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ISS 우주실험기술향상 및 한국우주인사업 성과확산 연구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교육과학기술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2010
형태사항
xx, 265 p. : 삽화, 사진 ; 30 cm
제어번호
MONO1201011550
주기사항
주관연구책임자: 이주희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보고서 요약서

요약문

SUMMARY

CONTENTS

목차

제1장 연구개발 과제의 개요 22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25

제3장 연구개발 수행내용 및 결과 28

제1절 ISS 우주실험 향상 연구 28

1. ISS 우주실험 참여 전략 28

가. 해외 우주기관의 우주실험 수행전략 29

나. 미세중력환경을 이용한 과학실험 31

다. 미세중력 과학실험 참여 방법 35

2. ISS JEM을 활용한 국제공동 우주실험 타당성 연구 36

가. 일본 JEM을 활용한 우주실험 타당성 연구 개요 37

나. 일본 JEM을 활용한 우주실험 제안서 39

3. 우주실험 발굴 및 제안 41

4. 우주교육실험개발 및 지상시험용 장비 구현 56

가. 국내의 우주교육실험 개발 사례 56

나. 우주교육실험 개발 및 장비제작 58

제2절 중장기적 유인 우주 프로그램 발전전략(안) 146

1. 유인 우주 프로그램의 필요성 146

가. 과학기술적 측면 146

나. 산업 및 경제적 측면 147

나. 사회적 측면 147

2. 유인 우주 프로그램 국내외 현황 148

가. 국내 현황 148

나. 해외 현황 149

다. 해외 현황 중 일본의 유인 우주활동 프로그램 152

라. 해외 현황 중 일본 JAXA의 유인우주 분야 기술전략 로드맵 153

3. 향후 유인 우주 프로그램 운영방안 제안 155

가. 한국우주인배출사업과 향후 추진할 유인 우주 프로그램과의 차이점 155

나. 향후 추진할 유인 우주 프로그램 개발 계획(안) 156

다. 검토 및 제안 의견 159

라. 향후 한국 우주인의 활동 방향 설정 161

제3절 한국 우주인 역량강화 유지 발전 연구 164

1. 하계 생환 훈련 및 우주적응 훈련 참가 (공군 협력) 164

가. 생환교육훈련 164

나. 항공생리훈련 170

2. 우주교육프로그램[국제우주대학(ISU)] 참여 173

가. 핵심 강의 (Core Lectures) 173

나. 기본 워크숍 (Fundamental Workshops) 176

다. 다학제간 활동 (Multi-disciplinary Activities) 176

라. 학과 활동 (Department Activities) 177

마. 팀 프로젝트 (Team Project) 180

바. 기타 학문적 활동 요소 (Other Academic Elements) 182

사. 추가 활동 184

3. 향후 역량강화 활동 방안 185

가. 국내외 관련 교육을 통한 역량 유지·발전 185

나. 비행 경험의 활용 및 업무 수행 능력 유지 185

다. 국제 협력 증진 185

제4절 국내과학문화 확산활동 전개 186

1. 이소연 박사 활동 186

가. 우주비행 및 우주실험 결과 성과확산 활동 수행 187

나. 과학문화확산 활동 분야 189

다. '09년 우주개발 사업등과 연계한 국민적 관심 제고 활동 209

라. 대외협력분야 주요 활동 내용 211

2. 예비우주인(고산 선임연구원) 활동 214

가. 과학문화확산 활동 분야 214

나. '09년 우주개발 사업과 관련한 대외 활동 229

다. 대외활동 주요내용 229

라. 대외협력 활동 232

제4장 목표 달성도 및 관련 분야에서의 기여도 233

