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지구환경변화 대응 지하수 확보 통합솔루션 개발 / 지식경제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과천] : 지식경제부, 2009
자료실
전자자료
형태사항
xxii, 379 p. : 삽화, 도표, 사진 ; 30 cm
제어번호
MONO1201010549
주기사항
주관연구기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주관연구책임자: 고경석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보고서 요약서

요약문

SUMMARY

Contents

목차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24

제1절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6

제2절 연구 목적 31

제3절 연구 범위 32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38

제1절 선행기술 조사 40

제2절 선행연구사업 수행 현황 44

제3장 연구개발 수행내용 및 결과 46

제1절 기후변화에 따른 수계(금강) 규모 지하수 자원평가 및 자원/오염취약성 평가 48

1. 수계규모 지하수 자원 평가 48

2. 수계규모 지하수 오염취약성 평가 142

3. 해수침투 특성 평가 203

제2절 대수층 인공함양 수막재배 시스템 개발 238

1. 연구배경 238

2. 대수층 인공함양 수막재배 시스템 240

3. 대수층 인공함양 수막재배 시스템 실증 부지 구축 242

4. 인공함양 수처리 장치 개발 280

제3절 고부가 제주도 지하수(탄산수) 생성/순환기작 규명 및 개발가능지 확보 295

1. 제주도 서귀포 유역 지질 및 암석지구화하적 특성 295

2. 서귀포 중산간 지역 탄산수 산출지역 수리지구화학 조사 311

3. 제주도 천연광천수 시험시추공 시추코어의 변질광물 조성 324

4. 전기 탐사를 통한 조사 범위 설정 및 상부 지질 구조 파악 333

5. 천연광천수 시험공 공내물리검층 346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352

제1절 목표 달성도 354

1. 최종 연구목표의 달성도 354

2. 당해연도 목표의 달성도 355

3. 연구 성과물 358

4. 연구성과 달성을 위해 추진한 대내외 활동 361

제2절 관련 분야 기여도 365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368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372

제1절 최근 지하수 분야 연구/기술 동향 374

제2절 기후변화 및 지하수 분야 전문연구정보 377

제7장 참고문헌 384

초록보기 더보기

I. 제목

지구환경변화 대응 지하수 확보 통합솔루션 개발

(Integrated Technologies in Securing and Applying Groundwater Resources to Cope with Earth Environmental Changes)

II.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가. 연구개발의 목적

○ 지구환경변화 대응 지하수 확보 통합솔루션 제공을 위한 핵심요소기술 개발

- 기후변화에 따른 지하수 자원 취약성도(금강수계) 작성 및 변동 예측모델 개발

- 인공함양 최적지 선정 기법 개발 및 파일럿 규모 인공함양 시스템 구축 (30만㎥/년)

- 고부가가치 제주도 지하수(탄산수) 생성/순환기작 규명 및 개발 가능지 확보 (30만㎥/년, 3개소 이상)

나. 연구개발의 필요성

○ 기후변화에 따라 연강수량은 증가하나 강수일수 감소, 집중 호우일수 증가, 해수면 증가 등이 발생함에 따라 지속가능한 한반도 지하수자원 변화 전망 및 영향 등에 대한 평가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증가되는 추세임.

○ 기후변화에 따른 지하수 자원의 평가·예측 기술을 개발하여 미래의 지하수자원의 안정적 공급과 기후변동에 대비한 인공함양기법을 이용한 지하수 자원의 적극적 공급 시스템 확보 필요.

○ 기후 변동성을 고려한 지하수 함양 특성 등에 대한 평가기술 개발을 통하여 지하수 자원의 개발량 평가와 안정적 수자원 공급시스템 구축 기술 개발 필요.

