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우점 자생식물종을 이용한 환경오염 평가기술 개발 : 환경오염에 대한 식물모니터링을 위한 식물종 반응 특성 분석 / 환경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과천] : 환경부, 2010
자료실
전자자료
형태사항
240 p. : 도표, 사진 ; 30 cm
제어번호
MONO1201027188
주기사항
최종보고서
"위해성 평가 관리·요소기술"의 연구과제임
주관연구기관: 경상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책임자: 심상인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보고서 초록

SUMMARY

목차

제1장 서론 18

제1절 연구개발의 중요성 및 필요성 19

제2절 연구개발의 국내외 현황 23

제3절 연구개발대상 기술의 차별성 28

제2장 연구개발의 목표 및 내용 29

제1절 연구의 최종목표 30

제2절 연도별 연구개발의 목표 및 평가방법 33

제3절 연도별 추진체계 35

제3장 연구개발 결과 및 활용계획 36

제1절 연구개발 결과 및 토의 37

제2절 연구개발 결과 요약 211

제3절 연도별 연구개발목표의 달성도 216

제4절 연도별 연구성과(논문·특허 등) 218

제5절 관련분야의 기술발전 기여도 219

제6절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계획 220

제4장 참고문헌 222

제5장 부록 229

부록 I. 환경오염 물질에 대한 고등식물 발아단계의 위해성 평가법 230

부록 II. 환경오염 물질에 대한 고등식물 유모 생육 단계의 위해성 평가법 235

〈표 3. 1〉 Braun-Blanquet의 피도계급 43

〈표 3. 2〉 사경재배에 이용된 Hoagland solution 46

〈표 3. 3〉 PAH와 암모늄 흡수량 분석시 배지내 처리 농도 49

〈표 3. 4〉 Murashige & Skoog medium 조성 49

〈표 3. 5〉 포항과 춘천(춘전)지역의 유류 오염지내 TPH와 BTEX 농도 52

〈표 3. 6〉 대전 저유지 시험지 토양내 TPH와 BTEX 농도 53

〈표 3. 7〉 포항지역 조사지의 비오염 토양에서 발생하는 식생 특성 56

〈표 3. 8〉 포항지역 조사지의 유류 오염지의 식생 조성 57

〈표 3. 9〉 춘천 조사지 비오염 지역의 식생 조성 57

〈표 3. 10〉 춘천 지역 조사지 유류 오염 토양의 식생 특성 58

〈표 3. 11〉 대전 조사지에 위치한 비오염 토양의 식생 조성 59

〈표 3. 12〉 대전 조사지에 위치한 유류오염 토양의 식생 조성 60

〈표 3. 13〉 포항 조사지에 위치한 유류오염 토양의 상대분포에 근거한 식물종 순위 61

〈표 3. 14〉 춘천 조사지에 위치한 유류오염 토양의 상대분포에 근거한 식물종 순위 62

〈표 3. 15〉 대전 조사지에 위치한 유류오염 토양의 상대분포에 근거한 식물종 순위 63

〈표 3. 16〉 유류오염 지역의 식생특성 64

〈표 3. 17〉 축산폐수에 의해 오염된 조사지 토양 내 전질소 함량 65

〈표 3. 18〉 경주에 위치한 조사지의 비오염 토양내 식생조성 67

〈표 3. 19〉 경주에 위치한 조사지 축산폐수 오염 토양내 식생조성 68

〈표 3. 20〉 철원에 위치한 조사지 비오염 토양내 식생조성 69

〈표 3. 21〉 철원에 위치한 조사지 축산폐수 오염 토양내 식생조성 70

