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제1장 모델과 윤곽

제1절 용어의 정의
제2절 결정의 의미
제3절 집단의 정책결정
제4절 제도적 요인
제5절 원심력과 구심력

제2장 정책결정자와 행정가

제1절 정부원수와 외무장관
제2절 입법부
제3절 외무부
제4절 기타의 문관기관

제3장 부차적 기관

제1절 부차적 기관과 조언자
제2절 군부
제3절 핵과학자
제4절 경제부처
제5절 정보기관
제6절 선전기관

제4장 국제환경

제1절 국가와 국가이익
제2절 중요한 구별
제3절 물리적 환경
제4절 사회적 환경
제5절 하나의 세계
제6절 변동의 영향

제5장 국내환경

제1절 인민의 역할
제2절 여론의 구조
제3절 정당, 압력단체, 권력집단

제6장 국내환경과 국제환경의 관계

제1절 구별의 선
제2절 기본적 관계
제3절 개별 국가 내부의 상호관계

제7장 정보

제1절 정보의 적절성
제2절 해석
제3절 이미지

제8장 가치

제1절 용어
제2절 동기
제3절 가치와 정책결정자
제4절 가치체계(이데올로기)

제9장 가치의 조직화

제1절 좋은 생활의 비전
제2절 가치 선택에 있어서의 어려움
제3절 최고의 가치
제4절 자기보존
제5절 가치의 순위

제10장 가치의 적용

제1절 목표
제2절 행동의 원칙
제3절 목적과 수단

제11장 행동의 자유

제1절 결정론과 자유의지론
제2절 보수주의
제3절 현상유지에 대한 태도
제4절 우연
제5절 도덕

제12장 합리성과 그 한계

제1절 합리성의 개념
제2절 합리성의 주요한 한계
제3절 합리성의 역할

제13장 결정의 前단계

제1절 단계의 개념
제2절 지도성(이니셔티브)
제3절 계획
제4절 상황의 정의
제5절 예언
제6절 조언과 심의

제14장 선택

제1절 선택의 문제
제2절 선택의 회피
제3절 대신한 노선
제4절 비양립성
제5절 결정의 유형
제6절 강도와 기타의 차원

제15장 결정 후의 단계

제1절 시행의 단계
제2절 실시
제3절 성공과 실패의 양극성
제4절 설명

색인

이용현황보기

외교정책결정의 분석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589946 327 -11-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589947 327 -11-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제1장에서는 모델의 윤곽을 설명하고 몇 가지의 기본적인 관계를 논의한다. 그것은 사용되고 있는 용어와 외교정책에 있어서 결정의 위치를 명확하게 해준다. 또한 집단에 의한 결정의 분석이란 복잡한 문제, 제도의 영향, 구심력과 원심력 간에 자주 일어나는 충돌에 대해서도 언급을 한다.
제2장, 제3장은 외교정책에 있어 정책결정을 행할 권력을 법적으로 부여하고 있는 관련 기구와 주요한 부차적 기관―군부·정보기관·핵과학자·사회과학자―의 조직에 대한 개관을 한다.
제4장~제6장은 환경을 다룬다. 국제환경에 대한 논의는 국가이익 개념의 분석에 의하여 도입되고, 자연·사회적인 부분을 다루면서 몇 개의 절로 나누어져 있다. 국내환경이 외교정책과 관련되는 방법은 국민의 역할, 여론의 구조, 정당, 압력집단, 권력집단 등의 표제 하에서 논의한다. 결론적으로, 국내와 외교문제 사이에서 한계결정의 문제를 개관하고 일반적이면서 강대국 정책들 속에서 그들의 상대적 중요성을 정리해 본다.
정책결정자와 환경 간의 중요한 연결부분인 정보는 제7장의 주제이다. 정보의 의미와 역할, 해석의 몇 가지의 중요한 문제인 “이미지”의 형성을 이룬다.
제8장~제10장은 가치를 중점적으로 다룬다. 이 장들은 적용된 명명법을 설명하고 가치에 의해 행해진 결정에서 그 역할을 설명한다. 가치의 조직화―그것이 어떻게 양질의 생활의 ‘비전’에 도달하느냐, 서열을 통하여 또는 최고의 가치 특히 자기보존의 가치를 기초로 해서 어떻게 선택하는가, 가치의 목적과 행동의 원칙에 변용되고 목적·수단의 관계에 적용될 때 결정에 대한 가치의 적응성을 논술하고 있다.
제11장은 환경에 대해 행동주체의 몇 가지 중요한 태도―자유의지론과 결정론, 보수주의와 수정주의의 양극성―우연과 도덕의 지위를 구분하였고, 제12장은 합리성과 그 한계를 논하고 있다.
정책결정과정은 결론부분으로 다음 3장에서 다룬다. 제13장은 서술의 도식과 선택행위―지도성·계획·예측·조언과 심의―몇 가지의 단계를 설명한다. 제14장은 선택의 파악되기 힘든 중심문제인 선택회피현상, 대안, 비양립성을 논하고 결정을 분류체계를 위한 도식을 제시한다. 제15장은 시행·실시·설명에 관한 결정 후의 단계와 성공을 평가하는 기준에 대해 논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