제5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계획 235

제6장 참고 문헌 236

첨부1. 해외 우주실험 사례 240

첨부2. ISS 일본 실험모듈(Pressurized Module)에 설치된 장비 275

표 3.1.1. 제안된 우주실험 40

표 3.2.1. 해외 우주인 훈련 프로그램 운영 국가 151

표 3.2.2. 우주선진국의 ISS 프로그램 예산 151

표 3.2.3. JAXA의 우주분야 기술전략 로드맵 기술과제 154

표 3.4.1. 우주실험 아이템 공모전 수상현황 188

표 3.4.2. 한국 우주인(이소연)의 대외활동 빈도(유형별) 189

표 3.4.3. 한국 우주인(이소연)의 대외활동 빈도(지역별) 190

표 3.4.4. 한국 우주인(이소연) 강연 일정 191

표 3.4.5. 한국 우주인(이소연) 기획강연 실시 결과 194

표 3.4.6. 한국 우주인 주요 언론활동 현황 206

표 3.4.7. 한국 우주인의 일본과의 대외협력활동 개요 211

표 3.4.8. 지역별 대외활동 빈도(예비우주인 고산) 215

표 3.4.9. 예비우주인(고산 선임연구원) 대외활동 세부내용 ('09.2~'10.1) 216

그림 1.1.1. Drop Tower (독일 Bremen) 32

그림 3.1.2. Parabolic Flight (유럽) 33

그럴 3.1.3. Parabolic Flight (러시아) 33

그림 3.1.4. Reentry Satellite (인도) 34

그림 3.1.5. ISS 모습(2010. 1) 35

그림 3.1.6. 일본 JAXA와의 우주실험 타당성연구 협력 체계 및 향후 계획 38

그림 3.1.7. 기본적인 연구 과정 순서 및 범위 47

그림 3.1.8. 시뮬레이터의 기본 구상도 48

그림 3.1.9. 척추 추간판의 퇴행성 변화를 분석하기 위한 조직학적 방법 49

그림 3.1.10. 우주에서 지상과 동일한 촛불 모양 만들기 59

그림 3.1.11. 우주에서 지상과 동일한 촛불 모양 만들기 (Top view) 60

그림 3.1.12. 지상에서 실험하기 위한 장치 61

그림 3.1.13. 자석 가속도계 62

그림 3.1.14. 수평으로 세운 자석 가속도계 62

그림 3.1.15. 수직으로 세운 자석 가속도계 62

그림 3.1.16. 비스듬히 기울인 자석 가속도계 63

그림 3.1.17. 지상에서의 실험 결과 63

그림 3.1.18. 원운동하는 자석 가속도계의 모습 (회전중심은 오른쪽) 63

그림 3.1.19. 원운동하는 통 내부의 양초 모습 (회전중심은 오른쪽) 64

그림 3.1.20. A막대기 66

그림 3.1.21. B막대기 66

그림 3.1.22. 반발장치 66

그림 3.1.23. 반발장치 세부구조 67

그림 3.1.24. 동일한 막대기의 반발 68

그림 3.1.25. 서로 다른 막대기의 반발 69

그림 3.1.26. 회전 여부에 따른 비교 70

그림 3.1.27. 운동량 보존 실험 장비1 71

그림 3.1.28. 운동량 보존 실험 장비2 72

그림 3.1.29. 원통비행기 발사대의 모습 74

그림 3.1.30. 원통비행기 작동방법 74

그림 3.1.31. 원통비행기 74

그림 3.1.32. 비행기 장착 74

그림 3.1.33. 비행기 날리기 75

그림 3.1.34. 블록 한 개의 모습 76

그림 3.1.35. 나침반: 가운데 구멍으로 실을 넣어 매듭을 짓는다. 길이 20mm, 폭 1mm, 가운데 구멍 Φ=0.5mm 77

그림 3.1.36. 자석(1) 77

그림 3.1.37. 자석(2) 빨대 양쪽에 자석을 끼워 고정시킨 모습 77

그림 3.1.38. 자석(3) 자석 1,2,3 모두 가운데 허리에 실을 묶고 접착제로 단단히 접착시킨다. 끈의 다른 쪽은 고정된 기둥에 묶어 만약 자석이 어디에 이끌린다 해도 1m이상 이동하지 않... 77

