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무기성 폐기물의 복합처리에 의한 토건재료 제조 기술 개발 / 교육과학기술부 ; 환경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2010
자료실
전자자료
형태사항
316 p. : 삽화, 도표, 사진 ; 30 cm
제어번호
MONO1201029356
주기사항
"자원재활용기술개발사업"의 세부과제임
중사업명: 21세기 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
주관연구기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주관연구책임자: 안지환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보고서 요약서

요약문

SUMMARY

CONTEMTS

목차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32

1. 과제 구성 32

2. 연구개발 배경 및 필요성 33

3. 연구개발 목표 35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36

1. 국내·외 관련분야 기술개발현황 36

제3장 연구개발수행 및 결과 59

1. 생활폐기물 소각바닥재 59

2.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대체골재의 생산설비 구축 207

3. 무기 부산자원을 이용한 무기질 다공체 제조기술 개발 275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309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311

1. 연구개발의 부수적 효과 311

2. 연구개발결과의 사업성 활용가능성 313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315

제7장 참고문헌 316

〈표 2-1〉 생활폐기물 소각재의 분류 39

〈표 2-2〉 미국에서 상업 가동 중인 바닥재 처리시설 40

〈표 2-3〉 네덜란드의 잔재물(폐기물) 재활용 시 용출되는 오염물질의 최대 허용 가능한 한계 부하 농도 43

〈표 2-4〉 덴마크의 소각재 재활용 기준 44

〈표 2-5〉 독일의 기술지침에 의한 바닥재 분류 46

〈표 2-6〉 French leaching test(NFX31-210)에 의한 바닥재 분류 46

〈표 2-7〉 Leaching test 결과에 의한 바닥재 규제치(프랑스) 47

〈표 2-8〉 국외 소각재 재활용 기술 49

〈표 2-9〉 국내외 탄산화 메커니즘 관련 기술현황 51

〈표 2-10〉 CO₂ 탄산화를 통한 국내의 생활폐기물 소각바닥재 자원화 기술 현황 52

〈표 2-11〉 탄산화에 따른 중금속 거동에 관한 국내외 연구 현황 54

〈표 2-12〉 유가금속 회수 자원처리에 관한 국내외 연구 현황 54

〈표 2-13〉 고부가가치 자원화 관련 국내외 연구 현황 55

〈표 2-14〉 CO₂ 고정화를 위한 국내·외 폐콘크리트(폐시멘트) 연구 현황 56

〈표 2-15〉 국내외 Pilot Plant 시설의 차별성 58

〈표 3-1〉 소각재의 분류 61

〈표 3-2〉 소각시설별 생활폐기물 성상분석(2005년) 63

〈표 3-3〉 소각시설별 생활폐기물 삼성분값(2005년) 64

〈표 3-4〉 계절별 생활폐기물 조성(2005년) 65

〈표 3-5〉 소각장별 생활폐기물 반입량 및 소각재 발생량(2005) 66

〈표 3-6〉 2005년도 소각장별 바닥재 처리현황 67

〈표 3-7〉 2005년도 소각장별 비산재 처리현황 68

〈표 3-8〉 바닥재 및 혼합재의 화학조성 69

〈표 3-9〉 비산재, 바닥재, 혼합재의 화학조성 71

〈표 3-10〉 바닥재의 다이옥신 및 퓨란 함유량(ng/g) 72

〈표 3-11〉 바닥재의 미량 유기물 함유량(ng/g) 73

〈표 3-12〉 생활폐기물 소각 바닥재의 입도별 화학 조성 74

〈표 3-13〉 바닥재의 물리적 조성 74

〈표 3-14〉 바닥재의 강열 감량 74

〈표 3-15〉 바닥재의 입도별 중금속 함유량 76

〈표 3-16〉 입도별 소각 바닥재의 Cl 함량 76

〈표 3-17〉 바닥재 안정화에 따른 반응 83

〈표 3-18〉 소각바닥재의 물리적 조성 86

〈표 3-19〉 바닥재의 화학적 조성 (골재) 86

〈표 3-20〉 각 입도별 바닥재와 자력 선별된 바닥재 그리고 철 금속의 분포율 90

〈표 3-21〉 자력의 세기에 따라 분리된 바닥재의 화학 조성 (1.18mm 이상) 91

