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해외 광물자원 확보 기반구축 및 부존평가 / 지식경제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과천] : 지식경제부, 2009
자료실
전자자료
형태사항
lvi, 790 p. : 삽화, 사진, 지도 ; 30 cm
제어번호
MONO1201010528
주기사항
연구기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주관연구책임자: 서정률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보고서 요약서

요약문

Summary

Contents

목차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58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64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67

제1절 자원협력 67

제2절 베트남 122

제3절 아르헨티나 196

제4절 우즈베키스탄 391

제5절 카자흐스탄 559

제6절 DB구축 588

제7절 광산개발을 위한 광산설계와 채광법 및 경제성분석을 위한 평가방법 745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818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828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832

제7장 참고문헌 836

Table 2-1. Production of Mineral Commodities of Vietnam 159

Table 2-2. Content of common metallic and industrial mineral on ore-bearing specimens obtained from the Pb-Zn and W mineralized zone in the northern part of Vietnam 181

Table 2-3. EPMA analyses of sphalerite from Bang Tanh Pb-Zn mineralized area in the northern part of Vietnam 184

Table 2-4. Content of common metallic and industrial mineral of heavy sand obtained from panning with stream sediment within W-mineralized zone in the northern part of Vietnam 188

Table 3-1. Radiogenic age using K/Ar for San Jorge deposit 231

Table 3-2. K- alteration process occurred on San Jorge deposit 231

Table 3-3. Summary of Survey Results from San Jorge deposit 242

Table 3-4. Summary of Drilling results from Paramillos Sur deposit area 249

Table 3-5. Estimated Reserves of Studied area 253

Table 3-6. Summary of Survey Results from Paramillos Sur deposit 254

Table 3-7. Production of metal minerals in Argentina 258

Table 3-8. Vein descriptions of Paramillos de Uspallata deposit 263

Table 3-9. Summary of Survey Results from Paramillos de Uspallata deposit 264

Table 4-1. Dulona 금 광화대의 각 광체별 지질·광상자료 요약 418

Table 4-2. Dulona 금 광화대의 금 품위 및 매장량 산정 419

Table 4-3. Severo-Turkestanskaya 지역의 금 탐사를 위한 지시원소 그룹 431

Table 4-4. Severo-Turkestanskaya 지역내 지화학 원소의 기준치 432

Table 5-1. Ownership rights related to the subsurface and subsurface use. 566

Table 5-2. Regulative bodies in the mining sector. 567

Table 5-3. Procedure for pre-emptive rights realization. 568

Table 5-4. Types of the subsurface use contracts under the new legislation. 569

Table 5-5. Procedure for granting a subsurface use right in a tender. 569

Table 5-6. Application to participate in a tender and competitive bid. 572

Table 5-7. Draft documents necessary to sign a subsurface use contract. 575

Table 5-8. Application of the MET in the mining sector. 580

Table 5-9. Mineral Extraction Tax(MET) rates on minerals. 581

Table 5-10. Excess Profit Tax rates - 2009F assumption (%). 582

Table 5-11. Tax rates(%) in the resource-rich countries. 584

Table 5-12. Time(hours per year) to comply with taxes in other countries. 585

Table 6-4-1. 연구지역의 공간 데이터베이스 668

Table 6-4-2. 뉴로-퍼지 추론 시스템 모델의 구조 679

Table 6-4-3. North Sumatra Sumurt 지역의 공간 데이터베이스 686

Table 6-4-4. North Sulawesi Utara 지역의 공간 데이터베이스 687

Table 6-4-5. North Sumatra Sumut 지역의 금속광상과 관련 요인들의 등급별 빈도비 698

Table 6-4-6. North Sulawesi Utara 지역의 금속광상과 관련 요인들의 등급별 가중치 703

Table 6-4-7. Panay 지역의 공간 데이터베이스 714

Table 6-4-8. Cebu 지역의 공간 데이터베이스 714

Table 6-4-9. Cebu 지역의 금광상과 관련 요인들간의 빈도비 724

Table 6-4-10. Panay 지역의 금광상과 관련 요인들간의 가중치 727

Table 6-4-11. 연구지역 Kuljuktau의 공간 데이터베이스 733

Table 6-4-12. 연구지역 Kuljuktau의 광상 현황 734

Table 6-4-13. Kuljuktau의 지질도 범례 740

Table 6-4-14. Kuljuktau의 금광상과 관련 요인들간의 빈도비 741

Table 7-1. 매장량 평가를 위한 일반적 절차 749

Table 7-2. 광산설계용 S/W의 비교. 753

Table 7-3. 노천채굴법별 적용기준 764

Table 7-4. Comparison of U/G Methods 772

Table 7-5. Selection Chart for U/G Methods 772

Table 7-6. 채광계획표 780

Table 7-7. 사회주의 국가 매장량 평가 795

Table 7-8. 광산 개발 투자 내용 801

Table 7-9. 운영비 비목 803

Fig. 1-1 Meeting between KIGAM and INGEMMET in Lima, Peru. 69

Fig. 1-2. The 4th meeting of the Peru-Korea Joint Committee for Energy and Mineral Resources Cooperation in Lima, Peru. 72

Fig. 1-3. MOU between KIGAM and INGEMMET made during the Peru-Korea Joint Committee for Energy and Mineral Resources Cooperation in Lima, Peru. 73

Fig. 1-4. MOU between KIGAM and INGEMMET made during the Peru-Korea Joint Committee for Energy and Mineral Resources Cooperation in Lima, Peru. 74

Fig. 1-5. The Peru-Korea Joint Committee for Energy and Mineral Resources Cooperation in Lima, Peru. 74

Fig. 1-6. The Cooperation Forum of Industry of Korea-Peru, Lima, Peru. 76

Fig. 1-7. IIMP and meeting in the IIMP (Instituto de Ingenieros de Minas del Peru). 77

Fig. 1-8. Meeting in the IIMP (Instituto de Ingenieros de Minas del Peru). 77

Fig. 1-9. Location of survey area in the Ancash, Peru (INGEMMET, 2008). 79

Fig. 1-10. Cerro Blanco survey area, Ancash province, Peru. 79

Fig. 1-11. Columnar joint developed in the Cretaceous volcanic rocks on the road between Baranca and Conococha, Ancash, Peru. 79

Fig. 1-12. Locality map of surveyed areas (Cerro Blanco and Cajacay area, 3,700m) around Ancash area, Peru. 80

Fig. 1-13. Geology and geological structures around Ancash area, Peru (INGEMMET, 2008). 80