그림 3.1.39. 블록을 여러 개 연결한 모습 78

그림 3.1.40. 실을 묶고 나침반을 매단 모습 78

그림 3.1.41. 자이로스코프 80

그림 3.1.42. 자이로스코프(Front view) 81

그림 3.1.43. 모종이 심어진 화분의 모습 83

그림 3.1.43. 지렁이 사육 상자 85

그림 3.1.44. 어항(30×30×30cm) 87

그림 3.1.45. 투명 물고기 (Giant fish) 88

그림 3.1.46. 물고기의 내부구조 89

그림 3.1.47. 투명한 금붕어 90

그림 3.1.48. 콩나물 키우는 통 93

그림 3.1.49. 조루 94

그림 3.1.50. 분광기 제작을 위한 Worksheet 예 (앞면) 96

그림 3.1.51. 분광기 제작을 위한 Worksheet 예 (뒷면) 96

그림 3.1.52. 완성된 분광기 예 97

그림 3.1.53. 쌍성의 모습과 각각의 궤도 99

그림 3.1.54. 쌍성의 모습과 각각의 궤도(Top view) 100

그림 3.1.55. 쌍성이 가장 밝게 보일 때 100

그림 3.1.56. 쌍성이 약간 어둡게 보일 때 101

그림 3.1.57. 쌍성이 가장 어둡게 보일 때 101

그림 3.1.58. 우주선의 진행방향과 투사체의 발사 방향 103

그림 3.1.59. 투사체의 발사 방향(Top view) 103

그림 3.1.60. 투사체의 발사 방향(Front view) 104

그림 3.1.61. 지구를 향하여 발사된 투사체와 우주선의 궤적 104

그림 3.1.62. 지구를 향하여 발사된 투사체와 우주선의 궤적(Top view) 105

그림 3.1.63. 우주선 기준계에서 바라보았을 때 지구를 향하여 발사된 투사체의 궤적(Top view) 106

그림 3.1.64. 우주선 기준계에서 바라보았을 때 지구를 향하여 발사된 투사체의 궤적 107

그림 3.1.65. 지구 반대방향을 향하여 발사된 투사체와 우주선의 궤적 107

그림 3.1.66. 지구 반대방향을 향하여 발사된 투사체와 우주선의 궤적(Top view) 108

그림 3.1.67. 우주선 기준계에서 바라보았을 때 지구 반대방향을 향하여 발사된 투사체의 궤적(Top view) 109

그림 3.1.68. 우주선 기준계에서 바라보았을 때 지구 반대방향을 향하여 발사된 투사체의 궤적 110

그림 3.1.69. 우주선의 진행 방향으로 발사된 투사체와 우주선의 궤적 110

그림 3.1.70. 우주선의 진행 방향으로 발사된 투사체와 우주선의 궤적(Top view) 111

그림 3.1.71. 우주선 기준계에서 바라보았을 때 우주선의 진행 방향으로 발사된 투사체의 궤적(Top view) 112

그림 3.1.72. 우주선 기준계에서 바라보았을 때 우주선의 진행 방향으로 발사된 투사체의 궤적 113

그림 3.1.73. 우주선이 진행하는 반대 방향으로 발사된 투사체와 우주선의 궤적 113

그림 3.1.74. 우주선이 진행하는 반대 방향으로 발사된 투사체와 우주선의 궤적(Top view) 114

그림 3.1.75. 우주선 기준계에서 바라보았을 때 우주선이 진행하는 반대 방향으로 발사된 투사체의 궤적(Top view) 115

그림 3.1.76. 우주선 기준계에서 바라보았을 때 우주선이 진행하는 반대 방향으로 발사된 투사체의 궤적 116

그림 3.1.77. E방향으로 발사된 투사체와 우주선의 궤적 117

그림 3.1.78. E방향으로 발사된 투사체와 우주선의 궤적(Front view) 118

그림 3.1.79. 우주선 기준계에서 바라보았을 때 E방향으로 발사된 투사체의 궤적(Front view) 119

그림 3.1.80. 우주선 기준계에서 바라보았을 때 E방향으로 발사된 투사체의 궤적 120

그림 3.1.81. F방향으로 발사된 투사체와 우주선의 궤적 121

그림 3.1.82. F방향으로 발사된 투사체와 우주선의 궤적(Front view) 122

그림 3.1.83. 우주선 기준계에서 바라보았을 때 F방향으로 발사된 투사체의 궤적(Front view) 123

그림 3.1.84. 우주선 기준계에서 바라보았을 때 F방향으로 발사된 투사체의 궤적 124

그림 3.1.85. 학생들이 직접 제작한 우주선 검출기 126

그림 3.1.86. 냄비 130

그림 3.1.87. 냄비를 핫플레이트에 고정한 모습 130

그림 3.1.88. 칼끝은 너무 날카롭지 않은 것으로 준비 132

그림 3.1.89. 사과 놓을 접시 133

그림 3.1.90. 봉지 띄우개-15*15*15cm의 플라스틱 막대 구조물이다. 136

그림 3.1.91. 녹말반죽이 든 지퍼팩에 벌크로를 붙인 모습 137

그림 3.1.92. 녹말반죽 위의 공간을 만들어주기 위해 지퍼팩에 봉지 띄우개를 넣어 준 모습 138

