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CO₂지중저장 요소기술 개발 기획 연구 / 지식경제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과천] : 지식경제부, 2009
자료실
전자자료
형태사항
248 p. : 삽화, 도표, 사진 ; 30 cm
제어번호
MONO1201010551
주기사항
주관연구기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주관연구책임자: 김정찬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보고서 요약서

요약문

SUMMARY

CONTENTS

목차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22

1.1. 연구개발의 목적 22

1.2. 연구개발의 필요성 22

1.2.1. 연구개발의 과학기술, 사회경제적 중요성 22

1.3. 연구개발의 범위 23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25

2.1. CO₂ 지중저장 수치모의 25

2.1.1. 국외 기술개발 현황 25

2.1.2. 국내 기술개발 현황 27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28

3.1. CO₂ 지중저장 평가를 위한 GIS DB 구축 28

3.1.1. 전국 관련 자료 GIS DB 구축의 범위 28

3.1.2. 국내 CO₂ 주요 고정 발생원 분포 32

3.2. CO₂ 지중주입에 따른 거동특성 수치모의 33

3.2.1. 서언 33

3.2.2. 개념모델 35

3.2.3. 모의결과 37

3.3. CO₂ 지중 저장 자연 유사 연구 47

3.3.1. 탄산수의 알칼리도 및 총 탄소 측정 방법 비교 연구 47

3.3.2. 고함량 CO₂ 탄산수 주기조사 53

3.4. 동위원소기법을 이용한 대심도 지하수 순환 규명연구 : 물-암석 반응에 의한 물속의 Sr동위원소의 거동관측실험 및 사례적용 연구 I 64

3.4.1. 서언 64

3.4.2. 연구방법 65

3.4.3. 결과 67

3.4.4. 토의 72

3.4.5. 결론 및 향후 계획 75

3.5. CO₂ 지중저장 기술분야 특허분석 77

3.5.1. 서언 77

3.5.2. 분석결과 78

3.5.3. 결언 85

3.6. CaCO₃의 용해와 결정성장에서 표변 반응 88

3.6.1. 서언 88

3.6.2. 실험 방법 88

3.6.3. 결과 및 토의 89

3.6.4. 결론 89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90

4.1. 당해연도 연구성과 90

4.1.1. 논문, 지재권 외의 기타 성과물 90

4.1.2. 연구성과 달성을 위해 추진한 대내외 활동 (교육훈련, 워크샵, 기술자문 등) 91

4.2. 연구실적의 경제적 공공적 파급효과 93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94

5.1. 기대 효과 94

5.2. 활용계획 94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95

6.1. South West Regional Partnership 정보 95

6.1.1. CO₂ 지중저장 관련 법규 및 규정 95

6.1.2. CO₂ 거동 실내실험 96

6.1.3. South West Regional Partnership 97

제7장 참고문헌 101

부록: CO₂ 지중저장 기술분야 특허분석 110

I. 개요 112

제1절 분석 배경 및 목적 114

제2절 분석범위 115

제3절 검색기준 116

제4절 최초 검색결과 122

제5절 노이즈 제거 및 최종 분석 대상 건수(중복분류허용) 123

제6절 분석 방법 124

II. 동향분석 126

제1절 전 세계 CO2 지중저장 기술 분야의 특허동향 128

제2절 CO2 지중저장 기술 분야별 동향 138

제3절 주요출원인 동향 및 공동연구 152

제4절 기술경쟁력 비교분석 176

이산화탄소 지중저장에 관한 지구화학-반응운송 모델링 활용 / 최병영 184

Application of Numerical Simulations to Quantifying CO₂ Trapping Mechanisms / Weon Shik Han 210

초록보기 더보기

I. 제목

CO₂지중저장 요소기술 개발 기획 연구

(Basic research and planning of geologic CO₂sequestration)

II.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가. 연구개발의 목적

본 과제의 목적은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기술의 실증을 위하여 필요한 요소기술의 개발 및 이를 위한 연구의 기획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여 궁극적으로는 CO₂지중저장 사업의 정책을 개발하고, 국가사업화 함으로써 지중저장 기술의 실증 및 상용화를 도모한다. 이를 위한 본 연구의 최종 목표는 다음과 같다.