Fig. 1-14. Cooperated survey areas (2006-2008) and Andahualyas area (2010). 82

Fig. 1-15. Metallogenic belts of Peru with Andahualyas area. 83

Fig. 1-15. (continued) Metallogenic belts of Peru with Andahualyas area. 84

Fig. 1-16. Regional geology and tectonics around Andahualyas area, Peru. 85

Fig. 1-17. Geology and geological structures around Andahualyas area, Peru. Paleogene granitoids & intruded porphyry small stocks (left). Porphyry Cu, Cu-Ag, Cu-Au & Cu-Mo, Metasomatic Cu & Cu-Au (right). The mineralized belt extends to Chilean territory. 85

Fig. 1-18. Main ore deposits and age data of the Andahualyas area, Peru. 86

Fig. 1-19. Geologic map of the Andahualyas area, Peru (INGEMMET, 2009). 86

Fig. 1-20. Geologic structural map of the Andahualyas area, Peru (INGEMMET, 2009). 87

Fig. 1-21. Distribution map of intusive rocks of the Andahualyas area, Peru (INGEMMET, 2009). 87

Fig. 1-22. Geochronology map of the Andahualyas area, Peru (INGEMMET, 2009). 88

Fig. 1-23. Metallogenic map of the Andahualyas area, Peru (INGEMMET, 2009). 88

Fig. 1-24. Stream sediment map of the Andahualyas area, Peru (INGEMMET, 2009). 89

Fig. 1-25. Au isovalolic map (INGEMMET, 2009). 89

Fig. 1-26. Ag isovalolic map (INGEMMET, 2009). 90

Fig. 1-27. Cu isovalolic map (INGEMMET, 2009). 90

Fig. 1-28. Pb isovalolic map (INGEMMET, 2009). 91

Fig. 1-29. Zn isovalolic map (INGEMMET, 2009). 91

Fig. 1-30. Fe isovalolic map (INGEMMET, 2009). 92

Fig. 1-31. Mo isovalolic map (INGEMMET, 2009). 92

Fig. 1-32. Mining properties map (INGEMMET, 2009). 93

Fig. 1-33. Ministry of Industry, Mines and Energy. 94

Fig. 1-34. Organization chart of ministry of Industry, Mines and Energy. 95

Fig. 1-35. Meeting in the Department of Geology, Cambodia. 96

Fig. 1-36. Meeting in the CNPA, Cambodia. 97

Fig. 1-37. Mining property map and information of coal mine in the northern Cambodia. 97

Fig. 1-38. Police office and road around coal mine in the northern Cambodia. 98

Fig. 1-39. Coal mine area and outcrop of coal seams in the northern Cambodia. 98

Fig. 1-40. Reverse fault cutting coal seams and striation showing dip-slip movement. 99

Fig. 1-41. Mudstone with high angle of dip and interbeded limestone developed in the northern Cambodia. 99

Fig. 1-42. Coal mine area and outcrop of coal seams in the northern Cambodia. Two policemen are for security. 99

Fig. 1-43. Rainy season with heavy rains in Cambodia. 101

Fig. 1-44. Meeting of Korean companies CEO with officiers of the Cambodian government 103

Fig. 1-45. Meeting between KIGAM-DGMR, Cambodia. 103

Fig. 1-46. MOU between KIGAM-GDMR. 103

Fig. 1-47. MOU between KIGAM-GDMR. 104

Fig. 1-48. Locality map and geologic map around gold mine area in the northeastern part of Cambodia (Geolife, 2009). 105

Fig. 1-49. Geochemical anomaly map around Mondukiri gold mine area in the northeastern part of Cambodia (Geolife, 2009). 106

Fig. 1-50. Department of Geology, Laos. 108

Fig. 1-51. Meeting in the Department of Geology, Laos. 108

Fig. 1-52. Information map on the 1: 100,000 geologic map of Laos. 109

Fig. 1-53. Photos in the 3th Korea-Chile Mineral Resources Cooperative Committee Meeting. 115

Fig. 1-54. 러시아 프로젝트 결과 보고 116

Fig. 1-55. 한국 광해관리 공단 현황 발표 116

Fig. 1-56. 함석류석층 120

Fig. 1-57. 석류석 샘플링 120

Fig. 1-58. Hopunvaara 다금속 광상 120

Fig. 1-59. 함자철석 노두 120

Fig. 2-1. Schematic map of major Cenozoic fault zone in eastern Asia 123

Fig. 2-2. Tectonic division of the territory of Vietnam. 124

Fig. 2-3. Tectonic map and Simple field geological map of Vietnam 125

Fig. 2-4. Geological history of the Vietnam 126

Fig. 2-5. Geotectonic map of northern Vietnam area 128

Fig. 2-6. (left) Indochina and surrounding crustal blocks involved in the Indosinian orogeny and the main suture zones (heavy green/grey lines); adapted from (Lepvrier et al., 2004). Arrows are related to Indosinian strike-slip... 147

Fig. 2-7. Proposed tectonic subdivision of mainland Southeast Asia, showing the Palaeo-Tethys Suture Zone and back-arc sutures. The occurrence of deep-sea sediments in each local suture is indicated (for the Palaeo-Tethys Suture Zone... 149

Fig. 2-8. Major Indosinian shear and mylonitized zones in Vietnam (heavy solid lines): WNW-trending dextral system in the Truong Son belt and oblique-slip sinistral shear at the western border of the Kontum Massif (Po Ko shear zone).... 150

Fig. 2-9. India-Asia collision and distribution of stress field in Indochina, before 30 Ma (left) and present day (right)(Mattauer et al., 2000). 151

Fig. 2-10. Structural sketch of SE Asia from Leloup et al. (2001). ASRR shear zone: XLS = Xue Long Shan; DCS = Dian Cang Shan; DNCV = Day Nui Con Voi. South China Sea seafloor is ligthly shaded. Divergent arrows A, B and C... 151

Fig. 2-11. Boundaries (heavy colored lines) of the Sunda (SU) and Burma (BU) plates; surrounding plates include India (IN), Australia (AU), and Yangtze (YA). The southeastern prong of Eurasia (EU) is not stable but is part of the... 153

Fig. 2-12. Mineral resources of the Vietnam. 158

Fig. 2-13. Location map of the investigation area 168

Fig. 2-14. Geologic map of the investigation area(scale 1:200,000) 169

Fig. 2-15. Location of the investigated Pb-Zn and W mineralization belt on the Ban Nghe topographic map scaled as 1: 50,000 170

Fig. 2-16. Photographs of sheelite grain obtained from heavy sands during panning. (a) Heavy sand minerals including scheelite obtained from panning. (b) Scheelite grains showing the specific fluorescence after using the ultraviolet lamp. 171

Fig. 2-17. Route map of geologic investigation on the Pb-Zn mineralization area located at Bang Thanh 172