그림 3.1.93. 쇠고리-1 140

그림 3.1.94. 약품통의 구조 141

그림 3.1.95. 아크릴 판(30Φ×1m) 141

그림 3.1.96. 상변화 장치1 144

그림 3.1.97. 상변화 장치2 144

그림 3.1.98. 상변화 장치1 145

그림 3.2.1. JAXA의 우주분야 기술전략 로드맵 154

그림 3.2.2. 한국형 유인우주프로그램 주요 분야 및 체계 157

그림 3.2.3. 한국 우주인의 역할에 따른 발전 방향 161

그림 3.2.4. 한국 우주인 향후 중점 활동 계획(안) 163

그림 3.3.1. 낙하산 강하법 이론 및 실습 165

그림 3.3.2. 해상 강하 실습 166

그림 3.3.3. Drag 실습 166

그림 3.3.4. 신호총 실습 166

그림 3.3.5. Para Sail 훈련 167

그림 3.3.6. 심해생환 훈련 168

그림 3.3.7. 음식물 구득 실습 및 훈련 169

그림 3.3.8. 저압실 비행훈련 171

그림 3.3.9. 가속도 훈련 172

그림 3.3.10. 비상탈출 훈련 172

그림 3.3.11. 핵심강의(Core Lectures) 174

그림 3.3.12. Space Tourism and Culture Program 176

그림 3.3.13. Creating Art 177

그림 3.3.14. Space Tourism Workshop 178

그림 3.3.15. Professional Visit (Loral) 178

그림 3.3.16. 모의 우주관련 국제 분쟁 178

그림 3.3.17. Moot Court 179

그림 3.3.18. Space Law Case Study 179

그림 3.3.19. Individual Assignment Presentation 180

그림 3.3.20. Team Project - Mars Caves 180

그림 3.3.21. Team Project - Disaster Risk Management 181

그림 3.3.22. Team Project - Space Aid 181

그림 3.3.23. Panel-Space Policy and the Asia Pacific Region 182

그림 3.3.24. Panel-Space and the Media 182

그림 3.3.25. Panel-Entrepreneurial Space Business 183

그림 3.3.26. Panel-Space Activities of China 183

그림 3.3.27. Ames Tour 184

그림 3.3.28. 한국 최초 우주인 강연 184

그림 3.4.1. 한국우주인배출 1주년 특별 전시회 187

그림 3.4.2. 한국 우주인과 함께하는 아이템 공모전 188

그림 3.4.3. 주요 대외활동 이미지 193

그림 3.4.4. 한국 우주인 주요 언론활동 사진 205

그림 3.4.4. 한국 우주인 고정 라디오 프로그램 "이소연의 클릭 과학세상" 207

그림 3.4.5. 한국 우주인 중앙일간지 칼럼 개제 208

그림 3.4.6. 나로 우주센터 준공식 사회 209

그림 3.4.7. 나로호 발사 중계 참여 210

그림 3.4.8. 나로호 발사 홍보 부스 210

그림 3.4.9. 한국 우주인의 일본 "미래과학관(Miraikan)" 사인식 211

그림 3.4.10. 한국 우주인의 미국 대외협력활동 212

그림 3.4.11. 한국 우주인 MME 2009 참석 212

그림 3.4.12. 한국 우주인 ASE 2009 참석 213

그림 3.4.13. 예비우주인(고산 선임연구원) 대외활동 관련 주요 이미지 220

그림 3.4.14. 예비우주인(고산 선임연구원) 언론인터뷰 (한국경제) 221

초록보기 더보기

I. 제목

○ ISS 우주실험기술향상 및 한국우주인사업 성과확산 연구

II.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 연구개발 목적

- ISS(국제우주정거장) 우주실험 향상 연구

- 중장기적인 유인 우주실험 및 유인우주프로그램 발전 전략 수립

- 한국 우주인 역량강화 유지·발전 연구

- 한국 우주인 사업 성과확산 및 국내 과학문화 확산 활동 전개

○ 연구개발의 필요성

- 우리나라는 약 15년 동안 '국가우주개발중장기기본계획'에 의해 위성, 위성활용, 발사체 등의 개발을 통해 관련 기술력을 많이 보유하게 되었지만, 유인 우주기술, ISS 우주실험 등과 같이 유인 우주활용 기술은 시작단계에 있음

- ISS 우주실험 및 우주 탐사 관련 연구에 참여함으로써 향후 국제협력으로 추진되는 우주 탐사 프로젝트 등을 통해 장기적으로 유인 우주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 도출이 필요함