○ Carbon Sequestration (CS) 실증을 위한 요소기술 개발 기획 연구

- CO₂처분 능력 평가를 위한 protocol 작성

- CO₂지질학적 처분 능력 전국 규모 맵 예비작성

- CO₂거동모니터링 요소기술 protocol화

- CO₂지구화학적 관리를 위한 기반 구축

○ CO₂지중저장사업 정책개발, 홍보 및 국가사업화

나. 연구개발의 필요성

○ 기술적 측면

- CO₂저감과 관련하여 2050년 전 세계 CO₂배출량의 약 19% (91억 톤)는 이산화탄소 포집/저장 분야(CCS)가 담당해야 할 것으로 예상됨

- CCS 기술개발의 시급성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CCS 연구 분야는 주로 포집분야 위주로 진행되고 있어 CCS의 실증 및 균형발전을 위해서는 CCS의 궁극적 목적인 CO₂저장분야에 대한 연구가 시급함

- 이미 선진국 (미국, 일본, 유럽 등)은 CO₂저장분야 시장 선점을 위해 기술적 성과를 도출하고 있는 단계로 향후 저장 분야의 기술적 자립도 확립을 위해 국내에서의 관련 연구가 반드시 필요함

○ 경제·산업적 측면

- 2020년 이후 온실가스 감축 문제는 국제적 산업 경쟁력을 좌우하는 직접적 문제로 부상할 것으로 예상됨

- CO₂저장기술의 자립이 어려울 경우, 일각에서는 포집된 CO₂를 국외에 처분하자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으나, 운반비용 등을 고려할 때 실현 가능성이 낮으며, 자국에서 발생하는 CO₂는 자국 내에서 처리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보다 현실적임.

- 신재생에너지 분야로 떠오르는 수소사업의 경우에도 대량의 CO₂가 방출되는 점을 고려할 때, CO₂지중저장은 수소사업의 성공을 위해서도 시급히 수행되어야 함

○ 사회·문화적 측면

- 동아시아의 경우 온실가스 감축 방안이 수립되지 못할 경우 2100년경 평균기온이 최대 6.5℃ 이상 상승하여 인간의 일상적인 활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가뭄 홍수 등의 자연재해 발생이 빈번해질 개연성이 높아짐.

- 따라서, 에너지 절감 및 효율증대 등 전통적 CO₂감축방안 이외에도 추가적으로 CO₂를 직접 지층에 주입하여 국제사회에 CO₂저감량을 제시할 수 있는 적극적인 CO₂감축방안 개발이 필요함.

III.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 최종목표 달성을 위해 연구 내용을 1) 광역 부지 특성 평가, 2) 지역별 CO₂저장능력 평가 3) CO₂거동 모니터링 요소기술 개발, 4) CO₂-지질물질 반응 평가 기반기술 개발 등으로 분류

○ 광역부지 특성평가는 전국을 대상으로 하며, 기존 조사 자료를 1차적으로 검토, 스크린닝 기법으로 통해 집중조사지역을 선정하고 선정된 지역에 대한 집중조사를 통해 기존 조사 자료에 대한 정량적 평가기법을 체계화함

○ 지역별 CO₂저장능력 평가 역시 1차적으로는 전국을 대상으로 하며, 전국적으로 채취된 암석시추코아 자료에 대한 실험을 통해 ICE (Injectivity, Capacity, Effectiveness)에 대해 평가, 이를 protocol화하여, 향후 국내뿐만 아니라 국제 CS 시장 진입을 위한 기술적 근거를 마련함

