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국가수문관측망 구축 1차년도 연구 / 국토해양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과천] : 국토해양부, 2009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형태사항
xxxi, 735 p. : 삽화, 도표 ; 30 cm
제어번호
MONO1201109468
주기사항
[연구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총괄책임자: 정성원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목차

1. 서론 33

1.1. 과업의 추진배경 및 필요성 35

1.2. 과업의 목적 36

1.3. 과업의 범위와 내용 37

1.4. 과업의 추진 전략 39

2. 국가수위관측망의 구축 41

2.1. 국가수위관측망의 개요 43

2.1.1. 국가수위관측망의 정의와 구축 범위 43

2.1.2. 국가수위관측망의 목적 44

2.2. 국내외 수문관측망 구축기법 46

2.2.1. 국내 국가유량측정망 구축기법 47

2.2.2. 일본의 수문관측망 구축기법 49

2.2.3. WMO(세계기상기구) 50

2.2.4. USGS(미국지질조사국) 63

2.3. 국가수위관측망 구축방법 72

2.4. 국내 기관별 수위관측 현황 74

2.5. 기관별 중장기 계획 조사 77

2.5.1. 기관별 중장기 계획 조사 77

2.5.2. 「4대강 살리기 사업」 연계 검토 80

2.6. 기존 관측망의 검토 85

2.7. 현장조사 87

2.7.1. 현장조사 대상 및 방법 87

2.8. 국가수위관측망의 도상구축 90

2.8.1. 총괄 90

2.8.2. 한강 권역[내용누락;p.134] 92

2.8.3. 낙동강 권역 168

2.8.4. 금강 권역 243

2.8.5. 섬진강 권역 294

2.8.6. 영산강 권역 316

2.9. 국가수위관측망 개선 및 최적화 계획수립(1차년도) 337

2.9.1. 관측소 중복 개념과 처리방안 337

2.9.2. 신설, 보조관측소 신설 및 폐쇄 권고(안) 판단방법 339

2.9.3. 한강 권역 신설, 보조관측소 신설 및 폐쇄 권고(안) 340

2.9.4. 낙동강 권역 신설, 보조관측소 신설 및 폐쇄 권고(안) 346

2.9.5. 금강 권역 신설, 보조관측소 신설 및 폐쇄 권고(안) 352

2.9.6. 영산·섬진강 권역 신설, 보조관측소 신설 및 폐쇄 권고(안) 355

3. 자동유량측정시설 관측망의 구축 359

3.1. 자동유량측정시설의 개요 361

3.1.1. 자동유량측정시설의 소개 361

3.1.2. 자동유량측정시설 관측망 구축의 필요성 362

3.1.3. 자동유량측정시설의 원리 및 구성 363

3.2. 관련 계획 및 기존 설치현황 369

3.2.1. 개요 369

3.2.2. 관련 계획의 검토 369

3.3. 자동유량측정시설 관측망 구축방법 376

3.3.1. 기본방향 376

3.3.2. 자동유량측정시설 관측망 대상지점 선정 377

3.4. 자동유량측정시설 관측망 구축 결과 382

3.4.1. 자동유량측정시설 대상지점 선정결과 382

3.4.2. 자동유량측정시설 관측망 도상구축 383

4.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393

4.1.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의 필요성 395

4.2. 국내외 유사량관측 사례조사 396

4.2.1. 국내 유사량 관측 현황 396

4.2.2. 국토해양부 사례 410

4.2.3. 한국수자원공사 411

4.2.4. 일본 사례 412

4.3. 국내외 유사량관측망 구축기법 조사 413

4.3.1. WMO 기준 413

4.3.2. 국토해양부 414

4.4. 유사량관측망 구축 방법과 기준 416

4.4.1. 구축 방법 416

4.4.2. 관측망 구축 기준 418

4.5. 유사량 관측망 도상 구축 422

4.5.1. 개요 422

4.5.2. 한강 권역 423

4.5.3. 낙동강 권역 510

4.5.4. 금강 권역 591

4.5.5. 섬진강 권역 642

4.5.6. 영산강 권역 667

4.5.7. 관측망 도상 구축 결과 총괄 693

5. 국가토양수분·증발산량 관측망 구축 709

5.1. 국내외 관측현황 및 사례조사 711

5.2. 국내외 토양수분·증발산량 관측망 구축기법 조사 713

5.2.1. WMO 토양수분·증발산량 관측소 배치기준 713

5.2.2. 수문조사선진화 5개년 계획 714

5.3. 토양수분·증발산량 관측방법 조사 715

5.3.1. 토양수분량 관측방법 716

5.3.2. 증발산량 관측방법 718

5.4. 국가토양수분·증발산량 관측망 구축방법 722

5.5. 국가토양수분·증발산량 관측망 도상구축 725

5.5.1. 격자 기반 구축 725

5.5.2. 격자 해상도 결정 738

5.5.3. 격자 기호화 741

5.6. 국가토양수분·증발산량 관측망 구축 750

5.6.1. 중첩 기준 및 중첩 분석 750

5.6.2. 구축된 관측망의 결과 분석 754

6. 결론 및 향후과제 763

참고문헌 766

표 2.2.1. 국내외 수문관측망 구축기법 46

표 2.2.2. 우리나라 유량측정 필요 지점 수 산정 47

표 2.2.3. 수위관측소의 배치관련 수문조사 기준 50

표 2.2.4. WMO(1994) 수위, 유량 관측 최소밀도 권고사항 62

표 2.2.5. 미지질조사국의 수문관측소 평가지표(Wahl과 Crippen, 1984) 67

표 2.2.6. 정부의 관심이 필요한 관측망 기준 70

표 2.4.1. 국내 기관별 수위관측소 현황 74

표 2.4.2. 국가유량측정망 구축 현황 75

표 2.4.3. 국가유량측정망 필요지점 현황 75

표 2.4.4. 환경부 수위관측소 현황(2009년 12월 기준) 76

표 2.5.1. 수문조사시설 현황조사표 양식 77

표 2.5.2. 수문조사시설 신설계획 조사표 77

표 2.5.3. 수문조사시설 현황조사표 양식 77

표 2.5.4. 지자체 수위관측소 현황(2008년 12월 소방방재청 집계자료) 79

표 2.5.5. 환경부 수문조사 시설 신설계획 79

표 2.5.6. 「4대강 살리기」 공사 구간 내 수문조사 시설 현황(2009.12) 80

표 2.5.7. 수위관측소 이설, 보강 검토 총괄 현황(2009.12) 81

표 2.5.8. 지점별 수위관측소 이설, 보강 검토 결과(2009.12) 82

표 2.6.1. 기존 관측소의 목적 판단 기준 85

표 2.6.2. 기존 수위관측소의 수문학적, 사회·경제적 중요성 검토기준 86

표 2.7.1. 현장조사결과 정리표 양식 89

표 2.8.1. 국가수위관측망(안) 도상구축 현황 91

표 2.8.2. 도상 조사와 현장 조사를 통한 국가수위관측망 운영지점(한강권역) 92

표 2.8.3. 도상조사 대상지점 중 국가수위관측망(안)에서 제외된 지점 93

표 2.8.4. 수자원단위지도 한강수계 중권역 현황표 97

표 2.8.5. 1001 중권역 대상지점 98

표 2.8.6. 1002 중권역 대상지점 101

표 2.8.7. 1003 중권역 대상지점 104

표 2.8.8. 1004 중권역 대상지점 107

표 2.8.9. 1005 중권역 대상지점 110

표 2.8.10. 1006 중권역 대상지점 113

표 2.8.11. 1007 중권역 대상지점 116

표 2.8.12. 1010 중권역 대상지점 119

표 2.8.13. 1011 중권역 대상지점 122

표 2.8.14. 1012 중권역 대상지점 125

표 2.8.15. 1013 중권역 대상지점 128

표 2.8.16. 1014 중권역 대상지점 131

표 2.8.17. 1015 중권역 대상지점 134

표 2.8.18. 1016, 1017 중권역 대상지점 137

