-68 내고內庫

1-69 내방고內房庫(의성창義成倉)

1-70 덕천고德泉庫(덕천창德泉倉)

1-71 의염창義鹽倉

1-72 상적창常積倉

1-73 보흥고寶興庫?유비창有備倉

1-74 전해고典?庫

1-75 가각고架閣庫

1-76 혜제고惠濟庫

1-77 의제고義濟庫

1-78 자섬사資贍司(제용사濟用司)

1-79 보원해전고寶源解典庫

1-80 태청관太淸觀

1-81 오부五部

1-82 연경궁제거사延慶宮提擧司

1-83 액정국掖庭局(내알사內謁司)

1-84 내시부內侍府

2 내직內職

2-1 내직內職

3 종실제군宗室諸君 부 이성제군附 異姓諸君

3-1 종실제군宗室諸君

3-2 이성제군異姓諸君

4 동궁관東宮官

4-1 동궁관東宮官

5 제비주부諸妃主府 부 제왕자부附 諸王子府

5-1 제비주부諸妃主府

5-2 제왕자부諸王子府

6 제사도감각색諸司都監各色(여러 사司?도감都監?각종 색色)

6-1 도평의사사都評議使司(도병마사都兵馬使)

6-2 식목도감式目都監

6-3 삼군도총제부三軍都摠制府

6-4, 순군만호부巡軍萬戶府

6-5 상서사尙瑞司(정방政房)

6-6 인부랑印符郞

6-7 승지방承旨房(인신사印信司)