〈표 3-22〉 자력의 세기에 따라 분리된 바닥재의 화학 조성(0.3~1.18mm) 91

〈표 3-23〉 자력의 세기에 따라 분리된 바닥재의 화학 조성(이하 0.3mm) 92

〈표 3-24〉 소각 바닥재의 중금속 함유량 99

〈표 3-25〉 각 입도별 바닥재와 자력 선별 후 바닥재의 Cu와 Pb의 함유량 99

〈표 3-26〉 각 입도별 바닥재와 자력 선별 후 바닥재의 Ni와 Cr의 함유량 100

〈표 3-27〉 각 입도별 바닥재와 비철 선별된 바닥재 그리고 비철 금속성 물질의 분포율 103

〈표 3-28〉 2.36mm 이상의 입도에서 비철 선별된 바닥재의 화학조성 104

〈표 3-29〉 2.36mm 이상의 입도에서 비철 선별된 바닥재의 중금속 함유량 104

〈표 3-30〉 소각 바닥재의 화학 조성 108

〈표 3-31〉 소각 바닥재의 중금속 함유량 108

〈표 3-32〉 소각 바닥재의 안정화 과정동안의 화학 반응 117

〈표 3-33〉 바닥재의 각 입도별 중금속(Cu, Pb, Cr, Ni, Cd, As)의 용출량 119

〈표 3-34〉 바닥재의 탄산화 반응 전·후의 Cu와 Pb의 용출 변화량 120

〈표 3-35〉 탄산화 반응 전·후의 바닥재의 Cu와 Pb의 용출 변화량 121

〈표 3-36〉 소각재의 화학성분 분석결과 137

〈표 3-37〉 소각재의 중금속 함유량 137

〈표 3-38〉 바닥재의 중금속 용출시험결과 141

〈표 3-39〉 pH에 따른 바닥재의 중금속용출결과(4mesh 이하) 141

〈표 3-40〉 pH에 따른 바닥재의 중금속용출결과(4mesh 이상) 141

〈표 3-41〉 팽창재에 대한 수화생성물 147

〈표 3-42〉 바닥재의 화학성분 분석결과 (wt.%) 151

〈표 3-43〉 30mesh이하의 바닥재 B의 화학조성 및 그로부터 계산된 광물조성 152

〈표 3-44〉 1,000℃로 소성된 바닥재(30mesh이하)의 OPC 치환에 따른 모르타르의 재령별 중금속 용출시험결과 152

〈표 3-45〉 투자계획 156

〈표 3-46〉 제품판매계획 157

〈표 3-47〉 재료비 추정 157

〈표 3-48〉 소요인원 및 인건비 추정 157

〈표 3-49〉 제조원가명세서 158

〈표 3-50〉 손익계산서 159

〈표 3-51〉 대차대조표 160

〈표 3-52〉 내부수익율 (IRR) 161

〈표 3-53〉 NPV 162

〈표 3-54〉 ROI 162

〈표 3-55〉 Disposal of domestic waste 171

〈표 3-56〉 Generation of incineration ash and disposal of bottom ash 171

〈표 3-57〉 Characteristic of incineration ash 172

〈표 3-58〉 Advanced countries' Dioxin pollution guideline in soil 177

〈표 3-59〉 Chemical reaction in stabilization of bottom ash 180

〈표 3-60〉 Emissions trading types on Kyoto mechanism 183

〈표 3-61〉 Changing temperature and reaction form in concrete 184

〈표 3-62〉 Criteria of pollutants in KSLT 186

〈표 3-63〉 Criteria of pollutants in TCLP 187

〈표 3-64〉 Criteria of domestic soil contamination 188

〈표 3-65〉 Content of composition materials of bottom ash 191

〈표 3-66〉 Chemical compositions of bottom ash 192

〈표 3-67〉 Effect of trace elements on cement quality 192

〈표 3-68〉 Changing pH of fresh and carbonated bottom ash 195

〈표 3-69〉 Results of leaching test with the variation of pH (size: under 4.75mm) 195

〈표 3-70〉 Results of leaching test with the variation of pH (size: over 4.75mm) 195

〈표 3-71〉 Results of fresh and carbonated bottom ash in KSLT 197

〈표 3-72〉 Results of fresh and carbonated bottom ash in TCLP 199

〈표 3-73〉 Results of fresh and carbonated bottom ash in domestic soil leaching test 200