표 2.8.19. 1017 중권역 대상지점 140

표 2.8.20. 1018 중권역 대상지점 143

표 2.8.21. 1019 중권역 대상지점 148

표 2.8.22. 1021 중권역 대상지점 151

표 2.8.23. 1022 중권역 대상지점 154

표 2.8.24. 1023 중권역 대상지점 157

표 2.8.25. 1101 중권역 대상지점 160

표 2.8.26. 1201 중권역 대상지점 163

표 2.8.27. 1301, 1302, 1303 중권역 대상지점[내용누락;p.134] 166

표 2.8.28. 도상 조사와 현장 조사를 통한 국가수위관측망 운영지점(낙동강권역) 169

표 2.8.29. 도상조사 대상지점 중 국가수위관측망(안)에서 제외된 지점 170

표 2.8.30. 수자원단위지도 낙동강, 서낙동강 수계 중권역 현황표 176

표 2.8.31. 2001 중권역 대상지점 179

표 2.8.32. 2002 중권역 대상지점 182

표 2.8.33. 2003 중권역 대상지점 185

표 2.8.34. 2004 중권역 대상지점 188

표 2.8.35. 2005 중권역 대상지점 191

표 2.8.36. 2006, 2007, 2009 중권역 대상지점 194

표 2.8.37. 2008 중권역 대상지점 197

표 2.8.38. 2010 중권역 대상지점 200

표 2.8.39. 2011 중권역 대상지점 203

표 2.8.40. 2012 중권역 대상지점 206

표 2.8.41. 2013, 2014 중권역 대상지점 209

표 2.8.42. 2015, 2016, 2017 중권역 대상지점 212

표 2.8.43. 2018 중권역 대상지점 215

표 2.8.44. 2019 중권역 대상지점 218

표 2.8.45. 2020, 2022 중권역 대상지점 221

표 2.8.46. 2021 중권역 대상지점 225

표 2.8.47. 수자원단위지도 형산강 수계 중권역 현황표 227

표 2.8.48. 2101 중권역 대상지점 229

표 2.8.49. 수자원단위지도 태화강수계 중권역 현황표 231

표 2.8.50. 2201 중권역 대상지점 233

표 2.8.51. 수자원단위지도 회야강수계 중권역 현황표 235

표 2.8.52. 2301, 2302 중권역 대상지점 237

표 2.8.53. 수자원단위지도 낙동강동해 수계 중권역 현황표 239

표 2.8.54. 2401, 2402, 2403 중권역 대상지점 241

표 2.8.55. 도상 조사와 현장 조사를 통한 국가수위관측망 운영지점(금강권역) 243

표 2.8.56. 도상조사 대상지점 중 국가수위관측망(안)에서 제외된 지점 244

표 2.8.57. 수자원단위지도 금강수계 중권역 현황표 249

표 2.8.58. 3001 중권역 대상지점 251

표 2.8.59. 3002, 3003, 3004 중권역 대상지점 254

표 2.8.60. 3005 중권역 대상지점 258

표 2.8.61. 3006, 3007, 3008 중권역 대상지점 261

표 2.8.62. 3009, 3010 중권역 대상지점 265

표 2.8.63. 3011 중권역 대상지점 269

표 2.8.64. 3012 중권역 대상지점 273

표 2.8.65. 3013, 3014 중권역 대상지점 277

표 2.8.66. 수자원단위지도 삽교천수계 중권역 현황표 279

표 2.8.67. 3101 중권역 대상지점 281

표 2.8.68. 수자원단위지도 금강서해수계 중권역 현황표 284

표 2.8.69. 3201 중권역 대상지점 286

표 2.8.70. 수자원단위지도 만경·동진강수계 중권역 현황표 288

표 2.8.71. 3301 중권역 대상지점 289

표 2.8.72. 3302 중권역 대상지점 292

표 2.8.73. 도상 조사와 현장 조사를 통한 국가수위관측망 운영지점(섬진강권역) 294

표 2.8.74. 도상조사 대상지점 중 국가수위관측망(안)에서 제외된 지점 295

표 2.8.75. 수자원단위지도 섬진강수계 중권역 현황표 297

표 2.8.76. 4001, 4002 중권역 대상지점 299

표 2.8.77. 4003, 4004 중권역 대상지점 302

표 2.8.78. 4005, 4006 중권역 대상지점 305

표 2.8.79. 4007, 4008 중권역 대상지점 308

표 2.8.80. 4009 중권역 대상지점 311

표 2.8.81. 수자원단위지도 섬진강수계 중권역 현황표 313

표 2.8.82. 4104, 4105 중권역 대상지점 314

표 2.8.83. 도상 조사와 현장 조사를 통한 국가수위관측망 운영지점(영산강권역) 316

표 2.8.84. 도상조사 대상지점 중 국가수위관측망(안)에서 제외된 지점 317

표 2.8.85. 수자원단위지도 영산강 수계 중권역 현황표 319

표 2.8.86. 5001 중권역 대상지점 320

표 2.8.87. 5002 중권역 대상지점 323

표 2.8.88. 5003, 5004 중권역 대상지점 326

표 2.8.89. 5005, 5006, 5007, 5008 중권역 대상지점 329

표 2.8.90. 수자원단위지도 영산강 수계 중권역 현황표 331

표 2.8.91. 5001 중권역 대상지점 332

표 2.8.92. 수자원단위지도 영산강 수계 중권역 현황표 334

표 2.8.93. 5101 중권역 대상지점 335

표 2.9.1. 관측소 중복과 이중화 개념 337

표 2.9.2. 한강권역 신설, 보조관측소 신설 및 폐쇄권고(안) 340

표 2.9.3. 한강권역 신설권고(안) 지점 341

표 2.9.4. 한강권역 보조관측소 신설권고(안) 지점 345

표 2.9.5. 한강권역 폐쇄권고(안) 지점 346

표 2.9.6. 낙동강권역 신설, 보조관측소 신설 및 폐쇄권고(안) 347

표 2.9.7. 낙동강권역 신설권고(안)지점 348

표 2.9.7. 낙동강권역 신설권고(안) 지점(계속) 349

표 2.9.7. 낙동강권역 신설권고(안) 지점(계속) 350

표 2.9.8. 낙동강권역 보조관측소 신설권고(안) 지점 351

표 2.9.9. 낙동강권역 폐쇄권고(안) 지점 352

표 2.9.10. 금강권역 신설, 보조관측소 신설 및 폐쇄권고(안) 352

표 2.9.11. 금강권역 신설권고(안) 지점 353

표 2.9.12. 금강권역 보조관측소 신설권고(안) 지점 354

표 2.9.13. 영산강권역 신설, 보조관측소 신설 및 폐쇄권고(안) 355

표 2.9.14. 영산강권역 신설권고(안) 지점 356

표 2.9.15. 영산강권역 보조관측소 신설권고(안) 지점 356

표 2.9.16. 영산강권역 보조관측소 폐쇄권고(안) 지점 357

표 3.2.1. 수문조사선진화 5개년 계획상의 자동유량측정시설 설치계획 370

표 3.2.2. 유량측정방법에 따른 Type 분류(국가유량측정망구축사업보고서, 2006) 371

표 3.2.3. 관련사업 검토결과 371

표 3.2.4. 자동유량측정시설 설치현황 372

표 3.2.5. 자동유량측정시설 기존 설치지점 현황 373

표 3.2.6. 자동유량측정시설 대상지점 선정결과 374

표 3.2.7. 「4대강 살리기」 사업 자동유량측정시설 설치계획 선정지점 375

표 3.3.1. 자동유량측정시설 관측망 검토 대상지점 378

표 3.3.2. 자동유량측정시설 대상지점 우선순위 선정 378

표 3.3.3. 대상지점 우선순위 검토결과 379

표 3.4.1. 자동유량측정시설 관측망 구축결과 382

표 3.4.2. 자동유량측정시설 설치목적별 분류 383

표 4.2.1. 권역별 유사량 측정 현황 398

표 4.2.2. 국토해양부 유사량 측정 현황 410

표 4.2.3. 한국수자원공사 유사량 측정 현황 411

표 4.3.1. WMO 관측소 배치 기준 413

표 4.3.2. 수문조사선진화 5개년 계획 유사량관측망(한강 권역) 414

표 4.3.3. 수문조사선진화 5개년 계획 유사량관측망(낙동강 권역) 415

표 4.3.4. 수문조사선진화 5개년 계획 유사량관측망(금강 및 영산강 권역) 415

