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자연·사회환경 개선을 고려한 권역별 하천유지유량 평가, 산정 및 확보방안(한강권역) / 국토해양부 한강홍수통제소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국토해양부 한강홍수통제소, 2009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형태사항
xxxv, 928 p. : 삽화, 도표, 사진 ; 30 cm
제어번호
MONO1201109901
주기사항
[연구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책임연구자: 이동률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목차

제I편 과업개요 40

제1장 연구의 필요성 42

제1절 하천유지유량의 산정 경위 42

제2절 개정 「하천법」 의 하천유지유량 44

제3절 하천수 사용량과 하천유지유량의 관계 44

제2장 과업의 목적과 내용 46

제1절 과업의 목적 46

제2절 과업의 내용 47

제3절 기대성과 및 활용방안 49

제II편 하천특성 조사 50

제1장 하천유역특성 52

제1절 유역개황 52

제2절 지형 및 지질 현황 54

제3절 인문 및 사회현황 56

제4절 수문기상특성 60

제5절 유량 및 유황특성 64

제2장 하천환경특성 78

제1절 자연환경 78

제2절 사회환경 125

제3절 용수 사용량 143

제III편 하도구분 및 기준지점 선정 164

제1장 하도특성 조사 166

제1절 하도상황 166

제2장 하도구분 및 기준지점 선정 210

제1절 하도구분 210

제2절 기준지점 선정 210

제3절 대상하천 및 지점의 선정 212

제4절 조사 결과 215

제IV편 항목별 필요유량 산정 258

제1장 하천 수질보전을 위한 필요유량 260

제1절 개요 260

제2절 유역의 수질특성 분석 및 평가대상 항목의 선정 261

제3절 목표연도 및 목표수질기준 설정 280

제4절 목표연도별 오염부하량 산정 현황 282

제5절 하천수질 모형 294

제6절 수질보전을 위한 필요유량 산정 313

제7절 결론 322

제2장 하천 생태계를 고려한 필요유량 324

제1절 개요 324

제2절 어류조사 332

제3절 어류조사 결과 및 분석 371

제4절 대표어종과 서식환경 387

제5절 생태유량 산정 기본방향 401

제6절 한계구간과 필요유량 결정 403

제7절 결론 433

제3장 기타항목을 고려한 필요유량 산정 434

제1절 하천경관을 고려한 필요유량 434

제2절 하구막힘 방지를 위한 필요유량 463

제3절 지하수위 유지를 고려한 필요유량 468

제4절 염수침입 방지를 위한 필요유량 494

제5절 하천시설물 보호를 위한 필요유량 510

제V편 하천유지유량의 결정 및 환경개선용수 수요추정 518

제1장 하천유지유랑의 결정 520

제1절 하천수 사용량의 조사 및 분석 520

제2절 자연 상태 기준 갈수량 유입 현황 523

제3절 하천유지유량의 결정 526

제2장 환경개선용수 수요추정 538

제1절 환경개선용수 도입배경 538

제2절 환경개선용수의 산정 및 허가 542

제3절 환경개선용수의 비용부담 544

제4절 환경개선용수 대상지점 선정 546

제5절 환경개선용수 수요량 추정 587

제VI편 하천유지유량의 확보계획 692

제1장 하천유지유량 확보 방안 694

제1절 기존 댐 운영실적 평가 694

제2절 신규 댐 건설 754

제3절 지하수 확보 756

제4절 하수처리수 재이용 761

제5절 수리권 조정 767

제6절 농업용 저수지 재개발 772

제7절 천변저류지 설치 784

제2장 하천유지유량 확보 계획 수립 788

제1절 중권역별 확보 가능량 788

제2절 하천유지유량 산정 기준지점별 확보 방안 868

제VII편 하천유지유량의 관리계획 882

제1장 기본방향 및 목표 설정 884

제1절 하천유지유량의 개념 변화 및 수자원 계획 884

제2절 하천유지유량 관리의 방향성 885

제2장 하천관리유량 산정 및 관리계획 수립 887

제1절 하천관리유량의 산정 887

제2절 하천유지유량 공급의 신뢰성 평가 895

제3절 월별 하천유지유량의 관리 897

제4절 지역별 하천수 허가의 적정성 분석 898

제5절 하천유지유량의 고시와 모니터링 900

제3장 시민사회가 바라보는 하천유지유량 903

제1절 훼손된 하천과 좋은 하천의 개념 903

제2절 하천유지유량의 설정과 관리가 필요한 하천의 선정 907

제3절 하천 보전 및 복원을 위한 시민 참여 방안 932

제4절 결론 947

제VIII편 결론 950

제1장 결론 952

제2장 향후 추진계획 954

제1절 수질보전 필요유량 954

제2절 기타 항목의 필요유량 보완 계획 957

참고문헌 958

표 1.1.1. 과업 세부 내용 및 기관별 주요 업무 46

표 2.1.1. 한강권역 주요 하천 현황 54

표 2.1.2. 수자원단위지도의 한강권역 54

표 2.1.3. 한강권역 지형 일반특성 55

표 2.1.4. 한강권역 표고별 유역특성 55

표 2.1.5. 한강권역 유출곡선지수 55

표 2.1.6. 한강권역 행정구역 현황 56

표 2.1.7. 한강권역 중권역별 인구수 및 포함 행정구역 58

표 2.1.8. 산업분류별 사업체 수 59

표 2.1.9. 산업분류별 종사자 수 60

표 2.1.10. 우리나라 경제규모의 변화 60

표 2.1.11. 한강권역 주요 유역 월평균 강수량('67-'07) 61

표 2.1.12. 기상청 관측소의 월평균 기온(℃) 62

표 2.1.13. 기상청 관측소의 월평균 상대습도(%) 63

표 2.1.14. 기상청 관측소의 월평균 강수일수 63

표 2.1.15. 기상청 관측소의 월평균 일조시간(시간) 64

표 2.1.16. 모의자연유량 자료의 통계치 검중 67

표 2.1.17. 자연 상태의 주요지점 유황 68

표 2.1.18. 갈수량 산정 결과 비교 71

표 2.1.19. 관측유량 자료를 이용한 유황분석 결과 72

표 2.1.20. 한강수계 고시 하천유지유량 74

표 2.1.21. 고시 하천유지유량의 평가 74

표 2.2.1.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 동·식물의 지정 현황 83

표 2.2.2. 멸종위기 포유류 84

표 2.2.3. 멸종위기 어류 84

표 2.2.4. 멸종위기 조류 85

표 2.2.5. 양서류 및 파충류 85

표 2.2.6. 멸종위기 곤충류 86

표 2.2.7. 멸종위기 무척추동물 86

표 2.2.8. 멸종위기 육상식물 87

표 2.2.9. 멸종위기 해조류 87

표 2.2.10. 지역별 내수면어업 생산량 119

표 2.2.11. 어종별 연도별 생산량 및 생산금액 122

표 2.2.12. 우리나라의 관광자원 분류 125

표 2.2.13. 자연적 관광자원의 분류 126

표 2.2.14. 한강권역 지정 관광지면 현황 128

표 2.2.15. 한강권역 관광단지 현황 130

표 2.2.16. 한강권역 관광특구 현황 130

표 2.2.17. 한강권역 자연공원 현황 131

표 2.2.18. 한강권역 자연휴양림 현황 133

표 2.2.19. 한국의 식물보전기관 135

표 2.2.20. 한강권역 지역문화축제 136

표 2.2.21. 한강권역 국가지정문화재 현황 142

표 2.2.22. 한강권역 시·도지정문화재 현황 142

표 2.2.23. 용수이용현황 조사내용 144

표 2.2.24. 한강권역 연도별 용수이용현황 146

표 2.2.25. 한강권역 행정구역별 용수이용현황 149

표 2.2.26. 한강권역 유역별 용수이용현황 153

표 3.1.1. 한강수계 경사분포별 면적 및 면적비율 현황 169

표 3.1.2. 안성천수계 경사분포별 면적 및 면적비율 현황 171

표 3.1.3. 한강서해권역 경사분포별 면적 및 면적비율 현황 173

표 3.1.4. 한강동해권역 경사분포별 면적 및 면적비율 현황 175