Fig. 2-18. Cross section of trench 2 and grades of lead-zinc measured from line sampling for the lead-zinc ore body 173

Fig. 2-19. Cross-section of surficial lead-zinc ore body and grades of lead-zinc measured from pitting sample 173

Fig. 2-20. Cross-section of trench 5 and grades of lead-zinc measured from line sampling of lead-zinc ore body 174

Fig. 2-21. Iron-bearing outcrop in Bang Tanh Pb-Zn mineralized zone 175

Fig. 2-22. Slope bearing the iron formation with the width of 6m and the extension of 200m 175

Fig. 2-23. Strongly weathered zone with width of 10m showing lead and zinc anomaly 175

Fig. 2-24. Barite-bearing outcrop showing the trace of small-scale mining by local people 175

Fig. 2-25. Color of soil showing the anomaly of lead and zinc 175

Fig. 2-26. Panoramic view of Bang Tanh Pb-Zn mineralized zone 175

Fig. 2-27. GP5-009: Barite ore with lead-zinc ore (Sample No. A-1). 176

Fig. 2-28. Trench-4: length 5.6m, width 3m, attitude N75°W 176

Fig. 2-29. GPS 010: Trench-4. Galena in barite veinlet within limestone (Sample No. A-2). 176

Fig. 2-30. GPS 011: Occurrence of fine-grained galena disseminated along the fractures within silicified limestone 176

Fig. 2-31. GPS 012: Irregular galena occurrence within silicified limestone or galena disseminated in barite (Sample No. A-2). 176

Fig. 2-32. GPS 015: Trench-3. Silicified limestone bearing high-grade galena 176

Fig. 2-33. GPS-015. Ore vein sample showing high-grade galena(Sample No. A-4). 176

Fig. 2-34. GPS-016: Trench-2. length 20m, width 3m, attitude N75°W. attitude of country rock N60W/10N. Footwall No.1 ore vein, width 5-20cm, N60W/35N, N10W/30N. 176

Fig. 2-35. GPS 017: Fine-grained euhedral galena occurred from footwall No. 2 ore vein(Sample No. A-5). 176

Fig. 2-36. GPS 018: Oxidized zone of surface on upper part of footwall No. 1 ore vein 176

Fig. 2-37. GPS 019: Galena-bearing ore vein developed within silicified limestone. Attitude of country rock, N10°W/10°S 177

Fig. 2-38. GPS 019: Pb-Zn ore body developed along the limestone formation. It is observed that galena and fine-grained pyrite are enriched(Sample No. A-6) 177

Fig. 2-39. Route map on the investigation of geology and ore deposit within W-I mineralized zone scaled as 1:5,000 178

Fig. 2-40. Route map on the investigation of geology and ore deposit within W-II mineralized zone scaled as 1:5,000 179

Fig. 2-41. Panoramic view of W-II mineralized belt 180

Fig. 2-42. Skarn outcrop of W-II mineralized belt with scheelite 180

Fig. 2-43. Recrystallized leucocratic limestone around granite of W-II mineralized belt 180

Fig. 2-44. Recrystallized and skarnized limestone within W-II mineralized belt 180

Fig. 2-45. Panoramic view of W-III mineralized belt 180

Fig. 2-46. Recrystallized limestone bearing toumaline within W-III mineralized belt 180

Fig. 2-47. Limestone interbedded with mica schist within W-III mineralized belt 180

Fig. 2-48. Copper bearing skarn sample within W-III mineralized belt 180

Fig. 2-49. Panning of heavy sand within W-III mineralized belt 180

Fig. 2-50. Metasandstone outcrop within W-III mineralized belt 180

Fig. 2-51. Barite vein with lead-zinc ore and its reflected photomicrograph(Sample No. A-1). Galena, Chalcopyrite and Unknown mineral(Sb-Pb-Cu-Fe-O) assemblage infilling the fracture of barite vein. scale... 181

Fig. 2-52. Ore vein sample showing high-grade galena(Sample No. A-4). Galena, Chalcopyrite and Sphalerite assemblage infilling the fracture of recrystallized limestone. scale bar=100㎛. Abbreviations; Sp=Sphalerite, Cp=Chalcopyrite, Gn=Galena. 182

Fig. 2-53. Photomicrographs of limestone bearing lead-zinc ore within Bang Thanh Pb-Zn mineralized area. Sample Location: N22°39' 46.1 ", E105°41' 51.8", altitude=557m, Sample No.=A-6 183

Fig. 2-54. Galena(Gn) coexisting with sphalerite(Sp). Scale bar=100㎛. Sample No.=A-3 184

Fig. 2-55. Galena(Gn) coexisting with sphalerite(Sp) in chalcopyrite disease(Cp). Scale bar=100㎛. Sample No.=A-4 184

Fig. 2-56. Sphalerite(Sp) coexisting with pyrite(Py) Scale bar=100㎛. Sample No.=VN-4 185

Fig. 2-57. Sphalerite(Sp) coexisting with galena(Gn). Scale bar=100㎛. Sample No.=VN-4 185

Fig. 2-58. Sphalerite(Sp) infilling the microfractures of quartz(Qtz). Scale bar=100㎛. Sample No.=VN-8 185

Fig. 2-59. Sphalerite(Sp) infilling the fractures of barite vein. Scale bar=100㎛. Sample No.=VN-9 185

Fig. 2-60. Photomicrographs of greisen within W-III mineralized area. Sample Location: GPS 049, Sample No.=D-1-2. Abbreviations: kfs=k-feldspar, mu=muscovite, qtz=quartz, 187

Fig. 2-61. Photomicrographs of skarn within W-III mineralized area. Sample Location: GPS 047, Sample No.=D-2-1. Abbreviations: cc=calcite, grt=garnet, opx=orthopyroxene 187

Fig. 2-62. Ore vein sample showing copper-bearing skarn (Sample No. D-6) Chalcopyrite(Cp) with pyrrotite(Po) inclusion and marcasite(Mc) coexisting with chalcopyrite(Cp) assemblage infilling the bedding of recrystallized limestone. scale... 187

Fig. 2-63. Scheelite grain (a) before using UV lamp, (b) scheelite grain showing specific fluorescence. Sample Location=Boc Bo W-II mineralized zone. 188

Fig. 3-1. Study area and surface comparison with S. korea at same scale 198

Fig. 3-2. Morphostructural Provinces of the Central Andes. 1: Coastal Cordillera, 2: Precordillera, 3: Western Cordillera, 4:Altiplano-Puna, 5:Eastern Cordillera, 6: Sub-Andean Ranges, 7: Pampean Ranges, 8: Famatina 201