표 4.4.1. 도상 구축 평가지표(예제) 419

표 4.4.2. 관측망 구축 평가지표 421

표 4.5.1.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1001 중권역) 424

표 4.5.2. 현장조사 반영 결과(1001 중권역) 426

표 4.5.3.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1001 중권역) 428

표 4.5.4.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1002 중권역) 428

표 4.5.5. 현장조사 반영 결과(1002 중권역) 430

표 4.5.6.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1002 중권역) 432

표 4.5.7.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1003 중권역) 432

표 4.5.8. 현장조사 반영 결과(1003 중권역) 434

표 4.5.9.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1003 중권역) 436

표 4.5.10.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1004 중권역) 437

표 4.5.11. 현장조사 반영 결과(1004 중권역) 439

표 4.5.12.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1004 중권역) 441

표 4.5.13.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1005 중권역) 441

표 4.5.14. 현장조사 반영 결과(1005 중권역) 443

표 4.5.15.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1005 중권역) 445

표 4.5.16.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1006 중권역) 445

표 4.5.17. 현장조사 반영 결과(1006 중권역) 447

표 4.5.18.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1006 중권역) 449

표 4.5.19.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1007 중권역) 449

표 4.5.20. 현장조사 반영 결과(1007 중권역) 451

표 4.5.21.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1007 중권역) 453

표 4.5.22.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1009 중권역) 454

표 4.5.23. 현장조사 반영 결과(1009 중권역) 456

표 4.5.24.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1009 중권역) 458

표 4.5.25.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1011 중권역) 458

표 4.5.26. 현장조사 반영 결과(1011 중권역) 460

표 4.5.27.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1011 중권역) 462

표 4.5.28.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1012 중권역) 462

표 4.5.29. 현장조사 반영 결과(1012 중권역) 464

표 4.5.30.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1012 중권역) 466

표 4.5.31.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1013 중권역) 466

표 4.5.32. 현장조사 반영 결과(1013 중권역) 468

표 4.5.33.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1013 중권역) 470

표 4.5.34.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1014 중권역) 470

표 4.5.35. 현장조사 반영 결과(1014 중권역) 472

표 4.5.36.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1014 중권역) 474

표 4.5.37.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1016 중권역) 475

표 4.5.38. 현장조사 반영 결과(1016 중권역) 477

표 4.5.39.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1016 중권역) 479

표 4.5.40.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1018 중권역) 479

표 4.5.41. 현장조사 반영 결과(1018 중권역) 481

표 4.5.42.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1018 중권역) 483

표 4.5.43.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1019 중권역) 483

표 4.5.44. 현장조사 반영 결과(1019 중권역) 485

표 4.5.45.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1019 중권역) 487

표 4.5.46.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1021 중권역) 488

표 4.5.47. 현장조사 반영 결과(1021 중권역) 490

표 4.5.48.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1021 중권역) 492

표 4.5.49.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1022 중권역) 492

표 4.5.50. 현장조사 반영 결과(1022 중권역) 494

표 4.5.51.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1022 중권역) 496

표 4.5.52.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lO23 중권역) 496

표 4.5.53. 현장조사 반영 결과(1023 중권역) 498

표 4.5.54.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1023 중권역) 500

표 4.5.55.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1101 중권역) 501

표 4.5.56. 현장조사 반영 결과(1011 중권역) 503

표 4.5.57.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1101 중권역) 505

표 4.5.58.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한강동해) 505

표 4.5.59. 현장조사 반영 결과(한강동해) 507

표 4.5.60.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한강동해) 509

표 4.5.61.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2001 중권역) 511

표 4.5.62. 현장조사 반영 결과(2001 중권역) 513

