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제1부 한국어의 어제
한국어 음운체계의 변천 원인 조오현 11
문법변화의 과정과 유형 김용경 35
15ㆍ16세기 국어 매김마디의 통어 구조 허원욱 49
15ㆍ16세기 합성어의 성조변동 최영미 83
개화기 신문 광고 언어 서은아 115
신소설과 현대소설의 청자높임법 비교 김정호 131
1920년대 일제강점기 어문생활과 국어의 규범화 허재영 153
치유적 글쓰기에 관한 연구사 김준희 181

제2부 한국어의 오늘
21세기 새말의 경음 실현 양상 한명숙 201
21세기 수필류에 나타난 인용구조 윤혜영 239
초등학교 ‘읽기 교과서’의 이음씨끝 양상 장숙영 277
복합문 구성에서의 중첩구성 김유권 305
새말의 어휘론적 위상 정립 박동근 321
현대국어 배설동사의 의미 특성 방운규 341
고유어와의 의미 관계에 따른 외래어의 분류 원흥연 363
텍스트 언어학을 통한 교과서 시의 원전 확정 이만식 401
텔레비전 광고 텍스트의 구조 양상 윤재연 427

제3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한국어 말하기 평가 등급의 능력 기술 방안 김주연 465
학습자 요구 분석에 따른 한국어 읽기 교육 방안 고경민 485
한ㆍ중 합성어의 구조 비교 오충신 509
한ㆍ중 의태어의 범주와 형태 비교 장언청 541
한국어 동물 속담의 상징의미 벌로마 565

이용현황보기

한국어의 어제 그리고 오늘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523719 411 -10-1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523720 411 -10-1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한국어의 어제 그리고 오늘
이 책은 연구의 다양성을 한 권으로 묶되, 시대와 연구 목적에 따라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었다.
제1부는 ‘우리말의 어제’ 편으로, 음운 체계와 성조 체계의 변천, 문법 변화 등의 통시적 연구와 15.16세기, 개화기, 1920년를 대상으로 한 공시적 연구와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글쓰기에 대한 사적 연구를 담았다.
제2부는 ‘우리말의 오늘’ 편으로, 21세기 초기의 언어 현실에 특히 주목하였다. 21세기 경음화, 수필류의 인용구조, 새말의 어휘론적 위상, 광고 텍스트 연구는 모두 최근의 국어 현상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복합문의 중첩 구성과 이음씨끝 양상은 현대국어의 문법 체계를 다시 돌아본 것이며, 배설동사나 외래어 분류는 의미론적 관점에서 접근한 것이다. 한편 시의 원전을 확정하는 데 텍스트 언어학의 효용성을 살피기도 하였다.
제3부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편으로, 한국인의 입장에서 본 한국어 교육과 외국인의 시선에서 본 한국어 교육에 관한 글이다. 평가 등급과 읽기 교육에 대한 두 편의 글은 현장에서 외국인에게 직접 한국어를 가르치면서 한국어 교육을 전공하고 있는 연구자가 썼다. 한.중 합성어, 한.중 의태어, 한국어 동물 속담 연구는 다른 나라에서 우리말을 공부하기 위해 한국에 온 연구자의 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