Fig. 3-3. Allochthonous terranes of southern S. America(Modified from Ramos, 1988) 205

Fig. 3-4. Schematic cross section of the S. American margin at 29-33°S during Carboniferous to Early Triassic times. From Mpodizis and Ramos(1990) 206

Fig. 3-5. Rhyoolitic porvinces of S. America. Red areas are exposures; blue areas are equivalent volcanic arc rocks. Circles represent oil wells in which the rhyolites have been intersected. Yellow and green areas represent possible... 209

Fig. 3-6. Main batholiths and stocks of Late Paleozoic - Early Mesozoic age. From Ramos(2000) 210

Fig. 3-7. Triassic paleogeography of the Gondqana margin showing location of the main rift systems. From Ramos and Kay(1991) 211

Fig. 3-8. Location of depocenters in S. Central Chile formed during Triassic-Jurassic extension. From Franzese and Spalletti(2001) 212

Fig. 3-9. Schematic cross section of the S. American margin at ~37°S during Late Carboniferous to Middle Jurassic times. From Franzese and Spalletti(2001) 213

Fig. 3-10. Different tectonic regimes in Southern Central Andes, showing the change between and extentional and compressional regime at anout 115 Ma (Ramos and Aleman (2000)) 216

Fig. 3-11. Overview of San Jorge ore deposit; a) Drilling core collections b) Typical mineral of chrysocolla on oxidized zone and chalcopyrite on primary zone c) Brecciated outcrop and blue color chrysocolla d) Field office and deposit area 219

Fig. 3-12. Geological map of survey area 223

Fig. 3-13. Distribution map of mineralized zone of 2775N 229

Fig. 3-14. Schematic Figure of hydrothermal alteration zone occurred on San Jorge deposit 234

Fig. 3-15-a. Schematic structure showing geological history 239

Fig. 3-15-b. Continued 240

Fig. 3-15-c. Continued 241

Fig. 3-16. Overview of Paramillos Sur deposit a) Enriched cu area, b) Altered host rocks, c) and d)Enriched chrysocolla on host rock surface 246

Fig. 3-17. Geology of Paramillos Sur deposit area 250

Fig. 3-18. Main outcrop: Topology, Alteration, Drilling, Volume 251

Fig. 3-19. Geophysical results of Paramillos Sur deposit area 252

Fig. 3-20. Overview of Uspallata deposit a) and b) Altered and brecciated diabase outcrop, C) closed small scale mine d) micro structure of hydrothermal ore veinlets 261

Fig. 3-21. Vein system of Paramillos de Uspallata deposit 262

Fig. 3-22. Metallogenic provinces in the Central Andes; I:Precordillera Copper Province(a.Paleocence-Lower Eocence, b. Upper Eocene-Lower Oligocene), II: Altiplano Polymetallic Province(a.Western Belt, b.Eastern Belt), III. Eastern Cordillera Tin Province, IV. Eastern Polymetallic Province 272

Fig. 3-23. Location map of major deposits and projects, Argentina 273

Fig. 3-24. Sample of GIS Layers for deposit, geochemistry, geology and landsat. 276

Fig. 3-25. Geophysical sample of GIS Layers 277

Fig. 3-26. GIS DB for ore mineral deposits 278

Fig. 4-1. Dulona 금광상의 현지 야외조사 현장 393

Fig. 4-2. Severo-Turkestanskaya 조사지역 위치 394

Fig. 4-3. Severo-Turkestanskaya 지역의 지질과 금 및 희토류 광물 산출지 (1:50,000 축척) 396

Fig. 4-4. Zarafshan-Turkestan 지체구조대의 분포 399

Fig. 4-5. Severo-Turkestanskaya 지역의 지질과 금 광화대 (1:25,000 축척) 405

Fig. 4-6. Severo-Turkestanskay 금 광화대에 산출되는 함-금 열수 석영맥 시료 406

Fig. 4-7. Dulona 금 광상의 전경 및 트렌치 409

Fig. 4-8. 변성퇴적암내의 함-금 열수석영맥 409

Fig. 4-9. 변성퇴적암내의 변성기원의 석영맥 409

Fig. 4-10. Dulona 금 광상의 기존 시추공 409

Fig. 4-11. Dulona 금 광상의 그물앙상형 함-금 열수 석영 세맥군 409

Fig. 4-12. Dulona 광상의 지질 및 지표 품위를 보이는 금 광체 구획도면 (1: 25,000 축척) 414

Fig. 4-13. Dulona 금 광상의 지질, 트렌치 및 지표 품위를 보이는 금 광체도면 (1:10,000 축척) 415

Fig. 4-14. Dulona 금 광상의 광체-1의 주변지질도 및 지표품위(1: 1,000 축척) 416

Fig. 4-15. Dulona 금 광상의 광체-3의 주변지질도 및 지표품위 (1: 2,000 축척) 417

Fig. 4-16. Chabatskaya 금 광상의 전경 및 트렌치 421

Fig. 4-17. 변성퇴적암내의 함-금 열수석영맥을 절단하는 기존의 트렌치 탐사 현장 421

Fig. 4-18. 변성퇴적암내의 함 금 열수 석영맥 421

Fig. 4-19. Chabatskaya 금 광상의 모암인 운모질 편암의 노두 사진 421

Fig. 4-20. 2개의 광화시기을 보여주는 함-금 석영맥 421

Fig. 4-21. Chabatskaya 금 광상의 지질 및 광체 422

Fig. 4-22. Chabatskaya 금 광상의 지질 및 광체 423

Fig. 4-23. Chabatskaya 금 광상의 지질단면도 및 광체 423

Fig. 4-24. Ajbodam 금 광상의 지질과 광체 구획 및 지표품위 426

Fig. 4-25. Aibadam 금 광상의 전경 및 트렌치 427

Fig. 4-26. 천매암내의 평행한 단열대를 충진한 함-금 열수석영 세맥군 427

Fig. 4-27. 변성퇴적암내의 단열대를 충진한 함-금 열수 석영맥 427

Fig. 4-28. 모암과 같은 구조를 보여주는 함-금 석영맥 427

Fig. 4-29. 트렌치 현장에서 보이는 함-금 석영맥군 427

Fig. 4-30. Geochemical map of the North Turkestanskya area 437

Fig. 4-31. The scheme of tectonic structure of Zarafshan Turkestan structural formation zones. 464

Fig. 4-32. Schematic geological map and cross section of the Nauka gold occurrence 489

Fig. 4-33. Geological map of the Chabatskoye gold occurrence 1 - quaternary deposits: Lower Silurian, Llandoverian stage: 2 - alternation of shales and limestones, intercalating siltstone and sandstones, 3 - shales with... 490