○ 기후변동 대응 수문순환 예측연구, 인공함양(강변여과수, 지하댐, ASR)관련 요소 기술 개발, 가뭄 취약성 분포도 작성 등을 통하여 가뭄, 홍수에 대비한 인공함양 지하수 확보기술 개발 필요. (지역지하수 이용량 대비 25% 추가 확보)

○ 한반도 기후변화(변동)에 따른 지표수 물 공급의 불안정성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산업단지 개발 및 택지 조성 등 산업화 및 인구 밀집에 따른 산업·생활 용수의 안정적 공급 필요성 증가. (예: 해안지역 포함한 당진, 속초 등 공단 및 택지조성 사업)

○ 현재 우리나라 전체 물이용량 중 지하수 이용량은 10% 수준이고 물 부족량이 2011년 9억㎥, 2016년 14억㎥로 예상되며, 이상기후로 물 부족량은 더 증가하고 있음. (수자원장기종합계획 보완(안), 2006). 따라서 "기후변화 대응 지하수자원 확보·활용 통합솔루션 개발"은 미래 국가의 물공급의 안정성 확보와 이상기후에 따른 물 부족 위기에 대처하는 국가적 시급성을 지님.

○ 최근 남부 지방 가뭄에 따른 수자원 부족으로 식수, 농업, 공업 등 국가 산업 전반에 막대한 피해를 초래하였음. 이를 극복하기 위해 지하수를 이용한 안정적 물공급 방안이 제기되었으나 단·장주기 가뭄 시나리오에 따른 체계적인 지하수 공급시스템 미확보로 피해가 반복됨.

○ 제주도의 청정 고부가가치 지하수(탄산수)의 개발을 통하여 물산업 시장에 진출함으로써 지역경제의 활성화 및 경제가치 창출에 기여할 것임.

III.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 기후변화에 따른 지하수 자원 취약성 평가 및 변동예측모델 개발

① 수계규모(금강수계) 지하수자원 평가 및 자원/오염 취약성도 작성

- 수계규모별(금강수계: 중·대수계) 지하수 함양량 분포 특성 평가 및 물수지 분석

- 수계규모별(금강수계: 중·대수계) 지하수 오염 분포 특성 평가

- 수계규모별(금강수계: 중·대수계) 지하수 자원/오염 취약성도 작성

② 기후변동에 따른 지하수 함양 및 오염물질 침투 특성 평가 모델 개발

- 기후변동(강우 양상변화: 가뭄, 홍수 등)을 고려한 지하수 함양 변동 모델 개발

- 기상변동에 따른 지표 오염물질의 지하 침투 예측 모델 개발

- 비점오염의 토양 및 비포화대 배수/침투 특성 평가

③ 해수면 상승에 따른 가용 지하수 자원 변동 예측 모델 개발

- 내륙 해안지역 해수침투 변화양상 모니터링 (수리지구화학 및 지구물리탐사 기법)

- 한반도 내륙 해안지역 해수침투에 따른 가용 지하수자원 변화 예측 모델 개발

- 도서(제주도) 지역 해수면상승에 따른 가용지하수자원 변화분석 및 예측모델 개발

○ 인공함양 최적지 선정 기법 개발 및 파일럿 규모(30만 ㎥/년) 인공함양 시스템 구축

① 인공함양 최적지 선정 기법 개발

- 인공함양 수요/적용 가능 지역(소수계 규모) 지하수 자원 평가

: 소수계규모 물수지, 이용량/개발가능량 분석을 통한 지하수자원 수요 예측 평가

- 인공함양 수요/적용 지역 최적 개발 가능지 제시(수리지질 및 지구물리탐사)

② 파일럿 규모 인공함양 시스템 구축 (30만 ㎥/년)

- 인공함양 공급형태 및 방안 구축 (직접 함양 및 간접 취수 방안 타당성 조사)

- 인공함양지역 예비타당성 조사/평가 (수리지질, 지구물리탐사, 비포화대 침투특성)

- 소규모 파일럿 인공함양시스템 설계, 운영 평가 (인공함양/재순환 시스템)

- 인공함양 지하수 수처리기술 및 시스템 구축 (철/망간/라돈/탁도 수처리 시스템)

- 지속가능한 지하수 인공함양을 위한 모델링 기술 개발

○ 고부가 제주도 지하수(탄산수) 생성/순환기작 규명 및 개발 가능지 확보

① 고부가 제주도 지하수(탄산수) 분포지/개발 가능지 확보 (30만㎥/일, 3개소 이상)

