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발간에 부쳐 5
머리말 7

제1부………… 우에무라 유지(植村祐嗣)
기존 광고와 인터넷광고의 깊은 관계
1-1 인터넷광고를 둘러싼 비극과 희극
1-2 역사의 흐름, 영역의 연결
1-3 인터넷 시대의 대중매체
1-4 ‘AIDMA’의 부활

제2부………… 히다카 야스시(日高靖)
인터넷이 일으킨 변화
2-1 소비자의 미디어 접촉 행동은 어떻게 변했는가?
2-2 기업의 마케팅 활동은 어떻게 변했는가?
2-3 광고대행사는 어떻게 변할 것인가?

제3부………… 신타니 데츠야(新谷哲也)
인터넷광고 미디어
3-1 급성장한 인터넷매체
3-2 검색연동형 광고
3-3 ‘깊이’ 추구와 ‘넓이’ 추구
3-4 패러럴 월드로서의 ‘모바일광고’

제4부………… 이와타 마사키(岩田正樹)
소비자와 소통하는 웹사이트
4-1 더욱 중요해지는 웹사이트
4-2 목적에 따라 다른 웹사이트의 역할
4-3 웹사이트의 도선 구축
4-4 광고의 틀을 깨고 콘텐츠화하는 웹사이트
4-5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받쳐주는 기술
4-6 웹사이트 연결을 통한 새로운 가치 창조
4-7 웹사이트 구축에서 중요한 점

제5부 ………… 스기우라 도모히코(杉浦友彦)
실험에서 실전으로. 인터넷광고 플래닝의 기본 관점
5-1 기업의 인터넷 활용은 진정한 성과를 내고 있는가?
5-2 우선 ‘인터넷 활용의 맥’을 잡아라
5-3 효과지표 설정은 플래닝의 기본조건
5-4 과제에 상응하는 인터넷활용 처방전
5-5 진지함이 다른 다이렉트 비즈니스의 인터넷 활용
5-6 허점투성인 인터넷광고 플래닝
5-7 PDCA는 인터넷광고의 숙명
5-8 크로스미디어의 최적화를 위해

제6부 ………… 오노 유조(小野祐三)
광고의 미래상 - 정고(精告)와 공고(共告)
6-1 변질되고 있는 ‘광고’?
6-2 웹2.0이 ‘광고’에 미친 영향
6-3 향후의 인터넷 동향과 ‘광고’의 나아갈 길
6-4 차세대 커뮤니케이션 ‘구축법’
6-5 앞으로의 광고비즈니스

이용현황보기

광고신시대 : 인터넷×광고의 멋진 관계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597249 659.144 -11-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597250 659.144 -11-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이 지혜는 검색해도 찾을 수 없다

인터넷의 등장과 발전으로 광고계는 크게 변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 광고비즈니스에 필요한 것은 양방향 광고영역에 대한 최신지식과 기술보다는 광고전략 전체를 내다보고 필요에 따라 기존 매체와 새로운 매체, 기존 기법과 새로운 기법을 자유자재로 활용할 줄 아는 정보활용능력과 통찰력, 그리고 판단력이다.
이 책은 100년 전통을 자랑하는 세계 일류의 광고대행사 덴츠의 현장지혜와 노하우가 담긴 책으로 인터넷광고 분야의 새로운 지침서이다. 특히 덴츠는 인터넷광고시대를 ‘광고신시대’라고 정의하고, 이 분야에서 초창기부터 지금까지 최전선에서 활약하고 있는 프로 6명이 실전에서 살릴 수 있는 사례를 소개한다. 또한 인터넷광고의 역사와 다양한 기술의 변천, 실천적인 사이트의 구축과 집객의 노하우, 빠지기 쉬운 실수, 기존 광고매체 즉 신문이나 텔레비전 광고와의 공존 등을 포괄적으로 논한다.
무분별한 인터넷광고 사용을 자제하고 인터넷광고 마케팅에 필요한 기초지식 획득할 수 있음은 물론 실무자들의 경험에서 우러나온 다양한 실례를 통해 성공적인 인터넷광고를 할 수 있도록 이끄는 모든 광고 관계자가 참고할 만한 안내서이다.

인터넷광고는 다른 광고 커뮤니케이션 도구와 마찬가지로 광고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사용하는 수단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인터넷광고 그 자체가 목적이 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인터넷상에서의 소비자 행동과 반응만을 보고 광고효과를 평가할 수도 없습니다. 전체적인 광고전략을 수립하는 가운데 인터넷과 휴대폰 활용이 어떻게 광고의 목표달성에 기여하는가에 대한 관점을 기반으로 하여, 인터넷광고를 ‘특별’하게 생각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어떤 발상을 하면 되는가 하는 것이 바로 이 책의 기본 주제다.
-머리말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