Fig. 4-34. Geological cross section along A B line 491

Fig. 4-35. Map of the trench prospect from the Severo-Turkestanskaya gold mineralized area 548

Fig. 4-36. Geological and ore bodies showing ore-grades from the Ajbodam gold deposit 549

Fig. 4-37. Geoloigical map showing gold ore bodies from Chabatskya deposit 550

Fig. 4-38. Geoloigical map showing gold ore body-3 and grades from Dulona deposit 551

Fig. 4-39. Geoloigical map showing gold ore bodies and grades from Dulona deposit 552

Fig. 4-40. Lithogeochemical prospectiong map from the North Turkestanskya area 553

Fig. 4-41. Magnetic prospectiong map from the North Turkestanskya area 554

Fig. 4-42. Geological map showing gold mineralization from the northern Turkestanskya area 555

Fig. 4-43. Metallogenic map showing 12 gold occurrences from the northern Turkestanskya area 556

Fig. 4-44. Geological and terech prospecting map showing gold ore bodies from Dulona gold deposit 557

Fig. 4-45. Geological map showing gold ore bodies from Dulona gold deposit 558

Fig. 5-1. 광물자원분포자료 DB 구축 연구지역. 564

Fig. 5-2. 기반시설 및 지형도. 564

Fig. 5-3. 지질도. 564

Fig. 5-4. 지구조도. 564

Fig. 5-5. 화성암과 광상분포도. 564

Fig. 5-6. 자력이상도. 564

Fig. 5-7. 중력이상도. 564

Fig. 5-8. 위성자료. 564

Fig. 5-9. Digital elevation model. 565

Fig. 6-1-1. 몽골 SRTM 영상(Path/Row: 127/23) 591

Fig. 6-1-2. 우즈베키스탄 Landsat-7 ETM+영상 (153/31) 592

Fig. 6-1-3. 몽골 M-48-33지역 ASTER 영상 592

Fig. 6-1-4. 몽골 EO-1위성 ALI 영상 593

Fig. 6-1-5. 몽골 EO-1 Hyperion 영상 593

Fig. 6-1-6. 몽골 지형도 (1:10만) 594

Fig. 6-1-7. 러시아 지형도 (1:4백만) 594

Fig. 6-1-8. 칠레 지형도 (1:5만) 594

Fig. 6-1-9. 캄보디아 지형도 (1:10만) 594

Fig. 6-1-10. 필리핀 지질도 (1:5만) 595

Fig. 6-1-11. 베트남 지질도 (1:20만) 595

Fig. 6-1-12. 러시아 지질도 (1:1백만) 595

Fig. 6-1-13. 일본 지질도 (1:5만) 595

Fig. 6-1-14. 브라질 지질도 (1:1백만) 596

Fig. 6-1-15. 호주 지질도 (1:25만) 596

Fig. 6-1-16. 몽골 지체구조도 (1:1백만) 596

Fig. 6-1-17. 러시아 지체구조도 (1:1백만) 596

Fig. 6-1-18. 중국지체구조도 (1:5,000,000) 597

Fig. 6-1-19. 브라질 지체구조도 (수치지도) 597

Fig. 6-1-20. 베트남 광상분포도 598

Fig. 6-1-21. 미얀마 광상분포도 598

Fig. 6-1-22. 아르헨티나 금광상분포도 598

Fig. 6-1-23. 캄보디아 광상분포도 598

Fig. 6-1-24. 몽골 자력이상도 599

Fig. 6-1-25. 몽골 자력이상도 (벡터) 599

Fig. 6-2-1. 해외지질자원 도면정보 시스템 서비스 개념도 600

Fig. 6-2-2. 해외지질자원 도면정보 시스템 메인화면(http://ggis.kigam.re.kr) 601

Fig. 6-2-3. 시스템 소개 602

Fig. 6-2-4. 이용안내 602

Fig. 6-2-5. 공지사항 602

Fig. 6-2-6. 자료게시판 602

Fig. 6-2-7. 해외지질자원 도면정보 등록 604

Fig. 6-2-8. 해외지질자원 도면정보 목록 604

Fig. 6-2-9. Web-GIS 기반 지질자원 정보 시스템 606

Fig. 6-2-10. 해외지질자원 도면정보 검색 서비스 메인화면 608

Fig. 6-2-11. 도면정보 검색 시스템의 전체 자료 현황 609

Fig. 6-2-12. 도면정보 검색 결과 610

Fig. 6-2-13. 도면정보 상세보기 611

Fig. 6-2-14. 도면정보 중첩 확인 611

Fig. 6-2-15. 영역 검색 방법 613

Fig. 6-2-16. 호주의 전체 자료에 대한 영역 검색 결과 614

Fig. 6-3-1. 국가별/광종별 매장량 및 생산량 618

Fig. 6-3-2. 국가별 자원정보 623

Fig. 6-3-3. 국가별정보 -멕시코의 주요광상정보(예) 624

Fig. 6-3-4. 재미있는 광물자원 665

Fig. 6-3-5. 생활속의 미네랄 665

Fig. 6-3-6. 세미나 학술일정 665

Fig. 6-3-7. 광물자원관련 시험정보 665

Fig. 6-4-1. 광물탐사조사도 666

Fig. 6-4-2. 연구지역 Zaamar (M48-XXXIII) 668

Fig. 6-4-3. 연구지역의 지형 669

Fig. 6-4-4. M48-XXXIII 지역의 광상분포도 671

Fig. 6-4-5. M48-XXXIII 지역의 지질도 672

Fig. 6-4-6. 연구지역의 금광상 분포도 673

Fig. 6-4-7. 연구지역의 Cu 지화학 이상도 673

Fig. 6-4-8. 연구지역의 Pb 지화학 이상도 674

Fig. 6-4-9. 연구지역의 자력이상도 674

Fig. 6-4-10. ANFIS 구조 677

Fig. 6-4-11. GIS 환경에서의 뉴로-퍼지 추론 시스템 모델의 개념도 678

Fig. 6-4-12. 금-부존 가능성도 679

Fig. 6-4-13. 금-부존 가능성도의 검증 680

Fig. 6-4-14. 현장 조사 사진들 683

Fig. 6-4-15. 연구지역 685

Fig. 6-4-16. Sumurt 지역의 지질 688

Fig. 6-4-17. Sumurt 지역의 지화학 자료 691

Fig. 6-4-18. 베이지안 확률 모델 692

Fig. 6-4-19. 빈도비 방법을 이용한 Sumurt의 금속광물 부존 가능성도 708

Fig. 6-4-20. 로지스틱 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한 Sumurt의 금속광물 부존 가능성도 709