표 3.1.5. 한강수계 경사향분포별 면적 및 면적비율 현황 177

표 3.1.6. 안성천 수계 경사향분포별 면적 및 면적비율 현황 179

표 3.1.7. 한강서해 경사향분포별 면적 및 면적비율 현황 180

표 3.1.8. 한강동해 경사향분포별 면적 및 면적비율 현황 182

표 3.1.9. 치수, 이수 및 환경 시설물 종류 185

표 3.1.10. 한강권역 댐 현황 187

표 3.1.11. 유역별 댐 현황 188

표 3.1.12. 유역별 주요 치수시설 현황 191

표 3.1.13. 유역별 상수도시설물 현황1 195

표 3.1.14. 유역별 상수도시설물 현황2 197

표 3.1.15. 유역별 농업용 수리시설물 현황1 199

표 3.1.16. 유역별 농업용 수리시설물 현황2 201

표 3.1.17. 유역별 주요 환경기초시설 현황1 205

표 3.1.18. 유역별 주요 환경기초시설 현황2 207

표 3.2.1. 한강권역 하도구분 및 기준지점 선정 212

표 3.2.2. 현장조사 대상 하천 및 지점의 선정 213

표 3.2.3. 영월지점 현황 216

표 3.2.4. 영춘지점 현황 218

표 3.2.5. 충주조정지댐 현황 219

표 3.2.6. 여주지점 현황 221

표 3.2.7. 양평지점 현황 221

표 3.2.8. 팔당댐지점 현황 223

표 3.2.9. 한강대교지점 현황 223

표 3.2.10. 행주대교지점 현황 224

표 3.2.11. 평창강 현황 226

표 3.2.12. 달천 현황 227

표 3.2.13. 섬강 현황 227

표 3.2.14. 청미천 현황 229

표 3.2.15. 복하천 현황 231

표 3.2.16. 경안천 현황 232

표 3.2.17. 왕숙천 현황 233

표 3.2.18. 탄천 현황 235

표 3.2.19. 중랑천 현황 236

표 3.2.20. 안양천 현황 236

표 3.2.21. 화천댐 구간 현황 239

표 3.2.22. 춘천댐 구간 현황 241

표 3.2.23. 의암댐 구간 현황 242

표 3.2.24. 청평댐 구간 현황 244

표 3.2.25. 내린천 현황 245

표 3.2.26. 소양강 현황 247

표 3.2.27. 가평천 현황 248

표 3.2.28. 홍천강 현황 249

표 3.2.29. 군남 구간 현황 251

표 3.2.30. 적성 구간 현황 251

표 3.2.31. 한탄강 현황 251

표 3.2.32. 안성천 현황 253

표 3.2.33. 진위천 현황 253

표 3.2.34. 한강권역 하도구분 및 기준지점 선정 256

표 3.2.35. 기준지점 변동내역 257

표 4.1.1. 기준지점별 수질측정망 지점 명칭 261

표 4.1.2. 중권역별 수질 및 수생태계 목표기준과 달성기간 281

표 4.1.3. 수질 및 수생태계 환경기준(하천 생활환경 기준) 282

표 4.1.4. 한강권역 중권역 분할 현황 284

표 4.1.5. 중권역별 2003년, 2015년 발생부하량 287

표 4.1.6. 중권역별 2003년, 2015년 배출부하량 288

표 4.1.7. 소권역별 유달률 290

표 4.1.8. 중권역별 2003년, 2015년 유달부하량 293

표 4.1.9. QUAL2K 모형의 상태변수 296

표 4.1.10. 수질모의 대상수계별 구간수 및 소구간 길이 298

표 4.1.11. 대상 수계별 본류 및 지류의 수리학적 계수 299

표 4.1.12. QUAL2K 모형의 보정 및 검중에 사용된 매개변수 309

표 4.1.13. 기준지점별 수질등급별 BOD 농도 달성에 필요한 유량 319

표 4.1.14. 수량-수질 연계분석 결과 320

표 4.1.15. 수질보전 필요유량 산정결과 321

표 4.2.1. 생태계(어류) 보호를 위한 필요유량 산정방법의 장·단점 328

표 4.2.2. 문화재청 지정 천연기념물(어류)(2008년) 333

표 4.2.3. 한국 고유 담수어류 목록 334

표 4.2.4. 외래어 도입종 목록 334

표 4.2.5. 월별 조사 계획서 338

표 4.2.6. 남한강의 조사지점 선정조건 341

표 4.2.7. 북한강의 조사지점 선정조건 342

표 4.2.8. 금회 조사지점 선정조건 344

표 4.2.9. 현장조사표 작성 예(달천 지점) 346

표 4.2.10. 조사계획서 작성(영월 지점) 350

표 4.2.11. 조사계획서 작성(평창강 지점) 351

표 4.2.12. 조사계획서 작성(섬강 지점) 352

표 4.2.13. 조사계획서 작성(계천 지점) 353

표 4.2.14. 조사계획서 작성(홍천강 지점) 354

표 4.2.15. 조사계획서 작성(내촌천 지점) 355

표 4.2.16. 조사계획서 작성(내린천 지점) 356

표 4.2.17. 조사계획서 작성(복하천 지점) 357

표 4.2.18. 조사계획서 작성(청미천 지점) 358

표 4.2.19. 조사계획서 작성(달천하류 지점) 359

표 4.2.20. 조사계획서 작성(달천상류 지점) 360

표 4.2.21. 지점별 어류조사 일자 364

표 4.2.22. 어류 현장조사표 예 366

표 4.2.23. 현장조사 양식 및 기록 예 370

표 4.2.24. 각 조사지점별 우점종 및 아우점종 372

표 4.2.25. 어류조사 지점의 어류상 373

표 4.2.26. 남한강 상류(동강) 어류상의 기존문헌과의 비교 375

표 4.2.27. 평창강 어류상의 기존문헌과의 비교 376

표 4.2.28. 달천 어류상의 기존문헌과의 비교 377

표 4.2.29. 섬강 어류상의 기존문헌과의 비교 378

표 4.2.30. 청미천 어류상의 기존문헌과의 비교 379

표 4.2.31. 홍천강 어류상의 기존문헌과의 비교 380

표 4.2.32. 내촌천 어류상의 기존문헌과의 비교 381

표 4.2.33. 우리나라 대표어종과 대리어종 일람표 389

표 4.2.34. 대표어종과 대리어종의 생태적 요구조건 391

표 4.2.35. 대표어종의 서식처 수리조건 392

표 4.3.36. 대표어종 선정결과 395

표 4.2.37. 서식처 적합도 지수 산정 방법 398

표 4.2.38. 생태유량산정결과(간단법) 416

표 4.2.39. 생태유량산정결과(물리서식처모의) 417

표 4.2.40. 지점별 SIMHAB 산정 결과 비교 424

표 4.2.41. 지점별 생태필요유량 432

표 4.3.1. 경관대상 내용 435

표 4.3.2. 시점장에서 이루어지는 친수 활동과 특징 436

표 4.3.3. 유량 변동과 경관간 관계의 설정 방법 437

표 4.3.4. 경관을 고려한 필요유량 적용 기준 449

표 4.3.5. 영월 지점 경관조사 452

표 4.3.6. 영춘 지점 경관조사 453

표 4.3.7. 팔당댐 지점 경관조사 454

표 4.3.8. 한강대교 지점 경관조사 455

표 4.3.9. 영월1 지점 경관조사 456

표 4.3.10. 달천 지점 경관조사 457

표 4.3.11. 문막 지점 경관조사 458

표 4.3.12. 의암댐 지점 경관조사 459

표 4.3.13. 홍천 지점 경관조사 460

표 4.3.14. 한강권역 경관유량 산정결과 462

표 4.3.15. 한강권역 지하수 관측소 설치현황 472

표 4.3.16. 한강권역 행정구역별 지하수 사용량 478

표 4.3.17. 지점별 경향성 분석 490

표 4.3.18. 기존 하천유지유량 보고서 및 결과 496

표 4.3.19. 하천 농업용수 수질기준(환경부) 499

표 4.3.20. Conductivity to Salinity 환산 식의 인자 및 매개변수 501

표 4.3.21. 결정계수에 의한 오차 502

표 4.3.22. 한강하류부 지점별 염분(2008년-2009년 자료) 505

표 4.3.23. 임진강 지점별 염분(2008년-2009년 자료) 508

표 4.3.24. 중권역별 농업용 양수장 현황 511

표 4.3.25. 중권역별 양배수 시설현황 511

표 4.3.26. 시도별 보 시설 현황 512

표 4.3.27. 시도별 집수암거 시설현황 512

표 4.3.28. 시도별 관정시설 현황 513