〈표 3. 22〉 남양주에 위치한 조사지 비오염 토양내 식생조성 71

〈표 3. 23〉 남양주에 위치한 조사지 축산폐수 오염 토양내 식생조성 72

〈표 3. 24〉 익산에 위치한 조사지 비오염 토양내 식생조성 73

〈표 3. 25〉 익산에 위치한 조사지 축산폐수 오염 토양내 식생조성 74

〈표 3. 26〉 철원 조사지에 위치한 축산폐수 오염토양의 상대분포에 근거한 식물종 순위 75

〈표 3. 27〉 남양주 조사지에 위치한 축산폐수 오염토양의 상대분포에 근거한 식물종 순위 76

〈표 3. 28〉 익산 조사지에 위치한 축산폐수 오염토양의 상대분포에 근거한 식물종 순위 78

〈표 3. 29〉 경주 조사지에 위치한 축산폐수 오염토양의 상대분포에 근거한 식물종 순위 79

〈표 3. 30〉 축산폐수 오염지역의 식생특성 81

〈표 3. 31〉 조사기간 동안 축산폐수 오염지역의 식생변화 81

〈표 3. 32〉 식물종자 수집 리스트 84

〈표 3. 33〉 암모늄에 대한 식물종들의 발아반응 92

〈표 3. 34〉 PAHs에 대한 식물종들의 발아반응 93

〈표 3. 35〉 암모늄에 대한 식물종들의 발아반응 94

〈표 3. 36〉 PAHs에 대한 식물종들의 발아속도 반응 95

〈표 3. 37〉 암모늄에 대한 식물종들의 유아장 반응 96

〈표 3. 38〉 암모늄에 대한 식물종들의 유근장 반응 98

〈표 3. 39〉 PAHs에 대한 식물종들의 유아장 반응 99

〈표 3. 40〉 PAHs에 대한 식물종들의 유근장 반응 100

〈표 3. 41〉 토양에 혼입된 PAHs에 대한 식물종들의 발아율 반응 101

〈표 3. 42〉 토양에 혼입된 PAHs에 대한 식물종들의 발아속도 반응 102

〈표 3. 43〉 토양에 혼입된 PAHs에 대한 식물종들의 생체중 반응 103

〈표 3. 44〉 토양에 혼입된 PAHs에 대한 식물종들의 초장 반응 104

〈표 3. 45〉 암모늄에 대한 유아신장 반응의 회귀분석 110

〈표 3. 46〉 암모늄에 대한 유근신장 반응의 회귀분석 111

〈표 3. 47〉 PAHs 농도에 대한 유근신장 반응의 회귀분석 118

〈표 3. 48〉 PAHs 농도에 대한 초장 반응의 회귀분석 119

〈표 3. 49〉 다양한 암모늄 농도 하에서 식물의 엽록소 형광 반응 122

〈표 3. 50〉 다양한 암모늄 농도 하에서 식물의 엽록소 함량 변화 124

〈표 3. 51〉 다양한 암모늄 농도 하에서 식물의 초장 반응 127

〈표 3. 52〉 다양한 암모늄 농도 하에서 식물의 생체중 변화 129

〈표 3. 53〉 양액 재배 조건에서 다양한 암모늄 농도 처리 2주 후 식물이 가시적 피해율 131

〈표 3. 54〉 양액 재배 조건에서 다양한 암모늄 농도 처리 3주 후 식물이 가시적 피해율 133

〈표 3. 55〉 양액 재배 조건에서 다양한 암모늄 농도 처리 4주 후 식물이 가시적 피해율 135

〈표 3. 56〉 암모늄에 대한 내성종들과 감수성종들의 생장 반응 137

〈표 3. 57〉 암모늄에 대한 내성종들과 감수성종들의 엽록소 함량 반응 138

〈표 3. 58〉 암모늄에 대한 내성종들과 감수성종들의 엽록소 형광 반응 139

〈표 3. 59〉 암모늄에 대한 내성종들과 감수성종들의 기공전도도 반응 140

〈표 3. 60〉 PAHs에 대한 내성종들과 감수종들의 초장 반응 142

〈표 3. 61〉 PAHs에 대한 내성종들과 감수종들의 엽록소 함량 반응 143

〈표 3. 62〉 PAHs에 대한 내성종들과 감수종들의 엽록소 형광 반응 144

〈표 3. 63〉 PAHs에 대한 내성종들과 감수종들의 기공전도도 반응 145