〈표 3-74〉 Results of DT-TGA analysis 202

〈표 3-75〉 Results of L.O.I. analysis 204

〈표 3-76〉 건설폐기물의 성상별 연관성 211

〈표 3-77〉 건설폐기물 성상별 발생량 (1999년~2004년) 212

〈표 3-78〉 건설폐기물 성상별 발생량 (2005년~2008년) 212

〈표 3-79〉 입도별 분쇄 메커니즘 확률 225

〈표 3-80〉 낙하높이에 따른 실험 종료 시까지 필요한 낙하횟수의 변화 232

〈표 3-81〉 파분쇄 장비에 따른 순환골재의 압축강도 235

〈표 3-82〉 폐콘크리트의 물리적 특성 238

〈표 3-83〉 단일입도 분쇄산물의 물리적 특성 240

〈표 3-84〉 1차 조크러셔 분쇄 산물을 통해 생산된 순환골재의 물리적 특성 242

〈표 3-85〉 시간에 따른 순환 잔골재의 물리적 특성 243

〈표 3-86〉 연속공정실험을 통해 생산된 순환골재의 물리적 특성 247

〈표 3-87〉 Pilot scale AG mill 산물의 흡수율 253

〈표 3-88〉 분쇄시간 변화에 따른 파분쇄 산물의 물리적 특성 255

〈표 3-89〉 연속공정을 통해 생산된 순환골재의 물리적 특성 259

〈표 3-90〉 간섭침강분리 실험 조건 265

〈표 3-91〉 간섭침강분리 시료의 성분분석 266

〈표 3-92〉 Ca2+ 이온의 용출량과 순도(이미지참조) 269

〈표 3-93〉 폐콘크리트 처리시스템을 통한 물질 흐름 분석 274

〈표 3-94〉 Kinds and characteristics of inorganic porous materials 280

〈표 3-95〉 Supply-demand situation of crushed aggregate 281

〈표 3-96〉 Chemical composition of stone powder 282

〈표 3-97〉 Recycled status of waste concrete 283

〈표 3-98〉 Chemical composition of waste concrete (wt.%) 283

〈표 3-99〉 Chemical composition of waste concrete powder 285

〈표 3-100〉 Chemical composition of siliceous and calcareous materials 287

〈표 3-101〉 Mixing ratio of siliceous material and cement 287

〈표 3-102〉 Relative peak intensity and d value of tobermorite 288

〈표 3-103〉 Mixing ratio of siliceous material and cement according to C/S mole ratio 290

〈표 3-104〉 XRD peak intensity according to C/S mole ratio 290

〈표 3-105〉 Mixing ratio and chemical composition of porous materials 294

〈표 3-106〉 Chemical compositions of raw materials 296

〈표 3-107〉 Experimental design by tables of orthogonal arrays 297

〈표 3-108〉 Anova table 299

〈표 3-109〉 Mix design of inorganic porous material 305

〈표 3-110〉 Chief items and specification on manufacturing facilities 307

〈표 6-1〉 외국의 폐기물 정책동향 315

〈그림. 1-1〉 국내 폐기물 발생 추이 33

〈그림. 1-2〉 국내 폐기물 발생량 현황 및 문제점 34

〈그림. 2-1〉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특별 보고서, 2005 36

〈그림. 2-2〉 CO₂ 고형화 기술의 Waste Processing and Treatment 프로젝트 사례 37

〈그림. 2-3〉 Integrated mineral CO₂ sequestration /Iron production plant 38

〈그림. 2-4〉 폐 콘크리트 재생 시스템 40

〈그림. 2-5〉 (주)테크노론티아의 바닥재 재활용 공정 개요 41

〈그림. 2-6〉 고품질 재생골재의 회수과정 1(Mistuvishi Materials) 42

〈그림. 2-7〉 덴마크의 소각재 재활용 가이드라인 모식도 45

〈그림. 2-8〉 스웨덴의 소각재 재활용시 요구되는 법적검토 흐름도 47

〈그림. 2-9〉 소각재 재활용기술 분류 48

〈그림. 2-10〉 Kubota사의 용융로 공법 50

〈그림. 2-11〉 GAZ Industrieanlagen의 물리적선별을 통한 다단공법 50

〈그림. 2-12〉 Tauw 사의 생활폐기물 소각 바닥재 처리 공정 50

〈그림. 3-1〉 생활폐기물 소각재 발생위치 62

〈그림. 3-2〉 전체 바닥재의 입도 분포 (Bottom I, Bottom D)(이미지참조) 75

〈그림. 3-3〉 0.15mm 이하의 입도를 가진 바닥재의 입도 분포 75

〈그림. 3-4〉 Al(OH)₃ product of oxidation of Aluminium metal 78

〈그림. 3-5〉 Solubility of heavy metal in bottom ash leachates as a function of pH 80