표 4.5.63.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2001 중권역) 515

표 4.5.64.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2002 중권역) 515

표 4.5.65. 현장조사 반영 결과(2002 중권역) 517

표 4.5.66.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2002 중권역) 519

표 4.5.67. 중권역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2003 중권역) 519

표 4.5.68. 현장조사 반영 결과(2003 중권역) 521

표 4.5.69.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2003 중권역) 523

표 4.5.70.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2004 중권역) 523

표 4.5.71. 현장조사 반영 결과(2004 중권역) 525

표 4.5.72.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2004 중권역) 527

표 4.5.73.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2005) 528

표 4.5.74. 현장조사 반영 결과(2005 중권역) 530

표 4.5.75.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2005 중권역) 532

표 4.5.76. 목적별 도상 규축 결과(2006, 2007, 2009 중권역) 533

표 4.5.77. 현장조사 반영 결과(2006, 2007, 2009 중권역) 535

표 4.5.78.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2006, 2007, 2009 중권역) 537

표 4.5.79. 낙동강 수계 중권역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2008 중권역) 537

표 4.5.80. 현장조사 반영 결과(2008 중권역) 539

표 4.5.81.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2008 중권역) 541

표 4.5.82.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2010 중권역) 541

표 4.5.83. 현장조사 반영 결과(2010 중권역) 543

표 4.5.84.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2010 중권역) 545

표 4.5.85. 낙동강 수계 중권역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2011 중권역) 545

표 4.5.86. 현장조사 반영 결과(2011 중권역) 547

표 4.5.87.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2011 중권역) 549

표 4.5.88. 목적별 도상구축 결과(2012 중권역) 549

표 4.5.89. 현장조사 반영 결과(2012 중권역) 551

표 4.5.90.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2012 중권역) 553

표 4.5.91. 목적별 도상구축 결과(2013, 2014 중권역) 554

표 4.5.92. 현장조사 반영 결과(2013, 2014 중권역) 556

표 4.5.93.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2013, 2014 중권역) 558

표 4.5.94. 목적별 도상구축 결과(2015, 2016, 2017 중권역) 559

표 4.5.95. 현장조사 반영 결과(2015, 2016, 2017 중권역) 561

표 4.5.96.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2015, 2016, 2017) 563

표 4.5.97. 낙동강 수계 중권역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2018 중권역) 563

표 4.5.98. 현장조사 반영 결과(2018 중권역) 565

표 4.5.99.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2018 중권역) 567

표 4.5.100. 목적별 도상구축 결과(2019 중권역) 567

표 4.5.101. 현장조사 반영 결과(2019 중권역) 569

표 4.5.102.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2019 중권역) 571

표 4.5.103. 낙동강 수계 중권역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2020, 2022 중권역) 572

표 4.5.104. 현장조사 반영 결과(2020, 2022 중권역) 574

표 4.5.105.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2020, 2022 중권역) 576

표 4.5.106. 낙동강 수계 중권역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2021 중권역) 576

표 4.5.107. 현장조사 반영 결과(2021 중권역) 578

표 4.5.108.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2021 중권역) 580

표 4.5.109.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2101 중권역) 581

표 4.5.110. 현장조사 반영 결과(2010 중권역) 583

표 4.5.111.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2101 중권역) 585

표 4.5.112.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2201 중권역) 586

표 4.5.113. 현장조사 반영 결과(2201 중권역) 588

표 4.5.114.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2201 중권역) 590

표 4.5.115.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3001 중권역) 591

표 4.5.116. 현장조사 반영 결과(3001 중권역) 593

표 4.5.117.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3001 중권역) 595

표 4.5.118.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3002, 3003, 3004 중권역) 596

표 4.5.119. 현장조사 반영 결과(3002, 3003, 3004 중권역) 598

표 4.5.120.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3002, 3003, 3004 중권역) 600

표 4.5.121.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3005 중권역) 600

표 4.5.122. 현장조사 반영 결과(3005 중권역) 602

표 4.5.123.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3005 중권역) 604

표 4.5.124.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3006, 3007, 3008 중권역) 604

