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서문_7

1권 기초 단계

제1부: 당신 자신과 당신의 아이디어
1장 감독의 역할_17
2장 예술가적 정체성 규정하기_37
3장 이야기 아이디어 발전시키기_48
4장 제안서 작성과 피치(Pitch)_65

제2부: 다큐멘터리와 영화언어
5장 다큐멘터리 언어_81
6장 다큐멘터리의 요소와 문법_114

제3부: 사전 제작
7장 사전 조사_135
8장 제작진 발굴_147

제4부: 제작
9장 카메라 장비_257
10장 조명_178
11장 현장 음향(로케이션 사운드)_192
12장 연출_214

제5부: 후반 작업
13장 편집: 시작부터 가편집 모니터링까지_227
14장 편집: 수정 과정_248
15장 편집: 파인 컷에서 사운드믹싱까지_263
16장 타이틀 및 크레딧_277

부록_281
번역을 마치며_340

이용현황보기

다큐멘터리 교과서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500581 070.18 -10-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500582 070.18 -10-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다큐멘터리 만들기》는 마이클 레비거가 쓴 다큐멘터리에 관한 모든 것이 담긴 방대한 책 <Directing the Documentary, Fifth Edition>를 번역한 책이다. 《다큐멘터리 만들기》는 원저의 첫 번째 파트를 번역한 책으로 지은이의 깊은 통찰력과 풍부한 제작 경험에서 나온 현실적인 문제의식, 그리고 강의하듯이 풀어나간 세심함 등이 장점으로 다큐멘터리의 교과서와 같은 책이다.
다큐멘터리 역사나 미학에 대한 풍부한 내용과 실제 제작에 필요한 제작 실무를 함께 다룬 다큐멘터리 책은 매우 드문 실정인데, 이런 상황에서 출간된 이 책은 독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다큐멘터리 제작 환경의 변화를 충실하게 반영하여, 디지털 제작에 관한 정보나 개념까지도 다룬다. 특히 이 책은 다큐멘터리 제작에 관심 있는 독자 자신이 제작 실무를 효과적으로 익힐 수 있도록 많은 연습 과제들을 부록에 수록했다. 제작 실무를 다룬 내용 중 특히 제안서를 작성하는 방법과 피치(pitch)에 관한 내용은 다큐멘터리 제작자뿐 아니라 극영화 연출지망생과 작가 지망생들에게도 필독을 권하고 싶은 대목이다. 2000년대 이후 제작된 다큐멘터리 중에서 주목할 만한 작품을 소개함으로써 독자들이 최근의 경향을 쉽게 알 수 있도록 배려한 것도 이책의 또 다른 장점이다.
이제 막 영화를 시작하거나 경험자라 할지라도 진지하게 자기 모색을 하는 독자들이라면 이 책이 훌륭한 길잡이가 될 것으로 생각하며, 전문가 단계를 다룬 두 번째 파트도 곧 번역되어 만나길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