〈그림. 3-6〉 Integrated slag washing process 82

〈그림. 3-7〉 생활폐기물 소각 바닥재의 물리적 조성 85

〈그림. 3-8〉 소각 바닥재의 XRD pattern(골재) 87

〈그림. 3-9〉 자력/비철 선별기 88

〈그림. 3-10〉 자력 선별 공정도 89

〈그림. 3-11〉 비철 선별 공정도 89

〈그림. 3-12〉 생활폐기물 소각 바닥재의 물리적 조성 90

〈그림. 3-13〉 4.75mm 이상의 입도에서의 철 금속과 자성 물질의 사진 92

〈그림. 3-14〉 1.18mm 이상의 입도에서 자성 물질의 XRD Patterns 93

〈그림. 3-15〉 0.3-1.18mm 이상의 입도에서 자성 물질의 XRD patterns 93

〈그림. 3-16〉 0.3mm 이하의 입도에서 자성 물질의 XRD patterns 94

〈그림. 3-17〉 4.75mm 이상의 입도에서 자력의 세기에 따라 자력 선별된 자성 물질 95

〈그림. 3-18〉 2.36-4.75mm 이상의 입도에서 자력의 세기에 따라 자력 선별된 자성 물질 95

〈그림. 3-19〉 1.18-2.36mm 이상의 입도에서 자력의 세기에 따라 자력 선별된 자성 물질 96

〈그림. 3-20〉 자력의 세기에 따른 자성 물질의 선별율과 철 함유율(바닥재 전체) 96

〈그림. 3-21〉 자력의 세기에 따른 자성 물질의 선별율과 철 금속 함유율(4.75mm이상의 바닥재) 97

〈그림. 3-22〉 자력의 세기에 따른 철 금속의 누적 선별율 (4.75mm 이상) 97

〈그림. 3-23〉 자력의 세기에 따른 철 금속의 누적 선별율 (2.36-4.75mm) 98

〈그림. 3-24〉 자력의 세기에 따른 철 금속의 누적 선별율 (1.18-2.36mm) 98

〈그림. 3-25〉 중금속(Cu, Pb, Cr, Ni) 함유량의 자력 선별에 따른 분리율 101

〈그림. 3-26〉 1.18~2.36mm의 입도에서 자력 선별된 바닥재의 XRD patterns 101

〈그림. 3-27〉 자력선별 전·후의 바닥재에 대한 Ni 용출량 변화곡선 102

〈그림. 3-28〉 자력선별 전·후의 바닥재에 대한 Cr 용출량 변화곡선 102

〈그림. 3-29〉 바닥재에 함유된 비철 금속 103

〈그림. 3-30〉 각 입도별 생활폐기물 소각 바닥재에 포함된 비철 금속 105

〈그림. 3-31〉 0.6-2.36mm 입도에서의 비철 금속성 물질 105

〈그림. 3-32〉 생활폐기물 소각 바닥재의 XRD pattern 108

〈그림. 3-33〉 수세 처리(washing process) 공정도 109

〈그림. 3-34〉 바닥재의 수세 처리에 따른 Cl 이온의 제거율 110

〈그림. 3-35〉 수세 처리 전·후의 바닥재의 XRD pattern 111

〈그림. 3-36〉 수화 처리 공정에 따른 Ca, K와 Na 이온의 용출 농도 변화 곡선 111

〈그림. 3-37〉 0.15mm 이하의 입도를 가진 바닥재의 수세 처리 전과 후의 XRD patterns 112

〈그림. 3-38〉 각 입도별 Cl의 용출량 및 제거율 113

〈그림. 3-39〉 바닥재의 각 입도별 XRD patterns 113

〈그림. 3-40〉 각 소각장에서 발생된 시료에 함유되어 있는 염분의 각 입도별 용출량 114

〈그림. 3-41〉 각 입도별 시간에 따른 염소 용출량 115

〈그림. 3-42〉 각 입도별 고액비(L/S)에 따른 염소 용출량 115

〈그림. 3-43〉 탄산화 처리(carbonation process) 공정도 117

〈그림. 3-44〉 바닥재의 탄산화 반응에 의한 pH 변화 곡선. 119

〈그림. 3-45〉 원바닥재의 pH에 따른 Cu의 용출 변화곡선 121

〈그림. 3-46〉 원바닥재의 pH에 따른 Pb의 용출 변화곡선 122