표 4.5.125. 현장조사 반영 결과(3006, 3007, 3008 중권역) 606

표 4.5.126.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3006, 3007, 3008 중권역) 608

표 4.5.127.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3009, 3010 중권역) 608

표 4.5.128. 현장조사 반영 결과(3009, 3010 중권역) 610

표 4.5.129.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3009, 3010 중권역) 612

표 4.5.130.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3011 중권역) 613

표 4.5.131. 현장조사 반영 결과(3011 중권역) 615

표 4.5.132.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3011 중권역) 617

표 4.5.133.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3012 중권역) 618

표 4.5.134. 현장조사 반영 결과(3012 중권역) 620

표 4.5.135.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3012 중권역) 622

표 4.5.136.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3013, 3014 중권역) 623

표 4.5.137. 현장조사 반영 결과(3013, 3014 중권역) 625

표 4.5.138.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3013, 3014 중권역) 627

표 4.5.139. 수자원단위지도 삽교천수계 중권역 현황표 627

표 4.5.140.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3101 중권역) 628

표 4.5.141. 현장조사 반영 결과(3101 중권역) 630

표 4.5.142.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3101 중권역) 632

표 4.5.143. 수자원단위지도 만경·동진강수계 중권역 현황표 632

표 4.5.144.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3301 중권역) 633

표 4.5.145. 현장조사 반영 결과(3301 중권역) 635

표 4.5.146.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3301 중권역) 637

표 4.5.147.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3302 중권역) 637

표 4.5.148. 현장조사 반영 결과(3302 중권역) 639

표 4.5.149.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3302 중권역) 641

표 4.5.150. 수자원단위지도 섬진강수계 중권역 현황표 643

표 4.5.151.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4001, 4002 중권역) 644

표 4.5.152. 현장조사 반영 결과(4001, 4002 중권역) 646

표 4.5.153.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4001, 4002 중권역) 648

표 4.5.154.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4003, 4004 중권역) 649

표 4.5.155. 현장조사 반영 결과(4003, 4004 중권역) 651

표 4.5.156.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4003, 4004 중권역) 653

표 4.5.157.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4005, 4006 중권역) 654

표 4.5.158. 현장조사 반영 결과(4005, 4006 중권역) 656

표 4.5.159.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4005, 4006 중권역) 658

표 4.5.160.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4007, 4008 중권역) 658

표 4.5.161. 현장조사 반영 결과(4007, 4008 중권역) 660

표 4.5.162.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펀(4007, 4008 중권역) 662

표 4.5.163.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4009 중권역) 662

표 4.5.164. 현장조사 반영 결과(4009 중권역) 664

표 4.5.165.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4009 중권역) 666

표 4.5.166. 수자원단위지도 영산강 수계 중권역 현황표 668

표 4.5.167.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5001 중권역) 669

표 4.5.168. 현장조사 반영 결과(5001 중권역) 671

표 4.5.169.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5001 중권역) 673

표 4.5.170.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5002 중권역) 673

표 4.5.171. 현장조사 반영 결과(5002 중권역) 675

표 4.5.172.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5002 중권역) 677

표 4.5.173.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5003, 5004 중권역) 678

표 4.5.174. 현장조사 반영 결과(5003, 5004 중권역) 680

표 4.5.175.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5003, 5004 중권역) 682

표 4.5.176.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5005, 5006, 5007, 5008 중권역) 683

표 4.5.177. 현장조사 반영 결과(5005, 5006, 5007, 5008 중권역) 685

표 4.5.178.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5005, 5006, 5007, 5008 중권역) 687

표 4.5.179. 수자원단위지도 영산강 수계 중권역 현황표 687

표 4.5.180.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5101 중권역) 688

표 4.5.181. 현장조사 반영 결과(5101 중권역) 690

표 4.5.182.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5101 중권역) 692

표 4.5.183.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 693

표 4.5.184. 한강 권역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 694

표 4.5.185. 낙동강 권역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 696

표 4.5.186. 금강 권역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 700

표 4.5.187. 섬진강(영산강) 권역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 704

표 4.5.188. 영산강 권역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 706

표 5.1.1. 국내 증발 및 증발산량 관측 현황 712

표 5.1.2. 국내 토양수분량 관측 현황 713

표 5.2.1. WMO 토양수분·증발산량 관측소 배치 기준(WMO, 1984) 714

표 5.2.2. 토양수분·증발산량 관측망(수문조사선진화5개년 계획) 715

표 5.3.1. 토양수분량 관측방법 716

표 5.3.2. 증발산량 관측방법 719

표 5.5.1. 우리나라 표고분포도 현황 727

표 5.5.2. 우리나라 유효토심도 현황 730

표 5.5.3. 우리나라 수관밀도 현황 732

표 5.5.4. 우리나라 토지피복분류도 현황 733

표 5.6.1. 중첩분석 기준 및 방법(토양수분량) 751

표 5.6.2. 중첩분석 기준 및 방법(증발산량) 753

표 5.6.3. 토양수분량 관측망 구축 결과 755

표 5.6.4. 증발산량 관측망 구축 결과 758

그림 1.1.1. 과업의 추진배경 및 필요성 36

그림 1.2.1. 과업의 목적 36

그림 1.3.1. 과업내용 39

그림 1.4.1. 과업추진전략 40

그림 2.2.1. 수문관측망 설계의 기본 구성도(WMO, 1994) 52

그림 2.2.2. 수문관측망 설계의 기본 구성도(WMO, 1994) 59

그림 2.2.3. 1996년 국가기상서비스의 홍수 예보지점 관측소의 연도별 가동 백분율 65

그림 2.3.1. 국가수위관측망 구축과정 73

그림 2.8.1. 한강수계 국가수위관측망(안) 대상지점 현황도 95

그림 2.8.2. 1001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 99

그림 2.8.3. 1002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 102

그림 2.8.4. 1003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 105

그림 2.8.5. 1004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 108

그림 2.8.6. 1005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 111

그림 2.8.7. 1006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 114

그림 2.8.8. 1007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 117

그림 2.8.9. 1010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 120

그림 2.8.10. 1011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 123

그림 2.8.11. 1012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 126

그림 2.8.12. 1013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 129

그림 2.8.13. 1014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 132

그림 2.8.14. 1015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 135

그림 2.8.15. 1016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 138

그림 2.8.16. 1017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 141

그림 2.8.17. 1018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 (왕숙천, 탄천,안양천,중랑천) 145

