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GIS 기반 국토지질정보시스템 실용화 기술 개발 / 지식경제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과천] : 지식경제부, 2009
자료실
전자자료
형태사항
xviii, 238 p. : 삽화, 도표, 사진 ; 30 cm
제어번호
MONO1201010563
주기사항
주관연구기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주관연구책임자: 이사로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보고서 초록

요약문

SUMMARY

목차

CONTENTS 14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22

제1절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2

제2절 연구 목표 및 범위 23

제3절 지공간 상관관계 통합의 필요성 및 개념 24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26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29

제1절 지공간 상관관계 통합기술 패키지 설계 29

제2절 지공간 상관관계 통합기술 응용 46

제3절 GIS기반 지질정보 검색시스템 고도화 210

제4절 공간객체 기반의 지질정보 DB 구축 기법 개발 및 공간 DB 구축 220

제5절 CCOP, OneGeology, ASEM+3, GEO-Grid 사업 참여 232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 분야에의 기여도 243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245

제6장 참고문헌 246

Table 1-2-1. 1차년도 연구 목표와 연구 내용 24

Table 3-2-1. 연구지역 정보 50

Table 3-2-2. 하진부 지역의 포함한 지질층서 (KIGAM, 1962) 55

Table 3-2-3. 마교리를 포함한 지역의 지질 층서 (KIGAM, 1962) 56

Table 3-2-4. 태백 지역을 포함한 지질층서 (KIGAM, 1962) 59

Table 3-2-5. 산사태 분석을 위한 자료층 62

Table 3-2-6. 토양코드 설명표 67

Table 3-2-7. 지반침하 분석을 위한 자료층 69

Table 3-2-8. 광산 위치 목록 73

Table 3-2-9. 광물부존지 선정을 위한 자료층 74

Table 3-2-10. 산사태와 관련된 요인들간의 우도비 80

Table 3-2-11. 산사태와 관련된 요인의 Weight of evidence 83

Table 3-2-12. 산사태와 관련된 요인간의 로지스틱 회귀분석 계수 87

Table 3-2-13. 인공신경망에 의해 계산된 각 요인들의 가중치 89

Table 3-2-14. 지반침하와 관련요인간의 우도비 91

Table 3-2-15. 지반침하와 관련 요인간의 Weight of evidence 94

Table 3-2-16. 지반침하와 관련 요인간의 로지스틱 회귀분석 계수 97

Table 3-2-17. 인공신경망을 이용해 계산된 각 요인의 가중치 99

Table 3-2-18. 광상위치와 관련 요인간의 우도비 101

Table 3-2-19. 광상 위치와 관련 요인간의 weight of evidence 108

Table 3-2-20. 광상 위치와 관련 요인간의 로지스틱 회귀공식 계수 114

Table 3-2-21. 인공신경망으로 계산된 각 요인들의 가중치 116

Table 3-2-22. 산사태와 예측도들 간의 우도비 118

Table 3-2-23. 산사태와 예측도들 간의 weight of evidence 119

Table 3-2-24. 인공신경망으로 계산된 각 예측도들의 가중치 119

Table 3-2-25. 지반침하와 각 예측도들 간의 우도비 123

Table 3-2-26. 지반침하와 각 예측도들 간의 weight of evidence 124

Table 3-2-27. 인공신경망으로 계산된 각 예측도의 가중치 124

Table 3-2-28. 광상위치와 각 예측도들 간의 우도비 127

Table 3-2-29. 광상위치와 각 예측도들 간의 weight of evidence 128

Table 3-2-30. 인공신경망에 의해 계산된 각 예측들의 가중치 128

Table 3-2-31. 통합 전과 후의 정확도 비교 135

Table 3-2-32. 임상도와 토양도의 mass 함수 152

Table 3-2-33. 지형 자료의 mass 함수 153

Table 3-2-34. 증거 이론을 이용한 예측적 지질자료 융합 절차 157

Table 3-2-35. 교차검증에 의한 개별 크리깅 알고리즘의 예측능력 정량적 비교결과 169

Table 3-2-36. 문경탄전의 지질계통 193

Table 3-2-37. 가은지역의 변형작용과 지질구조 199

Table 3-4-1. 추상화 수준에 따른 공간데이터 모델링 과정 222

Table 3-4-2. 지질심벌의 분해 및 표현 224

Table 3-4-3. 심벌 회전각 변환표 I 225

Table 3-4-4. 심벌 회전각 변환표 II 225

Table 3-4-5. 지질도 구성요소 226

Table 3-4-6. 레이어간 매핑 관계 227

Table 3-4-7. 지질피처패키지에서의 클래스 228

Table 3-4-8. 지질도 패키지에서의 클래스 229

Table 3-4-9. 메타데이터 패키지에서의 클래스 230

Table 4-1-1. 당해 연도 연구 목표 및 달성도 244