〈그림. 3-47〉 탄산화 처리된 바닥재의 pH에 따른 Cu의 용출 곡선 122

〈그림. 3-48〉 탄산화 처리된 바닥재의 pH에 따른 Pb의 용출 곡선 123

〈그림. 3-49〉 탄산화 전·후의 바닥재 XRD Pattern 124

〈그림. 3-50〉 탄산화 전·후의 바닥재 XRD pattern 124

〈그림. 3-51〉 습식 방법으로 탄산화 처리된 바닥재 125

〈그림. 3-52〉 함수율(L/S)=10으로 탄산화 처리된 바닥재 125

〈그림. 3-53〉 함수율(L/S)=10으로 탄산화 처리된 바닥재의 용출 실험 후 시료 126

〈그림. 3-54〉 수세 처리와 탄산화 처리 전·후의 바닥재의 XRD patterns 126

〈그림. 3-55〉 함수율의 변화와 탄산화 반응에 따른 pH 변화 곡선 128

〈그림. 3-56〉 탄산화 반응에 따른 pH 변화 곡선 (바닥재 전체) 128

〈그림. 3-57〉 바닥재의 탄산화 반응에 따른 pH 변화 곡선 (0.15mm 이하의 입도를 제외한 바닥재) 129

〈그림. 3-58〉 탄산화 처리에 따른 pH의 변화 곡선(CO₂ 농도 10%). 129

〈그림. 3-59〉 탄산화 처리에 따른 pH의 변화 곡선.(CO₂ 농도 100%) 130

〈그림. 3-60〉 Pilot plant 전경도 133

〈그림. 3-6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부지 내의 건설부지 위치 134

〈그림. 3-62〉 무기계 폐기물의 복합처리 Plant (lay out) 134

〈그림. 3-63〉 Pilot plant에서의 (a)자력 선별기와 (b)수세 처리기 135

〈그림. 3-64〉 소각재 수세 및 숙성 설비. (① 폐수 수집조 ② 회전식 수세설비(바닥재) ③ 교반조(비산재)) 136

〈그림. 3-65〉 산 첨가에 따른 바닥재의 pH 변화 138

〈그림. 3-66〉 pH에 따른 바닥재의 염소용출량 (S/L ratio(w/v,%)=5, time=20hrs) 139

〈그림. 3-67〉 20℃에서의 고액비 및 수세시간에 따른 바닥재(4mesh이하)의 잔류염소량 139

〈그림. 3-68〉 수세온도에 따른 바닥재(4mesh이하)의 잔류염소량 (S/L ratio(w/v,%)=10, time=30hrs) 140

〈그림. 3-69〉 50℃에서의 수세 시 고액비에 따른 바닥재(4mesh이하)의 잔류염소량 140

〈그림. 3-70〉 고액비에 따른 바닥재로부터 Cu의 용출농도 (20℃, 30min). 143

〈그림. 3-71〉 온도에 따른 바닥재로부터 Cu의 용출농도 (S/L ratio(w/v,%)=10, time=30hrs) 143

〈그림. 3-72〉 바닥재의 각 구성물질들의 사진. (water quenching 후) 145

〈그림. 3-73〉 바닥재의 각 구성물질들의 사진.(water quenching 전) 145

〈그림. 3-74〉 100mesh이하의 바닥재에 대한 water quenching 전후의 XRD 분석결과 146

〈그림. 3-75〉 Alinite의 소성온도별 XRD 분석 결과 148

〈그림. 3-76〉 CCA의 소성온도별 XRD 분석 결과 149

〈그림. 3-77〉 염소첨가량에 따른 alinite의 소성온도별 잔류염소함유량 149

〈그림. 3-78〉 염소첨가량에 따른 CCA의 소성온도별 잔류염소함유량 150

〈그림. 3-79〉 XRD patterns of hydrates with CCA-CaSO₄-Ca(OH)₂ 150

〈그림. 3-80〉 CCA의 OPC 치환율에 따른 모르타르의 재령별 압축강도 (C11A7CaCl₂ : CaSO₄=1:1.95, Mortar test : KS L 5105, 5109)(이미지참조) 151