〈표 3. 64〉 계면활성제가 첨가된 PAHs 용액에 대한 초장 반응 146

〈표 3. 65〉 계면활성제가 첨가된 PAHs 용액에 대한 생체중 반응 147

〈표 3. 66〉 중유오염 토양에서 자란 식물종들의 초장 반응 148

〈표 3. 67〉 중유오염 토양에서 자란 식물종들의 생체중 반응 149

〈표 3. 68〉 초장, 생체중, 건물중에 대한 phenanthrene의 EC50(이미지참조) 176

〈표 3. 69〉 초장, 생체중, 건물중에 대한 암모늄의 EC50EC50(이미지참조) 176

〈표 3. 70〉 다양한 농도의 phenanthrene을 함유하는 배지에서 자란 식물체내 phenanthrene 농도 178

〈표 3. 71〉 다양한 농도의 암모늄을 함유하는 배지에서 자란 식물체내 암모늄 농도 178

〈표 3. 72〉 다양한 농도의 Phenanthrene을 함유하는 배지에서 자란 식물체내 proline 농도 180

〈표 3. 73〉 다양한 농도의 암모늄을 함유하는 배지에서 자란 식물체내 proline 농도 181

〈표 3. 74〉 다양한 농도의 phenanthrene을 함유하는 배지에서 자란 식물체내 가용성 단백질 농도 181

〈표 3. 75〉 다양한 농도의 암모늄을 함유하는 배지에서 자란 식물체내 가용성 단백질 농도 182

〈표 3. 76〉 다양한 농도의 phenanthrene을 함유하는 배지에서 자란 식물체내 환원당 농도 182

〈표 3. 77〉 다양한 농도의 암모늄을 함유하는 배지에서 자란 식물체내 환원당 농도 183

〈표 3. 78〉 다양한 농도의 phenanthrene을 함유하는 배지에서 자란 식물체내 catalase 활성 183

〈표 3. 79〉 다양한 농도의 암모늄을 함유하는 배지에서 자란 식물체내 catalase 활성 184

〈표 3. 80〉 여러 종류의 PAHs에 대한 식물의 mitotic index 반응 184

〈표 3. 81〉 개구리밥을 이용한 검정에 이용된 배양액 Steinberg Solution 202

〈표 3. 82〉 유해 농도의 추정을 위한 독성값 (EC50) 분석(이미지참조) 210

〈그림 1. 1〉 Oxidative stress 발생 모식도. 21

〈그림 1. 2〉 생태 독성의 발현 양상. 23

〈그림 2. 1〉 위해성 평가의 원리. 31

〈그림 3. 1〉 조사된 유류 및 축산오염지역의 위치. 38

〈그림 3. 2〉 유류오염 지역에 발생한 종수의 따른 식물 과별 분포. 64

〈그림 3. 3〉 축산 폐수 오염 지역에 발생한 종수의 따른 식물 과별 분포. 80

〈그림 3. 4〉 TWINSPAN을 이용한 조사지역 구분. 83

〈그림 3. 5〉 DECORANA을 이용한 오염지역 분포 구분. 83

〈그림 3. 6〉 암모늄 농도에 대한 유묘길이 반응의 회귀분석. 106

〈그림 3. 7〉 암모늄 농도에 대한 뿌리길이 반응의 회귀분석. 108

〈그림 3. 8〉 PAHs 농도에 대한 발아반응의 회귀분석. 112

〈그림 3. 9〉 PAHs 농도에 대한 생체중 반응의 회귀분석. 114

〈그림 3. 10〉 PAHs 농도에 대한 초장 반응의 회귀분석. 116

〈그림 3. 11〉 PAHs에 대한 내성종과 감수성종들의 발아율(위)과 발아속도(아래) 변화. 종자는 다양한 농도(0 to 300ppm)의 phenanthrene 용액을 처리. 151

〈그림 3. 12〉 NH₄에 대한 내성종과 감수성종들의 발아율(위)과 발아속도(아래) 변화. 종자는 다양한 농도(0 to 100mM)의 phenanthrene 용액을 처리. 152