○ CO₂거동 모니터링 요소기술 개발 기술은 MMV (Monitoring, Mitigation and Verification)에 관한 핵심기술 개발을 그 목적으로 하며, 지중 CO₂물리적/화학적 지중거동, 유해성 평가기법 등에 대해 향후 3년간 선진국 대비 80% 이상의 수준으로 끌어올려 국내 시장의 자립도 제고와 해외시장 진출의 근거를 마련함

○ CO₂-지질물질 반응 평가 기반 기술 개발은 지중 주입된 CO₂의 거동에 영향을 주는 지구화학적 인자에 대한 이론적 평가와 실험적인 검증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여 CO₂안정성 평가의 핵심 기술을 확보함

IV. 연구개발결과

가. CO₂지중저장 평가를 위한 GIS DB 구축

본 연구는 이산화탄소의 지중저장 및 저장 용량 평가와 관련된 기본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GIS DB화 하여 향후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파일럿 site 선정과 상용 지중저장지 선정에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1) 기존 인프라, 2) 광역 지질정보, 3) 저류층의 지질정보, 4) 위험요소, 5) 법제도, 6) 정보의 접근성, 7) 기타 등으로 분류하여 정보를 수집하였다.

기존 인프라에 해당하는 주요 항목은 CO₂의 주요배출원에 해당하는 화력/복합화력 등의 발전시설로 국내에는 기력(18개소 73기), 복합화력(13개소 104기) 등이 분포한다. 각 발전원별 비중은 현재 석탄 화력이 31.6% (22,901.03 MW), LNG(화력/복합화력) 25.8%(18,703.59 MW), 원자력이 24.4%(17,715.68 MW), 유류(화력/복합화력) 8.0% (5,801.81%W), 수력 7.5% (5,429.94 MW) 순서로 파악되었다.

광역지질정보에 대한 GIS DB화 작업을 위하여 현재까지 제작된 1:50,000 전자지질도를 총 150개 도면을 취합, GIS DB로 통합 정리하였다. 광역 지질정보에는 CO₂저장 대상 지층에 대한 정 뿐만 아니라, 국내 지질전반에 대한 개략적 정보를 포괄하고 있어, 정보의 선별/활용 문제는 차후 보다 심도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국내 육상에는 중생대 이후 크고 작은 퇴적분지가 분포하고 있으며, 경상분지 외 음성분지, 공주분지 등 육상분지와 포항분지, 격포분지, 해남분지, 북평분지 등 해안에서 대륙붕으로 확장되는 분지, 울릉분지, 군산분지, 제주분지 등 해저분지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국내 퇴적암 분포 지역에서 관찰되는 탄산수 유출 지역에 대한 논문 등 문헌 정보를 수집, 디지타이징 과정 등을 거쳐 GIS DB화 하였다. 이러한 조사/연구 결과는 CO₂는 누출 패턴과 지질조건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향후 CO₂지중저장 사업 시 부지선정, 위험도 분석 등에서 정성적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국내에서 활용 가능한 저류층 지질정보 자료는 매우 제한적이다. 이는 CO₂지중저장 대상 심도가 최소 1km 이상 심도의 조건을 갖추어야 하는 반면, 국내에서는 울릉분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육상/대륙붕 내 퇴적분지에 대한 지하심부 세부조사 자료가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국가지하수정보센터」에 등록된 심도 300m 이상 지하수 관정에 대한 정보를 정리하였다. 이에는 지하수 연간 사용량 및 심도에 대한 정보를 수록하고 있다.

CO₂지중저장의 위험 요소로는 인간 활동에 의한 재해를 제외할 경우 CO₂지중저장에 가장 큰 위협이 되는 요소는 지진에 의한 돌발적인 응력변화 및 암석파괴 등의 위협을 들 수 있다. 1997년 이후 국내 및 연안지역에서 발생한 지진 자료를 분석 한 결과, 총 611개 지진의 위치, 진앙심도, 강도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정리하였다. 국내의 경우 다수의 지진이 심도 5km 이상의 지점에서 발생하고 있으나(318개), 2km 이하 심도에서 발생한 지진 역시 181회 기록하고 있다.

