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창원 사림동유적 : 국도 25호선 대체우회도로(용동-동급 간) 건설구간 내. 2 / 編輯: 慶南發展硏究院 歷史文化센터 인기도
발행사항
함안군 : 慶南發展硏究院 歷史文化센터, 2011
청구기호
951.99309 -11-11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vi, 128 p. : 삽화, 지도, 표 ; 30 cm
총서사항
慶南發展硏究院 歷史文化센터 調査硏究報告書 ; 第85冊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83512703
제어번호
MONO1201113006
주기사항
참고문헌: p. 127-128
권말부록: 경전선 제3공구(진영-창원 간) 유적과 사림동 유적의 지형발달사와 유적 입지에 대한 연구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Ⅰ. 머리말 8

Ⅱ. 자연환경 및 고고환경 18

1. 자연환경 18

2. 고고환경 19

1) 역사적 배경 19

2) 주변유적 21

Ⅲ. 조사범위와 방법 31

1. 조사범위 31

2. 조사방법 31

3. 층위 31

Ⅳ. 조사내용 36

1. B지구 36

1) B-1호 유아묘(도면 13, 도판 4) 36

2) B-2호 유아묘(도면 14, 도판 5) 37

3) B-3호 유아묘(도면 15, 도판 6) 37

4) B-4호 유아묘(도면 16, 도판 7-1~3) 38

5) B-5호 유아묘(도면 17, 도판 7-4ㆍ8-1ㆍ2) 38

6) B-6호 유아묘(도면 17, 도판 8-3ㆍ4) 39

7) B-7호 유아묘(도면 19. 도판 9) 39

8) B-8호 유아묘(도면 19, 도판 10) 42

9) B-9호 유아묘(도면 20, 도판 11) 43

10) B-10호 유아묘(도면 21, 도판 12-1~3) 43

11) B-11호 유아묘(도면 21, 도판 12-4ㆍ13-1ㆍ2) 43

12) B-12호 유아묘(도면 22, 도판 13-3) 45

2. F지구 45

1) F-1호 수혈 45

2) F-2호 수혈 47

3) F-1호 제철로(도면 25, 도판 18-1ㆍ2) 49

4) F-2호 제철로(도면 25, 도판 18-3ㆍ4) 49

5) F-3호 제철로(도면 26, 도판 19-1ㆍ2) 50

6) F-4호 제철로(도면 26, 도판 19-3ㆍ4ㆍ20) 50

7) F-5호 제철로(도면 27, 도판 21ㆍ22) 50

8) 지표 수습유물 51

Ⅴ. 고찰 54

1. 유아묘 54

2. 제철유구 56

Ⅵ. 맺음말 61

圖版 62

[附錄] 경전선 제3공구(진영-창원 간) 유적의 지형발달사와 유적입지에 대한 연구 96

제1장 서론 100

제2장 지형과 지질 환경 101

2.1. 지형 환경 101

2.2. 지질 환경 103

2.2.1. 지질 개요 103

2.2.2. 지질 각론 104

제3장 제4기 퇴적층 특성 107

3.1. 퇴적층 분석 107

3.1.1. 퇴적상 분석 107

3.1.2. 퇴적물 분석 116

3.2. 퇴적단위와 환경 124

3.2.1. 퇴적단위 Ⅰ: 붕적층(colluvium) 124

3.2.2. 퇴적단위 Ⅱ: 충적선상지(alluvial fan) 126

3.3. 퇴적단위의 형성시기와 층서 127

3.4. 지형발달사 127

3.4.1. Ⅰ 단계: 붕적층 형성기 128

3.4.2. Ⅱ 단계: 충적선상지 형성기 129

3.4.3. Ⅲ 단계: 하천 퇴적층 형성기 129

제4장 유적과 고환경 129

4.1. 유구 분포 현황 129

4.2. 유적과 고환경 130

제5장 결론 130

참고문헌 132

調査報告書初錄 134

판권기 135

표 1. B지구 근ㆍ현대 유아묘 속성표 54

표 2. 영남지역 조선시대 제철유적의 조사현황 56

도 1. 창원 덕천리유적 1호 지석묘 21

도 2. 창원 봉림사지 출토 막새류 22

도 3. 창원 봉림동 C-1지구 구획묘(좌)ㆍ제련로(우) 23

도 4-1. 창원 사림동유적 Ⅰ 지구 목탄요 배치도 23

도 4-2. 창원 사림동유적 Ⅰ-1호 목탄요 24

도 5. 창원 진례산성 성벽 잔존상태 24

도 6. 창원 삼동동고분군 25

도 7. 창원 상남동 지석묘(상), 창원 가음정동고분군 유구배치도(하) 26

도 8. 창원 가음정동 복합유적 전경 27

도 9. 창원 다호리 1호 목관 28

도 10. 김해 여래리유적 전경 29

도 11. 창원 천선동 고분군 전경 30

도 12-1. F지구 기본 토층 32

도 12-2. F지구 기본 토층 실측도(1/20) 32

도 13. F지구 작업 광경 32

도면 1. 조사지역 위치도(위성사진) 10

도면 2. 『대동여지도』의 사림동유적 추정 위치 11

도면 3. 『해동지도』의 사림동유적 추정 위치 12

도면 4. 1872년 지방지도의 사림동유적 추정 위치 13

도면 5. 조사지역 및 주변유적 위치도(1/50,000) 14

도면 6. 조사지역 및 주변일대 지형도(1/10,000) 15

도면 7. 조사지역 지질도(1/50,000) 16

도면 8. 조사지역 위치와 주변일대의 지질 17

도면 9. 조사지역 위치와 주변 일대의 지형 17

도면 10. 유구배치도(임의 축척) 33

도면 11. B지구 유아묘 배치도(1/200) 34

도면 12. F지구 유구배치도(1/300) 35

도면 13. B-1호 유아묘(1/30) 36

도면 14. B-2호 유아묘(1/30) 37

도면 15. B-3호 유아묘(1/30) 38

도면 16. B-4호 유아묘(1/30) 39

도면 17. B-5호, B-6호 유아묘(1/30) 40

도면 18. B-7호 유아묘(1/30) 41

도면 19. B-8호 유아묘(1/30) 42

도면 20. B-9호 유아묘(1/30) 43

도면 21. B-10호, B-11호 유아묘(1/30) 44

도면 22. B-12호 유아묘(1/30) 45

도면 23. F-1호 수혈(1/40) 및 상부 수습유물(1: 1/3) 46

도면 24. F-2호 수혈(1/40) 및 상부 수습유물(2~7: 1/3) 48

도면 25. F-1호, F-2호 제철로(1/20) 49

도면 26. F-3호, F-4호 제철로(1/20) 50

도면 27. F-5호 제철로(1/20) 51

도면 28. F지구 지표 수습유물(7~17: 1/3) 53

삽도 1. 각종 근ㆍ현대 유아묘(1: 산청 명동 1호, 2: 산청 명동 10호, 3: 마산 덕곡리 A-43호, 4: 마산 덕곡리 B-40호, 5: 산청 명동 8호, 6: 무안 대곡 6호, 7: 사천 용현 C지구, 8: 풍장(風葬) 55