- 한국우주인배출사업은 정부가 강한 의지를 갖고 추진한 우리나라 최초의 유인 우주개발사업이므로 향후 지속적인 지원을 통해 일회성 사업이라는 일부의 비판을 극복하고, 한국 우주인이 수행한 우주실험에 대한 성과 확산 및 후속 연구를 통해 산업적 파생기술 활용과 향후 우주탐사 등 우주개발의 기반기술 확보에 기여가 가능하도록 할 필요성이 있음

- 2008년 한국우주인배출사업을 통해 배출한 한국 우주인의 장기적인 활용을 위해 역량강화 유지·발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

- 미국 NASA, 일갈 JAXA, 유럽 ESA의 ISS 실험모듈을 활용한 공동 우주실험 연구 및 활용에 대해 관련 국가들과 국제협력을 통한 협력 네트워크 구축이 가능하고 우주기술의 집합체인 ISS 내의 우주장비에 대한 인터페이스, Safety, 시스템 엔지니어링 등의 기술에 대한 직·간접적 습득이 가능함. 아울러 ISS 프로젝트의 직접적인 참여국은 아니지만 ISS를 직·간접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협력체계 구축이 가능하도록 할 필요가 있음

- ISS 우주실험/비행 결과의 활용과 국제협력에 의한 ISS 우주실험 수행을 통해 산업체에 우주의 산업 활용이라는 새로운 아이템 창출이 가능하고, 이와 관련된 유인 우주 시스템 개발을 국내 산업체가 담당하여 관련된 기술 확보와 활용의 필요성이 있음

- 지속적인 ISS 우주실험 수행을 통해 향후 신약 및 신물질 개발 등 직접적으로 산업적 활용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향후 우주상품 개발의 잠재력을 향상시킬 필요성이 있음

- 국내 위성 개발 및 활용 등으로 집중되어 있는 국내 우주산업 분야에 유인 우주기술 및 우주 탐사 등 새로운 분야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공함으로써 국내 산업체의 우주관련 기술력이 다변화, 정교화 되어 국내의 우주산업 활성화 및 경제 성장에 기여하도록 함

- 2009년 우주개발 관련 행사(나로우주센터 준공, 나로호 발사, IAC 등)와 연계 및 한국 우주인의 강연, 대중매체 출연 등 한국 최초 우주인을 활용한 국내 과학문화 확산 활동을 통해 국내 관련 산업계의 활성화가 가능하고, 아울러 국민들에게 우주개발에 대한 관심을 촉진하여 국민적 자긍심을 느끼게 하는 등 국민생활에 활력을 불어 넣음

III.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 연구개발 내용

- ISS 활용 우주실험기술 향상 연구

■ 한국 우주인이 수행한 18종의 과학실험을 포함한 우주실험에 대한 후속 실험 발굴 및 연구 수행

■ 2010년 완성 예정인 국제우주정거장(ISS ; International Space Station)에서의 국제공동 우주실험 참여를 위한 방향 정립 및 관련 연구 수행(미국 NASA, 일본 JAXA, 유럽 ESA 등)

- 중장기적 유인 우주실험 및 유인우주프로그램 발전 전략 수립

■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는 실용적인 유인 우주기술 범위 도출 및 유인우주프로그램 전략 수립

- 한국 최초 우주인의 역량강화 유지·발전 연구

■ 한국 우주인의 역량 강화 및 유지를 위한 국내외 중·단기 교육프로그램, 우주인 훈련 등 참여

■ 한국 우주인의 ISS 활용 우주실험 및 우주탐사 관련 연구 참여

- 한국 우주인 사업 성과확산 및 국내 과학문화 확산 활동 전개

■ 우주비행 및 우주실험 결과 성과 확산 활동 수행(컨퍼런스 개최, 우주인 관련 전시회 등 추진)

■ 지속적인 강연, 과학행사 참석, 대중매체 출연 등으로 대국민 과학기술 저변확대 활동 수행 및 지원

■ 2009년 나로우주센터 준공 및 나로호 발사, 세계우주대회(IAC; International Astronautical Congress) 등과 연계하여 우주개발에 대한 국민적 관심 제고

IV. 연구개발결과

○ ISS 활용 우주실험기술 향상 연구

- 2008년 4월 한국 우주인이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우주과학실험을 수행한 이래로 지속적인 유인 우주실험 분야의 연구 개발을 위해 요구되는 우주실험 향상 연구