나. CO₂지중주입에 따른 거동특성 수치모의

이산화탄소의 주입관정 인근에서 발생하는 물리·화학적 특성은 주입효율에 영향을 미친다. CO₂가 지중에 계속해서 주입되면 주입정 부근의 지층에 존재하던 염수는 바깥으로 밀려나며 dry-out zone이 형성되고 염수에 용해되어 있던 염이 침전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염수층에 이산화탄소 주입 시 지중에 형성되는 압력변화 및 상변화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유체유동 시뮬레이터인 TOUGH2를 이용하였으며, TOUGH2에 포함된 여러 개의 다른 Equation Of States (EOS) 중 H₂O/CO₂/NaCl 시스템에서의 유체의 특성을 모사할 수 있는 ECO2N 모듈을 사용하였다. 개념 모델은 x 방향으로 10,000m, z 방향으로 100m의 2-D radial 모델을 구성하고 모델의 중심부에 주입정을 설정하여 이산화탄소 주입을 모사하였다. 이산화탄소의 주입은 5 kg/sec의 주입율로 3년 동안 주입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이산화탄소 주입으로 인한 압력변화에 미치는 인자들을 살펴보기 위해 다양한 케이스에 대해 모의하였다.

Case 1의 조건하에서 5kg/sec의 주입율로 지중주입 시 주입정 인근에서는 주입시작 10일후 1.486×107 Pa의 압력을 보였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주입정으로부터 더 먼 거리까지 압력이 증가하였다. 또한 CO₂주입에 따른 투수계수의 변화를 모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Pruess and Muller의 연구와는 달리 이산화탄소가 전대수층에 걸쳐 심도별로 일정하게 주입되는 것으로 설정하였으며, 주입율도 5kg/sec로 일정하게 설정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k 값의 변화에 따라 특정조건 하에서 대수층의 하부에서 염침전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우가 나타났다. 공극률의 경우 0.1에서 0.3으로 증가함에 따라 dry-out zone은 8m에서 4m까지 감소였다. 이는 공극률이 증가함에 따라 CO₂가 분포할 수 있는 공간이 증가하여 gas saturation 범위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고체포화(SS) 범위는 dry-out zone 범위에 따라 다르지만, 고체포화 정도는 공극률에 관계없이 3%로 일정하게 나타났다. 최대 잔류가스 포화도(Sgr)가 0.05에서 0.25로 증가함에 따라 dry-out zone에서의 염침전의 변화는 크지 않았다. Slr이 0.3에서 0.1로 감소함에 따라 염침전은 감소하는 현상을 보였다. 이는 drainage에 의해 dry-out zone에 잔류되는 brine이 감소함에 따라 침전되는 양이 감소한 결과로 판단된다.