삽도 2. 조선시대 영남지역 제철유적 분포도 57

삽도 3-1. 조선시대 영남지역 제철유적(1: 경주 용명리유적, 2: 경주 모화리유적, 3: 울산 방리유적) 58

삽도 3-2. 조선시대 영남지역 제철유적(4: 고성 소을비포성지, 5: 울산 둔기리유적, 6: 합천 야로야철지) 59

삽도 4. 일본 제철유적 복원도(福島顯 原町市 島打택A遺跡) 60

도판 1. 유적과 창원시 전경 63

도판 2. 비음산에서 바라본 유적 원경 64

도판 3. B지구 유아묘 전경 65

도판 4. B-1호 유아묘(1ㆍ2: 상부 적석상태, 3: 적석 제거 후, 4: 매장시설 노출상태) 66

도판 5. B-2호 유아묘(1ㆍ2: 상부 적석상태, 3: 적석 제거 후, 4: 매장시설 노출상태) 67

도판 6. B-3호 유아묘(1ㆍ2: 상부 적석상태, 3: 적석 제거 후, 4: 매장시설 노출상태) 68

도판 7. B-4호 유아묘(1ㆍ2: 상부 적석상태, 3: 적석 제거 후), B-5호 유아묘(4: 상부 적석상태) 69

도판 8. B-5호 유아묘(1: 적석 상태, 2: 적석 제거 후), B-6호 유아묘(3: 상부 적석상태, 4: 적석 제거 후) 70

도판 9. B-7호 유아묘(1ㆍ2: 상부 적석상태, 3: 매장시설 노출상태) 71

도판 10. B-8호 유아묘(1ㆍ2: 상부 적석상태, 3: 매장시설 노출상태) 72

도판 11. B-9호 유아묘(1ㆍ2: 상부 적석상태, 3: 매장시설 노출상태) 73

도판 12. B-10호 유아묘(1ㆍ2: 상부 적석상태, 3: 적석 제거 후), B-11호 유아묘(4: 상부 적석상태) 74

도판 13. B-11호(1: 적석 상태, 2: 적석 제거 후), B-12호 유아묘(3: 적석상태), B지구 작업광경(4) 75

도판 14. B지구 주변 유아묘 76

도판 15. F지구 원경(1)ㆍ전경(2) 77

도판 16. F-1ㆍ2호 수혈 전경(1), F-1호 수혈(2: 토층, 3: 조사 전, 4: 조사 중, 5: 조사완료) 78

도판 17. F-2호 수혈(1: 조사 전, 2: 조사 중, 3: 토층, 4: 조사완료) 79

도판 18. F-1호 제철로(1: 조사 완료, 2: 토층), F-2호 제철로(3: 토층, 4: 조사완료) 80

도판 19. F-3호 제철로(1: 전경 2:토층), F-4호 제철로(3: 토층, 4: 조사 전) 81

도판 20. F-4호 제철로(1: 내부 노출상태, 2: 노 벽체 제거 후, 3: 조사 완료, 4: 토층) 82

도판 21. F-5호 제철로(1: 조사 전, 2: 조사 중, 3: 내부 노 벽체편) 83

도판 22. F-5호 제철로(1: 노벽체 수습 후, 2: 토층, 3: 조사완료, 4: 바닥면 소결상태) 84

도판 23. F지구 작업 광경(1), 지도위원회 광경(2) 85

도판 24. F지구 주변 유아묘 86

도판 25. F-1호 수혈(1), F-2호 수혈(2~6) 상부 수습유물 87

도판 26. F-2호 수혈 상부수습(7), F지구 지표수습(8~14) 유물 88

도판 27. F지구 지표 수습유물(15~17), F-5호 제련로 벽체편(18) 89

도판 28. F-5호 제련로 벽체편(19~22) 90