- 지하수 수리지화학 평가를 이용한 서귀포 유역내 고부가가치 탄산수 분포지 제시

- 지하 지질구조(지질층서/지구물리탐사기법) 규명을 통한 탄산수 개발 가능지 조사

- 탄산수 분포지의 시추코아 분석(광물, 암석, 토양)을 통한 지질구조 해석

② 제주도 지하수(탄산수) 생성/순환 기작 규명

- 주요 용존성분 기원 및 물-암석 반응 기작 해석을 통한 탄산수 생성 기작 해석

- 환경추적자를 이용한 지하수(탄산수 포함) 장단기 체류시간 산정 기법 적용 연구

- 지하수(탄산수) 생성/순환 기작의 개념 모델 구축

③ 제주도 지하수(탄산수) 부존량 및 개발가능량 평가: 물산업 기반구축

- 수리 시험을 이용한 대수층 물성 평가

- 탄산수 분포 모형 구축을 통한 부존량 평가

- 제주도 탄산수 생성/순환 기작을 고려한 지속가능한 개발량 산정

IV. 연구개발결과

기후변화에 따른 수계 규모 지하수 자원 취약성 및 함양특성 평가를 위해 금강유역을 대상으로 과거 기후 및 환경변화(토지이용변화), 지하수 함양량 평가를 위한 기저유출량 측정, 지하수위/수질의 장기변동 분석, 선구조선분석, 지표수에 있어서의 기후변화 영향, 오염침투 특성 및 오염취약성 평가, 환경생태학적 평가 등을 수행하였으며, 해수면 상승에 따른 지하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제주도 지역을 대상으로 모니터링 및 모델링 연구를 수행하였다.

금강유역은 1973년부터 2008년(36년간)까지 년평균 기온은 년 0.03℃씩 상승하는 경향을 가지고, 년평균 강수량도 년 6.67mm씩 대체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추세평균에 대한 편차는 심하게 나타났다. 토지이용은 지난 30년간 인구증가와 대전을 중심으로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시가화 구역이 넓어졌으며, 1980년 12월 대청댐의 건설로 인해 1985년 이후부터 토지피복도에서 수역면적이 증가되었다. 1975년과 비교할 때 2000년 현재 시가화 지역은 233.3% 증가하였으며, 습지는 87.3%, 산림은 8.8% 감소하였다. 시가화 지역의 증가는 지표의 투수성에 영향을 미쳐 해당 지역 지하수 함양에 영향을 주며 산림의 감소와 분포 변화는 식생의 변화를 일으켜 물수지의 요소 중 증발산 식물에 의한 차단에 영향을 주게 된다.

금강 하구언을 제외한 17개 유역의 유출구에서 기저유출량을 측정한 결과 WAMIS에서 제공하는 유량자료가 실측유량에 비하여 24배까지 과대평가된 곳도 있고, 유량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0으로 제시되고 있는 곳들도 있어 지하수 함양량 평가를 위해서는 기저 유출량 검정작업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금강유역의 국가지하수 관측망과 환경수질관측망을 중심으로 장기추세를 분석해 보면 전반적으로 지하수위 하강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수질은 토지이용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갈수기에 지하수 하강 현상은 뚜렷했고, 그 낙폭도 크게 나타나고 있어 기후변화에 대한 지하수 자원도 그 영향이 클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기후변화에 대한 지표수 분야의 취약성은 증발산량과 강수에 의존하고 있는 데,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한 유출분석 결과, 연평균증발산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강수는 기간과 유역에 따라 증감을 보일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후변화와 토지피복변화에 따른 물수지변화 분석을 통해 지하수 함양량의 시공간적 분포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금강유역의 초기 물수지 모델을 구축하였는데, 먼저 국립기상연구소에서 제공하는 한반도기후변화 예측자료를 통해 기후변화 추세를 파악하고 미래 물수지변화 예측을 위한 입력자료로 재가공하였다. 토지피복변화 예측을 위해 국가수자원종합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토지피복도를 이용하여 과거의 토지 피복변화 양상을 파악하고 이를 토지피복변화 예측 모델인 LCM에 적용하여 미래의 토지피복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GIS 기반의 물수지 분석 모델인 WetSpass에 국토해양부와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수문관측자료 및 지형공간자료를 적용하여 미래 물수지 분석의 시작점이 되는 금강유역의 초기 물수지 모델을 구축하고 지하수함양량의 공간적 변화를 모의,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다양한 지하수 오염 취약성 및 예측 방법을 적용하고 비교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지하수 오염 예측 방법의 표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 기초조사 등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미국 EPA에서 개발된 DRASTIC 모델, 그리스의 연구자들에 의해 개량된 M-DRASTIC 모델, 그리고 로지스틱 회귀모델을 금강 수계에 적용하여 지하수 오염 예측을 비교하였고, BOA(Buffer Overlay Analysis)를 통해 각 모델의 효용성을 검증 평가하였다.

