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시각장애학생 교육현황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 이미선 [외저] ; 국립특수교육원 [편] 인기도
발행사항
안산 : 국립특수교육원, 2009
청구기호
371.911 -10-1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viii, 228 p. : 양식 ; 26 cm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60951952
제어번호
MONO1201021944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머리말 / 이효자

연구요약

목차

제1장 서론 12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4

2. 연구의 문제 17

3. 연구의 방법 17

1) 문헌연구 17

2) 설문조사 18

3) 전문가 검토 29

4) 연구자 협의회 30

제2장 시각장애학생 교육 관련 국내외 선행연구 분석 32

1. 출현율 34

2. 조기발견, 진단·평가 및 배치 35

1) 외국 35

2) 우리 나라 41

3. 점자교육 45

4. 시각중복장애학생 교육 49

5. ICT 활용교육 및 보조공학기기 활용 53

제3장 시각장애학생 교육현황 및 요구분석 결과 58

1. 조기발견, 진단·평가 및 배치 현황과 요구분석 60

2. 점자교육 현황과 요구분석 68

1) 점자지도 교재 68

2) 점자지도 도구 69

3) 점자교육 시기 71

4) 점자교육 방법 74

5) 저시력학생에 대한 문자 및 점자교육 79

6) 시각중복장애 학생에 대한 점자교육 82

7) 점자지도 시간의 확보 방안 85

8) 한자점자의 도입과 활용에 대한 인식 87

3. 시각중복장애학생 교육 현황과 요구분석 88

1) 시각중복장애학생 학급 운영 88

2) 시각중복장애학생 교육 92

4. ICT 활용교육 및 보조공학기기 활용 현황과 요구분석 106

1) ICT 활용교육의 중요성 106

2) ICT 활용교육 실태와 요구 109

3) 보조공학기기 활용 실태와 요구 115

4) 관련 교사연수 125

제4장 시각장애학생 교육 개선 방안 130

1. 조기발견, 진단·평가 및 배치 개선 방안 132

1) 종합적인 조기발견 체계 구축 132

2) 관련 법규에 적절한 선별 절차와 방법의 명시 134

3) 시각장애학생 진단·평가도구 개발 135

4)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의 활성화 137

5) 시각장애학생 배치 시 다양한 교육환경 고려 138

2. 점자교육 개선 방안 139

1) 시각장애유아용 점자 준비도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확대 139

2) 내실있는 점자교육을 위한 교사연수 실시 140

3) 특수교사 양성의 전문화(세분화) 혹은 기본이수 과목 확대를 통한 특수교사의 전문 능력 향상 141

4) 내실있는 점자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상의 필수 점자교육 시간 확보 142