표 4.3.29. 시도별 농업용 기타시설 현황 513

표 4.3.30. 시도별 제방시설 현황 514

표 4.3.31. 시도별 내수배제시설 현황 514

표 5.1.1. 한강권역 주요 하천별 하천수 사용현황 522

표 5.1.2. 한강권역 중권역별 하천수 사용현황 523

표 5.1.3. 한강권역 하천유지유량 527

표 5.1.4. 관개기 한강권역 하천유지유량의 확보, 부족량 평가 529

표 5.1.5. 비관개기 한강권역 하천유지유량의 확보, 부족량 평가 532

표 5.1.6. 한강권역 하천유지유량 공급을 위한 추가 확보 필요수량 536

표 5.2.1. 하천유지유량과 환경개선용수의 비교 541

표 5.2.2. 한강권역의 행정구역 및 면적 547

표 5.2.3. 한강권역 생태계를 고려한 필요유량 588

표 5.2.4. 한강권역의 경관을 고려한 필요유량 593

표 5.2.5. 한강권역의 친수활동을 고려한 필요유량(본류) 594

표 5.2.6. 한강권역의 친수활동을 고려한 필요유량(지류) 595

표 5.2.7. 한강권역 하천구간별 필요유량 596

표 5.2.8. 하천 유지용수 측정결과(2006) 600

표 5.2.9. 하천유량증대방안 비교검토 601

표 5.2.10. 청계천 위치별 배분량 603

표 5.2.11. 청계천 유역 하천유지용수 공급실적(㎥) 604

표 5.2.12. 청계천 유역 하천유지용수 수요량 추정(㎥) 604

표 5.2.13. 청미천 유역의 일반현황 604

표 5.2.14. 청미천의 대표어종별 서식처 수리조건 605

표 5.2.15. 생태계를 고려한 필요유량 605

표 5.2.16. 흐름상태와 유속과의 관계 606

표 5.2.17. 청미천 수계 하천별 필요유량 607

표 5.2.18. 평가기준 및 필요유량 608

표 5.2.19. 평창강의 대표어종별 서식처 수리조건 609

표 5.2.20. 생태계를 고려한 필요유량 609

표 5.2.21. 평가기준 및 필요유량 609

표 5.2.22. 평창강 하천별 필요유량 설정 610

표 5.2.23. 친수활동과의 연관사항 611

표 5.2.24. 친수활동을 위한 수리제원 (1) 612

표 5.2.25. 친수활동을 위한 수리제원 (2) 612

표 5.2.26. 양화천 수계 하천별 필요유량 613

표 5.2.27. 양화천 수계 주요지점별 하천필요유량 확보방안 614

표 5.2.28. 생태계를 고려한 필요유량 616

표 5.2.29. 경관을 고려한 필요유량 617

표 5.2.30. 친수활동을 고려한 필요유량 617

표 5.2.31. 하천별 필요유량 618

표 5.2.32. 이화천 등 유역의 일반현황 618

표 5.2.33. 생태계 필요유량 설정기준 619

표 5.2.34. 이화천 등 수계 하천별 필요유량 설정 620

표 5.2.35. 오산천 수계 주요지점별 하천필요유량 623

표 5.2.36. 생태계를 고려한 필요유량 625

표 5.2.37. 전농천 수계 하천별 필요유량 625

표 5.2.38. 생태계를 고려한 필요유량 626

표 5.2.39. 면목천 수계 하천별 필요유량 627

표 5.2.40. 생태계를 고려한 필요유량 628

표 5.2.41. 대동천 수계 하천별 필요유량 628

표 5.2.42. 생태계를 고려한 필요유량 629

표 5.2.43. 가오천 수계 하천별 필요유량 630

표 5.2.44. 생태계를 고려한 필요유량 631

표 5.2.45. 화계천 하천별 필요유량 631

표 5.2.46. 생태계를 고려한 필요유량 632

표 5.2.47. 양재천 수계 하천별 필요유량 632

표 5.2.48. 생태계를 고려한 필요유량 633

표 5.2.49. 사당천 수계 하천별 필요유량 634

표 5.2.50. 공릉천 수계 하천별 필요유량 산정 635

표 5.2.51. 생태계를 고려한 필요유량 637

표 5.2.52. 경관 평가기준 및 목표유량 637

표 5.2.53. 친수활동을 고려한 필요유량 637

표 5.2.54. 장월평천 수계 하천별 필요유량 638

표 5.2.55. 생태계를 고려한 필요유량 638

표 5.2.56. 소리천 수계 하천별 필요유량 639

표 5.2.57. 진위천(상류) 수계 하천별 필요유량 642

표 5.2.58. 진위천(하류)수계 하천별 필요유량 645

표 5.2.59. 조령천의 대표어종별 서식처 수리조건 646

표 5.2.60. 생태계를 고려한 필요유량 647

표 5.2.61. 경관 평가기준 및 필요유량 647

표 5.2.62. 조령천 수계 하천별 필요유량 648

표 5.2.63. 생태계를 고려한 필요유량 649

표 5.2.64. 경관 평가기준 및 필요유량 649

표 5.2.65. 반월천 수계 하천별 필요유량 650

표 5.2.66. 생태계를 고려한 필요유량 651

표 5.2.67. 경관을 고려한 필요유량 652

표 5.2.68. 동화천 수계 하천별 필요유량 653

표 5.2.69. 생태계를 고려한 필요유량 654

표 5.2.70. 남양천 수계 하천별 필요유량 654

표 5.2.71. 발안천 수계 하천별 필요유량 655

표 5.2.72. 안산천 수계 하천별 필요유량 657

표 5.2.73. 생태계를 고려한 필요유량 658

표 5.2.74. 하천경관을 고려한 필요유량 산정기준 658

표 5.2.75. 경관을 고려한 필요유량 659

표 5.2.76. 친수활동을 고려한 필요유량 659

표 5.2.77. 자안천 수계 하천별 필요유량 660

표 5.2.78. 환경개선용수 설문조사 조사범위 - 한강권역 661

표 5.2.79. 조사범위 - 행정구역 662

표 5.2.80. 세부조사항목 663

표 5.2.81. 설문조사 응답자 특성 664

표 5.2.82. 하천별 환경개선용수 확보계획 및 방법 690

표 6.1.1. 한강권역내 주요댐 시설 현황 698

표 6.1.2. 소양다목적댐 생·공용수 계약 현황 699

표 6.1.3. 소양강댐 월별 용수공급 계획 700

표 6.1.4. 소양강댐 용수공급 실적 701

표 6.1.5. 하천유지용수 공급 실적 702

표 6.1.6. 소양강댐 방류실적 704

표 6.1.7. 소양강댐 이수방류 실적 705

표 6.1.8. 소양강댐 이수방류 실적 706

표 6.1.9. 충주다목적댐 생·공용수 계약현황 707

표 6.1.10. 충주댐 월별 용수공급 계획 709

표 6.1.11. 충주댐 용수공급 실적 711

표 6.1.12. 하천유지용수 공급 실적 712

표 6.1.13. 충주댐 방류실적 714

표 6.1.14. 충주댐 이수방류 실적 714

표 6.1.15. 충주댐 연간 하천유지유량 확보가능량 715

표 6.1.16. 횡성다목적댐 생·공용수 계약 현황 716

표 6.1.17. 횡성댐 월별 용수공급 계획 716

표 6.1.18. 횡성댐 용수공급 실적 717

표 6.1.19. 하천유지용수 공급 실적 718

표 6.1.20. 횡성댐 방류 실적 720

표 6.1.21. 횡성댐 이수방류 실적 720

표 6.1.22. 광동댐 월별 용수공급 계획 721

표 6.1.23. 광동댐 연도별 운영실적 722

표 6.1.24. 달방댐 월별 용수공급 계획 723

표 6.1.25. 달방댐 연도별 운영실적 724

표 6.1.26. 청평댐 연평균 운영자료 725

표 6.1.27. 화천댐 연평균 운영자료 726

표 6.1.28. 괴산댐 운영자료 728

표 6.1.29. 춘천댐 운영자료 729

표 6.1.30. 의암댐 운영자료 731

표 6.1.31. 팔당댐 운영자료 733

표 6.1.32. 소양강댐 설계당시와 실제 운영시 유입량 비교 734

표 6.1.33. 소양강댐 하천유지용수 확보가능량 739

표 6.1.34. 충주댐 설계당시와 실제 운영시 유입량 비교 740

표 6.1.35. 충주댐 하천유지용수 확보가능량 744

표 6.1.36. 광동댐 설계당시와 실제 운영시 유입량 비교 745

표 6.1.37. 광동댐 하천유지용수 확보가능량 749

표 6.1.38. 달방댐 설계당시와 실제 운영시 유입량 비교 750

표 6.1.39. 달방댐 하천유지용수 확보가능량 753