지표오염물질의 지하수계 침투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충적층 지역의 장기적인 수질 모니터링 결과, 수직적 수질변화는 지질조건에 크게 좌우되고 있었고, 오염물(비소)에 대한 생물의 반응을 연구하여 환경생태학적 취약성 평가기법을 확립하였다.

기온상승에 의한 해수면 상승이 예상됨에 따라 해안대수층의 지하수 개발이 제한될 것이 예상되는바, 제주도 지역을 대상으로 지하수 수질을 모니터링하였고, 그 결과 수리지질특성에 따라 해수침투현상이 매우 광범위하게 일어날 수 있는 것을 모델링을 통해 확인 할 수 있었다.

기후변화에 따른 수자원 부족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인공함양이 가장 전망있는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대수층 인공함양 수막재배 시스템은 크게 두 가지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하나는 지하수 재순환 수막재배 시스템이고, 다른 하나는 우수 인공함양 시스템이다. 지하수 재순환 수막재배 시스템은 시설재배 난방에 사용하고 난 지하수를 배수로로 흘려버리지 않고 인근의 주입정을 통해 대수층으로 환원시킴으로써 수막재배로 인한 지하수 고갈을 방지하고 겨울철동안 지속가능한 수막재배를 가능케 하는 시스템이다. 우수 인공함양 시스템은 풍수기에 하우스 지붕으로 내리는 빗물을 모아 지하에 주입하여 겨울철기간동안 수막재배로 낮아진 지하수위를 보다 효과적으로 회복시키는 시스템으로, 지구온난화로 집중호우가 잦아져 자연함양량이 줄어드는 상황에 더욱 필요하고 적합한 기술이다.

대수층 인공함양 수막재배 시스템 연구를 위하여 충남 논산시 광석면 왕전리 일대에 시험부지를 구축하였다. 연구지역의 총면적은 도로부분을 제외하고 1.2㎢이과, 이중 수막재배 지역은 0.35㎢으로 총면적의 약 30%를 차지하고 있었다. 수막재배에 따른 하우스 내부의 온도 및 외부의 온도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온도센서를 하우스 내부와 외부에 각각 심도별로 설치하였다. 하우스 내부와 외부의 지상온도는 뚜렷한 일주기 변화를 보여주고 있는데, 하우스 내부에서는 18.6-27.3℃, 외부에서는 14.1-24.5℃의 일교차를 보여 하우스 내부가 더 높은 일교차를 보여준다. 온도모니터링 결과 내부와 외부에서 모두 심도가 깊어짐에 따라 지상 온도 일변화의 영향이 사라짐을 알 수 있고 시간이 지날수록 여름에서 가을로 접어들면서 기온도 서서히 감소하고 있다. 연구지역의 지층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전기비저항탐사를 수행한 결과, 3개의 지층(복토/니질층, 사질과 풍화대, 기반암)이 확인되었다. 또한 서쪽에서 동쪽으로 갈수록 기반암의 심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전기비저항탐사 결과에서 복토/니질층의 심도는 10~20m, 사질층/풍화대의 심도는 20~40m 정도임을 확인하였다.

대수층 인공함양 수막재배 시스템의 양수 및 주입에 따른 온도회복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지열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모델링을 위하여 적절한 수리적, 지열학적 인자를 사용하여 양수정의 온도를 결정하는 주입정과 양수정의 거리가 변할 때 양수온도가 어떻게 변하는지, 그리고 양수온도가 전체 시스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FEFLOW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수치모델링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수층의 깊이와 열적, 수리적 변수를 적절히 가정하고 이격거리를 15m, 30m, 50m 일 경우에 대해 모델링 연구를 수행하였는데, 50m 일 경우에는 주입정과 양수정간의 열간섭 현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고, 시스템 열량이 초기 가동 후 2년이 경과한 후에 최소 134kW로 나타났다.