5) 점자교육에 필요한 보조교재(자료)의 개발 142

6) 점자도서 출판 규정 제정을 통한 점자교과서 및 보완교재 발간의 체계화 143

7) 교육적으로 맹에 해당하는 저시력학생에 대한 점자교육 실시 144

8) 시각중복장애학생에 대한 적절한 점자지도 방법 연구 145

3. 시각중복장애학생 교육 개선 방안 147

1) 정확한 실태 파악과 교육적 조치를 위한 종합적 진단·평가 시스템 구축 147

2) 시각중복장애학생에게 맞는 국가 단위 교육과정 개발과 지속적인 연구 수행 148

3) 의사소통기술과 지도전략 등에 대한 포괄적 연구 수행 149

4) 보행교육의 강화 151

5) 신체활동의 강화 152

6) 진로지도를 위한 기초연구 및 지원 강화 153

7) 관련 전문가 양성과 지속적인 프로젝트 수행을 통한 교육의 질 개선과 인식 개선 사업 실시 153

4. ICT 활용교육 및 보조공학기기 활용 개선 방안 155

1) 관련 법규의 개정 노력 155

2) ICT 활용교육 매체의 다양성 확보 155

3) 유치부와 초등부 특수교사에 대한 ICT 및 보조공학기기 관련 교육의 확대 156

4) 보조공학기기에 관한 교사교육 기회의 확대 157

5) 시각장애학생에 대한 보조공학기기 지원 확대 157

6) 저시력학생을 위한 보조공학기기의 개발 및 보급 158

7) 보급된 보조공학기기의 활용도 및 가치의 지속적 창출 158

제5장 결론 160

참고문헌 166

Abstract 170

부록 174

〈부록 1〉 시각장애학교 유치부 담임교사용 176

〈부록 2〉 시각장애학교 초·중등부 담임교사용 196

〈부록 3〉 오레곤 프로젝트 214

〈부록 4〉 저시력보행자를 위한 검목표 236

판권기 240

〈표 1-1〉 시·도별, 학교 과정별 조사대상자 수 19

〈표 1-2〉 학교 과정 별 조사대상자의 응답수와 응답률 19

〈표 1-3〉 응답자 기초 배경 20

〈표 1-4〉 설문지의 조사영역, 조사내용 및 문항번호 25

〈표 2-1〉 미국 IDEA Part C의 아동발견 법규 36

〈표 3-1〉 시각장애유아의 장애 발견 시기 60

〈표 3-2〉 시각장애유아의 무상의 유아특수교육 시작 시기 61

〈표 3-3〉 시각장애유아의 장애 진단 전 장애 의심 계기 62

〈표 3-4〉 시각장애유아의 최초 장애 진단(확인) 기관 유형 62

〈표 3-5〉 장애유아 부모의 현 특수학교에 대한 정보 습득 경로 63

〈표 3-6〉 시각장애유아와 시각장애학생의 진단·평가, 선정 및 배치 절차 실태 64

〈표 3-7〉 향후 시각장애영유아 조기발견에 대한 개선 요구 사항 66

〈표 3-8〉 향후 시각장애영유아 진단·평가, 선정 및 배치에 대한 개선 요구 사항 67

〈표 3-9〉 주로 사용하는 점자지도 교재 68

〈표 3-10〉 주된 점자지도 교재로서 학교 혹은 개인 등의 개발 자료 사용 이유 69

〈표 3-11〉 주로 사용하는 점자지도 도구 70

〈표 3-12〉 효율적인 점자지도 도구에 대한 의견 71

〈표 3-13〉 적절한 점자교육 시기에 대한 의견 72

〈표 3-14〉 유치원이 점자교육의 시기로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이유 73

〈표 3-15〉 한글점자의 처음 지도 시 주로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의견 74

〈표 3-16〉 취학 후 교육과정을 원만하게 수행하기 위한 적절한 점자교육 방법에 대한 의견 76

〈표 3-17〉 점자지도 시 어려운 점 77

〈표 3-18〉 쓰기와 읽기 중 먼저 지도해야 하는 영역에 대한 의견 78

〈표 3-19〉 전문적인 점자교육에 대한 요구 사항 79

〈표 3-20〉 저시력학생에 대한 주된 문자교육 방법 실태 80

〈표 3-21〉 저시력학생에 대한 점자지도 필요성에 대한 인식 80

〈표 3-22〉 저시력학생에 대한 점자지도 결정 기준에 대한 의견 82

〈표 3-23〉 시각중복장애학생에 대한 점자교육 실태 83

〈표 3-24〉 시각중복장애학생 점자교육 방법에 대한 의견 85

〈표 3-25〉 점자지도 시간의 확보 방안 86

〈표 3-26〉 한자점자 도입 및 활용의 필요성 여부에 대한 인식 87

〈표 3-27〉 시각중복장애학생 학급 운영 실태 89

〈표 3-28〉 시각중복장애 학급에서 적용하고 있는 교육과정 유형 90

〈표 3-29〉 시각중복장애학생 학급에 대한 별도의 교육적 배치(운영) 여부 90

〈표 3-30〉 시각중복장애학생에 대해 별도의 교육적 배치(운영)를 하지 않는 이유 91

〈표 3-31〉 학급의 시각중복장애학생 지도 담당교사 실태 92

〈표 3-32〉 시각중복장애학생 지도 정도의 실태 93

〈표 3-33〉 시각중복장애학생에게 적용하고 있는 교육과정 유형 94

〈표 3-34〉 시각중복장애학생에 대한 중점 지도 영역 실태 95

〈표 3-35〉 개정 특수학교 교육과정이 시각중복장애학생 지도에 도움이 되는 정도 96

〈표 3-36〉 시각중복장애학생 교육과정 구성에 대한 의견 97

〈표 3-37〉 국가 수준의 별도 교육과정 구성 시 중점을 두어야 하는 영역 99

〈표 3-38〉 시각중복장애학생에 대한 평가방법 실태 100

〈표 3-39〉 시각중복장애학생에 대한 치료지원 정도 101

〈표 3-40〉 시각중복장애학생에 대한 치료지원 담당자 실태 102

〈표 3-41〉 시각중복장애학생에 대한 보조인력 지원 실태 103

〈표 3-42〉 시각중복장애학생 교육형태에 대한 의견 104

〈표 3-43〉 시각중복장애학생 교육에 필요한 지원책에 대한 의견 105

〈표 3-44〉 ICT 활용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106

〈표 3-45〉 ICT 활용교육이 학습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정도에 대한 인식 107

〈표 3-46〉 ICT 활용교육이 필요한 이유 108

〈표 3-47〉 ICT 활용교육 실시 정도 109

〈표 3-48〉 ICT 활용교육 시 주로 이용하는 자료 및 매체 110

〈표 3-49〉 ICT 활용교육이 주로 이루어지는 시간 111

〈표 3-50〉 ICT 활용교육을 위한 교사의 정보화 능력 정도 112

〈표 3-51〉 시각장애학생에게 필요한 S/W 혹은 콘텐츠 구비 정도 113

〈표 3-52〉 ICT 활용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행·재정적 요구 사항 114

〈표 3-53〉 보조공학기기의 수업시간 활용 정도 116

〈표 3-54〉 보조공학기기를 수업시간에 잘 활용하지 않는 이유 117

〈표 3-55〉 보조공학기기에 대한 교사의 지식 정도 118

〈표 3-56〉 학급의 시각장애인용 보조공학기기 종류와 활용 정도 120

〈표 3-57〉 한소네의 적절한 활용 및 보급 시기에 대한 의견 122

〈표 3-58〉 저시력용 확대 독서기의 적절한 활용 및 보급 시기에 대한 의견 123

〈표 3-59〉 보조공학기기를 수업시간에 활용하기 위해 요구되는 사항 124

〈표 3-60〉 시각장애학생의 보조공학기기 활용교육 담당자에 대한 의견 125

〈표 3-61〉 ICT 활용교육 및 보조공학기기 활용 관련 연수 경험 유무 126

〈표 3-62〉 교수-학습 시 ICT 적용을 위해 필요한 연수내용에 대한 의견 126

〈표 3-63〉 ICT 활용교육 및 보조공학기기 활용 관련 연수방법에 대한 의견 128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526934 371.911 -10-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