표 6.1.40. 한강권역 내 계획 중인 신규 댐 현황 755

표 6.1.41. 전국 지하수 개발·이용 현황 757

표 6.1.42. 한강권역 중권역별 지하수 함양량 및 개발가능량 758

표 6.1.43. 한강권역 대권역별 지하수 개발가능량 대비 이용량 비율 759

표 6.1.44. 지하댐과 저수지의 장·단점 760

표 6.1.45. 한강권역 내 지하댐 개발 가능지점 현황 760

표 6.1.46. 하수처리수 재이용에 의한 기대 효과 762

표 6.1.47. 하수처리수 재이용의 필요성 762

표 6.1.48. 재이용수의 용도 구분 및 제한 조건 763

표 6.1.49. 각국의 하수처리수 재이용 현황 765

표 6.1.50. 하수처리수 방류현황(행정구역별) 765

표 6.1.51. 하수처리수 방류현황(중권역별) 766

표 6.1.52. 하천수 이용현황 769

표 6.1.53. 중권역별 수리권 조정 가능량 771

표 6.1.54. 기존댐 재개발 사례 772

표 6.1.55. 한강수계 둑 높이기 대상 저수지 제원 780

표 6.1.56. 한강수계 둑 높이기 대상 저수지 논용수, 하천유지유량 공급량 781

표 6.1.57. 중권역별 농업용 저수지의 의무방류량 평가 결과 783

표 6.1.58. 천변저류지 대상지 선정 기준 786

표 6.1.59. 한강유역 천변저류지 계획 현황 787

표 6.2.1. 남한강상류 중권역내 신규 댐 가능지점 현황 790

표 6.2.2. 남한강상류 중권역내 지하수 이용 현황 790

표 6.2.3. 남한강상류 중권역내 하수처리수 시설 현황 790

표 6.2.4. 평창강 중권역내 신규 댐 가능지점 현황 792

표 6.2.5. 평창강 중권역내 농업용 저수지 현황 792

표 6.2.6. 평창강 중권역내 지하수 이용 현황 793

표 6.2.7. 평창강 중권역내 하수처리수 시설 현황 793

표 6.2.8. 충주댐 중권역내 신규댐 가능지점 현황 795

표 6.1.9. 충주댐 중권역 재개발 대상지 제원 및 추가확보량 795

표 6.2.10. 충주댐 중권역내 농업용 저수지 현황 796

표 6.2.11. 충주댐 중권역내 지하수 이용 현황 796

표 6.2.12. 충주댐 중권역내 하수처리수 시설 현황 796

표 6.2.13. 충주댐 중권역내 하천수 사용 신고 사업자(장) 및 조정량 797

표 6.2.14. 달천 중권역내 신규댐 가능지점 798

표 6.1.15. 달천 중권역 재개발 대상지 제원 및 추가확보량 799

표 6.2.16. 달천 중권역내 농업용 저수지 현황 799

표 6.2.17. 달천 중권역내 지하수 이용 현황 800

표 6.2.18. 달천 중권역내 하수처리수 시설 현황 800

표 6.2.19. 충주댐하류 중권역 재개발 대상지 제원 및 추가확보량 802

표 6.2.20. 충주댐하류 중권역내 농업용 저수지 현황 802

표 6.2.21. 충주댐하류 중권역내 지하수 이용 현황 803

표 6.2.22. 충주댐하류 중권역내 하수처리수 시설 현황 803

표 6.2.23. 섬강 중권역 재개발 대상지 제원 및 추가확보량 805

표 6.2.24. 섬강(1006) 중권역내 농업용 저수지 현황 805

표 6.2.25. 섬강 중권역내 지하수 이용 현황 806

표 6.2.26. 섬강 중권역내 하수처리수 시설 현황 806

표 6.2.27. 섬강 중권역내 하천수 사용 신고 사업자(장) 및 조정량 807

표 6.1.28. 남한강하류 중권역 재개발 대상지 제원 및 추가확보량 809

표 6.2.29. 남한강하류 중권역내 농업용 저수지 현황 809

표 6.2.30. 남한강하류 중권역내 지하수 이용 현황 810

표 6.2.31. 남한강하류 중권역내 지하댐 예정지 현황 810

표 6.2.32. 남한강하류 중권역내 하수처리수 시설 현황 810

표 6.2.33. 남한강하류 중권역내 하천수 사용 신고 사업자(장) 및 조정량 811

표 6.2.34. 남한강하류 중권역내 천변저류지 계획 현황 811

표 6.2.35. 남한강상류(1001) 중권역내 지하수 이용 현황 813

표 6.2.36. 춘천댐 중권역내 신규댐 가능지점 814

표 6.2.37. 춘천댐 중권역내 농업용 저수지 현황 815

표 6.2.38. 춘천댐 중권역내 지하수 이용 현황 815

표 6.2.39. 춘천댐 중권역내 하수처리수 시설 현황 815

표 6.2.40. 춘천댐 중권역내 천변저류지 계획 현황 816

표 6.2.41. 인북천 중권역내 지하수 이용 현황 817

표 6.2.42. 인북천 중권역내 하수처리수 시설 현황 818

표 6.2.43. 인북천 중권역내 천변저류지 계획 현황 818

표 6.1.44. 소양강댐 하천유지용수 확보가능량 820

표 6.2.45. 소양강 중권역내 농업용 저수지 현황 820

표 6.2.46. 소양강 중권역내 지하수 이용 현황 820

표 6.2.47. 소양강 중권역내 하수처리수 시설 현황 821

표 6.2.48. 소양강 중권역내 천변저류지 계획 현황 821

표 6.2.49. 의암댐 중권역내 신규댐 가능지점 823

표 6.2.50. 의암댐 중권역 재개발 대상지 제원 및 추가확보량 823

표 6.2.51. 의암댐 중권역내 농업용 저수지 현황 823

표 6.2.52. 의암댐 중권역내 지하수 이용 현황 824

표 6.2.53. 의암댐 중권역내 하수처리수 시설 현황 824

표 6.2.54. 의암댐 중권역내 하천수 사용 신고 사업자(장) 및 조정량 825

표 6.2.55. 의암댐 중권역내 천변저류지 계획 현황 825

표 6.2.56. 홍천강 중권역내 신규댐 가능지점 827

표 6.2.57. 홍천강 중권역 재개발 대상지 제원 및 추가확보량 827

표 6.2.58. 홍천강 중권역내 농업용 저수지 현황 828

표 6.2.59. 홍천강 중권역내 지하수 이용 현황 828

표 6.2.60. 홍천강 중권역내 하수처리수 시설 현황 828

표 6.2.61. 홍천강 중권역내 천변저류지 계획 현황 829

표 6.2.62. 청평댐 중권역내 지하수 이용 현황 830

표 6.2.63. 청평댐 중권역내 하수처리수 시설 현황 831

표 6.2.64. 청평댐 중권역내 하천수 사용 신고 사업자(장) 및 조정량 831

표 6.2.65. 청평댐 중권역내 천변저류지 계획 현황 832

표 6.2.66. 경안천 중권역내 신규댐 가능지점 833

표 6.2.67. 경안천 중권역내 농업용 저수지 현황 833

표 6.2.68. 경안천 중권역내 지하수 이용 현황 834

표 6.2.69. 경안천 중권역내 하수처리수 시설 현황 834

표 6.2.70. 경안천 중권역내 하천수 사용 신고 사업자(장) 및 조정량 834

표 6.2.71. 경안천 중권역내 천변저류지 계획 현황 835

표 6.2.72. 팔당댐 중권역내 지하수 이용 현황 836

표 6.2.73. 팔당댐 중권역내 하수처리수 시설 현황 837

표 6.2.74. 팔당댐 중권역내 하천수 사용 신고 사업자(장) 및 조정량 837

표 6.2.75. 한강서울 중권역내 농업용 저수지 현황 839

표 6.2.76. 한강서울 중권역내 지하수 이용 현황 839

표 6.2.77. 한강서울 중권역내 하수처리수 시설 현황 840

표 6.2.78. 한강서울 중권역내 하천수 사용 신고 사업자(장) 및 조정량 840

표 6.2.79. 한강고양 중권역내 농업용 저수지 현황 842

표 6.2.80. 한강고양 중권역내 하수처리수 시설 현황 842

표 6.2.81. 한강고양 중권역내 하천수 사용 신고 사업자(장) 및 조정량 843

표 6.2.82. 임진강상류 중권역내 농업용 저수지 현황 844

표 6.2.83. 임진강상류 중권역내 지하수 이용 현황 845

표 6.2.84. 임진강상류 중권역내 하수처리수 시설 현황 845

표 6.2.85. 임진강상류 중권역내 하천수 사용 신고 사업자(장) 및 조정량 845

표 6.2.86. 한탄강 중권역내 신규댐 가능지점 846

표 6.2.87. 한탄강 중권역내 농업용 저수지 현황 847

표 6.2.88. 한탄강 중권역내 지하수 이용 현황 848

표 6.2.89. 한탄강 중권역내 하수처리수 시설 현황 848