도판 29. F-5호 제련로 벽체편(23~26) 91

도판 30. F-5호 제련로 벽체편(27~30) 92

도판 31. F-5호 제련로 벽체편(31), F지구 수습 벽체편(32~34) 93

도판 32. F지구 수습 벽체편(35~38) 94

도판 33. F지구 수습 벽체편(39~43) 95

표 3.1. 제4기 퇴적층의 입도 조성, 조직변수와 퇴적물 유형. 117

표 3.2. 퇴적물 시료의 주산화물 조성 분석 결과. 119

그림 2.1. 발굴조사지역 일원의 광역지형. 101

그림 2.2. 발굴조사지역 주변의 지형. 102

그림 2.3. 발굴조사지역 일원의 지질(한국지질도 1:50,000 마산, 김해도폭). 103

그림 2.4. 진동층 혼펠스의 노두 및 박편사진. 104

그림 2.5. 화강암의 노두 및 박편사진. Qtz: 석영, K-fl: 알칼리장석, Pl: 사장석, Bt: 흑운모. 105

그림 3.1. 퇴적단면 분석지점 위치도. 107

그림 3.2. 퇴적단면 CS-01 지점의 노두사진 108

그림 3.3. 퇴적단면 CS-01의 퇴적주상도. 108

그림 3.4. 퇴적단면 CS-02의 노두사진. 109

그림 3.5. 퇴적단면 CS-02의 퇴적주상도. 110

그림 3.6. 퇴적단면 CS-03의 노두사진. 111

그림 3.7. 퇴적단면 CS-03의 퇴적주상도. 111

그림 3.8. 퇴적단면 CS-04의 퇴적주상도 112

그림 3.9. 퇴적단면 CS-05의 기반암과 하부 자갈층의 노두사진. 112

그림 3.10. 퇴적단면 CS-05의 상부 자갈층과 이질층의 노두사진. 113

그림 3.11. 퇴적단면 CS-05의 퇴적주상도. 113

그림 3.12. 퇴적단면 CS-06의 노두사진. 114

그림 3.13. 퇴적단면 CS-06지점의 주상도. 115

그림 3.14. 제4기 퇴적층의 입도 특성 분포도. 117

그림 3.15. 제4기 퇴적층의 자갈-모래-이(니) 삼각다이아그램. 118

그림 3.16. 퇴적물 시료의 주산화물 조성 분포도. 120

그림 3.17. 퇴적물 시료의 풍화지수 분포도. 121

그림 3.18. CS-03 단면 퇴적물의 X-선 회절 분석도. N: 무처리, E: 에칠렌글리콜 처리, H: 가열 처리, I: 일라이트, K: 고령석, C: 녹니석, S: 스멕타이트. 122

그림 3.19. CS-05 단면 퇴적물의 X-선 회절 분석도. N: 무처리, G: 에칠렌글리콜 처리, H: 가열 처리, I: 일라이트, K: 고령석, C: 녹니석, S: 스멕타이트. 123

그림 3.20. CS-06 단면 퇴적물의 X-선 회절 분석도. N: 무처리, G: 에칠렌글리콜 처리, H: 가열 처리, I: 일라이트, K: 고령석, C: 녹니석, S: 스멕타이트. 123

그림 3.21. 퇴적단위 Ⅰ(붕적층) 퇴적상의 대비. 124

그림 3.22. 퇴적단위 Ⅱ(충적선상지) 퇴적상의 대비. 126

그림 3.23. 발굴조사지역 일원의 표층지질. 128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613157 951.99309 -11-11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