Fig. 6-4-21. Weight of evidence 방법을 이용한 Utara의 금속광물 부존 가능성도 710

Fig. 6-4-22. 금속광물 부존 가능성도 검증 710

Fig. 6-4-23. 연구지역 712

Fig. 6-4-24. Cebu 지역의 공간 데이터베이스 718

Fig. 6-4-25. Panay 지역의 공간 데이터베이스 723

Fig. 6-4-26. 빈도비 방법을 이용한 Cebu 지역의 금-부존 가능성도 726

Fig. 6-4-27. Weight of evidence 방법을 이용한 Panay 지역의 금-부존 가능성도 729

Fig. 6-4-28. Cebu와 Panay 지역의 빈도비 및 Weight of evidence 방법을 이용한 금-부존 가능성도 검증 결과 730

Fig. 6-4-29. 연구지역 Kuljuktau 732

Fig. 6-4-30. Kuljuktau의 공간 데이터베이스 739

Fig. 6-4-31. Kuljuktau의 금-부존 가능성도 742

Fig. 6-4-32. Kuljuktau의 금-부존 가능성도 검증 743

Fig. 7-1. 광산 설계의 최적화 과정. 747

Fig. 7-2. 광산설계용 프로그램의 개념. 748

Fig. 7-3. 광산설계용 프로그램의 흐름도. 748

Fig. 7-4. 지구통계학적 기법에 의한 3차원 매장량 평가. 749

Fig. 7-5. 노천 및 지하 광산의 설계. 750

Fig. 7-6. 생산계획 수립과정 및 Scheduling. 751

Fig. 7-7. 계단식 채굴법의 모식도 761

Fig. 7-8. Glory Hole 채굴법 762

Fig. 7-9. Open Cast 채굴법 763

Fig. 7-10. 주방식 채광법 765

Fig. 7-11. 슈링케이지 채굴법 767

Fig. 7-12. 중단채굴법 768

Fig. 7-13. 스퀘어세트법 770

Fig. 7-14. EL-TENTIENTE 776

Fig. 7-15. EL-TENTIENTE 자동화 모습 776

Fig. 7-16. EL-TENTIENTE 777

Fig. 7-17. EL-TENTIENTE 운영개요 778

Fig. 7-18. DE BEERS - FINSCH MINE - BLOCK4 778

Fig. 7-19. FINSCH MINE - BLOCK 4 - STAGE 1 779

Fig. 7-20. DE BEERS - FINSCH MINE - BLOCK 4 779

Fig. 7-21. FINSCH MINE - BLOCK 4 - STAGE 2 780

Fig. 7-22. FINSCH MINE - BLOCK 4 - STAGE 3 781

Fig. 7-23. 광산 채굴도 782

Fig. 7-24. 시스템 구성 모식도 783

Fig. 7-25. 생산지역장비 784

Fig. 7-26. 컨트롤 룸 장비 785

Fig. 7-27. 임무부여컨트롤 시스템 786

Fig. 7-28. 접근 컨트롤 시스템 786

Fig. 7-29. Toro 컨트롤 시스템(TCS) 788

Fig. 7-30. 네비게이션 시스템 789

Fig. 7-31. 정비 개요 모식도 790

초록보기 더보기

I. 제목

해외 광물자원 확보 기반구축 및 부존평가

II. 자원외교 및 자원협력위원회

금년도 VIP 자원외교는 호주, 뉴질랜드, 인도네시아,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베트남, 캄보디아의 7개국을 대상으로 이중 뉴질랜드, 우즈베키스탄, 캄보디아의 3개국에 대해 당 연구원과 MOU 체결을 수행하였으며, 지식경제부 주관 자원협력위원회는 페루, 칠레,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 러시아, 몽골의 7개국을 대상으로 당 연구원과 MOU를 체결하였으며 베트남과는 RA를 체결하여 정밀조사를 수행하였다.

III. 베트남

베트남 북부 바칸 주에 속하는 파크남 지역내 약 35㎢에 속하는 Pb-Zn, W 광화대를 대상으로 지질-광상 조사가 수행되었다. Pb-Zn 광화대는 파크남 마을의 북동 지역에 위치하며, 고생대 데본기에 형성된 퇴적분지내 해저분출에 의해 석회암 층 내에 평행하게 광체가 배태된 SEDEX 유형의 광상임을 확인하였다. 광맥의 최대 맥폭은 약 6m이며, 이 중에 Pb+Zn 고품위대(≒20 wt.%)는 맥의 중앙부에 30~40cm 두께로 발달되었으나, 고품위대의 연장성은 확인하지 못하였다. 광맥에서는 최저 Pb+Zn의 품위는 5 wt.%이며 현지조사에서는 지표의 광맥이 약 800m까지 연장이 확인되었으나, 적어도 1km 이상 연장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표품위와 지질학적 매장량을 추정하면 이번 조사된 Pb+Zn 광상은 소·중 규모로 평가되며, 광맥이 지표 노두에서 2개조가 확인되었다. 향후 정밀한 지표 지질구조, 광상조사(1:2,000축적)를 통한 시험 시추탐사가 수행되면 광체 연장부와 심부광체의 추가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Pb-Zn 광화대의 경우는 국내기업이 본 Pb-Zn 광상을 개발할 시에 지표 정밀광상조사, 트렌치 탐사, 정밀시추탐사가 필요한 단계로 사료된다. W 광화대는 고생대 데본기 석회암을 관입한 소규모 암주들의 분포로 보아 W 스카른 광화작용을 기대할 수 있는 지질여건을 갖추고 있으나, 수계의 중사 시료에서 회중석이 관찰되었을 뿐 현재 정밀한 지표 지질광상 조사의 부재로 현재는 기초 지질·광상조사가 필요한 단계이고, 아직 경제성이 인지될 만한 근거가 없다.

베트남에서의 주요성과는 VIP 순방, 한-베 자원협력위원회 개최 및 지원 그리고 논문게재 1건, 발표 4건, 기술자문 3건의 실적을 거두었다.

IV. 아르헨티나

2009년도 아르헨티나 중서부지역 멘도사주에 분포하는 3곳의 광상(San Jorge, Paramillos Sur, Paramillos de Uspallata)에 대한 현장조사를 수행하였다. 우선 광종은 Pb, Zn, Au, Cu,이며 광상유형은 반암동광상과 모암인 퇴적층과 응회암에 지구조와 화산작용에 의하여 형성된 열수용액들이 맥상형태의 유용 복합광종을 배태한 것들이다.