Fig. 1-3-1. 지공간 상관관계 통합기술 개념 25

Fig. 2-1-1. GIS관련 연구분야의 SCl/E 논문 비율 (www.scopus.com; 2000-2004) 28

Fig. 3-1-1. 지공간 상관관계 통합 패키지 기본 디자인 29

Fig. 3-1-2. 전처리 - 자료 포맷변환 30

Fig. 3-1-3. 전문가 의견 모듈 31

Fig. 3-1-4. 빈도비 분석 32

Fig. 3-1-5. Weights of Evidence 분석 33

Fig. 3-1-6. 로지스틱 회귀 분석 33

Fig. 3-1-7. 퍼지 분석 34

Fig. 3-1-8. 인공신경망 분석 35

Fig. 3-1-9. 후처리 기능 36

Fig. 3-1-10. GIS Viewer 메인 화면(1:5만 축척 동도폭 지질도) 37

Fig. 3-1-11. 도구 그룹 39

Fig. 3-1-12. 벡터 레이어 저장 40

Fig. 3-1-13. 래스터 레이어 저장 40

Fig. 3-1-14. 테이블 관리 도구 41

Fig. 3-1-15. 레이어 통합 도구 41

Fig. 3-1-16. 벡터 자르기 기능 41

Fig. 3-1-17. S/W 순서도 42

Fig. 3-1-18. 프로그램의 메인 메뉴 창 42

Fig. 3-1-19. "Likelihood ratio" 클릭 이벤트 43

Fig. 3-1-20. "LST = ∑ Fr" 클릭 이벤트 44

Fig. 3-1-21. Likelihood ratio 방법을 이용한 LSI 지도 44

Fig. 3-1-22. "AUC" 클릭이벤트 45

Fig. 3-1-23. AUC 결과 45

Fig. 3-2-1. 연구흐름도 47

Fig. 3-2-2. 연구지역과 산사태 (a), 지반침하 (b), 금-은 광상 (c) 위치 51

Fig. 3-2-3. 진부 지역 지질도 55

Fig. 3-2-4. 마교리 지역 지질도 57

Fig. 3-2-5. 태백 지역 지질도 60

Fig. 3-2-6. 산사태 위치들 a), c), d) 항공사진 b), e) 현장 사진 62

Fig. 3-2-7. 공간 DB 63

Fig. 3-2-8. 공간 DB 69

Fig. 3-2-9. 지화학 샘플 위치도 72

Fig. 3-2-10. 공간 DB 74

Fig. 3-2-11. 우도비 방법에 의한 산사태 취약성도 82

Fig. 3-2-12. Weight of evidence를 이용한 산사태 취약성도 85

Fig. 3-2-13.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산사태 취약성도 86

Fig. 3-2-14.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산사태 취약성도 89

Fig. 3-2-15. 우도비를 이용한 지반침하 위험도 92

Fig. 3-2-16. Weight of evidence를 이용한 지반침하 위험도 95

Fig. 3-2-17.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지반침하 위험도 97

Fig. 3-2-18.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지반침하 위험도 99

Fig. 3-2-19. 우도비를 이용한 광상부존 가능성도 106

Fig. 3-2-20. Weight of evidence를 이용한 광상부존 가능성도 112

Fig. 3-2-21.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광상부존 가능성도 114

Fig. 3-2-22.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광상부존 가능성도 116

Fig. 3-2-23. 통합분석에 의한 산사태 취약성도 120

Fig. 3-2-24. 통합분석에 의한 지반침하 위험도 125

Fig. 3-2-25. 통합분석에 의한 광물부존 가능성도 129

Fig. 3-2-26. 각 모델에 대한 산사태 취약성도 검증 132

Fig. 3-2-27. 통합 모델에 대한 산사태 취약성도 검증 132

Fig. 3-2-28. 각 모델에 대한 지반침하 위험도 검증 133

Fig. 3-2-29. 통합 모델에 대한 지반침하 위험도 검증 133

Fig. 3-2-30. 각 모델에 대한 광상부존 가능성도 검증 134

Fig. 3-2-31. 통합 모델에 대한 광상부존 가능성도 검증 134

Fig. 3-2-32. 산사태에 매우 취약한 지역 1 136

Fig. 3-2-33. 산사태에 매우 취약한 지역 2 136

Fig. 3-2-34. 산사태에 매우 취약한 지역 3 137

Fig. 3-2-35. 지반침하에 매우 위험한 지역 1 138

Fig. 3-2-36. 지반침하에 매우 위험한 지역 2 138

Fig. 3-2-37. 지반침하 증거 1 139

Fig. 3-2-38. 지반침하 증거 2 139

Fig. 3-2-39. 지반침하 증거 3 139

Fig. 3-2-40. 지반침하 증거 4 140

Fig. 3-2-41. 지반침하 증거 5 140

Fig. 3-2-42. 지반침하에 매우 위험한 지역 3 140

Fig. 3-2-43. 광상 부존 가능성이 매우 높은 지역 141

Fig. 3-2-44. Bel 함수와 Pls 함수의 도식적 표현 147

Fig. 3-2-45. 연구지역의 위치도 150

Fig. 3-2-46. 산사태 위치도 151

Fig. 3-2-47. 임상도 151

Fig. 3-2-48. 토양도 151

Fig. 3-2-49. 고도 151

Fig. 3-2-50. 사면 경사도 151

Fig. 3-2-51. 사면 방위도 151

Fig. 3-2-52. 통합 결과, (a) belief, (b) disbelief, (c) ignorance, (d) plausibility 154

