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과학문화 대중화를 위한 지질·자원 컨텐츠 개발 연구. 1 / 지식경제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과천] : 지식경제부, 2009
형태사항
xxix, 241 p. : 삽화, 도표, 사진 ; 30 cm
제어번호
MONO1201010536
주기사항
주관연구기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주관연구책임자: 신홍자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보고서 요약서

요약문

SUMMARY

CONTENTS

목차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31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33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35

제1절. 국내외 지질표본의 확보와 지질·자원 전시컨텐츠 개발기능 강화 및 효과적 전시기법 개발 38

1. 국내외 지질표본의 신규확보, 관리 38

2. 기존 전시표본의 순환 교체 및 보완 42

3. 박물관 보유시료 사진 등 image 자료 DB 업데이트 42

4. 상설 전시관 기존 전시물 확충 및 전시시설 보완 44

5. 연구원의 연구성과물을 전시한 홍보관 운영 46

제2절. 학술적 기초연구를 통한 컨텐츠의 다양화 52

1. 국내외 맨틀 포획암 (Mantle xenolith)에 대한 암석학적, 지화학적 특성 연구 52

1-1. 제주도 낙선동 및 송악산 맨틀 포획암 연구 52

1-2. 중국 산동반도(시시아, 맹인 누산, 샨왕)의 맨틀 포획암 연구 53

1-3. 일본 Aratoyama, Onyama 맨틀 포획암 기초 연구 57

2. 화산암의 암석학적, 지화학적 특성 연구 57

2-1. 강원도 고성 운봉산 화산암 연대 측정 57

2-2. 충남 아산 및 평택지역 화산암 57

3. 박물관 보유표본 활용 연구 57

3-1. 충북 보은 맨틀암석 Li 동위원소 분석 57

3-2. 울산 및 상동광산 방해석 표준시료 활용 - 제주도 종달리 패총 조개 연구 59

4. 비파괴 분석법 연구 61

4-1. LA-ICP-MS를 활용한 박물관 보유 표본 분석 61

4-2. LA-ICP-MS를 이용한 맨틀포획암 내 단사휘석의 미량원소 분석 신뢰도 연구 62

5. 동아시아지역 공룡 진화사 연구 72

제3절. 과학문화 확산을 위한 대중교육과 지식보급 및 홍보활동 74

1. 지구과학 대중화 서적 발간 74

2. 외국 관람객용 영문 리플랫발간 78

3. 박물관 견학학습지 개발 79

4. 가족중심 지구과학 특별 교육 / 체험행사 개최 81

4-1. 과학의 달 정기 과학교육 프로그램에 외부 강사 초청 강연회 개최 81

4-2. 가정의 달 연구활동 설명회 및 공룡화석 발굴체험 행사 개최 84

4-3. 과학기술 엠버서더 강연 개최 84

5. 기획(특별) 전시 개최 85

5-1. 「몽골 공룡탐사 사진전」 (1. 19. - 2. 14) 85

5-2. 「지구의 신비 그리고 한국의 화석」 특별 기획전 (6. 3. - 11. 10) 87

6. 어린이도서실 운영 91

7. 지질박물관 관람객 대상 설문/인식조사 실시 92

7-1. 관람객 설문조사 92

7-2. 통계적 유형분석 93

8. 지질박물관 방문 관람객 유형분석 97

제4절 지질시료동 운영개선 102

제5절 국내외 유관기관과의 유기적 협력체계 구축 및 교류확대 103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105

제5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 계획 109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 기술정보 111

참고문헌 115

부록 125

Table 2-1. 중국 샨왕 맨틀 포획암내 구성광물의 주성분 분석 결과. Ol=감람석, OPX=사방휘석, CPX=단사휘석, SP=첨정석. 54

Table 2-2. 강원도 고성(운봉산, 고성산, 뒤뱃재)와 아산, 평택 화산암 연대측정값. 57

Table 2-3. 충북 보은 맨틀포획암 내 구성광물의 Li 및 Li 동위원소(δ7Li) 분석 값. Ol=감람석, Opx=사방휘석, Cpx=단사휘석(이미지참조) 58

Table 2-4. 아산 맨틀포획암 내 단사휘석의 미량원소 측정 시 이용된 레이저 및 유도결합플라즈마 분석기의 분석 조건. 63

Table 2-5. 평택 및 아산 맨틀포획암 내 단사휘석의 미량원소 분석 값. AS = 아산, PT= 평택. 분석은 NIST612 및 USGS GSE SRM이 외부표준물질로, EPMA로 얻은 단사휘석 내 Ca 농도가 내부표준원소로 사용됨. 64