표 6.2.90. 임진강하류 중권역내 농업용 저수지 현황 850

표 6.2.91. 임진강하류 중권역내 지하수 이용 현황 850

표 6.2.92. 임진강하류 중권역내 하수처리수 시설 현황 850

표 6.2.93. 임진강하류 중권역내 하천수 사용 신고 사업자(장) 및 조정량 851

표 6.2.94. 한강하류 중권역내 지하수 이용 현황 852

표 6.2.95. 안성천 중권역내 농업용 저수지 현황 854

표 6.2.96. 안성천 중권역내 지하수 이용 현황 855

표 6.2.97. 안성천 중권역내 지하댐 예정지 현황 855

표 6.2.98. 안성천 중권역내 하수처리수 시설 현황 855

표 6.2.99. 안성천 중권역내 하천수 사용 신고 사업자(장) 및 조정량 856

표 6.2.100. 양양남대천 중권역내 신규댐 가능지점 현황 858

표 6.2.101. 양양남대천 중권역내 농업용 저수지 현황 858

표 6.2.102. 양양남대천 중권역내 지하수 이용 현확 859

표 6.2.103. 양양남대천 중권역내 지하댐 예정지 현황 859

표 6.2.104. 양양남대천 중권역내 하수처리수 시설 현황 859

표 6.2.105. 양양남대천 중권역내 하천수 사용 신고 사업자(장) 및 조정량 860

표 6.2.106. 강릉남대천 중권역내 신규댐 가능지점 현황 861

표 6.2.107. 강릉남대천 중권역내 농업용 저수지 현황 862

표 6.2.108. 강릉남대천 중권역내 지하수 이용 현황 862

표 6.2.109. 강릉남대천 중권역내 지하댐 예정지 현황 862

표 6.2.110. 강릉남대천 중권역내 하수처리수 시설 현황 863

표 6.2.111. 삼척오십천 중권역내 신규댐 가능지점 현황 864

표 6.2.112. 삼척오십천 중권역내 농업용 저수지 현황 865

표 6.2.113. 삼척오십천 중권역내 지하수 이용 현황 865

표 6.2.114. 삼척오십천 중권역내 지하댐 예정지 현황 865

표 6.2.115. 삼척오십천 중권역내 하수처리수 시설 현황 866

표 6.2.116. 중권역별 하천유지유량 확보 가능량 867

표 6.2.117. 한강권역 기준지점별 학보 필요수량 869

표 6.2.118. 영월 지점 하천유지용수 확보 가능량 870

표 6.2.119. 영월1 지점 하천유지용수 확보 가능량 870

표 6.2.120. 영춘 지점 하천유지용수 확보 가능량 871

표 6.2.121. 달천 지점 하천유지용수 확보 가능량 871

표 6.2.122. 충주조정지댐 지점 하천유지용수 확보 가능량 871

표 6.2.123. 문막 지점 하천유지용수 확보 가능량 872

표 6.2.124. 청미 지점 하천유지용수 확보 가능량 872

표 6.2.125. 여주 지점 하천유지용수 확보 가능량 873

표 6.2.126. 복하교 지점 하천유지용수 확보 가능량 873

표 6.2.127. 양평 지점 하천유지용수 확보 가능량 873

표 6.2.128. 경안 지점 하천유지용수 확보 가능량 874

표 6.2.129. 가평 지점 하천유지용수 확보 가능량 874

표 6.2.130. 팔당댐 지점 하천유지용수 확보 가능량 875

표 6.2.131. 퇴계원 지점 하천유지용수 확보 가능량 875

표 6.2.132. 성남 지점 하천유지용수 확보 가능량 876

표 6.2.133. 중랑교 지점 하천유지용수 확보 가능량 876

표 6.2.134. 한강대교 지점 하천유지용수 확보 가능량 876

표 6.2.135. 안양 지점 하천유지용수 확보 가능량 877

표 6.2.136. 행주대교 지점 하천유지용수 확보 가능량 877

표 6.2.137. 군남 지점 하천유지용수 확보 가능량 877

표 6.2.138. 동연교 지점 하천유지용수 확보 가능량 878

표 6.2.139. 평택 지점 하천유지용수 확보 가능량 878

표 6.2.140. 양양남대천 지점 하천유지용수 확보 가능량 879

표 6.2.141. 양양남대천 지점 하천유지용수 확보 가능량 879

표 6.2.142. 양양남대천 지점 하천유지용수 확보 가능량 879

표 6.2.143. 기준지점별 하천유지유량 확보 방안 880

표 7.1.1. 관개기 한강권역 하천관리유량 889

표 7.1.2. 비관개기 한강권역 하천관리유량 892

표 7.1.3. 한강권역 주요지점의 하천유지유량 공급의 신뢰도 896

표 7.1.4. 주요지점의 월별 하천유지유량 평가 897

표 7.1.5. 한강권역 하천유지유량의 고시(안) 900

표 7.2.1. 좋은 하천(하천력)의 개념 904

표 7.2.2. 좋은 하천 만들기(지역력)의 개념 904

표 7.2.3. 강살리기네트워크의 운영위 단체 905

표 7.2.4. 좋은 하천의 개념 906

표 7.2.5. 훼손된 하천의 개념 906

표 7.2.6. 한강 권역 시민단체의 현황 914

표 7.2.7. 대상 하천(지점)의 선정 검토 915

표 7.2.8. 환경 지킴이의 역할과 세부 활동 내용 938

표 7.2.9. 시민참여형 하천모니터링(사례) 941

표 8.2.1. 한강권역 보 설치 계획(4대강 살리기 사업) 954

그림 1.1.1. 하천유지유량 산정 경위 43

그림 1.1.2. 하천유지유량과 하천수 사용량의 관계 45

그림 2.1.1. 한강권역 주요 하천현황 53

그림 2.1.2. 한강권역 지질현황 56

그림 2.1.3. 충주댐(1986-2007) 유량 비교 65

그림 2.1.4. 소양강댐(1974-2007) 유량 비교 66

그림 2.1.5. 고안지점(팔당댐 하류, 1967년) 유량 비교 66

그림 2.1.6. 한강권역 갈수량 산정 식 및 과거 산정치와의 비교 70

그림 2.1.7. 여주지점 유황곡선 73

그림 2.1.8. 청평지점 유황곡선 73

그림 2.1.9. 한강대교지점 유황곡선 73

그림 2.1.10. 여주지점 관측유량과 고시유지유량 75

그림 2.1.11. 팔당댐지점 관측유량과 고시유지유량 75

그림 2.1.12. 한강대교지점 관측유량과 고시유지유량 76

그림 2.1.13. 의암댐지점 관측유량과 고시유지유량 76

그림 2.1.14. 청평지점 관측유량과 고시유지유량 76

그림 2.2.1. 저서성 대형 무척추동물 종수 분포도 80

그림 2.2.2. 포유류 종수 분포도 81

그림 2.2.3. 조류 종수 분포도 81

그림 2.2.4. 어류 종수 분포도 82

그림 2.2.5. 한강권역 관광지 분포 현황 127

그림 2.2.6. 한강권역 용수이용량 추이 145

그림 2.2.7. 한강권역 용도별 용수이용량 구성비 147

그림 2.2.8. 한강권역 행정구역별 용수이용량 추이 148

그림 2.2.9. 한강권역 행정구역별 용수이용량 구성비 150

그림 2.2.10. 한강권역 행정구역별 용도별 용수이용량(2001년) 151

그림 2.2.11. 한강권역 행정구역별 용수이용량(2001년) 151

그림 2.2.12. 한강권역 유역별 용수이용량 추이 152

그림 2.2.13. 한강권역 유역별 용수이용량 구성비 154

그림 2.2.14. 한강권역 유역별 용도별 용수이용량(2001년) 155

그림 2.2.15. 한강권역 유역별 용수이용량(2001년) 155

그림 2.2.16. 한강권역 생활용수 이용량 추이 156

그림 2.2.17. 한강권역 용도별 생활용수 이용량 구성비 157

그림 2.2.18. 한강권역 공업용수 이용량 추이 158

그림 2.2.19. 한강권역 용도별 공업용수 이용량 구성비 159

그림 2.2.20. 한강권역 농업용수 이용량 추이 160

그림 2.2.21. 한강권역 용도별 농업용수 이용량 구성비 161

그림 3.1.1. 한강수계 경사분포별 면적비 현황 169

그림 3.1.2. 한강수계 경사도 170

그림 3.1.3. 안성천수계 경사분포별 면적비 현황 171

그림 3.1.4. 안성천수계 경사도 172

그림 3.1.5. 한강서해권역 경사분포별 면적비 현황 173

그림 3.1.6. 한강서해권역 경사도 174

그림 3.1.7. 한강동해권역 경사분포별 면적비 현황 175

그림 3.1.8. 한강동해권역 경사도 176

그림 3.1.9. 한강수계 경사향도 178