6-8 회의도감會議都監

6-9 영송도감迎送都監

6-10 사면도감四面都監

6-11 산정도감刪定都監

6-12 전목사典牧司

6-13 팔관보八關寶

6-14 구복원勾覆院

6-15 내장택內庄(莊)宅

6-16 도재고都齋庫

6-17 도제고都祭庫

6-18 봉선고奉先庫

6-19 내궁전고內弓箭庫

6-20 창고도감

倉庫都監

6-21 행랑도감行廊都監

6-22 복두점?頭店

6-23 취선점聚仙店

6-24 경선점慶仙店

6-25 서적점書籍店

6-26 급전도감給田都監

6-27 제기도감祭器都監

6-28 노부도감鹵簿都監

6-29 도염원都?院

6-30 동?서대비원東?西大悲院

6-31 제위보濟危寶

6-32 혜민국惠民局

6-33 동?서재장東?西材場

6-34 광군사光軍司

6-35 정포도감征袍都監

6-36 양현고養賢庫

6-37 궁궐도감宮闕都監

6-38 관현방管絃房

6-39 가구소街衢所

6-40 구제도감救濟都監

6-41 예의상정소禮儀詳定所

6-42 액호도감額號都監

6-43 평두량도감平斗量都監

6-44 별례기은도감別例祈恩都監

6-45 산천비보도감山川裨補都監

6-46 수양장도감輸養帳都監

6-47 오가도감五家都監

6-48 융기도감戎器都監

6-49 교정도감敎定都監

6-50 구급도감救急都監

6-51 정사색淨事色

6-52 행종도감行從都監

6-53 전민변정도감田民辨正都監

6-54 전함병량도감戰艦兵粮都監

6-55 전함조성도감鈿函造成都監

6-56 방고감전별감房庫監傳別監

6-57 제주도루인물추쇄색濟州逃漏人物推刷色

6-58 포마차자색鋪馬箚字色

6-59 과부처녀추고별감寡婦處女推考別監

6-60 농무도감農務都監

6-61 연등도감燃燈都監

6-62 인물추고도감人物推考都監

6-63 제령부완호도감諸領府完護都監

6-64 경사교수도감經史敎授都監

6-65 선군選軍

6-66 응방鷹坊

6-67 내승內乘

6-68 찰리변위도감?理辨違都監

6-69 화자거집전민추고도감火者據執田民推考都監

6-70 반전도감盤纏都監

6-71 이학도감吏學都監

6-72 정치도감整治都監

6-73 해아도감孩兒都監

6-74 영복도감永福都監

6-75 홍복도감弘福都監

6-76~78 흥복도감興福都監?전보도감典寶都監?숭복도감崇福都監

6-79 예의추정도감禮儀推正都監

6-80 추쇄색推刷色

6-81 쇄권도감刷卷都監

6-82 흥왕도감興王都監

6-83 습사도감習射都監

6-84 금살도감禁殺都監

6-85 녹전봉상색祿轉捧上色

6-86 형인추정도감刑人推正都監

6-87 이학도감理學都監

6-88 공판도감供辦都監

6-89 도총도감都摠都監

6-90 화통도감火?都監

6-91 삼소조성도감三蘇造成都監

6-92 절급도감折給都監

6-93 추징색推徵色

6-94 무예도감武藝都監

6-95 점우색點牛色

6-96·97 별주색別酒色?별안색別鞍色

6-98 십학十學

6-99 한문도감漢文都監

6-100 세자조현색世子朝見色

6-101 제궁전관諸宮殿官

6-102 제릉직諸陵直

6-103 제진전직諸眞殿直

6-104 제관직諸館直

6-105 제단직諸壇直

6-106 제신묘직諸神廟直

6-107 제목감직諸牧監直

6-108 제요직諸窯直

6-109 제정원직諸亭院直

7 서반西班

7-1 서문序文

7-2 응양군鷹揚軍

7-3 용호군龍虎軍

7-4 좌우위左右衛

7-5 신호위神虎衛

7-6 흥위위興威衛

7-7 금오위金吾衛

7-8 천우위千牛衛

7-9 감문위監門衛

7-10 육위장사六衛長史

7-11 도부외都府外

7-12 의장부儀仗府

7-13 견예부堅銳府

7-14 충용사위忠勇四衛

8 외직外職

8-1 금유今有?조장租藏

8-2 병마사兵馬使

8-3 행영병마사行營兵馬使

8-4 전운사轉運使

8-5 안무사安撫使

8-6 안렴사按廉使(안찰사按察使)

8-7 감창사監倉使

8-8 염문사廉問使

8-9 권농사勸農使

8-10 찰방사察訪使

8-11 계점사計點使

8-12 지휘사指揮使

8-13 절제사節制使?순문사巡問使

8-14 도통사都統使

8-15 서경유수관西京留守官

8-16 동경유수관東京留守官

8-17 남경유수관南京留守官

8-18 단련사團練使?도단련사都團練使?자사刺史?관찰사觀察使

8-19 대도호부大都護府

8-20 제諸(여러)목牧

8-21 대도독부大都督府

8-22 중도호부中都護府

8-23 방어진防禦鎭

8-24 지주군知州郡

8-25 제諸(여러)현縣

8-26 제諸(여러)진鎭

8-27 관역사館(?)驛使

8-28 구당勾當

8-29 유학교수관儒學敎授官

9 훈勳

9-1 훈勳

10 작爵

10-1 작爵

11 문산계文散階

11-1 문산계文散階

12 무산계武散階

12-1 무산계武散階

찾아보기

머리말5

??고려사??백관지의 특성과 역주23

??高麗史??百官志 序文 譯註 49

1 동반東班?경직京職

1-1 삼사三師?삼공三公

1-2 문하부門下府(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첨의부僉議府)

1-2-1 판문하判門下(중서령中書令?첨의령僉議令)

1-2-2 시중侍中(문하시중門下侍中?첨의중찬僉議中贊?정승政丞)

1-2-3 찬성사贊成事(평장사平章事)

1-2-4 평리評理(참지정사?知政事?참리?理)

1-2-5 정당문학政堂文學(참문학사?文學事)

1-2-6 지문하부사知門下府事(지문하성사知門下省事?지첨의부사知僉議府事)

1-2-7 상시常侍(산기상시散騎常侍)

1-2-8 직문하直門下(직도첨의直都僉議)

1-2-9 사의대부司議大夫(간의대부諫議大夫)

1-2-10 급사중給事中

1-2-11 사인舍人(중서사인中書舍人?첨의사인僉議舍人)

1-2-12 기거주起居注

1-2-13 기거랑起居郞

1-2-14 기거사인起居舍人

1-2-15 헌납獻納(보궐補闕?사간司諫)