Fig. 3-2-53. 연구지역의 산사태 취약성 분포도 155

Fig. 3-2-54. 교차 검증을 통해 작성된 예측비율곡선 156

Fig. 3-2-55. 지시자 크리깅의 적용 절차 163

Fig. 3-2-56. 연구지역의 As 및 Pb 샘플 원소 위치도 165

Fig. 3-2-57. As 및 Pb 샘플 자료의 히스토그램과 요약 통계치 166

Fig. 3-2-58. 크리깅 알고리즘에 따른 추정값과 관측값 사이의 로그 스케일 산점도 168

Fig. 3-2-59. As 원소의 백분위수별 크리깅 알고리즘의 MAE와 ME 170

Fig. 3-2-60. Pb 원소의 백분위수별 크리깅 알고리즘의 MAE와 ME 172

Fig. 3-2-61. As와 Pb 원소의 샘플링 밀도와 크리깅 알고리즘에 변화에 따른 ME, MAE 및 선형상관계수의 영향 분석 결과 174

Fig. 3-2-62. 샘플링 밀도와 크리깅 알고리즘에 변화에 따른 As 원소의 백분위수 클래스의 MAE의 영향 분석 결과 177

Fig. 3-2-63. 샘플링 밀도와 크리깅 알고리즘에 변화에 따른 Pb 원소의 백분위수 클래스의 ME의 영향 분석 결과 183

Fig. 3-3-64. As와 Pb 원소에 대한 다중 가우시안 크리깅과 지시자 크리깅의 정확도 그림과 예측 우수도 통계치 188

Fig. 3-2-65. 문경 탄전지역 지형도 191

Fig. 3-2-66. 문경 탄전지역 지질도 192

Fig. 3-2-67. 텔레뷰어 기법 203

Fig. 3-2-68. 칼라 코어스캐너 기법 204

Fig. 3-2-69. 문경지역 디지털 시추 주상도 207

Fig. 3-2-70. 텔레뷰어 이미지 209

Fig. 3-3-1. 신규 GIS DB 구축 대상 지질도 위치 210

Fig. 3-3-2. 지질도 GIS DB 구축 흐름도 211

Fig. 3-3-3. 김화도폭, GDF 포맷 212

Fig. 3-3-4. 강화도폭, GDF 포맷 212

Fig. 3-3-5. 고양도폭, GDF 포맷 213

Fig. 3-3-6. 기산도폭, GDF 포맷 213

Fig. 3-3-7. 산양리도폭, GDF 포맷 214

Fig. 3-3-8. 양구도폭, GDF 포맷 214

Fig. 3-3-9. 온수리 도폭, GDF 포맷 215

Fig. 3-3-10. 의정부 도폭, GDF 포맷 215

Fig. 3-3-11. 지포리 도폭, GDF 포맷 216

Fig. 3-3-12. 포천 도폭, GDF 포맷 216

Fig. 3-3-13. 제작된 수치지질도를 1:5만 지질도 통합DB에 추가 217

Fig. 3-3-14. 웹기반 지질정보검색시스템 218

Fig. 3-3-15. 지질정보검색시스템의 메타데이터 검색 메뉴를 통해 PDF 보고서를 다운로드하는 화면 219

Fig. 3-4-1. 층리(N60˚W / 40˚NE) 224

Fig. 3-4-2. 1:5,000 지질도의 예 225

Fig. 3-4-3. 패지지 다이어그램 225

Fig. 3-4-4. 지질피처 패키지 228

Fig. 3-4-5. 지질도 패키지 229

Fig. 3-4-6. 메타데이터 패키지 230

Fig. 3-4-7. 스키마 매핑과정 231

