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1)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폐광산지역 오염토양복원을 위한 유용 미생물 자원 발굴 및 특성 분석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인기도
발행사항
대전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1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내용구분
연구자료
출처
외부기관 원문
면수
88
제어번호
MONO1201110523
주기사항
연구책임자: 남인현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요약문

목차

제1장. 추진 필요성 및 목적 11

1절. 토양오염 개요 및 생물학적 복원 12

1. 토양오염 정의 및 특징 14

2. 토양오염물질 15

3. 토양오염원 16

4. 토양오염의 영향 17

5. 토양오염의 현황 19

6. 토양오염 방지 및 복원 20

2절. 잔류성유기오염물질 (POPs: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22

3절. 휴/폐광산 지역 오염 24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동향ㆍ분석 29

제3장. 연구개발 목표 31

제4장. 연구 내용 및 결과 32

1절. 연구내용 32

2절. 연구방법 32

1. 미생물 분리 사이트 선정 및 시료채취 32

2. 시료 내 유기오염물질 전처리 33

3. 토양시료 분석 및 QA/QC 33

4. 토양시료 내 미생물의 분리 37

5. 분리된 미생물 동정 37

6. 순수 배양된 미생물의 분해능 및 활성 측정 39

7. Turnover rate 측정 실험 및 분해산물 확인 40

3절. 연구결과 41

1. 폐광산 지역 토양시료 채취 및 분석 결과 41

2. 유용 미생물 자원 발굴 결과 47

3. 순수 배양 미생물 Sequencing 결과 51

4. 각 유용 균주의 특성 70

제5장. 연구개발 추진전략 및 체계 80

제6장. 기대성과 및 활용방안 82

제7장. 소요예산 84

가. 총괄표 84

나. 비목별 소요명세 84

제8장. 참고문헌 85

[표 1] 토양오염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지역 및 시설 17

[표 2] 토양오염물질 배출원 및 이에 따른 오염물질의 종류 17

[표 3] 토양오염 유발시설별 토양오염 검사항목 19

[표 4] 토양오염 우려기준 및 대책기준 (토양환경보전법 시행규칙) 20

[표 5] 오염원별 토양오염 방지 및 복원기술 21

[표 6] 토양/지하수 오염 방지 및 복원기술 21

[표 7] 전국 휴폐금속광산 수 (지질자원(연), 석탄합리화사업단, 2005) 24

[표 8] 폐광산지역 토양 내 유기오염물질 분석(GC/MS)을 위한 기기조건 36

[표 9] 폐광산 지역 토양에서 분리한 미생물 균주 목록 51

[그림 1] 토양 내에서의 오염물질의 분해 (Nature Review of Microbiology 2003) 13

[그림 2] 토양오염과 이에 따른 피해경로 16

[그림 3] 신종 잔류성 유기오염물질의 출현 패턴과 연구방법의 변화 22

[그림 4] POPs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우선 규제 대상 12종 23

[그림 5] 폐금속 광산 정밀조사 현황도(환경부 폐금속광산 토양오염 실태 조사, 2005, 2007) 25

[그림 6] 국내 탄전 분포도 (권현호 외 광해방지공학, 2007) 26

[그림 7] 대표적인 부유선광제 구조 및 조성 27

[그림 8] 부유선광법 28

[그림 9] 토양/퇴적물 시료 중 잔류성 유기오염물질 동시분석 흐름도 35

[그림 10] 제한배지(MSM: Minimal Salts Medium)의 조성 37

[그림 11] 오염물질 분해능 측정을 위한 순수 배양 39

[그림 12] 실험에 사용한 UV-VIS Spectrophotometer 40

[그림 13] 삼척 도계 지역 토양 시료 채취 장소 41

[그림 14] 삼척 도계 토양시료 내 유기오염물질 분석 결과 (GC Chromatogram) 42

[그림 15] 그림 14의 Chromatogram 중 Peak 1번에 대한 Mass spectrum 및 Library search 결과 43

[그림 16] 그림 14의 Chromatogram 중 Peak 6번에 대한 Mass spectrum 및 Library search 결과 43

[그림 17] 그림 14의 Chromatogram 중 Peak 2번에 대한 Mass spectrum 44

[그림 18] 태백 황지 토양시료 내 유기오염물질 분석 결과 (GC Chromatogram) 45

[그림 19] 그림 18의 Chromatogram 중 Peak 1번에 대한 Mass spectrum 및 Library search 결과 46

[그림 20] 그림 18의 Chromatogram 중 Peak 2번에 대한 Mass spectrum 및 Library search 결과 46

[그림 21] 각 지역 토양시료에서 영양배지로 옮긴 미생물 Mixed culture 결과 47

[그림 22] KM-01 균주 사진 48

[그림 23] KM-02 균주 사진 48

[그림 24] KM-03 균주 사진 49

[그림 25] KM-04 균주 사진 49

[그림 26] KM-05 균주 사진 49

[그림 27] KM-06 균주 사진 50

[그림 28] 특성이 명확하지 않은 분리 균주 50

[그림 29] Sphingobacterim sp. KM-02 와 Diphenyl ether 에 대한 반응성 (UV-VIS Spectrophotomer 측정 결과) 71

[그림 30] Stenotrophomonas sp. KM-06 와 Diphenyl ether 에 대한 반응성 (UV-VIS Spectrophotomer 측정 결과) 71

[그림 31] Sphingobacterim sp. KM-02 에 의한 Diphenyl ether 의 분해 72

[그림 32] Sphingobacterim sp. KM-02 에 의한 Diphenyl ether 의 분해 산물로 검출된 Catechol 의 Mass spectrum 73

[그림 33] Sphingobacterim sp. KM-02 에 의한 Diphenyl ether 분해 경로 74

[그림 34] Pseudomonas sp. KM-04 의 Dibenzofuran에 대한 반응성 (UV-VIS Spectrophotomer 측정 결과) 75

[그림 35] Pseudomonas sp. KM-04 에 의한 Dibenzofuran 의 분해 76

[그림 36] Pseudomonas sp. KM-04 에 의한 Dibenzofuran 분해산물 분석 실험 결과 76

[그림 37] Pseudomonas sp. KM-04 에 의한 Dibenzofuran 예상 분해 경로 77

[그림 38] Bacillus flexus KM-05 의 Biphenyl 에 대한 반응성 (UV-VIS Spectrophotomer 측정 결과) 78

[그림 39] Bacillus flexus KM-05 의 Biphenyl 분해과정에서 생성된 분해산물의 Mass Spectrum 79

[그림 40] Bacillus flexus KM-05 의 Biphenyl Biotransformation 경로 79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