1-2-16 정언正言(습유拾遺)

1-2-17 녹사錄事(문하녹사門下錄事?첨의녹사僉議錄事)

1-2-18 주서注書(중서주서中書注書?첨의주서僉議注書)

1-2-19 전무령典務令?수령관首領官

1-2-20 연속?屬 ■

1-3 상서성尙書省

(어사도성御事都省?상서도성尙書都省)

1-4 삼사三司

1-5 밀직사密直司(중추원中樞院?추밀원樞密院)

1-5-1 자정원資政院

1-6 이조吏曹(이부吏部?전리사典理司)

1-6-1 고공사考功司

1-7 병조兵曹(병부兵部?군부사軍簿司)

1-8 호조戶曹(호부戶部?판도사版圖司)

1-9 형조刑曹(형부刑部?전법사典法司)

1-9-1 도관都官

1-10 예조禮曹(예부禮部?예의사禮儀司)

1-11 공조工曹(공부工部?전공사典工司)

1-12 사헌부司憲府(어사대御史臺?감찰사監察司)

1-13 개성부開城府

1-14 예문관藝文館(한림원翰林院)

1-15 춘추관春秋館(사관史館)

1-16 보문각寶文閣?청연각淸燕閣

1-17 제관전학사諸館殿學士(숭문관崇文館?홍문관弘文館,문덕전文德殿?수문전修文殿?우문관右文館,

연영전延英殿?집현전集賢殿?진현관進賢館)

1-18 성균관成均館(국자감國子監)

1-19 전교시典校寺(비서성秘書省?비서감秘書監,부附어서원御書院)

1-20 통례문通禮門(각문閣門)

1-21 전의시典儀寺(태상부太常府?태상시太常寺?봉상시奉常寺)

1-22 종부시宗簿寺(전중성殿中省?전중시殿中寺?전중감殿中監?종정시宗正寺)

1-23 위위시衛尉寺(사위시司衛寺)

1-24 사복시司僕寺(태복시太僕寺)

1-25 예빈시禮賓寺(예빈성禮賓省?객성客省?전객시典客寺)

1-26 전농시典農寺(사농시司農寺)

1-27 내부시內府寺(태부시太府寺)

1-28 소부시小府寺(소부감小府監)

1-29 군자시軍資寺

1-30 선공시繕工寺(장작감將作監?선공감繕工監)

1-31 사재시司宰寺(사재감司宰監?사진감司津監?도진사都津司)

1-32 사수시司水寺

1-33 군기시軍器寺(군기감軍器監)

1-34 서운관書雲觀(태복감太卜監?사천대司天臺?사천감司天監?태사국太史局)

1-35 전의시典醫寺(태의감太醫監)

1-36 통문관通文館(사역원司譯院)

1-37 침원서寢園署(태묘서太廟署)

1-38 제릉서諸陵署

1-39 사온서司?署(양온서良?署)

1-40 사선서司膳署(상식국尙食局)

1-41 봉의서奉醫署(상약국尙藥局?상의국尙醫局)

1-42 장복서掌服署(상의국尙衣局)

1-43 사설서司設署(상사국尙舍局)

1-44 봉거서奉車署(상승국尙乘局)

1-45 공조서供造署(중상서中尙署)

1-46 경시서京市署

1-47 선관서膳官署(태관서太官署)

1-48 장야서掌冶署(영조국營造局)

1-49 도교서都校署

1-50 전악서典樂署(태악서太樂署 부 자운방附 紫雲坊)

1-51 내원서內園署

1-52 공역서供驛署

1-53 전구서典廐署

1-54 장생서掌牲署

1-55 도염서都染署(직염국織染局)

1-56 잡직서雜織署

1-57 사의서司儀署

1-58 수궁서守宮署

1-59 전옥서典獄署(대리시大理寺)

1-60 대창서大倉署

1-61 대영서大盈署

1-62 풍저창豊儲倉(우창右倉)

1-63 광흥창廣興倉(좌창左倉)

1-64 요물고料物庫

1-65 의영고義盈庫

1-66 장흥고長興庫

1-67 상만고常滿庫

1-68 내고內庫

1-69 내방고內房庫(의성창義成倉)