〈그림 3. 13〉 다양한 농도의 phenanthrene에 노출된 식물의 유아생장 반응. 반응 데이터는 무처리의 % 값으로 변환됨. 153

〈그림 3. 14〉 다양한 농도의 phenanthrene에 노출된 식물의 유근생장 반응. 반응 데이터는 무처리의 % 값으로 변환됨. 154

〈그림 3. 15〉 다양한 농도의 phenanthrene에 노출된 식물의 유아생장 반응. 반응데이터는 발아율과 길이를 곱한 값. 155

〈그림 3. 16〉 다양한 농도의 phenanthrene에 노출된 식물의 유근생장 반응. 반응데이터는 발아율과 길이를 곱한 값. 156

〈그림 3. 17〉 다양한 농도의 phenanthrene에 노출된 식물의 유아생장 반응. 반응데이터는 발아속도와 길이를 급한 값. 157

〈그림 3. 18〉 다양한 농도의 phenanthrene에 노출된 식물의 유근생장 반응. 반응데이터는 발아속도와 길이를 곱한 값. 158

〈그림 3. 19〉 다양한 농도의 암모늄에 노출된 식물의 유아생장 반응. 반응 데이터는 무처리의 % 값으로 변환됨. 160

〈그림 3. 20〉 다양한 농도의 암모늄에 노출된 식물의 유근생장 반응. 반응 데이터는 무처리의 % 값으로 변환됨. 161

〈그림 3. 21〉 다양한 농도의 암모늄에 노출된 식물의 유아생장 반응. 반응 데이터는 발아율과 길이를 곱한 값. 162

〈그림 3. 22〉 다양한 농도의 암모늄에 노출된 식물의 유근생장 반응. 반응 데이터는 발아율과 길이를 곱한 값. 163

〈그림 3. 23〉 다양한 농도의 암모늄에 노출된 식물의 유아생장 반응. 반응 데이터는 발아속도와 길이를 곱한 값. 164

〈그림 3. 24〉 다양한 농도의 암모늄에 노출된 식물의 유근생장 반응. 반응 데이터는 발아속도와 길이를 곱한 값. 165

〈그림 3. 25〉 다양한 농도의 phenanthrene을 함유하는 MS 배지에서 무균상태로 자란 식물의 초장. 166

〈그림 3. 26〉 다양한 농도의 NH4+을 함유하는 MS 배지에서 무균상태로 자란 식물의 초장.(이미지참조) 167

〈그림 3. 27〉 온실실험에서 확인된 지표종들의 초장. 식물유묘는 phenanthrene을 함유하는 MS 배지에 이식 후 무균상태로 생장함. 170

〈그림 3. 28〉 온실실험에서 확인된 지표종들의 생체중. 식물유묘는 phenanthrene을 함유하는 MS 배지에 이식 후 무균상태로 생장함. 171

〈그림 3. 29〉 온실실험에서 확인된 지표종들의 건물중. 식물유묘는 phenanthrene을 함유하는 MS 배지에 이식 후 무균상태로 생장함. 172

〈그림 3. 30〉 온실실험에서 확인된 지표종들의 초장. 식물유묘는 암모늄을 함유하는 MS 배지에 이식 후 무균상태로 생장함. 173

〈그림 3. 31〉 온실실험에서 확인된 지표종들의 생체중. 식물유묘는 암모늄을 함유하는 MS 배지에 이식 후 무균상태로 생장함. 174

〈그림 3. 32〉 온실실험에서 확인된 지표종들의 건물중. 식물유묘는 암모늄을 함유하는 MS 배지에 이식 후 무균상태로 생장함. 175

〈그림 3. 33〉 다양한 농도의 암모늄이 처리된 생장 배지에서 자란 Echinochloa crus-galli var. praticola로부터 추출한 단백질의 Seldi 패턴. 마커들은 노이즈 수준보다 6배 높은 뚜렷한 피크를 나타냄. 위와 아래의 그래프는... 186

〈그림 3. 34〉 다양한 농도의 암모늄이 처리된 생장 배지에서 자란 Capsella bursa-pastoris로부터 추출한 단백질의 Seldi 패턴. 마커들은 노이즈 수준보다 6배 높은 뚜렷한 피크를 나타냄. 위와 아래의 그래프는 각각... 187

〈그림 3. 35〉 다양한 농도의 암모늄이 처리된 생장 배지에서 자란 Eragrostis ferruginea로부터 추출한 단백질의 Seldi 패턴. 마커들은 노이즈 수준보다 6배 높은 뚜렷한 피크를 나타냄. 위와 아래의 그래프는 각각... 188

〈그림 3. 36〉 다양한 농도의 암모늄이 처리된 생장 배지에서 자란 Achyranthes japonica로부터 추출한 단백질의 Seldi 패턴. 마커들은 노이즈 수준보다 6배 높은 뚜렷한 피크를 나타냄. 위와 아래의 그래프는 각각... 189

〈그림 3. 37〉 다양한 농도의 암모늄이 처리된 생장 배지에서 자란 Agropyron ciliare로부터 추출한 단백질의 Seldi 패턴. 마커들은 노이즈 수준보다 6배 높은 뚜렷한 피크를 나타냄. 위와 아래의 그래프는 각각... 190

〈그림 3. 38〉 다양한 농도의 암모늄이 처리된 생장 배지에서 자란 Agropyron ciliare로부터 추출한 단백질의 Seldi 패턴. 마커들은 노이즈 수준보다 6배 높은 뚜렷한 피크를 나타냄. 위와 아래의 그래프는 각각... 191