그림 2.8.18. 1019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 149

그림 2.8.19. 1021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 152

그림 2.8.20. 1022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 155

그림 2.8.21. 1023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 158

그림 2.8.22. 1101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 161

그림 2.8.23. 1201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 164

그림 2.8.24. 1301, 1302, 1303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 167

그림 2.8.25. 낙동강 수계 국가수위관측망(안) 대상지점 현황도 172

그림 2.8.26. 형산강(상) 및 태화강(하) 수계 국가수위관측망(안) 대상지점 현황도 173

그림 2.8.27. 회야·수영 수계 국가수위관측망(안) 대상지점 현황도 174

그림 2.8.28. 낙동강동해 수계 국가수위관측망(안) 대상지점 현황도 175

그림 2.8.29. 2001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도 180

그림 2.8.30. 2002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도 183

그림 2.8.31. 2003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도 186

그림 2.8.32. 2004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도 189

그림 2.8.33. 2005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도 192

그림 2.8.34. 2006, 2007, 2009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도 195

그림 2.8.35. 2008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도 198

그림 2.8.36. 2010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도 201

그림 2.8.37. 2011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도 204

그림 2.8.38. 2012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도 207

그림 2.8.39. 2013, 2014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도 210

그림 2.8.40. 2015, 2016, 2017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도 213

그림 2.8.41. 2018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도 216

그림 2.8.42. 2019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도 219

그림 2.8.43. 2020, 2022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도 223

그림 2.8.44. 2021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도 226

그림 2.8.45. 2101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도 230

그림 2.8.46. 2201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도 234

그림 2.8.47. 2301, 2302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도 238

그림 2.8.48. 2401, 2402, 2403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도 242

그림 2.8.49. 금강수계 국가수위관측망(안) 대상지점 현황도 245

그림 2.8.50. 삽교천수계 국가수위관측망(안) 대상지점 현황도 246

그림 2.8.51. 금강서해수계 국가수위관측망(안) 대상지점 현황도 247

그림 2.8.52. 금강서해수계 국가수위관측망(안) 대상지점 현황도 247

그림 2.8.53. 3001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도 252

그림 2.8.54. 3002, 3003, 3004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도 256

그림 2.8.55. 3005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도 259

그림 2.8.56. 3006, 3007, 3008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도 263

그림 2.8.57. 3009, 3010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도 267

그림 2.8.58. 3011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도 271

그림 2.8.59. 3012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도 275

그림 2.8.60. 3013, 3014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도 278

그림 2.8.61. 3101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도 283

그림 2.8.62. 3201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도 287

그림 2.8.63. 3301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도 290

그림 2.8.64. 3302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도 293

그림 2.8.65. 섬진강수계 국가수위관측망(안) 대상지점 현황도 296

그림 2.8.66. 4001, 4002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도 300

그림 2.8.67. 4003, 4004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도 303

그림 2.8.68. 4005, 4006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도 306

그림 2.8.69. 4007, 4008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도 309

그림 2.8.70. 4009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도 312

그림 2.8.71. 4104, 4105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도 315

그림 2.8.72. 영산권 권역 국가수위관측망(안) 대상지점 현황도 318

그림 2.8.73. 5001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도 321

그림 2.8.74. 5002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도 324

그림 2.8.75. 5003, 5004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도 327

그림 2.8.76. 5005, 5006, 5007, 5008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도 330