Table 2-6. 연마편을 이용하여 레이저 repetition rate (5, 10, 20 Hz) 변화에 따라 얻어진 백령도 맨틀포획암 내 단사휘석의 미량원소 값. 68

Table 2-7. 연마편을 이용하여 레이저 repetition rate 10Hz에서 얻어진 충북 보은 맨틀포획 암 내 단사휘석의 미량원소 값과 용액상으로 ICP-MS에서 얻은 미량원소 값의 비교. 70

Fig. 1-1. 수집된 광물 표본; 자연금(좌측, 미국 캘리포니아)과 석철운석(우상,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우하, 모로코~알제리 접경지역). 38

Fig. 1-2. 수집된 초대형 암석 (사암) 표본 ; 충남 보령 개화리. 39

Fig. 1-3. 수집된 국외 표본; 중국 샨왕 및 누산 지역 맨틀포획암. 39

Fig. 1-4. 경북 군위군 중생대 진주층 화석지 조사 및 표본 채취. (A), (B) 화석지 조사 및 발굴 현장. (C), (D), (E) 수서갑충의 유충. (F) 에스테리아. 40

Fig. 1-5. 경남 사천시 중생대 진주층 화석지 조사 및 표본 채취. (A), (B) 화석지 조사 발굴 현장. (C), (D) 담수어류 (E) 곤충(모기) (F) 수서곤충 (송장헤엄치개). 41

Fig. 1-6. 제2전시실 전시표본의 교체 및 보완. 42

Fig. 1-7. 지질표본(광물) 사진 DB화. 42

Fig. 1-8. 보유표본의 이미지 자료 생산 : 지구과학 교양서적 신규 발간용 자료로도 활용. 43

Fig. 1-9. 제2전시실 자수정 원형 진열장 제작 및 노후 편광현미경 교체 설치 44

Fig. 1-10. 지질박물관 입구 사인간판의 시안과 설치과정. A, B. 사인 간판의 설치, C, D. 사인간판의 야간조명 점등 상태. 45

Fig. 1-11. 연구원 각 부서 전면 개편에 따른 홍보관 리노베이션 작업 (전, 후). 47

Fig. 1-12. International Cooperation 48

Fig. 1-13. 사이버지질자원과학관, 지진 및 행성지질 전시 패널. 49

Fig. 1-14. 지하공간의 다양한 활용방법. 49

Fig. 1-15. 이산화탄소 지중저장기술, 중금속 오염처리 및 재이용 기술 및 산사태 재해 예측 및 피해저감 기술 개발. 50

Fig. 1-16. 가스하이드레이트의 소개와 개발방법 50

Fig. 1-17. Gas Hydrate 및 국제공동 해양시추 사업 (IODP). 51

Fig. 1-18. 지중 탐사자료 영상화 기술, 북한의 광물자원. 51

Fig. 2-1. 송악산과 낙선동 지역 지질도 및 맨틀암석 산출지. 52

Fig. 2-2. (A) 낙선동(Protogranular texture)과 (B) 송악산(Porphyroclastic texture) 맨틀포획암의 현미경 사진. 53

Fig. 2-3. 동위원소 컬럼 작업사진 및 리튬 원소 분리구간. 58

Fig. 2-4. 보은 맨틀암석 내 구성광물의 Li 원소 함량과 동위원소(δ7Li)와의 관계도. olivine: 감람석, Opx: 사방휘석, Cpx: 단사휘석.(이미지참조) 59

Fig. 2-5. 보은맨틀암석 내 단사휘석의 (La/Sm)n 비와 (A)△7Liolivine-Cpx과 B)7LiOpx-Cpx(‰)의 관계도. Opx=사방휘석, Cpx=단사휘석.(이미지참조) 59

Fig. 2-6. LA-ICP-MS 표준시료로 사용될 박물관 보유 상동광산(좌측 사진) 및 울산광산(우측 사진) 방해석의 실체현미경 사진 및 EPMA를 활용한 Ca, Ba, Mn, Mg의 선분석(line scane) 결과. 60

Fig. 2-7. 종달리 패총의 미량원소 패턴. 60

Fig. 2-8. LA-ICPMS 사진 (한국기초과학연구원) (A) UV laser system (213 nm UV laser; Mew Wave UP213), (B) ICP와 quadrupole mass spectrometer (Thermo Elemental X7), (C) 증기를 빠른 속도로 전달 할 수 있는 SupperCell. 61