〈그림. 3-81〉 바닥재의 소성온도별 XRD 분석결과(바닥재 A) 153

〈그림. 3-82〉 바닥재의 소성온도별 XRD 분석결과(바닥재 B) 153

〈그림. 3-83〉 1,000℃에서 소성된 바닥재 A의 입도별 XRD 분석결과 154

〈그림. 3-84〉 1,000℃로 소성된 바닥재(30mesh이하)의 OPC 치환에 따른 모르타르의 재령별 압축강도 154

〈그림. 3-85〉 Solubility of heavy metal in bottom ash leachates as a function of pH 176

〈그림. 3-86〉 Details of Kyoto protocol 181

〈그림. 3-87〉 Bottom ash 185

〈그림. 3-88〉 Pilot plant for treatment incineration ash 185

〈그림. 3-89〉 Toxicity characteristic leaching procedure 187

〈그림. 3-90〉 Content of composition materials of bottom ash 190

〈그림. 3-91〉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fresh bottom ash 193

〈그림. 3-92〉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carbonated bottom ash 194

〈그림. 3-93〉 Changing pH of fresh and carbonated bottom ash 194

〈그림. 3-94〉 Results of leaching test with the variation of pH (size: under 4.75mm) 196

〈그림. 3-95〉 Results of leaching test with the variation of pH (size: above 4.75mm) 196

〈그림. 3-96〉 Results of fresh and carbonated bottom ash in KSLT 198

〈그림. 3-97〉 Results of fresh and carbonated bottom ash in TCLP 199

〈그림. 3-98〉 Results of fresh and carbonated bottom ash in domestic soil leaching test 201