Fig. 3-4-8. Object 클래스와 Feature로부터 상속받는 최상위 클래스 231

Fig. 3-4-9. 1:50,000 지질도 데이터모델 구축 결과 231

Fig. 3-5-1. OneGeology 프로젝트 수행 계획 233

Fig. 3-5-2. GEO Grid 개념 아키텍쳐 238

Fig. 3-5-3. AIST GEO Grid 239

초록보기 더보기

I. 제목

GIS 기반 국토지질정보시스템 실용화 기술 개발

II.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 현재까지 연구원에서 생산된 지질자원정보를 단순 도면정보 제공을 탈피하여, 보고서와의 연계 및 다양한 응용기술에 적용할 수 있도록 고품질의 지질 자원정보로 가공하여 DB로 구축하고 서비스할 필요가 있음

▶ 현재 전 세계적으로 GIS를 기반으로 한 지공간 상관관계 통합기술이 재해 위험도 분석, 지질자원 탐사, 지질환경 보호 등에 많이 연구 및 활용되고 있음 그러나 각각의 분야에 한정되어 적용되고 있으며, 여러 적용 분야에 적용가능한 근본적인 기술의 패키지화 및 실용화의 진행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음. 따라서 활용분야가 무궁무진한 GIS 기반의 지공간 상관관계 통합기술에 대한 S/W 개발 및 패키지화를 통한 실용화가 절대적으로 필요함

▶ 국토지질기반정보의 DB 구축 및 지질정보시스템 운영 및 고도화를 통한 국가 국토지질정보센터 역할 수행

▶ 지질자원정보는 국내뿐 아니라 동북아 지역에 대해서도 국토 이용 계획 및 SOC 건설(항만, 도로, 철도, 터널, 지하구조물, 산업입지), 자원개발(광물, 에너지, 지하수, 온천, 지열), 지질재해(산사태, 지반침하, 지진), 환경오염, 교육 및 국제 지질층서 대비 연구 분야의 기초 및 기반 자료로 널리 활용되고 있음

▶ 인터넷을 이용한 정보교환은 기 구축된 시스템과의 통합과 정보의 중복생산에 의한 중복투자를 방지하여 시간과 예산 절감에 기여

▶ 국내 개발된 정보 분석 기술을 제고하기 위해 실용화를 통해 광범위한 기술활용을 유도하기 위해, 국내외 관련기관인 CCOP, OneGeology, ASEM+3, GEO-Grid 등 국제 공동 사업을 수행하고자 함

III.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 최종 목표

GIS 기반 국토지질정보시스템을 활용하여 지공간 상관관계 통합 (Geospatial Correlative Integration) 실용화 기술을 개발하고자 함

○ 당해 연도 연구개발 내용 및 범위

▶ 지공간 상관관계 통합기술 패키지 설계

- 지공간 상관관계 통합기술을 반영한 S/W 패키지 설계

- 사용자 맞춤형 부가가치정보 작성 및 패키지화

▶ 지공간 상관관계 통합기술 패키지화를 위한 활용기술 적용 (I)

- 재해 위험도 분석, 지질자원 탐사, 지질환경 보호 등의 분야에 대해 GIS 기반의 지공간 상관관계 통합 활용기술 적용

- 현장 관측 자료의 지질주제도 작성을 위한 공간모델링 기법 개발 및 입력 자료의 불확실성 모델링 기법 개발

▶ GIS 기반 지질정보 검색시스템 고도화 (I)