그림 2.8.77. 5301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도 333

그림 2.8.78. 5101 중권역 대상지점 현황도 336

그림 2.9.1. 중복과 이중화 판단 과정 338

그림 2.9.2. 신설, 보조관측소 신설 및 폐쇄 권고(안) 판단과정 339

그림 3.1.1. 자동유량측정시설의 개념도 361

그림 3.1.2. ADVM 초음파 센서 364

그림 3.1.3. 수평 성분의 유속 분포 측정 364

그림 3.1.4. UVM의 유속측정원리 및 현장설치도 365

그림 3.1.5. ADVM 방식 자동유량측정시스템 기본 구성 367

그림 3.1.6. UVM 시스템 구성 개요도 368

그림 3.2.1. 국가수문관측망의 개념적 범위내에서의 자동유량측정시설 369

그림 3.3.1. 자동유량측정시설 관측망 구축 방법 377

그림 3.4.1. 한강 권역 자동유량측정시설 관측망 도상구축(한강, 임진강) 384

그림 3.4.2. 한강 권역 자동유량측정시설 관측망 도상구축 (안성천, 한강동해) 384

그림 3.4.3. 낙동강 권역 자동유량측정시설 관측망 도상구축 385

그림 3.4.4. 낙동강 권역 자동유량측정시설 관측망 도상구축 (형산강, 회야강 및 수영강) 386

그림 3.4.5. 낙동강 권역 자동유량측정시설 관측망 도상구축 (태화강) 386

그림 3.4.6. 금강 권역 자동유량측정시설 관측망 도상구축(금강, 삽교천) 387

그림 3.4.7. 금강 권역 자동유량측정시설 관측망 도상구축(동진강, 만경강) 388

그림 3.4.8. 섬진강 권역 자동유량측정시설 관측망 도상구축 389

그림 3.4.9. 섬진강 권역 자동유량측정시설 관측망 도상구축(섬진강 남해) 390

그림 3.4.10. 영산강권역 자동유량측정시설 관측망 도상구축(영산강) 391

그림 3.4.11. 영산강권역 자동유량측정시설 관측망 도상구축(영산강서해, 탐진강) 392

그림 4.2.1. 유사량 측정 현황 399

그림 4.2.2. 하천 유사량의 특성(한강 권역) 401

그림 4.2.3. 하천 유사량의 특성(낙동강 권역) 403

그림 4.2.4. 하천 유사량의 특성(금강 권역) 405

그림 4.2.5. 하천 유사량의 특성(섬진강 권역) 407

그림 4.2.6. 하천 유사량의 특성(영산강 권역) 409

그림 4.4.1.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방법 418

그림 4.4.2.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방법 421

그림 4.5.1.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1001 중권역) 425

그림 4.5.2. 현장조사 반영 결과(1001 중권역) 427

그림 4.5.3.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1002 중권역) 429

그림 4.5.4. 현장조사 반영 결과(1002 중권역) 431

그림 4.5.5.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1003 중권역) 433

그림 4.5.6. 현장조사 반영 결과(1003 중권역) 435

그림 4.5.7.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1004 중권역) 438

그림 4.5.8. 현장조사 반영 결과(1004 중권역) 440

그림 4.5.9.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1005 중권역) 442

그림 4.5.10. 현장조사 반영 결과(1005 중권역) 444

그림 4.5.11.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1006 중권역) 446

그림 4.5.12. 현장조사 반영 결과(1006 중권역) 448

그림 4.5.13.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1007 중권역) 450

그림 4.5.14. 현장조사 반영 결과(1007 중권역) 452

그림 4.5.15.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1009 중권역) 455

그림 4.5.16. 현장조사 반영 결과(1009 중권역) 457

그림 4.5.17.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1011 중권역) 459

그림 4.5.18. 현장조사 반영 결과(1011 중권역) 461

그림 4.5.19.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1012 중권역) 463

그림 4.5.20. 현장조사 반영 결과(1012 중권역) 465

그림 4.5.21.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1013 중권역) 467

그림 4.5.22. 현장조사 반영 결과(1013 중권역) 469

그림 4.5.23.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1014 중권역) 471

그림 4.5.24. 현장조사 반영 결과(1014 중권역) 473

그림 4.5.25.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1016 중권역) 476

그림 4.5.26. 현장조사 반영 결과(1016 중권역) 478

그림 4.5.27.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1018 중권역) 480

그림 4.5.28. 현장조사 반영 결과(1018 중권역) 482

그림 4.5.29.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1019 중권역) 484

그림 4.5.30. 현장조사 반영 결과(1019 중권역) 486

그림 4.5.31.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1021 중권역) 489

그림 4.5.32. 현장조사 반영 결과(1021 중권역) 491

그림 4.5.33.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1022 중권역) 493

그림 4.5.34. 현장조사 반영 결과(1022 중권역) 495

그림 4.5.35.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1023 중권역) 497

그림 4.5.36. 현장조사 반영 결과(1023 중권역) 499

그림 4.5.37.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1101 중권역) 502

그림 4.5.38. 현장조사 반영 결과(1101 중권역) 504

그림 4.5.39.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한강동해) 506

그림 4.5.40. 현장조사 반영 결과(한강동해) 508

그림 4.5.41.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2001 중권역) 512

그림 4.5.42. 현장조사 반영 결과(2001 중권역) 514

그림 4.5.43.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2002 중권역) 516

그림 4.5.44. 현장조사 반영 결과(2002 중권역) 518

그림 4.5.45.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2003 중권역) 520

그림 4.5.46. 현장조사 반영 결과(2003 중권역) 522

그림 4.5.47.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2004 중권역) 524

그림 4.5.48. 현장조사 반영 결과(2004 중권역) 526

그림 4.5.49.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2005 중권역) 529

그림 4.5.50. 현장조사 반영 결과(2005 중권역) 531

그림 4.5.51.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2006, 2007, 2029 중권역) 534

그림 4.5.52. 현장조사 반영 결과(2006, 2007, 2009 중권역) 536

그림 4.5.53.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2008 중권역) 538

그림 4.5.54. 현장조사 반영 결과(2008 중권역) 540

그림 4.5.55.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2010 중권역) 542

그림 4.5.56. 현장조사 반영 결과(2010 중권역) 544

그림 4.5.57.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2011 중권역) 546

그림 4.5.58. 현장조사 반영 결과(2011 중권역) 548

그림 4.5.59.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2012 중권역) 550

그림 4.5.60. 현장조사 반영 결과(2012 중권역) 552

그림 4.5.61.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2013, 2014 중권역) 555

그림 4.5.62. 현장조사 반영 결과(2013, 2014 중권역) 557

그림 4.5.63.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2015, 2016, 2017 중권역) 560

그림 4.5.64. 현장조사 반영 결과(2015, 2016, 2017 중권역) 562

그림 4.5.65.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2018 중권역) 564

그림 4.5.66. 현장조사 반영 결과(2018 중권역) 566

그림 4.5.67.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2019 중권역) 568

그림 4.5.68. 현장조사 반영 결과(2019 중권역) 570

그림 4.5.69.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2020,2022 중권역) 573

그림 4.5.70. 현장조사 반영 결과(2020, 2022 중권역) 575

그림 4.5.71.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2021 중권역) 577

그림 4.5.72. 현장조사 반영 결과(2021 중권역) 579

그림 4.5.73.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2101 중권역) 582

그림 4.5.74. 현장조사 반영 결과(2101 중권역) 584

그림 4.5.75.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2201 중권역) 587

그림 4.5.76. 현장조사 반영 결과(2201 중권역) 589

그림 4.5.77. 목적별 도상구축 결과(3001 중권역) 592

그림 4.5.78. 현장조사 반영 결과(3001 중권역) 594

그림 4.5.79.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3002, 3003, 3004 중권역) 597

그림 4.5.80. 현장조사 반영 결과(300B, 3003, 3004 중권역) 599

그림 4.5.81. 목적별 도상구축 결과(3005 중권역) 601

그림 4.5.82. 현장조사 반영 결과(3005 중권역) 603

그림 4.5.83.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3006, 3007, 3008 중권역) 605

그림 4.5.84. 현장조사 반영 결과(3006, 3007, 3008 중권역) 607

그림 4.8.85.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3009, 3010 중권역) 609