Fig. 2-9. LA-ICPMS 내부 구조 그림. Ar가스이외에 He가스를 이용하여 열 발생을 방지. 61

Fig. 2-10. LA-ICP-MS활용 아산 맨틀포획암 내 단사휘석의 분석시간과 강도의 관계를 나타낸 그림. 분석 측정시간은 45초, 배경값 측정시간은 30초. 62

Fig. 2-11. USGS GSE(solid circle)와 NIST612(open circle)의 표준물질을 사용하여 분석된 아산 맨틀포획암 내 단사휘석의 미량원소 패턴. 62

Fig. 2-12. LA-ICP-MS활용 백령도 맨틀포획암 내 단사휘석의 연마편상의 분석을 시간과 강도로 나타낸 그림. 분석 후 약 17초 후에 레이저 빔은 슬라이드 글라스에 도달. 66

Fig. 2-13. 분석조건에 따라 레이저펄스와 레이저가 뚫고 들어간 깊이의 차이를 나타낸 그림. 66

Fig. 2-14. (A) 레이저 repetition rate (2, 5, 10, 20 Hz)와 (B) 레이저 에너지 강도에 따라 표면의 파괴 정도와 깊이가 다름을 나타낸 그림. 67

Fig. 2-15. 레이저 repetition rate (5, 10, 20 Hz) 따라 LA-ICP-MS로 얻어진 백령도 맨틀암석 내 단사휘석의 미량원소 분석 값과 용액상으로 ICP-MS로 얻어진 미량원소 분석 값의 차이를 나타낸 그림. 67