그림 3.1.10. 한강수계 경사향분포별 면적비 현황 178

그림 3.1.11. 안성천 수계 경사향도 179

그림 3.1.12. 안성천 수계 경사향분포별 면적비 현황 180

그림 3.1.13. 한강서해 경사향도 181

그림 3.1.14. 한강서해 경사향분포별 면적비 현황 181

그림 3.1.15. 한강동해 경사향도 183

그림 3.1.16. 한강동해 경사향분포별 면적비 현황 183

그림 3.2.1. 현재 한강권역 하천유지유량 고시지점(9개 지점) 212

그림 3.2.2. 현장조사표(목계 지점 예) 214

그림 3.2.3. 어라연 계곡(사진 : 환경부 생태경관보전지역 업무지침) 215

그림 3.2.4. 영월지점 현황 및 상(아래 왼쪽)·하류(아래 오른쪽) 전경 216

그림 3.2.5. 영춘지점 현황 및 상(아래 왼쪽)·하류(아래 오른쪽) 전경 217

그림 3.2.6. 충주조정지댐 현황 및 상(아래 왼쪽)·하류(아래 오른쪽) 전경 219

그림 3.2.7. 여주, 양평지점 현황 및 상류(아래 왼쪽)·신륵사입구(아래 오른쪽) 전경 220

그림 3.2.8. 팔당댐/한강대교 현황 및 팔당댐(아래 왼쪽)·한강대교(아래 오른쪽) 하도전경 222

그림 3.2.9. 행주대교 현황 및 하도전경(아래 왼쪽)·내수면 어업용 어선(아래 오른쪽) 224

그림 3.2.10. 평창강 현황 및 하도전경(아래 왼쪽)·청령포 입구(아래 오른쪽) 225

그림 3.2.11. 달천 현황 및 하도전경(아래 왼쪽)·생태계보호구역 표지(아래 오른쪽) 226

그림 3.2.12. 섬강 현황 및 하도 전경(아래 왼쪽)·하상재료(자갈, 아래 오른쪽) 228

그림 3.2.13. 청미천 현황 및 상(아래 왼쪽)·하류 전경(아래 오른쪽) 229

그림 3.2.14. 복하천 현황 및 상(아래 왼쪽)·하(아래 오른쪽)류 전경 230

그림 3.2.15. 경안천 현황 및 하도전경(아래 왼쪽)·공원안내도(아래 오른쪽) 231

그림 3.2.16. 왕숙천 현황 및 하도전경(아래 왼쪽) 및 농업용 보(아래 오른쪽) 233

그림 3.2.17. 탄천 현황 및 상(아래 왼쪽)·하(아래 오른쪽)류 전경 234

그림 3.2.18. 중랑천 현황 235

그림 3.2.19. 안양천 현황 및 상(아래 왼쪽)·하(아래 오른쪽)류 전경 237

그림 3.2.20. 북한강의 댐 현황 238

그림 3.2.21. 화천댐 지점 현황 및 화천댐(아래 왼쪽), 화천시내의 북한강(아래 오른쪽) 239

그림 3.2.22. 춘천댐 지점 현황 및 춘천댐 하류(아래 왼쪽), 용산취수장(아래 오른쪽) 240

그림 3.2.23. 의암댐 구간 현황 및 강촌지점 상(아래 왼쪽)·하(아래 오른쪽)류 전경 242

그림 3.2.24. 청평댐 구간 현황 및 청평댐(아래 왼쪽)·청평인근 북한강 전경(아래 오른쪽) 243

그림 3.2.25. 내린천 현황 및 하도전경(아래 왼쪽), 하상재료(아래 오른쪽) 245

그림 3.2.26. 소양강 현황 및 소양강댐(아래 왼쪽), 하도전경(아래 오른쪽) 246

그림 3.2.27. 가평천 현황 및 가평지점 상(아래 왼쪽)·하(아래 오른쪽)류 전경 247

그림 3.2.28. 홍천강 현황 및 홍천지점 상(아래 왼쪽)·하(아래 오른쪽)류 전경 249

그림 3.2.29. 임진강 및 한탄강 현황 250

그림 3.2.30. 군남(왼쪽), 적성(오른쪽)지점의 하도 전경 251

그림 3.2.31. 안성천 및 진위천의 하천현황 252

그림 3.2.32. 평택지점 하류의 안성천 하도 전경 253

그림 3.2.33. 동연교지점 상류의 진위천 하도 전경 253

그림 3.2.34. 양양남대천, 강릉남대천, 삼척오십천의 하천현황 254

그림 3.2.35. 한강권역 하도구분 및 기준지점 현황 255

그림 4.1.1. 한강권역 주요 지점별 연평균 BOD 농도 변화 263

그림 4.1.2. 한강권역 주요 지점별 연평균 COD 농도 변화 264

그림 4.1.3. 한강권역 주요 지점별 연평균 총질소(TN) 농도 변화 265

그림 4.1.4. 한강권역 주요 지점별 연평균 총인(TP) 농도 변화 266

그림 4.1.5. 한강권역 주요 지점별 BOD, COD 월별 농도 변화 268

그림 4.1.6. 한강권역 주요 지점별 총질소, 총인 월별 농도 변화 272

그림 4.1.7. 한강 주요 호소 지점별 BOD 월별 농도 변화 276

그림 4.1.8. 한강 주요 호소 지점별 COD 월별 농도 변화 277

그림 4.1.9. 한강 주요 호소지점별 총질소 월별 농도 변화 278

그림 4.1.10. 한강 주요 호소 지점별 총인 월별 농도 변화 279

그림 4.1.11. 한강권역 유역도 283

그림 4.1.12. QUAL2K 모형의 동력학과 물질전달과정 개념도 296

그림 4.1.13. K-WEAPq 모형을 통한 충주댐상류 용수수급 네트워크 구축 306

그림 4.1.14. K-WEAPq 모형을 통한 충주댐하류 용수수급 네트워크 구축 306

그림 4.1.15. K-WEAPq 모형에 의한 유량비교(영춘 지점) 307

그림 4.1.16. K-WEAPq 모형에 의한 유량비교(여주 지점) 307

그림 4.1.17. 충주댐상류 보정 및 검증 결과 311

그림 4.1.18. 충주댐하류 보정 및 검증 결과 312

그림 4.1.19. B 방법에 따른 수질보전유량 산정 방법 314

그림 4.1.20. K-WEAPq와 QUAL2K의 연계시스템 315

그림 4.1.21. 영월 지점 수량-수질 연계분석 결과 316

그림 4.1.22. 달천 지점 수질현황 곡선 317

그림 4.2.1. 생태계(어류) 보호를 위한 필요유량 산정 방법 328

그림 4.2.2. 물리적 서식처 모의시스템(PHABSIM)의 HSI지수 329

그림 4.2.3. 생태유량 산정을 위한 DB 구축 및 평가 체계 332

그림 4.2.4. 1998년 한강 생태유량 조사 지점 340

그림 4.2.5. 금회 어류조사 지점 343

그림 4.2.6. 한강 조사지점의 수환경 및 하상재료 361

그림 4.2.7. 어류 조사 방법 365

그림 4.2.8. 투망을 이용한 조사 367

그림 4.2.9. 족대를 이용한 조사 368

그림 4.2.10. 하상재료 조사 방법 368

그림 4.2.11. 광파기 및 도섭법을 이용한 하천 횡단면 측정 369

그림 4.2.12. 하천횡단면 측정자료를 이용한 DB의 예 369

그림 4.2.13. 각 조사지점별 상대풍부도 382

그림 4.2.14. 구축된 어류생태 DB 385

그림 4.2.15. 어류생태 DB 분석 예(수심유속-전장 관계) 386

그림 4.2.16. 하천단면 측정 397

그림 4.2.17. 수심에 따른 서식처 적합도 지수 398

그림 4.2.18. 조사지점별 서식처적합도 지수(HSI) 399

그림 4.2.19. 단면 측량 및 유량측정 405

그림 4.2.20. 하상재료 조사 405

그림 4.2.21. 단면측정 및 유속분포 405

그림 4.2.22. PHABSIM 개념 및 절차(Bovee et al., 1998) 409

그림 4.2.23. 간편 물리서식처 모의 프로그램 흐름도 412

그림 4.2.24. 영월지점 수심-유속-유량 그래프 415

그림 4.2.25. 영춘지점 수심 -유속-유량 그래프 415

그림 4.2.26. 영월 지점(지점1) 물리서식처 모의 결과 418

그림 4.2.27. 평창강 지점(지점2) 물리서식처 모의 결과 419

그림 4.2.28. 섬강 지점(지점3) 물리서식처 모의 결과 420

그림 4.2.29. 홍천강 지점(지점5) 물리서식처 모의 결과 421

그림 4.2.30. 청미천 지점(지점9) 물리서식처 모의 결과 422

그림 4.2.31. 달천하류 지점(지점10) 물리서식처 모의 결과 423

그림 4.2.32. SIMHAB 모의 결과 425

그림 4.3.1. 영월지점 위성 및 현장사진 439

그림 4.3.2. 영춘지점 위성 및 현장사진 440

그림 4.3.3. 팔당댐 지점 위성 및 현장사진 441

그림 4.3.4. 한강대교 지점 위성 및 현장사진 442

그림 4.3.5. 영월1지점 위성 및 현장사진 443