그림 4.5.86. 현장조사 반영 결과(3009, 3010 중권역) 611

그림 4.5.87.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3011 중권역) 614

그림 4.5.88. 현장조사 반영 결과(3011 중권역) 616

그림 4.5.89.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3012 중권역) 619

그림 4.5.90. 현장조사 반영 결과(3012 중권역) 621

그림 4.5.91.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3013, 3014 중권역) 624

그림 4.5.92. 현장조사 반영 결과(3013, 3014 중권역) 626

그림 4.5.93.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3101 중권역) 629

그림 4.5.94 현장조사 반영 결과(3101 중권역) 631

그림 4.5.95.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3301 중권역) 634

그림 4.5.96. 현장조사 반영 결과(3301 중권역) 636

그림 4.5.97.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3302 중권역) 638

그림 4.5.98. 현장조사 반영 결과(3302 중권역) 640

그림 4.5.99.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4001, 4002 중권역) 645

그림 4.5.100. 현장조사 반영 결과(4001, 4002 중권역) 647

그림 4.5.101.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4003, 4004 중권역) 650

그림 4.5.102. 현장조사 반영 결과(4003, 4004 중권역) 652

그림 4.5.103.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4005, 4006 중권역) 655

그림 4.5.104. 현장조사 반영 결과(4005, 4006 중권역) 657

그림 4.5.105.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4007, 4008 중권역) 659

그림 4.5.106. 현장조사 반영 결과(4007, 4008 중권역) 661

그림 4.5.107.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4009 중권역) 663

그림 4.5.108. 현장조사 반영 결과(4009 중권역) 665

그림 4.5.109.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5001 중권역) 670

그림 4.5.110. 현장조사 반영 결과(5001 중권역) 672

그림 4.5.111.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5002 중권역) 674

그림 4.5.112. 현장조사 반영 결과(5002 중권역) 676

그림 4.5.113.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5003, 5004 중권역) 679

그림 4.5.114. 현장조사 반영 결과(5003, 5004 중권역) 681

그림 4.5.115.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5005, 5006, 5007, 5008 중권역) 684

그림 4.5.116. 현장조사 반영 결과(5005, 5006, 5007, 5008 중권역) 686

그림 4.5.117. 목적별 도상 구축 결과(5101 중권역) 689

그림 4.5.118. 현장조사 반영 결과(5101 중권역) 691

그림 4.5.119. 한강 권역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 695

그림 4.5.120. 낙동강 수계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 697

그림 4.5.121.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형산강 수계) 698

그림 4.5.122.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태화강 수계) 699

그림 4.5.123. 금강 수계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 701

그림 4.5.124. 삽교천 수계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 702

그림 4.5.125. 만경·동진강 수계 국가유사량관측망 구축 결과 703

그림 4.5.126. 섬진강수계 국가유사량관측망(안) 대상지점 현황도 705

그림 4.5.127. 영산강권역 국가유사량관측테일 대상지점 현황도 707

그림 5.4.1. 토양수분·증발산량 관측망 구축 개념 724

그림 5.4.2. 토양수분·증발산량 관측망 구축 방법 724

그림 5.5.1. 유역, 토양, 토지피복, 임상 격자 기반구축 과정 726

그림 5.5.2. 기상격자 기반 구축 과정 726

그림 5.5.3. 표고분포도(30mx30m, 국가수자원관리 종합정보시스템) 728

그림 5.5.4. 경사분포도(30mx30m, 국가수자원관리 종합정보시스템) 728

그림 5.5.5. 음영도(30mx30m, 국가수자원관리 종합정보시스템) 729

그림 5.5.6. 유효토심도(30mx30m, 국가수자원관리 종합정보시스템) 730

그림 5.5.7. 수관밀도(30mx30m, 국가수자원관리 종합정보시스템) 732

그림 5.5.8. 토지피복도(30mx30m, 국가수자원관리 종합정보시스템) 734

그림 5.5.9. 강우관측소 위치도(기상청) 735

그림 5.5.10. 벡터 기반 연강우량분포도 735

그림 5.5.11. 격자기반 연강우량도(1kmx1km) 736

그림 5.5.12. 벡터기반 연평균기온분포도 737

그림 5.5.13. 격자기반 연평균기온(1kmx1km) 737

그림 5.5.14. 유효토심 격자(25km25km) 739

그림 5.5.15. 수관밀도 격자(25km25km) 739

그림 5.5.16. 토지피복 격자(25km25km) 740

그림 5.5.17. 연강우량 격자(25km25km) 740

그림 5.5.18. 연평균기온 격자(25km25km) 741

그림 5.5.19. 기상특성 격자의 기호화 및 생성 과정 742

그림 5.5.20. 연강우량 기호화도(50% 적용) 743

그림 5.5.21. 연강우량 기호화도(50% 적용) 743

그림 5.5.22. 연평균기온 기호화도(50% 적용) 744

그림 5.5.23. 연평균기온 기호화도(80% 적용) 744

그림 5.5.24. 유효토심 격자의 기호화 및 생성 과정 745

그림 5.5.25. 유효토심 기호화도 746

그림 5.5.26. 토지피복 격자의 기호화 및 생성 과정 747

그림 5.5.27. 토지피복 기호화도 747

그림 5.5.28. 수관밀도 격자의 기호화 및 생성 과정 748

그림 5.5.29. 수관밀도 기호화도 749

그림 5.6.1. 토양수분량 관측망도 752

그림 5.6.2. 증발산량 관측망도 753

그림 5.6.3. 한강권역 토양수분량 관측망 756

그림 5.6.4. 낙동강권역 토양수분량 관측망 756

그림 5.6.5. 금강권역 토양수분량 관측망 757

그림 5.6.6. 섬진강권역 토양수분량 관측망 757

그림 5.6.7. 한강권역 증발산량 관측망 760

그림 5.6.8. 낙동강권역 증발산량 관측망 760

그림 5.6.9. 금강권역 증발산량 관측망 761

그림 5.6.10. 섬진강권역 증발산량 관측망 761

그림 5.6.11. 영산강권역 증발산량 관측망 762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T000034119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이용불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