Fig. 2-16. 제4차 한국-몽골 국제공룡 탐사참여(8. 3 - 9. 9), 자료 수집 및 연구. 72

Fig. 2-17. 제4차 한국-몽골 국제공룡 탐사 자료 수집 및 연구: 남부 고비사막 발굴 수각류 보행렬 화석지 연구. 73

Fig. 3-1. 표지 이미지와 사용된 형석 결정 표본 사진. 74

Fig. 3-2. 중앙홀 챕터 타이틀 페이지와 본문의 구성. 75

Fig. 3-3. 제1전시관의 챕터 타이틀 페이지와 본문의 구성. 76

Fig. 3-4. 제2전시관의 챕터 타이틀 페이지와 본문의 구성. 77

Fig. 3-5. 부대시설의 챕터 타이틀 페이지와 본문의 구성. 78

Fig. 3-6. 영문 리플릿 최종 시안과 인쇄 교정 작업. 79

Fig. 3-7. 저학년(초등학생)용 견학 학습지 1종(3페이지). 80

Fig. 3-8. 중학생용 견학 학습지 2종(각 3페이지). 80

Fig. 3-9. 고등학생용 견학 학습지 1종(2페이지). 81

Fig. 3-10. 과학의 달 강연 '캄캄한 어둠의 세계 동굴로의 여행'. 82

Fig. 3-11. 과학의 달 강연 '몽골 공룡탐사의 현장을 가다'. 83

Fig. 3-12. 연구활동 설명회 및 공룡화석 발굴체험 (5. 5). 84

Fig. 3-13. 과학기술앰버서더 강연 (7. 25). 85

Fig. 3-14. '몽골 공룡탐사 사진전' 홍보 포스터와 대덕넷 언론 보도 85

Fig. 3-15. 몽골 공룡탐사 사진전 출품작들과 사진전 풍경 (1월 16일 - 2월 14일). 86

Fig. 3-16. 특별기획전 전시준비 과정. 87

Fig. 3-17. 한국의 화석전 개막식과 전시관 풍경 및 어린이 관람객. 87

Fig. 3-18. 지구와 생명의 탄생, 생물과 광물의 공진화 패널 및 전시 표본. 88

Fig. 3-19. 시대별(고생대) 화석 패널구성 예와 북한의 화석, 기증화석의 그래픽패널 구성. 89

Fig. 3-20. 주요 전시 화석표본. 90

Fig. 3-21. 어린이도서실의 보유 영상자료와 관람객의 이용 현황. 91

Fig. 3-22. 보유 영상자료의 안내자료. 91

Fig. 3-23. 지질박물관 관람객 대상 설문/인식조사지 (18문항). 93

Fig. 3-24. 설문조사 응답자의 연령대, 직업, 관람목적, 동행자, 박물관 인지 경로. 94

Fig. 3-25. 설문조사 응답자의 거주지역. 94

Fig. 3-26. 설문조사 응답자의 관람만족도. 95

Fig. 3-27. 박물관 관람에 대한 설문 내역. 96

Fig. 3-28. 어린이도서실에 대한 응답 97

Fig. 3-29. 지질박물관에 대한 의견. 97

Fig. 3-30. 2009년도 관람객 월별 현황. 98

Fig. 3-31. 2008 - 2009년도 관람객 월별 현황. 98

Fig. 3-32. 공군대학 외국인 장교(4. 10), 국회의원 박영아(5. 6), 대전지방검찰청 검사장(5. 14), 문화재청장(6. 10) 등 VIP Museum Tour. 99

Fig. 3-33. 2회 이상 복수방문한 단체 99

Fig. 4-1. 신규 시추코어 자료 (캐나다 오일샌드 등). 103

Fig. 4-2. 연구원 및 외부기관 (한국석유공사 등)의 시추코어 자료 및 시료 활용 : 132회. 103

Fig. 5-1. 전시교류: 서대문자연사박물관의 '한국의 화석전'과 지질박물관의 '몽골공룡탐사 사진전' 상호 교류 전시. 104

Fig. 5-2. 국내외 기관 협력 공동조사 및 표본 채취. (A), (B) 중국 맨틀암석 산출지 및 북/남지괴 충돌대(Dabie/Sulu 충돌대) 공동조사(북경지질대, 서울대). (C), (D) 국내 중생대 화석지(진주층: 군위, 사천) 공동조사 및 표본채취(대전과학고, 서대문자연사박물관,... 104

초록보기 더보기

I. 제목 : 과학문화 대중화를 위한 지질·자원 컨텐츠 개발 연구

II.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1. 국내외 지질표본의 확보

○ 국내외의 희귀하거나 학술적으로 중요한 지질표본의 체계적 확보 및 관리 (90점)

2. 지질·자원 전시컨텐츠 개발기능 강화 및 효과적 전시기법 개발

○ 전시활용 가능한 다양한 주제의 지질·자원분야 컨텐츠 개발, 축적

○ 개발된 컨텐츠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전시기법 개발과 적용

○ 기존 전시물의 보완 및 확충

3. 학술적 기초연구를 통한 컨텐츠의 다양화

○ 국내외 Mantle xenolith와 화산암의 표본수집 및 암석학적, 지화학적 특성 연구

○ 박물관 보유 표본을 활용한 연구

○ 동아시아지역 공룡 진화사 연구

4. 과학문화 확산을 위한 대중교육과 지식보급 및 홍보활동

○ 지구과학 관련 학습/참고 자료 개발 및 구축/보급

○ 가족 중심 지구과학 특별 교육/체험행사 개최

○ 기획(특별)전시 개최

○ 정보/자료제공 서비스 개선

5. 지질시료동 운영개선

○ 지질시료동 이용 활성화

○ 유사시설 운영사례 벤치마킹

6. 국내외 유관기관과의 유기적 협력체계 구축 및 교류확대

○ 유관기관과 표본의 공동수집, 대여, 상호 교환전시 등 협력체계 구축

○ 선진 박물관 교류를 통한 전시운영 노하우 습득 및 유관기관 간 자료공유

○ 국내외 박물관 및 대학과 다각적 공동연구 방안 모색

7. 지질자원관련 대민상담 수행

○ 지질표본 감정 및 지질자원관련 대민상담

III.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1. 국내외 지질표본의 확보 / 지질·자원 전시컨텐츠 개발, 전시 기법 강화 /차별화된 전시 기법 적용

○ 광물/암석/화석표본 수집, 분류, 등록 및 전시

- 광물 30점, 암석 30점, 화석 30점 계: 90점

- 기존 전시 표본의 15% 교체/보완

○ 박물관 보유 수장시료의 사진 등 DB 자료 업데이트

○ 상설전시관 기존 전시물 확충 및 전시시설 보완

- 중앙홀: 공룡지식인(가칭), 공룡뉴스(가칭) 패널 신설

- 제1전시관: 노후한 전시 영상장비 전면 교체

- 홍보관: 부서소개 패널 전면교체(조직개편 반영), 노후 장비교체(전시 모니터)

○ 전시패널 컨텐츠 개발 연구

- 전시개편 대상 전시패널 구성기획, 자료수집/생산 및 원고작성(국/영문 병기체제)