연구지역에서 인공함양에 따른 수리지질 특성에 따른 재순환수의 주입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양수와 동시에 중력배수에 의한 주입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결과 주입에 위해서 관측공에서 수위상승은 약 3~4cm 정도로 이루어졌으므로 이 지역의 수리지질은 충분한 주입능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대체적으로 동시 양수-주입시험결과의 수위강하가 약간 덜 일어났으나 이것이 주입에 의한 변화인지는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하다. 따라서 향후 주입수의 구간별 거동 특성 파악을 위한 물리탐사기법 및 용질 및 온도 추적자 시험을 병행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하수를 음용수나 생활용수로 사용하는 대다수 마을 상수도와 소규모 급수시설에서 전력공급이 없이도 작동하는 지하수라돈 저감장치를 개발하였다. 연구 개발된 지하수라돈 저감장치는 지하수관정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입파이프와 지하수저장탱크사이에 위치하며, 유입파이프에서 강하게 떨어지는 지하수를 장치내부의 수차(water turbine)에 충돌시켜 라돈제거방법 중 폭기효과를 얻고 동시에 이 수차를 회전시켜 장치 상부의 배기장치로 라돈을 배출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라돈 농도가 높은 경우에는 기개발된 지하수라돈 저감장치의 수차회전축의 한 편에 연결된 동력전달장치를 배기장치가 아닌 발전기와 연결하여 전기를 생산하고 생산된 전기를 활용하여 폭기시설을 구동함으로써 저장탱크내의 지하수에 잔존하는 라돈을 추가로 제거하는 장치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시작품을 현장에 적용한 결과 약 80%의 라돈 제거율을 확보할 수 있었다.

제주도 탄산수 분포 특성과 산출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지하 지질구조와 수리지 화학 연구를 수행하였다. 암석학적 조사는 시추코어와 노두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시추공 상부의 화산암은 Trachybasalt, Trachyandesite, Trachyte가 주를 이루며 일부 Basanite와 Basalt가 관찰되고, 시추공 최하부에는 100m 전후의 층후를 보이는 응회암 층이 두껍게 나타난다. 탄산수는 해발 고도가 높은 제 1호공 근처에서 검출되므로 응회암체 상부에 놓인 대수층이 탄산수 존재의 기준이 될 가능성이 있다.

탄산수 및 고미네랄수의 분포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서귀포시 남서부 중산간지역에 대해 수리지화학 조사를 실시되었다. 광역적인 수질 조사에서는 중산간지역에서만 탄산수/고미네랄수가 관찰되며, 해발 200m이하의 해안지역에서는 배경지하수만 분포하며 NO₃오염의 영향이 관찰되었다. 지하수는 NO₃의 농도, PCO2, Mg/Na 비율, HCO₃ 농도 등을 이용하여 고지대용천수, 저미네랄수 (low-mineral water), 고미네랄수 (high-mineral water), 탄산수 (CO₂-rich water)등으로 나눌수 있으며, US FDA 기준을 만족하는 광천수(mineral water)도 확인되었다. 수질 분포 특성을 종합하면, 현재까지 고미네랄지하수 분포지 탐색을 위한 시추 조사 결과는 남서부 중산간 지역에서 탄산수 및 고미네랄 지하수의 분포가 규모에서는 1km 이내의 국지적인 범위에 제한되며, 분포 형태는 대상임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수질 특성은 대수층내 분포 암상에 따라 Na-Mg 간의 상대적인 조성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전기비저항 탐사에서는 대상 지역의 지하에는 지표 하부 100내지 250m 내외 심도에 뚜렷히 낮은 전기 비저항 분포가 구역별로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낮은 비저항 분포 지역은 상위지하수의 주요 이동 경로일 가능성이 높다. 전반적인 조사 대상 지역의 전기비저항은 서측이 낮고, 동측이 다소 높은 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지역별 대비는 이 지역의 지질과 연관될 것으로 판단되며, 동편의 한라산 조면암이 서편의 법정동 조면현무암에 비해 상대적으로 치밀하여, 지하수 유동 혹은 함유하기에 곤란한 것이 원인일 수 있다고 사료된다. 이 지역의 지하 지층 분포가 균질한 층상의 형상이 아닌 3차원적인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며, 특히 일부 구역은 투수성이 양호한 크링커(지질도상에서는 역암층)와 매우 치밀하여 지하수의 유동과 함유가 곤란한 형태의 조면암 등이 혼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천연광천수 시험시추공 시추 코어에서 이차변질광물과 공극 및 열극충진광물에 대한 광물학적 조사에서는 모암에 포함된 사장석, 각섬석류등이 확인되고, 변질/풍화 광물로는 스맥타이트, 철산화물, 불석류 등이 확인되었다. 특히 심부 코어에서는 방해석이 확인되어 물-암석 반응정도가 상당수준으로 진행되었음을 지시하였다.