위 조사지역에서 San Jorge 광상이 투자처로서 우선적으로 추천되는데 그 이유는 높은 품위, 경제성있는 매장량과 인프라 측면에서 볼 때 근거리에 위치한 San Jorge 시에서 육로가 개설되어 있고 전력공급이 가능하며 광상 가까이에 풍부한 수량이 존재하여 개발 시 유리한 점으로 작용하여 초기 투자비용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과 아르헨티나 지질조사연구원(SEGEMAR)의 공동연구일환으로 3차년도 사업인 아르헨티나 중서부지역인 멘도사주를 포함하여 라리오하주, 산후안주 3개주의 약70,000㎢지역에 분포하는 300개 이상의 광상에 대한 광물자원평가를 위한 GIS자료를 구축하였다.

이들 자료에는 앞으로 유망광상지역 평가와 선정을 목적으로 종합적인 관리와 사용을 위한 지질, 지구화학, 지구물리, 광물자원자료들의 종합 및 분석이 포함되어있다. GIS 자료층(layer)에는 기간시설(도시 및 도로), 지질, 광산, 지구화학(하상퇴적물의 48개 원소), 지구물리(항공자력탐사, U, Th, K의 방사능탐사)자료들이 있다.

광물탐사평가를 위한 서아르헨티나 광물자원의 GIS 자료 구축을 위해 350개 광산 자료 수집(지구화학탐사, 지질, 지질연대, 항공자력, 감마레이분광, 인공위성자료, 등등)과 한-중남미 자원협력위원회 지원 및 논문게재 3건, 발표3건, 기술자문 1건의 실적을 거두었다.

V. 우즈베키스탄

우즈베키스탄의 금년도 사업수행은 1단계로 Severo - Turkestanskaya 지역에 대한 GIS 탐사기술을 활용한 예비탐사 모델연구란 제목으로 실시되었다. Severo -Turkestanskaya 지역내에는 12개의 금광상과 1개의 희토류광상이 분포하며, 가장 유망한 지역은 Chabatskoya, Dulona 금광상과 Naukaskoye 희토류광상이다.

Severo - Turkestanskaya 지역을 대상으로 지질-광상 공간도면의 층서적 단면도 작성, 지체구조운동에 의한 지층의 변위자료, 화성활동의 연구자료, 변성작용 연구 자료, 광석광물의 분포 및 산출특성 연구자료, 공간자료의 표준화(1/50,000 축적 도면), 광상 산출지에 대한 기존 탐사자료(트랜치, 노두시료, 시추, 매장량, 품위 등등) 등을 확보하여 2010년도 2단계 사업에 적용하여 현장조사에 활용할 계획이다.

Severo - Turkestanskaya 지역을 대상으로 확보한 자료는 지질도, 광상분포도, 지화 학도, 지구물리도(1/50,000축적), 12개 금광상에 대한 기존 탐사자료(트랜치, 노두시료, 시추, 매장량, 품위 등등)를 확보하였으며 1차 예비조사를 통해 금 및 희토류 유망광산을 도출하였으며, VIP 순방, 지질위원장 초청, 논문발표 1건, 기술자문 1건의 실적을 거두었다.

VI. 카자흐스탄

카자흐스탄 동부 금속 광화대를 대상으로 GIS기반의 지질자원정보 DB 구축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금속광상, 광역지질도, 지체구조도, 지화학도, 지구물리도, 위성영상, 기반시설도 등의 자료들이 구축되었다.

카자흐스탄의 광업회사들은 지하자원 이용자로 불리고 있는데, 이들은 국가의 광물 자원을 개발할 수 있는 권리를 취득하기 위해 지하자원 이용계약을 체결한다. 카자흐스탄은 현재 지하자원 이용자의 활동 규정과 관련된 새로운 법령을 개발하고 있다. 새로운 지하자원법은 1995년 7월 20일에 제정된 석유법, 1996년 1월 27일에 제정된 지하자원법과 2005년 7월 8일에 제정된 생산물분배협약(Production Sharing Agreement, PSA)을 대신 할 것이다.

자원개발과 관련된 계약 체결방법은 PSA와 '정상' 소득으로 규정된 기준을 초과하는 이득에 대하여 부과되는 조세인 초과이윤세(Excess Profit Tax, EPT) 계약이 있었는데, 새 법령은 자원산업에서 PSA를 폐기하고 EPT 계약형식만을 사용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생산물분배계약이란 투자자가 광물의 조사, 탐광, 개발, 생산비용을 부담하고 이에 따른 위험을 인수하는 대신, 생산광물에서 조세(채굴세) 및 투입 비용을 공제한 나머지 이익생산물을 계약에서 미리 약정한 바에 따라 계약 상대방인 국가와 일정비율로 분배하는 방식의 자원개발계약을 말한다.

새로운 세제가 광업 분야에 미칠 실제 효과는 포괄적 소득세(Comprehensive Income Tax)의 일률적 감소에 따른 세수를 보충하기 위해 광물채굴세를 징수하려는 의도로 인해 부정적이었다. 그러나, 상품가격이 생산 한계비용 가까이 하락한 현재 자원분야로 세금부담을 전가하려던 초기 목적은 추진력을 많이 잃어버린 상태이다. 정부가 낮은 수익성을 갖는 광상에 대해 광물채굴세의 면제를 고려하고 있는 바, 가까운 장래에 대규모 광업회사들에 대해서도 광물채굴세를 낮추리라는 긍정적인 신호가 나타나고 있다.

카자흐스탄 동부 금속광화대의 GIS 기반 지질자원정보 DB구축을 수행하면서 100개 광산자료 수집(금속광산분포도, 위성영상, 지체구조도, 지화학도, 지구물리도, 광역지질도, 기반시설도, 등등)과 VIP 순방, 논문게재 4건, 발표2건, 기술자문 2건의 실적을 거두었다.