다. CO₂지중저장 자연유사 연구

자연유사 연구로서 탄산수에 대한 연구는 CO₂지중저장 연구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탄산수는 자연적으로 발생한 CO₂가 지하수에 용해되어 오랜 기간 지질매체와 반응하고 유동하였으므로 주입된 CO₂의 지구화학적 거동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탄산수의 지구화학적 성분 및 측정된 연령은 CO₂지중저장의 지구화학 모델링을 검증하고 보정하는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탄산수 연구는 주입된 CO₂의 누출 위해성 평가에 응용될 수 있다. 즉, 탄산수의 산출 양상을 파악함으로써 만에 하나 있을 수 있는 주입 CO₂의 누출 메커니즘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유사 연구로서 고함량 탄산수의 총 탄소 분석 방법을 개선하는 연구와 탄산수에 대한 장기 모니터링을 통해 CO₂의 지중거동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CO₂지중저장 연구에 활용되는 알칼리도 및 총 탄소 측정방법을 비교, 검증하고 하기 위하여 인조탄산수를 실험실에서 제조하고 이 시료의 총탄소 함량을 산중화 적정법, 역적정법, 침전법, NDIR 측정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제조된 탄산수를 0시간, 24시간, 48시간 동안 대기 중에 방치한 후 측정하여 CO₂탈기로 인한 알칼리도 및 총 탄소 함량의 변화량을 관찰하였다. 위의 4가지 실험결과 측정한 알칼리도와 총 탄소의 양은 방법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CO₂를 탈기시킨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른 산중화 적정법과 NDIR측정법의 알칼리도는 일정하게 나타났다. 이는 알칼리도 보존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역 적정법과 침전법의 경우 CO₂의 탈기로 인하여 pH가 증가함에 따라 알칼리도가 높게 측정되었으며, 총 탄소의 경우 산중화 적정법과 NDIR측정법과 비교하여 높게 측정되었다. 이는 역 적정법과 침전법으로는 ACW에 잔류한 CO₂(g) 기포까지 분석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탄산수에서 알칼리도 및 총 탄소 분석을 위해서는 현장에서 pH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며, 알칼리도 측정은 현장 또는 실험실에서 측정하는 것은 무방하나, 역적정방법이나 침전법을 이용하여 총 탄소를 분석할 경우에는 현장에서 NaOH 또는 CaO를 첨가하여 CO₂(g)를 고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의 결과는 CO₂지중저장 연구에 응용될 경우 탈기되지 않는 CO₂(g) 기포 등의 측정과 이를 통해 심부 지중의 pH를 보정할 수 있어서 CO₂의 지중 거동과 CO₂저장 용량 평가에 응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충남 연기군 금남면에 위치한 탄산수에 대해서 2주간격의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현장에서 pH, EC, DO, Eh 등을 측정하였으며, 양이온 및 음이온 시료를 채취하였다. 충남 연기군에서 나타나는 탄산수는 국내의 어떤 탄산수에 비하여 pH가 낮으며(최소 3.4) 낮은 EC와 높은 CO₂함량이 특징이다. 이는 심부의 CO₂가 지하수와 반응 없이 상승하여 천층의 지하수와 짧은 시간 반응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모니터링 결과는 향후 CO₂지중거동의 해석과 주입 중/후 모니터링, 누출 기작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게 이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라. 동위원소기법을 이용한 대심도 지하수 순환 규명 연구

본 연구는 결정질 암반에서의 천수-지표수-심부지하수의 순환속도와 심부지하수의 수질특성 그리고 심부지하수환경에서의 탄산염광물의 성장과정에 미치는 지구화학적 인자의 연계성을 이용하여 CO₂의 지중저장 후 발생되어질 수 있는 지질특성별 심부대수층의 지구화학적 환경변화를 예측함으로써 CO₂지층처분에 최적인 지질특성을 찾아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물-암석반응에 따른 물속에서의 Sr 동위원소비의 변화특성을 밝혀내어 이를 지하수내 Sr 동위원소 지구화학에 적용할 수 있는 실험적 기틀 마련하였다. 또한 상기의 이론적-실험적 결과를 대전지역의 주변의 천부지하수와 심부지하수의 Sr 동위원소비의 차이 및 연계성 연구에 적용하여 실증함으로써 결정질암반에서의 천수-지표수-지하수간의 순환속도를 규명할 수 있는 지구화학적 연구사례 구축하였고, 지하수내의 탄소이온의 농도변화에 의한 탄산염광물의 생성 혹은 용해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지구화학적 인자 규명하였다.