그림 4.3.6. 달천지점 위성 및 현장사진 444

그림 4.3.7. 문막지점 위성 및 현장사진 445

그림 4.3.8. 의암댐지점 위성 및 현장사진 446

그림 4.3.9. 홍천지점 위성 및 현장사진 447

그림 4.3.10. 수면폭(W)의 보정 450

그림 4.3.11. 하폭과 수면폭 산정 451

그림 4.3.12. 영월 지점 경관사진 452

그림 4.3.13. 영춘 지점 경관사진 453

그림 4.3.14. 팔당댐 지점 경관사진 454

그림 4.3.15. 한강대교 지점 경관사진 455

그림 4.3.16. 영월1 지점 경관사진 456

그림 4.3.17. 달천 지점 경관사진 457

그림 4.3.18. 문막 지점 경관사진 458

그림 4.3.19. 의암댐 지점 경관사진 459

그림 4.3.20. 홍천 지점 경관사진 460

그림 4.3.21. 한강의 하구 한계선 (김포시 월곶면 보구곶리 유도 부근) 466

그림 4.3.22. 수문순환의 모식도 469

그림 4.3.23. 지하수 유동시스템의 단면도 470

그림 4.3.24. 하천과 대수층의 관계 471

그림 4.3.25. 한강권역 행정구역 472

그림 4.3.26. 한강권역 지하수 지역별 지하수 이용량(2005년) 475

그림 4.3.27. 한강권역 연도별 지하수 이용량 변화 475

그림 4.3.28. 한강권역 용도별 지하수 이용량 477

그림 4.3.29. 광역지하수위분포 및 유동방향 480

그림 4.3.30. 중권역별 지하수 심도 분포 현황 481

그림 4.3.31. 풍·갈수기 지하수위 변동폭 분포 482

그림 4.3.32. 중권역별 변동폭 상자도식 482

그림 4.3.33. 한강권역 지하수위 측정지점 484

그림 4.3.34. 한강권역 지하수위 분석 지점 484

그림 4.3.35. 한강권역 지하수위 변화 486

그림 4.3.36. 한강권역 필요유량 산정 지점에 대한 평균 지하수위 488

그림 4.3.37. 지하수위에 대한 Decomposition 및 Composition 분석 489

그림 4.3.38. 지하수위 변화 경향성 및 추세 분석 490

그림 4.3.39. 한강권역 지하수위 변화 (1999-2008년) 491

그림 4.3.40. 실측염분과 환산염분의 비교 (0-80 psu) 502

그림 4.3.41. 실측염분과 환산염분의 비교 (0-5 psu) 502

그림 4.3.42. 한강하류부(행주대교 지점) 유량 및 염분 현황 503

그림 4.3.43. 한강하류부 염분 측정지점 (하구-팔당댐) 504

그림 4.3.44. 한강하류부 측정지점별 염분 변화 (하구-팔당댐) 505

그림 4.3.45. 한강하류(김포) 염분-유량 관계곡선 506

그림 4.3.46. 임진강 하류부 염분 측정지점 507

그림 4.3.47. 임진강 하류부 측정지점별 염분 변화 508

그림 5.1.1. 한강권역 하천수 사용 현황 521

그림 5.1.2. 안성천 및 한강 동해권 수계 자연상태 기준갈수량 524

그림 5.1.3. 한강수계 자연상태 기준갈수량 525

그림 5.1.4. 하천유지유량 확보필요량 산정(한강대교 산정 예) 535

그림 5.2.1. 환경개선용수의 공급 대안 540

그림 5.2.2. 환경개선용수 산정 흐름도 543

그림 5.2.3. 한강권역 대상지역 현황 547

그림 5.2.4. 굴포천방수로사업 추진경위 577

그림 5.2.5. 경인 아라뱃길 개념도 578

그림 5.2.6. 수향8경의 위치 및 명칭 579

그림 5.2.7. 경인 아라뱃길 운영 계획 580

그림 5.2.8. 청계천 전경 598

그림 5.2.9. 지역별 응답자 비율 665

그림 5.2.10. 연령대별 응답자 비율 665

그림 5.2.11. 관련분야 경력별 응답자 비율 666

그림 5.2.12. 국내 하천관리 상태 인식도 667

그림 5.2.13. 국내 하천관리 불만족 분야 668

그림 5.2.14. 국내 하천관리 발전을 위한 개선사항 669

그림 5.2.15. 수질향상과 생태복원을 위한 우선고려 사항 670

그림 5.2.16. 환경개선용수 도입 필요성 인식 671

그림 5.2.17. 하천수질 악화시 환경개선용수 관리 대책 672

그림 5.2.18. 환경개선용수 사용 목적 673

그림 5.2.19. 환경개선용수 사업계획 수립 여부 674

그림 5.2.20. 하천복원공사의 주요목적 675

그림 5.2.21. 하천복원사업 수혜 분야 676

그림 5.2.22. 사업 후 하천수량에 대한 의견 676

그림 5.2.23. 사업 후 생태환경의 변화 677

그림 5.2.24. 환경개선용수 확보방안 678

그림 5.2.25. 사업의 목표 달성 분야 679

그림 5.2.26. 하천의 추가 필요유량 679

그림 5.2.27. 환경개선용수 관리계획 보완사항 680

그림 5.2.28. 국내 하천관리의 개선사항 681

그림 5.2.29. 이해관계자 참여유도를 위한 행동사항 682

그림 5.2.30. 기후변화 고려 개선사항 683

그림 5.2.31. 이해당사자가 참여한 위원회 설치 필요성 684

그림 5.2.32. 환경개선용수 관리의 평가 주기 685

그림 5.2.33. 환경개선용수 비용부담 주체 686

그림 5.2.34. 환경개선용수의 지방자치단체 비용부담률 686

그림 5.2.35. 환경개선용수 재원조달 방안 687

그림 5.2.36. 환경개선용수 확보 방법 689

그림 5.2.37. 환경개선용수 계획량 비율(확보 방법별) 689

그림 6.1.1. 댐용수 가용수량 평가방법 695

그림 6.1.2. K-WEAP 모형의 저수지 운영 수위 구분 696

그림 6.1.3. 한강권역 내 주요댐 현황 698

그림 6.1.4. 생·공·농업용수 용수공급 실적(소양강댐) 701

그림 6.1.5. 하천유지용수 공급 실적 702

그림 6.1.6. 방류량 비교에 의한 공급량 정가 절차 703

그림 6.1.7. 소양강댐 연간 방류현황(1974-2008, 34개년) 703

그림 6.1.8. 소양강댐 연간 하천유지유량 확보 가능량 706

그림 6.1.9. 생·공·농업용수 공급실적(충주댐) 711

그림 6.1.10. 하천유지용수 공급실적(충주댐) 712

그림 6.1.11. 충주댐 연간 방류현황 713

그림 6.1.12. 충주댐 연강 하천유지유량 확보 가능량 715

그림 6.1.13. 생·공·농업용수 공급실적(횡성댐) 718

그림 6.1.14. 하천유지용수 공급실적(횡성댐) 719

그림 6.1.15. 횡성댐 연간 방류 현황(2001~2008, 8개년) 719

그림 6.1.16. 청평댐 운영현황 725

그림 6.1.17. 화천댐 운영현황 727

그림 6.1.18. 괴산댐 운영현황 728

그림 6.1.19. 춘천댐 운영현황 730

그림 6.1.20. 의암댐 운영현황 732

그림 6.1.21. 팔당댐 운영현황 733

그림 6.1.22. 소양강댐 월별 유입량 비교(1975~2008, 월평균) 735

그림 6.1.23. 소양강댐 모의운영 결과(연간단위) 736

그림 6.1.24. 연도별 물부족략(연간단위) 737

그림 6.1.25. 소양강댐 모의운영 결과(월간단위) 738

그림 6.1.26. 연도별 물부족량(월간단위) 738

그림 6.1.27. 충주댐 월별 유입량 비교(1986~2008, 월평균) 741

그림 6.1.28. 충주댐 모의운영 결과(연간단위) 742

그림 6.1.29. 충주댐 물부족량(연간단위) 742

그림 6.1.30. 충주댐 모의운영 결과(월간단위) 743

그림 6.1.31. 연도별 물부족량(월간단위) 743

그림 6.1.32. 광동댐 월별 유입량 비교(1989~2008년, 월평균) 745

그럼 6.1.33. 광동댐 모의운영 결과(연간단위) 746

그림 6.1.34. 연도별 물부족량(연간단위) 747

그림 6.1.35. 광동댐 모의운영 결과(월간단위) 748

그림 6.1.36. 광동댐 물부족량(월간단위) 748

그림 6.1.37. 달방댐 월별 유입량 비교(1990~2008, 월평균) 750

그림 6.1.38. 달방댐 모의운영 결과(연간단위) 751