〈그림 3. 39〉 다양한 농도의 암모늄이 처리된 생장 배지에서 자란 Arthraxon hispidus로부터 추출한 단백질의 Seldi 패턴. 마커들은 노이즈 수준보다 6배 높은 뚜렷한 피크를 나타냄. 위와 아래의 그래프는 각각... 192

〈그림 3. 40〉 다양한 농도의 암모늄이 처리된 생장 배지에서 자란 Oenothera odorata로부터 추출한 단백질의 Seldi 패턴. 마커들은 노이즈 수준보다 6배 높은 뚜렷한 피크를 나타냄. 위와 아래의 그래프는 각각... 193

〈그림 3. 41〉 다양한 농도의 phenanthrene이 처리된 생장 배지에서 자란 Echinochloa crus-galli var. oryzicola로부터 추출한 단백질의 Seldi 패턴. 마커들은 노이즈 수준보다 6배 높은 뚜렷한 피크를 나타냄. 위와... 194

〈그림 3. 42〉 다양한 농도의 phenanthrene이 처리된 생장 배지에서 자란 Bidens bipinnata로부터 추출한 단백질의 Seldi 패턴. 마커들은 노이즈 수준보다 6배 높은 뚜렷한 피크를 나타냄. 위와 아래의 그래프는 각각... 195

〈그림 3. 43〉 다양한 농도의 phenanthrene이 처리된 생장 배지에서 자란 Eleusine indica로부터 추출한 단백질의 Seldi 패턴. 마커들은 노이즈 수준보다 6배 높은 뚜렷한 피크를 나타냄. 위와 아래의 그래프는 각각 시료플레이트로... 196

〈그림 3. 44〉 다양한 농도의 phenanthrene이 처리된 생장 배지에서 자란 Aeschynomene indica로부터 추출한 단백질의 Seldi 패턴. 마커들은 노이즈 수준보다 6배 높은 뚜렷한 피크를 나타냄. 위와 아래의 그래프는... 197

〈그림 3. 45〉 다양한 농도의 phenanthrene이 처리된 생장 배지에서 자란 Agropyron ciliare로부터 추출한 단백질의 Seldi 패턴. 마커들은 노이즈 수준보다 6배 높은 뚜렷한 피크를 나타냄. 위와 아래의 그래프는... 198

〈그림 3. 46〉 다양한 농도의 phenanthrene이 처리된 생장 배지에서 자란 Nasturtium officinale로부터 추출한 단백질의 Seldi 패턴. 마커들은 노이즈 수준보다 6배 높은 뚜렷한 피크를 나타냄. 위와 아래의 그래프는... 199

〈그림 3. 47〉 다양한 농도의 phenanthrene이 처리된 생장 배지에서 자란 Stellaria media로부터 추출한 단백질의 Seldi 패턴. 마커들은 노이즈 수준보다 6배 높은 뚜렷한 피크를 나타냄. 위와 아래의 그래프는 각각 시료플레이트로... 200

〈그림 3. 48〉 다양한 농도의 phenanthrene이 처리된 생장 배지에서 자란 Bromus japonicus로부터 추출한 단백질의 Seldi 패턴. 마커들은 노이즈 수준보다 6배 높은 뚜렷한 피크를 나타냄. 위와 아래의 그래프는 각각... 201

〈그림 3. 49〉 다양한 PAHs 농도에 대한 종개구리밥의 개체수 반응. 205

〈그림 3. 50〉 다양한 PAHs 농도에 대한 종개구리밥의 색소함량 반응. 206

〈그림 3. 51〉 양액내 암모늄 농도에 대한 종개구리밥의 엽수, 생체중, 색소 반응. 207

〈그림 3. 52〉 세 가지 다른 분포 모델로부터 얻어진 유묘의 유아장과 유근장에 대한 NH4+ 독성 값 (EC50).(이미지참조) 208

〈그림 3. 53〉 세 가지 다른 분포 모델로부터 얻어진 유묘의 유아장과 유근장에 대한 PAHs 독성 값 (EC50).(이미지참조) 209

〈사진 1.1〉 Eurobionet에서 설치한 식물모니터링을 위한 측정소. 26

〈사진 1.2〉 "녹색상자(The Green Box)"의 개념도와 실제 설치 모습. 26

〈사진 3.1〉 경주 축사 주변 하천의 축산폐수 오염지. 39

〈사진 3.2〉 춘천 유류저장탱크 주변의 유류 오염지. 39

〈사진 3.3〉 포항 저유 및 송유시설 주변의 유류 오염토양. 40

〈사진 3.4〉 대전 유류오염지역의 식생. 40

〈사진 3.5〉 익산 축산폐수 오염지 식물 군락. 41

〈사진 3.6〉 대전 유류오염지역 식생의 생육저해 정도. 54

〈사진 3.7〉 다양한 PAHs 농도(0, 10, 30, 100, 300 ppm)하에서 PAH 내성종의 생장. 위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Glycine soja, Kummerowia striata, Bidens bipinnata. 120