VII. 광물자원 DB 구축

1. 광물자원 DB 및 해외지질자원도면정보 시스템 구축, 활용

○ 해외지질자원 관련 자료 수집 및 GIS DB 구축

- 전 세계 주요 자원부국의 지질자원 관련 자료 (광상, 지질도, 지체구조도, 지화학도, 지구물리도, 위성영상 등)의 고품질 공간 DB 7,000여건 구축

○ 해외지질자원 도면정보 시스템 구축

- 해외지질자원도면정보 시스템 홈페이지 리뉴얼을 통하여 Web 기반 도면정보 검색 시스템을 업그레이드 하고 Web-GIS 환경을 수정하였음

2. 광물자원 포털사이트 콘텐츠 업그레이드

○ 광물자원정보 콘텐츠 업그레이드

- 해외자원정보의 광종별 정보, 국가별정보 제공자료 보완

- 광종별정보 보완 - 매장량, 생산량 등 09년 자료로 업데이트

- 국가별정보 보완 - 해외광물자원협력 및 기술정보구축 보고서를 활용하여 국가별 정보보완 (광업정보, 광종별 주요정보, 무역투자정보 등)

○ 자원기술 및 산업동향정보 콘텐츠 업그레이드

- 광물자원 관련 보고서와 논문의 메타 데이터 구축 (제목, 발행년도, 저자, 요약정보, 원문링크)

- 광물자원 최신뉴스 및 동향정보의 꾸준한 업데이트로 일반 사용자 및 관계자, 전문가, 투자자에게 살아있는 정보제공

- 해외 광물자원 전문가정보 수집 및 DB 구축 (성명, 소속, 직위, 연락처, e-mail, 담당업무)

○ 세미나, 학술활동, 대국민 홍보콘텐츠 콘텐츠 업그레이드

- 광물자원 관련 도서, 영화, 다큐멘터리소개, 광물자원 상식, 광물의 쓰임새 등 유용한 정보를 일반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콘텐츠추가

- 세미나 학술일정, 광물자원관련 입찰정보, 광물자원관련 시험 일정 및 카페, 블로그 정보 등 최신 자료로 업데이트 및 추가구축

3. GIS를 이용한 광물부존가능성 평가

○ 몽골 Zammar 지역의 뉴로퍼지 방법을 이용한 금-부존 가능성도 작성 및 현장조사

- 몽골 M48-XXXIII의 Zammar 지역에 대하여 뉴로퍼지 방법을 이용한 금-부존 가능성도 작성 연구를 수행함.

- 분석을 위해 55개소의 금광상, 지질도, 단층으로부터의 거리, Cu, Pu 지화학자료 및 자력이상도를 수집 후 공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함.

- 금-부존 가능성도 작성을 위해 뉴로퍼지 시스템의 구조는 Triangular MFs, Hybrid learning 알고리즘으로 설정하였음.

- 뉴로퍼지 방법을 적용하여 도출된 몽골 Zammar 지역의 금-부존 가능성도의 예측 정확도는 91.47%로 매우 높게 나타났음.

○ 인도네시아 North Sumatra Sumut와 North Sulawesi Utara 지역의 빈도비, WOE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한 금속광물 부존 가능성도 작성

- 인도네시아 North Sumatra Sumut과 North Sulawesi Utara 지역에 대하여 빈도비, Weight of evidence, 로지스틱 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금속광물 부존 가능성도 작성 연구를 수행함.

- Sumut 지역에 대한 63개소 금속광상, 지질도, 단층으로부터의 거리, Ag, As, Co, Cr, Cu, Fe, Mo, Ni, Pb, Sn, W, Zn 지화학 자료를 수집 후 공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함.

- Utara 지역에 대한 28개소 금속광상, 지질도, 단층으로부터의 거리, Ag, Co, Cr, Cu, Fe, K, Li, Mn, Ni, Pb, Zn 지화학 자료를 수집 후 공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함.

- Sumut 지역의 경우 빈도비와 로지스틱 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금속광물 부존 가능성도를 작성하였고, 검증결과 91.50%와 90.72%로 높게 나타났음.

- Utara 지역의 경우 Weight of evidence 방법을 이용하여 금속광상과 관련 요인들과의 이분형 가중치를 각 요인에 재부여 후 중첩분석을 통하여 금속광물 부존 가능성도를 작성하였고 검증결과 82.48%로 높게 나타났음.

○ 필리핀 Cebu와 Panay 지역의 빈도비 및 WOE 방법을 이용한 금-부존 가능성도 작성

- 필리핀 Cebu과 Panay 지역에 대하여 빈도비와 Weight of evidence 방법을 이용하여 금-부존 가능성도 작성 연구를 수행함.

- Cebu 지역에 대한 6개소 금광상, 지질도, 단층으로부터의 거리, As, Co, Cu, Mn, Ni, Zn 지화학 자료를 수집 후 공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함.

- Panay 지역에 대한 13개소 금광상, 지질도, 단층으로부터의 거리, Ag, As, Co, Cu, Mn, Ni, Pb, Zn 지화학 자료를 수집 후 공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함.

- Cebu 지역의 경우 빈도비 방법을 이용하여 금광상과 관련 요인들과의 빈도비를 각 요인에 재부여 후 중첩분석을 통하여 금-부존 가능성도를 작성함.

- Panay 지역의 경우 Weight of evidence 방법을 이용하여 금광상과 관련 요인들과의 이분형 가중치를 각 요인에 재부여 후 중첩분석을 통하여 금-부존 가능성도를 작성함.

- 빈도비 및 Weight of evidence 방법을 Cebu와 Panay 지역에 적용하여 도출된 금-부존 가능성도의 예측 정확도는 각각 99.33%와 83.32%로 높게 나타났음.

○ 우즈베키스탄 Kuljuktau 지역의 빈도비 방법을 이용한 금-부존 가능성도 작성 - 우즈베키스탄 Kuljuktau 지역에 대하여 빈도비 방법을 이용한 금-부존 가능성도 작성 연구를 수행함.

- 분석을 위해 42개소의 금광상, 지질도, 선구조로부터의 거리, Ag, As, Au, Cu, Pb, Sn, Zn, W 지화자료, 자력이상도를 수집 후 공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함.

- 빈도비 기법을 이용하여 도출된 금광상과 관련 요인들과의 빈도비 값은 각 요인에 재부여 후 중첩분석을 통하여 금-부존 가능성도를 작성함.

- 우즈베키스탄 Kuljuktau 지역의 금-부존 가능성도의 예측 정확도는 80.10%로 높게 나타났음.

○ 몽골의 Bayangol - Hold Hentll 금광화벨트 지역의 광물자원분포도, 지화학자료, 지구물리자료를 수집하여 이들 자료를 기초로 DB를 구축하고 한-몽골자원협력위원회지원, 몽골 교육훈련, 논문게재 4건, 발표 2건, 기술자문 4건의 실적을 거두었다.

VIII. 광산설계 기법

해외자원 개발을 통한 자주 개발을 제고를 위해 국내 자본의 지분 확보에만 그치지 않고 직접 기술개발을 통한 참여로 지속적인 해외자원개발의 전략화에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광산 평가를 위한 F/S 단계에서 필요한 설계분야에 대해 효율성과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S/W를 활용함으로써 양질의 설계가 수립된다.

광산 개발 시 중요시 하는 안정성과 경제성, 효율성을 만족하기 위해 광산 자동화가 필요하며, IT 기술 접목한 의한 사례분석으로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광산 평가 시 과거 방식을 지양하고 할인율을 감안한 IRR, NPV 평가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T000032201 전자자료 이용불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