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일러두기
요약문
목차
I. 진상조사 배경과 경과 11
1. 조사배경과 방향 11
2. 선행연구 12
3. 조사방법 14
1) 피해신고자 및 명부수록자 조사 14
2) 국내외 문헌자료조사 16
3) 구술조사 17
4) 현지조사 18
II. 인도네시아의 일본군 위안소 20
1. 일본군의 인도네시아 침략 20
2. 일본군의 인도네시아 위안소 설치 27
1) 일본군의 위안소 설치계획 27
2) 일본군 위안소 개황 29
III. 여성명부와 동원여성의 실태 35
1. 명부의 종류와 성격 35
1) 유수명분(남방제5·9·10육군병원) 35
2) 명부의 구성과 수록내용 41
2) 남방제9육군병원 복원명부 47
3) 팔렘방조선인회명부 49
4) 남방조선출신자명부 52
2. 명부등재여성의 실태 55
1) 수마트라 남부 팔람방 (팔렘방관련명부) 55
2) 수마트라 북부 (남방제10육군병원명부) 75
3) 자바 자카르타(남방제5육군병원명부) 82
4) 칼리만탄 발릭파판(남방조선출신자명부) 90
IV. 동원여성의 일본군속 편입과 귀환 93
1. 패전기 동원여성의 일본군속 편입 93
1) 동원여성의 임시간호부 편입명령 93
2) 육해군 부대의 임시간호부 편입 실상 97
3) 일본군의 임시간호부 편입 의도 102
2. 동원여성의 귀환 108
1) 연합군의 방침 108
2) 귀환과정 112
V. 맺음말 122
참고자료 126
부록 131
부록 1. 관련병원 약사 132
부록 1-1. 제100병참병원 및 남방제5육군병원(남오회, 「남오전사」,우니스가인쇄주식회사, 1979, 355-357쪽) 132
부록 1-2. 남방제9육군병원약력(소화관 소장) 133
부록 1-3. 남방제10육군병원약력(소화관) 134
부록 2. 팔렘방조선인회 관련자료 136
부록 2-1. 강석재 수첩 기록 중 일기 136
부록 2-2. 신문기사 144
부록 2-3. 잡지자료 147
부록 2-4. 일제 패전 이후 팔렘방에 있던 조선인 여성 명부 163
부록 3. 싱가포르 및 인도네시아 귀환관련 신문기사(날짜순) 167
부록 4. 인도네시아 여성명부 관련 면담자 목록 171
부록 5. 출장 중 입수 주요자료목록 173
부록 5-1. 일본 방위성 방위연구소 도서관 소장 도서 173
부록 5-2. 출장 중 입수 주요 자료 174
부록 6. 유수명부 관련 자료 175
부록 6-1. 「육군유수업무부령(陸軍留守業務部令)」 175
부록 6-2. 「유수업무규정(留守業務規程)」 177
부록 6-3. 「외지부대유수업무처리요령(外地部隊留守業務處理要領)」 188
부록 7. 금원절삼의 금원절삼업무일지적록 191
부록 8. 해군 남견함대의 명령 전보문 208
부록 8-1. 〈해군 제1남견함대의 명령 전보문〉 208
부록 8-2. 〈해군 제2남견함대의 명령 전보문〉 209
부록 9. 명부관련자 구술자료 210
부록 9-1. 양재○ 210
부록 9-2. 강도아 276
부록 9-3. 성태섭 363
판권기 382
〈표 1〉 명부등재자 중 한국정부 피해신고자 15
〈표 2〉 명부등재자 중 조사내역 16
〈표 3〉 인도네시아 점령 일본 육군 체계도 23
〈표 4〉 인도네시아 점령 일본 해군 체계도 24
〈표 5〉 인도네시아에 배치된 일본 육군 수 27
〈표 6〉 제7방면군 전력개황표 (제7방면군사령부, 1945년 7월 말일조사) 28
〈표 7〉 세레베스섬의 군위안소 상황 33
〈표 8〉 남방군 육군병원 소속 조선여성의 편입시기·신분·수 42
〈표 9〉 연령기록방식에 따른 분류 43
〈표 10〉 생년별 분포 43
〈표 11〉 병원별 본적지 기록방식 44
〈표 12〉 병원별 본적지 분포 45
〈표 13〉 가족관계 구성 47
〈표 14〉 『남방조선인출신자명부』 중 제102연료창 소속 여성 54
〈표 15〉 팔렘방지역 주요부대와 지휘명령계통(1945년) 56
〈표 16〉 팔렘방 동원 여성들의 명부별 본적지 분포 59
〈표 17〉 팔렘방으로 동원된 여성들의 동원방식 및 경로 61
〈표 18〉 구술에서 확인된 조선인 위안부 위안소 66
〈표 19〉 팔렘방지역 위안소 업자 및 관련자 명단 70
〈표 20〉 수마트라 북부로 동원된 여성들의 동원방식 및 경로 77
〈표 21〉 남방제5육군병원 및 자바섬 동원 피해자 84
〈표 22〉 연합군 상륙전 발릭파판의 일본군의 의료관련자 배치 상황 99
〈표 23〉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자바에서 귀환 112
〈그림 1〉 일본군의 인도네시아 공격 개관도 22
〈그림 2〉 인도네시아의 일본군 위안소 분포도 29
〈그림 3〉 제7방면군 남방제5·9·10육군병원 유수명부 41
〈그림 4〉 남방제9육군병원 복원명부 48
〈그림 5〉 강석재 수첩과 팔렘방조선인회병부 50
〈그림 6〉 『광주매일신문』(1992.1.16) 51
〈그림 7〉 『광주매일신문』(1992.1.17) 51
〈그림 8〉 남방조선출신자명부 표지와 여성명부 54
〈그림 9〉 현 벤텐병원(전 남방제9육군병원)과 무시강 57
〈그림 10〉 팔렘방중심지의 일본군 및 주요기관 배치 지도 58
〈그림 11〉 궁본○○의 병적전시명부 65
〈그림 12〉 팔렘방에서 만난 면담자들 68
〈그림 13〉 위안소가 있었던 지역과 무시강 69
〈그림 14〉 주인으로 기록된 암촌갑(유수명부) 73
〈그림 15〉 전 남방제5육군병원 83
〈그림 16〉 싱가포르 일본인 묘지 속 조선인 87
〈그림 17〉 잔류한 여성들에 대해 이야기 하는 유누스 120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1515877 | 305.90695 -10-2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