3개 광천수 시추공에 대한 물리검층 결과, 3개 시추공의 전체적인 비전도도의 범위는 중문 시추공(2008년 설치된 KIGAM 시험공)을 포함하여 낮은 전기전도도 특징을 보이나 BH-1호공의 하부에서 약 800μS/cm 높은 비전도도를 보이는 구간이 확인되었다. 이 높은 비전도도를 보이는 구간은 BH-2, BH-3호공과는 다르게 높은 온도 증가를 보이는 구간이며 이와 같은 특징은 중문 시추공과도 유사하다.

V.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가. 성과확산방안

○ 환경정책평가연구원, 수자원공사 등 유관 기관과 협의를 통해 대형 토목 사업 시 지하수자원 순환 해석을 위한 기본 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

○ 한국수자원공사 등과 함께 수계 규모 지하수 자원 조사/관리 방안의 합리화를 추진하고 자원 오염취약성 평가의 표준기법을 기초조사 등의 가이드라인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하고자 함

○ 기후변화 대응 지하수 통합솔루션 요소기술의 개발을 통한 UN 등 국제사회에서 추진하는 전지구적 기후변화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대한민국의 전 지구적 기후변화에 대한 국가적 역할 및 활동 등에 대한 홍보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됨.

○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정책 입안 및 수행의 기초자료로 활용

○ 대중적 홍보 전시회(미래성장종력연구성과 전시회, 세계물의날 행사 등)를 통해 대중의 과학적 이해 수준의 향상을 도모하고, 지하수자원 보존/관리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도록 유도함. 특히 매년 세계 물의 날 기념행사의 일환으로 제주도와 공동 학술회의 개최를 통해 연구 결과를 홍보함

○ SCI급 국제학술지, 특허 출원/등록, 프로그램 등록 등 연구 성과 달성하고, 국제/국내 학술지 발표를 통하여 청정지하수자원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의 우수성 및 활용성을 대국민 적극 홍보

나. 기술이전방안

○ 최종 성과를 체계적인 기술보고서 형식으로 정리하여, 정부(지식경제부, 국토해양부, 환경부, 교육과학기술부), 지자체(시군), 일반인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

○ 본 연구사업은 국가 예산의 지원을 통한 연구사업이므로 그 성과물은 무료 배포를 원칙으로 하며 개발된 기술중 공공 성격을 가지는 분야의 결과들은 일반인/ consulting 관련 회사들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함. 단 경제 산업적인 이득을 창출할 수 있는 분야의 것들은 중소기업 등에 기술을 이전하여 산업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함 (특히 개발된 인공함양 시스템이나 수처리기술 등은 관련 업체에 기술 이전 추진)

○ 지방자치단체나 환경관련 업체에 개발된 지하수 관리 및 보전 기술을 전수하여 지하수 자원의 보전 및 오염 방지 대책 수립에 활용

○ 제주도 탄산수 분포지 지하 지질 및 지하수 자료를 GIS로 구축하여 제주도에 제공함으로써 물산업 육성을 위한 기반 기술을 제공하고자 함. 특히 지식경제부 선도산업 프로젝트와 연관하여 본 사업을 제주도와 협력연구를 추진함으로써 핵심 탄산수 개발 평가 기술을 확보하고자 함

○ 지하수자원 확보(인공함양 등) 핵심원천기술 개발과 개발된 기술의 지적재산권화 추진 및 대학, 지방자치단체 기술지도 등을 통해 실용화 추진

○ 개발된 지하수자원 확보 기술을 개발도상국가에게 training course를 통한 기술이전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T000032209 전자자료 이용불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