1차년도인 금년도에는 암석-물 반응실험을 통해 물속의 87Sr/86Sr비가 어떻게 변하는 지를 조사하기 위한 기초실험을 수행하고, 대전 주변의 천부지하수와 심부지하수 그리고 화강암류에 대한 87Sr/86Sr비를 측정하여 상호간의 연관성을 추적하기 위한 예비연구를 실시하였다. 대전지역의 암석들의 87Sr/86Sr값은 0.710-0.720의 영역에 많이 몰려있고, 따라서 지하수들은 이들 암석의 87Sr/86Sr값의 영향을 많이 받았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동래온천수와 마찬가지로 심부지하수인 유성온천수의 87Sr/86Sr값은 지난 5년간 변화 없이 거의 일정한 값을 나타내었다. 1차년도 연구결과, 물-암석반응에 따른 물속의 Sr동위원소 비는 짧은 시간에 암석의 영향을 받아 물과 암석의 중간 값으로 변한 다음 안정화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이는 자연계에서 강수후의 지표수, 지하수에서 얻어지는 Sr동위원소 비는 이미 안정화된 값(평형값)으로 볼 수 있음을 지시한다. 연구결과는 또한 대전지역의 천부지하수와 심부지하수에서 나타나는 Sr동위원소비의 차이는 대수층구성암석에 의한 차이를 지시해줄 뿐만 아니라, 천부지하수에서 심부지하수로의 유입속도가 매우 느리다는 것을 지시해준다고도 볼 수 있다.

마. CO2 지중저장 기술 분야 특허분석

본 특허동향조사는 이러한 CO₂지중 저장 기술에 관한 특허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의 기술 수준, 선진기업의 연구개발 동향 및 핵심특허 현황 등을 파악하여 본 연구개발과제 수행의 타당성에 대한 객관적인 특허정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CO₂저장분야에서 미국의 특허는 2001년 이후 급격히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낸다. 일본의 경우 1978년 출원이 시작된 이후 7건 정도 관련 출원이 이루어지다가 1990년 이후 관련 출원이 급격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한국의 경우 1979년 네델란드의 스테미카본사에 의해 출원이 시작된 이후 출원이 주춤하다가 2000년 이후 관련 출원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CO₂지중저장 기술 분야의 국가별 점유율 현황을 살펴보면, 미국이 전체의 51.9%를 차지하여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고, 일본은 27.4%를 차지하고 있다.

바. CaCO₃의 용해와 결정성장에서 표변 반응

본 연구는 CaCO₃의 용해 및 결정성장동안의 수용액과 결정표면사이에서 일어나는 원자규모수준의 상호작용을 연구하여 CO₂지중 저장 시 지중에서 발생하는 방해석의 용해 침전 반응을 분자적 수준에서 설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이들 불순물들이 CaCO₃의 용해도, 성장/용해율을 변화시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는 저가의 녹색재료로서 잠재성을 갖는 투명하고 안정된 비정질혼합물이다. 더욱이, 이 물질은 CO₂sequestration로부터 생성물에 대한 새로운 증거로서도 기대된다. 최근, 본 연구팀은 CaCO₃와 아미노산에 근거를 둔 유기질-무기질 혼합물의 다른 형태를 찾아내었다.

V.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가. 기대효과

○ 기후변화 협약 대응

- 2013년 기후변화협약 온실가스 감축 협상에 전략적 대응

- 기후변화협약의 감축목표 달성에 기여

○ CO₂저감 및 환경개선 효과

- 국내 발생 CO₂의 약 5%를 지중저장/광물탄산화를 통해 저감

- 환경개선효과: 이산화탄소 저장을 통하여 지구온난화 대응

○ CO₂저장 기술 선진화

- 지중저장 기술(탐사, 주입, 모니터링 기술)의 선진국 수준 달성 및 원천기술 확보

- 주변국가로의 기술이전을 통하여 국가 위상 제고

나. 활용계획

○ 국내 CO₂저장 유망지 DB 구축을 통하여 관련 기업/국가사업에 정보 제공

○ CO₂지중저장의 과학적 근거 홍보 및 CO₂지중저장에 따른 경제적 효과에 대한 인식 확산

○ SCI급 국제학술지, 특허 출원/등록, 프로그램 등록 등 연구 성과 달성

○ CO₂저장 기술 산업화

- CO₂저장 기술 산업화 및 민간 기술 이전

○ CO₂배출권 거래

- CO₂지중저장으로 CO₂배출권 거래

현재 EU기준 CO₂가스의 배출권 구입액 25유로/톤 가정시, 2020년 3백만 톤 지중저장 경제적 가치는 약 1200억원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T000032309 전자자료 이용불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