2. 학술적 기초연구를 통한 컨텐츠의 확대

○ 국내외 맨틀 포획암(Mantle xenolith)와 화산암의 표본수집 및 암석학적, 지화학적 특성 연구

- 강원도 고성, 제주도 낙천동 및 송악산, 중국 산둥반도의 맨틀 포획암 연구

○ 박물관 보유표본 활용 연구

- Li 동위원소분석법 개발 연구

○ 동아시아지역 공룡 진화사 연구

- '한국-몽골 국제공룡탐사' 참여를 통한 동아시아와 한반도공룡진화관계 연구 (제4차 몽골공룡탐사 참가, 발굴 조사 및 자료수집)

3. 과학문화 확산을 위한 대중교육과 지식보급 및 홍보활동

○ 지구과학 관련 학습/참고 자료 개발 및 구축/보급

- 지질박물관 도록(한글판/영문판)과 박물관 소책자 개정 증보판

- 수준별 박물관 관람 학습지 개발 (온라인 제공)

○ 가족 중심 지구과학 특별 교육/체험행사 개최

- 과학의 달 (4월) 정기 지질학강연회: 내외부 강사진 구성, 강연주제의 다양화

- 가정의 달 (5월) 체험교육 행사: 공룡발굴체험, 사생대회 등

○ 기획(특별)전시 개최 (매년 1, 2회 개최)

- '몽골 공룡탐사 사진전 (가칭)': 2008년 '제3차 한국-몽골 국제공룡탐사'의 공룡탐사 및 발굴과정과 고비사막의 자연환경에 대해 소개 (1월)

- '한국의 화석전 (가칭)': 한국에서 산출된 주요 희귀 화석표본 전시 (8월)

4. 지질시료동 운영개선

○ 지질시료동 이용 활성화

- 구축된 지질시료 DB 개방, 개선 및 지속적 자료 업데이트

○ 유사시설 운영사례 벤치마킹

- 선진국의 National Core Repository 벤치마킹

5. 국내외 유관기관과의 유기적 협력체계 구축 및 교류확대

○ 유관기관과 표본의 공동수집, 대여, 상호 교환전시 등 협력체계 구축

- 중국 국립지질박물관과 장기적인 교류방안을 마련 표본 수집 및 교환

○ 선진 박물관 교류를 통한 전시운영 노하우 습득 및 유관기관 간 자료공유

○ 국내외 박물관 및 대학과 다각적 공동연구 방안 모색

- 박물관(중국 국립지질박물관, 일본 국립과학박물관, 일본 지질표본관) 및 대학(중국 북경대학, 중국지질과학원, 일본 가나지와대학, 니가타대학)과 신생대 동북아시아 상부 맨틀 및 화산활동 진화에 대한 공동 연구 협력체계 구축

6. 지질자원관련 대민상담 수행

○ 지질표본 감정 및 지질자원관련 대민상담

IV. 연구개발 결과

1. 국내외 지질표본 확보/지질·자원전시컨텐츠 개발/차별화된 전시기법 적용

○ 광물 15점, 암석 17점, 화석 45점, 종유석 등 용암동굴 생성물: 15점 포함 계: 92점

○ 박물관 보유 광물표본 사진 등 DB 자료 업데이트: 781점

○ 기존 전시 표본의 20% 교체/보완: 자연금, 유황 등

○ 상설전시관 기존 전시물 확충 및 전시시설 보완:

- 제1전시관: 노후한 전시 영상장비 전면 교체

- 홍보관: 부서소개 패널 전면 교체 (조직개편 반영),

2. 학술적 기초연구를 통한 컨텐츠의 확대

○ 국내외 맨틀 포획암과 화산암의 표본수집 및 암석학적, 지화학적 특성 연구:

- 국내; 제주도 낙천동과 송악산, 강원도 고성과 횡성, 충남 아산, 평택 및 음성지역(표본: 12점, 논문 1편)

- 국외; 중국 산둥반도 (시시아, 멩인, 누산, 샨왕)와 일본 Aratoyama, Onyama의 맨틀 포획암 연구 (표본: 20점, 논문: 1편)

○ 박물관 보유 표본 활용 연구:

- 충북 보은지역 Li 동위원소 분석법 개발 연구 (SCI 논문 1편)

- 강원도 상동광산 및 울산광산 방해석 표준시료 연구

- 박물관 표본 분석을 위한 비파괴 분석법 연구 (LA-ICP-MS)