- 현재 운영 중인 지질정보검색시스템(geoinfo.kigam.re.kr)에 기존에 연구원에서 발간된 PDF보고서 (1000건) 추가

- 신규 생성 공간 DB 추가 및 유지관리

-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선을 통한 사용자 편의성 제고

▶ 공간객체 기반의 지질정보 DB 구축 기법 개발 및 공간 DB 구축 (I)

- 공간객체 기반의 지질자원정보 통합 DB 구축 방법론 개발

- 국내외 지질관련 공간 DB 구축 및 위성영상 관련 자료 DB 구축 (200건)

▶ CCOP, OneGeology, ASEM+3, GEO-Grid 사업 참여 (I)

- GIS 및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한 지질정보 구축 및 활용

- WFS(Web Feature Service)기반 OneGeology 지질정보 서비스 시스템구축

IV. 연구개발결과

○ 지공간 상관관계 통합기술 패키지 설계

▶ 지공간 상관관계 통합 패키지를 개발하기 위해서 지공간 상관관계 통합 시스템 설계 및 모듈 시범 개발

○ 지공간 상관관계 통합기술 패키지화를 위한 활용기술 적용 (I)

▶ GIS 기반 활용연구(산사태 취약성 분석, 지반침하 위험성 분석, 광물부존 가능성 분석)를 통해 지공간 상관관계 통합기술 패키지 개발을 위한 알고리즘 개발 및 검증

▶ 실용화 패키기 개발을 위한 활용연구의 불확실성 제거를 위해 Dempster-shafer 이론에 기초한 자료 유도형 다중 근원 지질정보 융합 모델 개발

▶ 현장 관측 자료를 이용한 지질 주제도 작성을 위한 크리깅 기법의 비교 분석 연구 수행

○ GIS 기반 지질정보 검색시스템 (geoinfo.kigam.re.kr) 고도화 (I)

▶ GIS DB구축 대상 지질도 : 강화, 온수리, 고양, 의정부, 포천, 김화, 지포리, 기산, 양구, 산양리 도폭

▶ 연구원에서 발간된 PDF 보고서 1000건을 지질정보검색시스템의 메타데이터 검색기능에 추가하여 지질도 도폭설명서 뿐만 아니라 지질자원관련 보고서를 쉽게 검색하여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함

○ 공간객체 기반의 지질정보 DB 구축 기법 개발 및 공간 DB 구축 (I)

▶ 국제 표준으로 이용되는 UML 기반으로 모델 작성

▶ 1:5만 축적 지질도 기반의 DB구축을 위한 구현레벨의 데이터모델 설계

▶ 설계한 모델을 이용하여 ArcGIS에서 직접 적용할 수 있는 데이터모델 템플릿 개발

▶ 국내외 지질관련 공간 DB 구축 및 위성영상 관련 자료 DB 구축 (200건)

○ CCOP, OneGeology, ASEM, GEO-Grid 사업 참여 (I)

▶ OneGeology-Global 기술위원회 및 워크숍 : Web Map Services 1단계 서비스 및 OneGeology 포털에 대한 논의

▶ CCOP-CGS METADATA Project Phase II : 지질자원정보 메타데이터 표준개발

▶ Seminar on Geo-information sharing ASEM+3 : 광물자원정보 상호 공유

▶ CCOP-GEO Grid 워크숍 CCOP-GEO Grid 프로젝트 정보 교환 및 CCOP 회원국 Geoinformation 전략 논의

V.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정부 부처 및 산업계 (지식경제부, 교육과학기술부, 국토해양부, 환경부, 소방방재청, 광업진흥공사, 자원관련 민간회사) 등에 높은 수준의 정보 제공

○ 개발된 지질자원정보 통합 분석 요소 기술은 광물, 에너지, 지하수, 온천, 지열 등 각종 자원개발, 그리고 지진, 산사태 등 각종 자연재해 예측에 직접 활용

○ 개발된 활용기술의 실용화를 위하여 관련 업체에 기술이전을 추진하고 상품화

○ 지질정보검색시스템을 이용한 지질정보의 대국민 서비스

○ 지공간 상관관계 통합기술을 이용한 논문발표, 학술지 게재 등을 통해 학계 및 산업계에 관련 기술 확산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T000032315 전자자료 이용불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