- 본 연구는 지속적인 우주실험을 위하여 새로운 우주실험 발굴 및 이에 대한 연구를 수행을 위하여 ISS 회원국이 아닌 국내 현실에서 미세중력환경에서의 과학실험 참여 전략을 제시하였음

- 2009년 일본 JAXA와 ISS JEM(일본실험모듈)을 활용한 국제공동 우주실험 타당성 연구의 추진내용을 기술하였음

- 이를 바탕으로 국내에서 향후 우주실험을 추진을 할 경우 의생리학, 생물, 재료과학, 교육 분야에 우주실험임무를 제안하였음

- 또한 향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과학교육실험에 대한 임무를 개발하고, 이를 지상에서 검증 가능한 지상용 우주실험 장비 개발

○ 중장기적 유인 우주실험 및 유인우주프로그램 발전 전략(안) 수립

- 효율적으로 유인 우주기술 개발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선택과 집중을 통한 유인 우주기술 핵심 분야 개발 및 시너지 효과를 위한 협력으로 효율적 기술 개발 필요

[유인 우주 핵심기술 분야의 선택과 집중]

◇ 우주인 : 우주실험 전문가

- 우주인 선발, 훈련, 우주비행, 관리 등의 기술

◇우주실험 기술 : 분야별 실험장비 개발, 유인급 인증기술

[국내·외 협력으로 시너지 효과]

◇ 국내 : 우주실험 분야 산·학·연 협력, 우주인 훈련 공군과 협력

- 우주실험 아이템 및 장비개발시 산·학·연 협력

- 우주인 의학관리, 우주적응 훈련 등 개발 및 운영 협력

◇ 국외 : 우주실험 개발시 일본 JAXA, 미국 NASA 등과 협력

- 일본 JAXA : ISS 키보(JEM) 모듈 및 무중력비행기 활용 실험

- 미국 NASA : ISS 데스티니 모듈 활용 실험

- 장기적으로 독자적인 유인우주프로그램 운영을 위해서 관련 기술 개발상황과 연계하여 중장기적으로 핵심기술 관련 선행연구의 착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 한국 최초 우주인의 역량강화 유지·발전 연구

- 우주적응 능력 유지 : 생환훈련 및 우주적응 훈련 참가(공군 협력)

- 전문 우주교육프로그램(국제우주대학) 참여로 역량 강화

○ 한국 우주인 사업 성과확산 및 국내 과학기술 저변확대 활동 전개

- 한국 우주인배출 1주년 특별 전시회 및 우주인과 함께하는 우주실험 아이템 공모전 등의 우주비행 및 우주실험 결과 성과 확산 활동을 통해 우주개발의 중요성을 알리는 등 과학문화 확산에 기여하였음

- 사업 기간 동안 총 72회의 강연과 21회의 과학행사 참석 및 대중매체를 활용한 대국민 과학문화 확산활동을 수행하였음

-'09년 주요 우주개발 사업과 연계한 활동으로 나로 우주센터 준공식 사회 및 강연, 나로호 발사중계 방송 참여, IAC 2009 사회 및 강연 등의 활동을 통하여 국민적 관심을 제고하였음

V.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08년 한국 우주인이 수행한 우주과학실험의 추가적인 분석 및 지속적 연구를 통해 우주실험, 활용분야의 활성화와 유인 우주기술의 발전을 이룰 수 있으며, 향후 미국, 일본, 유럽 등과의 ISS 우주실험 협력 시 한국의 기술적 기반이 되어 공동실험을 유리하게 이끌 수 있으며, 국제협력의 관점에서 동등한 입장에 활용 가능함

○ 유인 우주프로그램의 발전을 위한 연구는 향후 유인우주프로그램의 방향 설정을 통해 저비용, 고효율로 유인 우주기술을 습득하는데 필요한 정책을 수립할 것임

○ 우주인의 지속적인 역량강화 유지·발전은 향후 유인 우주기술 및 프로그램의 발전을 의미하여 향후 우주탐사 수행 시에 유인 우주분야에서 우주인을 활용할 수 있음

○ 한국 우주인의 과학문화 확산 활동은 초·중·고 학생 및 일반인 등 국민에게 교육적으로 기여가 가능하고, 우주개발 관련 행사(나로호 발사, 세계우주대회 등)에 우주인의 연계는 우주개발의 국민적 공감대를 얻는데 크게 기여할 것임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T000032426 이용불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