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1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1. 연구의 배경 12
2. 연구의 목적 13
제2절 연구의 범위 14
1. 공간적 범위:전국 16개 지방자치단체(시ㆍ도) 대상 14
2. 내용적 범위 14
제3절 연구의 방법 14
1. 운영 실태조사 14
2. 심층 면접조사 14
3. 유사사례 조사 15
4. 전문가 자문회의 15
제2장 문화관광해설사 제도 운영 실태 16
제1절 양성교육 및 재교육 현황 17
1. 교육 대상자 선정기준 17
2. 교육 위탁기관 19
3. 교육기간 및 시간 21
4. 교육과목 구성 23
5. 교육평가 및 수료조건 25
6. 교육수료증 26
7. 교육수료인원 27
8. 워크숍 및 심화교육 29
제2절 해설인력 배치 및 활용 현황 30
1. 실제 활동 중인 해설인력 30
2. 해설사 배치장소 30
3. 해설사 배치방식 32
4. 해설사 활동일수 33
5. 활동비 34
제3절 해설인력 관리 및 홍보 현황 35
1. 해설인력 구성 35
2. 해설인력 관리 36
3. 금지 및 자격박탈 37
4. 대외홍보 39
5. 사전예약 40
제4절 사업예산 및 인센티브 현황 41
1. 사업예산 현황 41
2. 해설사 대기장소 42
3. 제도적 인센티브 43
제5절 조사결과 및 시사점 44
1. 교육과정의 체계 및 현장성 부족 44
2. 해설인력 배치활동 지역의 한계성 45
3. 정기 모니터링 관리시스템 미흡 45
4. 온라인홍보 및 예약시스템 필요 46
5. 제도적인 인센티브 지원 확대 46
제3장 국내외 유사사례 조사 47
제1절 자원봉사제도 사례 48
1. 국립공원 자원활동가 48
2. 궁궐지킴이, 왕릉지킴이 50
3. 궁궐길라잡이 51
4. 유사사례 비교분석 53
제2절 기타 유사사례 55
1. 중앙정부 주도형 55
2. 지방정부 주도형 65
3. 시민ㆍ지역단체 주도형 70
제3절 국외 운영 사례 72
1. 일본 관광볼란티어 가이드 72
2. 호주 아웃백 해설 매뉴얼 79
3. 미국 박물관 도슨트 프로그램 83
제4절 조사결과 및 시사점 86
제4장 이해관계자 심층면접 조사 88
제1절 관광객(수요자) 요구 89
1. 온라인 홍보 및 사전 예약 89
2. 해설사 안내태도 89
3. 맞춤형 해설 내용 90
제2절 문화관광해설사(공급자) 요구 91
1. 관광객의 관람예절 91
2. 교육과정의 체계화 91
3. 운영 매뉴얼 명확화 92
4. 처우 및 편의제공 개선 93
제3절 지자체 공무원(관리자) 요구 95
1. 신규 선발기준 명확화 95
2. 해설 서비스 교육 강화 95
3. 해설사 관리 기준 수립 95
4. 사업 운영관리 예산 증대 96
5. 자원봉사제도로서 위상 확립 97
제4절 조사결과 및 시사점 98
제5장 문화관광해설사 제도 개선방안 99
제1절 핵심목표 및 개선방향 100
1. 문화관광해설사의 의미 100
2. 핵심목표 및 개선방향 101
제2절 해설인력의 전문화 방안 104
1. 교육 위탁기관 관리 104
2. 교육 대상자 선정 104
3. 신규 양성교육 운영 105
4. 보수교육 운영 108
5. 심화교육 개선 109
제3절 해설영역 및 활동지역 확대 111
1. 해설인력의 배치 111
2. 해설인력의 활용 112
제4절 합리적인 관리체계 확립 114
1. 활동실적 관리 114
2. 재위촉 제도 도입 114
제5절 수요자 만족도 제고 116
1. 수요자 대응 및 만족도 평가 116
2. 홍보 및 온라인 예약시스템 116
3. 문화관광해설사 CI 개발 117
제6절 제도적 인센티브 개발 118
1. 현장 대기장소 확보 118
2. 보수교육 기회 확대 118
3. 문화재 관람료 및 상해보험 119
4. 우수 사례 발굴 및 홍보 119
제6장 문화관광해설사 제도 운영 매뉴얼 개정(안) 120
1. 문화관광해설사 제도의 소개 121
가. 도입 배경 및 목적 121
나. 주요 연혁 121
2. 문화관광해설사의 정의와 역할 122
가. 문화관광해설사의 의미 122
나. 문화관광해설사의 역할 122
3. 문화관광해설사 교육과정 운영 122
가. 위탁교육기관 선정 122
나. 신규 양성교육 대상자 모집 123
다. 신규 양성교육 과정 운영 124
라. 정기 보수교육 과정 운영 125
4. 해설인력의 활용 및 관리 지침 126
가. 해설인력의 배치 126
나. 해설인력의 활용 127
다. 활동실적의 관리 127
라. 재위촉 제도 도입 127
마. 홍보 및 사전예약 제도 128
바. 활동 여건 및 처우 개선 128
사. 문화관광해설사 ID 카드 128
제7장 결론 및 정책 제언 129
제1절 종합 결론 130
1. 제도 운영실태 분석 130
2. 국내외 유사사례 비교 131
3. 이해관계자의 요구 132
4. 향후 제도 개선방향 132
제2절 정책 제언 133
1. 문화관광해설사의 정의 및 역할 재정립 133
2. 법적 제도화 방안 및 인증제도 도입 133
3. 활동 영역 확대 및 전문 직업화 검토 134
4. 국비 보조 지원 원칙 및 기준 명확화 135
참고문헌 137
부록1. 제도운영매뉴얼개정(안) 별첨양식 140
부록2. 광역지자체 운영실태 조사 양식 152
부록3. 문화관광해설사 교육프로그램 159
[그림 2-1] 문화관광해설사 신규 양성교육 대상자 선정 절차 17
[그림 2-2] 해설사 배치방식 32
[그림 2-3] 해설인력의 성비 구성 35
[그림 2-4] 해설언어별 활동인원 35
[그림 2-5] 양성년도별 활동인원 35
[그림 3-1] 일본 관광볼란티어 가이드 교육자료 (야마구치현 야마구치시 사례) 75
[그림 3-2] 일본 관광볼란티어 가이드 명함 및 신분증 (오카야마현 쿠라시키시 사례) 76
[그림 3-3] 시가현 나가하마시의 가이드 활동전경 78
[그림 5-1] 문화관광해설사 제도 개선 방향 102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