〈그림. 3-99〉 Results of DT-TGA analysis(prior to carbonation) 202

〈그림. 3-100〉 Results of DT-TGA analysis(after carbonation) 203

〈그림. 3-101〉 건설폐기물의 처리 공정도의 예 213

〈그림. 3-102〉 폐콘크리트 자유낙하실험 개략도 218

〈그림. 3-103〉 낙하횟수에 따른 잔존 질량 비율 220

〈그림. 3-104〉 시료의 파괴 양상에 따른 분쇄 메커니즘 220

〈그림. 3-105〉 낙하횟수 증가에 따른 단체분리 입자 수 221

〈그림. 3-106〉 파괴 형태에 따른 폐콘크리트 시료 221

〈그림. 3-107〉 입도와 분쇄 메커니즘에 따른 질량 감소 비율 226

〈그림. 3-108〉 분쇄 메커니즘에 따른 분쇄 분포(53×37.4mm) 227

〈그림. 3-109〉 메커니즘에 따른 분쇄 분포 함수 228

〈그림. 3-110〉 분쇄 메커니즘에 따른 1차 분쇄 분포(primary breakage distribution) 229

〈그림. 3-111〉 실험과 모델링 결과 비교 231

〈그림. 3-112〉 낙하높이에 따른 총에너지 소모량 233

〈그림. 3-113〉 폐콘크리트의 파분쇄 조건에 따른 순환골재의 품질 234

〈그림. 3-114〉 Autogenous mill 236

〈그림. 3-115〉 실험에 사용된 lab scale autogenous mill 237

〈그림. 3-116〉 실험에 사용된 폐콘크리트 238

〈그림. 3-117〉 feed의 누적입도 분포 239

〈그림. 3-118〉 파분쇄 시간에 따른 입도 분포 240

〈그림. 3-119〉 시간에 따른 분쇄산물의 누적입도분포 곡선 241

〈그림. 3-120〉 입도별 순환골재 사진(Heat treated sample, 30min) 244

〈그림. 3-121〉 입도별 순환골재 사진(raw sample, 30min) 245

〈그림. 3-122〉 Autogenous mill을 이용한 연속 공정 실험의 개념도 246

〈그림. 3-123〉 연속공정 실험에 의한 순환골재의 누적입도분포 곡선 247

〈그림. 3-124〉 연속공정실험의 분쇄산물(Heat treated sample, 3회) 248

〈그림. 3-125〉 연속공정실험의 분쇄산물(raw sample, 3회) 250

〈그림. 3-126〉 Pilot scale AG mill 252

〈그림. 3-127〉 Pilot scale AG mill test result 253

〈그림. 3-128〉 분쇄시간 변화에 따른 입도 분포 (Heat treated sample) test 254

〈그림. 3-129〉 분쇄시간 변화에 따른 입도 분포 (raw sample) 255

〈그림. 3-130〉 Pilot scale AG mill에서 생산된 순환 굵은 골재 256

〈그림. 3-131〉 실험횟수에 따른 순환골재 생산율 (시료 장입량 : 10%) 257

〈그림. 3-132〉 실험횟수에 따른 순환골재 생산율 (시료 장입량 : 20%) 258

〈그림. 3-133〉 누적입도분포 곡선 (시료장입량 : 10%) 258

〈그림. 3-134〉 누적입도분포 곡선 (시료장입량 : 20%) 259

〈그림. 3-135〉 비중에 따른 잔골재의 물리적 특성 변화 261

〈그림. 3-136〉 간섭침강장치의 개략도 263

〈그림. 3-137〉 실험실에 사용된 간섭침강장치의 모식도 264

〈그림. 3-138〉 본 실험에 사용된 간섭침강분리 장치 265

〈그림. 3-139〉 간섭침강분리 시료의 입도분포 266

〈그림. 3-140〉 Underflow 시료의 물리적 특성 267

〈그림. 3-141〉 탄산화 방법의 종류 268

〈그림. 3-142〉 시간에 따른 Ca2+ 이온의 용출량(이미지참조) 270

〈그림. 3-143〉 탄산화 공정의 생성물 XRD 271

〈그림. 3-144〉 산의 종류에 따른 생성물 사진과 FE-SEM 272

〈그림. 3-145〉 폐콘크리트 종합 처리 시스템 273

〈그림. 3-146〉 The 11Å tobermorite structure using the orthorhombic cell (a/2 = 5.58Å, b = 7.39Å, c/2=11.389Å) Ca are statistically distributed 276

〈그림. 3-147〉 Tobermorite crystal of porous calcium silicate hydrates 278

〈그림. 3-148〉 Pore of porous calcium silicate hydrates 278

〈그림. 3-149〉 Mass balance of crushed aggregate 282

〈그림. 3-150〉 XRD pattern of hydro-thermal reaction used waste concrete powder 286

〈그림. 3-151〉 SEM photograph of hydro-thermal reaction used waste concrete powder 286

〈그림. 3-152〉 XRD patterns according to siliceous materials(C/S mole 0.33) 288

〈그림. 3-153〉 d value and T/Q peak intensity ratio according to C/S mole ratio 291

〈그림. 3-154〉 d value vs. Al₂O₃ content 291

〈그림. 3-155〉 XRD patterns according to siliceous materials 292

〈그림. 3-156〉 SEM & EDAX photographs according to siliceous materials 292

〈그림. 3-157〉 XRD patterns at the variation of siliceous materials 295

〈그림. 3-158〉 Block diagram for experimental method 298

〈그림. 3-159〉 Correlativity of compressive strength and porosity vs specific gravity 300

〈그림. 3-160〉 Optimum condition of porous materials 300

〈그림. 3-161〉 Function of pore structure of porous materials 301

〈그림. 3-162〉 Total pore volume according to particle size section (a) SP-1(improvement), (b) SP-2(before improvement) 302

〈그림. 3-163〉 Carbonation apparatus of porous materials 303

〈그림. 3-164〉 Variation of pH according to carbonation time 304

〈그림. 3-165〉 Variation of water content according to carbonation time 304

〈그림. 3-166〉 XRD patterns according to carbonation time 304

〈그림. 3-167〉 Schematic diagram of manufacturing process on pilot & commercial plant 305

〈그림. 3-168〉 PFD on manufacturing facilities of inorganic porous materials 307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T000033475 전자자료 이용불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