1-70 덕천고德泉庫(덕천창德泉倉)

1-71 의염창義鹽倉

1-72 상적창常積倉

1-73 보흥고寶興庫?유비창有備倉

1-74 전해고典?庫

1-75 가각고架閣庫

1-76 혜제고惠濟庫

1-77 의제고義濟庫

1-78 자섬사資贍司(제용사濟用司)

1-79 보원해전고寶源解典庫

1-80 태청관太淸觀

1-81 오부五部

1-82 연경궁제거사延慶宮提擧司

1-83 액정국掖庭局(내알사內謁司)

1-84 내시부內侍府

2 내직內職

2-1 내직內職

3 종실제군宗室諸君 부 이성제군附 異姓諸君

3-1 종실제군宗室諸君

3-2 이성제군異姓諸君

4 동궁관東宮官

4-1 동궁관東宮官

5 제비주부諸妃主府 부 제왕자부附 諸王子府

5-1 제비주부諸妃主府

5-2 제왕자부諸王子府

6 제사도감각색諸司都監各色(여러 사司?도감都監?각종 색色)

6-1 도평의사사都評議使司(도병마사都兵馬使)

6-2 식목도감式目都監

6-3 삼군도총제부三軍都摠制府

6-4, 순군만호부巡軍萬戶府

6-5 상서사尙瑞司(정방政房)

6-6 인부랑印符郞

6-7 승지방承旨房(인신사印信司)