〈사진 3.8〉 다양한 PAHs 농도(0, 10, 30, 100, 300 ppm)하에서 PAH 감수성종의 생장. 위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Glycine soja, Kummerowia striata, Bidens bipinnata. Nasturtium... 121

〈사진 3.9〉 다양한 PAHs 농도에 대한 종개구리밥의 개체수 변화. 204

초록보기 더보기

I. Title

Development of Biomonitoring System for Environmental Pollution Using Dominant Endemic Plants

: Analysis of Plant Responses for Phytomonitoring of Environmental pollution

II. Objectives and Significanc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potential of plant species as candidate for phytomonitoring and to develop a protocol based on the responses of wild plants to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PAHs) and ammonium. Advantages of phytomonitoring using Korean indigenous plant are as follows: 1) this monitoring method is more eco-friendly than other methods based on instrumental analysis, 2) preparing and maintaining of phytomonitoring station requires low cost. Because basic data with higher plant species for phytomonitoring is still rare, collecting data on the responses of various traits to pollutant is necessary.

III. Content and Scope

In order to clarify the responses of wild plant, wild species of several hundreds were tested and examined with artificial nutrient solution with different pollutant concentration. Based on the responses of plant species to PAHs and ammonium, critical concentration of pollutant and effective evaluation protocols were established

IV. Results and Discussion

Vegetation in polluted with oil and livestock waste showed different species composition and diversity. In particular, species diversity was lower in polluted sites in both pollutants. Zoysia japonica, Persicaria thunbergii, Microstegium vimineum, Festuca arundinacea and Bidens frondosa were dominant species in oil. In livestock waste polluted sites, Phragmites communis, Zizania latifolia, Persicaria thunbergii and Humulus japonicus were dominant species.

In germination responses to PAHs, Fabaceae plants were much less affected (105% of control) compared to species belonging to Caryophyllaceae (18.7% of control), which showed highly susceptible responses.

In seedling growth experiment on Bromus tectorum and Veronica persica, species classified as highly susceptible in germination experiment, low NOEC (10 mg kg-1) was observed. On the other hand, NOEC was 100 mg kg-1 in Bromus japonicus and Cerastium holosteoides var. hallaisanense, which were also classified as highly susceptible by the germination experiment. However, mostspecies classified as susceptible showed high NOEC of greater than 10 mg kg-1. EC50 values of test species ranged from 2.87 × 10² (Humulus japonicus) to 8.05 × 1081 mg kg-1 (Bidens bipinnata) based on shoot length. The wide range of EC50 for shoot weight suggests that shoot weight is more appropriate as an endpoint for PAHs toxicity than shoot length for determining the susceptibility of plant species to PAHs. It was confirmed that dose-response of plants to PAHs spiked soil can be used to estimate critical concentration of PAHs inhibiting early establishment of plants in contaminated fields.

In germination responses to ammoniums, Bromus japonicus, Mosla punctulata, Bromus tinctorus were highly susceptible and weed species dominant in arable land such as Ambrosia artemisifolia, Digitaria snaguinalis, Echinochloa crus-galli var. praticola, Eleusine indica were highly tolerant. In seedling growth experiment on Echinochloa crus-galli var. praticola, Eragrostis ferruginea, Achyranthes japonica and Capsella bursa-pastoris were highly tolerant and Oenothera odorata, Arthraxon hispidus and Agropyron ciliare were susciptable.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 in plant was increased linearly as the level in media was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phenenthrene was 2.3 to 9.9 ppm according to specie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uptake amount between tolerant and susceptible species. The uptake of ammonium was drastically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in media was higher than 30mM. In Oenothera odorata, however, the rapid increase of uptake occurred at the concentration of 100mM

V. Perspective

Identification of plant species that grow dominantly in contaminated fields will enable us to select species that accelerate degradation of pollutant with respect to phytoremediation. In addition, responses of wild plants examined in this study may assist the proper selection of species for phytomonitoring or phytoremediation in contaminated fields.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T000033152 전자자료 이용불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