그림 6.1.39. 연도별 물부족량(연간단위) 752

그림 6.1.40. 달방댐 모의운영 결과(월간단위) 752

그림 6.1.41. 연도별 물부족량(월간단위) 753

그림 6.1.42. 계획댐 위치도 754

그림 6.1.43. 하수처리수 재이용 현황 764

그림 6.1.44. 용도별 하수처리수 재이용 현황 764

그림 6.1.45. 미국(Florida) 765

그림 6.1.46. 일본 765

그림 6.1.47. 한강권역 주요 하수종말처리장 현황 766

그림 6.1.48. 한강수계 둑 높이기 대상 저수지 위치 773

그림 6.1.49. 논 회귀수 반영의 DAWAST 모형 개념 774

그림 6.1.50. 횡성댐 자료에 의한 DAWAST 모형의 매개변수 결정 776

그림 6.1.51. 횡성댐 10일 간격 유입량의 보정기간 등가선 776

그림 6.1.52. 횡성댐 10일 간격 유입량의 검정기간 등가선 777

그림 6.1.53. 횡성댐 관측-모의 일 유입량 비교 778

그림 6.1.54. 횡성댐 관측-모의 월 유입량 비교 778

그림 6.1.55. 용당저수지의 일 저수량 변화 모의 예(관개용수 공급) 779

그림 6.1.56. 용당저수지의 일 저수량 변화 모의 예(관개 및 하천유지용수 공급) 779

그림 6.1.57. 재개발 대상 농업용저수지 현황 780

그림 6.1.58. 중권역별 면적 및 농업용저수지 유역면적 782

그림 6.1.59. 중권역별 유효저수용량 50만㎡ 이상 농업용저수지 유역면적 782

그림 6.1.60. 횡월류식 천변저류지 개념도 785

그림 6.1.61. 횡월류식 천변저류지의 단면도 785

그림 6.2.1. 한강(10) 유역도 788

그림 6.2.2. 남한강 상류(1001) 유역 789

그림 6.2.3. 남한강상류 중권역의 하천유지유량 확보 가능량 791

그림 6.2.4. 평창강(1002) 유역 792

그림 6.2.5. 평창강 중권역의 하천유지유량 확보 가능량 794

그림 6.2.6. 충주댐(1003) 유역 794

그림 6.2.7. 충주댐 중권역의 하천유지유량 확보 가능량 797

그림 6.2.8. 달천(1004) 유역 798

그림 6.2.9. 달천 중권역의 하천유지유량 확보 가능량 801

그림 6.2.10. 충주댐하류(1005) 유역 801

그림 6.2.11. 충주댐하류 중권역의 하천유지유량 확보 가능량 804

그림 6.2.12. 섬강(1006) 유역 804

그림 6.2.13. 섬강 중권역의 하천유지유량 확보 가능량 807

그림 6.2.14. 남한강하류(1007) 유역 808

그림 6.1.15. 남한강하류 중권역의 하천유지유량 확보 가능량 812

그림 6.2.16. 평화의댐(1009) 유역 812

그림 6.2.17. 평화의 댐 중권역의 하천유지유량 확보 가능량 813

그림 6.1.18. 춘천댐(1010) 유역 814

그림 6.1.19. 춘천댐 중권역의 하천유지유량 확보 가능량 816

그림 6.2.20. 인북천(1011) 유역 817

그림 6.2.21. 인북천 중권역의 하천유지유량 확보 가능량 818

그림 6.2.22. 소양강(1012) 유역 819

그림 6.2.23. 소양강 중권역의 하천유지유량 확보 가능량 822

그림 6.2.24. 의암댐(1013) 유역 822

그림 6.2.25. 의암댐 중권역의 하천유지유량 확보 가능량 826

그림 6.2.26. 홍천강(1014) 유역 826

그림 6.2.27. 홍천강 중권역의 하천유지유량 확보 가능량 829

그림 6.2.28. 청평댐(1015) 유역 830

그림 6.2.29. 청평댐 중권역의 하천유지유량 확보 가능량 832

그림 6.2.30. 경안천(1016) 유역 833

그림 6.2.31. 경안천 중권역의 하천유지유량 확보 가능량 835

그림 6.2.32. 팔당댐(1017) 유역 836

그림 6.2.33. 팔당댐 중권역의 하천유지유량 확보 가능량 838

그림 6.2.34. 한강서울(1018)유역 838

그림 6.2.35. 한강서울 중권역의 하천유지유량 확보 가능량 841

그림 9.2.36. 한강고양(1019) 유역 841

그림 6.2.37. 한강고양 중권역의 하천유지유량 확보 가능량 843

그림 6.2.38. 임진강상류(1021) 유역 844

그림 6.2.39. 임진강상류 중권역의 하천유지유량 확보 가능량 846

그림 6.2.40. 한탄강(1022) 유역 847

그림 6.2.41. 한탄강 중권역의 하천유지유량 확보 가능량 848

그림 6.2.42. 임진강하류(1023) 유역 849

그림 6.2.43. 임진강하류 중권역의 하천유지유량 확보 가능량 851

그림 6.2.44. 한강하류(1024) 유역 852

그림 6.2.45. 한강하류 중권역의 하천유지유량 확보 가능량 853

그림 6.2.46. 안성천(1101) 유역 854

그림 6.2.47. 안성천 중권역의 하천유지유량 확보 가능량 856

그림 6.2.48. 한강동해(13) 유역도 857

그림 6.2.49. 양양남대천(1301) 유역 857

그림 6.2.50. 양양남대천 중권역의 하천유지유량 확보 가능량 860

그림 6.2.51. 강릉남대천(1302) 유역 861

그림 6.2.52. 강릉남대천 중권역의 하천유지유량 확보 가능량 863

그림 6.2.53. 삼척오십천(1303) 유역 864

그림 6.2.54. 삼척오십천 중권역의 하천유지유량 확보 가능량 866

그림 6.2.55. 한강권역 기준지점 및 확보 필요량 868

그림 7.1.1. 한강본류의 하천유지유량과 하천관리유량 888

그림 7.1.2. 한강대교 하천유지유량 공급의 신뢰도 평가 895

그림 7.1.3. 기준갈수량 대비 하천수 사용비율(누가) 899

그림 7.1.4. 기준갈수량 대비 하천수 사용비율(개별) 899

그림 7.1.5. 한강권역 하천유지유량의 확률밀도함수(정규분포) 901

그림 7.1.6. 하천유량관리시스템의 구성 902

그림 7.2.1. 정상유량의 설정 절차 912

그림 7.2.2. 동강 보존활동 918

그림 7.2.3. 환경교육 활동 919

그림 7.2.4. 에코가이드 양성 919

그림 7.2.5. 동강수계 답사 920

그림 7.2.6. 동강 환경 사생, 글짓기 대회 921

그림 7.2.7. 남한강 도보 순례 922

그림 7.2.8. 여주 바위늪구비 습지 트래킹 923

그림 7.2.9. 역사·문화·생태 탐방길 924

그림 7.2.10. 에드워드 무어장군 표석 925

그림 7.2.11. 우만리 나루터 느티나무 925

그림 7.2.12. 흔암리 선사주거지 925

그림 7.2.13. 아홉사리 과거 가는길 926

그림 7.2.14. 창남나루 갈대숲 926

그림 7.2.15. 단현리 여강 모래자갈 927

그림 7.2.16. 천추태후 촬영지 928

그림 7.2.17. 영월루 공원 전경 929

그림 7.2.18. 체험 환경교육 프로그램 930

그림 7.2.19. 생태 안내자 육성 931

그림 7.2.20. 청소년 하천지킴이 자전거 탐사 932

그럼 7.2.21. 빗물 저금통 활용 사레(도림천주민모임의 활동) 933

그림 7.2.22. 가정에 설치된 빗물저장 시설 및 빗물침투 시설 934

그림 7.2.23. 하천 수질측정 및 모니터링 사례 936

그림 7.2.24. Pack test에 의한 하천 수질측정 방법 937

그림 7.2.25. 창원천·남천 생태하천복원사업을 위한 민관 협의체 구성 940

그림 7.2.26. 하천생태 해설가 양성 과정 944

그림 7.2.27. 하천문화 탐방 사례 945

그림 7.2.28. 전통 물문화 행사 946

그림 8.2.1. 한강의 다기능 보 위치 및 관리수위 955

그림 8.2.2. 보 위치 및 영향 구간의 하천유지유량 산정지점 956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T000034157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전자자료 이용불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