6-8 회의도감會議都監

6-9 영송도감迎送都監

6-10 사면도감四面都監

6-11 산정도감刪定都監

6-12 전목사典牧司

6-13 팔관보八關寶

6-14 구복원勾覆院

6-15 내장택內庄(莊)宅

6-16 도재고都齋庫

6-17 도제고都祭庫

6-18 봉선고奉先庫

6-19 내궁전고內弓箭庫

6-20 창고도감

倉庫都監

6-21 행랑도감行廊都監

6-22 복두점?頭店

6-23 취선점聚仙店

6-24 경선점慶仙店

6-25 서적점書籍店

6-26 급전도감給田都監

6-27 제기도감祭器都監

6-28 노부도감鹵簿都監

6-29 도염원都?院

6-30 동?서대비원東-31 제위보濟危寶

6-32 혜민국惠民局

6-33 동?서재장東?西材場

6-34 광군사光軍司

6-35 정포도감征袍都監

6-36 양현고養賢庫

6-37 궁궐도감宮闕都監

6-38 관현방管絃房

6-39 가구소街衢所

6-40 구제도감救濟都監

6-41 예의상정소禮儀詳定所

6-42 액호도감額號都監

6-43 평두량도감平斗量都監

6-44 별례기은도감別例祈恩都監

6-45 산천비보도감山川裨補都監

6-46 수양장도감輸養帳都監

6-47 오가도감五家都監

6-48 융기도감戎器都監

6-49 교정도감敎定都監

6-50 구급도감救急都監

6-51 정사색淨事色

6-52 행종도감行從都監

6-53 전민변정도감田民辨正都監

6-54 전함병량도감戰艦兵粮都監

6-55 전함조성도감鈿函造成都監

6-56 방고감전별감房庫監傳別監

6-57 제주도루인물추쇄색濟州逃漏人物推刷色

6-58 포마차자색鋪馬箚字色

6-59 과부처녀추고별감寡婦處女推考別監

6-60 농무도감農務都監

6-61 연등도감燃燈都監

6-62 인물추고도감人物推考都監

6-63 제령부완호도감諸領府完護都監

6-64 경사교수도감經史敎授都監

6-65 선군選軍

6-66 응방鷹坊

6-67 내승內乘

6-68 찰리변위도감?理辨違都監

6-69 화자거집전민추고도감火者據執田民推考都監

6-70 반전도감盤纏都監

6-71 이학도감吏學都監

6-72 정치도감整治都監

6-73 해아도감孩兒都監

6-74 영복도감永福都監

6-75 홍복도감弘福都監

6-76~78 흥복도감興福都監?전보도감典寶都監?숭복도감崇福都監

6-79 예의추정도감禮儀推正都監

6-80 추쇄색推刷色

6-81 쇄권도감刷卷都監

6-82 흥왕도감興王都監

6-83 습사도감習射都監

6-84 금살도감禁殺都監

6-85 녹전봉상색祿轉捧上色

6-86 형인추정도감刑人推正都監

6-87 이학도감理學都監

6-88 공판도감供辦都監

6-89 도총도감都摠都監

6-90 화통도감火?都監

6-91 삼소조성도감三蘇造成都監

6-92 절급도감折給都監

6-93 추징색推徵色

6-94 무예도감武藝都監

6-95 점우색點牛色

6-96·97 별주색別酒色?별안색別鞍色

6-98 십학十學

6-99 한문도감漢文都監

6-100 세자조현색世子朝見色

6-101 제궁전관諸宮殿官

6-102 제릉직諸陵直

6-103 제진전직諸眞殿直

6-104 제관직諸館直

6-105 제단직諸壇直

6-106 제신묘직諸神廟直

6-107 제목감직諸牧監直

6-108 제요직諸窯直

6-109 제정원직諸亭院直

7 서반西班

7-1 서문序文

7-2 응양군鷹揚軍

7-3 용호군龍虎軍

7-4 좌우위左右衛

7-5 신호위神虎衛

7-6 흥위위興威衛

7-7 금오위金吾衛

7-8 천우위千牛衛

7-9 감문위監門衛

7-10 육위장사六衛長史

7-11 도부외都府外

7-12 의장부儀仗府

7-13 견예부堅銳府

7-14 충용사위忠勇四衛

8 외직外職

8-1 금유今有?조장租藏

8-2 병마사兵馬使

8-3 행영병마사行營兵馬使

8-4 전운사轉運使

8-5 안무사安撫使

8-6 안렴사按廉使(안찰사按察使)

8-7 감창사監倉使

8-8 염문사廉問使

8-9 권농사勸農使

8-10 찰방사察訪使

8-11 계점사計點使

8-12 지휘사指揮使

8-13 절제사節制使?순문사巡問使

8-14 도통사都統使

8-15 서경유수관西京留守官

8-16 동경유수관東京留守官

8-17 남경유수관南京留守官

8-18 단련사團練使?도단련사都團練使?자사刺史?관찰사觀察使

8-19 대도호부大都護府

8-20 제諸(여러)목牧

8-21 대도독부大都督府

8-22 중도호부中都護府

8-23 방어진防禦鎭

8-24 지주군知州郡

8-25 제諸(여러)현縣

8-26 제諸(여러)진鎭

8-27 관역사館(?)驛使

8-28 구당勾當

8-29 유학교수관儒學敎授官

9 훈勳

9-1 훈勳

10 작爵

10-1 작爵

11 문산계文散階

11-1 문산계文散階

12 무산계武散階

12-1 무산계武散階

찾아보기

이용현황보기

『高麗史』 百官志 譯註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457242 951.4 -9-2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457243 951.4 -9-2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고려는 우리 역사상 918년부터 1392년까지 존재했던 국가이다. '高麗史'는 이 나라가 終焉을 告한 얼마 뒤인 조선 초에 ‘前代의 역사를 修撰하는’ 規例에 따라 고려의 전체 역사 과정을 엮어 펴낸 역사서인데, 형식은 잘 알려진 대로 世家(本紀)와 志?列傳 등으로 구분하여 수찬한 紀傳體 史書로서 百官志는 말할 것도 없이 그 가운데에서 志의 일부를 이루는 편목이다.
志는 지금으로 이야기하면 분류사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지마는, 百官志는 역시 명칭 그대로 고려의 정치조직과 행정기구들을 다룬 부분이다. 그리하여 여기에는 그들 조직, 기구의 업무와 기능, 처음으로 실시되거나 설치된 시기, 관직과 품계, 그의 변천 등이 하나하나 기술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이해는 고려시대의 역사를 살펴감에 있어 ‘기본 가운데서도 기본이 되는 내용’이라고 말해도 좋지 않을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