○ 동아시아지역 공룡 진화사 연구:

- '한국-몽골 국제공룡탐사' 참여 (08.03 - 09.09)

- 현지 탐사 자료 수집

- 남부 고비사막 발굴 수각류 보행렬 화석지 연구

3. 과학문화 확산 및 대국민 서비스

○ 지구과학 관련 서적 발간:

- 과학대중화 서적 발간: 「시간을 담은 땅의 기록」 (173페이지, 1건)

○ 지질박물관 관람학습지 개발 및 온-오프라인 보급:

-저학년용 1종, 중학생용 2종, 고등학생용 1종 (총 4종)

○ 영문 리플릿 제작 (6단 접지, 1건)

○ 가족중심 지구과학 교육/체험행사 실시 (6회):

- 과학의 달(4월) ; 정기 지질자원 관련 강연회 (2회)

- 어린이 날 및 가정의 달(5월) ; 연구활동 설명회 및 발굴체험 행사 (3회)

- 과학기술 앰버서더 강연회, 7월 ; (1회)

○ 기획(특별)전시 개최: 2회

- 「몽골 공룡탐사 사진전」 (01.16 - 02. 14)

- 「지구의 신비 그리고 한국의 화석」 (06.03 - 11.06)

○ '어린이도서실' 시범 운영: 도서 및 영상자료 30건 확보

○ 지질박물관 관람객 현황: 69,666명 (성인; 20,138명, 어린이; 36,906명, 학생; 11,985명, 외국인; 637명)

- 관람객 동향은 작년 대비 전반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였으나, 신종플루의 유행으로 관람객의 수가 10월 부터 현저하게 감소

○ 지질박물관 관람객 대상 설문/인식조사 실시:

- 지질박물관 관람객 중심의 설문 18문항 작성

- 350명을 대상으로 인식 조사 및 성향분석

○ 연구단지내 Sci-Art Village 구축용 리플릿 제작: 1건

- 국립중앙과학관 등 14 기관과 연계

4. 지질시료동 운영·관리 시스템 구축

- 구축된 DB 시료 및 자료 이용 ; 132회

- 지구화학시료(하천퇴적물) 2만 여개 입고 및 자료 수집

- 제주도 용천수 영향조사 시추코어 120상자 ; 주상도 등 자료 수집

- 캐나다산 오일샌드 392상자 ; 총 연장 380m

5. 국내외 유관기관과의 유기적 협력체계 구축 및 교류확대

○ 유관기관과 표본 공동수집, 대여, 상호 교환전시 등

- 중국지질대학과 표본 공동수집, 서대문자연사박물관, 충남대자연사박물관 및 대전과학고와 백악기 화석 합동조사 및 표본 채취

- 서대문자연사박물관 간 교환전시

○ 대학과 다각적 공동연구:

- 서울대 (지구환경과학과)와 맨틀암석 연구

6. 지질자원 관련 시료 및 전시물의 대민 상담

- 지질자원 관련 대민 상담 및 서비스 : 20회

- 전시 지질표본 감정 및 자문 : 7회

7. 위탁연구과제 수행

○ 제주도 동굴 생성물의 전시 컨텐츠 개발:

- 석회동굴과 용암동굴의 동굴생성물의 형성원인 및 형성과정 파악

- 동굴생성물 수집(종유석, 석순 등), 보관 및 목록화 ; 15점

- 논문 발표 : 2편

○ 극미립광물 전시표본화 연구:

- 황사시료 2회 포집,

- 황사 입자의 고배율-고분해 영상과 XRD 및 EDS 광물분석 실시

- 광물학적 특성이 파악된 영상자료 확보

V.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지질·자원 전시 컨텐츠 발굴과 독창적인 선진 전시기법의 개발은 향후 지질자원연구원의 홍보 부스 설치 운영 등 당 연구원 연구성과 확산에 활용

○ 지질박물관 전시표품의 지질학적 연구 강화는 지질전시표품 제작에 관한 선도적 연구로서 협력 관계에 있는 국내 유사 기관에 이 분야의 노하우를 전수

○ 지질·자원 관련 자료의 DB화 및 서적 발간은 지구과학 대중화에 기여함은 물론 전문가를 위한 전문적인 학문적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임

○ 시추코어 및 지질시료 관리시스템 프로그램은 향후 이와 유사한 국가저장고의 구축 및 관리에 필요한 기술정보 자료 제공 가능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T000032300 v.1 이용불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